KR102307584B1 - 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584B1
KR102307584B1 KR1020210041627A KR20210041627A KR102307584B1 KR 102307584 B1 KR102307584 B1 KR 102307584B1 KR 1020210041627 A KR1020210041627 A KR 1020210041627A KR 20210041627 A KR20210041627 A KR 20210041627A KR 102307584 B1 KR102307584 B1 KR 10230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landing
landing targe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경
이석태
수완 뭉 응우엔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5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B64D45/08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4Control of altitude or depth
    • G05D1/06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 G05D1/0607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05D1/0653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during a phase of take-off or landing
    • G05D1/0676Rate of change of altitude or depth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during a phase of take-off or landing specially adapted for land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G05D3/14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 G05D3/1445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loops
    • G05D3/1463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loops using PI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77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tochastic approaches, e.g. using Kalman filters
    • B64C2201/141
    • B64C220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precisely landing on a moving landing target (landing platform) and capable of robust altitude control by considering the ground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photographing unit provi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photograph a landing target; a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for analyzing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o obtain position or speed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posi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altitude or posi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respect to the landing target; and an autonomous precise landing planning unit for receiving the position or speed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by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outputting desire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x, y, and z axes, and transmitting the desir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The landing target may be mov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Description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움직이는 착륙 플랫폼을 추적하여 정밀하게 자동으로 착륙할 수 있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accurately and automatically land by tracking a moving landing platform.

최근 4차 산업 혁명의 한 부분으로 드론의 자율비행 및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을 포함하는 무인비행체의 활용이 고려되고 있다. 특히, 물류배송과 같은 상업분야에서의 활용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의 아마존, UPS, 독일의 DHL, 중국의 알리바바 등 물류 업체에서 멀티콥터형 드론의 자율비행을 이용한 물류배송 서비스를 시범운영하고 있다. Recently, as a par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on autonomous flight and automation systems of dron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ccordingly,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cluding drones is being consider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its use in commercial fields such as logistics and delivery is rapidly expanding, and logistics companies such as Amazon, UPS, DHL in Germany, and Alibaba in China are piloting logistics delivery services using autonomous flight of multicopter drones. have.

이처럼 자율비행은 드론을 포함하는 무인비행체의 핵심 기술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중 자동 착륙은 자율 비행 중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고 있어 국내외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As such, autonomous flight is positioned as a core technology ele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cluding drones, and among them, automatic landing requires a high level of technology during autonomous flight, so relate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드론 또는 멀티콥터의 경우 현재 배터리의 사용시간 제약으로 인해 장시간 임무 수행에 한계가 있다. 쿼드콥터 또는 멀티콥터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체의 제한된 탑재중량으로 인해 휴대할 수 있는 배터리 양이 제한되므로, 짧은 시간 동안 임무 수행을 위해 작동한 후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재충전하기 위해 무인비행체가 자주 착륙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drones or multicopters, there is a limit to long-term mission performance due to the limitation of battery usage time. The limited payload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cluding quadcopters or multicopters, limits the amount of battery they can carry, requiring frequent landing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o replace or recharge batteries after operating for short periods of time.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무인비행체의 착륙 임무는 배송 서비스, 지형 탐사, 정찰 및 감시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무인비행체가 보여야 하는 주요 임무 중 하나이고, 이러한 임무요소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인비행체의 자율적인 착륙 문제를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한다.The landing mission of the UAV is one of the main missions that the UAV must show in applications such as delivery service, terrain exploration,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Should be.

한편, 무인비행체의 임무가 다양해지면서 착륙 플랫폼이 고정된 경우 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착륙 플랫폼에 무인비행체가 착륙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즉, 착륙 임무요소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인비행체가 움직이는 착륙 목표에 착륙해야 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그런데,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착륙 플랫폼에 착륙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착륙 플랫폼이 움직이는 경우의 착륙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없다.On the other hand, as the mission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re diversified, there are cases where the landing platform is not only fixed but also needs to be landed on a moving landing platform. That i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ust land on a moving landing target in order to perform landing mission elements. However, the algorithm for landing on a stationary and fixed landing platform cannot satisfy the landing performance requirements when the landing platform is moving.

또한, 쿼드콥터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체의 저고도 비행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진 지면 효과(ground effect)와 외부 외란(external disturbance)은 무인비행체의 정밀 착륙 제어 설계에서 상세히 고려되어야 하는데, 지면 효과를 고려한 정밀 착륙 제어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In addition, the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known as major factors that degrade the low-altitude flight perform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cluding quadcopters, must be considered in detail in the design of precise landing control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There is a lack of precision landing control technology that has been considered.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4869호(2019.08.2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869 (2019.08.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움직이는 착륙 목표(착륙 플랫폼)에 정밀하게 착륙할 수 있고 지면 효과를 고려함으로써 강인한 고도 제어가 가능한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accurately landing on a moving landing target (landing platform) and capable of robust altitude control by considering the ground effect.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은, 무인비행체; 상기 무인비행체에 마련되어 착륙 목표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얻은 착륙 목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대한 상기 착륙 목표의 위치 또는 속도 정보를 구하는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 상기 착륙 목표에 대한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 또는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 및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구한 상기 착륙 목표의 위치 또는 속도가 입력되고, x,y,z축에서의 원하는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위치 제어부에 전달하는 자율정밀착륙 계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 목표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photographing unit provi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photograph a landing target; a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for analyzing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o obtain location or speed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pos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ltitude or posi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respect to the landing target; and an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that receives the position or speed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from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outputs desire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x, y, and z axes, and transmits it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The landing target may be mov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는 상기 촬영부에 얻은 착륙 목표의 이미지에 기하학적 광학 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동체 고정 좌표 상에서의 상기 착륙 목표의 로 포지션(raw position)을 결정할 수 있다.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may determine a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on the fixed fuselage coordinate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applying geometric optical analysis to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는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대한 상기 착륙 목표의 상대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may estimate a relative speed of the landing targe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applying a Kalman filter.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무인비행체에 작용하는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을 고려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consideration of a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acting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상기 위치 제어부는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의 영향을 받는 고성능 착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외란 관측기에 기초하여 고도 제어를 수행하는 고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n altitude control unit that performs altitude control based on a disturbance observer in order to perform a high-performance landing operation that is affected by ground effects and external disturbances.

상기 고도 제어부는 지면 효과를 포함하는 복합 외란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 추적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외란 관측기 기반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이용할 수 있다.The altitude controller may use a disturbance observer-based sliding mode controller to perform altitude tracking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a state where there is a complex disturbance including a ground effect.

상기 위치 제어부는 내부 루프 및 외부 루프로 구성되며, 내부 루프는 PID 제어기를 이용하고 외부 루프는 다중 모드 제어 법칙을 이용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n inner loop and an outer loop, the inner loop may use a PID controller and the outer loop may use a multi-mode control rule.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무인비행체의 x축 방향 추적제어 및 y축 방향 추적제어의 외부루프에 다중모드 제어법칙을 이용하는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 및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n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and a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that use a multi-mode control rule in an outer loop of the x-axis direction tracking control and the y-axis direction tracking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상기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 및 상기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x축 방향 제어 출력 및 y축 방향 제어 출력을 입력 받고, 상기 무인비행체의 롤 각도 설정값 및 피치 각도 설정값을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the x-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and the y-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and the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roll angle setting value and the pitch angle setting valu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 may include a conversion unit.

상기 롤 각도 설정값 및 상기 피치 각도 설정값과 상기 무인비행체에서 센싱된 롤 각도 및 피치 각도의 차이, 상기 자율 정밀 착륙 계획부에서 출력된 상기 무인비행체의 요 각도 설정값과 상기 무인비행체에서 센싱된 요 각도의 차이를 입력 받고, 롤 제어 입력, 피치 제어 입력 및 요 제어 입력을 출력하여 무인비행체에 전달하는 자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roll angle setting value and the pitch angle setting value and the roll angle and the pitch angle sens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yaw angle setting valu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utput from the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and sens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 may include a posture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difference in yaw angle, outputs a roll control input, a pitch control input, and a yaw control input, and transmits i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상기 고도 제어부는 추력 제어 입력을 무인비행체에 전달할 수 있다.The altitude controller may transmit a thrust control inpu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은 움직임이 있는 착륙 목표에 대해서 무인비행체의 정밀한 착륙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precise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respect to a moving landing target.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은 지면 효과를 고려하여 무인비행체의 고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무인비행체가 착륙 목표에 착륙하는 과정에 무인비행체에 작용하는 외란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정밀 착륙을 보장할 수 있다.Since 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effect, it minimizes the influence of disturbances acting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uring the process of land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n the landing target and ensures precise landing can do.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은 무인비행체가 이동(비행)을 시작할 때 부드러운 시스템 응답을 보장할 수 있다.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a smooth system respons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arts moving (flying).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은 추적 오류가 작아질 때 빠른 목표물 접근 속도를 보장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정밀 착륙, 장애물 회피, 높은 건물에 대한 자율 배송 등 정확도가 높은 작업을 무인비행체가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arantees a fast target approach speed when the tracking error is small, and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perform high-accuracy tasks such as precision landing, obstacle avoidance, and autonomous delivery to tall buildings. to perform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형상 및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착륙 목표의 로 포지션(raw position)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무인비행체와 착륙 목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좌표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착륙 목표의 상대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칼만 필터를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따른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의 성능을 보여주는 시험 결과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위치 제어부의 성능을 보여주는 시험 결과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위치 제어부의 다중루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다중루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한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force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ystem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raw position of a landing target i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
4 is a coordinate syste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landing target i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according to FIG. 3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pplying a Kalman filter to determine a relative speed of a landing target i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according to FIG. 3 .
6 and 7 are test results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according to FIG. 3 .
8 and 9 are test results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multi-loop control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
11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multi-loop control according to FIG. 10 .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method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mplemented below is already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al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normal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o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I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ly used components among the functions omitted not shown below, and the components omitted as described abov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and components added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other similar meanings of a signal or information means that a signal or inform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as well as passing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o “transmit” or “transmit” a signal or information to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imply a direct destination. The same is true for "recept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형상 및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착륙 목표의 로 포지션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무인비행체와 착륙 목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좌표계, 도 5는 도 3에 따른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착륙 목표의 상대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칼만 필터를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따른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의 성능을 보여주는 시험 결과,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위치 제어부의 성능을 보여주는 시험 결과, 도 10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위치 제어부의 다중루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따른 다중루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the acting for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ystem of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i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ng unit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 FIG. 4 is the lo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landing target i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ng unit according to FIG. 3 A coordinate syste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pplying the Kalman filter to determine the relative speed of the landing target i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according to FIG. 3, FIGS. 6 and 7 are shown in FIG. The test results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according to FIG. 8 and FIG. 9 are test results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1, and FIG. 10 explains the multi-loop control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FIG. 11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multi-loop control according to FIG. 10 .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100)은 드론(drone), 쿼드콥터(quadcopter), 멀티콥터(multicopter) 등의 무인비행체(Unmanned aerial vehicle)에 적용되거나 무인비행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무인비행체(110)"는 드론, 쿼드콥터 또는 멀티콥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100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applied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drone, a quadcopter, a multicopter, etc. or a system that inclu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fore, hereinafter, "unmanned aerial vehicle 110" is a concept including a drone, a quadcopter, a multicopter,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무인비행체(110); 무인비행체(110)에 마련되어 착륙 목표(LT; Landing Target)를 촬영하는 촬영부(120); 촬영부(120)에서 얻은 착륙 목표(LT)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무인비행체(110)에 대한 착륙 목표(LT)의 위치 또는 속도 정보를 구하는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 착륙 목표에 대한 무인비행체(110)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150); 및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구한 상기 착륙 목표의 위치 또는 속도가 입력되고, x,y,z축에서의 원하는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위치 제어부(150)에 전달하는 자율정밀착륙 계획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yste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a photographing unit 120 provi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o photograph a landing target (LT); a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130 that analyzes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LT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to obtain position or speed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 position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with respect to the landing target; and an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140 that inputs the position or speed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by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outputs desire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x, y, and z axes, and transmits it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 may be included.

여기서, 착륙 목표(LT)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100)은 고정된 착륙 목표(LT)가 아니라 움직이는 착륙 목표(LT)에 무인비행체(110)가 착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Here, the landing target LT may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1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o land on a moving landing target LT rather than a fixed landing target 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무인비행체(110)의 자율 정밀 착륙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인비행체(110)는 쿼드콥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무인비행체(110)가 쿼드콥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s mentioned abov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is a concept including a quadcopter.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is a quadcopter will be described for better understanding.

도 2에는 쿼드콥터인 무인비행체(110)의 역학 모델(dynamics model)이 제시되어 있다. 도 2에서 {B}는 무인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이고, {E}는 지역 지구 고정 좌표를 의미한다.2 shows a dynamics mode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hat is a quadcopter. In FIG. 2, {B} denotes fixed coordinate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E} denotes local earth fixed coordinates.

무인비행체(110)의 4개 로터(rotor)는 [수학식 1]과 같이 제어 입력과 관계가 있는 4개의 추력(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1
)을 생성한다.The four rotor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have four thrusts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1
) is create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2

[수학식 1]에서 l은 로터암(rotor arm)의 길이, ui는 제어 입력, Cfm은 힘과 모멘트 계수를 나타낸다.In [Equation 1], l is the length of the rotor arm, u i is the control input, and C fm is the force and moment coefficient.

무인비행체(110)의 전체 역학 모델은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The overall dynamics mode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3

[수학식 2]에서 x, y, z는 위치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4
는 관성좌표계 {E}에서의 무인비행체(110)의 자세이고, m은 질량이다. g는 중력가속도이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5
는 x, y, z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이다. In [Equation 2], x, y, and z represent position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4
is the postu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in the inertial coordinate system {E}, and m is the mass. g is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5
is the moment of inertia about the x, y, and z ax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모델링되는 무인비행체(110)가 지면 효과와 외부 외란의 영향을 받아도 움직이는 착륙 목표(LT)에 정확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합성 알고리즘을 제시할 수 있다.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nding target (LT) that moves even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modeled as in [Equation 1] and [Equation 2] is affected by ground effects and external disturbances. A new synthetic algorithm can be proposed that can land accurately.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촬영부(120)는 무인비행체(110)에 장착되어 착륙 목표(LT)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20)는 착륙 목표(LT)를 촬영하는 적외선(IR)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착륙 목표(LT)는 적외선 비컨(IR Beaco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적외선 카메라 등의 촬영부(120) 및 적외선 비컨을 포함한 착륙 목표(LT)를 이용함으로써 비전 기반 상태 추정기(Vision-based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를 구현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가 비전 기반 상태 추정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photographing unit 120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o photograph the landing target LT. Here, the photographing unit 120 may include an infrared (IR)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anding target LT, and the landing target LT may include an infrared beaco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vision-based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by using a landing target (LT) including an infrared beacon and a photographing unit 120 such as an infrared camera. can That is,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serve as a vision-based state estim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적외선 카메라 등의 촬영부(120) 및 적외선 비컨을 포함한 착륙 목표(LT)를 이용하기 때문에 카메라가 야간이나 빛이 너무 강하거나 부족한 환경에서도 착륙 목표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착륙 목표(LT)에 IR LED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간편한 적용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anding target (LT) including a photographing unit 120 such as an infrared camera and an infrared beacon, the camera is a landing target even at night or in an environment with too strong or insufficient light. can be detected. In addition, since the IR LED is mounted on the landing target (LT), it has the advantage of economical and simple applicability.

한편,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120)는 무인비행체(110)의 동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부(120)는 무인비행체(110)와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unit 120 including the infrared camera is fixed to the bod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 unit 120 moves in the same manner a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도 1을 참조하면, 촬영부(120)는 착륙 목표(LT) 등의 대상물을 촬영하고 그 촬영 정보를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에 전달되는 촬영 정보는 관심 영역 정보(inform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hotographing unit 120 may photograph an object such as a landing target LT and transmit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ng unit 130 . Here,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촬영부(120)에서 얻은 착륙 목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무인비행체(110)에 대한 착륙 목표(LT)의 위치 또는 속도 정보를 구할 수 있다.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may analyze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to obtain position or speed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카메라 고정 좌표(the camera-fixed coordinate, {C}), 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 및 지역 지구 고정 좌표(local earth-fixed coordinate, {E})에서 착륙 목표의 위치를 명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LTSE)를 구비한다.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mera-fixed coordinate ({C}), 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 and local earth fixed coordinates. A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LTSE) is provided in order to explicitly express the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in (local earth-fixed coordinate, {E}).

또한, 착륙 상태 목표 추정부(130)는 칼만 필터를 사용하여 무인비행체(110)와 착륙 목표(LT) 사이의 상대 위치와 속도에 대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정밀 착륙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ing state target estimator 130 may provide stable and reliabl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position and speed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nd the landing target LT by using the Kalman filter. Thi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accuracy of precision landing operations.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촬영부(120)로부터 인식된 위치 정보를 통해서 착륙 목표(LT)의 위치 및 속도를 칼만 필터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may calculate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landing target LT through the Kalman filt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촬영부(120)에서 얻은 착륙 목표(LT)의 이미지에 기하학적 광학 분석을 적용하여 무인비행체(110)의 동체 고정 좌표 상에서의 착륙 목표(LT)의 로 포지션(raw position)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로 포지션(raw position)"은 칼만 필터를 적용하기 전의 입력값(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6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7
)을 의미한다.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ng unit 130 applies geometric optical analysis to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LT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to obtain a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on the fixed coordinates of the fuselag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raw position) can be determined. Here, "raw position" is the input valu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6
an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7
) means

도 3을 참조하여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에서 착륙 목표(LT)의 로 포지션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A process of determining the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by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에서 {B}는 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계이고, {C}는 카메라 고정 좌표계이며, CAMERA LENS는 촬영부(120)의 렌즈를 의미하고, IMAGE FROM CAMERA SENSOR는 촬영부(12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카메라는 촬영부(120)를 의미한다.In FIG. 3, {B} is a fixed coordinate system of the vehicle body, {C} is a fixed camera coordinate system, CAMERA LENS means a lens of the photographing unit 120, and IMAGE FROM CAMERA SENSOR is an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means Here, the camera refers to the photographing unit 120 .

도 3은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에서 기하학적 광학 분석(optical analysis)을 통해 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계{B}에서 착륙 목표(LT)의 로 포지션 정보(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8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9
)를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착륙 목표(LT)의 로 포지션 정보는 카메라 고정 좌표계{C}의 착륙 목표(LT) 위치에서 얻을 수 있다. 3 is a view showing the low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in the aircraft body fixed coordinate system {B} through geometric optical analysis i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13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8
an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09
) to show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raw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may be obtained from the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in the camera fixed coordinate system {C}.

먼저, 도 3에서 유사한 삼각형 MHB와 M*CB를 비교하면, [수학식 3]이 성립한다.First, when comparing similar triangles MHB and M * CB in FIG. 3, [Equation 3] is establishe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0

삼각형 AHB와 A*CB를 비교하면 [수학식 4]가 성립한다.[Equation 4] is established by comparing the triangle AHB and A * CB.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1

도 3에서 x, y는 각각 촬영부(120, 카메라)의 수평 시야 및 수직 시야를 나타낸다.In FIG. 3, x and y indicate a horizontal field of view and a vertical field of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120 (camera), respectively.

[수학식 4]를 [수학식 2]으로 대체하면, [수학식 5]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If [Equation 4] is replaced with [Equation 2], the same result as [Equation 5] can be obtaine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2

[수학식 5]와 도 3을 참조하면,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3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4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5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6
이므로, [수학식 5]를 통해 [수학식 6]을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5] and Figure 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3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4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5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6
Therefore, [Equation 6] can be obtained through [Equation 5].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7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7

유사한 과정을 통해 [수학식 7]을 얻을 수 있다.[Equation 7] can be obtained through a similar proces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8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8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계{B}에서 착륙 목표(LT)의 로 포지션(raw position)을 [수학식 6] 및 [수학식 7]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착륙 목표의 로 포지션을 결정한 후,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무인비행체(110)에 대한 착륙 목표(LT)의 상대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에서 착륙 목표(LT)의 로 포지션을 [수학식 6] 및 [수학식 7]과 같이 결정한 후, 착륙 목표의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칼만 필터의 시스템과 측정 모델을 수립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may obtain the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in the vehicle body fixed coordinate system {B} as in [Equation 6] and [Equation 7]. After determining the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may estimate the relative speed of the landing target L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by applying the Kalman filter. That is,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in 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 with [Equation 6] and [Equation 7] and After determining together, a Kalman filter is applied to estimate the speed of the landing target. To this end,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may perform a step of establishing a Kalman filter system and a measurement model.

도 4는 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 및 지역 지구 고정 좌표(local earth-fixed coordinate, {E}) 상에서 착륙 목표(LT)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on 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 and the local earth-fixed coordinate ({E}).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9
는 각각 시점 t 에서의 착륙 목표(LT)의 상태 즉, x축 방향의 위치, x축 방향의 속도, y축 방향의 위치, y축 방향의 속도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t+1 시점에서의 착륙 목표의 상태는 [수학식 8]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1037661167-pat00019
denotes the state of the landing target LT at time t, that is, the position in the x-axis direction, the speed in the x-axis direction, the position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peed in the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Then, the state of the landing target at time t+1 can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8].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0

[수학식 8]에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1
는 위치를 측정하는 간격 시간(interval time)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3
는 각각 상태 전이 노이즈(transition noises)를 나타낸다.In [Equation 8]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1
represents the interval time (interval time) to measure the position,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2
an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3
, respectively, represent transition noises.

측정은 [수학식 9]와 같이 모델링 할 수 있다.Measurement can be modeled as in [Equation 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4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4

[수학식 9]에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5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6
는 측정 노이즈(measurement noise)이다.In [Equation 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5
Wow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6
is the measurement noise.

제어기에 사용되는 쿼드콥터인 무인비행체의 상태변수들은 지역 지구 고정 좌표(local earth-fixed coordinate, {E}) 상에 있기 때문에, 비행체 동체 고정 좌표(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 상에 있는 착륙 목표의 상태는 [수학식 10]과 같은 좌표변환공식에 의해 {E}에서의 상태로 변환된다.Since the state variable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quadcopter used in the controller, are on the local earth-fixed coordinate ({E}), the vehicle-body-fixed coordinate ({B}) The state of the landing target on the top is converted to the state in {E} by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formula as in [Equation 1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7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7

[수학식 10]에서 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In [Equation 10], ψ is as shown in FIG.

도 5에는 칼만 필터를 통해서 구축되는 전체적인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an overall structural diagram constructed through the Kalman filter.

칼만 필터의 입력 데이터(Input data)는 착륙 목표의 로 포지션(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8
)이다. 칼만 필터는 [수학식 8]을 이용하여 시스템 모델을 수립하고 [수학식 9]를 이용하여 측정 모델을 수립한다.The input data of the Kalman filter is the low position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8
)am. The Kalman filter establishes a system model using [Equation 8] and establishes a measurement model using [Equation 9].

이와 같이,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착륙 목표(LT)의 로 포지션 및 속도에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착륙 목표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may estimate the state of the landing targe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y applying the Kalman filter to the raw position and speed of the landing target L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 즉, 비전 기반 상태 추정기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이다.6 and 7 are results of testing the performance of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that is, the vision-based state estimator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적외선(IR) 카메라가 장착된 쿼드콥터, IR 비컨(움직이는 착륙 목표), 견고한 행거(무인비행체를 매달기 위해) 및 4개의 스프링(무인비행체를 행거에 걸기 위해)으로 구성된 테스트 베드를 만들었다.In order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130, a quadcopter equipped with an infrared (IR) camera, an IR beacon (moving landing target), a sturdy hanger (to ha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our springs (unmanned aerial vehicle) To hang the aircraft on a hanger), a test bed was created.

본 출원인은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착륙 목표에 해당하는 IR 비컨이 특정 위치에 정지해 있는 경우와, IR 비컨이 특정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에 대해서 시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 the present applicant tested the case where the IR beacon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target is stopped at a specific position and the case where the IR beacon moves at a specific speed.

IR 비컨이 특정 위치에 정지해 있는 경우의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 6을 참조하면, 테스트 동안 무인비행체의 고도와 헤딩 각도는 진동하도록 자극되는데 진동에도 불구하고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안정적이고 매우 정확한 추정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IR 비컨(착륙 목표)의 위치에 대해 peak to peak 추정 위치와 속도 오차의 크기는 각각 5.0 [cm]와 5.0 [cm/s] 범위에 있다. Referring to FIG. 6 showing the test results when the IR beacon is stopped at a specific position, the altitude and heading angl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uring the test are stimulated to vibrate. Despite the vibratio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130 is stabl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stimation performance is very accurate. For the position of each IR beacon (landing target), the peak-to-peak estimated posi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velocity error are in the range of 5.0 [cm] and 5.0 [cm/s], respectively.

IR 비컨이 특정 속도로 움직이는 경우의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 7을 참조하면, IR 비컨은 순차적으로 축을 따라 특정 속도로 이동하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 LTSE)는 IR 비컨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정확한 추정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Referring to FIG. 7 showing the test results when the IR beacon moves at a specific speed, the IR beacon sequentially moves along the axis at a specific speed, and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LTSE) is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IR beacon. It is considered to provide an accurate estimate of

초기 단계 동안 t=0~35 [s](도 7(a) 및 (b) 참조) IR 비컨은 (0,0.5) ~ (0,-0.5) 사이의 이동에서 0.3 [m/s](대략), 후진 및 전진으로 이동한다. 이 첫 번째 단계에서 추정된 위치 오차는 y축의 경우 0.1[m], x축(peak to peak)의 경우 0.05[m]에 이르는 것을 도 7에서 볼 수 있다. 추정 속도 오차는 0.1 [m/s]를 초과하지 않고, 후반 35~80 [s] 동안 IR 비컨은 0.1m/s(약)의 속도로 (0.2, 0)와 (-0.2, 0)의 위치 사이에서 (후진 및 전진) 이동한다. peak-to-peak 오차는 추정 위치와 속도에 대해 각각 0.05 [m]와 0.05 [m/s] 범위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During the initial phase t = 0~35 [s] (see Figs. 7(a) and (b)) the IR beacon is 0.3 [m/s] (approx. ), moving backward and forward. It can be seen from FIG. 7 that the position error estimated in this first step reaches 0.1 [m] in the case of the y-axis and 0.05 [m] in the case of the x-axis (peak to peak). The estimated velocity error does not exceed 0.1 [m/s], and during the latter 35 to 80 [s], the IR beacon is positioned at (0.2, 0) and (-0.2, 0) at a velocity of 0.1 m/s (approx.) move between (reverse and forward). It can be seen that the peak-to-peak error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0.05 [m] and 0.05 [m/s] for the estimated position and velocity, respectively.

도 6 및 도 7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착륙 목표(LT)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추정치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test results of FIGS. 6 and 7 , it is found that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130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liable estimates for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landing target LT. Able to know.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는 착륙 목표(LT)의 상태 정보 즉,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9
(착륙 목표의 x축 방향에서의 위치 정보),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0
(착륙 목표의 y축 방향에서의 위치 정보),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1
(착륙 목표의 x축 방향에서의 속도 정보),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2
(착륙 목표의 y축 방향에서의 속도 정보)를 자율정밀착륙 계획부(140)에 전달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ng unit 130 provides state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LT, that i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29
(location information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landing target),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0
(position information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landing target),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1
(velocity information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landing target),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2
(speed information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landing target)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140 .

자율정밀착륙 계획부(140)는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130)에서 구한 착륙 목표(LT)의 위치(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3
) 또는 속도(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4
)를 전달 받고, 무인비행체(110)에서 측정한 x,y,z축에서의 위치정보(x,y,z)와 x,y,z축에서의 원하는 위치정보(xd,yd,zd)의 차이를 위치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자율정밀착륙 계획부(140)는 무인비행체(110)의 요 각도(yaw angle) 설정값(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5
)을 자세 제어부(170, Attitude controller)에 전달할 수 있다.The autonomous precise landing planning unit 140 determines the position ( ) of the landing target LT obtained from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130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3
) or speed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4
), position information (x, y, z) in the x, y, z axes measur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nd desired position information in the x, y, z axes (x d ,y d ,z) d )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ation control unit 150 . In addition, the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140 sets the yaw angl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5
) may be transmitted to the posture controller 170 (attitude contro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무인비행체(110)가 비행 고도를 강건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위치 제어부(150)를 구비하는데, 위치 제어부(150)는 무인비행체(110)에 작용하는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을 고려하여 무인비행체(110)의 고도를 안정적으로 또는 강건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flies by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that inevitably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landing on the landing target LT. It can be controlled to keep the altitude robustly. To this end,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cation control unit 150, the location control unit 150 taking into account the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acting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 110) can be controlled stably or robustly.

위치 제어부(150)는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의 영향을 받는 고성능 착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외란 관측기(disturbance observer)에 기초하여 강력한 고도 제어를 수행하는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that performs strong altitude control based on a disturbance observer in order to perform a high-performance landing operation that is affected by ground effects and external disturbances.

일반적으로, 쿼드콥터와 같이 로터를 구비한 무인비행체가 착륙하기 위해서 지면 또는 착륙 지점에 근접하면, 로터에 의해 발생하는 하강기류가 지면 또는 착륙 지점에 부딪혀서 무인비행체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지면 효과(ground effect)라고 한다. 외부 외란(external disturbance)은 무인비행체에 작용하는 바람 등을 의미한다.In general, wh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a rotor, such as a quadcopter, approaches the ground or landing site to land, the downdraft generated by the rotor hits the ground or landing site and affect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is is called the ground effect. External disturbance refers to wind, etc. acting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는 무인비행체(110)의 착륙시 발생하는 지면 효과와 외부 외란을 고려한 vertical translation dynamics를 [수학식 11] 및 [수학식 1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may define vertical translation dynamics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generated during the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s in [Equation 11] and [Equation 1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6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6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7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7

[수학식 11] 및 [수학식 12]에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8
는 양의 계수(positive coefficient), R은 프로펠러 반지름, Zr은 수직 거리(지면과 프로펠러 표면 사이), d는 외부 외란(느린 시간 변화에 따른 경계), u1은 z축 방향에서의 추력(thrust force)을 나타낸다.In [Equation 11] and [Equation 1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8
is the positive coefficient, R is the propeller radius, Z r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propeller surface), d is the external disturbance (boundary with slow time change), u 1 is the thrust in the z-axis direction ( thrust force).

양의 계수(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9
)는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는 양의 계수의 공칭 값(nominal value)인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0
를 사용한다.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2
에 따른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3
의 공칭 값이다.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4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5
(즉, 실제 값과 공칭 값의 차이)이다. 그러고 나면 [수학식 11]은 [수학식 13]과 같이 된다.positive coefficient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39
)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so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ominal value of the positive coefficient.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0
use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1
I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2
In accordance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3
is the nominal value of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4
I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5
(i.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alue and the nominal value). Then, [Equation 11] becomes [Equation 1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6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는 무인비행체(110)가 움직이는 착륙 목표(LT)에 정밀하게 착륙하는데 필요한 강인한 고도 제어 알고리즘을 위해 복합 외란을 고려한다. 여기서, 복합 외란(compound disturbance)은 지면 효과(ground effect)와 외부 외란(external disturbance)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 복합 외란(D)은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complex disturbances for a robust altitude control algorithm necessary for precisely landing the landing target LT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moves. Here, the compound disturbance means a sum of a ground effect and an external disturbance. The complex disturbance (D)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14].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7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7

[수학식 14]에서 d는 외부 외란이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8
는 지면 효과를 의미한다.In [Equation 14], d is an external disturbance,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8
is the ground effect.

[수학식 11]은 [수학식 15]와 같이 다시 표현될 수 있다.[Equation 11] can be expressed again as [Equation 15].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4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는 복합 외란이 있는 상태에서 무인비행체(110)의 강력한 고도 추적 제어(robust altitude tracking control)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란 관측기 기반(disturbance-observer-based)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이용할 수 있다.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disturbance observer to solve the problem of robust altitude tracking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in the presence of complex disturbance. (disturbance-observer-based) sliding mode controller is avail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의 제어 목표는 시스템 매개 변수 불확실성과 외부 외란이 모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쿼드콥터와 같은 무인비행체가 정지(stationary) 또는 이동 플랫폼(착륙 지점 고도(zd)는 시간경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강인하게 착륙하도록 제어하는 강인한 추력 제어 입력(u1)을 도출하는 것이다.The control goal of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quadcopter is stationary or mobile despite the presence of both system parameter uncertainty and external disturbance. It is to derive a robust thrust control input (u 1 ) that controls the landing robustly at (landing point altitude (z d ) can vary over time).

고도 추적 오류(altitude tracking error)는 다음 [수학식 16]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The altitude tracking error can be defined as follows [Equation 16].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0

Ez의 미분은 [수학식 17]과 같다.The differentiation of E z is as [Equation 17].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1

슬라이딩 표면(sliding surface)은 [수학식 18]과 같이 도입될 수 있다.A sliding surface may be introduced as in [Equation 18].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2

[수학식 18]에서 k1은 선택된 제어기 이득값이다. s의 미분은 [수학식 19]와 같다.In [Equation 18], k 1 is the selected controller gain value. The derivative of s is as in [Equation 1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3

[수학식 17] 및 [수학식 19]로부터 s의 미분은 [수학식 2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The derivative of s from [Equation 17] and [Equation 19]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4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4

복합 외란 식과 함께 다루기 위한 제어기를 위해, 외란 관측기는 [수학식 21]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For the controller to deal with the complex disturbance equation, the disturbance observer can be modified as [Equation 2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5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5

[수학식 21]에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6
는 D의 추정치,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7
는 양의 방향 관측기 이득 값(positive observer gain),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8
는 관측기의 보조 상태(auxiliary state of observer)를 의미한다.In [Equation 2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6
is the estimate of 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7
is the positive observer gain,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8
denotes an auxiliary state of observer.

주어진 시간 변화 고도 명령 zd의 경우, [수학식 15]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복합 외란 하에서 수직 역학(vertical dynamics)을 가지는 쿼드콥터 시스템 식을 의미하는 [수학식 2]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궁극적으로 안정적이 된다.For a given time-varying altitude command z d , [Equation 2], which means the quadcopter system equation with vertical dynamics under complex disturbance as described in [Equation 15], is ultimately becomes stable with

(1) 제어기 u1은 [수학식 22]와 같이 설계된다.(1) The controller u 1 is designed as in [Equation 2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5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0
는 [수학식 21]에서 계산된다.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0
is calculated in [Equation 21].

(2) 제어기와 관측기 이득 값은 다음 [수학식 23]을 만족한다.(2) The controller and observer gain values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2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1

증명: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2
라고 하면, 다음 [수학식 24]를 얻을 수 있다.proof: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2
, the following [Equation 24] can be obtaine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3

리아푸노프 함수 후보(Lyapunov function candidate)를 [수학식 25]와 같이 선택한다. A Lyapunov function candidate is selected as in [Equation 25].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4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4

그러면, [수학식 23]과 함께 다음과 같은 [수학식 26]을 얻을 수 있다.Then, the following [Equation 26] can be obtained together with [Equation 2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5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5

[수학식 26]에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6
이다.In [Equation 26]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6
am.

[수학식 26]은 비교 원리(comparison principle)로부터 슬라이딩 표면(sliding surface)과 외란 추정 오차(disturbance estimate error)가 궁극적으로 경계(bounded)이며, 따라서 시스템이 궁극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것은 명백하다.[Equation 26] is from the comparison principle, the sliding surface and the disturbance estimate error are ultimately bounded, so it is clear that the system is ultimately stable.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채택하고 있는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 즉,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을 고려하여 강건한 고도 제어를 수행하는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의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adopted i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that performs robust altitude control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A verification tes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8 and 9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인한 고도 제어부(Proposed RAC), 일반적인 1차 슬라이딩모드 제어기(SMC), 일반 PID 제어기(PID)에 대해서 안정성과 성능을 비교 시험한 결과이다. 도 8(a)는 고도 성능(altitude performance), 도 8(b)는 고도 추적 성능(altitude tracking performance), 도 8(c)는 수직 성능(vertical performance)을 각각 비교한 결과이다.8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robust altitude controller (Proposed RAC), the general primary sliding mode controller (SMC), and the general PID controller (P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result of comparing altitude performance, FIG. 8(b) is an altitude tracking performance, and FIG. 8(c) is a result of comparing vertical performance.

다양한 비행 시나리오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인한 고도 제어부(RAC)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다중 단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다중 단계는 (ⅰ)1단계: 초기화(initialization), (ⅱ)2단계: 이륙(take-off), (ⅲ)3단계: 정지비행(hovering), (ⅳ)4단계: 착륙(landing)으로 이루어진다.A multi-step simulation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robust altitude controller (RA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light scenarios. The multiple stages are (i) Stage 1: Initialization, (ii) Stage 2: Take-off, (iii) Stage 3: Hovering, (iv) Stage 4: Landing. is done

* 시뮬레이션 설명* Simulation Description

0<t<5[s](1단계): 무인비행체(쿼드콥터)는 초기화된다. 즉, 이륙에 대해 준비하고, 조종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상태이다. 고도, 수직 속도, 그리고 가속도는 모두 0 이고(도 8(a)~(c) 참조), 제어신호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7
은 초기 값 0에서 13.5[N]로 증가한다.0<t<5[s] (Phase 1): Unmanned aerial vehicle (quadcopter) is initialized. In other words, it is ready for takeoff and the control lock is in place. Altitude, vertical velocity, and acceleration are all zero (see Fig. 8(a)~(c)), and the control signal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7
increases from the initial value 0 to 13.5[N].

5<t<25[s](2~3단계): 무인비행체(쿼드콥터)는 요구된 고도 10[m]에 대해 이륙하고, 상승한다. 고도 반응은 2단계 비행구간동안(5<t<10[s], 도 8(a) 참조) 거의 모두 3가지 제어기에 대해 이상적이다. 10<t<25[s]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인한 고도 제어부(RAC)는 다른 제어기들에 비해 상당히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5<t<25[s] (Steps 2-3): The unmanned aerial vehicle (quadcopter) takes off and ascends to the required altitude of 10[m]. The altitude response is ideal for almost all three controllers during the second stage flight segment (5<t<10[s], see Fig. 8(a)). For 10<t<25[s], the robust altitude controller (RA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significantly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controllers.

다른 제어기가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8
후 거의 0에 가까운 작은 범위에 도달하는 동안 추적 오차는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9
의 범위로 수렴한다(도 8(b)에서 Inset 1 참조). 다른 제어기의 속도 성능은 더 큰 진폭과 약간 느리게 수렴하는 속력을 보인다(도 8(c) 참조).another controller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8
After reaching a small range close to zero, the tracking error i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69
It converges to the range of (refer to Inset 1 in FIG. 8(b)). The speed performance of the other controllers showed larger amplitudes and slightly slower convergence speeds (see Fig. 8(c)).

25<t<50[s](4단계): 무인비행체(쿼드콥터)는 현재 고도 10 [m]에서 착륙하도록 명령된다. 무인비행체가 저고도 범위로 내려갈 때, 수직 비행 성능이 지면 효과에 의해 파괴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제어 알고리즘이 적절하게 설계되지 않은 경우(즉, 충분히 강인하지 않은 경우), 지면 효과는 무인비행체의 고도 성능을 저하시키고, 심지어 파괴할 수도 있다. 도 8(b)의 Inset 2를 보면, 제어기가 부드럽게 반응하고 무인비행체가 t=34[s]에 빠르게 지상에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5<t<50[s] (Phase 4): The unmanned aerial vehicle (quadcopter) is currently ordered to land at an altitude of 10 [m]. It is a well-known fact that when an UAV descends into a low-altitude range, its vertical flight performance is destructively affected by ground effects. If the control algorithms are not properly designed (i.e. not robust enough), ground effects can degrade and even destroy an unmanned aerial vehicle's altitude performance. Looking at Inset 2 of FIG. 8(b),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ler responds smoothly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apidly reaches the ground at t=34[s].

도 8의 결과로부터, 이륙 단계에서 유사한 반응을 보인 나머지 제어기들은 무인비행체를 약 0.4m 고도까지만 낮출 수 있으며, 지면 효과로 인해 무인비행체가 해당 고도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착륙 과정을 완료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복합 외란의 추정 값이 적절한 범위에서 변화하고 특히 무인비행체가 정지비행 중일 때 신뢰성이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강인한 고도 제어부의 강력한 고도 제어 안정성과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From the result of FIG. 8, the remaining controllers that showed a similar response in the take-off phase could only low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an altitude of about 0.4 m, and the ability to complete the landing process becau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lides at that altitude due to the ground effect. You can see that it doesn't show.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strong altitude control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estimated value of the complex disturbance change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is particularly reliab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in stationary flight.

한편, 지면 효과를 고려함으로써 강력한 고도 제어가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뿐만 아니라 실제 조건에서 무인비행체의 비행 시험도 수행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strong altitude control by considering the ground effect, flight tes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real conditions as well as simulation was also performed.

비행 시험은 (ⅰ)초기화 및 수동 이륙, (ⅱ) 본 발명에 따른 강인한 고도 제어부(RAC)를 사용한 단계적 설정 지점에 대한 고도 추적(step-setpoint-altitude tracking) 및 착륙, (ⅲ) 조종 잠금장치 해제 및 마무리의 단계로 수행한다(도 9(a) 참조).Flight tests consisted of (i) initialization and manual take-off, (ii) step-setpoint-altitude tracking and landing using a robust altitude control (RA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ii) control lock. It is carried out in the steps of releasing and finishing (refer to Fig. 9(a)).

* 비행 시험 과정 설명* Description of the flight test process

(ⅰ)초기화 및 수동 이륙: 이 단계에서는 t=0에서 t=23초까지의 기간을 다룬다. 처음에는 안정화된 제어기로 평평한 표면에서 조종 잠금장치가 해제된 무인비행체가 활성화된다. 이후 수동으로 이륙하여 시스템이 2단계로 전환되기 전에 약 1.0m의 고도에 도달한다.(i) Initialization and manual take-off: This step covers the period from t=0 to t=23 seconds. Initially, the stabilized controller activat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n a flat surface. It then takes off manually and reaches an altitude of about 1.0 m before the system switches to stage two.

(ⅱ) 본 발명에 따른 강인한 고도 제어부(RAC)를 사용한 단계적 설정 지점에 대한 고도 추적(step-setpoint-altitude tracking) 및 착륙: 이 단계는 강인한 고도 제어부(RAC)가 활성화될 때 시작한다(t=23초). 이 단계의 초기 구간 t=23[s]에서 t=52[s]까지, 무인비행체(쿼드콥터)는 2.8 m의 고도 설정점을 추적하도록 명령된다(이 값은 시험 장소의 높이가 4 m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선택된다).(ii) step-setpoint-altitude tracking and landing using the robust altitude control (RA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step starts when the robust altitude control (RAC) is activated (t =23 seconds). From the initial interval t=23[s] to t=52[s] in this pha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quadcopter) is commanded to track an altitude setpoint of 2.8 m (this value is the test site height of 4 m). chosen because it is limited).

무인비행제가 6[s]후에 원하는 고도까지만 안착하는 것을 도 9(a)에서 볼 수 있다. 추적 오류가 0.03 [m]가 초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도를 유지한다(도 9(b) 참조). 추력 제어 입력 u1은 안정적이고 채터링 현상으로부터 자유롭다고 보여진다. It can be seen in FIG. 9(a)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nly settles down to the desired altitude after 6 [s]. The altitude is maintained while the tracking error does not exceed 0.03 [m] (see Fig. 9(b)). The thrust control input u 1 is seen to be stable and free from chattering.

이후 t=52에서 t=60초까지 무인비행체가 현재 위치에서 착지하도록 명령된다. 외부 외란과 지면 효과에도 불구하고 무인비행체는 부드럽게 하강하여 지면에 도달한다. 추적 오류, 수직 속도, 복합 외란 추정 및 제어 입력의 성능도 강인한 고도 제어부(RAC)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나타낸다.Then, from t=52 to t=60 seconds, the drone is commanded to land at the current location. Despite external disturbances and ground effects, the UAV descends smoothly to reach the ground. The performance of tracking error, vertical velocity, complex disturbance estimation and control input also indicates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robust altitude controller (RAC).

(ⅲ) 조종 잠금장치 해제 및 마무리: 무인비행체가 지상에 도달하여 안정화 된 후, 수동으로 비행체를 조종 잠금장치를 해체하고 비행 시험이 완료된다.(iii) Release and finish the control lock: Af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aches the ground and stabilizes, manually dismantle the control lock and the flight test is completed.

* 비행 시험 결과* Flight test results

도 8 및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비행 시험 검증과 수치적 시뮬레이션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RAC)가 기존의 PID와 1차 SMC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는 지면 효과를 포함한 복합 외란을 고려함으로써 무인비행체(쿼드콥터)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고도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에 적용되는 고도 제어 알고리즘은 설계 및 구현이 간단하며 무인비행체를 위한 광범위한 고도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S. 8 and 9 , flight test verific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RAC)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PID and primary SMC.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ltitude control performanc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quadcopter) ascends or descends by considering the complex disturbance including the ground effect. In addition, the altitude control algorithm applied to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to design and implement, and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altitude control application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위치 제어부(150)는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 뿐만 아니라, 무인비행체(110)의 x축 방향 추적제어 및 y축 방향 추적제어의 외부루프에 다중모드 제어법칙을 이용하는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3) 및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 but also the x-axis direction tracking control and y-axis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The outer loop of the direction tracking control may include an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3 and a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5 using a multi-mode control rule.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에는 무인비행체(110)에서 출력된 z축 방향의 위치(고도값, z)와 원하는 z축 방향의 위치(고도 설정값; design value of altitude, zd)의 차이가 입력되고,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3)에는 무인비행체(110)에서 출력된 x축 방향의 위치(x)와 원하는 x축 방향의 위치(xd)의 차이가 입력되며,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5)에는 무인비행체(110)에서 출력된 y축 방향의 위치(y)와 원하는 y축 방향의 위치(yd)의 차이가 입력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altitude value, z) in the z-axis direction output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nd the desired position in the z-axis direction (altitude setting value; design value of altitude, z d ) is input to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x) in the x-axis direction output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nd the desired position (x d ) in the x-axis direction is input to the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3, and the y-axis direction multi-mode is input. A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y in the y-axis direction output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nd the desired position y d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55 .

상기한 바와 같이,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3) 및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5)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부(150)는 외부 루프와 내부 루프로 구성된 새로운 경로 추적 제어(TTC; Trajectory Tracking Control)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위치 제어부(150)는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3) 및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5)를 구비하기 때문에 내부 루프가 PID 제어기인 동안 외부 루프를 다중 모드(즉, 비선형 및 선형 모드) 제어 법칙으로 도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including the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3 and the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5 is a new trajectory tracking control (TTC) composed of an outer loop and an inner loop. ) algorithm can be provided. That is, since 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includes the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3 and the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5, the outer loop operates in multiple modes (ie, non-linear and linear modes) while the inner loop is a PID controller. ) can be derived from the control law.

자율 정밀 착륙 계획부(140)에서 출력되는 xd 및 yd는 원하는 위치를 나타내도록 하고, vx 및 vy 는 무인비행체의 수평 속도를 나타내도록 한다. 각 수평축을 따라 발생하는 위치 추적 오차(position tracking error)는 [수학식 27]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x d and y d output from the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140 are to indicate a desired position, and v x and v y are to indicate the horizontal spee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position tracking error occurring along each horizontal axis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27].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0

위치 추적 오차 exy는 [수학식 28]과 같이 정의된다.The position tracking error e xy is defined as [Equation 28].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1

ex 및 ey의 미분값은 [수학식 29]와 같다.The differential values of e x and e y are as in [Equation 2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2

이하에서는 x축 방향 추적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로, y축 방향 추적 제어를 위한 접근도 동일하다.Hereinafter, the x-axis direction tracking control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the approach for tracking control in the y-axis direction is the same.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3)의 외부 루프에 대해 [수학식 30]과 같이 다중모드 제어법칙이 적용될 수 있다. A multi-mode control rul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loop of the multi-mode control unit 153 in the x-axis direction as shown in [Equation 30].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3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3

[수학식 30]에서 amax는 무인비행체에 요구되는 최대 가속도를 나타내는 양의 상수, dl은 직선(Δ)에서의 양의 상수,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4
가 곡선(S)에 접선이 되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5
, k, e0는 양의 상수,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6
는 속도 기준으로 도 10의 내부 루프(inner loop)로 공급될 제어 작용(control action)이다.In [Equation 30], a max is a positive constant representing the maximum acceleration required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l is a positive constant in a straight line (Δ),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4
becomes a tangent to the curve (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5
, k, e 0 are positive constant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6
is a control action to be supplied to the inner loop of FIG. 10 on a speed basis.

도 10은 쿼드콥터인 무인비행체의 다중 루프 TTC 체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의 다중모드 제어부(153,155)는 PID 제어기가 내부 루프에서 사용되는 동안 외부 루프에서 구현될 수 있다. 10 is a diagram showing a multi-loop TTC syste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is a quadcopter, and the multi-mode controllers 153 and 155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outer loop while the PID controller is used in the inner loop. .

도 11은 곡선(파란색), 선(녹색) 및 이들의 관계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11에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7
에 해당하는 [수학식 30]에서 ex의 함수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8
를 나타낸다.11 is a graph of a curve (blue), a line (green) and their relationship. 11 in Fig.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7
As a function of e x in [Equation 30] corresponding to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8
indicate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9
에 대해, 도 11에서 곡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0
)와 직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1
)사이 관계식의 어떤 변화 없이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2
축에 따라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3
의 양이 이동한다.
Figure 112021037661167-pat00079
For , the curve in FIG. 11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0
) and a straight lin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1
) without any change in the relation between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2
along the axi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3
amount of moving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4
에서 직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5
)이 곡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6
)과 접선이 되려면 다음 [수학식 31]이 충족되어야 한다.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4
straight lin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5
) this curv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6
) and the tangent, the following [Equation 31] must be satisfie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7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7

[수학식 31]을 조작하여 다시 쓰면 [수학식 32]가 된다.If [Equation 31] is manipulated and written again, [Equation 32] becomes [Equation 3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8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8

매개 변수가 [수학식 32]를 만족하는 [수학식 30]으로 설계된 경우 무인비행체의 시스템([수학식 2])은 점근적으로(asymptotically) 안정적이고 추적 오류는 0으로 강제 설정될 수 있다.If the parameter is designed as [Equation 30] that satisfies [Equation 32], the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Equation 2]) is asymptotically stable, and the tracking error can be forced to zero.

다음 [수학식 33]과 같이 리아푸노프 함수 후보를 선택한다.A Lyapunov function candidate is selected as shown in Equation 33 below.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9
Figure 112021037661167-pat00089

이것은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0
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아래의 [수학식 34]를 얻을 수 있다.this is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0
it is clear that Therefore, the following [Equation 34] can be obtaine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1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1

[수학식 29]를 수학식 34]에 대입하고 제어 법칙을 [수학식 30]으로 선택하면 아래의 [수학식 35]를 얻을 수 있다.By substituting [Equation 29] into [Equation 34] and selecting the control law as [Equation 30], the following [Equation 35] can be obtained.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2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2

추적오차 ex가 t→∞일 때 0으로 수렴한다는 의미로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3
을 가진다.This means that the tracking error e x converges to 0 when t →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3
have

ex<-dl 또는 ex>dl 경우, 제어기는 곡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4
)을 따라가는 제어 행동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곡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5
)의 기울기는 직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6
)의 기울기보다 작기 때문에 가속도가 제한되며, 결과적으로 오버슈트와 무인비행체 절크(vehicle jerks)가 더 적게 발생한다. 반면에, -dl≤ex≤dl 일 때, 제어 동작은 더 높은 경사를 가진 직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7
)선을 따른다. 이렇게 하면 추적 오류가 신속하고 강력한 방식으로 0으로 수렴하게 된다.If e x <-d l or e x >d l , the controller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4
) to generate a control action that follows In this case, the curv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5
) is the slope of the straight lin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6
), the acceleration is limited, resulting in fewer overshoots and less vehicle jerks. On the other hand, when -d l ≤e x ≤d l , the control action is a straight line with a higher slop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7
) along the line. This ensures that the tracking error converges to zero in a fast and robust manner.

-dl≤ex≤dl 일 때, 제안된 제어기는 Proportional-PID (P-PID) 제어 체계가 되며, 이는 매개 변수를 기존의 PID 튜닝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ex = -dl 또는 ex = dl에서 직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8
)은 곡선(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9
)에 접하는 부분이 되며, 가속도와 속도 모두에 대해 제어기가 제어 모드(비선형 모드와 선형 모드 사이)를 전환할 때 부드러운 전환이 발생하게 된다.When -d l ≤e x ≤d l , the proposed controller becomes a Proportional-PID (P-PID) control scheme, which shows that the parameter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existing PID tuning process. Furthermore, e x = -d l or e x = d l in a straight lin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8
) is the curv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099
), a smooth transition occurs when the controller switches control modes (between non-linear and linear modes) for both acceleration and velocity.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제어부(150)는 무인비행체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PID 제어기를 포함하고 무인비행체의 최대 가속 및 감속을 규정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PI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stu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ay define maximum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본 출원인은 비행 시험 검증과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위치 제어부(150)가 기존의 PID 제어기 보다 훨씬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위치 제어부(150)는 기존의 PID 접근 방식의 장점을 이용하면서도 동시에 기존 PID 방식의 단점들 중 일부를 해결할 수 있다. 기존의 PID 제어는 PID 제어기의 고정 이득 값(fixed gain)은 더 넓은 운영 범위에서 시스템 성능을 제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작동 범위가 클 경우 시스템의 비선형성(nonlinearities)을 제대로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PID 제어기는 불안정하기가 쉽고, 선형 모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쿼드콥터와 같은 비선형 시스템에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복잡하거나 상당한 computational resource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The applicant has confirmed that 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PID controller through flight test verific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The location control unit 150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can solve some of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PID method while us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PID approach. The conventional PID control has a disadvantage that the fixed gain of the PID controller limits system performance in a wider operating range. In addition, when the required operating range is large, conventional PID controllers are prone to instability because they cannot properly handle the nonlinearities of the system, and because they are based on linear models, their performance will be degraded in nonlinear systems such as quadcopters.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requires complex or significant computational resources.

기존 PID 제어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위치 제어부(150)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TTC 알고리즘은 무인비행체가 이동을 시작할 때 부드러운 시스템 응답(smooth system response)을 보장하고, 추적 오류가 작아질 때 빠른 목표물 접근 속도(fast target approaching speed)를 보장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정밀 착륙, 장애물 회피, 높은 건물에 대한 자율 배송(Autonomous delivery) 등 정확도가 높고 원활한 수행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Compared with the existing PID control, the new TTC algorithm proposed by the position control unit 150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arantees a smooth system respons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arts moving and , guarantees fast target approaching speed when tracking errors are smal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ful for performing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3) 및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155)는 각각 x축 방향 제어 출력(Tx; output of control of x-axis) 및 y축 방향 제어 출력(Ty; output of control of y-axis)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3 and the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155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receive an x-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T x ). ; output of control of x-axis) and y-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T y ; output of control of y-axis) can be output.

x축 방향 제어 출력(Tx) 및 y축 방향 제어 출력(Ty)은 변환부(160)에 입력될 수 있다. 변환부(160)는 제어 신호(T; Tx, Ty)를 자세 설정포인트(attitude setpoints)로 변환하여 롤 각도 설정값(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0
; design value of roll angle) 및 피치 각도 설정값(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1
; design value of pitch angle)을 출력할 수 있다.The x-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T x and the y-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T y may be input to the converter 160 . The conversion unit 160 converts the control signal (T; T x , T y ) into attitude setpoints to set the roll angle setting valu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0
; design value of roll angle) and pitch angle setting valu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1
; design value of pitch angle) can be output.

변환부(160)에서 나온 롤 각도 설정값(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2
) 및 피치 각도 설정값(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3
)과 무인비행체(110)에서 센싱된 롤 각도(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4
; roll angle from sensor) 및 피치 각도(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5
; pitch angle from sensor)의 차이, 자율 정밀 착륙 계획부(140)에서 출력된 무인비행체(110)의 요 각도 설정값(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6
; design value of yaw angle)과 무인비행체(110)에서 센싱된 요 각도(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7
; yaw angle from sensor)의 차이는 자세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The roll angle setting valu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2
) and pitch angle settings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3
) and the roll angle sens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4
; roll angle from sensor) and pitch angle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5
; pitch angle from sensor), the yaw angle setting valu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output from the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140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6
; design value of yaw angle) and the yaw angle sens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
Figure 112021037661167-pat00107
; yaw angle from sensor) may be input to the posture controller 170 .

자세 제어부(170)는 PID 제어를 이용하여 무인비행체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 제어부(170)는 롤 각도, 피치 각도 및 요 각도를 이용하여 롤 제어 입력(u2; roll control input), 피치 제어 입력(u3; pitch control input) 및 요 제어 입력(u4; yaw control input)을 출력할 수 있다.The attitud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attitu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using the PID control. The posture control unit 170 uses a roll angle, a pitch angle, and a yaw angle to provide a roll control input (u 2 ; roll control input), a pitch control input (u 3 ; pitch control input), and a yaw control input (u 4 ; yaw control). input) can be output.

한편, 강인한 고도 제어부(151)는 [수학식 22]로 표현되는 추력 제어 입력(u1; thrust control input)을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bust altitude control unit 151 may output a thrust control input (u 1 ; thrust control input) expressed by [Equation 2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추력 제어 입력(u1), 롤 제어 입력(u2), 피치 제어 입력(u3) 및 요 제어 입력(u4)을 무인비행체(110)에 입력함으로써,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이는 착륙 목표(LT)를 무인비행체(110)가 추적하여 정확하게 착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강건한 고도 제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ust control input (u 1 ), a roll control input (u 2 ), a pitch control input (u 3 ) and a yaw control input (u 4 ). By inputting in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o track and accurately land the landing target (LT) moving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it is robust because both ground effects and external disturbances are considered in the process. It can exhibit high-altitude control performance.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을 사용한 무인비행체(110)의 자율 착륙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metho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using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영역을 향해서 수평으로 비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1110). 여기서, 착륙 영역은 착륙 목표(LT)가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착륙 영역에 착륙 목표(LT)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1120)가 수행되는데, 무인비행체(110)는 촬영부(120)를 이용하여 착륙 목표(LT)가 보이는지 판단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2 , the step of horizontally fly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oward the landing area is performed ( 1110 ). Here, the landing area means an area in which the landing target LT is located. A step 1120 of confirming whether the landing target LT exists in the landing area is performed,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determines whether the landing target LT is visible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120 .

착륙 목표가 보이면,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를 향해 수평으로 비행하는 단계(1130)가 수행된다. 착륙 목표가 보이지 않으면, 착륙 목표(LT)를 탐색하기 위해서 최대 탐색을 시도했는지 판단하는 단계(1210)가 수행된다.When the landing target is seen, a step 1130 of horizontally fly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oward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If the landing target is not visible, a step 12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maximum search is attempted to search for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를 향해 수평으로 비행한(1130) 다음에는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에 수평적으로 근접했는지 판단하는 단계(1140)가 수행된다.Af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flies horizontally toward the landing target LT ( 1130 ), a step 11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horizontally approaches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 1140 ).

착륙 목표(LT)에 수평으로 근접한 경우에는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 위로 하강하는 단계(1150)가 수행되고, 착륙 목표(LT)에 수평으로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130이 다시 수행된다.If the landing target LT is horizontally approached, step 115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descending above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and if it is not horizontally close to the landing target LT, step 1130 is again is carried out

착륙 목표(LT) 위로 하강한(1150) 다음에는 착륙 목표(LT)에 무인비행체(110)가 착륙했는지 판단하는 단계(1190)가 수행되거나, 착륙 목표(LT)의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160)가 수행된다.After descending 1150 above the landing target LT, a step 1190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has landed on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or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landing target LT is lost ( 1160) is performed.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를 잃어버린 경우에는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에 수직으로 근접했는지 판단하는 단계(1170)가 수행되고, 착륙 목표(LT)를 잃어버리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140을 다시 수행한다.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loses the landing target LT, a step 1170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vertically approaches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and the landing target LT is not lost. In this case, step 1140 is performed again.

여기서, 단계 1130 이후에 단계 1160이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 1150 이후에 단계 1160이 수행될 수도 있다.Here, step 1160 may be performed after step 1130, and step 1160 may be performed after step 1150.

단계 1170의 결과,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에 수직으로 근접한 경우에는 착륙 목표(LT)에 최종적으로 접근하는 단계(1180)가 수행되고, 수직으로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10이 다시 수행된다.As a result of step 1170,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vertically approaches the landing target LT, the final approaching step 1180 is performed, and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does not vertically approach the landing target LT, step 1210 is performed. is done again

단계 1180 이후에는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에 착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190)가 수행된다. 단계 1190의 결과,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에 착륙한 경우에는 착륙이 완료되고(1300) 착륙 절차가 종료된다. After step 1180, a step 1190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has landed on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As a result of step 1190 ,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lands on the landing target LT, the landing is completed ( 1300 ) and the landing procedure is terminated.

한편, 단계 1210의 결과, 최대 탐색을 한 경우에는 무인비행체(110)가 현재 위치에 착륙하는 단계(1240)가 수행되고, 최대 탐색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인비행체(110)가 탐색 고도까지 상승하는 단계(1220)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step 1210, when the maximum search is performed, the step 1240 of land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at the current loca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maximum search is not performe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rises to the search altitude. Step 1220 is performed.

탐색 고도까지 무인비행체(110)가 상승한(1220) 다음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를 확인했는지 판단하는 단계(1230)가 수행된다.Af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rises to the search altitude ( 1220 ), a step 1230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confirms the landing target LT is performed.

단계 1230의 결과, 착륙 목표(LT)가 보이면 단계 1130이 수행되고, 보이지 않으면 단계 1240이 수행된다.As a result of step 1230, if the landing target LT is visible, step 1130 is performed, and if not, step 1240 is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100)은, 착륙 목표(LT)가 수직으로 움직이거나 수평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강인한 고도제어 알고리즘과 착륙 목표 추적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무인비행체(110)가 착륙 목표(LT)에 정밀하게 자율적으로 착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100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ust altitude control algorithm and a landing target tracking control algorithm even when the landing target LT moves vertically or horizontally. can be used to control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10 to precisely and autonomously land on the landing target L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se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110: 무인비행체 120: 촬영부
130: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 140: 자율 정밀 착륙 계획부
150: 위치 제어부 151: 강인한 고도 제어부
160: 변환부 170: 자세 제어부
100: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unmanned aerial vehicle
110: unmanned aerial vehicle 120: photographing unit
130: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140: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150: position control 151: strong altitude control
160: conversion unit 170: posture control unit

Claims (11)

무인비행체;
상기 무인비행체에 마련되어 착륙 목표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얻은 착륙 목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대한 상기 착륙 목표의 위치 또는 속도 정보를 구하는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
상기 착륙 목표에 대한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 또는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 및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에서 구한 상기 착륙 목표의 위치 또는 속도가 입력되고, x,y,z축에서의 원하는 위치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위치 제어부에 전달하는 자율정밀착륙 계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 목표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는 상기 촬영부에 얻은 착륙 목표의 이미지에 기하학적 광학 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동체 고정 좌표 상에서의 상기 착륙 목표의 로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unmanned aerial vehicles;
a photographing unit provi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photograph a landing target;
a landing target state estimator for analyzing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to obtain location or speed information of the landing targe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pos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ltitude or posi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respect to the landing target; and
An autonomous precise landing planning unit that receives the position or speed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from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on unit, outputs desire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x, y, and z axes, and transmits it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The landing target moves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ng unit applies geometric optical analysis to the image of the landing target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unit to determine the raw position of the landing target on the fixed coordinates of the fuselag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목표 상태 추정부는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대한 상기 착륙 목표의 상대 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ding target state estimating unit estimates the relative speed of the landing target with respec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applying a Kalman fil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무인비행체에 작용하는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을 고려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osition control unit is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acting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지면 효과 및 외부 외란의 영향을 받는 고성능 착륙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외란 관측기에 기초하여 고도 제어를 수행하는 고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osition control unit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titude control unit that performs altitude control based on the disturbance observer in order to perform a high-performance landing operation that is affected by the ground effect and external disturb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 제어부는 지면 효과를 포함하는 복합 외란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인비행체의 고도 추적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외란 관측기 기반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titude controller uses a disturbance observer-based sliding mode controller to perform altitude tracking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a state where there is a complex disturbance including a ground effe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내부 루프 및 외부 루프로 구성되며, 내부 루프는 PID 제어기를 이용하고 외부 루프는 다중 모드 제어 법칙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osition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n inner loop and an outer loop, the inner loop uses a PID controller and the outer loop uses a multi-mode control r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무인비행체의 x축 방향 추적제어 및 y축 방향 추적제어의 외부루프에 다중모드 제어법칙을 이용하는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 및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sition control unit comprises an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and a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using a multi-mode control rule in an outer loop of the x-axis direction tracking control and y-axis direction tracking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x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 및 상기 y축 방향 다중모드 제어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x축 방향 제어 출력 및 y축 방향 제어 출력을 입력 받고, 상기 무인비행체의 롤 각도 설정값 및 피치 각도 설정값을 출력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receiving the x-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and the y-axis direction control output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x-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and the y-axis direction multi-mod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roll angle setting value and the pitch angle setting valu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rs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 각도 설정값 및 상기 피치 각도 설정값과 상기 무인비행체에서 센싱된 롤 각도 및 피치 각도의 차이, 상기 자율 정밀 착륙 계획부에서 출력된 상기 무인비행체의 요 각도 설정값과 상기 무인비행체에서 센싱된 요 각도의 차이를 입력 받고, 롤 제어 입력, 피치 제어 입력 및 요 제어 입력을 출력하여 상기 무인비행체에 전달하는 자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ll angle setting value and the pitch angle setting value and the roll angle and the pitch angle sens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yaw angle setting valu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utput from the autonomous precision landing planning unit,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ensed An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n attitude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difference in yaw angle, outputs a roll control input, a pitch control input, and a yaw control input, and transmits the outpu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 제어부는 추력 제어 입력을 상기 무인비행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체의 자율 착륙 제어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utonomous landing control syste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titude control unit transmits a thrust control inpu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210041627A 2021-03-31 2021-03-31 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307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27A KR102307584B1 (en) 2021-03-31 2021-03-31 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27A KR102307584B1 (en) 2021-03-31 2021-03-31 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584B1 true KR102307584B1 (en) 2021-09-30

Family

ID=7792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627A KR102307584B1 (en) 2021-03-31 2021-03-31 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58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3578A (en) * 2023-07-18 2023-08-25 北京航空航天大学 Multimode unified control method for microminiature tailstock unmanned aerial vehicle
CN117014078A (en) * 2023-10-07 2023-11-07 武汉能钠智能装备技术股份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signal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system
WO2024043459A1 (en) * 2022-08-26 2024-02-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nomous landing method for drone using object recognition and camera angle control
KR20240028320A (en) 2022-08-24 2024-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age based preci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landing of drones
WO2024096691A1 (en) * 2022-11-04 2024-05-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gps coordinates of multiple target objects and tracking target objects on basis of camera image information about unmanned aerial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72B1 (en) * 2016-01-19 2016-07-08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photograpy system for multi-aspect photographing of a moving targe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therefor
KR20190077704A (en) * 2017-12-26 2019-07-0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landing of rotor type unmanned areial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72B1 (en) * 2016-01-19 2016-07-08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photograpy system for multi-aspect photographing of a moving targe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therefor
KR20190077704A (en) * 2017-12-26 2019-07-0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landing of rotor type unmanned areial vehicle
KR102014869B1 (en) 2017-12-26 2019-08-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landing of rotor type unmanned areial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320A (en) 2022-08-24 2024-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age based preci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landing of drones
WO2024043459A1 (en) * 2022-08-26 2024-02-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nomous landing method for drone using object recognition and camera angle control
WO2024096691A1 (en) * 2022-11-04 2024-05-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gps coordinates of multiple target objects and tracking target objects on basis of camera image information about unmanned aerial vehicle
CN116643578A (en) * 2023-07-18 2023-08-25 北京航空航天大学 Multimode unified control method for microminiature tailstock unmanned aerial vehicle
CN116643578B (en) * 2023-07-18 2023-11-17 北京航空航天大学 Multimode unified control method for microminiature tailstock unmanned aerial vehicle
CN117014078A (en) * 2023-10-07 2023-11-07 武汉能钠智能装备技术股份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signal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system
CN117014078B (en) * 2023-10-07 2023-12-26 武汉能钠智能装备技术股份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signal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584B1 (en) System for autonomous landing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Sa et al. System identification, estimation and control for a cost effective open-source quadcopter
Lungu Backstepping and dynamic inversion combined controller for auto-landing of fixed wing UAVs
Muskardin et al. A novel landing system to increase payload capacity and operational availability of high altitude long endurance UAVs
Li et al. A vision-guided autonomous quadrotor in an air-ground multi-robot system
Zhang et al. Dynamic image-based output feedback control for visual servoing of multirotors
Jung et al. A trajectory-tracking controller design using l 1 adaptive control for multi-rotor uavs
CN111650963A (en) Visual cluster formation control method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11880573A (en) Four-rotor autonomous navigation method based on visual inertial navigation fusion
Notter et al. Modelling, simulation and flight test of a model predictive controlled multirotor with heavy slung load
Shang et al. Fractional order robust visual servoing control of a quadrotor UAV with larger sampling period
KR1022883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ecision landing of unmmaned aerial vehicle
CN107608366B (en) Multi-wing umbrella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based on event trigger
Schopferer et al. Path planning for unmanned fixed-wing aircraft in uncertain wind conditions using trochoids
CN113485406B (en)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longitudinal position speed control system based on total energy control
Katigbak et al. Autonomous trajectory tracking of a quadrotor UAV using PID controller
Takahashi et al. Development and flight testing of a flight control law for autonomous operations research on the RASCAL JUH-60A
Pestana et al. A general purpose configurable navigation controller for micro aerial multirotor vehicles
Mueller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vision-based quadrotor guidance
Crocoll et al. Quadrotor inertial navigation aided by a vehicle dynamics model with in-flight parameter estimation
Al-Radaideh et al. ARF60 AUS-UAV modeling, system identification, guidance and control: Validation through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Bekar et al. High fidelity progressive reinforcement learning for agile maneuvering UAVs
Le Bras et al. Adaptive filtering and image based visual servo control of a ducted fan flying robot
Kim et al. Vision‐assisted deep stall landing for a fixed‐wing UAV
KR102307316B1 (en) System for verifying autonomous precise land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