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407B1 -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407B1
KR102307407B1 KR1020210009752A KR20210009752A KR102307407B1 KR 102307407 B1 KR102307407 B1 KR 102307407B1 KR 1020210009752 A KR1020210009752 A KR 1020210009752A KR 20210009752 A KR20210009752 A KR 20210009752A KR 102307407 B1 KR102307407 B1 KR 10230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terminal
inspection
unit
au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김주태
Original Assignee
이종훈
김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김주태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21000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로부터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검사 자료를 수신하고, 고위험 영업점의 위험거래 패턴을 분석한 AI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상기 검사 자료를 분석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언택트 감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UNTACT AUDITING AND UNTACT AUDITING SYSTEM}
본 발명은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위험 영업점 및 위험거래 패턴을 학습한 AI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업점에서의 거래 내역 중 유의 거래 내역을 필터링하고, 유의 거래 내역에 대한 언택트 기반의 검사를 실시하는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융과 관련된 업종에서는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리스크를 종합 관리함으로써 경영의 안전성과 건정성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 상시감사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상시감사시스템은 금융관련 업무집행 상황과 재산상황 등을 포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감사하기 위해 별도의 감사전담기관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 감사전담기관의 검사역이 감사를 전담하고 있다. 감사전담기관의 내부조직은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기획반, 정기감사 업무만을 전담하는 감사반, 특별감사 및 전산상시감사를 전담하는 검사부로 구분하여 편성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이 상시감사시스템은 경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미리 방지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갈수록 지능화되고 대형화되고 있는 금융사고를 사전 예방함과 아울러 리스크를 조기 발견하여 이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각종 금융사고의 유발심리를 사전에 차단시키기 위해 상시감사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이 리스크에는 신용리스크, 유동성리스크, 시장리스크, 운영리스크 등 부문별 부서별로 각각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의 관리가 각각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상시감사시스템에 있어,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된 감사항목을 거래에 종류 및 특성에 판단하여 추출한 항목에 대해 검사역이 리스크 여부를 감사하기 위해서는 각 항목별로 리스크 여부를 일일이 감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이는 거래에 종류 및 특성에 대한 단순 리포트성 데이터 만을 제공하여 준다 즉, 다양한 항목으로 이루어진 감사항목간의 연계성 여부를 파악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AI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고위험 거래내역을 우선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언택트 방식의 네트워크 감사 공간을 제공하는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언택트 감사를 위한 밀폐 공간인 언택트 검사 부스를 포함하는 언택트 감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음성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언택트 감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시스템은,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로부터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검사 자료를 수신하고, 고위험 영업점의 위험거래 패턴을 분석한 AI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상기 검사 자료를 분석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에서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검사 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내역 중 기 설정된 정상 거래내역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거래내역을 점검대상 거래내역으로 추출하고,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부터 감사결과보고서를 수신하고, 상기 감사결과보고서에서 고위험 거래로 분류되는 거래내역을 학습 데이터로 추출하고, 추출한 학습 데이터를 Word2vec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여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하고, 상기 신경망에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기준 벡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신경망에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입력하여 점검대상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점검대상 거래내역 벡터값을 추출하고, 기준 벡터값과 점검대상 거래내역 벡터값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산출되는 경우, 해당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유의 거래내역으로 추출하며, 추출한 유의 거래내역을 검사역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 송신하는 검사 자료 추출부; 상기 유의 거래내역에 대한 영업점과 검사역 간의 언택트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화상 인터뷰 공간을 제공하는 언택트 검사부; 및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 언택트 검사에 대한 검사결과보고서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검사결과보고서를 이용하여 상기 신경망을 재 구축하는 사후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폐쇄된 환경을 구축하는 언택트 검사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택트 검사 부스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에 마련되되, 일측벽에 맞닿도록 매치되어 마련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과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공간을 제공하는 의자; 및 상기 테이블이 맞닿아 배치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보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데이터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며, 상부에 후크 형태의 고리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형성하는 스크린부;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설치 브라켓;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 브라켓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부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리부 및 상기 걸림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설치 브라켓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 브라켓; 및 소정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설치 브라켓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에 마련되는 상기 스크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커버부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에서 좌측 및 우측 부분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랙 기어부; 상기 설치 브라켓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 하우징에 내장되어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랙 기어부와 각각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랙 기어부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며 오목하게 파인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회전 축 부; 상기 회전 축 부의 둘레에 삽입되는 커버 기둥 및 상기 커버 기둥을 상기 설치 브라켓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는 커버 기둥 설치 프레임을 포함하는 회전 축 하우징; 및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 부의 둘레에 삽입되며, 일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 기둥에 삽입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부로 상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회전 축 부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축 부로부터 풀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크린부로 하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회전 축 부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축 부에 감기도록 마련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은,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이 설치되는 상판 부분을 관통하는 장홀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상판 부분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장홀을 중심으로 하여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 전달하는 음성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 모듈은, 상기 테이블의 상판 부분의 저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전면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 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되어 형성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하고,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후면 패널의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측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 상기 후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의 바닥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 모듈은,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이크부; 및 상기 마이크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측면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상기 측면 패널과 나란히 배치되어 시소와 같은 형태로 설치되고, 양 끝단이 각각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누르는 힘이 가해져 상기 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는 경우,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헤드가 구비된 타측이 상기 후면 개구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장홀을 통과하여 상기 테이블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일측에 누르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타측이 상기 장홀 및 상기 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되, 상기 스토퍼에 의해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닥 패널에 설치되되, 상기 바닥 패널에 상기 마이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설치되는 설치 블록;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설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설치 블록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설치 블록을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 블록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바닥 패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막아 상기 마이크의 이동 경로를 폐쇄하는 단속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I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고위험 거래내역을 우선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사의 효율성 증대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언택트 방식의 감사 및 AI 예측모델을 통한 상시형 감사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금융사고 예방 및 조기 적발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검사역 또는 영업점의 감사 담당 직원이 입출력 단말을 통한 언택트 감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성 입력 모듈은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도모함은 물론 평상시에는 테이블의 저면에 내장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을 전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검사 부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출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테이블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모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고정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시스템(1000)은 입출력 단말(100) 및 서버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단말(100)은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일예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단말(100)은 감사 대상인 영업점에서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또는, 검사역이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입출력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플랫폼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플랫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에 따른 일련의 감사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입출력 단말(100)은 언택트 감사 플랫폼을 통해 영업점 또는 검사역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감사 정보들을 입력받거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에 따른 감사 결과를 영업점 또는 검사역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플랫폼의 운영 서버일 수 있으며, 입출력 단말(1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입출력 단말(100)과 감사 정보, 감사 결과 등의 플랫폼 운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에 따른 일련의 감사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을 전개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은 기존의 현장 검사 프로세스에 기반한 감사 방법으로, AI 예측모형을 이용한 사전검사 자동점검 단계, 언택트 검사 단계 및 예측 모형 결과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은, 감사 대상 영업점에서의 정상 거래내역을 자동 필터링 한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추출하고, 고위험 영업점의 위험거래 패턴을 분석한 AI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점검대상 거래내역에서 고위험거래로 예측되는 유의 거래내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업점에 배치된 입출력 단말(100)과 검사역이 사용하는 입출력 단말(10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화상 인터뷰를 통해 유의 거래내역에 대한 점검 및 언택트 감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언택트 감사에서는 해당 영업점의 BPR/PPR 연계, 원장조회 및 계좌추적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언택트 감사에서 현장 방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검사역의 요청에 따른 기존의 현장 검사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언택트 감사가 완료되는 경우, 검사역은 입출력 단말(100)을 이용한 감사결과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언택트 감사 결과를 반영하여 AI 예측모형의 데이터 피드백이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는 검사 자료 추출부(210), 언택트 검사부(230) 및 사후 관리부(250)를 포함하여 도 2 및 도 3에 따른 언택트 감사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복수의 영업점 서버에 접속하여, 각 영업점 서버로부터 각 영업점의 검사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사 자료에는 영업점의 공통, 수/여신, 카드 등의 거래내역이 포함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검사 자료에서 정상 거래내역을 자동 필터링 한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거래내역의 항목 별로 정상 거래내역의 기준을 설정하고, 검사 자료 중 정상 거래내역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거래내역을 점검대상 거래내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고위험 영업점의 위험거래 패턴을 분석한 AI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점검대상 거래내역에서 고위험거래로 예측되는 유의 거래내역을 추출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고위험 영업점의 위험거래 패턴을 수집하여 AI 예측모형을 구축할 수 있으며, AI 예측모형에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입력하여 고위험거래로 예측되는 유의 거래내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감사결과보고서에서 고위험 위험거래로 분류된 거래내역을 학습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학습 데이터에서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Word2Ve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에 대한 문장의 문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Word2Vec 알고리즘은 신경망 언어 모델(NNLM :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언어 모델은 기본적으로 Input Layer, Projection Layer, Hidden Layer, Output Layer로 이루어진 Neural Network이다. 신경망 언어 모델은 단어를 벡터화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것이다. 신경망 언어 모델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Word2vec 알고리즘은,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것으로, 각 단어 간의 앞, 뒤 관계를 보고 근접도를 정하는 알고리즘이다. Word2vec 알고리즘은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이다. Word2vec 알고리즘은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어의 의미를 벡터형태로 표현하는 계량기법일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각 단어를 200차원 정도의 공간에서 백터로 표현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각 단어마다 단어에 해당하는 벡터를 구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종래의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비약적인 정밀도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Word2vec은 입력한 말뭉치의 문장에 있는 단어와 인접 단어의 관계를 이용해 단어의 의미를 학습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인공 신경망에 근거한 것으로, 같은 맥락을 지닌 단어는 가까운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Word2vec 알고리즘은 텍스트 문서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며, 한 단어에 대해 근처(전후 5 내지 10 단어 정도)에 출현하는 다른 단어들을 관련 단어로서 인공 신경망에 학습시킨다. 연관된 의미의 단어들은 문서상에서 가까운 곳에 출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학습을 반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두 단어는 점차 가까운 벡터를 지닐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의 학습 방법은 CBOW(Continuous Bag Of Words) 방식과 skip-gram 방식이 있다. CBOW 방식은 주변 단어가 만드는 맥락을 이용해 타겟 단어를 예측하는 것이다. skip-gram 방식은 한 단어를 기준으로 주변에 올 수 있는 단어를 예측하는 것이다.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는 skip-gram 방식이 더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kip-gram 방식을 이용한 Word2vec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예컨대, Word2vec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이 잘 완료되면, 고차원 공간에서 비슷한 단어는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Word2vec 알고리즘에 따르면 학습 문서 내 주위 단어의 분포가 가까운 단어일수록 산출되는 벡터값은 유사해질 수 있으며, 산출된 벡터값이 비슷한 단어는 유사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벡터값 계산과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학습 데이터를 Word2vec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여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상기 신경망에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기준 벡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상기 신경망에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입력하여 점검대상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점검대상 거래내역 벡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기준 벡터값과 점검대상 거래내역 벡터값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산출되는 경우, 해당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유의 거래내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사도 산출 방법에는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타니모토 계수(Tanimoto coeffieient) 등이 채택될 수 있다.
검사 자료 추출부(210)는 추출한 유의 거래내역을 검사역이 확인할 수 있도록 입출력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언택트 검사부(230)는 검사 자료 추출부(210)에서 추출한 유의 거래내역에 대하여 영업점과 검사역 간의 언택트 검사를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택트 검사부(230)는 영업점에 배치된 입출력 단말(100)과 검사역이 사용하는 입출력 단말(10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화상 인터뷰 공간을 제공하여, 유의 거래내역에 대한 점검 및 언택트 감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언택트 감사에서는 해당 영업점의 BPR/PPR 연계, 원장조회 및 계좌추적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후 관리부(250)는 검사역이 사용하는 입출력 단말(100)로부터 언택트 검사에 대한 검사결과보고서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검사결과보고서를 반영하여 상기 신경망을 재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시스템(1000)은 AI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고위험 거래내역을 우선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사의 효율성 증대를 도모한다. 아울러, 언택트 방식의 감사로 상시형 감사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금융사고 예방 및 조기 적발의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감사 시스템(1000)은 입출력 단말(1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폐쇄된 방음 환경을 구축하여 검사역 또는 영업점의 감사 담당 직원이 입출력 단말(100)을 통한 언택트 감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언택트 검사 부스(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검사 부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택트 검사 부스(500)는 본체(510), 테이블(530), 의자(520) 및 보조 출력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510)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 판넬부 및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직육면체로 조립 유지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 프레임, 받침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을 유지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상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판넬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판넬부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어 외부에서도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부는 판넬부의 적어도 일측에 내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테이블(530)은 입출력 단말(1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테이블(530)은 본체(510)의 내측 공간에 마련되되, 일측벽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의자(520)는 테이블(530)과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공간을 제공한다.
보조 출력부(550)는 테이블(530)의 맞닿아 배치되는 본체(510)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입출력 단말(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출력부(550)는 언택트 감사에 요구되는 영업점 직원의 인터뷰 파일 생성 시, 그 스트립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출력부(550)는 사용자가 의자(520)에 착석한 경우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입출력 단말(100)을 이용하여 인터뷰 파일을 생성하는 동안 스크립트를 출력하여 언택트 감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출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출력부(550)는 스크린부(551), 설치 브라켓(552) 및 고정 브라켓(55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부(551)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력 단말(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출력 단말(100)의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부(55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부(551)는 상부에 고리부(55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부(551)는 상부에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에는 후크 형태의 고리부(551a)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손잡이를 잡아 스크린부(551)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설치 브라켓(552)은 본체(510)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부(551)의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크린부(551)는 설치 브라켓(552)에 수납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치 브라켓(552)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53)은 본체(510)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브라켓(552)의 상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라켓(553)은 설치 브라켓(552)의 상측면과 스크린부(551)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부(551)는 설치 브라켓(552)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고정 브라켓(553) 및 설치 브라켓(552)의 상측면 사이에 배치될 것이다.
고정 브라켓(553)은 걸림부(553a)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553a)는 스크린부(551)에 포함되는 고리부(551a)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부(551a)의 체결을 통해 스크린부(551)가 설치 브라켓(552)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출력부(550)는 스크린부(551)가 소정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설치 브라켓(55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모듈은 스크린부(551)의 후면에 마련되는 랙 기어부(554), 설치 브라켓(552)에 내장되는 피니언 기어부(555), 피니언 기어부(555)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회전 축 부(556) 및 회전 축 부(556)의 둘레에 삽입되는 탄성부(5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스크린부(551)로 상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크린부(551)가 좌우 균형을 맞추면서 설치 브라켓(552)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걸림부(553a) 및 고리부(551a)의 체결이 해제되어 스크린부(551) 자체의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크린부(551)가 좌우 균형을 맞추면서 자동으로 설치 브라켓(552)으로 수납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랙 기어부(554)는 스크린부(551)의 후면에 스크린부(5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스크린부(551)는 랙 기어부(554)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부(551b)를 후면에 형성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부(555)는 설치 브라켓(552)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 하우징(552a)에 내장되어 설치되되, 랙 기어부(554)와 맞물려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부(555)는 스크린부(551)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랙 기어부(554)와 맞물려 회전할 것이다.
이러한 랙 기어부(554) 및 피니언 기어부(555)는 스크린부(551) 및 설치 브라켓(552)의 좌측 및 우측 부분에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축 부(556)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555)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555)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설치 브라켓(552)은 내측 상부에 회전 축 부(556)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 축 하우징(558)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축 하우징(558)은 회전 축 부(556)의 둘레에 삽입되는 커버 기둥(558a) 및 커버 기둥(558a)을 설치 브라켓(552)에 설치하기 위해 마련되는 커버 기둥 설치 프레임(558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기둥 설치 프레임(558b)은 피니언 기어 하우징(552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축 부(556)는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며 오목하게 파인 복수 개의 오목부(556a)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557)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축 부(556)의 둘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557)의 일단부는 복수 개의 오목부(556a)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는 커버 기둥(558a)에 삽입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탄성부(557)의 일단부가 복수 개의 오목부(556a) 중 어디에 삽입됨에 따라 탄성부(557)의 탄성력이 조절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보조 출력부(550)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린부(551)로 상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크린부(551)가 상승하면서 랙 기어부(55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555)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이때, 피니언 기어부(555)의 회전에 의해 회전 축 부(556) 또한 역방향 회전할 수 있으며, 타단부가 커버 기둥(558a)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축 부(556)에 일단부가 설치된 탄성부(557)는 회전 축 부(556)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풀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스크린부(551)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부(551)가 완전히 상승하여 상측부가 고정 브라켓(553)에 맞닿는 경우, 걸림부(553a) 및 고리부(551a)의 체결을 통해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스크린부(551) 및 고정 브라켓(553)의 잠금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 스크린부(551)의 자체 중력에 의해 스크린부(551)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랙 기어부(554)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555) 및 회전 축 부(556)는 정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이러한 회전 축 부(556)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탄성부(557)는 회전 축 부(556)에 감기게 되는데, 스크린부(551)가 하강할수록 탄성부(557)의 탄성은 증대되고, 스크린부(551)의 하중은 탄성부(557)의 탄성 증대로 인해 감쇄함으로써, 스크린부(551)는 서서히 하강할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테이블(530)은 음성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 모듈은 테이블(530)에서 입출력 단말(100)이 설치되는 상판 부분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음성 입력 모듈은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통상의 마이크를 테이블(530)의 상판 부분의 저면에 내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마이크가 테이블(530)의 상판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즉, 음성 입력 모듈은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도모함은 물론 평상시에는 테이블(530)의 저면에 내장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테이블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이블(530)은 입출력 단말(100)이 설치되는 상판 부분을 관통하는 장홀(531)을 형성할 수 있다.
음성 입력 모듈(600)은 테이블(530)의 상판 부분의 저면에 설치되되, 장홀(531)을 중심으로 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음성 입력 모듈(600)은 마이크를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마이크가 장홀(531)을 통해 테이블(530)의 상판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모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음성 입력 모듈(600)은 케이스부(610), 마이크부(620) 및 고정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610)는 테이블(530)의 상판 부분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부(610)는 전면 패널(611), 후면 패널(612), 측면 패널(613) 및 바닥 패널(6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611) 및 후면 패널(612)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 패널(613)은 전면 패널(611) 및 후면 패널(612)의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되고, 바닥 패널(614)은 전면 패널(611), 후면 패널(612) 및 측면 패널(613)의 바닥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패널(611) 및 후면 패널(612)은 각각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에 장홀(531)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테이블(53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후면 패널(612)은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6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612a)는 케이스부(610)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마이크부(62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마이크부(620)는 케이스부(6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부(620)는 마이크(621) 및 회동축(62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621)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통상의 마이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입출력 단말(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입출력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621)의 일측은 통상의 마이크의 본체 부분에 해당하고, 마이크(621)의 타측은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헤드 부분에 해당한다. 이때, 마이크(621)의 일측 단부에는 입출력 단말(100)과의 유선 연결을 위한 접속 선이 구비될 수도 있다.
회동축(622)은 측면 패널(6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621)는 회동축(622)에 측면 패널(613)과 나란히 설치되어 양 끝단이 각각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부(6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이크(621)는 회동축(622)을 통해 케이스부(610)에 시소와 같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져 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는 경우, 시소처럼 동작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헤드가 구비된 타측이 후면 개구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장홀(531)을 통과하여 테이블(530)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것이다. 이때, 마이크(621)는 일측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타측이 장홀(531) 및 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스토퍼(612a)에 의해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612a)는 마이크(621)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바닥 패널(614)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적절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650)는 마이크부(620)가 회동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부(650)는 마이크(621)가 테이블(530)을 관통하여 세워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50)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고정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부(650)는 설치 블록(651a, 651b) 및 단속 바아(652)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블록(651a, 651b)은 바닥 패널(6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닥 패널(614)은 회동하는 마이크(62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개구부를 형성하는데, 설치 블록(651a, 651b)은 이러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단속 바아(652)는 한 쌍의 설치 블록(651a, 651b)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단속 바아(652)는 일측이 제1 설치 블록(651a, 651b)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이 회동을 통해 제2 설치 블록(651a)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속 바아(652)는 한 쌍의 설치 블록(651a, 651b)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바닥 패널(614)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막아 마이크(621)의 이동 경로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마이크(621)가 세워진 상태에서 단속 바아(652)를 한 쌍의 설치 블록(651a, 651b)을 연결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마이크(621)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언택트 감사 시스템
100: 입출력 단말
200: 서버 장치

Claims (2)

  1.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로부터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검사 자료를 수신하고, 고위험 영업점의 위험거래 패턴을 분석한 AI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상기 검사 자료를 분석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에서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검사 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내역 중 기 설정된 정상 거래내역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거래내역을 점검대상 거래내역으로 추출하고,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부터 감사결과보고서를 수신하고, 상기 감사결과보고서에서 고위험 거래로 분류되는 거래내역을 학습 데이터로 추출하고, 추출한 학습 데이터를 Word2vec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하여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하고, 상기 신경망에 학습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기준 벡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신경망에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입력하여 점검대상 거래내역에 대한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점검대상 거래내역 벡터값을 추출하고, 기준 벡터값과 점검대상 거래내역 벡터값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산출되는 경우, 해당 점검대상 거래내역을 유의 거래내역으로 추출하며, 추출한 유의 거래내역을 검사역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 송신하는 검사 자료 추출부;
    상기 유의 거래내역에 대한 영업점과 검사역 간의 언택트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및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화상 인터뷰 공간을 제공하는 언택트 검사부; 및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 언택트 검사에 대한 검사결과보고서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검사결과보고서를 이용하여 상기 신경망을 재 구축하는 사후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폐쇄된 환경을 구축하는 언택트 검사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택트 검사 부스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에 마련되되, 일측벽에 맞닿도록 매치되어 마련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과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공간을 제공하는 의자; 및
    상기 테이블이 맞닿아 배치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보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데이터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며, 상부에 후크 형태의 고리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형성하는 스크린부;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설치 브라켓;
    상기 본체의 내측 공간의 일측벽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 브라켓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부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리부 및 상기 걸림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설치 브라켓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 브라켓; 및
    소정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설치 브라켓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에 마련되는 상기 스크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커버부에 의해 덮인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에서 좌측 및 우측 부분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랙 기어부;
    상기 설치 브라켓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 하우징에 내장되어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랙 기어부와 각각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랙 기어부와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고,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며 오목하게 파인 복수 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회전 축 부;
    상기 회전 축 부의 둘레에 삽입되는 커버 기둥 및 상기 커버 기둥을 상기 설치 브라켓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는 커버 기둥 설치 프레임을 포함하는 회전 축 하우징; 및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 축 부의 둘레에 삽입되며, 일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 기둥에 삽입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부로 상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회전 축 부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축 부로부터 풀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크린부로 하측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회전 축 부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축 부에 감기도록 마련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이 설치되는 상판 부분을 관통하는 장홀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상판 부분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장홀을 중심으로 하여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 전달하는 음성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 모듈은,
    상기 테이블의 상판 부분의 저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전면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 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되어 형성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하고,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 및 상기 후면 패널의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측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 상기 후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의 바닥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 모듈은,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감사 대상 영업점의 입출력 단말 또는 상기 검사역의 입출력 단말로 전달하는 마이크부; 및
    상기 마이크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측면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상기 측면 패널과 나란히 배치되어 시소와 같은 형태로 설치되고, 양 끝단이 각각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누르는 힘이 가해져 상기 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는 경우,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헤드가 구비된 타측이 상기 후면 개구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장홀을 통과하여 상기 테이블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일측에 누르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타측이 상기 장홀 및 상기 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되, 상기 스토퍼에 의해 그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닥 패널에 설치되되, 상기 바닥 패널에 상기 마이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설치되는 설치 블록; 및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설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설치 블록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설치 블록을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 블록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바닥 패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막아 상기 마이크의 이동 경로를 폐쇄하는 단속 바아;를 포함하는, 언택트 감사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09752A 2021-01-22 2021-01-22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30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752A KR102307407B1 (ko) 2021-01-22 2021-01-22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752A KR102307407B1 (ko) 2021-01-22 2021-01-22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407B1 true KR102307407B1 (ko) 2021-09-30

Family

ID=7792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752A KR102307407B1 (ko) 2021-01-22 2021-01-22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4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957A (ja) * 2005-03-09 2006-09-21 Oki Electric Ind Co Ltd 事務リスク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KR20070111878A (ko) * 2006-05-19 2007-11-22 유한회사 삼일회계법인 지능형 상시 감사 시스템 및 감사 방법
KR101193476B1 (ko) * 2012-06-20 2012-10-24 조성욱 모니터 승강식 컴퓨터 책상
KR20200084436A (ko) * 2018-12-26 2020-07-13 주식회사 와이즈넛 텍스트 문서에서 각 문장 간의 일관성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957A (ja) * 2005-03-09 2006-09-21 Oki Electric Ind Co Ltd 事務リスク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KR20070111878A (ko) * 2006-05-19 2007-11-22 유한회사 삼일회계법인 지능형 상시 감사 시스템 및 감사 방법
KR101193476B1 (ko) * 2012-06-20 2012-10-24 조성욱 모니터 승강식 컴퓨터 책상
KR20200084436A (ko) * 2018-12-26 2020-07-13 주식회사 와이즈넛 텍스트 문서에서 각 문장 간의 일관성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464B1 (en) Real proper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amage and other conditions
CN107025509B (zh) 基于业务模型的决策系统和方法
US11425160B2 (en) Automated risk assessment module with real-time compliance monitoring
KR102267086B1 (ko) 블록체인에 기반한 부정채용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인재 채용 시스템
US20220166789A1 (en) Usage-Tracking Of Assets For Security Assurance
Zheng et al. The adoption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business intelligence system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 conceptual framework
KR102307407B1 (ko) 언택트 감사 방법 및 시스템
Ma et al. Integrated design of graduate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of universities in digital campus environment
Grigoratos et al. Time-dependent seismic hazard and risk due to wastewater injection in Oklahoma
Mai et al. Detecting the intellectual pathway of resilience thinking in urban and regional studies: A critical reflection on resilience literature
Uddin et 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outhwestern Indiana
Molina Hutt Risk-based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existing tall steel framed buildings
Mwanza Fraud detection on big tax data using business intelligence, data mining tool: A case of Zambia revenue authority
Flammini et al. Optimisation of security system design by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and genetic algorithms
US202300050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ersonalized loss valuations for a loss event
Comfort Managing critical infrastructures in crisis
Febriani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REVIEW OF GOVERNMENT POLICY IN MAINTAINING THE ENVIRONMENT
Guo Design of University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Data Mining Technology and IoT
CN113157744A (zh) 一种基于大数据的车务段安全信息分析与辅助决策预警系统
CN110135980A (zh) 一种金融贷前反欺诈系统
Kuzmenko et al.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ystem of fuel and energy sector enterprises
CN113377759B (zh) 一种基于专家系统算法的缺陷填报数据治理方法
Hutt Risk-based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existing tall steel framed buildings
Enderami Functionality, Access, and Implications: Assessing the Role of Organizations in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Trancho et al. TMT systems engineering evolution in the last dec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