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993B1 -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993B1
KR102306993B1 KR1020200010395A KR20200010395A KR102306993B1 KR 102306993 B1 KR102306993 B1 KR 102306993B1 KR 1020200010395 A KR1020200010395 A KR 1020200010395A KR 20200010395 A KR20200010395 A KR 20200010395A KR 102306993 B1 KR102306993 B1 KR 10230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s
value
axis conductive
waterproof sheet
she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856A (ko
Inventor
송제영
이정훈
김범수
최은규
서현재
Original Assignee
(주)비케이방수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케이방수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비케이방수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1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9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2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수팽창부재 팽창력에 의해 변형되는 방수시트부의 인장 검출값을 이용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특히 x, y축 전도성부재에 의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검출망을 이용하여 누수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함과 더불어 손상된 방수시트부를 부분적으로 신속하게 보수하여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을 포함하는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수시트부(10), 수팽창부재(20), 인식센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Waterproof layer leak detection system using recognition sensor}
본 발명은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팽창부재 팽창력에 의해 변형되는 방수시트부의 인장 검출값을 이용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특히 x, y축 전도성부재에 의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검출망을 이용하여 누수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함과 다양한 외부 인식 전자기기 연결로 점검 및 확인이 가능하고 네트워크에 의한 관리자의 모니터링 실현이 가능하며, 더불어 손상된 방수시트부를 부분적으로 신속하게 보수하여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을 포함하는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도심지의 환경 문제를 개선하고 도시인에게 새로운 공간을 제시하여 쾌적감과 심미적인 장점이 있는 건축물 옥상녹화 및 건축물 보호적 기능의 옥상노출, 비노출의 재방수층 형성, 지하 외벽 및 바닥 방수 등의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 건축물 방수의 옥상 노출, 비노출, 지하 외벽, 지하 구조공간의 방수층에서 자체적 파단, 균열, 들뜸, 박리 등의 하자 및 결함적 문제점이 빈번하며 특히 옥상방수 녹화 시설은 자체적인 하중과 지속적인 물의 사용, 식재 뿌리의 생장으로 인하여 방수층 손상과 콘크리트 균열 등 안전성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식재의 뿌리는 구조물의 결함부, 균열, 조인트 부위를 따라 침투하여 누수를 야기시키므로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뿐만 아니라 관리상의 문제나 사용상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장기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며, 이에 대해 기존의 연구들은 방수 및 방근층의 성능을 향상 혹은 개선하는 방법으로 접근해왔지만, 항시 외기에 노출되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놓여있는 옥상녹화 시설의 특성을 감안하면, 장기간 누수가 되지 않는 검증된 방수 방근층을 만드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고, 이로 인해 실제로 누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누수 여부 및 누수 위치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 제10-2008067호에서, 고유 ID를 가지며, 녹화 시설이 있는 옥상의 방수 방근층과 콘크리트 구조부의 중간에 삽입 설치되고, 상단에 내부로 와이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와이어 홀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내부의 하단 중앙에 수분이 고이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 중앙에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수분을 감지하는 누수 감지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녹화 시설의 면적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어 배열 구조로 형성되는 누수 감지 모듈; 및 상기 누수 감지 모듈의 고유 ID와 설치 위치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누수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누수 감지 센서의 센싱값을 전송받아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각각의 누수 감지 모듈로부터 전송된 센싱값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센싱값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반영하여 누수 발생 여부 및 누수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센싱값이 기설정된 경보 기준값 이상인 경우 경고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값을 전송한 고유 ID를 이용하여 해당 누수 감지모듈이 설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알고리즘은, 상기 센싱값이 상기 경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험으로 구분하여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횟수가 기준빈도값을 초과하면 고위험으로 판단하여 방수 방근층 보수를 위한 경고를 출력하고, 상기 기준빈도값 이하이면 저위험으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값을 더 수집하며, 상기 센싱값이 상기 경보 기준값 미만인 경우, 안전으로 구분하여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횟수가 상기 기준빈도값을 초과하면 의심으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값을 더 수집하고, 상기 기준빈도값 이하이면 안전으로 판단하여 상기 센싱값을 더 수집하는 루틴을 수행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방수 방근층의 하부 층에 설치하여 방수 방근층의 손상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유발되기 이전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나, 누수 감지 모듈에 설치된 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누수 감지 모듈마다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시공비 부담이 크고, 특히 방수 방근층이 누수 감지 모듈에 의해 들린 상태로 지지되므로 방수 방근층 상부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방수 방근층이 쉽게 손상되어 누수를 일으키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수팽창부재 팽창력에 의해 변형되는 방수시트부의 인장 검출값을 이용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특히 x, y축 전도성부재에 의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검출망을 이용하여 누수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함과 더불어 손상된 방수시트부를 부분적으로 신속하게 보수하여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을 포함하는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피방수면(1)에 시공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시트부(10); 상기 피방수면(1)과 방수시트부(10)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팽창부재(20); 및 상기 방수시트부(10)에 설치되어, 수팽창부재(20) 팽창에 따른 방수시트부(10)의 인장 정도를 검출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인식센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팽창부재(20)는 방수시트부(10) 저면에 도트타입으로 이격 형성되어 방수시트부(10)와 함께 시공되거나, 상기 수팽창부재(20)는 다공성시트(21)에 도트타입으로 이격 형성되어, 다공성 시트(21)를 시공한 후에 방수시트부(10)를 덮어서 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센서(30)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고, 방수시트부(10)에 고정되어 신장 및 복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도성부재(32)와, 전도성부재(32)에 전류를 흘려 인덕턴스값을 측정하여 인장정도를 검출하는 제어부(34)와, 제어부(34) 검출값을 관리서버(S)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부재(32)는 신축띠(33) 상에 2열로 배치되고, 신축띠(33)는 일면에 접착면(33a)이 형성되어 방수시트부(10)에 부착되고, 상기 전도성부재(32)는 피방수면(1) 폭을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전도성부재(32) 일단은 2열을 서로 접지하고, 전도성부재(32) 다른 일단 2열은 인덕턴스값 측정을 위한 전극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부재(32)는, 방수시트부(10)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x축 전도성부재(32A)와, x축 전도성부재(32A)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y축 전도성부재(32B)로 이루어지고, 상기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에 의해 격자형 검출망(3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4)는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인덕턴스값을 개별적으로 측정 관리하고, 상기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중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지점을 누수위치로 판단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부(10)는 상면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와 일치되도록 좌표선(12)이 표시되고, 상기 좌표선(12)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4)에서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포인트를 검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방수면(1)과 방수시트부(10)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형 접착띠(40)에 의해 격실(42)이 형성되고, 상기 인식센서(30)에서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포인트와 대응하는 격실(42) 내부로 방수보수제(50)를 주입하여 보수층(52)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4)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를 시공 후,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마다 측정되는 초기 인덕턴스값을 개별적으로 영점 세팅하고, 영점 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마다 측정되는 초기 인덕턴스값의 평균값 대비 제어부(34)에 설정된 값 이상 증가된 인덕턴스값을 가지는 전도성부재와 대응하는 지점을 누수위치로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팽창부재 팽창력에 의해 변형되는 방수시트부의 인장 검출값을 이용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특히 x, y축 전도성부재에 의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검출망을 이용하여 누수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함과 더불어 손상된 방수시트부를 부분적으로 신속하게 보수하여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을 포함하는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의 수팽창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의 전도성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의 좌표선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의 격자형 접착띠에 의해 형성된 격실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수팽창부재 팽창력에 의해 변형되는 방수시트부의 인장 검출값을 이용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특히 x, y축 전도성부재에 의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검출망을 이용하여 누수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함과 더불어 손상된 방수시트부를 부분적으로 신속하게 보수하여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을 포함하는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수시트부(10), 수팽창부재(20), 인식센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부(10)는 피방수면(1)에 시공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방수시트부(10)는 측단부가 오버랩되어 겹침부를 형성하면서 연결되어 피방수면(1)을 방수처리한다. 여기서 피방수면(1)은 옥상녹화와 함께, 건축물의 옥상 방수(비노출, 노출) 환경, 지하구조물 외측벽면, 기초 바닥 등을 일컫는다.
그리고 상기 방수시트부(10)는 합성고무, 아스팔트, 보강필름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자착식 시트 또는 현장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팽창부재(20)는 상기 피방수면(1)과 방수시트부(10)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된다. 수팽창부재(20)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는 기능을 가진 소재로서, 방수시트부(10) 손상으로 누수가 발생시, 해당 영역에 해당되는 수팽창부재(20)가 수분에 의해 팽창되고, 이로 인해 방수시트부(10)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팽창된다.
이때, 상기 수팽창부재(20)는 도 3 (a)와 같이 방수시트부(10) 저면에 도트타입으로 이격 형성되어 방수시트부(10)와 함께 시공되거나, 도 3 (b)처럼 상기 수팽창부재(20)는 다공성시트(21)에 도트타입으로 이격 형성되어, 다공성 시트(21)를 시공한 후에 방수시트부(10)를 덮어서 시공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다공성시트(21)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수분 유동가능한 시트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식센서(30)는 상기 방수시트부(10)에 설치되어, 수팽창부재(20) 팽창에 따른 방수시트부(10)의 인장 정도를 검출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인식센서(30)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고, 방수시트부(10)에 고정되어 신장 및 복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도성부재(32)와, 전도성부재(32)에 전류를 흘려 인덕턴스값을 측정하여 인장 정도를 검출하는 제어부(34)와, 제어부(34) 검출값을 관리서버(S)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도성부재(32)가 전도사, 전도성 시트, 진도성 잉크,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고, 방수시트부(10)의 팽창에 따른 길이변화에 직접 대응하여 변화하고, 이때 전도성부재(32)의 전기적 특성 변화 즉, 인덕턴스값이 측정되어 인장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팽창부재(20) 팽창력에 의해 변형되는 방수시트부(10)의 인장 정도를 인식센서(30)에서 검출하여 누수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특히 제어부(34)에서 인식센서(30) 검출 값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이상 발생시 관리서버(S)로 즉각 송출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외부에서 침입수 유입시 주변부로 빠르게 확산되어 시간이 지체될수록 누수지점을 정확하게 찾을 수 없었으나, 본원은 누수 초기에 누수지점을 신속 정확하게 검출하여 신속한 보수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부재(32)는 도 4처럼 신축띠(33) 상에 2열로 배치되고, 신축띠(33)는 일면에 접착면(33a)이 형성되어 방수시트부(10)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전도성부재(32)는 피방수면(1) 폭을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전도성부재(32) 일단은 2열을 서로 접지하고, 전도성부재(32) 다른 일단 2열은 인덕턴스값 측정을 위한 전극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현장 시공 면적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작업성 향상 및 버려지는 짜투리 손실 없이 시공된다. 한편, 상기 전도성부재(32)는 누수 취약부위(옥상 모서리, 배수구 주변, 방수시트부(10) 이음부)에 국부적으로 적용되어 부분적인 누수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2에서, 상기 전도성부재(32)는, 방수시트부(10)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x축 전도성부재(32A)와, x축 전도성부재(32A)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y축 전도성부재(3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에 의해 격자형 검출망(32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4)는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인덕턴스값을 개별적으로 측정 관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34)는 상기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중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지점을 누수위치로 판단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에 의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검출망(32C)을 이용하여 누수위치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에서, 상기 방수시트부(10)는 상면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와 일치되도록 좌표선(12)이 표시된다. 좌표선(12)은 방수시트부(10) 표면에 표시되어 외부에서 식별이 용이하고, 상기 좌표선(12)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4)에서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포인트를 검출하게 된다.
즉,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를 순차적으로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와 대응하는 좌표선(12)에 식별 번호가 일치되도록 표시된다.
일예로서, 상기 제어부(34)에서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값이 'x4','y5'로 출력되면, 그에 대응하는 좌표선(12)의 'x4','y5'에 해당하는 교차포인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누수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34)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를 시공 후,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마다 측정되는 초기 인덕턴스값을 개별적으로 영점 세팅하고, 영점 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마다 측정되는 초기 인덕턴스값의 평균값 대비 제어부(34)에 설정된 값 이상 증가된 인덕턴스값을 가지는 전도성부재와 대응하는 지점을 누수위치로 판단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기온차에 의한 방수시트부(10)의 전체적인 인장으로 인해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인덕턴스값이 오차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가변 될 경우에는 누수로 판단하지 않는데 반해,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인덕턴스값이 전체적으로 가변되는 중에 평균값 대비 제어부(34)에 설정된 값 이상 증가된 인덕턴스값을 가지는 전도성부재가 검출될 경우 누수로 판단하고, 누수위치에 대한 좌표를 출력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피방수면(1)과 방수시트부(10)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형 접착띠(40)에 의해 격실(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식센서(30)에서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포인트와 대응하는 영역의 격실(42) 내부로 방수보수제(50)를 주입하여 보수층(52)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방수보수제(50)는 펌핑장치에 의해 노즐을 통하여 주입되고, 노즐은 방수시트부(10) 손상부 틈 또는 니들을 이용하여 방수시트부(10)에 삽입된다.
이에 상기 격실(42) 내부로 방수보수제(50)를 주입하는 간단한 방식에 의해 손상된 방수시트부(10)를 부분적으로 신속하게 보수하여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을 포함하는 2차 피해를 예방하게 된다.
10: 방수시트부 20: 수팽창부재
30: 인식센서 40: 접착띠
50: 방수보수제

Claims (9)

  1. 피방수면(1)에 시공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방수시트부(10);
    상기 피방수면(1)과 방수시트부(10)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팽창부재(20); 및
    상기 방수시트부(10)에 설치되어, 수팽창부재(20) 팽창에 따른 방수시트부(10)의 인장 정도를 검출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인식센서(30);를 포함하고,
    상기 수팽창부재(20)는 다공성시트(21)에 도트타입으로 이격 형성되어, 다공성 시트(21)를 시공한 후에 방수시트부(10)를 덮어서 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식센서(30)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고, 방수시트부(10)에 고정되어 신장 및 복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도성부재(32)와, 전도성부재(32)에 전류를 흘려 인덕턴스값을 측정하여 인장 정도를 검출하는 제어부(34)와, 제어부(34) 검출값을 관리서버(S)로 전송하는 통신모듈(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부재(32)는, 방수시트부(10)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x축 전도성부재(32A)와, x축 전도성부재(32A)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y축 전도성부재(32B)로 이루어지고, 상기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에 의해 격자형 검출망(32C)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34)는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인덕턴스값을 개별적으로 측정 관리하고, 상기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중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지점을 누수위치로 판단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방수시트부(10)는 상면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와 일치되도록 좌표선(12)이 표시되고,
    상기 x, y축 전도성부재(32A)(32B)를 순차적으로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와 대응하는 좌표선(12)에 식별 번호가 표시되며,
    상기 좌표선(12)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4)에서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포인트를 검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4)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를 시공 후,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마다 측정되는 초기 인덕턴스값을 개별적으로 영점 세팅하고, 영점 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마다 측정되는 초기 인덕턴스값의 평균값 대비 제어부(34)에 설정된 값 이상 증가된 인덕턴스값을 가지는 전도성부재와 대응하는 지점을 누수위치로 판단하도록 구비되며,
    기온차에 의한 방수시트부(10)의 전체적인 인장으로 인해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인덕턴스값이 오차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가변 될 경우에는 누수로 판단하지 않고, 복수의 x, y축 전도성부재(32A)(32B) 인덕턴스값이 전체적으로 가변되는 중에 평균값 대비 제어부(34)에 설정된 값 이상 증가된 인덕턴스값을 가지는 전도성부재가 검출될 경우 누수로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부재(32)는 신축띠(33) 상에 2열로 배치되고, 신축띠(33)는 일면에 접착면(33a)이 형성되어 방수시트부(10)에 부착되고, 상기 전도성부재(32)는 피방수면(1) 폭을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전도성부재(32) 일단은 2열을 서로 접지하고, 전도성부재(32) 다른 일단 2열은 인덕턴스값 측정을 위한 전극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방수면(1)과 방수시트부(10)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형 접착띠(40)에 의해 격실(42)이 형성되고, 상기 인식센서(30)에서 인덕턴스값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x, y축 전도성부재(32A)(32B)의 교차포인트와 대응하는 격실(42) 내부로 방수보수제(50)를 주입하여 보수층(52)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KR1020200010395A 2020-01-29 2020-01-29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KR10230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395A KR102306993B1 (ko) 2020-01-29 2020-01-29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395A KR102306993B1 (ko) 2020-01-29 2020-01-29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856A KR20210096856A (ko) 2021-08-06
KR102306993B1 true KR102306993B1 (ko) 2021-09-30

Family

ID=7731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395A KR102306993B1 (ko) 2020-01-29 2020-01-29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9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226A (ja) * 2002-07-11 2004-02-12 Takenaka Doboku Co Ltd 漏水検知装置
JP2015152313A (ja) * 2014-02-10 2015-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水検出装置
KR101693306B1 (ko) * 2015-10-05 2017-01-05 금오특수프라스틱주식회사 인덕턴스기반 인장 센서와 이를 적용한 생체신호 측정 센서 및 그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165A (ko) * 2002-08-28 2002-10-26 김학로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시트 또는 차수층의 손상위치 및누수검지 시스템과 이에 따르는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226A (ja) * 2002-07-11 2004-02-12 Takenaka Doboku Co Ltd 漏水検知装置
JP2015152313A (ja) * 2014-02-10 2015-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水検出装置
KR101693306B1 (ko) * 2015-10-05 2017-01-05 금오특수프라스틱주식회사 인덕턴스기반 인장 센서와 이를 적용한 생체신호 측정 센서 및 그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856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051B2 (en) Leak detection and location system, method, and software product
US95005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leak detection in roofing and waterproofing membranes
US8384886B2 (en) Fiber optic building monitoring system
US765248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and locate roof leaks
CA2731369C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the seal of structural seals
CN102852291B (zh) 金属屋面渗漏水检测系统及检测金属屋面渗漏水的方法
JP7187049B2 (ja) 漏れの検出および位置特定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S2718555T3 (es) Sistema para monitorizar la integridad de un sistema de impermeabilización o membrana
US96246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eak detection in roofing and waterproofing membranes
US20210270691A1 (en) Waterproofing membrane with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06993B1 (ko) 인식센서를 이용한 방수층 누수감지시스템
CN110057499B (zh) 一种检测大坝保温层及混凝土渗漏的装置及方法
WO1989000681A2 (en) Moisture presence alarm system
JP2004045218A (ja) 漏水検知装置及び漏水検知方法
CN112362249A (zh) 一种地下空间止水帷幕渗漏监测装置
WO2021116233A1 (de) Erkennen und orten von feuchtigkeit unter dacheindeckungen
US20180149549A1 (en) Leak Detection System
JP2022500622A (ja) 漏れを検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120053676A (ko) 누수감지필름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누수감지장치
CA2599087C (en) A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and locate roof leaks
CN111733787B (zh) 桥梁桩基施工过程中溶洞处理效果检测方法及系统
KR102008067B1 (ko) 옥상녹화 시설에서의 방수 방근층 누수 감지 시스템
RU214733U1 (ru) Сенсор обнаруж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дефектов изоляционных покрытий
CN103726655B (zh) 混凝土楼面的结构养护方法及系统
CN114960769B (zh) 一种地下室防水层结构、地下室墙体及建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