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367B1 - Stand For Saxophone - Google Patents

Stand For Sax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367B1
KR102306367B1 KR1020200147789A KR20200147789A KR102306367B1 KR 102306367 B1 KR102306367 B1 KR 102306367B1 KR 1020200147789 A KR1020200147789 A KR 1020200147789A KR 20200147789 A KR20200147789 A KR 20200147789A KR 102306367 B1 KR102306367 B1 KR 10230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xophone
bell
contact
stan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영남
Original Assignee
구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영남 filed Critical 구영남
Priority to KR102020014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3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saxophone stand. The saxophon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axophone stand for placing a saxophone, comprises: a supporter having a flat contact surface with which a bell part of a saxophone comes in contact, and including a placement plate part having engaged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part and a flange provided in a lower part of the placement plate part to be bent to one sid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elt fixing parts provided as a pair on left and right sides whil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of the placement plate part, and placed to become narrower while going from an upper part toward a lower part to lead the bell part of the saxophone in from the upper part to fix and support the same, and including a roller tube having a buffering property to come in contact with the bell; and wire legs axially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ell fixing part through the engaged grooves of the supporter to be rotatable, and having its bottom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o diagonally support the sup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xophone stand is made to be conveniently folded or unfolded by a user and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can lead to advantages such as easy carriage and storage and economical manufacture and supply. Moreover, since the belt part of the saxophone is placed toward the ground,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axophone can be minimized, and also, since the whole saxophone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re can be an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risk of damage caused by friction with the ground. Furtherm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guarantee a substantial and stable placement condition, there can be a beneficial effect of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with the product.

Description

색소폰용 스탠드{Stand For Saxophone}Stand For Saxophone

본 발명은 색소폰을 연주하지 않을 시에 세운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색소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높이고 아울러 색소폰에 대한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안정된 거치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색소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a saxophone that can be mounted in an upright state when not playing the saxo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 for a saxophon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a simple structur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age, as well as for the saxophone. It relates to a stand for a saxophone that can ensure a stable mounting state by enabling a strong fixation.

일반적으로 관악기는 취주악기(吹奏樂器)라고도 하며, 휘파람이나 풀피리 등 우리의 일상생활 주변의 것에서 발전한 것과, 메가폰이나 뿔피리·조개 등의 신호기구로부터 발전한 것들로 구분되며 통상 리드를 갖지 않는 무황악기(無簧樂器)와 리드가 있는 유황악기, 그리고 나팔류 악기로 분류된다.Generally, wind instruments are also called wind instruments (吹奏樂器), and are divided into those developed from things around our daily life, such as whistles and grass flutes, and those developed from signaling devices such as megaphones, horn flutes, and shells.無簧樂器), leaded sulfur instruments, and trumpet instruments.

무황악기에는 세로로 불며 입술을 조절하여 소리를 내는 피리·퉁소 등과, 마우스피스에 호루루기식 장치가 있어 이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리코더 플라지올레토가 있고, 옆으로 부는 것에는 플루트·피콜로 등이 있다.There are flutes and tungso, etc., which are blown vertically to produce sound by controlling the lips, and a recorder plagioletto that uses a whistle-type device in the mouthpiece to produce sound.

유황악기에는 리드가 한 장인 단황(單簧)과 리드가 복수인 복황(複簧)이 있는데, 전자에는 클라리넷·색소폰, 후자에는 오보에·코란그레·파고트·차르메라 등이 있다. 마우스피스로 부는 악기로는 소라고동·뿔피리를 비롯하여 호른·트럼펫·트롬본 등 금관악기가 포함되어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sulfur instruments: danhwang (單簧) with one reed and bokhwang (複簧) with plural reeds. Musical instruments blown with the mouthpiece include brass instruments such as horn, trumpet, and trombone as well as conch drum and horn flute.

이러한 관악기들 중 대표적인 색소폰의 경우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색소폰은 싱글 리드 악기군에 속하는 목관 악기의 일종으로 원뿔형 관에 끝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고 구멍은 키로 막혀 있고 몸통은 대개 황동 등의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 민감한 구성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취급과 보관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고가의 악기이다. As is widely known among these wind instruments, the saxophone is a type of woodwind instrument belonging to the single-reed instrument group. , it is an expensive instrument that requires great care in handling and storage because of its complex structure and a combination of several sensitive components.

이러한 색소폰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에 넣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데, 케이스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수납된 색소폰에 외부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운반 중에 움직이지 않도록 부드럽고 완충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감되어 있다.These saxophones are stored or transported in a case when not in use, and the case is made of a hard material so that it is not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shock, and the inside of the saxophone is stored while transporting while preventing external sho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axophone. It is finished with a soft, cushioning material that does not move.

한편, 색소폰을 연주하다가 잠시 쉬거나 다음 곡 준비를 위한 경우에는 악기를 잠시 보관하여야 하는데 케이스에 수납시키기에는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a break from playing the saxophone or preparing for the next song, the instrument must be stored for a while, but it is very inconvenient and cumbersome to store it in the case.

즉, 색소폰을 잠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연주자는 의자에 기대어 놓거나 손이 들고 있게 되는데, 의자에 기대어 놓는 경우 색소폰이 쉽게 넘어지거나 의자에서 떨어질 수 있는 폐단이 있고, 손에 들고 있는 경우에는 연주자가 편하게 쉬거나 다음곡 연주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That is, when the saxophone is not used for a while, most players lean on the chair or hold their hands. When leaning on the chair, the saxophone can easily fall over or fall off the chair. There was a downside to not being able to rest comfortably or prepare for the next song.

특히, 색소폰의 무게는 기타 다른 악기에 비해 무게감이 있는 악기로서 예를 들면 가장 대중적인 색소폰인 알토인 경우 2.8kg, 테너는 3.8kg 가량되므로 연주 후에는 편한 자세로 쉴 필요가 있으나, 연주하지 않을 때에도 색소폰을 들고 있어야 한다면 연주자가 느끼는 피로감이 커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신체에 무리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saxophone weighs more than other instruments. For example, the most popular saxophone, the alto, is about 2.8 kg, and the tenor is about 3.8 kg, so it is necessary to rest in a comfortable position after playing. If the player had to hold the saxophone even at the time, the fatigue felt by the performer increased,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a strain on the bod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0783호를 통해 "휴대용 색소폰 안전스탠드" 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등록 청구항 3에는 ‘일측이 평판부(11)로 되고 타측은 U자관하부 삽입홈(13)을 갖는 쿠션부재(14)가 상면에 올려진 만곡부(12)로 된 악기받침대(10)와; 각각의 일측 끝단을 볼트(32)로 체결하여 각각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후방으로 완전히 접을 경우 쿠션부재(14)의 상부에서 서로 모아져 길이 방향 측면이 맞닿게 형성한 상기 악기받침대(10)의 평판부(11) 상부 좌우측에 위치하는 2개의 막대형 다리(20)와; 상기 다리(20) 상부에 위치하고 경첩(31)이 상부에 고정된 것으로, 볼트(32)를 경첩(31)과 고정부재(30)와 와셔(33)와 다리(20)와 와셔(34)와 악기받침대(10) 순으로 끼워 너트(35)로 체결되게 기준판재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경첩(31)과 하단이 볼트(36)로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단이 경첩(42)과 볼트(43)로 체결하여 결합된 것으로, 사용시 바닥면과 75-85도의 각도로 세워지도록 한 평판형의 경사지지대(40)와; 상기 경사지지대(40)의 경첩(42)과 볼트(44)로 고정된 것으로, 색소폰이 전후 좌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벨 하단 몸통을 끼워서 물고 있도록 말굽 모양으로 된 벨하단 결합기구(50); 로 구성되어 악기 수직하중이 실리는 거치(据置) 지지점인 하부 악기받침대(4)가 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색소폰 안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40)의 구성위치는, 경첩(31)과 고정된 경사지지대(40)를 위로 펼칠 경우 고정부재(30)의 상부와 경사지지대(40)의 하단 모서리가 맞닿아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경첩(31)의 회동축이 고정부재(30)의 전방 끝단 모서리에서 경사지지대(40)의 두께만큼 들어간 자리에 위치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색소폰 안전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a "portable saxophone safety stand" has been proposed through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50783, and in the registered claim 3, 'one side is the flat plate part 11 and the other side is U a musical instrument stand 10 having a curved portion 12 having a cushion member 14 having a lower self-pipe insertion groove 13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Each one end is fastened with a bolt 32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when fully folded rearward, the instrument stand 10 is gathered at the upper part of the cushion member 14 and formed so that the longitudinal side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rt 11 and two rod-shaped legs 20 loca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I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20 and the hinge 31 is fixed on the upper part, and the bolt 32 is attached to the hinge 31, the fixing member 30, the washer 33, the leg 20, the washer 34 and the a fixing member 30 serving as a reference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instrument stand 10 in order and fastened with a nut 35; The hinge 31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30 are fastened with a bolt 36 and coupled,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with a hinge 42 and a bolt 43, and the angle of 75-85 degrees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in use A flat-type inclined support 40 to be erected with; It is fixed with the hinge 42 and the bolt 44 of the inclined support 40, the bell bottom coupling mechanism 50 having a horseshoe shape so that the saxophone is not inclined to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by inserting and biting the lower body of the bell; In the portable saxophone safety stand formed so that the lower instrument stand (4), which is a mounting support point on which the vertical load of the instrument is loade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configuration position of the inclined support (40) is a hinge (31) When unfolding the fixed inclined support 40 upwards, the rotation axis of the hinge 31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30 and the lower edge of the inclined support 4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it is not bent any longer. A portable saxophone safety stand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in a position recessed by the thickness of the inclined support 40 at the front end edge.' is disclosed.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색소폰 안전 스탠드는 거치(据置) 된 악기하중 지지점이 지면에 닿게 되고 비교적 안정된 거칠(据置) 상태를 보이고 있었지만, 이 악기스탠드 역시 나팔부(Bell) 바로하단 만곡부 만을 자형 걸이로 잡고만 있어서 외부 충격에 탈거되는 불안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The portable saxophone safety st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d a relatively stable rough state with the mounted instrument load support point touching the ground. It had an unstable problem of being detached from external shocks by just holding it.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9791호를 통해 "관악기 스탠드" 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관형상의 바디(M1)와, 이 바디(M1)의 선단에 확장된 벨부(M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악기(M)를 상기 벨부(M2)가 하향되게 거꾸로 세워 거치하도록 된 관악기 스탠드에 있어서;As another prior art, a "wind instrument stand" has been proposed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9791, and in claim 1 thereof, a 'tubular body (M1) extending to a certain length and this body (M1)' A wind instrument stand configured to mount a musical instrument (M) including a bell part (M2) extended at the tip of the wind instrument (M2) upside down so that the bell part (M2) is upside down;

일정 면적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된 베이스부(31)와; 상기 베이스부(31)의 일측에 기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는 지지부(33)와; 상기 지지부(33)의 일측이 링형태로 절곡되어 손으로 그립 가능하도록 된 손잡이(34)와; 상기 지지부(33)의 상단측에 위치되어 상기 악기(M)의 벨부(M2)를 통해 바디(M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삽입부(35)와; 상기 삽입부(35)의 단부측에 확장되어 상기 벨부(M2)의 단부가 접촉 지지되는 받침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a base part 31 having a ring shape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a support part 33 extending obliquely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part 31; a handle 34 in which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33 is bent in a ring shape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hand; an insertion part 35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33 and extending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M1 through the bell part M2 of the musical instrument M; A wind instrument stand,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to the end side of the insertion part (35) and includes a support part (36) to which the end of the bell part (M2) is supported in contact.'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관악기 스탠드는 벨 내부에 삽입되도록 긴 관형상의 삽입부(35)와 그 선단에 벨의 모양대로 형성된 받침부(36)를 갖는 스탠드가 개발되었으나, 이 악기 거치대는 연주하던 색소폰을 180도 각도로 뒤집어 세워서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악기를 뒤집어 고정한 지지 구조로 인해 베이스부 부피가 무척 커지는 문제점과 안락성이 부족하여 피곤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wind instrument st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tand having a long tubular insertion part 35 and a support part 36 formed in the shape of a bell at its tip to be inserted into the bell has been developed, but this instrument holder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tand the saxophone upside down at an angle of 180 degrees,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base part became very large due to the support structure in which the instrument was turned over and fixed, and there was a problem of fatigue due to lack of comfort.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0646호를 통해 ‘색소폰용 스탠드’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악기를 세워서 거치(据置)하기 위한 색소폰(saxophone)용 스탠드에서, 색소폰용 스탠드(1)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각각의 한쪽 끝단에는 미끄럼방지 목적의 고무캡(20)이 형성되고, 그 각각의 다른 쪽 끝단 중앙에는 볼트 구멍을 형성한 2개의 지지막대(10)와; 한쪽은 상기 지지막대(10)의 중앙 후면에 벨클립 고정피스(31)로 고정되고, 다른 쪽은 벨의 원주모서리(b1)가 끼워져 결합할 때 벨(b)을 보호하기 위한 실리콘튜브(32)와 보호패드(40)가 형성된 2개의 벨 클립(30)과; 상기 지지막대(10)의 다른 쪽 끝단 후면에 위치하고, 볼트(70) 및 캡너트(71)로 상기 지지막대(10)와 결합하고, 휘어지는 탄성을 지닌 S자 형태의 벨누름판(51)을 갖는 후면지지판(50)과; 상기 지지막대(10)의 다른 쪽 끝단 전면에 위치하고, 볼트(70) 및 캡너트(71)에 의해 상기 지지막대(10)와 결합되는 전면지지판(60)과; 색소폰(S)의 U자관을 바닥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U자관 하부받침대(80);로 구성된 것으로, 색소폰 벨(bell)과의 결속 시, 벨의 뒤쪽 원주면(b3)의 하단부 중 일정거리로 떨어진 접점 2개소를 2개의 벨 클립 상의 실리콘튜브가 각각 눌러주고, 상기 접점 2개소의 정중앙에 항상 위치하는 벨누름판(51)이 자체 탄성으로 벨의 앞쪽 원주면(b2) 1개소를 벨 클립 방향으로 밀어, 강력한 결속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saxophone)용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tand for saxophone' has been proposed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0646, and in claim 1 thereof, 'a saxophone for holding an instrument upright' In the stand for (saxophone), the stand 1 for saxophon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rod, and a rubber cap 20 for an anti-slip purpose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and at the center of each other end Two support bars 10 with bolt holes formed therein; One side is fixed to the center rear of the support bar 10 with a bell clip fixing piece 31, and the other side is a silicone tube 32 for protecting the bell (b) when the circumferential edge (b1) of the bell is fitted and coupled. ) and two bell clips 30 with a protective pad 40 formed thereon; It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10, is coupled to the support bar 10 with a bolt 70 and a cap nut 71, and has an S-shaped bell press plate 51 with bending elasticity. a rear support plate 50 and; a front support plate 60 located in front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10 and coupled to the support bar 10 by a bolt 70 and a cap nut 71; U-tube lower support 80 for protecting the U-tube of the saxophone (S) from the bottom surface; is composed of, and when binding with a saxophone bell,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circumferential surface (b3) of the bell The silicone tube on the two bell clips presses the two separated contact points, respectively, and the bell press plate 51, which is alway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wo contact points, uses its own elasticity to move one place on the front circumferential surface (b2) of the bell in the direction of the bell clip. A stand for a saxo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ong binding force by pushing it.'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한 쌍의 지지막대를 벌린 뒤, 색소폰의 벨클립 고정피스에 벨을 끼워 넣고 색소폰의 일부를 바닥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막대와 색소폰 몸체의 일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거치되는 구성이어서 색소폰의 몸통 일부가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preads a pair of support bars, inserts a bell into the bell clip fixing piece of the saxophone, and brings a part of the saxophon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ince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moun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saxophone, there is a big problem that a part of the body of the saxophone may be damaged due to contact with the ground.

따라서, 연주자는 바닥에 충분한 완충성과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는 패드나 시트를 깔아 놓고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색소폰의 벨의 방향이 측면을 향하는 형태이어서 색소폰 내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player has to use a pad or sheet that has sufficient cushioning and anti-slip properties on the floor,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re was a big problem.

등록특허공보 제10-1676922호(2016.11.1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76922 (2016.11.10.) 등록특허공보 제10-1831729호(2018.02.1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31729 (2018.02.19.) 등록특허공보 제10-1828171호(2018.02.0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28171 (2018.02.05.) 등록특허공보 제10-1850646호(2018.04.1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50646 (2018.04.13.) 등록특허공보 제10-1519791호(2015.05.0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19791 (2015.05.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에 의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높이고, 특히 색소폰 벨이 바닥측을 향하도록 거치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의 유입을 최소화하며, 견고하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색소폰용 스탠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age by folding or unfolding by a simpl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he saxophone bell faces the floor side. It aims to provide a stand for saxophone that can minimiz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by mounting it so that it can be mounted so as to ensure a sturdy and stable mounting stat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색소폰의 벨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것으로 상부 양측에 걸림홈을 형성한 거치판부 및 이 거치판부의 하부에 일측으로 굽힘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플랜지가 구비된 받침대; 상기 거치판부의 접촉면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되 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면서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색소폰의 벨 부분을 위에서부터 진입시켜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벨에 접촉되는 완충성을 갖는 롤러 튜브를 구비한 벨고정부; 상기 받침대의 걸림홈을 통과하여 벨고정부의 일측에 축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그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받침대를 경사지지하는 와이어 다리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with a flat contact surface to which the bell part of the saxophone is in contact, and is formed with a mounting plate having locking grooves on both upper sides of the saxophone an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plate. a pedestal having a flange bent to one side and contacting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part, the left and right pair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arranged so that the gap is narrowed while facing each oth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Bell fixing part having a roller tube having a contact buffer; It is shaft-fitted to one side of the bell fixing part through the locking groove of the pedestal and is rotatably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벨고정부는, 상기 거치판부의 접촉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부와 함께 나사부재로 체결 고정되는 상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측면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 다리의 상단이 축끼움되는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축홀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측면 타측에는 상 베어링홀이 형성된 상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거치판부의 접촉면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부와 함께 나사부재로 체결 고정되는 하사나사홀이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상기 상 베어링홀과 대응하는 하 베어링홀이 형성된 하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상·하 베어링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지지되는 롤러 샤프트 및 이 롤러 샤프트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완충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또는 직물재로 된 롤러 튜브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l fixing part is provided above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part, and an upper screw hole for fastening and fixing with a screw member together with the holding plate pa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contact surface. an upper mounting bracket having a shaft hol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wire leg is shaft-fitted on one side, and an upper bear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haft hole; a lower mounting bracke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part and having a lower screw hole fastened and fixed together with a screw member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lower bear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ear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It consists of a roller shaft having both ends rotatab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bearing holes, and a roller tu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rub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having cushioning properties by being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sha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와이어 다리는 좌,우 수직하게 구비되되 각 상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단 양측에 마련된 걸림홈을 통과하여 상기 벨고정부의 상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끼움되도록 수직하게 굽힘된 끼움부를 구비한 수직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부;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된 미끄럼 방지구로 구비되는 것에 있다. 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legs are vertically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and each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and vertically so as to be rotatably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ell fixing part. a vertical frame portion having a bent fitting portion; a horizontal frame unit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units; It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to be provided with a non-slip tool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for preventing slip.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의 후면으로 접혀진 와이어 다리는 자력에 의해 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와 와이어 다리 중 어느 하나는 금속재로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자석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edestal and the wire leg is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magnet so that the wire leg folded toward the rear of the pedestal can be maintained in an attached state by magnetic force. .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색소폰의 벨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직물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보호용 패드가 부착 구비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pad made of any one of a textile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rubber material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saxophone bell.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구조가 간소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작과 보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fold or unfold it, an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economic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색소폰의 벨 부분이 지면 바닥을 향하도록 거치됨에 따라 색소폰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소폰 전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지면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ell part of the saxophone is mounted to face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terior of the saxophone, and since the entire saxophone is away from the ground, damage caused by friction with the ground The advantage is that there is no concern.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하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have a useful effect of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by ensuring a firm and stable mounting stat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요부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의 색소폰용 스탠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3의 색소폰용 스탠드를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와이어다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벨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 for a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use of 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the main part configuration from the front in 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rom above of the stand for the saxophone of Figure 3;
5 is a view of the saxophone stand of FIG. 3 viewed from the left;
6 is a view showing a wire leg in a stand for a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ll fixing part in a stand for a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steps, or operation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That i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 for a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판재형의 부재로 제공되는 거치판부(11) 및 이 거치판부(11)의 하단을 굽힘 성형하여 지면에 면접촉되도록 구비되는 플랜지(13)로 이루어진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받침대(10)의 상단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받침대(1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와이어다리(50) 그리고 상기 받침대(10)의 거치판부(11)측에 구비되어 색소폰 벨(sb)의 테두리 부분을 물림 고정시키는 벨고정부(30)로 이루어진 색소폰용 스탠드(1)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s, a pedestal 10 comprising a mounting plate 11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and a flange 13 provided to surface-contact the ground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late 11, and the pedestal 10 ), which is provided rotatably with respect to a wire leg 50 that supports the pedestal 10 in an inclined manner by rotating to one side about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10, and a mounting plate 11 of the pedestal 10. A stand (1) for saxophone is shown which is provided on the side and consists of a bell fixing part 30 for fixing the edge of the saxophone bell (sb).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거치판부(11)와 플랜지(13)로 이루어진 받침대(10)와. 이 받침대(10)의 상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고, 펼쳐졌을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대(10)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하는 와이어다리(50) 그리고 상기 거치판부(11)의 접촉면상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면서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색소폰 벨(sb)을 위에서 진입시키는 것에 색소폰 벨(sb)의 확장된 테두리 부분이 자연스럽게 끼움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벨고정부(30)로 구성된 색소폰용 스탠드(1)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base 10 and the mounting plate 11 and the flange 13 made of. The pedestal 10 is folded or unfolded by being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top of the pedestal 10, and when unfolded, as shown in the drawing, a wire leg 50 supporting the pedestal 10 to be inclined to stand upright, and the holding plate part (11) is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axophone bell (sb) to enter the saxophone bell (sb) from above by being arranged so that the gap is narrowed while procee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saxophone bell (sb) A stand (1) for a saxophone composed of a bell fixing part (30) to be naturally fitted and fixedly supported is show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요부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3 is a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tand for a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도면에는, 색소폰의 벨(sb)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판재형의 부재로 제공되되 상부 양측에 걸림홈(11a)을 형성한 거치판부(11) 및 이 거치판부(11)의 하단을 후방측으로 굽힘 성형하여 지면에 면접촉될 수 있게 구비되는 플랜지(13)로 이루어진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거치판부(11)의 접촉면측에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재의 롤러 샤프트(33) 및 이 롤러 샤프트(33)의 외면을 감싸는 완충성을 갖는 소재로 된 롤러 튜브(34) 그리고 상기 롤러 샤프트(33)의 상·하단을 각각 상기 거치판부(11)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상,하마운팅브래킷(31,32)으로 구성된 벨고정부(30)로 이루어진 색소폰용 스탠드(1)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saxophone bell (sb) part is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flat contact surface in contact, and the cradle plate 11 is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11a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saxophone part 11 is provided. The pedestal 10 made of a flange 13 provi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by bending the pedestal to the rear side, and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side of the mounting plate part 11 of the pedestal 10 A roller shaft 33 of a length material, a roller tube 34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roperty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shaft 33, and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ller shaft 33 are attached to the mounting plate part 11, respectively. A stand (1) for a saxophone consisting of a bell fixing part (30)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mounting brackets (31, 32) for fixing and supporting is shown.

도 4는 도 3의 색소폰용 스탠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4 is a view of the saxophone stand of FIG. 3 viewed from above.

도면에는, 거치판부(11)와 플랜지(13)로 구성된 받침대(10)와, 이 받침대(1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나사부재(n1)로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상마운팅브래킷(31)과, 이들 한 쌍의 상마운팅브래킷(31)에 대해 좁은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거치판부(11)의 하부에 하나사부재(n2)로 결합고정되는 하마운팅브래킷(32)으로 구성된 벨고정부(30)로 이루어진 색소폰용 스탠드(1)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a pedestal 10 composed of a mounting plate 11 and a flange 13, and a pair of upper mounting brackets fixed by upper screw members n1 on both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10 ( 31) and a bell fixing part composed of a mounting bracket 32 coupl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plate 11 by a single thread member n2 while having a narrow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pair of upper mounting brackets 31 A stand 1 for a saxophone made of 30 is shown.

도 5는 도 3의 색소폰용 스탠드를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5 is a view of the saxophone stand of FIG. 3 viewed from the left.

도면에는, 판재형의 부재로 제공되되 색소폰 벨(sb)이 접촉되는 접촉면상에 직물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보호패드(p)가 부착 구비되는 거치판부(11) 및 이 거치판부(11)의 하단을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굽힘 성형하여 된 플랜지(13)로 이루어진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를 구성하는 거치판부(11)의 상부에 상나사부재(n1)에 의해 나사고정되는 상마운팅브래킷(31)과, 상기 거치판부(11)의 하부에 하나사부재(n2)에 의해 나사고정되는 하마운팅브래킷(32) 그리고 상기 상,하마운팅브래킷(31,3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롤러 샤프트(33) 및 이 롤러 샤프트(33)의 외면을 감싸는 완충성을 갖는 롤러 튜브(34)로 이루어진 벨고정부(30)로 구성된 색소폰용 스탠드(1)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s, a mounting plate 11 provided as a plate-shaped member and provided with a protective pad p made of any one of a textile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rubber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to which the saxophone bell (sb) is in contact, and the mounting plate part 11 and this mounting A pedestal 10 comprising a flange 13 formed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plate 11 to the left based on the drawing, and an upper screw member n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11 constituting the pedestal 10 . ),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screwed by the, and the mounting bracket 32 screw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plate 11 by a single thread member n2, and the upper and lower mounting brackets 31, A stand (1) for saxophone composed of a bell fixing part (30) consisting of a roller shaft (33) supported at both ends by 32) and a roller tube (34) having a buffering property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shaft (33) is shown. has bee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와이어다리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wire leg in a stand for a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좌,우 수직하게 구비되되 각 상단은 받침대(10)의 상단 양측에 마련된 걸림홈(11a)을 통과하여 상기 벨고정부(30)를 구성하는 상마운팅브래킷(31)의 측면에 형성된 축홀(31b)에 축끼움되도록 굽힘된 축부(52)를 구비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51)와, 이들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51)를 하단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부(53)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부(53)에 끼움 구비되어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된 미끄럼 방지구(55)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vertically provided, and each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s 11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10 to form the shaft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constituting the bell fixing part 30 . A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51 having a shaft portion 52 bent so as to be shaft-fitted to 31b, a horizontal frame portion 53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51 from the lower end, and the A non-slip tool 55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for preventing slippage by being fitted in the horizontal frame part 53 is show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에서 벨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ll fixing unit in 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받침대(10)를 구성하는 거치판부(11)의 상·하측에 상나사부재(n1)와 하나사부재(n2)로 나사고정되는 상마운팅브래킷(31)과 하마운팅브래킷(32) 그리고 이들 상마운팅브래킷(31)화 하마운팅브래킷(32)에 양단이 지지되는 길이재의 롤러 샤프트(33) 및 이 롤러 샤프트(33)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완충성을 갖는 롤러 튜브(34)로 이루어진 벨고정부(30)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and the lower mounting bracket 32 are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late 11 constituting the pedestal 10 with the upper screw member n1 and the single screw member n2. And a roller shaft 33 of a length material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and the mounting bracket 32 and a roller tube 34 having a cushioning property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shaft 33 Bell fixing part 30 made of is shown.

부연설명을 하면, 상기 상마운팅브래킷(31)은 저면에 상나사홀(31a)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부(11)와 상나사부재(n1)로 나사결합되고, 측면에는 상기 접촉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와이어다리(50)의 축부(52)가 축끼움되는 축홀(31b)이 형성되고, 이 축홀(31b)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타측면에는 롤러 샤프트(33)의 상단이 조립되는 상 베어링홀(31c)이 형성되는 구성이다.To elaborate,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has an upper screw hole 31a formed on its bottom surface to be screwed with the holding plate 11 and the upper screw member n1, and the sid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A shaft hole 31b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52 of the wire bridge 50 is shaft-fitted is formed at a spaced apart posi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roller shaft 33 is assembled on the other sid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haft hole 31b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earing hole 31c is formed.

상기 하마운팅브래킷(32)은 거치판부(11)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부(11)와 함께 하나사부재(n2)로 결합 고정되는 하나사홀(32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상나사홀(31a)과 대응하는 하나사홀(32a)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33)의 하단이 조립되는 구성이다.The mounting bracket 32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11, and 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a single screw hole 32a that is coupled and fixed together with the holding plate 11 by a single screw member n2, and on the side surface One screw hole 32a corresponding to the upper screw hole 31a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oller shaft 33 is assembled.

상기 롤러 샤프트(33)는 도면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양단의 지름이 감소된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상 베어링홀(31c)과 하 베어링홀(32c)에 끼움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oller shaft 33 is provided with a reduced diameter at both ends, and is rotatably provided by being fitted in the upper bearing hole 31c and the lower bearing hole 32c.

상기 롤러 튜브(34)는 상기 롤러 샤프트(33)의 외면을 감싸도록 끼움 구비되는 관형상의 부재로 완충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재이나 우레탄재로 제공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롤러 튜브(34)는 상기 거치판부(11)의 접촉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 간격 사이로 색소폰 벨(sb)의 테두리 부분이 진입하여 거치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The roller tube 34 is a tubular member fitt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shaft 33, and is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rubber material with excellent cushioning properties, a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ilicone material or a urethane material. suggest Since the roller tube 34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1 at a distance, the rim portion of the saxophone bell sb enters between this gap to form a mounting stat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며, 다만 롤러 샤프트(33)에 구형의 완충볼(35)을 복수 끼움 구성한 색소폰용 스탠드(1)가 도시되어 있다.The figure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axophone stand 1 is shown in which a plurality of spherical buffer balls 35 are inserted into the roller shaft 33 .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saxophon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1)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받침대(10)와, 이 받침대(10)를 지면에서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와이어다리(50) 그리고 상기 받침대(10)의 일측면에 제공되어 색소폰 벨(sb)을 위에서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받침대(10)와 함께 고정 지지력을 작용하는 벨고정부(30)로 구성된다.The stand (1) for sax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0 forming a large outer body, a wire leg 50 supporting the pedestal 10 to be erected obliquely from the ground, and one side of the pedestal 10 It is provided in the saxophone bell (sb) by the entry from above is composed of a bell fixing portion 30 that acts as a fixed support force together with the pedestal (10).

받침대(10)는 색소폰의 벨(sb)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것으로 거치판부(11)와, 이 거치판부(11)의 하부를 일측으로 굽힘 가공하여 지면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한 플랜지(13)로 구성된다.The pedestal 10 forms a flat contact surface where the bell (sb) part of the saxophone is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plate 11 and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late 11 is bent to one side so that it can surface-contact the ground. It consists of a flange (13).

상기 거치판부(1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색소폰 벨(sb)을 충분히 거치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판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상단부 좌,우측에는 하 방향으로 개방된 걸림홈(11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걸림홈(11a)의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후술할 와이어다리(50)의 상단부가 통과가 상기 거치판부(11)로부터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규제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unting plate 11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n area sufficient to mount the saxophone bell sb, and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plate, and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re is formed a locking groove 11a open downward, and the upper end of the wire leg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support plate 11 by a certain angle or more due to the structural shape of the locking groove 11a. It can be regulated so it doesn't happen.

한편, 본 발명에서의 거치판부(11)는 색소폰 벨(sb)과의 접촉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성을 갖는 보호용패드(p)가 부착 구비되며, 이때의 보호용패드(p)는 직물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plate portion 1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pad (p) having a buffering property to prevent damage due to friction when in contact with the saxophone bell (sb), the protective pad (p) at this time ) may be provided as a fabric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rubber material, and the like.

상기 플랜지(13)는 상기 거치판부(11)의 하단부를 일측으로 굽힘 성형하여 된 것으로, 색소폰 벨(sb)을 거치시키기 위하여 받침대(10)를 경사지게 세운 상태에서 그 하면이 지면에 폭넓게 접촉될 수 있도록 즉, 면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요소이다. 이러한 플랜지(13)는 상기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쉽게 미끄러져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패드(13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ange 13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late 11 to one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axophone bell sb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10 is inclinedly erected to be in wide contact with the ground. That is, it is an element provided so that it can be interview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13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ad 13a to prevent it from easily sliding and flowing whi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와이어다리(50)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부 양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10)로부터 이격되어 펼쳐지는 것에 의해 그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받침대(10)가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지지요소이다.The wire leg 5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both upper ends of the pedestal 10,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edestal 10 and unfolding, resulting in the pedestal 10. It is a supporting element that maintains the inclined standing state.

이러한 와이어다리(50)는 강선이나 금속튜브를 굽힘 성형한 것으로 수직프레임부(51)와 수평프레임부(53) 그리고 미끄럼방지부(55)로 구성된다.The wire bridge 50 is formed by bending a steel wire or a metal tube and includes a vertical frame portion 51 , a horizontal frame portion 53 , and an anti-slip portion 55 .

상기 수직프레임부(51)는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되, 수직하게 배치되며 그 상단이 상기 받침대(10)를 구성하는 거치판부(11)에 형성된 걸림홈(11a)을 통과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51)의 상단 끝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굽힘된 축부(52)가 구비되며, 이때의추부는 상기 벨고정부(30)를 구성하는 상마운팅브래킷(31)의 축홀(31b)에 축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vertical frame part 51 is provid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is vertically disposed and the upper end of which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 11a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part 11 constituting the pedestal 10,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51 is provided with a shaft portion 52 bent vertical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weight portion at this time is an upper mounting bracket 31 constituting the bell fixing portion 30 . It is shaft-fitted to the shaft hole 31b of the rotatably provided.

상기 수평프레임부(53)는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51)의 하단을 가로로 연결하는 연결요소로, 강선이나 금속튜브를 사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부(5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orizontal frame part 53 is a connecting element that horizontally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51,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vertical frame part 51 using a steel wire or a metal tube or separately. It will be provided as a member of the assembly.

상기 미끄럼방지부(55)는 상기 수평프레임부(53)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거치판부(11)로부터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프레임부(53)가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제공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프레임부(53)에 끼움 구비되도록 관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다.The anti-slip part 55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frame part 53 and is a synthetic resin element for preventing the horizontal frame part 53 from sliding o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it is rotated from the holding plate part 11 and unfolded. It is provided in a material or rubber material,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emplified that it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so as to be fitted to the horizontal frame part 53 .

한편 상기 와이어다리(50)는 상기 받침대(10)의 거치판부(11)에 접혀진 상태에서 쉽게 회동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판부(11)의 후면측에 상기 와이어다리(50)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끼움 고정시키는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받침대(10)와 와이어다리(50) 중 어느 하나는 금속재로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일례로 자력 부착식의 경우에는 와이어다리(50)를 금속재로 하고 거치판부(11)의 후면 일측에 상기 와이어다리(50)가 접촉하는 부분에 자석을 구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leg 50 is a part of the wire leg 50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11 so as not to be easily rotated and moved in a folded state on the supporting plate 11 of the pedestal 10 elastically. A structure for fitting and fixing may be provided, and in addition, any one of the pedestal 10 and the wire leg 50 is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magnet to maintain the attached state by magnetic for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agnetic attachment type, the wire leg 5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magnet may be provided in a portion in which the wire leg 5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11 .

벨고정부(30)는 상기 받침대(10)를 구성하는 거치판부(11)의 접촉면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하면서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치되되 상기 거치판부(11)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롤러 튜브(34)를 구성한 것에 의해 상기 색소폰 벨(sb)이 이들 한 쌍의 롤러 튜브(34)의 사이로 진입하여 아래로 진행하면서 진입각도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끼움되어 고정지지되도록 하는 요소이다.The bell fixing part 30 is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part 11 constituting the pedestal 10 and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as it progress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ing plate part 1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axophone bell (sb) enters between the pair of roller tubes 34 by configuring a pair of roller tubes 34 that become It is a supporting element.

이러한 벨고정부(30)는 크게 거치판부(11)의 접촉면 상의 상단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마운팅브래킷(31)과, 이 상마운팅브래킷(31)에 대해 좁은 간격으로 상기 거치판부(11)의 접촉면 상의 하단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하마운팅브래킷(32) 그리고 이들 상마운팅브래킷(31)과 하마운팅브래킷(3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롤러 샤프트(33) 및 이 롤러 샤프트(33)의 외면을 감싸는 것으로 완충재로 된 롤러 튜브(34)로 구성된다.This bell fixing part 30 is largely provided with a pair of upper mounting brackets 31 provid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1, and the supporting plate part ( 11) a pair of mounting brackets 32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tact surface, and a roller shaft 33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upper mounting brackets 31 and the mounting bracket 32, and the roller shaft ( 33) is composed of a roller tube 34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상기 상마운팅브래킷(31)은 높이를 갖는 부싱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거치판부(11)의 접촉면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부(11)와 함께 상나사부재(n1)로 체결 고정되는 상나사홀(31a)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측면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다리(50)의 축부(52)가 축끼움되는 축홀(31b)이 형성되며, 상기 축홀(31b)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측면 타측에는 상 베어링홀(31c)이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shing having a height and is coupl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11, and is fastened and fixed with the upper screw member n1 together with the mounting plate 11 on the bottom surface. An upper screw hole 31a is formed, and a shaft hole 31b into which the shaft portion 52 of the wire leg 50 is shaft-fit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contact surface, and the shaft hole 31b and positional interference The upper bearing hole 31c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that does not do so.

상기 하마운팅브래킷(32)은 상기 거치판부(11)의 접촉면상에서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상마운팅브래킷(31)과 마찬가지로 높이를 갖는 부싱형태로 제공되되 그 하면은 상기 거치판부(11)와 함께 하나사부재(n2)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사홀(32a)이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상기 상 베어링홀(31c)과 대응하는 하 베어링홀(32c)이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mounting bracket 32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1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shing having a height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mounting bracket 31,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together with the mounting plate 11. One screw hole 32a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astened and fixed by the single yarn member n2, and a lower bearing hole 32c corresponding to the upper bearing hole 31c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상기 롤러 샤프트(33)는 상기 상 베어링홀(31c)과 하 베어링홀(32c)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후술할 롤러 튜브(34)를 지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롤러 샤프트(33)는 상기 거치판부(11)의 접촉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Both ends of the roller shaft 33 are rotatably fitted to the upper bearing hole 31c and the lower bearing hole 32c, and ar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roller tube 34 to be described later. The roller shaft 33 should be provided to form a gap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mounting plate 11 .

상기 롤러 튜브(34)는 상기 롤러 샤프트(33)의 외면을 감싸는 완충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또는 직물재 등으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거치판부(11)의 접촉면에 대하여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이 간극으로 색소폰 벨(sb)의 테두리 부분이 진입하여 끼움 지지된다.The roller tube 34 is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rubber material, or textile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roperty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shaft 33, and is provided to form a gap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part 11 and the rim portion of the saxophone bell (sb) enters into this gap and is f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용 스탠드의 사용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use case of the saxophon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연주자가 색소폰의 사용을 끝낸 뒤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본 발명의 색소폰용 스탠드(1)을 구성하는 요소 중 받침대(10)로 부터 와이어다리(50)를 회동시켜 펼친 뒤 바닥에 놓는다.First, when not in use after the player has finished using the saxophone, the wire legs 50 are rotated from the pedestal 10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tand 1 for the sax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read out and placed on the floor.

그리고, 색소폰의 벨(sb) 부분을 상기 받침대(10)의 상측에 위치시킨 뒤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롤러 튜브(34) 사이로 진입시킨다. Then, the bell (sb) portion of the saxophon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10, and then enters between the pair of roller tubes 34 arranged left and right.

이어서, 상기 색소폰의 벨(sb) 부분은 상기 롤러 튜브(34)와 거치판부(11) 사이의 간격에 테두리 부분이 위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롤러 튜브(34)를 따라 하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롤러 튜브(34)는 하방향으로 향하면서 간격이 좁아지는 각도를 형성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색소폰 벨(sb)은 거치판부(11)와 롤러 튜브(34) 사이에 자연스럽게 견고하고 안정된 거치 상태를 이루게 된다.Then, the bell (sb) portion of the saxophone proceeds downward along the pair of roller tubes 34 in a state where the edge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gap between the roller tube 34 and the mounting plate portion 11. , At this time, as the pair of roller tubes 34 form an angle at which the gap is narrowed while facing downward, as a result, the saxophone bell sb is naturally firm between the mounting plate 11 and the roller tube 34 . and achieve a stable mounting state.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use it by changing the application site,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ith knowledg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색소폰용 스탠드 10 : 받침대
11 : 거치판부 11a : 걸림홈
13 : 플랜지 30 : 벨고정부
31 : 상 마운팅 브래킷 31a : 상나사홀
31b : 축홀 31c : 상 베어링홀
32 : 하 마운팅 브래킷 32a : 하나사홀
32c : 하 베어링홀 33 : 롤러 샤프트
34 : 롤러 튜브 50 : 와이어다리
51 : 수직프레임부 52 : 축부
53 : 수평프레임부 55 : 미끄럼방지부
p : 보호용패드 sb : 색소폰 벨
1: stand for saxophone 10: stand
11: support plate part 11a: locking groove
13: flange 30: bell fixing part
31: upper mounting bracket 31a: upper screw hole
31b: shaft hole 31c: upper bearing hole
32: lower mounting bracket 32a: Hanasa hole
32c: lower bearing hole 33: roller shaft
34: roller tube 50: wire leg
51: vertical frame part 52: shaft part
53: horizontal frame part 55: non-slip part
p : protective pad sb : saxophone bell

Claims (5)

색소폰의 벨 부분이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 것으로 상부 양측에 걸림홈을 형성한 거치판부 및 이 거치판부의 하부에 일측으로 굽힘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플랜지가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거치판부의 접촉면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되 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면서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색소폰의 벨 부분을 위에서부터 진입시켜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벨에 접촉되는 완충성을 갖는 롤러 튜브를 구비한 벨고정부와, 상기 받침대의 걸림홈을 통과하여 벨고정부의 일측에 축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그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받침대를 경사지지하는 와이어 다리로 이루어진 색소폰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벨고정부는, 상기 거치판부의 접촉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부와 함께 나사부재로 체결 고정되는 상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측면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 다리의 상단이 축끼움되는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축홀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측면 타측에는 상 베어링홀이 형성된 상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거치판부의 접촉면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부와 함께 나사부재로 체결 고정되는 하나사홀이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는 상기 상 베어링홀과 대응하는 하 베어링홀이 형성된 하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상·하 베어링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지지되는 롤러 샤프트 및 이 롤러 샤프트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완충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또는 직물재로 된 롤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다리는 좌,우 수직하게 구비되되 각 상단은 상기 받침대의 상단 양측에 마련된 걸림홈을 통과하여 상기 벨고정부의 상부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끼움되도록 수직하게 굽힘된 축부를 구비한 수직프레임부와, 이 한 쌍의 수직프레임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부와, 이 수평프레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된 미끄럼 방지구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후면으로 접혀진 와이어 다리는 자력에 의해 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와 와이어 다리 중 어느 하나는 금속재로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거치판부의 하단을 굽힙 성형하여 지면에 면접촉되도록 구비되되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져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패드가 구비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A pedestal provided with a flat contact surface to which the bell part of the saxophone is in contact, a mounting plate having lock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a flange bent to one sid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late to contact the ground,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It is provid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y being arranged to narrow the distan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bell part of the saxophone is entered from the top and fixedly supported to provide a buffering property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ell. A bell fixing part having a roller tube having, passing through the locking groove of the pedestal and being pivotally fitted to one side of the bell fixing part so as to be rotatably provided, the lower end of which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incline the pedestal as a wire leg In the saxophone stand made of,
The bell fixing part is provided above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lding plate part, and an upper screw hole for fastening and fixing with a screw member together with the holding plate pa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wire leg is on one side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contact surface. An upper mounting bracket having an upper bear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osition of the shaft hole, and provided under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on the bottom surface, fastened together with the mounting plate with a screw member. A lower mounting bracket having a single screw hole formed therein, a lower bear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eari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roller shaft having both ends rotatab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bearing holes, and an outer surface of the roller shaft Composed of a roller tu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rubber material or fabric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roperty by being fitted to the;
The wire legs are provided vertically to the left and right, and each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locking groov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and has a vertical frame part having a shaft bent vertically so as to be rotatably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ell fixing part. and a horizontal frame part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and a non-skid device made of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part to prevent slipping;
One of the pedestal and the wire leg is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magnet so that the wire leg folded toward the rear of the pedestal can be maintained in an attached state by magnetic force;
The flange is provi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riction pad is provided to prevent sliding whi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색소폰의 벨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직물재, 합성수지재, 고무재 중 어느 하나로 된 보호용 패드가 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탠드.
The stand for saxo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pad made of any one of a textile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rubber material attached to a contact surface of the saxophone bell.
KR1020200147789A 2020-11-06 2020-11-06 Stand For Saxophone KR102306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789A KR102306367B1 (en) 2020-11-06 2020-11-06 Stand For Sax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789A KR102306367B1 (en) 2020-11-06 2020-11-06 Stand For Saxo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367B1 true KR102306367B1 (en) 2021-09-30

Family

ID=7792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789A KR102306367B1 (en) 2020-11-06 2020-11-06 Stand For Sax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36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791B1 (en) 2014-05-21 2015-05-12 노동민 Wind instrument stand
KR101676922B1 (en) 2014-01-06 2016-11-17 어수지 Integrated saxophon performance stand for 3 kind(music stand. music rack. performance fixture)
KR101828171B1 (en) 2015-09-07 2018-02-12 어영호 Saxophone Multi Stand
KR101831729B1 (en) 2016-07-22 2018-02-23 서윤석 Saxophone holder
KR101850646B1 (en) 2017-04-05 2018-04-20 박규한 Stand for saxo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922B1 (en) 2014-01-06 2016-11-17 어수지 Integrated saxophon performance stand for 3 kind(music stand. music rack. performance fixture)
KR101519791B1 (en) 2014-05-21 2015-05-12 노동민 Wind instrument stand
KR101828171B1 (en) 2015-09-07 2018-02-12 어영호 Saxophone Multi Stand
KR101831729B1 (en) 2016-07-22 2018-02-23 서윤석 Saxophone holder
KR101850646B1 (en) 2017-04-05 2018-04-20 박규한 Stand for saxopho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색소폰스탠드의 새로운 디자인 FF 스탠드", 2016.09.16.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seoman3/22081323380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5468B1 (en) Combination guitar arm rest and leg rest for improved guitar sound resonance
US5375497A (en) Adjustable instrument stand
US7375269B2 (en) Bass guitar stand up adapter
US9715869B1 (en) Banjo stand for seated players
US7732689B1 (en) Foldable and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musical instrument used in seated position
CN101809649B (en) Adapter piece
JP2011514554A (en) Shoulder rest for stringed instruments
US7659463B2 (en) Viola/violin shoulder rest
JP2001296869A (en) Electric stringed music instrument
US9812102B2 (en) Ergonomic support apparatus
KR101214895B1 (en) violin chin-rest adapter
US3988958A (en) Thumb rest for a musical wind instrument
KR102306367B1 (en) Stand For Saxophone
KR20100134327A (en) Stand of saxophone
USRE31722E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572050A (en) No strap saxophone stand
KR20210040506A (en) Stand For Saxophone
US20040094585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073999A (en) Combination musical instrument stand and chair
US4247029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frame therefor
KR20210040507A (en) Stand For Saxophone
US8878038B1 (en) Adjustable percussion mounting
KR200267781Y1 (en) bridge for stringed instrument
JP3580208B2 (en) String instrument
US9978351B1 (en) Modular apparatus for self-supported wielding of musical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