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062B1 - Movable Loudspeaker - Google Patents

Movable Loud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062B1
KR102306062B1 KR1020200089372A KR20200089372A KR102306062B1 KR 102306062 B1 KR102306062 B1 KR 102306062B1 KR 1020200089372 A KR1020200089372 A KR 1020200089372A KR 20200089372 A KR20200089372 A KR 20200089372A KR 102306062 B1 KR102306062 B1 KR 102306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longitudinal direction
loudspeak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혜정
Original Assignee
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정 filed Critical 박혜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ortable loudspeaker. The portable loudspea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one or more loudspeaker parts that convert and amplify an electric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frame coupled to the loudspeaker part to support the loudspeaker part; a battery mounting part located inside the frame, and having a battery mounted therein; a control part integrate-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art, and having a control panel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thereof; and a direction adjustment part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frame so that one end part of the frame and one end part of the loudspeaker part are activated according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wherein the battery mounting part and the control part may automatically maintain a horizontal based on the fram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such as leakage of an electrolyte from the battery.

Description

이동식 확성기{Movable Loudspeaker}Movable Loudspeaker

본 발명은 이동식 확성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loudspeaker.

일반적으로 확성기는 코일 및 영구자석으로 울림판을 진동시키는 방식으로 전기적 신호를 음성적 신호로 변환하는 앰프, 앰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확성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및 앰프에서 발생한 음성적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혼을 포함한다.In general, a loudspeaker is an amplifier that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audio signal by vibrating a sounding board with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amplifie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loudspeaker, and the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amplifier. It contains a horn that is oriented in a direction.

확성기의 작동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거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행시키면, 제어부에서는 음성 신호 또는 저장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앰프로 전달하고, 앰프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음성적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음성적 신호는 혼을 타고 기설정된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이다.Briefly explaining how the loudspeaker works, when a user inputs a voice through a microphone or executes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voice signal or the stored data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amplifier, and the amplifier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and the converted voice signal is sprea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riding on the horn.

이때, 일정 이상의 출력을 가지는 확성기는 필연적으로 부피 및 질량이 무거워질 수밖에 없어 위치를 변경하거나 지향 방향을 바꾸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에 확성기를 설치하는 방법이 존재하였지만, 이런 개조는 자동차관리법을 위반하는 사항 중 하나였다.In this case, a loudspeaker having an output greater than a certain amount inevitably becomes heavy in volume and mass, so it is difficult to change a position or change a direction.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stalling a loudspeaker in a vehicle existed, but such modification was one of the violations of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또한, 고출력의 확성기는 필연적으로 용량이 큰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데 현존하는 비용 대비 에너지 저장량이 가장 높은 배터리인 납 축전지는 납 전극과 황산 용액으로 된 전해액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납 배터리는 안전 장치 없이 사용한다면, 이송 중 전복되거나 충격 등으로 인해 황산 용액이 외부로 유출되며 환경 오염을 유발하거나 사용자가 황산에 노출되는 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a high-power loudspeaker inevitably requires a large-capacity battery, and the lead-acid battery, which has the highest energy storage capacity compared to the cost, consists of a lead electrode and an electrolyte of a sulfuric acid solution. If such a lead battery is used without a safety device, the sulfuric acid solution may leak to the outside due to overturning during transport or an impact, etc.

이에 따라, 이동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성과 출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확성기의 대두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loudspeaker capable of simultaneously securing stability and output while having mo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성을 가지고 지향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확성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udspeaker capable of easily changing a directing direction with mobility and ensuring safe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하나 이상의 확성부; 상기 확성부와 결합되어 상기 확성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일측면과 일체로 결합되고, 외측면에 제어패널이 형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확성부의 일단부가 지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기동되도록 하는 지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는 이동식 확성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loudspeaker for converting and amplify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frame coupled to the loudspeaker to support the loudspeaker; a battery mounting unit located inside the frame and having a battery mounted therein; a control unit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and having a control panel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an orientation control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so that one end of the frame and one end of the loudspeaker are activ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wherein the battery moun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automatically based on the frame A portable loudspeaker is provided that is leveled with th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고, 상기 확성부와 접하는 면에 상기 확성부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확성부를 결속시키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바 형상의 제2 프레임바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고, 일측면이 외부로 개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장착케이스; 및 상기 장착케이스의 외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바의 상단부와 접하는 한 쌍의 균형축을 포함하며, 상기 균형축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은 상호 일치하고, 상기 균형축의 길이 방향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가 형성하는 무게중심과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 프레임바의 상단부의 중심에는 상기 균형축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갖고, 상기 균형축이 삽입되는 홈인 회전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bar-shaped second frame bar in which a first coupling member for binding the loudspeaker is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udspeaker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udspeaker. Including, wherein the battery mounting unit, the battery is mounted therein, a mounting case in which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and a pair of balancing shaft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ase to both sides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bar, wherein extension lines of the balancing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ing shaft is the The battery mount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enter of gravity formed by the batter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bar has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e shaft. and a rotation groove that is a groove into which the balance shaft is insert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확성부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바 형상의 제1 프레임바; 복수개의 상기 제1 프레임바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바 및 상기 제2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며, 일측면에 지지바퀴가 형성되는 지지바; 상기 제1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바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 또는 상기 제1 프레임바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상기 확성부의 외측면과 접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제3 프레임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bar-shaped first frame bar provided in plurality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udspeaker; a support ba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bars,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bar and the second frame bar, and having a support wheel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reinforcing bar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bar and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bar; and a third frame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or the first frame bar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udspeaker on an outer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장착케이스의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mounting un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case.

또한, 상기 지향조절부는, 상기 제3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3 프레임바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지향바 및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향바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3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며, 양 단부가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향바를 가지는 지향프레임;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지면을 향한 면에서 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받침판; 외측면이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지향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관재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지향조절실린더; 및 상기 지향조절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지향조절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지향조절기둥을 가지는 지향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bar,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ng bars and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ng bars that pass through and are coupled to the third frame bar It is disposed between the bars,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acing bar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bar,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facing bars a directional frame having one or more second directional bars; a handle extending from one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a plate-shaped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the support member being formed in contact with and supporting the ground in a surface facing the ground; a direction control cylinder having an outer surface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a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the same tube shape as that of the first directing bar, and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direction control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direction control cylinder,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has a direction control column which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 control cylinder through ro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는 이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portable loud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leakage of electrolyte from a battery while securing mo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는 용이하게 지향 방향을 변경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portable loud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leakage of electrolyte from a battery while easily changing a direction of orien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 배터리 장착부, 제어부 및 지향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2 프레임과 배터리 장착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지향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한 지향조절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프레임 및 배터리 장착부가 기울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loud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the battery mount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orientation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 .
3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rame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shown in FIG. 2 are coupl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shown in FIG. 1 .
5 (a) and (b)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are inclin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shown in FIG. 1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loud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는 확성부(100), 프레임(300), 배터리 장착부(500), 제어부(700) 및 지향조절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udspeaker 100 , a frame 300 , a battery mounting unit 500 , a control unit 700 , and a direction control unit 900 . can do.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는 이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leakage of electrolyte from a battery while securing mo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성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의 사용 상황이나 장소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의 증폭이 필수적인 경기장과 같은 장소라면 확성부(100)를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고, 거주민들이 많은 주거 지역과 같은 장소라면 인근 지역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확성부(100)의 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loudspeakers 10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age situation or location of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a place such as a stadium where voice amplification is essential, a plurality of loudspeakers 100 may be provided. can be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reduce the number of

또한, 확성부(100)는 드라이버 유닛(110), 혼(130) 및 확장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loudspeaker 100 may include a driver unit 110 , a horn 130 , and an extension member 150 .

드라이버 유닛(110)은 하나 이상 구비되어, 후술할 제어부(700) 또는 배터리 장착부(500)와 전선(미도시)을 매개로 유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유닛(110)은 제어부(700)로부터 전력과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적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발음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버 유닛은 내부에 전자석과 진동판을 구비하는 다이나믹 드라이버 구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제 한정하지 않으며, 전기적 신호를 음성적 신호로 용이하게 변환 및 증폭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 및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One or more driver units 110 may be provided and may be wiredly coupled to a control unit 700 or a battery mount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n electric wire (not shown). In addition, the driver unit 110 may be a sound emitting body that receives power and electrica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700 , converts them into audio signals, and amplifies the size of the signals. To this end, the driver unit may use a dynamic driver structure having an electromagnet and a diaphragm therei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may be used as long as an electrical signal can be easily converted and amplified into an audio signal.

한편, 혼(130)은 드라이버 유닛(110)의 개수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 구비되어, 일단부가 드라이버 유닛(110)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확장부재(1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혼(130)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고, 중심부에 중공부를 가지며, 드라이버 유닛(110) 방향에서 확장부재(150) 방향으로 갈수록 폭 방향 단면적이 커지는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one or more horns 13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driver units 110 , and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r unit 110 ,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extension member 150 . In addition, the horn 13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has a hollow in the center, and can be formed in a tube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width direction increases from the driver unit 110 direction to the extension member 150 direction. have.

혼(130)은 드라이버 유닛(110)에서 발생한 음성적 신호를 내부에서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드라이버 유닛(110)에서 발생한 음성적 신호가 혼(130)의 타단부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한다.The horn 130 allows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driver unit 110 to be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horn 130 in such a way that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driver unit 110 is reflected from the inside.

확장부재(15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혼(130)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일단부 방향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 방향 단면적이 넓어지는 깔대기(Funnel)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xpansion member 150 may have a funnel shape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therein,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rn 13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width direction increases from one end direction to the other end direction. .

확장부재(1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13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확장부재(150)는 혼(13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회절을 통해 혼(130)에서 지향된 음성적 신호가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tension member 15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horn 130 as shown in FIG. 1 . The extension member 150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horn 130 so that a voice signal directed from the horn 130 is diffused through diffrac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 배터리 장착부, 제어부 및 지향조절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2 프레임과 배터리 장착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the battery mount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orientation adjustment unit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rame shown in FIG. 2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are coupled.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에서 보았을 때, 제1 프레임바(310)에서 보강바(390)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고, 보강바(390)에서 제1 프레임바(310)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s seen in FIG. 2 , the direction of the reinforcement bar 390 in the first frame bar 310 is defined upward, and the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bar 310 is defined in the direction of the reinforcement bar 390 as downward. Explai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300)은 제1 프레임바(310), 제2 프레임바(330), 지지바(350), 제3 프레임바(370) 및 보강바(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300 includes a first frame bar 310 , a second frame bar 330 , a support bar 350 , a third frame bar 370 and a reinforcing bar. (3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바(310)는 확성부(100)의 혼(13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혼(130)의 길이 방향과 유사한 길이 방향을 가지되, 제1 프레임바(310)의 일단부는 타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면과 수평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혼(130)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하여, 후술할 지향조절부(900)의 지향 조절 과정에서도 각 구성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bar 310 may have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n 130 of the loudspeaker 100 . For example, it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simi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n 130, one end of the first frame bar 310 may be located above the other end. Through this, by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n 130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each configuration can be easily supported in the orientation adjustment process of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900 to be described later. .

또한, 제1 프레임바(310)는 복수개, 예를 들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임바(310)는 상호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이격된 거리 사이에는 후술할 제어부(700) 및 배터리 장착부(500)가 위치될 수 있다.Also, a plurality of first frame bars 31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a pair. The pair of first frame bars 31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ntrol unit 700 and a battery mounting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parated distances.

한편, 제2 프레임바(330)는 하단부가 제1 프레임바(310)의 상면과 결합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을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바(33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제2 프레임바(330)의 전체적인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frame bar 33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ar 310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is time, the second frame bar 330 has a hollow portion therein, so that the overall weight of the second frame bar 330 can be reduced.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바(330)의 상단부 중 일부가 절단되며 가이딩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딩홈(333)의 깊이는 제2 프레임바(330)의 중심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bar 330 may be cut and a guiding groove 333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guiding groove 333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frame bar 330 .

또한, 가이딩홈(333)의 중심부에는 회전홈(335)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홈(335)은 배터리 장착부(500)의 균형축(5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균형축(530)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groove 335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iding groove 333 . The rotation groove 335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ance shaft 530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so that the balance shaft 530 is inserted.

사용자는 가이딩홈(333) 및 가이딩홈(333)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홈(335)에 배터리 장착부(500)의 균형축(530)을 삽입하는 것으로 프레임(300)에 배터리 장착부(500)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장착부(500)와 배터리(2), 그리고 제어부(700)의 결합체는 출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평형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 질량이 무거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정비 과정에서 배터리 장착부(500)와 프레임(300)을 분리하고,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그 질량으로 인해 균형축(530)을 회전홈(335)에 맞춰서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user combines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to the frame 300 by inserting the balancing shaft 530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into the guiding groove 333 and the rotation groove 335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iding groove 333 . can do. However, the mass of the assembly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 the battery 2 , and the control unit 700 is heavy in order to stably secure an output and at the same time have a stable balance. For this reason, it may be difficult to insert the balance shaft 530 into the rotation groove 335 due to its mas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recombining the battery mounting part 500 and the frame 300 in the maintenance proces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 프레임바(330)의 중심부로 갈수록 절단되는 정도가 커지는 가이딩홈(333)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딩홈(333)은 균형축(530)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더라도, 가이딩홈(333)의 상면을 따라 균형축(530)이 미끄러져 내려오며 회전홈(335)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guiding groove 333 having an increased degree of cut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frame bar 330 may be formed. The guiding groove 333 may allow the balance shaft 530 to slide dow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ing groove 333 and be seated in the rotation groove 335 even if the balance shaft 530 is not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이를 위해, 가이딩홈(333)과 회전홈(335)의 길이 방향과 가이딩홈(333) 및 회전홈(335)의 중심부의 길이 방향은 균형축(53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균형축(53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ing groove 333 and the rotating groove 335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guiding groove 333 and the rotating groove 335 ar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e shaft 530, The shaft 530 may be easily inserted.

제2 프레임바(330)의 확성부(100)와 대응되는 외측면에는 제1 결합부재(33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331)는 만곡된 부분의 내측면이 확성부(100)의 혼(130)의 외측면과 접하는 동시에 양 단부가 제2 프레임바(330)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편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first coupling member 331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udspeaker 100 of the second frame bar 330 .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33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n 130 of the loudspeaker 100 , and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331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bar 330 . may have a horseshoe shape.

제1 결합부재(331)는 제2 프레임바(330)의 외측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확성부(100)가 선택적으로 프레임(3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member 33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bar 330 , so that the loudspeaker 100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rame 3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바(350)는 제1 프레임바(310) 및 제2 프레임바(3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을 가지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바(350)의 외측면은 복수개의 제1 프레임바(310)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복수개의 제1 프레임바(310)를 상호간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ar 350 may have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bar 310 and the second frame bar 330 .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35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bars 310 to bind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bars 310 to each other.

지지바(350)의 외측면 중 지면을 항한 면에는 지지바퀴(35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퀴(351)는 지지바(350)의 하측면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지지바(35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A support wheel 351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ground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 350 . The support wheel 351 is provided to rotatably rotate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350 , and whil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350 , the mobi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can make it happe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프레임바(370)는 지지바(350)와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바(370)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제3 프레임바(370) 중 하나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바(310)의 일단부들과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frame bar 37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the same length direction as that of the support bar 35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ird frame bars 370 may be provid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third frame bars 37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bars 310 .

제1 프레임바(310)와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제3 프레임바(370)는 제1 프레임바(310)와 결합된 제3 프레임바(370)의 상방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후술할 지향조절부(900)를 통해 상호간 결속될 수 있다.The remaining third frame bar 370 that is not coupled to the first frame bar 310 is disposed above the third frame bar 370 coupled to the first frame bar 3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n orientation control unit 900 to be described later.

제3 프레임바(370)의 확성부(100)와 접하는 면에는 제2 결합부재(3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371)는 예를 들어, 만곡된 내측면이 확성부(100)의 혼(130)의 외측면과 접하고, 양 단부가 제3 프레임바(370)의 상방면과 결합되는 편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coupling member 371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third frame bar 370 in contact with the loudspeaker 100 . The second coupling member 371 has, for example, a curved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n 130 of the loudspeaker 100 , and both ends of the horsesho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frame bar 370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또한, 제2 결합부재(371)는 제3 프레임바(370)의 외측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프레임(300)에 확성부(100)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member 371 may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frame bar 370 to selectively couple the loudspeaker 100 to the frame 300 .

한편, 보강바(390)는 제1 프레임바(31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바(390)는 제1 프레임바(310)의 길이 방향과 유사한 길이 방향을 가져, 제1 프레임바(310)와 함께 프레임(300) 및 프레임(300)에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의 각 구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inforcing bar 39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bar 310 . For example, the reinforcing bar 39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frame bar 310 , and is connected to the frame 300 and the frame 300 together with the first frame bar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ructure of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easily supported.

보강바(390)는 제1 프레임바(310)와 결합되지 않은 제3 프레임바(370)와 제2 프레임바(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바(390)의 일단부는 제1 프레임바(310)와 연결되지 않은 제3 프레임바(370)의 외측면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프레임바(330)의 외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바(390)는 제1 프레임바(310)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프레임(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3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frame bar 370 and the second frame bar 330 that are not coupled to the first frame bar 310 . In addition,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39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frame bar 370 not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bar 310 ,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bar 330 . can be Through this, the reinforcing bar 390 may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frame 300 by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rst frame bar 310 .

한편, 배터리 장착부(500)는 프레임(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바(310), 제2 프레임바(330), 지지바(350) 및 제3 프레임바(370)가 형성하는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ame 300 . Specifically, the first frame bar 310 , the second frame bar 330 , the support bar 350 , and the third frame bar 370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formed therein.

또한, 배터리 장착부(500)는 장착케이스(510), 균형축(530) 및 개폐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may include a mounting case 510 , a balance shaft 530 , and an opening/closing member 5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케이스(510)는 내부에 중공부인 장착공간(511)이 형성되는 육면체 케이스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장착케이스(51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상방면은 개방되어 장착공간(5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방면의 열린 장착공간(511)을 통해 장착케이스(510)의 내부로 배터리(2)를 삽입하거나, 전력이 떨어진 배터리를 장착케이스(5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case 510 may have a hexahedral case shape in which the mounting space 511, which is a hollow part, is formed therein. At this time, one sid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case 510 may be opened so that the mounting space 5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may insert the battery 2 in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case 510 through the open mounting space 511 on the upper side, or take out the battery with reduced power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case 510 .

이때, 장착케이스(510), 장착케이스(510) 내부의 배터리(2) 및 장착케이스(510)의 외측면에 결합된 제어부(700)의 무게중심(M)은 세 구성의 결합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들의 무게중심(M)이 용이하게 각 구성들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케이스(510) 및 제어부(700)는 지향조절부(90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er of gravity (M) of the mounting case 510, the battery 2 inside the mounting case 510, and the control unit 700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ase 510 is located inside the assembly of the three components. can do. The mounting case 510 and the control unit 700 may have a symmetrical hexahedral shape based on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900 so that their center of gravity (M) is easily located inside each of the components.

한편, 균형축(530)은 복수개, 예를 들어, 장착케이스(510)의 좌우 외측면에서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균형축(530)은 제2 프레임바(330)의 회전홈(335)의 형상에 대응되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축(530)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L)은 상호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balance shafts 530 may be provided in pairs, for example, one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mounting case 510 . In addition, the balance shaft 5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otation groove 335 of the second frame bar 330 to be easily rotat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extension lines L of the pair of balance shafts 5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rrang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이때, 균형축(530)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L)은 배터리(2), 배터리 장착부(500) 및 제어부(700)의 무게중심(M)의 위치보다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line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e shaft 530 set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ra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M of the battery 2 ,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700 . It may be formed at a spaced apart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균형축(530)은 제2 프레임바(330)의 회전홈(335)에 삽입되어 회전홈(335)의 중심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장착부(500) 및 배터리 장착부(500)의 내부에 저장된 배터리(2) 및 배터리 장착부(500)의 일측면과 결합된 제어부(700) 또한 균형축(530)을 중심축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e shaft 530 may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groove 335 of the second frame bar 330 and rotated with the center of the rotation groove 335 as the rotation axis. Through this, the battery 2 stored inside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70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lso rotate the balance shaft 530 as a central axis. can

이때, 배터리(2), 배터리 장착부(500) 및 제어부(700)가 형성하는 무게중심(M)의 한 쌍의 균형축(530)의 연장선(L)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2), 배터리 장착부(500) 및 제어부(700)는 무게중심(M)을 질점으로 가지고, 균형축(530)을 중심으로 진자운동을 하는 것으로 그 운동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by positioning the battery 2,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700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extension line L of the pair of balance shafts 530 of the center of gravity M formed by the control unit 700, the battery ( 2),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700 have the center of gravity (M) as a material point, and the movement of the pendulum may be simplified around the balance axis 530 .

이때, 외부에서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해진 외력은 키네틱 에너지로 변환되어 배터리(2), 배터리 장착부(500) 및 제어부(700)가 진자 운동을 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키네틱 에너지는 공기와의 마찰이나 균형축(530)과 회전홈(335) 사이의 마찰로 인해 손실되어 최종적으로 움직이기 전 상태, 즉, 연장선(L)과 무게중심(M)이 같은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so that the battery 2 ,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 and the control unit 700 perform pendulum motion. However, this kinetic energy is lost due to friction with air or friction between the balance shaft 530 and the rotation groove 335, and the state before finally moving, that is, the extension line (L) and the center of gravity (M) are the same It will return to its position on the vertical line.

이 과정에서, 연장선(L)과 무게중심(M)은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데, 이 거리가 멀수록, 즉 진자 운동에서 질점과 회전축과의 거리가 멀수록 동일한 키네틱 에너지를 가해도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각도가 줄어들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extension line (L) and the center of gravity (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reater the distance, that is,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mass point and the rotation axis in pendulum motion, the greater the external force even if the same kinetic energy is applied. The swing angle is reduced by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균형축(530)은 그 길이의 연장선(L)이 배터리(2), 배터리 장착부(500) 및 제어부(700)의 무게중심(M)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의 흔들림에도 장착케이스(510)가 상대적으로 덜 흔들리게 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되는 배터리(2)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외부 동력 공급 없이도 자동적으로 포텐셜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지점, 즉 연장선(L)이 무게중심(M)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평형을 맞출 수 있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e shaft 530 has an extension line L of its length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M of the battery 2 ,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he control unit 700 . By being located at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the battery 2 stored therein falling down by causing the mounting case 510 to shake relatively less even when externally shaken. In addition, without additional external power supply, the point at which the potential energy is automatically minimized, that is, the extension line (L) can be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center of gravity (M) to achieve equilibrium.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는 이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leakage of electrolyte from a battery while securing mobilit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폐부재(550)는 장착케이스(510)의 장착공간(511)의 개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550)는 장착공간(511)의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판재 형태로 구비되어, 장착공간(511)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closing member 550 may be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mounting space 511 of the mounting case 510 .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member 55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mounting space 511 , and may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mounting space 511 .

이를 위해, 개폐부재(550)와 장착케이스(510)는 상호간 힌지(551)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힌지(551)를 중심으로 개폐부재(55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550)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pening/closing member 550 and the mounting case 510 may be hinge-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551 , such that the opening/closing member 55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551 . In addition, a handle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50 to be easily ope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ans for easily opening and closing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배터리 장착부(50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제3 프레임바(370) 방향의 외측면과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700) 및 배터리 장착부(500), 그리고 배터리 장착부(500)에 적재되는 배터리(2)는 균형축(530)의 연장선(L)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 무게중심(M)을 형성하여, 각 구성들이 용이하게 균형을 맞추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70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 for example, an outer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bar 370 .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he battery 2 loaded on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form a center of gravity (M)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extension line (L) of the balance shaft 530, Each configuration can be easily balanced.

또한, 제어부(700)는 제어몸체(710) 및 제어패널(711)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700 may include a control body 710 and a control panel 711 .

제어몸체(710)는 배터리 장착부(500)와 결합되어, 프레임(300) 내부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 장착부(500)의 장착케이스(510)와 동일하게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몸체(710)는 배터리(2) 및 확성부(100)의 드라이버 유닛(110) 구성 등과 전선 등의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몸체(710)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는 프로세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저장 수단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확성부(100)의 드라이버 유닛(110)으로 전송하여, 드라이버 유닛(110)이 데이터에 기반한 전기적 신호를 음성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body 71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 the same manner as the mounting case 510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and to be easily rotated inside the frame 300 . In addition, the control body 71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2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r unit 110 of the loudspeaker 100 and other means such as wires. In addition, the control body 710 may have a storage means such as a processor for analyzing electrical signals and a memory for storing data therein. Through this, the data is analyze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driver unit 110 of the loudspeaker 100 so that the driver unit 110 converts and amplifies an electrical signal based on the data into a voice signal. .

제어몸체(71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상방면에는 제어패널(7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패널(711)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버튼(713)이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버튼(713)을 조작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의 전원의 작동 유무나 확성부(100)에서 재생될 음성적 신호의 전체적인 크기, 음성적 신호 중 특정 파장대의 강도를 조절해 음색을 변화시키는 이퀄라이징(Equalizing) 등의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A control panel 7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dy 710 , for example, an upper side thereof. One or more control buttons 713 may be located on the control panel 711 . By manipulating the control button 713 , the user operates the power of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size of the audio signal to be reproduced in the loudspeaker 100, and a specific wavelength band among the audio signals. You can perform operations such as equalizing to change the tone by adjusting the intensity.

또한, 제어패널(711)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홀인 입력홀(715)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홀(715)에는 USB, SD 카드, CD, 플로피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장매체가 삽입되면, 제어부(700)는 저장매체에 기록된 mp3나 wav, mp4, flac 등의 음악 파일들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확성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확성부(100)는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적 신호로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다.Also, an input hole 715 that is one or more hol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711 . The input hole 715 may be formed to insert a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SD card, CD, or floppy disk. When the storage medium is inserted, the controller 700 may recognize music files such as mp3, wav, mp4, flac, etc. recorded in the storage medium, and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loudspeaker 100 . The loudspeaker 100 may reproduce the transmitted electrical signal by changing it into an audio signal.

또는, 입력홀(715)이 마이크나 기타 등의 악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마이크나 악기를 연주하여 제어부(7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700)는 전기적 신호를 확성부(100)로 전달하여 증폭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put hole 715 may function as a connector connected to an instrument such as a microphone or guitar. When the user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by playing a microphone or musical instrument, the control unit 700 may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loudspeaker 100 to be amplified.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지향조절부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shown in FIG. 1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향조절부(900)는 지향프레임(910), 받침판(930) 및 지향조절부재(95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900 may include an orientation frame 910 , a support plate 930 and a orientation adjustment member 9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향프레임(910)은 제1 지향바(911) 제2 지향바(913)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al frame 910 may include a first directional bar 911 and a second directional bar 913 .

제1 지향바(911)는 제3 프레임바(37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향바(911)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각각의 제1 지향바(911)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al bar 91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bar 37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directing bars 911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first directing bars 9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복수개의 제1 지향바(911)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제3 프레임바(370)를 관통하며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지향바(911)는 제3 프레임바(370)가 상호간 결합되도록 하여 프레임(300) 및 지향조절부(9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911 may be coupl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ird frame bars 370 . Through this, the first directional bar 911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frame 300 and the directional control unit 900 by allowing the third frame bar 37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제1 지향바(911) 중 제3 프레임바(370)와 결합되지 않은 제1 지향바(911)의 상단부에는 손잡이(915)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91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향바(911)의 상단부에서 제1 지향바(911) 및 제2 지향바(913)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a handle 915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acing bar 911 that is not coupled to the third frame bar 370 among the first facing bar 911 . The handle 915 has a bar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ng bar 911 and the second directing bar 913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recting bar 911, as shown in FIG. can have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잡이(915)를 잡고 이동식 확성기(1)의 일단부 방향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지바(350)의 하방면과 연결된 지지바퀴(35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의 타단부 방향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이동식 확성기(1)를 용이하게 끌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move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hold the handle 915 and lift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portable loudspeaker 1 . In this process, the support wheel 351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350 supports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mobi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mobile loudspeaker 1 . can be dragged and moved.

이때, 손잡이(915)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마찰력의 부재로 인해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섬유재 또는 고분자 수지로 된 덮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cover (not shown) made of rubber, fiber, or polymer resi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915 to prevent the user from missing it due to the absence of frictional force.

제2 지향바(913)는 제1 지향바(91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향바(913)는 복수개의 제1 지향바(911) 사이에 배치되어, 양 단부가 복수개의 제1 지향바(911)의 외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향바(913)는 제1 지향바(911) 간의 결합이 이뤄지도록 하여, 지향프레임(910) 전체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향바(913)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복수개의 제2 지향바(91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지향바(911)의 지면과 인접한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directional bar 913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al bar 911 . 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al bar 9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911 , and both ends thereof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911 . The second directional bar 91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al bar 911 to form the entire directional frame 910 . 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al bar 913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al bars 913 may be coupled to an end portion adjacent to the ground of the first directional bar 911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받침판(930)은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제2 지향바(913) 중 지면과 인접한 제2 지향바(913) 및 제1 지향바(911)의 지면을 향한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받침판(930)의 지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받침부재(931)가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9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ng bar 913 adjacent to the ground of the second directing bar 913 and the first directing bar 911 of It may be coupled with an end facing the ground.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931 may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930 facing the ground.

받침부재(931)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합성고무나 천연고무, 고분자 수지 등의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향조절부재(950)로 확성부(100)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지 않는 상황에서, 받침부재(931)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931 is, for exampl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uch as synthetic rubber, natural rubber, or polymer resi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does not adjust the direction of the loudspeaker 100 with the direction adjustment member 950, the support member 931 touches the ground, so that the mobi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can be fixed securely on the ground.

한편, 지향조절부재(950)는 받침판(93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복수개의 제1 지향바(911)와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ientation control member 95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930, it may be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plurality of first orientation bars (911).

또한, 지향조절부재(950)는 지향조절실린더(951) 및 지향조절기둥(95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entation adjustment member 950 may include an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and a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

지향조절실린더(951)는 제1 지향바(91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관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향조절실린더(951)는 받침판(930)의 일단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의 전방 방향에 대응되는 받침판(93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향조절실린더(951)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orientation control cylinder 951 may have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rientation bar 911 and may have a tube shape in which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In addition, the orientation control cylinder 951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930, for example, at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930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obi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 addition, the orientation control cylinder 951 may be formed with a spiral screw groove (not shown) on the inner surface.

지향조절기둥(953)은 지향조절실린더(951)와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향조절기둥(953)은 지향조절실린더(9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향조절실린더(9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orientation control column 95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 In addition,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is inserted into the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it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지향조절기둥(953)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의 나사산(95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954)은 지향조절실린더(951)의 나사홈에 맞물리며 지향조절기둥(953)이 회전되며 지향조절실린더(9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A spiral-shaped screw thread 954 may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entation control column 953 . The screw thread 954 is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and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is rotated and can be activ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

도 5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한 지향조절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프레임 및 배터리 장착부가 기울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5 (a) and (b)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are inclin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shown in FIG. 1 .

사용자는 지향조절기둥(95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지향조절기둥(953)의 하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a)에 도시한 것처럼 확성부(100)의 지향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을 경우, 지향조절기둥(953)의 하단부가 지향조절실린더(951)의 하단부와 밀착되도록 한 뒤, 받침부재(931)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의 일단부 방향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can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by rotating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loudspeaker 100 as shown in FIG. ,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mobi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upport member 931 .

이때, 도 5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지향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지향조절기둥(953)을 회전시켜 지향조절기둥(953)의 하단부가 지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orientation direction as shown in FIG. 5 ( b ), the lower end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may be moved in the ground direction by rotating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

지향조절기둥(953)의 하단부가 지면 방향으로 돌출되면 될수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의 일단부는 상방으로 들여 올려지게 된다. 즉, 지향조절부재(950)는 프레임(300)의 일단부 방향을 들어올리며 프레임(300)과 연결된 확성부(100)의 지향 방향 또한 변경할 수 있다.As the lower end of the direction control post 953 protrudes toward the ground, one end of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upward. That is, the orientation control member 950 lifts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frame 300 and may also change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loudspeaker 100 connected to the frame 300 .

이 과정에서, 제2 프레임바(330)와 연결된 제어부(700) 및 배터리 장착부(500)는 지향조절부재(950)가 프레임(300)의 전방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도 균형축(530) 및 무게중심(M)이 지면과 수직한 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즉, 조향 방향을 변경하는 과정에서도 균형을 유지하여, 배터리 장착부(500)에 저장된 배터리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bar 330 are connected to the balance shaft 530 and the center of gravity even in the process where the orientation adjustment member 950 lifts the front of the frame 300 . (M) may be aligned alo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at is, by maintaining the balance even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eer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stored in the battery mounting unit 500 from losing balance and falling.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확성기(1)는 용이하게 지향 방향을 변경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rtable loud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leakage of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while easily changing the orientation direction.

한편, 지향조절기둥(953)의 하단부에는 지향조절받침(955)이 형성될 수 있다. 지향조절받침(955)은 지향조절기둥(953)의 하단부 대신 지면과 직접 접하여, 지향조절기둥(953)이 지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향조절기둥(953)이 회전 과정에서 지나치게 상방으로 이동하여, 지향조절실린더(9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ientation adjustment support 955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 The orientation adjustment support 955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instead of the lower end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to prevent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from being damaged by the ground, and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is excessively upward in the rotation process. By mov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orientation control cylinder (951).

또한, 지향조절기둥(953)의 상단부에는 걸림부재(959)가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재(959)는 지향조절기둥(953)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하방으로 이동하여, 지향조절실린더(9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member 959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orientation control column 953 . The locking member 959 moves too downward in the course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being rotated, thereby preventing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

한편, 지향조절부재(950)는 지향조절실린더(951)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지향조절기둥(953)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잠금부재(9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ientation adjustment member 95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957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ylinder 951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

예를 들어, 지향조절실린더(951)의 외측면에는 잠금홀(미도시)가 형성되고, 잠금부재(957)는 잠금홀에 삽입되어 잠금부재(957)의 일부가 지향조절기둥(953)의 외측면까지 접할 수 있다. 이때, 잠금홀과 잠금부재(957)의 일부에는 나사산 및 나사홀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lock hole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rientation control cylinder 951 , and the lock member 957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so that a part of the lock member 957 is formed on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 It can also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a screw thread and a screw hol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lock hole and the lock member 957 to be screwed together.

이를 통해, 잠금부재(957)는 지향조절기둥(95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locking member 957 can fix the position of the orientation adjustment column 953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이동식 확성기 2 : 배터리
100 : 확성부 110 : 드라이버 유닛
130 : 혼 150 : 확장부재
300 : 프레임 310 : 제1 프레임바
330 : 제2 프레임바 331 : 제1 결합부재
333 : 가이딩홈 335 : 회전홈
350 : 지지바 351 : 지지바퀴
370 : 제3 프레임바 371 : 제2 결합부재
390 : 보강바 500 : 배터리 장착부
510 : 장착케이스 511 : 장착공간
530 : 균형축 550 : 개폐부재
551 : 힌지 700 : 제어부
710 : 제어몸체 711 : 제어패널
713 : 제어버튼 715 : 입력홀
900 : 지향조절부 910 : 지향프레임
911 : 제1 지향바 913 : 제2 지향바
915 : 손잡이 930 : 받침판
931 : 받침부재 950 : 지향조절부재
951 : 지향조절실린더 953 : 지향조절기둥
954 : 나사산 955 : 지향조절받침
957 : 잠금부재 959 : 걸림부재
1: mobile loudspeaker 2: battery
100: loudspeaker 110: driver unit
130: horn 150: expansion member
300: frame 310: first frame bar
330: second frame bar 331: first coupling member
333: guiding groove 335: rotating groove
350: support bar 351: support wheel
370: third frame bar 371: second coupling member
390: reinforcement bar 500: battery mounting part
510: mounting case 511: mounting space
530: balance shaft 550: opening and closing member
551: hinge 700: control unit
710: control body 711: control panel
713: control button 715: input hole
900: orientation control unit 910: orientation frame
911: first directing bar 913: second directing bar
915: handle 930: support plate
931: support member 950: direction control member
951: direction control cylinder 953: direction control column
954: thread 955: orientation adjustment support
957: locking member 959: locking member

Claims (5)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하나 이상의 확성부;
상기 확성부와 결합되어 상기 확성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일측면과 일체로 결합되고, 외측면에 제어패널이 형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 및 상기 확성부의 일단부가 지표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기동되도록 하는 지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고,
상기 프레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고, 상기 확성부와 접하는 면에 상기 확성부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확성부를 결속시키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바 형상의 제2 프레임바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고, 일측면이 외부로 개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장착케이스; 및
상기 장착케이스의 외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바의 상단부와 접하는 한 쌍의 균형축을 포함하며,
상기 균형축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은 상호 일치하고, 상기 균형축의 길이 방향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가 형성하는 무게중심과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 프레임바의 상단부의 중심에는 상기 균형축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갖고, 상기 균형축이 삽입되는 홈인 회전홈이 형성되는 이동식 확성기.
one or more loudspeakers for converting and amplify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frame coupled to the loudspeaker to support the loudspeaker;
a battery mounting unit located inside the frame and having a battery mounted therein;
a control unit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unit and having a control panel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and includes a direction control unit for maneuvering one end of the frame and one end of the loudspeak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The battery mounting unit, the control unit is automatically maintained horizontally based on the frame,
The frame is
A second frame bar having a bar shap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having a first coupling member for binding the loudspeaker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udspeaker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udspeaker is formed;
The battery mounting unit,
a mounting case in which the battery is mounted therein, and a mounting space having one side open to the outside is formed; and
and a pair of balance shaft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ase to both sides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bar,
Extension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e shaf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e shaf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formed by the battery mount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batter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mobile loudspeaker having a rotation groove having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e shaft and a rotation groove that is a groove into which the balance shaft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ba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확성부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바 형상의 제1 프레임바;
복수개의 상기 제1 프레임바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바 및 상기 제2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며, 일측면에 지지바퀴가 형성되는 지지바;
상기 제1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바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보강바; 및
상기 보강바 또는 상기 제1 프레임바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외측면에 상기 확성부의 외측면과 접하는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제3 프레임바를 포함하는 이동식 확성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s
a bar-shaped first frame bar provided in plurality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udspeaker;
a support ba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frame bars,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bar and the second frame bar, and having a support wheel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reinforcing bar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bar and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bar; and
and a third frame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or the first frame bar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member contacting an outer surface of the loudspeaker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장착케이스의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식 확성기.
4.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battery mounting un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cas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조절부는,
상기 제3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고,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3 프레임바를 관통하며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 지향바 및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향바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제3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며, 양 단부가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지향바를 가지는 지향프레임;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복수개의 상기 제1 지향바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지면을 향한 면에서 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받침판;
외측면이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지향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관재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지향조절실린더; 및 상기 지향조절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지향조절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지향조절기둥을 가지는 지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식 확성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rientation control unit,
It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bar, and at least one is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directing bars and a plurality of first directing bars that pass through and are coupled to the third frame bar, Having at least one second directional bar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al bar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bar,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oriented frame;
a handle extending from one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a plate-shaped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al bars, the support member being formed in contact with and supporting the ground in a surface facing the ground;
a direction control cylinder having an outer surface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a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the same tube shape as that of the first directing bar, and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direction control member located inside the direction control cylinder, a direction adjustment member having a direction adjustment column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being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 adjustment cylinder through rotation.
KR1020200089372A 2020-06-25 2020-07-20 Movable Loudspeaker KR1023060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7873 2020-06-25
KR1020200077873 2020-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062B1 true KR102306062B1 (en) 2021-09-28

Family

ID=7792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372A KR102306062B1 (en) 2020-06-25 2020-07-20 Movable Loud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6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532U (en) * 2008-07-08 2010-01-18 유미혜 Portable megaphone equipped with two way speaker
KR20180024409A (en) * 2016-08-30 2018-03-08 박상일 High Performance Loudspeaker and Mobile Large Loudspeaker Apparatus using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532U (en) * 2008-07-08 2010-01-18 유미혜 Portable megaphone equipped with two way speaker
KR20180024409A (en) * 2016-08-30 2018-03-08 박상일 High Performance Loudspeaker and Mobile Large Loudspeaker Apparatus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2582B2 (en) Audio transducer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US5383079A (en) Portable information reproducing and voice amplifying apparatus
US6982376B2 (en) Real drum trigger monitor and amplified tone module
US20060000347A1 (en) Acoustical device and method
JP5560304B2 (en) Musical sound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and modification method of musical sound device
JP5610903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20140013929A1 (en) Acoustical transmission line chamb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140202320A1 (en) Musical instrument device and method
CN105321508B (en) Mounting structure and musical instrument for acoustic transducer
JP3644356B2 (en) Musical sound generation structur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CN206698378U (en) Microphone audio amplifier equipment integrating
KR102306062B1 (en) Movable Loudspeaker
KR200479551Y1 (en) Electric drum
JP5122193B2 (en) Musical sound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and modification method of musical sound device
EP0102379B1 (en) Improvements in pianos
JP7150553B2 (en) keyboard device
US7806227B2 (en) High-performance full-range speaker assembly
CN216852318U (en) Sound box damping device
FR2602607A1 (en) Acousto-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WO2011016421A1 (en) Game device
CN213228466U (en) Shockproof vehicle-mounted loudspeaker
CN213880155U (en) Energy-saving power amplifier stereo set all-in-one device
CN217116326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HIFI audio amplifier
WO2016152929A1 (en) Vibration supply device and musical instrument
CN209845208U (en) Vibration-proof sound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