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038B1 - Dental photopolymerizer - Google Patents
Dental photopolymer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6038B1 KR102306038B1 KR1020190066206A KR20190066206A KR102306038B1 KR 102306038 B1 KR102306038 B1 KR 102306038B1 KR 1020190066206 A KR1020190066206 A KR 1020190066206A KR 20190066206 A KR20190066206 A KR 20190066206A KR 102306038 B1 KR102306038 B1 KR 1023060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nit
- dental
- mode
- path adju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61C19/004—Hand-held apparatus, e.g. gu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광 중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 시술 대상인 객체에 광을 조사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는, 광(光)을 생성하여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앞에 형성되고, 상기 방출된 광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통과하는 광의 경로가 변경 되도록 형상이 변화하는 액체 굴절부재를 포함하는 광 경로 조절부; 및 시술 모드 또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액체 굴절부재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photopolymerizer. A dental photopolymerizer for irradiating light to an object to be tre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nd emitting light; a light path control unit formed in front of the light source unit and including a liquid refractive member whose shape changes so as to change a path of the passing light while passing the emitted ligh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o change the shape of the liquid refractive member according to a procedure mode or an external inpu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광 중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photopolymerizer.
치과에서는 특히 청색광 또는 자외선과 같은 광을 이용한 시술이 폭 넓게 이루어 진다. 이러한 광을 이용한 시술에는 치과용 레진을 경화 시키기 위한 광 중합 시술 및 치아 미백 시술이 포함된다. In dentistry, especially, procedures using light such as blue light or ultraviolet light are widely performed. The treatment using such light includes a photopolymerization procedure for curing dental resin and a tooth whitening procedure.
특히 치과용 광 중합기는 광을 비교적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수복재에 집중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In particular, the dental photopolymerizer includes a structure for intensively irradiating light onto a restoration occupying a relatively small area.
도 1은 기존 기술의 광 중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의 광 중합기(10)는, 일반적으로는 광원(11), 렌즈(12), 가이드(13), 케이싱(14), 입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광원(11)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렌즈(12)를 거치면서 회절되고, 상기 가이드(13)를 통과하여 시술 대상인 객체에 조사된다. 상기 케이싱(14)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 측에 사용자가 On/Off와 같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5)를 구비한다.1 is a view showing a photopolymerizer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 the
이와 같은 구조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 또는 조사 영역의 넓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13)를 서로 구경이 다른 복수의 가이드(13)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13)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야 하고, 복수의 부품 관리로 인한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조사되는 광의 세기 또는 조사 영역의 넓이를 조절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상기 광원부(11)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광원부(11)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Another method of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irradiated light or the width of the irradiation area is to adjust the output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가이드의 변경이나 광원의 세기 조절 없이 광이 조사되는 세기 또는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치과용 광 중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photopolymerizer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intensity or area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without changing the light guide 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렌즈의 초점 조절을 위한 기구 구조를 배제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긴 수명을 지닌 치과용 광 중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photopolymerizer that saves space and has a long lifespan by exclud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ocus of a separate le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시술이 가능한 다목적 광 조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light irradiator capable of various types of treatment with one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 시술 대상인 객체에 광을 조사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는, 광(光)을 생성하여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앞에 형성되고, 상기 방출된 광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통과하는 광의 경로가 변경 되도록 형상이 변화하는 액체 굴절부재를 포함하는 광 경로 조절부; 및 시술 모드 또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액체 굴절부재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ental photopolymerizer for irradiating light to an object to be treated for dent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generating and emitting light; a light path control unit formed in front of the light source unit and including a liquid refractive member whose shape changes so as to change a path of the passing light while passing the emitted ligh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o change the shape of the liquid refractive member according to a procedure mode or an external input.
그리고,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는, 상기 광 경로 조절부의 앞에 형성되고,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객체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photopolymeriz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that is formed in front of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and guides all or part of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o be irradiated to the object.
그리고, 상기 객체는 치아 및 상기 치아에 부착된 수복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tooth and a restoration material attached to the tooth.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술 모드가 제1 모드 인 경우, 상기 액체 굴절부재가 볼록 렌즈 형상이 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시술 모드가 제2 모드 인 경우, 상기 액체 굴절부재가 오목 렌즈 형상이 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so that the liquid refractive member has a convex lens shape when the treatment mode is the first mode, and when the treatment mode is the second mode, the liquid refractive member is concave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have a lens shape.
그리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수복재를 경화시키기 위한 광 중합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치아를 미백하기 위한 치아 미백 모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de may be a light polymerization mode for curing the restoration material, and the second mode may be a tooth whitening mode for whitening the teeth.
그리고,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는, 상기 광원부 및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통과한 광이 통과하는 조사공이 형성되는 케이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photopolymerizer may further include a casing includ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herein, and having an irradiation hole through which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is formed.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는, 내부에 상기 광원부 및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포함하고 일단에 상기 조사공이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 경로 조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ing unit,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light path control unit therein, the head unit having the irradiation hole formed at one end; a body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and including a power supply par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part and the light path adjusting part, and formed to be held by a user; may include.
또한,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는, 상기 조사공의 앞단에 착탈 가능한 시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준부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시술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photopolymerizer further includes a collimating unit detachable at the front end of the irradiation hole, and the operation mo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llimating unit is detachable or not.
한편,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입력를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 및 조사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라는 명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명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light polymerizer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receiving the external input from a user, and the control unit obtains command information for adjusting at least one of an intensity and an irradiation area of light irradiated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xternal input. and control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의 세기 또는 조사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광중합 시술이 가능해 진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intensity of light or the irradiation area, so that a more efficient photopolymerization procedure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렌즈의 초점 조절을 위한 기구 구조를 배제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긴 수명을 지닌 치과용 광 중합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ntal photopolymerizer having a long life and saving space by exclud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ocus of a separate len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광조사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시술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procedures can be performed with one light irradiation device, thereby reducing costs.
도 1은 기존 기술의 광 중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액체렌즈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hotopolymerizer of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a liquid lens.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Matter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effect includ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ques for achieving them, etc.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well a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 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For simplicity and clarity of illustration, the drawings show a general manner of construc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eatures and techniques may be omitted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discuss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For example, the sizes of so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bers in different drawings indicate like elements, and like reference numbers may, but do not necessarily, indicate like ele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 시술 대상인 객체(200)에 광을 조사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100)는, 광원부(200), 광 경로 조절부(300), 및 제어부(4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dental
상기 광원부(200)는, 광(光)을 생성하여 방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광원부(200)는 상기 장치(100)에 구비된 전원부(640) 또는 상기 장치(100)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발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상기 광원부(200)는 다양한 발광 수단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V 또는 청색광을 발하는 LED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시술 중 구강 내부의 조도를 높이기 위한 백색광을 조사하는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광원부(200) 및/또는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200)에 인가되는 전원의 On/Off 또는 출력 전압을 조절하고,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에 인가되는 전원의 On/Off 또는 출력 전압(또는 전류)를 조절하여 광 굴절 부재(20)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기 제어부(4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제어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PC 또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구현하여 통신을 통해 상기 광원부(200) 및/또는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는, 상기 광원부(200)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부(200)에서 방출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는, 상기 방출된 광을 통과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통과하는 광의 경로가 변경 되도록 형상이 변화하는 액체 굴절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light
도 4는 액체렌즈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광의 경로(210)가 바뀌는 액체 렌즈(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 굴절부재(310)는, 상기 액체 렌즈(20)에 포함된 오일(oil)일 수 있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a liquid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액체 렌즈(20)는, 전기로 표면장력을 제어하는 원리인 일렉트로웨팅 (electro-wetting) 현상에 기반한 것이다. 이는 물 분자가 극성(+,-) 분자임에 착안한 것으로 전기가 흐르는 금속에 더 끌리는 힘이 생겨 표면장력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The
즉,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렌즈(20)의 전극(24)에 직류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액체 렌즈(20)에 포함된 물(22)에 음 전하가 대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물(22)이 절연재(25)의 표면과 이루는 계면의 각도가 크게 되고, 이에 따라 굴절률이 높은 오일(oil)(21)이 오목렌즈와 같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a ), the negative charge is not charged to the
그러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렌즈(20)의 전극(24)에 직류 전원이 인가되어 액체 렌즈(20)에 포함된 물(22)에 음 전하가 대전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물(22)이 절연재(25)의 표면과 이루는 계면의 각도가 보다 작게 되고, 이에 따라 굴절률이 높은 오일(oil)(21)이 볼록 렌즈와 같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인가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또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광 경로(27)의 꺾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4(b) , in a state in which DC power is applied to the
이와 같이 고체 렌즈의 초점 조절을 위한 기구적 구조를 배제하고도, 전압(또는 전류) 조절을 통해 상기 조사되는 광의 세기 또는 조사 영역의 넓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장치(100)의 내부 공간이 절약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As suc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irradiated light or the width of the irradiation area through voltage (or current) control, even without the mechanical structure for focusing the solid lens. Through this, the internal space of the
상기 제어부(400)는, 치과의 시술 모드 또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액체 굴절부재(310)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장치(100)에 포함되는 전원부(640) 또는 장치(100)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의 액체 굴절부재(21)의 형상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광 경로(210)가 변경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100)는,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의 앞에 형성되는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객체(200)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작용을 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dent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달하는 광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광 경로(210)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광 섬유의 내부로 전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는 광원부(200)에 인가되는 전원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상기 가이드부(500)의 사이즈 변경을 위한 교체 작업 없이도 장치(100)에서 객체(900)로 조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100)는, 상기 광원부(200) 및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통과한 광이 통과하는 조사공(610)이 형성되는 케이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600)는, 헤드부(620) 및 본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상기 헤드부(620)는, 상기 광원부(200) 및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620)의 일단에는 상기 광이 통과하여 조사되는 조사공(구멍)(6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200) 및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620)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조사공(610)의 후단에 연접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는 따로 가이드부(500)를 구비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객체(900)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In this embodiment, it is easy to effectively irradiate light to the object 900 without providing a
상기 본체부(630)는 상기 헤드부(620)의 상기 일단의 반대측 타단에 조립 되어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63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100)가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64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640)는 상기 본체부(6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헤드부(620)와 상기 본체부(630)는 이격하여 구비되고, 이 둘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광 중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100)는, 상기 조사공(610)의 앞단에 착탈 가능한 시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photopolyme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b), the
상기 시준부(700)는, 광 경로 조절부(300)를 통과한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광을 가두기 위한 갓(baffle)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내부에 광의 경로(210)를 유도하기 위한 투명 재질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시준부(700)는 수진자(피시술자)가 시술 중에 입으로 물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시준부(700)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시술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술 모드는 광 중합 모드 및 치아 미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시준부(700)가 상기 케이싱부(600)에 결합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준부(700)의 결합이 감지되는 경우, 치아 미백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mode may include a photopolymerization mode and a tooth whitening mode. The
상기 치과용 광 중합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입력를 받는 입력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객체(200)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 및 조사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라는 명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입력부(800)는 버튼 또는 터치 센서 등을 구비하여 외부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외부 모바일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를 통해 사용자(의사 등)는 상기 장치(100)에 원하는 시술 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Through this, a user (such as a doctor) can select and input a desired treatment mode into the
상기 객체(200)는 치아(910) 및 상기 치아(910)에 부착된 수복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상기 수복재(미도시) 치과용 레진과 같은, 광, 특히 청색광이나 자외선(UV)에 의해 광 중합작용을 일으켜 경화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복재(미도시)는 주로 충치 치료 후와 같이 치아의 일부가 깎여 나간 자리를 매우기 위하여 사용된다. The restoration material (not shown)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cured by causing photopolymerization by light, particularly blue light or ultraviolet (UV) light, such as dental resin. The restoration material (not shown) is mainly used to fill a place where a part of a tooth is shaved, such as after caries treatment.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시술 모드가 제1 모드 인 경우, 상기 액체 굴절부재(310)가 볼록 렌즈 형상이 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시술 모드가 제2 모드 인 경우, 상기 액체 굴절부재(310)가 오목 렌즈 형상이 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수복재를 경화시키기 위한 광 중합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치아(910)를 미백하기 위한 치아(910) 미백 모드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de may be a photopolymerization mode for curing the restoration material, and the second mode may be a tooth 910 whitening mode for whitening the teeth 910 .
즉, 광 중합 모드에서는, 상기 볼록 렌즈 형태의 굴절부재(310)를 통해, 상기 수복재(미도시)에 광이 집중되도록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과 미백 모드에서는 보다 넓은 영역의 치아(910)에 광이 조사되어 미백 효과를 얻는 것이 필요하다.That is, in the photopolymerization mode,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the light so that light is concentrated on the restoration material (not shown) through the convex lens-shaped
이러한 치아 미백 모드에서는 광이 지나치게 넓은 영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준부(700)의 결합이 필요할 수 있다.In this tooth whitening mode, coupling of the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similar elements, if any, and are not necessarily However, it is used to describe a specific sequence or sequence of occurrence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o used are interchangeable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to enable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to operate, for example, in sequences other than those shown or described herein. Likewise, where methods are described herein as comprising a series of steps, the order of those steps presented herein is not necessarily the order in which those steps may be executed, and any described steps may be omitted and/or Any other steps not described may be added to the metho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Terms such as "left", "right", "front", "back", "top", "bottom", "above", "below"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used for descriptive purposes, It is not necessarily intended to describe an invariant relative pos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o used are interchangeable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to enable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to operate otherwise than, for example, as shown or described herein. As used herein, the term “connected” is defined as being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n an electrical or non-electrical manner. Objects described herein as being "adjacent" to one another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one another, in proximity to one another, or in the same general scope or area as appropriate for the context in which the phrase is used. The presence of the phrase “in one embodiment” herein refers to the same, but not necessarily, embodiment.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Also,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references to 'connected', 'connecting', 'fastened', 'fastening', 'coupled', 'coupled', etc., and various variations of these expressions, refer to other elements directly It is used in the sense of being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 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examples disclos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are describ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광 중합기 11: 광원
12: 렌즈 13: 가이드
14: 케이싱 15: 입력부
20: 액체 렌즈 21: 오일
22: 물 23: 창
24: 전극 25: 절연재
26: 직류전원 27: 광 경로
100: 치과용 광 중합기 200: 광원부
210: 광 경로
300: 광 경로 조절부 310: 액체 굴절부재
400: 제어부 500: 가이드부
600: 케이싱부 610: 조사공
620: 헤드부 630: 본체부
640: 전원부
700: 시준부 800: 입력부
900: 객체 910: 치아10: light polymerization reactor 11: light source
12: lens 13: guide
14: casing 15: input unit
20: liquid lens 21: oil
22: water 23: window
24: electrode 25: insulating material
26: DC power supply 27: optical path
100: dental light polymerization device 200: light source unit
210: optical path
300: light path control unit 310: liquid refractive member
400: control unit 500: guide unit
600: casing unit 610: investigator
620: head portion 630: body portion
640: power supply
700: collimating unit 800: input unit
900: object 910: tooth
Claims (9)
광(光)을 생성하여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앞에 형성되고, 상기 방출된 광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통과하는 광의 경로가 변경 되도록 형상이 변화하는 액체 굴절부재를 포함하는 광 경로 조절부; 및
시술 모드 또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액체 굴절부재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In the dental photopolymerizer for irradiating light to an object to be treated,
a light source unit that generates and emits light;
a light path control unit formed in front of the light source unit and including a liquid refractive member whose shape changes so as to change a path of the passing light while passing the emitted light; and
A dental light polymerization device comprising 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o change the shape of the liquid refractive member according to a procedure mode or an external input.
상기 광 경로 조절부의 앞에 형성되고,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통과하여 입사된 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객체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dental photopolymerizer further comprising a guide part formed in front of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and guiding all or part of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o be irradiated to the object.
상기 객체는 치아 및 상기 치아에 부착된 수복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is a dental light polyme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tooth and a restoration material attached to the toot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술 모드가 제1 모드 인 경우, 상기 액체 굴절부재가 볼록 렌즈 형상이 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시술 모드가 제2 모드 인 경우, 상기 액체 굴절부재가 오목 렌즈 형상이 되도록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treatment mode is the first mode, controlling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so that the liquid refractive member has a convex lens shap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mode, the dental light polymeriz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path adjust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liquid refractive member has a concave lens shape.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수복재를 경화시키기 위한 광 중합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치아를 미백하기 위한 치아 미백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mode is a photopolymerization mode for curing the restoration,
The second mode is a dental light polyme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ooth whitening mode for whitening the teeth.
상기 광원부 및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통과한 광이 통과하는 조사공이 형성되는 케이싱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5.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dental photopolymerizer further comprising a casing includ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herein, and having an irradiation hole through which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is formed.
상기 케이싱부는,
내부에 상기 광원부 및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포함하고 일단에 상기 조사공이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 경로 조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7. The method of claim 6,
The casing part,
a head unit includ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light path adjusting unit therein, and having the irradiation hol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nd a body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the main body part including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part and the light path adjusting part, and formed to be held by a user.
상기 조사공의 앞단에 착탈 가능한 시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준부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시술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llimating unit detachable at the front end of the irradiation hole,
Dental light polyme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llimator is attached or detached.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입력를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 및 조사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라는 명령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명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광 경로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광 중합기.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external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is
obtaining command information to adjust at least one of an intensity and an irradiation area of light irradiated to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xternal input;
The dental light polymeriz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path control un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206A KR102306038B1 (en) | 2019-06-04 | 2019-06-04 | Dental photopolymeriz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206A KR102306038B1 (en) | 2019-06-04 | 2019-06-04 | Dental photopolymeriz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563A KR20200139563A (en) | 2020-12-14 |
KR102306038B1 true KR102306038B1 (en) | 2021-09-28 |
Family
ID=7377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6206A KR102306038B1 (en) | 2019-06-04 | 2019-06-04 | Dental photopolymeriz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603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0845B1 (en) | 2015-05-28 | 2016-08-24 | 주식회사 굿닥터스 | Multipurpose light emitting apparatus |
KR101693158B1 (en) | 2016-09-29 | 2017-01-05 | 문정본 | 3-dimension scaner for oral cavity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rtifact using thereof |
KR101793255B1 (en) | 2016-04-26 | 2017-11-02 | 주식회사 맥스덴탈 | Multi function light curing device to combine tip selectivel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1768A (en) | 2008-03-24 | 2009-09-29 | (주)에스덴티 | Light curing device for dentistry wire or wireless power supplied |
KR200456437Y1 (en) | 2009-04-24 | 2011-10-31 | 김영운 | Structure of Light Irradiation Unit having light concentrating cap |
KR101448860B1 (en) * | 2014-05-28 | 2014-10-13 | (주)휴레이저 | Portable treatment apparatus of uv and laser complex type |
KR20160062494A (en) * | 2014-11-25 | 2016-06-02 | 한국광기술원 | Led lighting device using angle adjustable lens |
KR101965423B1 (en) | 2017-04-28 | 2019-04-10 |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 Optical composite disinfection and curing device |
-
2019
- 2019-06-04 KR KR1020190066206A patent/KR10230603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0845B1 (en) | 2015-05-28 | 2016-08-24 | 주식회사 굿닥터스 | Multipurpose light emitting apparatus |
KR101793255B1 (en) | 2016-04-26 | 2017-11-02 | 주식회사 맥스덴탈 | Multi function light curing device to combine tip selectively |
KR101693158B1 (en) | 2016-09-29 | 2017-01-05 | 문정본 | 3-dimension scaner for oral cavity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rtifact using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563A (en) | 2020-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31784B2 (en) | Mouthpiece | |
JP2015512321A5 (en) | ||
EA024079B1 (en) | Handheld low-level laser therapy apparatus | |
JP2013526349A (en) | Dental light device with identification means | |
CN108472117B (en) | Tooth whitening device | |
WO2007067241A2 (en) | Dental curing lights including a capacitor power source | |
KR102306038B1 (en) | Dental photopolymerizer | |
US20030147258A1 (en) | Curing light with plurality of LEDs and corrresponding lenses configured to focus light | |
KR101220132B1 (en) | Portable uv curing apparatus | |
KR20210072632A (en) | Optical Tretment Device for Dental Clinic | |
JP6215925B2 (en) | Paste type composition irradiation device | |
US20190015680A1 (en) | A New Type of LED Facial Mask | |
KR20100025434A (en) | Oral hygiene device and method having whitening and sterilizing effects | |
KR101395900B1 (en) | Portable uv curing apparatus | |
JP2015523891A5 (en) | ||
AU2011275641B2 (en) | Spectral scanning photocrosslinking device | |
KR20160024207A (en) | Portable optical medical treatment device with removable head | |
KR101246767B1 (en) | Multi photopolymerizer for tooth | |
CN107320854B (en) | Toothbrush-type LED device for treating periodontitis by adopting photodynamic force | |
KR20200119941A (en) | Light irradiation module for scalp care and scalp care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858213B1 (en) | Control system for apparatus generating arc | |
KR20090101768A (en) | Light curing device for dentistry wire or wireless power supplied | |
JP2017063955A (en) | toothbrush | |
AU201023587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smetic treatment of discoloured teeth | |
JP2007289391A (en) | Light irradi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