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004B1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004B1
KR102306004B1 KR1020190138582A KR20190138582A KR102306004B1 KR 102306004 B1 KR102306004 B1 KR 102306004B1 KR 1020190138582 A KR1020190138582 A KR 1020190138582A KR 20190138582 A KR20190138582 A KR 20190138582A KR 102306004 B1 KR102306004 B1 KR 10230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unit
information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2937A (en
Inventor
정진만
나인환
김서연
박지수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04B1/en
Publication of KR2021005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받는 제1 통신부와,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화면표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와, 이러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가 서로 연동되어 픽섹로 이루어진 하나의 대형 스크린을 형성함으로써, 응원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응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display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mounting unit mounted on a user's body, and such flexi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ystem capable of more effectively delivering a support message by interlocking screen display devices to form one large screen made of pixels.

Description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연장, 경기장 등에서 사용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 가능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와, 이러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복수개 연동하여 대면적 스크린을 구현함으로써 공연자에게 응원 전달력을 높일 수 있는 응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performance hall, a stadium, etc. and can be mounted on a user's body, and a support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power of cheering to performers by interlocking a plurality of su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to realize a large-area screen. will be.

스포츠경기나 콘서트가 열리는 경기장에서 관중 또는 관객으로 입장한 사람들은 해당 경기 또는 콘서트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원한다. 이러한 능동적 참여는 플래카드, 카드섹션, 응원봉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People who enter as spectators or spectators at the stadium where a sports game or concert is held want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game or concert. This active participation is usually done using tools such as placards, card sections, and light sticks.

그러나 플래카드의 경우 입장한 사람들이 미리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하며, 1회 사용 이후 대부분 폐기처분된다. 카드섹션의 경우 응원 도안을 준비해야 하고 도안에 맞추어 카드를 미리 제작해야 하며, 제대로 된 통일된 응원을 위해서는 미리 시간을 투자하여 연습을 진행해야 하므로, 응원을 위한 경제적, 시간적 비용이 발생하여 일반적으로 경기 당일 또는 콘서트 당일에 경기장을 찾는 관중 또는 관객이 응원에 참여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However, in the case of placards, people who enter must pay a lot in advance, and most of them are disposed of after one use. In the case of the card sec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heering pattern and to make a car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desig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spectators or spectators who visit the stadium on the day of a match or concert to participate in cheering.

더불어, 이와 같은 응원 도구들은 대부분 일회성이므로, 사용 후 버려지게 되어 이에 따른 환경문제 및 처리비용문제가 발생하며, 대부분 개개인이 독립적으로 공연자를 응원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응원 메시지를 전달하는 플레이트의 면적이 일정 이하로 제한되어, 공연자에게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달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se cheering tools are one-time use, they are thrown away after use, resulting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ocessing cost problem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mission power is lowered because it is limit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and it is not easily visible to the performers.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응원 도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새로운 응원 도구와,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rooting tool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ooting tool and a system capable of using the same more effectively.

특허문헌 1)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320032호(명칭: 응원용 장갑, 공개일: 2003.07.18)Patent Document 1)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20032 (Name: Gloves for Cheering, Publication Date: July 18, 20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 가능하여 응원이 보다 용이하고, 분실 우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반복 사용 가능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so that it is easier to support, less likely to be lost, and can be used repeatedly. will be.

또한, 이러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하여 공연자에게 응원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응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upport system capable of more effectively delivering a support message to performers by using such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는,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받는 제1 통신부(110);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화면표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장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for receiving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mounting unit 130 mounted on the user's body.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장착부(130)에 장착되며 장착부(130)와 함께 벤딩 가능한 플렉시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30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bendable together with the mounting unit (130).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20)가 형성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와 통신하며,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 장치(200); 및 복수개의 상기 스마트 장치(200)와 통신하여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스마트 장치(200)에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pporting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ion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unit 120 is formed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100; a smart device 2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s screen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o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a management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the smart devices 200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100, and transmits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to each of the smart devices 200 based on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300);

또한,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에서 확인되는 QR코드 또는 사용자가 위치된 공연 좌석에 설치된 NFC 태그를 통하여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QR code checked in the smart device 200 or the NFC tag installed in the performance seat where the user is located. .

또한, 상기 관리부(300)는 공연에 사용되는 응원 정보가 픽셀 형태로 저장되는 응원정보 저장부(310)와, 응원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픽셀을 대응되는 위치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와 연동되는 스마트 장치(200)로 송신하는 응원정보 송신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unit 300 includes a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in which support information used for a performance is stored in the form of pixels,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support information, and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t corresponding posit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information transmitter 320 for transmitting to the smart device 200 to be linked.

또한,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가능한 픽셀의 영역 및 개수를 확인한 후,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된 응원 정보를 사용 가능한 픽셀의 영역 및 개수에 대응되는 영역 및 개수를 가지도록 변환하는 픽셀 변환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fter confirming the area and number of usable pixel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200 , the management unit 300 applies the support information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to the area and number of usable pixe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ixel converter 330 that converts to have a corresponding area and number.

또한, 공연에 사용되는 음향이 저장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410)와,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송출하는 음향 송출부(420)와, 상기 관리부(300)로 사용되는 음향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제4 통신부(430)로 구성되는 공연 서버(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공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 정보와, 실시간 공연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될 응원정보를 결정하는 음향 데이터 정보 판단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und data storage unit 410 for storing the sound used for the performance, the sound transmitting unit 420 for transmitting the stored sound data, and a fourth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data information used as the management unit (300) It further includes a performance server 400 consisting of 430, wherein the management unit 300 compares the sound da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erformance server with the real-time performanc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upport information to be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340).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빛 세기와 색상을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light intensity and color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는, 사용자의 팔목과 같은 신체 부위에 장착 가능하므로, 응원 시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쥘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활동력이 향상되고,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mounted on a body part such as a user's wrist, so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hold the user's hand when cheering, so the user's activity power is improved, and the possibility of loss can be minimized. There is this.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투명 PET Film과 같이 유연성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져, 인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벤딩되는 장착부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 또한 벤딩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을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un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PET film, and the display unit can also be bent in response to the mounting unit that is bent in response to the curvature of the human body,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아울러 관리부를 통하여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의 화면이 조절되므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발광, 색상을 조절하여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하나의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reen of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is adjusted through the management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can be used as one large screen by adjusting the light emission and color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상세히 설명하면, 관리부에서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하나의 픽셀로 정의하고,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픽셀이 모인 하나의 스크린으로 정의하여, 픽셀로 이루어진 영상이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통해 표시될 수 있게 한 것이다.In detail, the management unit defines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as one pixel, and defines a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as a single screen in which pixels are gathered, so that an image made of pixels is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flexible display devices. made to be displayed.

따라서 다수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연동하여 공연자에게 하나의 응원 메시지를 전달 가능하므로, 메시지 전달 능력을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응원자들 간의 유대감이 증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deliver one cheering message to a performer by linking a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t only maximizes the message delivery ability but also increases the bond between the supporters.

도 1은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간의 통신 개념도.
도 3은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화면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플렉시블 화면 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을 구체화한 블록도.
도 5는 플렉시블 화면 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의 관리부가 공연 서버와 연동되는 것을 표현한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for explaining a support system us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display form implemented using a support system us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4 is a block diagram of a support system us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management unit of the support system using the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is interlocked with the performance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와,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서로 연동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응원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pport system tha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by interworking with a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는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받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화면표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장착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120 display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mounted on the user's body. It may be made to include a mounting portion 130 to be.

상세히 설명하면,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는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응원 도구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서 공연자를 응원하기 위한 응원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며, 이러한 응원 메시지의 형태는 하나의 빛을 발광하는 방식,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교차 발광하는 방식, 사용자가 제작하거나 이미 제작되어 있는 응원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응원이 응원봉,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 졌으나 응원봉의 경우 단순히 빛을 발광하는 방식으로 응원 방식이 한정되고, 스마트 폰을 이용한 응원의 경우 스크린의 크기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 가지 응원 방식의 경우 모두 사용자가 손으로 응원 도구를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활동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응원에 사용되는 장비가 상기 장착부(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 가능하게 한 것이다. In detail,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is a cheering tool used in a performance hall, and a cheering message for cheering a perform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form of this cheering message is a method of emitting a single light, each other.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by cross-emitting lights of different colors, or by displaying a cheering message that the user has created or has already been created. Conventionally, such cheering has been done using a light stick, a smartphone, etc., but in the case of a light stick, the cheering method is limited to a method of simply emitting light, and in the case of cheering using a smart phone, the size of the screen is limited. In the case of the branch support method, since the user has to hold the support tool by hand, there is a problem in restricting the user's activit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ipment used for the support can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through the mounting unit 130 . did it

또한 장착부에 결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130)의 벤딩에 대응하여 벤딩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제작하여, 응원 메시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게 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0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in response to bending of the mounting unit 130 mounted on the human body, so that the display unit 120 on which the support message is displayed has a larger area. that made it possible

아울러,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의 면적을 넓히더라도,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응원 메시지를 공연자에게 전달하기 어려우며, 공연자에게 문자, 기호, 그림, 영상 등의 응원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모다 넓은 스크린이 필요하므로,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를 서로 연동시켜,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가 하나의 픽셀로 사용되는 하나의 대형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대형 스크린 구성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20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ned, it is difficult to actually deliver the cheering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o the performer, and text, symbols, pictures, and images to the performers Since a wide screen is required to deliver a support message, such as, a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1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uses one large screen as one pixel. It can be configured, and below, a system for configuring such a large screen will be described.

도 2에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간의 통신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화면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 communication conceptual diagram between devices for explaining a support system us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and FIG.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display form implemented using the support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20)가 형성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와,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와 통신하며,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 장치(200)와, 복수개의 상기 스마트 장치(200)와 통신하여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스마트 장치(200)에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관리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upport system using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having the display unit 120 formed thereon, and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 and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A smart device 200 that transmits screen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o (100), and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the smart devices 200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100, , and a management unit 300 for transmitt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to each of the smart devices 200 based on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개의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가 모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대형 스크린(S)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기 화면표시 장비(100)에 적합한 화면 정보가 송신되어야 하므로, 상기 관리부(300)에서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와 블루투스 통신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장치(200)로 적합한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 받은 스마트 장치(200)가 다시 통신하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여,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응원 메시지 형성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게 한 것이다.In detail, in order to gather a plurality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100 to form one large screen S as shown in FIG. 3 , screen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of the screen display devices 100 is transmitted. Therefore, the management unit 300 transmits the appropriate screen display information to the smart device 200 such as a smart phone communicating with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Bluetooth, and the smart device 200 that has received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 transmits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to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at communicates again, so that a screen for forming a support mess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

도 4에는 플렉시블 화면 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을 구체화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upport system us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는 제1 통신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장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제2 통신부(210)와, 인식부(220)와,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부(300)는 응원정보 저장부(310)와, 응원정보 송신부(320)와, 픽셀 변환부(330)와, 제3 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 a display unit 120 and a mounting unit 130 , and the smart device 20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 210 , a recognition unit 220 , and an application storage unit 230 , and the management unit 300 includes a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 a suppor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320 , and a pixel conversion unit ( 330 ,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350 .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 각각을 픽셀로 사용하여 하나의 대형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픽셀로 사용 가능한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의 상기 인식부(2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좌석의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통하여 상기 관리부(300)에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응원정보 송신부(320)에서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픽셀 형태의 응원정보를 픽셀 형태로 분할하여 상기 제3 통신부(350)를 통해 적합한 위치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로 송신하고, 다시 스마트 장치(200)는 이를 통신하고 있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송신하여, 각각의 화면표시 장비(100)에서 응원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게 한 것이다.In detail, in order to configure one large screen by u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100 as pixels,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to the management unit 300 through the QR code or NFC tag of the seat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220 of the smart device 200, the support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unit 320 divides the support information in pixel form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into pixel form, and the smart device 200 possessed by the user at a suitable location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50 . ), and the smart device 200 again transmits it to the communicating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so that a screen for expressing suppor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each screen display device 100.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되는 좌석에 대응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이중 응원 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일정 이상의 조도를 가지는 빛이 발광되게 하고, 사용되지 않는 화면표시 장비(100)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빛이 발광되지 않게 하거나, 각 화면표시 장비(100)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게 함으로써, 특정 기호, 문자, 그림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Described through an embodiment,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can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eat where the user is located, as shown in FIG. 3 , so it is flexible used to display a double support image. In the cas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 unit 120 emits light having an illuminance above a certain level, and in the cas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at is not used, the display unit 120 does not emit light, By allowing each screen display device 100 to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it is possible to display specific symbols, characters, pictures, and the like.

이때, 상기 좌석의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통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확인은, 상기 인식부(220)를 통해 촬영 과정을 거치거나 통신 과정을 통해 통신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이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 및 상기 관리부(300)와의 통신 및 제어 또한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 confirmation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QR code or NFC tag of the seat is passed through the photographing process or communic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220, the application storage unit ( 230), this can be done through an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and control with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the management unit 300 can also be made through a stored application.

상기 픽셀 변환부(330)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와 통신하여 사용 가능한 픽셀의 영역 및 개수를 확인한 후,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된 응원 정보를 사용 가능한 픽셀의 영역 및 개수에 대응되는 영역 및 개수로 변환할 수 있다.The pixel conversion unit 330 communicates with the smart device 200 to check the area and number of usable pixels, and then uses the support information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to correspond to the area and number of usable pixels. It can be converted into the area and number of

상세히 설명하면, 공연장은 그 좌석의 개수 및 배치 형태가 서로 다르고, 동일한 공연장이라 할지라도 좌석이 모두 채워지지 않을 수 있으며, 설령 좌석이 모두 채워진 상태라 할지라도 모든 관객이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를 착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픽셀 변환부(330)가 응원 정보를 현재 공연장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활용 가능한지 유무를 확인 후,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 시 선택된 응원 정보를 교체하거나, 응원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픽셀 개수를 줄이는 방법을 통하여, 사용될 응원 정보를 실제 공연 상황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하여 준 것이다.In detail,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seats are different in the concert hall, and even in the same concert hall, all seats may not be filled, and even if the seats are all filled, all the audiences can use the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100) may not be worn, 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xel conversion unit 330 checks whether the support information can be utilized as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of the current concert hall, and then replaces the selected support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use is not possible. Alternatively, the cheering information to be used is converted into a form optimized for the actual performance situation through a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pixels for expressing the cheering information.

도 5에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의 관리부가 공연 서버와 연동되는 것을 표현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the management unit of the support system using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is interlocked with the performance server.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은 공연에 사용되는 음향이 저장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410)와,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송출하는 음향 송출부(420)와, 상기 관리부(300)로 사용되는 음향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제4 통신부(430)로 구성되는 공연 서버(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공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 정보와,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응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될 응원정보를 결정하는 음향 데이터 정보 판단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cheering system using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data storage unit 410 for storing sound used for a performance, a sound transmitting unit 420 for transmitting the stored sound data, and the management unit Further comprising a performance server 400 comprising a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for transmitting sound data information used as 300, the management unit 300 includes sound da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erformance server, and the support It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data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40 that determines the cheering information to be used by comparing the chee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상세히 설명하면, 공연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공연자 무대를 통해 진행되며 각 공연자는 무대에서 예정된 노래를 부르게 되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소지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응원 정보를 제작 후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하여 이를 실행하거나, 미리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된 응원 정보를 공연 정보에 맞춰 실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공연 진행 상황에 따라 공연자의 순서가 바뀌거나 특정 공연의 공연 시간이 길어질 경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응원정보가 순차적으로 실행 시 공연과 응원이 서로 대응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공연 정보를 상기 음향 데이터 정보 판단부(340)에서 수신한 후, 적합한 음향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detail, the performance is generally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performers' stages, each performer sings a predetermined song on the stage, and a user with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is stor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unit 230 of the smart device 200. After directly producing support information using the stored application, it is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and executed, or the support information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in advance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information. . At this time, if the order of performers is changed or the performance time of a specific performance is prolonged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the performance, the support information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may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support information is sequentially executed. ,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sound data storage unit and the performance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are received by the sound data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340, suitable sound data can be selected.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s, transform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100 :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110 : 제1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장착부
200 : 스마트 장치 210 : 제2 통신부
220 : 인식부 230 :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300 : 관리부 310 : 응원정보 저장부
320 : 응원정보 송신부 330 : 픽셀 변환부
340 : 음향 데이터 정보 판단부 350 : 제3 통신부
400 : 공연 서버 410 : 음향 데이터 저장부
420 : 음향 송출부 430 : 제4 통신부
100: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110: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display unit 130: mounting unit
200: smart device 210: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recognition unit 230: application storage unit
300: management unit 310: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support information transmitter 330: pixel conversion unit
340: sound data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350: third communication unit
400: performance server 410: sound data storage unit
420: sound transmitting unit 430: fourth communication unit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면표시 정보를 수신받는 제1 통신부(110)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화면표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장착부(130)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와 통신하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화면표시 정보를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송신하는 스마트 장치(200);
복수개의 상기 스마트 장치(200)와 통신하여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스마트 장치(200)에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관리부(300); 및
공연에 사용되는 음향이 저장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410)와,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송출하는 음향 송출부(420)와, 사용되는 음향 데이터 정보를 상기 관리부(300)로 송신하는 제4 통신부(430)로 구성되는 공연 서버(400)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인식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300)는 공연에 사용되는 응원 정보가 픽셀 형태로 저장되는 응원정보 저장부(310)와, 응원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픽셀을 대응되는 위치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와 연동되는 스마트 장치(200)로 송신하는 응원정보 송신부(320)와, 상기 스마트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가능한 픽셀의 영역 및 개수를 확인한 후,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된 응원 정보를 사용 가능한 픽셀의 영역 및 개수에 대응되는 영역 및 개수를 가지도록 변환하는 픽셀 변환부(330)와, 상기 공연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데이터 정보와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된 응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될 응원 정보를 결정하는 음향 데이터 정보 판단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220)는 좌석의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관리부(300)로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응원정보 송신부(320)는 상기 응원정보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응원정보를 픽셀 형태로 분할하여 상기 스마트 장치(200)로 송신하며,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이를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송신하여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에 응원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픽셀 변환부(330)는 선택된 응원 정보가 상기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활용 가능한지 유무를 확인한 후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 시 선택된 응원 정보를 교체하거나 응원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픽셀 개수를 조절하고,
상기 관리부(300)는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하나의 픽셀로 정의하고,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픽셀이 모인 하나의 스크린으로 정의하여, 픽셀로 이루어진 영상이 복수개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통해 표현되며,
상기 관리부(300)는 스마트 장치(200)로 화면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상기 화면표시 정보를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로 송신하여, 각각의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응원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A flexible screen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120 displaying screen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mounting unit 130 mounted on the user's body display equipment 100;
a smart device 2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s screen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o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 management unit ( 300); and
A sound data storage unit 410 for storing the sound used for a performance, a sound transmitting unit 420 for transmitting the stored sound data, and a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for transmitting the used sound data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unit 300 . ) In the support system us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equipment comprising a performance server 400 consisting of,
The smart device 200 includes a recognition unit 220,
The management unit 300 includes a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in which support information used for a performance is stored in a pixel form, and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support information interlocked with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t a corresponding location. After confirming the area and number of usable pixel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information transmitter 320 that transmits to the smart device 200 and the smart device 200, the support information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is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The pixel conversion unit 330 for converting to have an area and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rea and number of usable pixels, the sound da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erformance server 400 and the chee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and an acoustic data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40 that compares the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cheering information to be used,
The recognition unit 220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to the management unit 300 by recognizing the QR code or NFC tag of the seat, and the support information transmitter 320 is the support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support information stored in 310 is divided into pixels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00, and the smart device 200 transmits it to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to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 100) displays support information,
The pixel conversion unit 330 checks whether the selected cheering information can be used as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cheering information cannot be used, replaces the selected cheering information or adjusts the number of pixels for expressing the cheering information, ,
The management unit 300 defines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as one pixel, and defines a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as one screen in which pixels are gathered, so that an image made of pixels is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s. is expressed,
The management unit 300 transmits screen display information to the smart device 200 , and the smart device 200 transmits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to the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 and each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100 Supporting system using a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38582A 2019-11-01 2019-11-0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3060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82A KR102306004B1 (en) 2019-11-01 2019-11-0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82A KR102306004B1 (en) 2019-11-01 2019-11-0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37A KR20210052937A (en) 2021-05-11
KR102306004B1 true KR102306004B1 (en) 2021-09-27

Family

ID=7591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582A KR102306004B1 (en) 2019-11-01 2019-11-01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0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822B1 (en) * 2017-10-25 2019-01-0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display based support tools and support methods using smart phone interlock LED electronic sti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032Y1 (en) 2003-04-04 2003-07-18 박관우 Gloves for cheering
KR20190035214A (en)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네오팝 Smart b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822B1 (en) * 2017-10-25 2019-01-0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display based support tools and support methods using smart phone interlock LED electronic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37A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535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light emitting devices
US11638338B2 (en) Group-performance control method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P3002995A1 (en) Lighting device
EP29360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atterning elements having two states
KR101699508B1 (en) A system for bidirectional cheering
US11297253B2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user terminals
KR102322096B1 (en) Method for performance directing u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chiiring and system using thereof
KR20150136023A (en) Light-emitting diode remote control system for a performance
EP1434183A3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2306004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hee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936822B1 (en) Virtual display based support tools and support methods using smart phone interlock LED electronic stick
KR102326424B1 (en) Method for performance directing u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chiiring and system using thereof
JP2007293020A (en) Display device, scre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system
JP20210577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089803B1 (en) Virtual display using module type LED electronic stick
KR102663330B1 (en) Method for performance directing u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chiiring and system using thereof
WO2017058131A1 (en) Mass projection system with cellular telephone lights (flash, screen)
KR20170046411A (en) Smart barcode management system for walking sports
KR20210137954A (en) Method for performance directing using light emitting device for chiiring and system using thereof
KR20240005323A (en) Smart mobile phone application system for voice announcement of historical site by three 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technique
CN116740870A (en) Assistance ba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assistance ba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70074449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in cyber farm
TW201525956A (en) Method and system for patterning elements having two states
KR20090071726A (en) Advertisemnet monitor that is controled by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