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901B1 -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901B1
KR102305901B1 KR1020200020464A KR20200020464A KR102305901B1 KR 102305901 B1 KR102305901 B1 KR 102305901B1 KR 1020200020464 A KR1020200020464 A KR 1020200020464A KR 20200020464 A KR20200020464 A KR 20200020464A KR 102305901 B1 KR102305901 B1 KR 10230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frame
window
priority
graphic
priority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686A (ko
Inventor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2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9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44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OI operator inte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06Safety, monitoring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HMI장치가 통신쓰레드를 이용하여 PLC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PLC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우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우선 요청프레임 및 일반 디바이스와 관련된 일반 요청프레임을 포함하는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통신쓰레드와 병렬수행되는 그래픽쓰레드를 이용하여 우선 요청프레임과 관련된 우선 요청윈도우를 랜더링하고, 일반 요청프레임과 관련된 일반 윈도우를 랜더링하는 윈도우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 Displaying of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본 발명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화 장비의 사용분야가 다양해지고 요구되는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자동화 장비를 운영자가 효과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화 장비의 제어 및 감시를 위한 사용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HMI(human machine interface)라 한다.
일반적인 HMI시스템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인버터, 로봇 등의 산업용 제어기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산업용 제어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HMI시스템은 산업용 제어기에 대한 상태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그래프, 도형, 표 등의 시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HMI시스템은 용도에 따라 여러 개의 기본 화면을 작성하고, 그래프, 도형, 표 등의 그래픽 요소를 배치한다. HMI시스템은 산업용 제어기의 값이 특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 시각 정보를 해당 기본 화면에 표시하기도 하고, 복수개의 시각 정보 각각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팝업 형태로 띄웠다가 제거하기도 하며, 윈도우에 표시된 시각 정보를 변경하는 형식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구성한다.
이 중에서도 기본 화면에 복수개의 윈도우를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형식으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 HMI시스템은 그래픽 요소를 랜더링하여 시각 정보로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쓰레드와 산업용 제어기와의 통신을 통한 통신쓰레드를 동시에 병렬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산업용 제어기 중 첫 번째 제어기와의 통신이 완료되어야만 기본 화면에 윈도우의 표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화면 반응성이 저하된다고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731204 10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통신쓰레드에서 우선 요청프레임을 식별하여 우선적으로 해당 프레임을 처리하고, 그래픽쓰레드가 통신쓰레드로부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처리이벤트를 수신한 이후에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우선 요청윈도우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통신쓰레드에서 우선 요청프레임을 식별하여 우선적으로 해당 프레임을 처리하고, 그래픽쓰레드가 통신쓰레드로부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처리이벤트를 수신한 이후에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우선 요청윈도우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은, 통신쓰레드에서 우선 요청프레임을 식별하여 우선적으로 해당 프레임을 처리하고, 그래픽쓰레드가 통신쓰레드로부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처리이벤트를 수신한 이후에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우선 요청윈도우를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화면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에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01단계에서 HMI장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PLC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이하, 디바이스라 함)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CPU모듈, 통신모듈, 디지털 입/출력모듈,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HMI장치에서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의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의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03단계에서 HMI장치는 그래픽 요소를 생성한다. 이때, 그래픽 요소는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과 같이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시각 정보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105단계에서 HMI장치는 통신쓰레드와 그래픽쓰레드를 호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105단계에서 HMI장치는 호출된 통신쓰레드에 101단계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를 적용하여 107단계 내지 115단계를 수행하고, 호출된 그래픽쓰레드에 103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여 117단계 내지 129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쓰레드(thread)는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보다 작은 단위로 나눈 경량화된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107단계에서 HMI장치는 제1 요청프레임, 제2 요청프레임 및 제3 요청프레임을 포함하는 요청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HMI장치는 101단계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항목과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HMI장치는 109단계 내지 113단계에서 제1 요청프레임, 제2 요청프레임 및 제3 요청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115단계를 수행한다. 115단계에서 HMI장치는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109단계로 회귀하여 109단계 내지 113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서는 모니터링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109단계로 회귀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링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처리되지 않은 요청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한 단계 즉, 109단계 내지 113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117단계에서 HMI장치는 제1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확인하고 119단계를 수행한다. 117단계의 확인결과 제1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HMI장치는 119단계를 수행하여 제1 윈도우를 표시한다. 반대로, 117단계의 확인결과 제1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지 않으면 HMI장치는 제1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121단계에서 HMI장치는 제2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확인한다. 121단계의 확인결과 제2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HMI장치는 123단계를 수행하여 제2 윈도우를 표시한다. 반대로, 121단계의 확인결과 제2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지 않으면 HMI장치는 제2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25단계에서 HMI장치는 제3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확인한다. 125단계의 확인결과 제3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HMI장치는 127단계를 수행하여 제3 윈도우를 표시하고 129단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HMI장치에서 수행되는 그래픽쓰레드는 통신쓰레드에서 그래픽 랜더링과 관련된 요청프레임의 처리가 완료되면 해당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125단계의 확인결과 제3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지 않으면 HMI장치는 제3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29단계에서 HMI장치는 그래픽쓰레드를 이용한 윈도우의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117단계로 회귀하여 117단계 내지 127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랜더링은 그래픽 요소의 랜더링을 의미하며, 표시하고자 하는 그래픽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그래픽 요소가 그래프일 경우, 제1 그래픽 랜더링은 표시하고자 하는 그래프의 포맷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는 그래픽 랜더링을 통해 랜더링된 그래픽 요소가 표시될 화면을 의미하며 윈도우는 기본 화면에 팝업 또는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통신쓰레드와 그래픽쓰레드는 병렬적으로 동작하되, 상호 연관관계를 갖고 동작한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가 제3 요청프레임, 제2 디바이스가 제2 요청프레임, 제3 디바이스가 제1 요청프레임에 포함되어 있고, 제1 그래픽 랜더링은 제1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그래픽 요소인 제1 램프, 제2 그래픽 랜더링은 제2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그래픽 요소인 제2 램프, 제3 그래픽 랜더링은 제3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그래픽 요소인 제3 램프일 수 있다.
이때, 제1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는 시점에 제1 디바이스가 포함된 제3 요청프레임이 처리되지 않은 상태이면 HMI장치는 제1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HMI는 제1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할 수 없다. 하지만, 제1 그래픽 랜더링보다 늦은 시점에 수행되는 제3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는 시점에 제3 디바이스가 포함된 제1 요청프레임이 처리된 상태라면 HMI장치는 제3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제3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서 HMI장치는 제3 요청프레임을 처리하여 제1 디바이스 정보를 읽어와야 하므로, 제3 요청프레임이 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윈도우를 표시할 수 없다. 즉, 제1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는 시점에서 제3 요청프레임이 처리되지 않은 상태이면 HMI장치는 다음 랜더링 사이클에서 제1 그래픽 랜더링을 처리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기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가 표시되는 방법은 요청프레임이 처리된 이후에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여 윈도우를 표시하므로 요청프레임이 처리될 때까지 윈도우가 표시되지 않는 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화면 반응성이 저하된다고 느끼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200)은 HMI장치(300), PLC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HMI장치(30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HMI장치(300)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태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그래프, 도형, 표 등의 시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기의 도 3을 이용하여 HMI장치(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I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HMI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표시부(330), 메모리(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CPU모듈(41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310)는 RS-232 등의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310)는 시리얼 통신뿐 아니라, 다양한 이더넷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부(320)는 HMI장치(300)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320)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패널, 터치 키 및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320)는 우선적으로 처리할 적어도 하나의 우선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신호와 그래픽 요소에 대한 선택신호를 제어부(350)로 제공한다.
표시부(330)는 HMI장치(3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33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데이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하고, 그래프, 도형, 표 등의 시각 정보가 표시된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팝업 또는 오버레이 형태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30)는 입력부(3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HMI장치(3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340)는 입력부(320)의 선택신호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우선 디바이스 및 그래픽 요소를 저장한다.
제어부(35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CPU모듈(410)과의 통신을 통해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복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고, 그래픽 요소를 생성한다.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와 그래픽쓰레드를 호출한다.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를 이용하여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그래픽쓰레드를 이용하여 윈도우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항목과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제어부(350)는 구성된 요청프레임 중에서 우선 요청프레임이 존재하면 우선 요청프레임을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제어부(350)는 우선 요청프레임을 처리한 이후에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그래픽쓰레드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디바이스 중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할 우선 디바이스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우선 디바이스를 제외한 디바이스를 일반 디바이스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우선 요청프레임을 처리한 이후에 우선 요청프레임을 제외한 일반 요청프레임인 제1 요청프레임 및 제2 요청프레임을 처리한다. 제어부(350)는 요청프레임의 처리가 완료되면 모니터링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하고, 요청프레임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요청프레임을 확인하여 요청프레임의 처리를 재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50)는 그래픽쓰레드를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우선 요청윈도우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우선 요청윈도우가 존재하면 통신쓰레드로부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수신하고, 우선 요청윈도우와 관련된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한다. 우선 요청윈도우와 관련된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제어부(350)는 우선 요청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한다.
우선 요청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한 이후에 제어부(350)는 제1 그래픽 랜더링 및 제2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제어부(350)는 제1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제1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하고, 제2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제2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350)는 생성된 그래픽 요소에 대한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고, 그래픽 랜더링에 대응되는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하면 윈도우의 모니터링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PLC시스템(400)은 기본 유닛의 역할을 수행하는 CPU모듈(410)과 CPU모듈(410)에 연결된 제1 디바이스(420), 제2 디바이스(430) 및 제3 디바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고, CPU모듈(410)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통신모듈, 디지털 입/출력모듈,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등일 수 있다. CPU모듈(410)은 CPU모듈(410), 제1 디바이스(420) 내지 제3 디바이스(440) 각각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HMI장치(300)로 전송하고, HMI장치(300)에서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HMI장치(3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350)는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CPU모듈(410)과의 통신을 통해 PLC시스템(400)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이하, 디바이스라 함)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CPU모듈(410), 제1 디바이스(420), 제2 디바이스(430) 및 제3 디바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통신모듈, 디지털 입/출력모듈,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제어부(350)에서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의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명, 디바이스의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0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그래픽 요소를 생성한다. 이때, 그래픽 요소는 그래프, 도형, 표, 램프, 스위치 등과 같이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시각 정보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405단계에서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와 그래픽쓰레드를 호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405단계에서 제어부(350)는 호출된 통신쓰레드에 401단계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를 적용하여 407단계를 수행하고, 호출된 그래픽쓰레드에 403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여 409단계를 수행한다.
407단계에서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를 이용하여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때, 407단계는 하기의 도 5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어부(350)는 401단계에서 수집된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시각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항목과 관련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50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구성된 요청프레임 중에서 우선 요청프레임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503단계의 확인결과, 우선 요청프레임이 존재하면 제어부(350)는 505단계를 수행하고, 우선 요청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면 509단계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50)는 디바이스 중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할 우선 디바이스를 설정할 수 있고, 우선 디바이스를 제외한 디바이스를 일반 디바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요청프레임 구성 시에 제1 디바이스(420)와 제2 디바이스(430)의 동작을 램프로 표시하는 것이 우선 요청프레임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430)의 에너지 사용량을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과 제3 디바이스(440)의 상태를 램프로 표시하는 것이 각각 제1 요청프레임과 제2 요청프레임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05단계에서 제어부(350)는 503단계에서 확인된 우선 요청프레임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507단계를 수행한다. 507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처리가 완료된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그래픽쓰레드로 제공하고 509단계를 수행한다.
509단계에서 제어부(350)는 501단계에서 구성된 요청프레임 중에서 우선 요청프레임을 제외한 일반 요청프레임인 제1 요청프레임을 처리하고 511단계를 수행하여 일반 요청프레임인 제2 요청프레임을 처리한다. 51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모니터링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509단계로 회귀하여 509단계 내지 511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509단계로 회귀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링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처리되지 않은 요청프레임을 확인하여 확인된 요청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한 단계 즉, 509단계 및 511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407단계와 동시에 409단계를 수행한다. 409단계에서 제어부(350)는 그래픽쓰레드를 이용하여 윈도우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때, 409단계는 하기의 도 6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우선 요청윈도우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601단계의 확인결과 우선 요청윈도우가 존재하면 제어부(350)는 603단계를 수행하고, 우선 요청윈도우가 존재하지 않으면 609단계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제1 디바이스(420)와 제2 디바이스(430)의 동작을 램프로 표시하는 윈도우가 우선 요청윈도우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60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로부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603단계의 확인결과 통신쓰레드로부터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350)는 605단계를 수행하고,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벤트의 수신을 대기한다.
605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우선 요청윈도우와 관련된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확인한다. 605단계의 확인결과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제어부(350)는 607단계를 수행하고,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지 않으면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를 대기한다. 607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우선 요청윈도우를 표시하고 609단계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에서 처리한 우선 요청프레임을 기반으로 확인된 제1 디바이스(420)와 제2 디바이스(430)의 상태를 램프로 표시한 우선 요청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609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제1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확인한다. 609단계의 확인결과 제1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제어부(350)는 611단계를 수행하여 제1 윈도우를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에서 처리한 제1 요청프레임을 기반으로 확인된 제2 디바이스(430)의 에너지 사용량을 그래프로 표시한 제1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609단계의 확인결과 제1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제1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613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제2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확인한다. 613단계의 확인결과 제2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제어부(350)는 615단계를 제2 윈도우를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통신쓰레드에서 처리한 제2 요청프레임을 기반으로 확인된 제3 디바이스(440)의 상태를 램프로 표시한 제2 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613단계의 확인결과 제2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제2 그래픽 랜더링의 완료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우선 요청윈도우가 1개이고, 일반 요청윈도우가 2개인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는 403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픽 요소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617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윈도우의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모니터링이 종료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609단계로 회귀하여 609단계 내지 615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그래픽쓰레드가 우선 요청프레임의 처리를 수행한 통신쓰레드로부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수신한 이후에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고,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우선 요청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가 설정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표시할 우선 요청윈도우를 기본 화면에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화면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HMI장치가 통신쓰레드를 이용하여 PLC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PLC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우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우선 요청프레임 및 일반 디바이스와 관련된 일반 요청프레임을 포함하는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쓰레드와 병렬수행되는 그래픽쓰레드를 이용하여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과 관련된 우선 요청윈도우를 랜더링하고, 상기 일반 요청프레임과 관련된 일반 윈도우를 랜더링하는 윈도우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프레임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요청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요청프레임 중에서 우선 요청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상기 그래픽쓰레드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상기 그래픽쓰레드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청프레임 중에서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을 제외한 상기 일반 요청프레임을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요청윈도우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요청윈도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요청프레임에 대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우선 요청윈도우와 관련된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상기 우선 요청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요청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일반 윈도우와 관련된 상기 그래픽 요소에 대한 그래픽 랜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랜더링이 완료되면 상기 일반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방법.
KR1020200020464A 2020-02-19 2020-02-19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30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64A KR102305901B1 (ko) 2020-02-19 2020-02-19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64A KR102305901B1 (ko) 2020-02-19 2020-02-19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686A KR20210105686A (ko) 2021-08-27
KR102305901B1 true KR102305901B1 (ko) 2021-09-27

Family

ID=7750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464A KR102305901B1 (ko) 2020-02-19 2020-02-19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9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98B1 (ko) * 2011-07-07 2013-03-19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프로토콜 애널라이저가 내장된 HMl
KR101731204B1 (ko) 2016-01-19 2017-04-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mi 시스템의 알람 데이터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686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8259B1 (en) Fiel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field device management system
US202001038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to a Multi-Agent Distributed Control System
KR20060012327A (ko) 구성형 plc 및 scada 기반 제어 시스템
US20120182285A1 (en) System for the visualization of status information of field devices
CN101566909A (zh) 多窗口操作界面显示方法
US9632496B2 (en) Engineering apparatus which associates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ata with human machine interface data
JP2009009505A (ja) Plc
US20180196540A1 (en) Transparency augmented industrial automation display
US20140344428A1 (en) System architecture support tool
US20120110489A1 (en) Dynamic loading of device feature specific graphical user interface presentations
KR102305901B1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US8010939B2 (en) Method for the graphic planning of the control of a technical installation with integrated planning of operating devices including a planning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4130430A2 (en)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ing engineering tasks in a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 system
JP2012159868A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US20130238104A1 (en) System design device
CN106155519B (zh) 画面信息生成装置
KR102303053B1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프레임 구성방법
JP5744363B1 (ja) 作画ソフトウェア
JP2008021154A (ja) 制御用表示器の操作画面編集方法
KR102430372B1 (ko) Hmi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009848B2 (en) Scalable intelligent query-based interface to navigate and find industrial information on a visual interface
KR100785476B1 (ko) Mmi 동적 연결 설정 방법 및 시스템
JP2014191566A (ja) 操作盤の画面定義装置
US20090046066A1 (en)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a machine tool, a production machine and/or a machine in the form of a robot
KR102482526B1 (ko) 데이터 모델 설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