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759B1 -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 Google Patents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759B1
KR102305759B1 KR1020200013010A KR20200013010A KR102305759B1 KR 102305759 B1 KR102305759 B1 KR 102305759B1 KR 1020200013010 A KR1020200013010 A KR 1020200013010A KR 20200013010 A KR20200013010 A KR 20200013010A KR 102305759 B1 KR102305759 B1 KR 10230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ating furnace
auxiliary
auxiliary do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9314A (en
Inventor
조영종
이겨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1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759B1/en
Publication of KR2021009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4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of metallic work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27D2001/1875Hanging doors and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46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one or more movable arms, e.g.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을 줄여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열로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apparatus for a heating furnace capable of minimizing heat loss in a heating furnace by reducing an area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penetrate into a heating furnace when a slab is extracted, which includes a lower door; an upper door that is disposed on the lower door and is capable of elevating; an auxiliary door capable of elevating along one side of the lower door and one side of the upper door; and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after the auxiliary door rises by a certain height,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are caught, so that the upper door is raised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rise of the auxiliary door. including a locking part.

Description

가열로의 도어장치{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Heating furnace door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가열로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를 추출하기 위하여 가열로를 개폐시키는 도어장치로서, 슬라브의 추출시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가열로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r example, a door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heating furnace in order to extract a slab located inside the heating furnace, and to a door device for a heating furnace capable of minimizing heat loss to the heating furnace when the slab is extracted.

예컨대, 제철소에서 생산된 슬라브는 후공정인 열간 압연을 위하여 가열로의 내부에 투입되고,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 슬라브는 가열로의 일측면을 통해 추출된다. For example, the slab produced in the steel mill is put into the furnace for hot rolling, which is a post process, and the slab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extracted through one side of the furnace.

이러한 가열로는 슬라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도어를 가지며, 가열된 슬라브는 추출기의 포크를 이용하여 추출도어를 통해 가열로의 외부로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된 슬라브는 이송롤에 의해 압연롤 쪽으로 이동된다.This heating furnace has an extraction door for extracting the slab, and the heated slab is drawn out of the furnace through the extraction door using the fork of the extractor, and the drawn slab is moved toward the rolling roll by the transfer roll. .

가열로 내부는 슬라브의 가열을 위해 적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슬라브를 추출하기 위해 추출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 가열로 내외부의 온도 편차에 의한 대류 현상으로 가열로 내부의 고온 가스가 가열로 외부로 방출됨과 동시에 가열로 외부의 저온 공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It is desira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pressure inside the furnace for heating the slab. When the extraction door is opened to extract the slab, the high-temperature gas inside the furnace i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and at the same time, low-temperatur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furnace is introduced into the furnace.

이와 같이 추출도어가 개방될 때 필연적으로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가열로 내 온도를 저하시켜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연료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한다. As such, when the extraction door is opened, the area exposed to external air inevitably increases,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in the heating furnace and adversely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s well as increasing the amount of fuel used, resulting in wastage of energy.

(특허문헌 1) KR 1128941 B1(Patent Document 1) KR 1128941 B1

이에 본 발명은 슬라브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을 줄여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열로의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device for a heating furnace capable of minimizing heat loss in the heating furnace by reducing the area and time in which external air can penetrate into the heating furnace when the slab is extra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oor device for a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door; an upper door that is disposed on the lower door and is capable of elevating; an auxiliary door capable of elevating along one side of the lower door and one side of the upper door; and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after the auxiliary door rises by a certain height,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are caught, so that the upper door is raised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rise of the auxiliary 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ocking por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추출기와 간섭이 되는 부분만 먼저 개방될 수 있어, 슬라브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가열로 내 저온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part that interferes with the extractor can be opened first, so that the area and time for external air to penetrate into the heating furnace during extraction of the slab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inflow of low-temperature air into the heating furnace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heat loss caused by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를 분리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 및 보조 도어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device of a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ower door and the upper door shown in FIG. 1 separated.
3 is a plan view of FIG. 2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door shown in FIG. 1 .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door, the upper door, and the auxiliary door are combined.
6 is a plan view of FIG. 5 .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device of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e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device of a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가열로(1)의 일측면에 있는 개구부를 개방시켜, 가열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를 추출 내지 운반 가능하게 한다. 이 도어장치는 가열로의 일측면에서 상하로, 즉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들을 구비한다.The door device of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heating furnace 1, so that the material S such as a heated slab can be extracted or transported. This door device includes door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at is, in the heigh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heating furnace.

가열로(1)의 내부에 투입된 소재(S)가 가열될 때, 도어장치는 가열로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가열로의 내부열이 차단된다. 한편, 가열로에 의한 소재의 가열이 완료되면, 도어장치의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고, 소재를 인출하기 위하여,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 내에 진입하여 포크홈(미도시)에 삽입되고, 이어서 소재를 가열로로부터 추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aterial S injected into the heating furnace 1 is heated, the door device closes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to block the internal heat of the heating furn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of the material by the heating furnace is completed, the door of the door device rises by a certain height, and in order to take out the material, the fork 2 of the extractor enters the heating furnace and enters the fork groove (not shown). inserted, and the material can then be extracted from the furn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하부 도어(10); 이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20);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30); 및 이 보조 도어와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보조 도어와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A door device for a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door 10; an upper door 20 that is disposed on the lower door and can be lifted; Auxiliary door 30 capable of elevating along one side of the lower door and one side of the upper door; and a locking part 40 that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respectively, and causes the upper door to rise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rise of the auxiliary door as the auxiliary door is caught between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after the auxiliary door rises by a certain height may include.

이들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 및 보조 도어(30)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하기로 한다.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lower door 10, the upper door 20, and the auxiliary door 3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는 가열로(1)에 설치되어 보조 도어(3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device of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driving unit 50 installed in the heating furnace 1 to raise and lower the auxiliary door 30 .

승강 구동부(50)는 가열로(1)의 상부에 위치되고, 보조 도어(30)와 웨이트부(60)를 연결할 수 있다. 보조 도어와 웨이트부는 승강 구동부에 의해 서로의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lifting driving unit 5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furnace 1 , and may connect the auxiliary door 30 and the weight unit 60 . The auxiliary door and the weight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y the lift driving unit.

이러한 승강 구동부(50)는 샤프트(51), 복수의 웨이트휠(52), 복수의 연결부재(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ft driving unit 50 may include a shaft 51 , a plurality of weight wheels 52 ,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53 , and the like.

샤프트(51)는 예컨대 원형 단면의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열로(1)의 상부에 수평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샤프트는 가열로의 개구부에 인접한 상부 선단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The shaft 51 is formed, for example, in a bar sha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rotatab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furnace 1 . The shaft may be located along the upper tip adjacent the opening of the furnace.

복수의 웨이트휠(52)은 서로 이격되어 샤프트(51) 상에 고정되게 배치되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eight wheels 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ly disposed on the shaft 51 , and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복수의 연결부재(53) 중 적어도 하나가 보조 도어(30)에 연결되고,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긴다. 복수의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가 웨이트부(60)에 연결되고, 해당 웨이트휠에 감긴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53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oor 30 , and is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52 .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s connected to the weight unit 60 and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이러한 연결부재(53)로는 금속 재질로 된 체인 또는 와이어 로프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웨이트휠(52)도 연결부재의 형태에 따라 스프로킷이나 드럼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 chain or wire rope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employed as the connecting member 53 , and accordingly, the weight wheel 52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sprocket or a drum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승강 구동부(50)는 샤프트(51)와 연결되어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모터(54)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샤프트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샤프트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lift driving unit 50 may include a motor 54 connected to the shaft 51 to rotate the shaft. The motor 54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and can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aft. That is, the shaft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or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motor.

모터(54)와 샤프트(51) 사이에는 기어박스(55) 또는 체인기구(56)가 개재될 수 있다. 기어박스가 채택된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력이 증가된 상태로 샤프트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또는 기어박스 없이 체인기구가 채용되면, 모터의 회전력을 손실 없이 샤프트에 정확히 전달하여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A gearbox 55 or a chain mechanism 56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54 and the shaft 51 . When a gearbox is adop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may be transmitted to the shaft in an increased state. In addition to this or when a chain mechanism is employed without a gearbox,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shaft without loss to rotate the shaft.

한편, 웨이트부(60)는 샤프트(5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가열로(1)의 측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부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적절히 보호되고 상하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portion 6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51, it may be located in the side of the heating furnace (1). Such a weight portion can be accommodated in a casing (not shown), properly protected, and smoothly guided up and down.

또한, 웨이트부(60)는 각각 소정의 중량을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하 적층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웨이트부는 플레이트의 갯수를 조정하여,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unit 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may be assembled in a vertically stacked state. For this reason, the weight unit can adjust the weight by adjusting the number of plates.

전술한 구성을 가진 승강 구동부(50)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lift driving unit 5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예를 들어, 모터(54)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기면서 보조 도어를 위로 이동, 즉 상승시킴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웨이트부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shaft 51 rotates in one direction by driving the motor 54, the connecting member 53 connected to the auxiliary door 30 moves the auxiliary door upward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52, That is, at the same time as lifting,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unit 60 moves the weight unit downward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반면에, 모터(54)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샤프트(5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로부터 풀리면서 보조 도어를 아래로 이동, 즉 하강시킴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웨이트부를 위로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ft 5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54 , the connecting member 53 connected to the auxiliary door 30 is released from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52 and moves the auxiliary door downward. That is, at the same time as the lowering,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unit 60 moves the weight unit upward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이와 같이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 및 샤프트(51)의 회전은 보조 도어(30)의 높이방향으로의 이동과, 이에 따른 웨이트부(60)의 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한다. 이로써, 도어장치는 가열로(1)의 일측면에 있는 개구부를 도어들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As such, the rotation of the motor 54 and the shaft 51 of the lift driving unit 50 implements the mov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uxiliary door 30 and the move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eight unit 60 accordingly. do. Accordingly, the door device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on one side of the heating furnace 1 by the door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를 분리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보조 도어의 정면도이며, 도 5는 하부 도어와 상부 도어 및 보조 도어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ower door and the upper door shown in FIG. 1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3 is a plan view of FIG. 2 . 4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door, 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door, the upper door, and the auxiliary door are combined, and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

하부 도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서 가열로(1)의 개구부 앞에서 지반에 또는 설비의 바닥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The lower door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fixedly disposed on the ground or at the bottom of the equipment in front of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1 .

또한, 하부 도어(10)에는 가열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의 운반을 위한 추출기의 포크(2)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홈은 각각 하부 도어의 상면부터 소정의 깊이로 하부 도어의 하면을 항해 연장하여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door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12 through which the fork 2 of the extractor for transport of the material (S) such as a heated slab can pass through. Each of these through grooves may have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by sail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oo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door by a predetermined depth.

하부 도어(10)의 뒤에는, 추출기의 포크(2)가 삽입되는 가열로의 포크홈이 위치될 수 있다. 포크가 이 포크홈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홈과 하부 도어의 관통홈(12)은 서로 연통되게 그 높이가 적절히 맞추어 정렬되며, 관통홈의 단면 형상과 단면적은 포크홈과 동일하거나, 단면 형상은 포크홈과 동일하면서 단면적은 포크홈보다 다소 큰 것이 좋다. 다시 말하면, 가열로의 포크홈과 하부 도어의 관통홈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ehind the lower door 10, the fork groove of the heating furnace into which the fork 2 of the extractor is inserted may be located. The fork groove and the through groove 12 of the lower do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ork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fork groove, and the height of the through groove 12 is properly aligned,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ough groove are the same as the fork groove or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t is better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e fork groove and slightly larger than the fork groove.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k groove of the heating furnace and the through groove of the lower door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하부 도어(10)의 일측면, 예컨대 전면(前面)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1 안내홈(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1 안내홈을 따라 보조 도어(30)가 하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안정되게 상대이동할 수 있다. 제1 안내홈은 하부 도어의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A first guide groove 11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door 10, for example, the front surface, and the auxiliary door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door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It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stably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front,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door.

또, 제1 안내홈(11) 내에서 제1 안내홈의 벽부에 복수의 관통홈(12)이 형성되어, 제1 안내홈과 관통홈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12 are formed in the wall portion of the first guide groove in the first guide groove 11, so that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through groov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부 도어(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서, 가열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가 추출되는 가열로(1)의 개구부 앞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상부 도어는 하부 도어(10) 상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door 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front of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1 from which the material S, such as a heated slab, is extracted. The upper door may be installed to engage with each other on the lower door 10 .

예를 들어, 상부 도어(20)의 하면에는 중앙이 돌출된 치합돌기(23)가 형성되고, 하부 도어(10)의 상면에는 중앙이 오목한 치합홈(13)이 형성되어, 이들 치합돌기와 치합홈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entrally protruding engagement protrusion 2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oor 20 , and a centrally concave engagement groove 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oor 10 , and these engagement projections and engagement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oor 10 . These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덧붙여, 치합홈(13)에는 규사 등을 함유한 모래층(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도어(20)가 하부 도어(10)에 서로 맞물려 가열로(1)의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간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and layer (not shown) containing silica sand or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meshing groove 13 . Accordingly, when the upper door 20 is engaged with each other to the lower door 10 to close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1, airtightness between the upper door and the lower door can be secured.

상부 도어(20)의 일측면, 예컨대 전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2 안내홈(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2 안내홈을 따라 보조 도어(30)가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안정되게 상대이동할 수 있다. 제2 안내홈은 상부 도어의 전면과 상면 및 하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A second guide groove 21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for example,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door 20 , and the auxiliary door 30 moves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door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Able to move stably. The second guide groove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front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door.

제2 안내홈(21)은 제1 안내홈(11)과 동일한 폭(높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의 길이)과 깊이(하부 도어(10)의 두께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것이, 보조 도어(30)의 원활한 승강 이동을 위해 바람직하다. The second guide groove 21 has the same width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and depth (leng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ower door 10) as the first guide groove 11, the auxiliary door (30) It is preferable for smooth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상부 도어(20)의 상면에는, 걸림부(40)를 구성하는 후크 걸이대(41)가 직립하여 설치되고, 이 후크 걸이대에는 후술하는 보조 도어(30)의 후크(42)가 결합된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oor 20, a hook holder 41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40 is installed upright, and the hook 42 of the auxiliary doo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hook holder.

후크 걸이대(41)는 대략 문(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각 다리부의 하단이 상부 도어(20)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폐단면의 고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크 걸이대에는 상부 도어의 측방을 향해 후크 이동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ook holder 41 may be formed as a member of a substantially door shape, and the lower end of each leg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oor 20 to have a closed cross-section ring shape. In other words, the hook movement hole 43 may be formed in the hook holder toward the side of the upper door.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전술한 승강 구동부(50)의 연결부재(53)에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The auxiliary door 3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door 10 and the upper door 20 ,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53 of the above-described elevating driving unit 50 to move up and down in the height direction.

이러한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에 제1 안내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도어(20)에 제2 안내홈(21)이 형성된 경우에, 제1 안내홈과 제2 안내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is auxiliary door 30, when the first guide groove 11 is formed in the lower door 1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1 is formed in the upper door 20,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It may have a shape and size that can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의 높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부 도어의 높이를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uxiliary door 30 may have a height sufficient to cover the heights of the lower door 10 and the upper door 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the It is good to have a height that can cover the height.

보조 도어(30)의 상면에는, 걸림부(40)를 구성하는 후크(42)가 보조 도어의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후크는 전술한 상부 도어(20)의 후크 걸이대(41)와 결합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30, a hook 42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40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door, and this hook is coupled with the hook holder 41 of the upper door 20 described above. do.

후크(42)는 후크 걸이대(41)의 후크 이동홀(43) 내에 삽입되어, 후크 이동홀 내에서 보조 도어(3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보조 도어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후크 이동홀의 단부(44)에 걸리게 된다. The hook 42 is inserted into the hook movement hole 43 of the hook holder 41 and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auxiliary door 30 within the hook movement hole, and when the auxiliary door rises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hook is caught on the end 44 of the moving hole.

본 명세서와 도면들에서는, 걸림부(40)의 구성을 후크(42)와, 후크 이동홀(43)을 갖춘 후크 걸이대(41)로 설명하면서 도해하고 있지만, 걸림부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작동관계를 발휘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보조 도어(30)와 상부 도어(20)에 각각 적절히 배치되고서 서로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기둥부재나 돌출부재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art 40 is illustrated while explaining the hook 42 and the hook holder 41 having a hook moving hole 43,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ar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if the same operating relationship can be exhibited,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pillar members or protruding members that are appropriately disposed on the auxiliary door 30 and the upper door 20 and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에 따라, 걸림부(40)를 매개로 하여 보조 도어(30)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구동력을 상부 도어(20)에 인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ly a driving force to the upper door 20 to further raise the auxiliary door 30 through the engaging part 40, so that the upper door can rise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rise of the auxiliary door. there will be

특히, 이러한 걸림부(40)로 인하여, 하나의 모터(54)를 포함한 승강 구동부(50)에 의해 보조 도어(30)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킨 다음에 상부 도어(20)도 함께 상승시킬 수 있도록 도어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된다. In particular, due to the locking part 40, the auxiliary door 30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lift driving unit 50 including one motor 54, and then the upper door 20 can also be raised together.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figure a door device is obtained.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가열로(1)의 개구부를 차등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슬라브와 같은 소재의 추출시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이 줄어들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1 can be differentially opened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area and time for which external air can penetrate into the heating furnace when extracting a material such as a slab can be reduced.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가열로의 도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device of the heating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가열로(1) 내로 반입된, 슬라브와 같은 소재(S)가 후공정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될 때까지 도어장치의 도어들은 가열로의 개구부를 폐쇄시켜 가열로 내부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도 7 참조). First, the doors of the door device close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until the material S, such as a slab, carried into the heating furnace 1, is heat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post-processing to prevent the heat inside the heating furnace from escaping. prevent (see Fig. 7).

소재(S)의 가열이 완료되면 이를 인출하기 위해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1) 내에 진입하여 포크홈에 삽입되어야 한다. When the heating of the material (S) is completed, the fork (2) of the extractor enters into the heating furnace (1) to take it out and must be inserted into the fork groove.

이를 위해,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가 구동되어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기면서 보조 도어를 위로 이동시킴(도 8 참조)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웨이트부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To this end, the motor 54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50 is driven to rotate the shaft 51 in on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53 connected to the auxiliary door 30 is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52 . While moving the auxiliary door upward (see FIG. 8),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unit 60 moves the weight unit downward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이때, 보조 도어(30)는 하부 도어(10)의 제1 안내홈(11)과 상부 도어(20)의 제2 안내홈(21)을 따라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door 30 can move relative to the lower door and the upper door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groove 11 of the lower door 1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21 of the upper door 20 . have.

또한, 상부 도어(20)의 후크 걸이대(41)의 후크 이동홀(4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 도어(30)의 후크(42)는 후크 이동홀 내에서 보조 도어의 승강 이동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ok 42 of the auxiliary door 30 inserted into the hook movement hole 43 of the hook holder 41 of the upper door 20 moves in the he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auxiliary door in the hook movement hole. can move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 및 샤프트(51)의 회전은 보조 도어(30)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킨다. 보조 도어의 하단은, 하부 도어(10)의 관통홈(12) 및 가열로(1)의 포크홈을 충분히 노출시키는 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예를 들면 하부 도어의 상면과 일치하거나 그 이상의 높이로 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The rotation of the motor 54 and the shaft 51 of the lifting drive unit 50 raises the auxiliary door 30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door is at a height that sufficiently exposes the through groove 12 of the lower door 10 and the fork groove of the heating furnace 1, for example, at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oor. can be moved until

이와 같이,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1) 내에 진입할 때 가열로의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게 함으로써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 도어(20)는 상승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도어의 개방에 따른 열손실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ork 2 of the extractor enters the heating furnace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from being completely opened. That is, since the upper door 20 is not raised, heat loss due to unnecessary opening of the doo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추출기의 포크(2)는 소재(S)의 하면에 도달할 때까지 수평하게 더욱 이동된다. 이어서, 포크를 대략 수직하게 상승시켜 가열로(1) 내 스키드(미도시) 상에 놓여져 있던 소재를 포크 상에 안착시킨다. The fork 2 of the extractor is further moved horizontally until it reaches the lower surface of the material S. Then, by raising the fork approximately vertically, the material placed on the skid (not shown) in the heating furnace 1 is seated on the fork.

이렇게 포크(2)를 수직하게 상승시켜 소재(S)를 포크 상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상승되는 포크를 방해하지 않도록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 및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보조 도어(30)를 일정 높이만큼 추가로 상승시킴과 더불어 상부 도어(20)도 상승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가열로(1)의 개구부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In order to seat the material S on the fork by vertically raising the fork 2 in this way, the motor 54 and the shaft 51 of the elevating drive unit 50 rotate further in one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ising fork to assist In addition to raising the door 30 by a certain height, the upper door 20 must also be raised. In this case,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1 can be fully opened.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가 더욱 구동되어 샤프트(51)가 일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에 감기면서 보조 도어를 더욱 위로 이동시킴(도 9 참조)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웨이트부를 더욱 아래로 이동시킨다. The motor 54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50 is further driven to further rotate the shaft 51 in on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53 connected to the auxiliary door 30 is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52 . At the same time as moving the auxiliary door further upward (refer to FIG. 9),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unit 60 is released from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to further move the weight unit downward.

이때, 보조 도어(30)는 상부 도어(20)의 제2 안내홈(21)을 따라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door 30 may move relative to the upper door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21 of the upper door 20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상부 도어(20)의 후크 걸이대(41)의 후크 이동홀(4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 도어(30)의 후크(42)는 후크 이동홀의 단부(44)에 걸리게 된다. In addition, the hook 42 of the auxiliary door 30 inserted into the hook movement hole 43 of the hook holder 41 of the upper door 20 is caught by the end 44 of the hook movement hole.

이에 따라, 걸림부(40)를 매개로 하여 보조 도어(30)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구동력을 상부 도어(20)에 인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ly a driving force to the upper door 20 to further raise the auxiliary door 30 through the engaging part 40, so that the upper door can rise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rise of the auxiliary door. have.

보조 도어(30)의 추가 상승 높이는 상승된 보조 도어 및 상부 도어(20)의 하단이 포크(2)의 상단 또는 포크 상에 안착된 소재(S)의 상면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The additional rising height of the auxiliary door 30 allows the lower end of the raised auxiliary door and upper door 20 to be locat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upper end of the fork 2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S seated on the fork height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승강 구동부(50)를 구성하는 모터(54)에 예컨대 캠형 리미트 스위치 등과 같은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보조 도어(30)의 하단이 하부 도어(10)의 상면과 일치할 때까지 모터가 회전하여 보조 도어가 이동될 수 있게 하고, 추출기의 포크(2)가 상승하는 신호가 전달될 때부터 보조 도어의 하단이 포크의 상단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때까지 모터가 더욱 회전하여 보조 도어가 추가 상승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by installing a sensor such as, for example, a cam-type limit switch in the motor 54 constituting the lift driving unit 50, the motor is operated until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door 30 mat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oor 10. It rotates so that the auxiliary door can be moved, and from when the signal that the fork (2) of the extractor rises is transmitted until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door is located at a point higher than the top of the fork, the motor rotates further to make the auxiliary door move.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raised further.

가열로(1)의 개구부가 하부 도어(10)와 상부 도어(20) 간 소정의 간격만큼 개방되어 소재(S)가 안착된 추출기의 포크(2)가 가열로 밖으로 빠져나온 후, 승강 구동부(50)의 모터(54)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샤프트(5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이에 따라 보조 도어(30)에 연결된 연결부재(53)는 해당 웨이트휠(52)로부터 풀리면서 보조 도어를 아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웨이트부(60)에 연결된 연결부재는 해당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웨이트부를 위로 이동시킨다. After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1 is open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lower door 10 and the upper door 20, the fork 2 of the extractor on which the material S is seated comes out of the heating furnace, 50) drives the motor 54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haft 5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53 connected to the auxiliary door 30 is released from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52 and opens the auxiliary door. At the same time as moving downwar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unit 60 moves the weight unit upward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결국, 도어장치의 도어들은 원래의 위치로 하강됨으로써 가열로(1)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doors of the door device are lowe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so that the heating furnace 1 can be closed again.

이와 같이, 도어의 개방이 2단계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가열로 내부의 열이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은 물론,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 내로 침입할 수 있는 면적 및 시간을 줄여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dividing the opening of the door into two steps, it not only prevents the heat inside the heating furnace from leaking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but also reduces the area and time for outside air to enter into the heating furna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eat loss in the heating furna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된 하부 도어에 추출기의 포크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홈을 보조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추출기와 간섭이 되는 부분만 먼저 개방될 수 있어, 추출기의 포크가 가열로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소재의 추출을 위해 필요한 시간 동안만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 및 걸림에 의해 상부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through which the fork of the extractor can pass are formed in the fixed lower door, and by configuring these through groove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uxiliary door, only the parts that interfere with the extractor are formed. It can be opened first, so that the fork of the extractor can enter the heating furnace, and the upper door can be opened by the additional raising and jamming of the auxiliary door only for the time required for extraction of the material.

상부 도어에 의한 가열로 개구부의 완전 개방시간을 단축시키게 됨에 따라, 차가운 외부 공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과, 가열로 내부의 고온 가스가 가열로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게 되고, 이로써 가열로의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소재의 품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As the complete opening time of the opening of the heating furnace by the upper door is shortened, the phenomenon that cold outside air flows into the heating furnace and the high-temperature gas inside the heating furnace leaks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furnace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t loss of the heating furnace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as well as to great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material.

더욱이, 가열로 내부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가열 및 온도 유지에 소요되는 연료의 낭비를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유용하다. Moreover, sinc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eating furnace, the waste of fuel required for heating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can be eliminated, s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from an economical point of view.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가열로 2: 포크
10: 하부 도어 11: 제1 안내홈
12: 관통홈 13: 치합홈
20: 상부 도어 21: 제2 안내홈
23: 치합돌기 30: 보조 도어
40: 걸림부 41: 후크 걸이대
42: 후크 43: 후크 이동홀
44: 단부 50: 승강 구동부
51: 샤프트 52: 웨이트휠
53: 연결부재 54: 모터
55: 기어박스 56: 체인기구
60: 웨이트부
1: Furnace 2: Fork
10: lower door 11: first guide groove
12: through groove 13: engagement groove
20: upper door 21: second guide groove
23: interlocking protrusion 30: auxiliary door
40: hook 41: hook hanger
42: hook 43: hook moving hole
44: end 50: elevating drive unit
51: shaft 52: weight wheel
53: connection member 54: motor
55: gearbox 56: chain mechanism
60: weight part

Claims (8)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 위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한 상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보조 도어; 및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상기 보조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 간 걸림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조 도어의 추가 상승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가 함께 상승되게 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lower door;
an upper door that is disposed on the lower door and is capable of elevating;
an auxiliary door capable of elevating along one side of the lower door and one side of the upper door; and
It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respectively, and after the auxiliary door rises by a certain height, the auxiliary door and the upper door are caught, so that the upper door is raised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rise of the auxiliary door jam part
A door device of a heating furna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에는, 소재의 운반을 위한 추출기의 포크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홈이 형성된 가열로의 도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oor device for a heating furnac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through which a fork of an extractor for transporting a material can pass are formed in the lower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의 일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1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일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한 제2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안내홈과 상기 제2 안내홈을 따라 상기 보조 도어가 상기 하부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door, and a second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door, so that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are formed. A door device for a heating furnace in which the auxiliary door moves relative to the lower door and the upper door in a height direction along a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에는 돌출된 치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에는 오목한 치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치합돌기와 상기 치합홈이 상호 맞물리도록 된 가열로의 도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ding mesh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oor, and a concave mesh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oor, so that the meshing protrusion and the meshing groov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홈에는 모래층이 수용된 가열로의 도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oor device of the heating furnace in which the sand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engagement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에 직립하여 설치된 후크 걸이대와,
상기 보조 도어의 상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후크
를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art,
a hook holder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oor;
A hook install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door
A door device of a heating furnace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door device of the heating furnace further comprising an elevation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heating furnace to raise and lower the auxiliary do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웨이트휠;
상기 보조 도어와 웨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웨이트휠 중 해당 웨이트휠에 각각 감기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fting drive unit,
a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furnace;
a plurality of weight wheels fixedly disposed on the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oor and the weight unit and respectively wound around the corresponding weight wheel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wheels; and
A motor connected to the shaft to rotate the shaft
A door device of a heating furnace comprising a.
KR1020200013010A 2020-02-04 2020-02-04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KR102305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10A KR102305759B1 (en) 2020-02-04 2020-02-04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10A KR102305759B1 (en) 2020-02-04 2020-02-04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14A KR20210099314A (en) 2021-08-12
KR102305759B1 true KR102305759B1 (en) 2021-09-27

Family

ID=7731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010A KR102305759B1 (en) 2020-02-04 2020-02-04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7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9214B (en) * 2021-10-20 2024-02-02 东莞市群和五金制品有限公司 Energy-saving type thermoforming furnace for aluminum alloy pla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549U (en) * 1997-09-27 1999-04-15 이구택 Furnace Extraction Door Device
KR100817280B1 (en) * 2001-10-26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heating furnace
KR101023115B1 (en) * 2003-11-13 2011-03-24 주식회사 포스코 Door apparatus of heating furnace
KR101316730B1 (en) * 2012-03-16 2013-10-10 주식회사 포스코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14A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759B1 (en)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KR100365591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ir discharge port of air conditioner
US20130273486A1 (en) Layer furna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ayer furnace system
KR100765046B1 (en) Door apparatus with sub door for extractor in heating furnace
US4861000A (en) Installation having several elements for heat treatments
CN110216783A (en) A kind of curing kilns wicket, wicket open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CN106367570A (en) Quenching anti-deformation device and method
KR101023115B1 (en) Door apparatus of heating furnace
KR101316730B1 (en) 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KR200472136Y1 (en) Defense door switchgear having get between prevention function of conveying chain
JP6161383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JP5065774B2 (en) Bucket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DE4033893C1 (en)
JPS5937433B2 (en) Furnace door structure
KR102074076B1 (en) An apparatus for covering car dock
KR20060022913A (en) Apparatus for minimizing heat loss from a heating furnace during slab taking-out
JP6880317B2 (en) Elevator car door device
JPH031469Y2 (en)
KR20160040031A (en) an open and close apparatus of roller gate
JP4526208B2 (en) Shutter shutter mechanism
CN220011887U (en) Lifting device for cover of laboratory steam curing pool
CN114688869B (en) Large-scale high efficiency gas platform truck formula resistance furnace
KR101856954B1 (en) Furnace
KR102070388B1 (en) Panel stacking door having pulling means
KR100682091B1 (en) Extract door structure of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