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632B1 -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632B1
KR102305632B1 KR1020190027116A KR20190027116A KR102305632B1 KR 102305632 B1 KR102305632 B1 KR 102305632B1 KR 1020190027116 A KR1020190027116 A KR 1020190027116A KR 20190027116 A KR20190027116 A KR 20190027116A KR 102305632 B1 KR102305632 B1 KR 10230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liding plate
base plate
open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657A (ko
Inventor
신용호
김승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632B1/ko
Priority to US16/811,871 priority patent/US11536470B2/en
Priority to EP20161466.6A priority patent/EP3705791A1/en
Publication of KR2020010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과, 복수개의 측면 패널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부 패널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유입구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의 내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전체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storage position)와,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exposure position)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압축기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located)할 경우, 복수개의 압축기는 외부에서 조작하여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기 모듈을 신속하게 실외기에 설치하거나 실외기로부터 탈거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송풍팬과,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는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을 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써,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실외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실외기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실외팬과, 저온저압의 기체 냉매를 전달받아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가 설치된다.
실외기에 설치되는 압축기의 개수는 공기조화기의 설계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2개 이상의 압축기가 설치되는 대용량형 실외기의 경우, 압축기들 중 어느 하나는 필연적으로 실외기의 안쪽에 설치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안쪽에 설치된 압축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앞쪽의 압축기를 탈거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종래 구조에 따르면, 앞쪽의 압축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탈거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만약 안쪽의 압축기가 고장 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할 경우, 안쪽의 압축기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앞쪽의 압축기를 탈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여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압축기 모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제한된 공간 내에 압축기 모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압축기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후로 인출 가능한 서랍식 슬라이딩 구조 또는 회전식 슬라이딩 구조 상에 설치되는 압축기 모듈을 포함하는 실외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과, 복수개의 측면 패널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부 패널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유입구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의 내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전체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storage position)와,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exposure position)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압축기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located)할 경우, 복수개의 압축기는 외부에서 조작하여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linearly movable)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부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선형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선형 롤러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되 선형 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선형 롤러 하우징과, 선형 롤러 하우징에 설치되되 선형 롤러의 중심을 관통하여 선형 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선형 롤러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수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선형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선형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부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rotatable)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부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되도록 연장되는 커브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커브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브드 롤러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되 커브드 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커브드 롤러 하우징과, 커브드 롤러의 중심을 관통하여 커브드 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커브드 롤러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수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노출 위치에서 수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납 위치에서 노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측부 패널 중 하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인출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부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측면 패널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도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어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도어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 모듈은,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개의 압축기와, 복수개의 압축기 각각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복수개의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을 다시 복수개의 압축기로 회수시키는 복수개의 오일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과, 복수개의 측면 패널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부 패널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유입구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의 내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전체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storage position)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exposure position)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실외기와 냉매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 뒤 냉매를 다시 실외기로 전달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 노출 위치에 위치(located)할 경우, 복수개의 압축기는 외부에서 조작하여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외기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압축기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압축기 모듈을 실외기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압축기 모듈의 설치 및 탈거와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압축기와 오일분리기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 내에 압축기 모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압축기 모듈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개재되는 구조를 개시하므로, 압축기 모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통해 저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개방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에서 압축기 모듈과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외기 내부 구조의 다른 변형예로써,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외기 내부 구조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실내기(70) 및 실외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70)와 실외기(100)는 냉매관(9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냉매는 실내기(70)와 실외기(100)를 순환하면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실내기(7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71)와, 실내기(70) 내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는 실내팬(7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50)는 복수개의 실내기(70a, 70b, 70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0)의 내부에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31)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31)는 냉난방 용량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131)는 정속 압축기 또는 가변 용량식 압축기 일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0)는 압축기(131)로의 액체 냉매 유입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01)와, 실외기(100) 내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는 실외팬(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0)는 오일회수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31)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윤활 및 냉각을 수행하는 오일이 일정량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오일회수기(132)는 압축기(131)에서 토출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131)로 회수시켜 압축기(131) 내부의 오일량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일회수기(132)는 압축기(131)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전달받아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분리기(1321)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분리기(1321)는 복수개의 압축기(131)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오일분리기(1321)는 제1 압축기(131a)에 연결되는 제1 오일분리기(1321a)와, 제2 압축기(131b)에 연결되는 제2 오일분리기(1321b), 그리고 제3 압축기(131c)에 연결되는 제3 오일분리기(1321c)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오일회수기(132)는 압축기(131)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오일분리기(1321)로 인도하는 냉매토출관(1322)과, 오일분리기(1321)에서 분리된 오일을 압축기(131)로 회수시키는 오일리턴관(1323)을 포함한다. 오일리턴관(1323)은 복수개의 오일분리기(1321)와 복수개의 압축기(131)를 각각 서로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외기(1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개방도이다.
실외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111h)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부 패널(111)들과, 복수개의 측부 패널(111)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와, 유입구(111h)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113h)가 형성되는 상부 패널(1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실외 열교환기(120)와, 압축기 모듈(130)과,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기 모듈(130)은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개의 압축기(131)와, 복수개의 압축기(131)들 각각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복수개의 압축기(131)에서 토출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을 다시 복수개의 압축기로 회수시키는 오일회수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일회수기(132)는 압축기(131)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전달받아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분리기(1321)와, 오일분리기(1321)와 압축기(131)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오일리턴관(13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냉매가 압축기(131)와 실외 열교환기(120) 및 오일회수기(132)를 순환하도록 압축기(131)와 실외 열교환기(120) 및 오일회수기(132)를 서로 연결하는 냉매관(9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압축기(131)로 유동하는 냉매 중 액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150)가 설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150)는 압축기(131)에 연결되는 냉매 유입관(91)의 관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모듈(130)은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를 통해 케이스(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모듈(130)은 소음 저감을 위해 재킷(jacket) 타입의 커버(미도시)로 감싸진 상태로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전체가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storage position, 도 5 참조)와,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위치(exposure position, 도 6 참조) 사이에서 왕복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140)(24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에서 압축기 모듈과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개념도이다.
먼저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linearly movable)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도 6에 도시된 노출 위치에 위치할 경우, 압축기 모듈(130)은 외부에서 조작하여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140)에는 압축기 모듈(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압축기 모듈(130)은 복수개의 압축기(131)와, 복수개의 압축기(131) 각각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오일회수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압축기(131)들은 각각 냉매토출관(1322)과 오일리턴관(1333)을 통해 오일분리기(1321)와 연결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면에는 케이스(110)의 내측에 모두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가 설치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압축기(131)의 개수는 공기조화기(50)의 냉난방 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예컨대 한 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의 압축기(미도시)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가 케이스(110)의 내부 슬라이딩 플레이트(140) 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개의 측부 패널(111)들 중 하나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인출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11o)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측부 패널(111)은 도면에 도시된 배치 구조에 의하면 좌측 패널(111l)과 우측 패널(111r), 리어 패널(111b) 및 프론트 패널(111f)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11o)는 프론트 패널(111f)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o)의 개폐를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는 상대적으로 케이스(110)의 안쪽에 설치되는 제1 압축기(131a)와, 상대적으로 프론트 패널(111f)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압축기(132b)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 즉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들이 모두 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케이스(110)의 안쪽에 설치되는 제1 압축기(131a)를 점검하거나 수리하려 할 경우, 사용자나 작업자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손이나 기구를 넣어 제1 압축기(131a)를 조작할 수 밖에 없다.
제1 압축기(131a)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설령 제2 압축기(131b)가 정상적으로 작동 가능한 상태라고 할지라도 먼저 제2 압축기(131b)를 베이스 플레이트(112)로부터 탈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두 개의 압축기(131a, 132b)들 중 하나의 압축기(131a)만 조작하면 되는 경우에도 만약 고장난 압축기(131a)가 케이스(110)의 안쪽에 위치할 경우, 점검이 불필요한 다른 압축기(131b)까지도 베이스 플레이트(112)에서 탈거해야만 하므로, 사용자나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압축기(131)를 수리하는 데 있어서 불필요한 작업과 시간을 소모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하여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00)는 복수개의 압축기(131)를 베이스 플레이트(112)와는 별도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40)에 설치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설치하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나 작업자는 더 이상 안쪽에 설치된 제1 압축기(131a)를 수리하기 위해 정상 작동하는 제2 압축기(131b)를 탈거할 필요가 없다.
대신, 사용자나 작업자는 간단히 프론트 패널(111f)을 개방하여 개구부(111o)를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를 케이스(110)의 외부로 빼낼 수 있으며, 슬라이딩 플레이트(14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압축기(131a)를 케이스(110)의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작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기(10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에 압축기 모듈(130)을 설치함으로써, 압축기 모듈(130)을 실외기(100)의 케이스(110)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압축기 모듈(130)의 설치 및 탈거와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압축기(131)들과 오일분리기(1321)들, 그리고 압축기(131)와 오일분리기(1321)를 연결하는 냉매토출관(1322)과 오일리턴관(133)들이 모두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4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110)의 내부 제한된 공간에 압축기 모듈(130)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실외기(100)를 소형화(miniaturizing)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는 실외기(100)의 주요 구성품인 압축기 모듈(130)과 베이스 플레이트(112)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압축기 모듈(13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2)로 전달되는 진동을 중간에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상부 패널(113)을 향해 돌출되어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 가이드레일(1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선형 가이드레일(11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선형 롤러(141)와, 베이스 플레이트(112)를 향해 돌출되되 선형 롤러(141)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선형 롤러 하우징(142)과, 선형 롤러 하우징(142)에 설치되되 선형 롤러(141)의 중심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선형 롤러(141)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선형 롤러 회전축(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수납 위치(도 5 참조)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도 5의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선형스토퍼(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노출 위치(도 6 참조)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도 6의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선형스토퍼(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형 가이드레일(1121)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수납 위치와 노출 위치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는 제1 선형스토퍼(144)에 의해 수납 위치가, 제2 선형스토퍼(145)에 의해 노출 위치가 정의되므로, 슬라이딩 플레이트(140)가 수납 위치나 노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플레이트(140)에 계속해서 힘을 가하더라도 수납 위치보다 더 케이스(110)의 안쪽으로, 또는 노출 위치보다 더 케이스(110)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 위치와 노출 위치 사이에서 왕복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플레이트(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구부(111o)의 개폐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6에는 개구부(111o)의 개폐 구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와 6을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개구부(111o)의 일측에 베이스 플레이트(112)에서 상부 패널(113)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개구부(111o)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5 참조)와, 개구부(111o)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6 참조)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 도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회전 도어(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12)로부터 상부 패널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 도어(160)는 측부 패널(111)의 프론트 패널(111f)과 힌지(hinge, 미도시)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도어(16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경우, 회전 도어(160)는 별도의 체결부재(170)를 통해 프론트 패널(111f)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체결부재(170)는 나사이고, 프론트 패널(111f)은 체결부재(170)를 수용하는 나사홀(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결부재(170)를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기구를 통해 조작하여 프론트 패널(111f)에 체결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프론트 패널(111f)과 회전 도어(160)는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 즉 문고리와 걸쇠를 통해서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패널(111f)과 회전 도어(160)는 다양한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다만 도 5 및 6에 도시된 체결 구조, 즉 도어 회전축(161)이 설치된 일측과 반대편 측에 체결부재(170)를 통해 결합된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택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론트 패널(111f)과 회전 도어(160)는 도어 회전축(161)이 없는 상태에서, 회전 도어(160)의 양측이 모두 체결부재(170)를 통해 프론트 패널(111f)과 체결되어 개구부(111o)를 폐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다른 변형예(도 8 내지 11의 2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외기 내부 구조의 다른 변형예로써,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외기 내부 구조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노출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8 및 9에 도시된 실외기의 내부 구조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먼저 도 8과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에서 상부 패널(11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24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rotatable)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도 9에 도시된 노출 위치에 위치할 경우, 압축기 모듈(130)은 외부에서 조작하여 탈착 가능할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40)에는 압축기 모듈(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압축기 모듈(130)은 복수개의 압축기(131)와, 복수개의 압축기(131) 각각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오일회수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압축기(131)들은 각각 냉매토출관(1322)과 오일리턴관(1333)을 통해 오일분리기(1321)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케이스(110)의 내측에 모두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가 설치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압축기(131)의 개수는 공기조화기(50)의 냉난방 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예컨대 한 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의 압축기(미도시)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가 케이스(110)의 내부 슬라이딩 플레이트(240) 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개의 측부 패널(111)들 중 하나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인출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11o)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측부 패널(111)은 도면에 도시된 배치 구조에 의하면 좌측 패널(111l)과 우측 패널(111r), 리어 패널(111b) 및 프론트 패널(111f)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11o)는 프론트 패널(111f)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o)의 개폐를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는 상대적으로 케이스(110)의 안쪽에 설치되는 제1 압축기(131a)와, 상대적으로 프론트 패널(111f)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 압축기(131b)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 즉 두 개의 압축기(131a, 131b)들이 모두 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케이스(110)의 안쪽에 설치되는 제1 압축기(131a)를 점검하거나 수리하려 할 경우, 사용자나 작업자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손이나 기구를 넣어 제1 압축기(131a)를 조작할 수 밖에 없다.
제1 압축기(131a)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설령 제2 압축기(131b)가 정상적으로 작동 가능한 상태라고 할지라도 먼저 제2 압축기(131b)를 베이스 플레이트(112)로부터 탈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두 개의 압축기(131a, 132b)들 중 하나의 압축기(131a)만 조작하면 되는 경우에도 만약 고장난 압축기(131a)가 케이스(110)의 안쪽에 위치할 경우, 점검이 불필요한 다른 압축기(131b)까지도 베이스 플레이트(112)에서 탈거해야만 하므로, 사용자나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압축기(131)를 수리하는 데 있어서 불필요한 작업과 시간을 소모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하여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100)는 복수개의 압축기(131)를 베이스 플레이트(112)와는 별도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40)에 설치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설치하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나 작업자는 더 이상 안쪽에 설치된 제1 압축기(131a)를 수리하기 위해 정상 작동하는 제2 압축기(131b)를 탈거할 필요가 없다.
대신, 사용자나 작업자는 간단히 프론트 패널(111f)을 개방하여 개구부(111o)를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를 케이스(110)의 외부로 빼낼 수 있으며, 슬라이딩 플레이트(24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압축기(131a)를 케이스(110)의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작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기(10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에 압축기 모듈(130)을 설치함으로써, 압축기 모듈(130)을 실외기(100)의 케이스(110)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압축기 모듈(130)의 설치 및 탈거와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압축기(131)들과 오일분리기(1321)들, 그리고 압축기(131)와 오일분리기(1321)를 연결하는 냉매토출관(도 1의 1322 참조)과 오일리턴관(도 1의 1323 참조)들이 모두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4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110)의 내부 제한된 공간에 압축기 모듈(130)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실외기(100)를 소형화(miniaturizing)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는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는 실외기(100)의 주요 구성품인 압축기 모듈(130)과 베이스 플레이트(112)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압축기 모듈(13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2)로 전달되는 진동을 중간에서 저감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11을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상부 패널(113)을 향해 돌출되어 회전축(2401)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되도록 연장되는 커브드 가이드레일(1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는 커브드 가이드레일(112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브드 롤러(241)와, 베이스 플레이트(112)를 향해 돌출되되 커브드 롤러(241)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커브드 롤러 하우징(242)과, 커브드 롤러(2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커브드 롤러(241)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커브드 롤러 회전축(2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수납 위치(도 8 참조)에 위치한 상태에서, 노출 위치(도 9 참조)에서 수납 위치(도 8 참조)를 향하는 방향(도면에 의하면 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스토퍼(2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노출 위치(도 9 참조)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납 위치(도 8 참조)에서 노출 위치(도 9 참조)를 향하는 방향(도면에 의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회전스토퍼(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브드 가이드레일(1122)이 연장되는 방향, 즉 회전축(2401)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되도록 수납 위치와 노출 위치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는 제1 회전스토퍼(244)에 의해 수납 위치가, 제2 회전스토퍼(245)에 의해 노출위치가 정의되므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40)가 수납 위치나 노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40)에 계속해서 힘을 가하더라도 수납 위치보다 더 케이스(110)의 안쪽(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노출위치보다 더 케이스(110)의 바깥쪽(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 위치와 노출 위치 사이에서 왕복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플레이트(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구부(111o)의 개폐 구조의 변형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8과 9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상부 패널(113)을 향해 돌출되어 측부 패널(111)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가이드레일(1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0)는 도어 가이드레일(1123)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개구부(111o)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8 참조)와, 개구부(111o)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슬라이딩 도어(180)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도 9 참조)에서, 폐쇄 위치(도 8 참조)에서 개방 위치(도 9 참조)를 향하는 방향(즉,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18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어스토퍼(1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슬라이딩 도어(18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도 8 참조)에서, 개방 위치(도 9 참조)에서 폐쇄 위치(도 8 참조)를 향하는 방향(즉,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18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도어스토퍼(1125)를 다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도어스토퍼(1124)와 제2 도어스토퍼(1125) 사이에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딩 도어(180)의 경우에도 도 5 및 6에 도시된 회전 도어(16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체결부재(170)를 통해 측부 패널(111)의 프론트 패널(111f)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프론트 패널(111f)과 슬라이딩 도어(180)의 체결 구조는 도 5 및 6에 도시된 회전 도어(160)와 체결부재(170)의 결합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공기조화기 131: 압축기
70: 실내기 132: 오일회수기
71: 실내 열교환기 1321: 오일분리기
72: 실내팬 1322: 냉매토출관
90: 냉매관 1323: 오일리턴관
91: 냉매 유입관 140, 240: 슬라이딩 플레이트
100: 실외기 141: 선형 롤러
101: 팽창밸브 142: 선형 롤러 하우징
102: 실외팬 143: 선형 롤러 회전축
110: 케이스 144: 제1 선형스토퍼
111: 측부 패널 145: 제2 선형스토퍼
111h: 유입구 2401: 회전축
111o: 개구부 241: 커브드 롤러
112: 베이스 플레이트 242: 커브드 롤러 하우징
1121: 선형 가이드레일 243: 커브드 롤러 회전축
1122: 커브드 가이드레일 244: 제1 회전스토퍼
1123: 도어 가이드레일 245: 제2 회전스토퍼
1124: 제1 도어스토퍼 150: 어큐뮬레이터
1125: 제2 도어스토퍼 160: 회전 도어
113: 상부 패널 161: 도어 회전축
113h: 토출구 170: 체결부재
120: 실외 열교환기 180: 슬라이딩 도어
130: 압축기 모듈

Claims (19)

  1.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상기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패널을 연결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며 상기 압축기 모듈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상기 측부 패널들의 내면을 따라 위치하되 상기 개구부를 회피해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상부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rotatable)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되도록 연장되는 커브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커브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브드 롤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커브드 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커브드 롤러 하우징; 및
    상기 커브드 롤러의 중심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브드 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커브드 롤러 회전축;을 포함하는 실외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 중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인출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측부 패널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어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도어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회전 도어를 더 포함하는 실외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hinge)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도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상부 패널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모듈은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개의 압축기; 및
    상기 복수개의 압축기 각각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상기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상기 오일을 다시 상기 복수개의 압축기로 회수시키는 복수개의 오일회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19.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개구부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상기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모듈을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압축기모듈 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 뒤 상기 냉매를 다시 상기 압축기모듈 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전달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패널을 연결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측부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며 상기 압축기모듈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상기 측부 패널들의 내면을 따라 위치하되 상기 개구부를 회피해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상부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rotatable)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27116A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30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16A KR102305632B1 (ko)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6/811,871 US11536470B2 (en) 2019-03-08 2020-03-06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20161466.6A EP3705791A1 (en) 2019-03-08 2020-03-06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16A KR102305632B1 (ko)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657A KR20200107657A (ko) 2020-09-16
KR102305632B1 true KR102305632B1 (ko) 2021-09-28

Family

ID=6984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116A KR102305632B1 (ko)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36470B2 (ko)
EP (1) EP3705791A1 (ko)
KR (1) KR102305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0843A (zh) * 2020-11-16 2021-03-09 温州瘦玫机械科技有限公司 循环往复式低温空气源供热热泵机组
CN114623517A (zh) * 2020-12-14 2022-06-1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室外机及其应用的管组总成
CN113834136A (zh) * 2021-10-27 2021-12-24 佛山市森龙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结构的空调室外机外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9807A (ja) * 2013-02-06 2013-05-02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479A (en) * 1887-06-07 ward childs
US1924662A (en) * 1931-02-28 1933-08-29 Frigidaire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454727A (en) * 1947-04-04 1948-11-23 Int Harvester Co Refrigerating apparatus
US2930667A (en) * 1959-02-19 1960-03-29 Philco Corp Sliding door structure
US3323625A (en) * 1965-07-28 1967-06-06 Thermo King Corp Detachable power assembly
US3866867A (en) 1973-10-11 1975-02-18 Singer Co Mount for air conditioner components
JPS557359A (en) * 1978-06-30 1980-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otary wall housing device
US4582372A (en) * 1982-06-04 1986-04-15 Cooper William E Bi-axial shelf with retractable guidance and support system
DE3318448A1 (de) * 1983-05-20 1984-11-2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arbeitsgeraetschaft zum einbauen eines motorkompressors in eine nische eines kuehlgeraetes
JP2000111203A (ja) * 1998-10-02 2000-04-18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KR100572592B1 (ko) * 2004-05-07 2006-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90143B1 (ko) * 2005-05-31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압축기설치구조
CN101627261A (zh) * 2007-03-22 2010-01-13 肖晓松 空调器
KR101018297B1 (ko) * 2008-10-09 2011-03-04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102047691B1 (ko) * 2013-02-05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168082B2 (en) * 2014-05-23 2019-01-01 Lennox Industries Inc. Tandem compressor slide rail
JP2016090166A (ja) * 2014-11-07 2016-05-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装置
PL3087866T3 (pl) * 2015-04-30 2017-11-30 Vauth-Sagel Holding Gmbh & Co. Kg Okucie do szafki narożnej i szafka narożna z okuciem
US10197295B2 (en) * 2015-07-30 2019-02-05 Omar Crespo-Calero Highly efficient and easy to service air conditioning condenser unit
CN207065741U (zh) * 2017-08-08 2018-03-02 天津市宜诺制冷设备维修有限公司 新型空调压缩机
CN207279840U (zh) * 2017-09-01 2018-04-27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室外机
KR101963036B1 (ko) 2017-09-06 2019-03-27 김응복 게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9807A (ja) * 2013-02-06 2013-05-02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36470B2 (en) 2022-12-27
KR20200107657A (ko) 2020-09-16
EP3705791A1 (en) 2020-09-09
US20200284442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632B1 (ko)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RU2711854C2 (ru)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EP2054673B1 (en) Air conditioner
EP2597383A2 (en) Air conditioner
KR20140053714A (ko) 공기 조화기
KR101861665B1 (ko) 냉장고
CN111895518A (zh) 一体式空调机
CN112119262B (zh) 空调机的室内装置
US10935273B2 (en) Air conditioner
CN218379668U (zh) 空调装置
KR102047691B1 (ko) 공기조화기
KR10108589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3851758B1 (en) Air conditioner
KR101174034B1 (ko) 멀티 흡입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600861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217057707U (zh) 空调室内机
KR20050008333A (ko) 전기 냉동/냉장 쇼케이스
KR102201761B1 (ko)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210328394U (zh) 一种高效散热的二氧化碳冷热水机用电器柜
KR10207665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10010617A (ko) 환기구조를 갖는 일체형 에어컨
KR20100083910A (ko) 공기조화기
KR10243923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606007B1 (ko) 공기조화기
KR2021009262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