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338B1 -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 Google Patents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338B1
KR102305338B1 KR1020190107250A KR20190107250A KR102305338B1 KR 102305338 B1 KR102305338 B1 KR 102305338B1 KR 1020190107250 A KR1020190107250 A KR 1020190107250A KR 20190107250 A KR20190107250 A KR 20190107250A KR 102305338 B1 KR102305338 B1 KR 10230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ing
region
wa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6457A (en
Inventor
박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9010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338B1/en
Publication of KR2021002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는, 월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와 결합되어 지지부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지지부에 대해 고정부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그리고, 지지부와 고정부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지지부 및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텐션에 의한 원터치 결합으로 조립이 용이하다.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wall pad,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to fix the support to the cradle, a connection part for guiding the connection position so that the fix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nd; It includes a coupling part for mutually coupling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by elastically pressing the other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by interlocking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to be interconnect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assemble by one-touch coupling by tension.

Description

월패드용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WALL PAD}Fixing device for wall pad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본 발명은 월패드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없이도 텐션에 의해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which can be assembled with one touch by tension without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nd has excellent assembling property and durability.

월패드(Wall pad)는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되는 홈 네트워크 핵심 기기이다. 이러한 월패드는 비디오 도어폰 기능을 비롯하여, 조명, 가전제품 등 가정 내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단말기이다. A wall pad is a home network core device that is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attached to the wall of the home kitchen or living room. The wall pad is a home network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devices in the home, such as lighting and home appliances, as well as a video door phone function.

한편, 월패드는 고정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벽면에 자세 고정된다. 월패드용 고정 브라켓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월패드와 결합됨이 일반적이다. 이때, 고정 브라켓과 월패드 사이가 볼트에 의해 상호 결합될 경우, 월패드와 고정 브라켓 사이의 볼트 결합에 의한 설치 시간이 증가함과 아울러, 볼트에 의한 제조 단가가 증가된다. 뿐만 아니라, 볼트의 부식이나 과조임 등에 의해 월패드 또는 고정 브라켓의 내구성 저하도 야기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all pad is posture-fixed to the wall surface by a fixing means such as a fixing bracket. The fixing bracket for the wall pad is generally combined with the wall pad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bracket and the wall pa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s, the installation time due to the bolt coupling between the wall pad and the fixing bracket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by the bolt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durability of the wall pad or fixing bracket is deteriorated due to corrosion or overtightening of the bolt.

이에 따라, 근래에는 벽면에 대해 월패드의 설치성을 증대시키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to improve durability while increasing the installability of the wall pad on the wall surface.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48391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Publication No. 20-04839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941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399416

본 발명의 목적은 벽면에 대한 월패드의 자세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that is easy to fix the posture of the wall pad with respect to the wall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는, 월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고정부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와 고정부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wall pad, a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o fix the support to the cradle, and the fix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in a fixed position. A connection part for guiding a connection position so as to be connected,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linked to each other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any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월패드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bracket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edge of the wall pad, and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It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that is.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protruding from the fixing unit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rotrus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groove. can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inner wall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rst region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toward the coupling groove, and bending from the second region toward an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the coupling groove a third regio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engag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and extending from the third reg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engaging groove, the depth at which the third reg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is adjusted It may include a fourth region bent to do so.

또한,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region is bent in one direction from the second region and then bent in the other direction to have a V-shape and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elastically press the coupling protrusio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는, 월패드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월패드를 거치 위치에 거치시키는 제3브라켓,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이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3브라켓을 텐션에 의해 원터치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wall pad, a second bracket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first bracket, and a rear side of the second bracket is coupled to a third bracket for mounting the wall pad in a mounting position, a connecting portion interconnecting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and interlocking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to be interconnected, the second bracket It includes a coupling part for one-touch coupling to the third bracket by tension.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rib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hird bracket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hird bracket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second bracket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coupling protrusion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region fixed to the second bracket,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toward the coupling groove, and b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second region and then in the other direction. A third region having a V-shap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to elastically press the engaging protrusio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and extending from the third reg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engaging groove, the insertion of the third region It may include a fourth region bent to adjust the depth.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텐션을 이용하는 원터치 동작으로 지지부와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it is possible to couple the support and the fixing part to each other by one-touch operation using tension, so that assembly is simple.

둘째,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리브를 이용해, 지지부와 고정부 사이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어, 정위치에 대한 조립성 향상으로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Second, by using the connecting rib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it is possible to guide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fixed part,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by improving the assembling property for the fixed position.

셋째,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인한 부식, 과조임 등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어, 조립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Third,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tional problems such as corrosion and overtightening caus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thus has excellent assembly and durability.

넷째, 분해 시, 텐션 해제를 위해 탄성부재의 분리가 요구됨으로써, 월패드의 도난 방지면에서 유리하다.Fourth, when disassembling, separation of the elastic member is required to release the tension,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eventing theft of the wall pa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월패드용 고정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영역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all pad fixing device shown in FIG. 1 in an exploded state when viewed from the front.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wall pad fixing device shown in FIG. 1 in an exploded state when viewed from the rear.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larged area V of FIG. 2 . an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differently by adding, changing, and delet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bu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월패드용 고정장치(1)를 각각 전방(F) 및 후방(R)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device 1 for a wall 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front views of the fixing device 1 for a wall pad shown in FIG. 1, respectively.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exploded in a state viewed from (F) and rear (R).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1)는 지지부(10), 고정부(20), 연결부(30) 및 결합부(40)를 포함한다. 1 to 3 , the fixing device 1 for a wall 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10 , a fixing part 20 , a connection part 30 and a coupling part 40 . do.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1)는 월패드(P)를 지지하여, 벽면과 같은 소정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 거치대에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자세 고정시키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For reference, the fixing device 1 for the wall pad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by supporting the wall pad P and fixing it to a predetermined cradle such as a wall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applicable to various field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rminal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cradle.

지지부(10)는 월패드(P)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0)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월패드(P)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제1브라켓(11) 및, 제1브라켓(11)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12)을 포함한다. The support part 10 supports the wall pad (P).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upport part 10 includes a first bracket 11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edge of the wall pad P, and a second bracket 12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11 . includes

본 실시예에서는 월패드(P)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함에 따라, 제1브라켓(11)은 직사각형의 월패드(P)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중앙 영역에 제1노출공(11a)이 관통 형성된 'ㅁ'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월패드(P)가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상을 가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브라켓(11)의 형상도 가변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as the wall pad P is shown and exemplified as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first bracket 11 has a first exposed hole ( 11a) is illustrated and exemplified as having a 'ㅁ' shape formed through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wall pad P has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of various shapes, the shape of the first bracket 11 is also variable in response thereto.

또한, 제2브라켓(12)은 제1브라켓(11)의 배면에 결합되며, 후술할 고정부(20)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2브라켓(12)은 월패드(P)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제1브라켓(11)에 결합됨이 좋다. 또한, 제2브라켓(12)에는 월패드(P)의 전기적인 배선과, 유지 및 보수 편의를 위해 일부 영역이 개방된 제2노출공(12a)이 관통 형성됨이 좋다. In addition, the second bracket 1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11 and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be coupled to a fixing part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bracket 12 has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pad P, and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11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racket 12 has an electrical wiring of the wall pad P and a second exposed hole 12a in which a partial area is opened for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repair.

고정부(20)는 지지부(10)와 결합되어, 지지부(10)를 벽면과 같은 소정 위치에 거치시켜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20)는 제2브라켓(12)의 배면에 결합되는 일종의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20)는 제2브라켓(12)과 대면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며, 제2노출공(12a)과 연통하는 제3노출공(20a)이 관통 형성된다. The fixing part 20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0 and is fixed by mounting the support part 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uch as a wall surface. The fixing part 20 includes a kind of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12 .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20 has a predetermined area to face the second bracket 12 , and a third exposure hole 20a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exposure hole 12a is formed therethrough.

연결부(30)는 지지부(10)에 대해 고정부(20)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한다. 이러한 연결부(30)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2브라켓(12)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31) 및 연결홈(31)에 대응되도록 고정부(20)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32)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part 30 guides the connection position so that the fixing part 20 is connected to the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10 .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onnection part 30 is provided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20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31 and the connection grooves 31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12 .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32).

여기서, 제2브라켓(12)의 배면에 후방(R)으로부터 전방(F)을 향해 인입되도록 연결홈(31)이 마련됨으로써, 고정부(20)로부터 전방(F)을 향해 돌출된 연결리브(32)가 연결홈(31)에 삽입된다. 그로 인해, 제2브라켓(12)의 배면에 대해 고정부(20)가 결합되게 된다. Here, the connection groove 3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12 so as to be drawn in from the rear (R) toward the front (F), thereby protruding from the fixing unit 20 toward the front (F) ( 3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31). Accordingly, the fixing part 2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12 .

결합부(40)는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지지부(10) 및 고정부(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지지부(10) 및 고정부(20)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지지부(10) 및 고정부(20)를 상호 원터치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부(40)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12)에 대해 고정부(20)를 탄성 가압하여 결합시키며, 이를 위해 결합부(40)는 결합홈(41), 결합돌기(42) 및 탄성부재(43)를 포함한다. The coupling part 40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in conjunction with the support 10 and the fixing part 20 being interconnected, and among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 One-touch coupling of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to each other by elastically pressing the other one. As shown in enlarged view in FIG. 5, the coupling part 40 is coupled by elastically pressing the fixing part 2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racket 12, and 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part 40 includes a coupling groove 41, I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42 and an elastic member 43 .

결합홈(41)은 지지부(10)의 제2브라켓(12)에 마련된다. 이때, 결합홈(41)은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2브라켓(12)의 일부가 전방(F)을 향해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영역에 마련된다. The coupling groove 41 is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12 of the support part 10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coupling groove 41 is provided in a reg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12 is bent toward the front F and has a protruding shape.

결합돌기(42)는 결합홈(41)에 삽입되도록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결합돌기(42)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고정부(20)로부터 결합홈(41)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돌출되어, 결합홈(41)에 삽입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42 protrudes from the fixing part 2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 the coupling protrusion 42 has a bent shape from the fixing part 20 toward the coupling groove 41 ,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

탄성부재(43)는 지지부(1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결합홈(41)에 삽입되어, 결합홈(41)의 내벽으로 결합돌기(42)를 텐션으로 밀착시킨다. 이러한 탄성부재(43)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4영역(44)(45)(46)(47)을 포함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43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10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 and the coupling protrusion 4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41 by tension. As shown in FIG. 5 , the elastic member 43 may include first to fourth regions 44 , 45 , 46 , and 47 .

탄성부재(43)의 제1영역(44)은 지지부(10)의 제2브라켓(12)에 결합된다. 이때, 제1영역(44)은 지지부(10)에 결합된다. 이때, 제1영역(44)은 지지부(10)의 제2브라켓(12)에 돌출 마련된 결합턱(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The first region 44 of the elastic member 43 is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12 of the support 10 . At this time, the first region 44 is coupled to the support 10 . In this case, the first region 44 is exemplified as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jaw 13 protruding from the second bracket 12 of the support part 10 , but it is of course not limited thereto.

참고로, 제1영역(44)은 결합턱(13)에 대해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부재(43)가 지지부(10)에 대해 볼팅 결합될 경우, 텐션력을 해제하여 고정부(20)에 대해 지지부(10)를 분리시킴에 있어서, 탄성부재(43)의 볼팅 해제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탄성력으로만 결합 및 분리되는 방식에 비해, 고정부(20)에 대한 지지부(10)의 분리시 볼팅 해제로 인해, 도난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For reference, the first region 44 may be bolted to the coupling jaw 13 . When the elastic member 43 is bolted to the support portion 10 in this way, in separating the support portion 10 from the fixing portion 20 by releasing the tension force, releasing the bolting of the elastic member 43 is required do. Accordingly, compared to the method of coupling and separating only by elastic force, due to the release of bolts when the support part 10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20,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nti-theft.

탄성부재(43)의 제2영역(45)은 제1영역(44)으로부터 결합홈(41)을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제2영역(45)은 제1영역(44)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제2브라켓(12)에 마련된 결합홈(41)의 입구까지 연장된다. The second region 45 of the elastic member 43 extends from the first region 44 toward the coupling groove 41 . The second region 45 is vertically bent from the first region 44 and extends to the entrance of the coupling groove 41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12 .

탄성부재(43)의 제3영역(46)은 제2영역(45)으로부터 결합홈(41)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결합홈(41)에 삽입된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의 내벽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때, 제3영역(46)은 제2영역(45)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측이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의 내벽으로 밀착시키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대략 V자 형상을 가진다. The third region 46 of the elastic member 43 is bent from the second region 45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41 , and the engaging protrusion 42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41 engages the engaging groove 41 . )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At this time, the third region 46 is bent in one direction from the second region 45, and then the other side is bent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41. It has an approximately V-shape.

탄성부재(43)의 제4영역(47)은 제3영역(46)으로부터 결합홈(41)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제3영역(46)이 결합홈(41)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된다. 즉, 제4영역(47)은 V자 형상을 가지는 제3영역(46)의 타측으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어, 결합홈(41)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4영역(47)의 절곡된 각도에 의해, 결합홈(41)으로 제3영역(46)이 삽입되는 깊이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The fourth region 47 of the elastic member 43 extends from the third region 46 toward the outside of the coupling groove 41 , and adjusts the depth at which the third region 46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 bent and extended to That is, the fourth region 47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ird region 46 having a V-shape,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groove 41 . By the bent angle of the fourth region 47 , the depth into which the third region 46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can be regulated.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부재(43)는 제2브라켓(12)의 결합턱(13)에 결합된 제1영역(44)으로부터 제2영역(45), 제3영역(46) 및 제4영역(47)이 자유단으로 연장된다. 그로 인해, 결합홈(41)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3)의 제3영역(46)은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의 내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The elastic member 43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formed from the first area 44 coupled to the coupling jaw 13 of the second bracket 12 to the second area 45 , the third area 46 , and the fourth area. A region 47 extends to the free end. Therefore, the third region 46 of the elastic member 43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elastically presses the coupling protrusion 42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20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41 . be able to do

참고로, 탄성부재(43)가 제1 내지 제4영역(44)(45)(46)(47)을 가지는 것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탄성부재(43)의 일단이 지지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일단으로부터 자유단으로 연장되어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에 텐션으로 원터치 밀착 가입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탄성부재(43)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reference, although the elastic member 43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first to fourth regions 44, 45, 46 and 47,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That i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43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extends from one end to the free end,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42 can be joined in one-touch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groove 41 by tension. It is natural that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43 may be de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월패드용 고정장치(1)의 월패드 고정동작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wall pad fixing operation of the wall pad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우선,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호 분리된 상태인 지지부(10)의 제1 및 제2브라켓(11)(12)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제1 및 제2브라켓(11)(12)의 제1 및 제2노출공(11a)(12a)은 상호 마주하여 연통한다. First,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1 and 12 of the support part 10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interconnected.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exposure holes 11a and 12a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1 and 12 face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지지부(10)의 제1 및 제2브라켓(11)(12)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20)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20)는 연결부(30)에 의해 지지부(10)에 대한 연결 위치가 가이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제2브라켓(12)에 마련된 연결홈(31)으로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 연결리브(32)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0)에 대해 고정부(20)가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부(20)의 제3노출공(20a)은 지지부(10)의 상호 연통하는 제1 및 제2노출공(11a)(12a)과 연통하도록,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연결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1 and 12 of the support part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xing part 20 is couple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xing part 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10 is guided by the connection part 30 .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the connection rib 32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2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31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12 , so that the fixing part 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10 is inserted. ) is connected. Here, the third exposed hole 20a of the fixing part 2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nd second exposed holes 11a and 12a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f the supporting part 10 , and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 are interconnected.

지지부(10)에 대해 고정부(20)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결합부(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가 결합되어 자세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지지부(10)와 고정부(20) 사이의 연결에 의해, 제2브라켓(12)에 마련된 결합홈(41)에 고정부(20)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42)가 삽입된다. 이때, 탄성부재(43)의 지지부(10)에 고정된 제1영역(45)으로부터 자유단으로 연장된 제3영역(46)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결합돌기(42)는 결합홈(41)의 내벽에 탄성 가압되어 밀착된다.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art 20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10, the stat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art 40 is coupled and the posture is fix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and 6 , from the fixing part 20 to the coupling groove 41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12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 The protruding coupling protrusion 42 is inserted. At this time, due to the bent shape of the third region 46 extending to the free end from the first region 45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10 of the elastic member 43 , the engaging protrusion 42 is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41 . ) is elastically pressed to the inner wall of the

즉, 일종의 판 스프링과 같은 텐션을 이용하여,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연결되어 결합돌기(42)가 결합홈(41)에 삽입되는 원터치 동작에 연동하여, 결합돌기(42)를 결합홈(41)에 대해 탄성부재(43)의 텐션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지지부(10)와 고정부(20)가 상호 원터치 텐션 결합되게 된다. That is, by using a kind of tension such as a leaf spring,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are interconnect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42 is interlocked with a one-touch operation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 the coupling protrusion 42 )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groove 41 by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43 . As a result,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fixing portion 20 are one-touch tension-coupl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지지부(10)와 고정부(20)는 연결부(30)에 의해 연결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결합부(40)의 텐션 결합동작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자세 고정된다. 이에 따라, 월패드(P)를 지지하는 지지부(10)를 원하는 위치에 원터치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xing part 20 are link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position is guided by the connection part 30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tension coupl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part 40 and the posture is fix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support portion 10 supporting the wall pad P at a desired position by a one-touch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 월패드용 고정장치
10: 지지부
11: 제1브라켓
12: 제2브라켓
20: 고정부
30: 연결부
31: 연결홈
32: 연결리브
40: 결합부
41: 결합홈
42: 결합돌기
43: 탄성부재
P: 월패드
1: Fixing device for wall pad
10: support
11: 1st bracket
12: 2nd bracket
20: fixed part
30: connection
31: connection groove
32: connecting rib
40: coupling part
41: coupling groove
42: coupling protrusion
43: elastic member
P: wall pad

Claims (11)

월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고정부가 정위치에 연결되도록 연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와 고정부가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3영역은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분리되기 전까지 상기 결합홈의 내벽에 대한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 가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탄성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결합홈의 내벽에 대한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 가압 상태가 해제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wall pad;
a fix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fixing the support part to the cradle;
a connection part for guiding a connection position so that the fix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and
a coupling part for mutually coupling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by cooperating with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being interconnected, by elastically pressing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includes,
The coupling part,
a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sid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elastically press the coupling protrusion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includes,
The elastic member,
a first region fixed to the support part;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toward the coupling groove;
a third region bent from the second regio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to elastically press the engag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to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and
a fourth region extending from the third reg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coupling groove and bent to adjust a depth at which the third reg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including,
The third region is bent in one direction from the second region and then bent in the other direction to have a V-shape to elastically press the engaging protrusio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The elastic pressing stat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is maintained until the elastic member is separ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and when the elastic member is separ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the coupling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is separated. A fixing device for the wall pad in which the elastic pressurization state is rel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월패드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a first bracket surrounding and supporting the edge of the wall pad; and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includes,
The fixing unit for a wall pad including a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ribs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the wall pad comprising at least one connection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rotrusion provided to protrude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groove for fasten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월패드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월패드를 거치 위치에 거치시키는 제3브라켓;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및 제3브라켓이 상호 연결됨에 연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3브라켓을 텐션에 의해 원터치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일측은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벽으로 상기 결합돌기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을 향해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된 후, 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의 내벽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3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3영역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도록 절곡된 제4영역;
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분리되기 전까지 상기 결합홈의 내벽에 대한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 가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상기 탄성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결합홈의 내벽에 대한 상기 결합돌기의 탄성 가압 상태가 해제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a first bracket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wall pad;
a second bracket for supporting an edge of the first bracket;
a third bracket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bracket to mount the wall pad in a mounting position;
a connecting portion interconnecting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and
a coupling part for one-touch coupling of the third bracket with respect to the second bracket by tension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being interconnected;
includes,
The coupling part,
a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hird bracket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second bracket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elastically press the coupling protrusion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a first region fixed to the second bracket;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toward the coupling groove;
a third region bent in one direction from the second region and then bent in the other direction to have a V-shape and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to elastically press the engaging protrusio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engaging groove; and
a fourth region extending from the third reg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coupling groove and bent to adjust an insertion depth of the third region;
including,
The elastic pressing stat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is maintained until the elastic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bracket, and when the elastic member is separ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racket,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is separated.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in which the elastic pressing state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relea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복수의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3브라켓으로부터 돌출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리브;
를 포함하는 월패드용 고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protruding from the third bracket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A fixing device for a wall pa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07250A 2019-08-30 2019-08-30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KR102305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50A KR102305338B1 (en) 2019-08-30 2019-08-30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50A KR102305338B1 (en) 2019-08-30 2019-08-30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57A KR20210026457A (en) 2021-03-10
KR102305338B1 true KR102305338B1 (en) 2021-09-28

Family

ID=7514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50A KR102305338B1 (en) 2019-08-30 2019-08-30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33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665Y1 (en) * 1997-01-15 1999-09-01 윤종용 A wall hanger having the table- fixing function
JP2018056626A (en) * 2016-09-26 2018-04-05 パーパス株式会社 Remot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416B1 (en) 2001-10-18 2003-09-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xing equipment of home automation apparatus
KR20110080571A (en) * 2010-01-06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0483910Y1 (en) 2015-08-10 2017-07-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Bracket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devic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665Y1 (en) * 1997-01-15 1999-09-01 윤종용 A wall hanger having the table- fixing function
JP2018056626A (en) * 2016-09-26 2018-04-05 パーパス株式会社 Remot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57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1601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CPA
US20100103600A1 (en) Housing assembl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296946A1 (en) Sensor arrangement
KR101969494B1 (en) Assembly for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to a support surface
CN105794062A (en) Cable connector and electrical box assembly
JP4784672B2 (en) Speaker mounting member for display device
EP3847925B1 (en) Connection device
US7563117B2 (en) Electrical system assembly with mounting bracket
JP5309328B2 (en) Drawer connection device
KR102305338B1 (en)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KR101509373B1 (en) In-vehicle indoor illumination apparatus
EP3636866B1 (en)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part being releasably attached
KR200467183Y1 (en) Wall switch bracket
JP4497152B2 (en) Thin display device
JP2016219105A (en) Lighting fixture and lighting fixture construction method
KR200415692Y1 (en) apparatus of guiding vertical wire for desk
AU2010241518A1 (en) Mounting assembly and bracket for an electrical power outlet or alike
JP4974601B2 (en) Fire alarm
JP5547671B2 (en) Push button device for telephone equipment
CN221054745U (en) Bracket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thereof
JP3287106B2 (en) Desktop wiring device
CN215600304U (en) Hang back of body formula relay structure convenient to installation
JP5952691B2 (en) Collective terminal block device and fixture
JP4928379B2 (en) Control cable terminal fixing structure
JP2011249221A (en) Attachment structure of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