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177B1 -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 Google Patents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177B1
KR102305177B1 KR1020190008147A KR20190008147A KR102305177B1 KR 102305177 B1 KR102305177 B1 KR 102305177B1 KR 1020190008147 A KR1020190008147 A KR 1020190008147A KR 20190008147 A KR20190008147 A KR 20190008147A KR 102305177 B1 KR102305177 B1 KR 10230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ty
information
user
service
learning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4834A (ko
Inventor
강훈석
김다일
Original Assignee
(주)티비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비스톰 filed Critical (주)티비스톰
Priority to KR102019000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177B1/ko
Priority to PCT/KR2019/002298 priority patent/WO2020153526A1/ko
Publication of KR2020009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6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simulated virtual individual or collective life forms, e.g. social simulations or particle swarm optimisation [PS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AI 개체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정체성과 역사성을 포함한 명시적 정보와 상기 AI 개체를 통한 소비, 생활, 상태에 따른 행위 정보 및 상기 행위 정보에 대한 상기 AI 개체의 위치, 형태 및 옵션 정보를 포함한 AI 개체 정보를 수집하는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PLATFORM FOR GATHERING INFORMATION FOR AI ENTITIES AND METHO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AI 개체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정체성과 역사성을 포함한 명시적 정보와 상기 AI 개체를 통한 소비, 생활, 상태에 따른 행위 정보 및 상기 행위 정보에 대한 상기 AI 개체의 위치, 형태 및 옵션 정보를 포함한 AI 개체 정보를 수집하는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딥 러닝(deep learning)을 포함하는 인공지능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다.
과거의 인공지능기술은, 컴퓨팅 파워나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기술적 한계점으로 인해 제조분야나 생산분야와 같은 기반시설에서 주로 이용되어, 미리 설정된 로직에 따라 특정 기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에 그쳤다.
그러나 최근에는 딥 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 빅데이터 처리기술, 컴퓨팅 파워 및 네트워크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단순 기계를 제어하는 것을 벗어나, 법률, 의료, 바이오 등의 전문 서비스업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와 상호 인터랙션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상기 인공지능기술의 활용영역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기업에서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하여 상기 개발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용자의 집안이나 사무실등과 같은 댁내에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인공지능 시스템과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IoT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뉴스, 날씨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육성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성격이나 취향 또는 성향을 반영한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상태나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IoT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해당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감과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육성하고, 상기 인공지능 시스템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특정 분야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다양한 정보들을 기업이나 광고업자 등과 같은 정보 수요자가 활용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상기 사용자의 동적인 취향 변화에 따라 보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수요자는 상기 정보 제공을 통해 자신이 서비스하고 있는 다양한 상품이나 제품들에 대한 광고나 선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공지능 시스템은, 해당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학습시켜 하나의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미리 설정된 로직이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개별적인 성향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못하거나, 해당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별로 캐릭터 또는 아바타 등을 포함하는 AI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I 개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육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취향이나 성격 또는 성향을 반영한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시킴으로서, 해당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육성과 상기 AI 개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AI 개체에 대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정보를 시간적 순서 및 인과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AI 개체에 대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04-0058370호(2004.07.05.)는 TV 시청 패턴을 통한 인공지능 TV 녹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TV 시청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사용자의 TV 시청 데이터 정보를 소정의 패턴 형식으로 수집하고, 해당 사용자가 TV를 시청하지 않을 경우, 현재 조건에 가장 부합한 TV 시청 패턴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패턴에 대한 TV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TV 시청 패턴을 통한 인공지능 TV 녹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인공지능 수단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인공지능 수단을 육성하고,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사용자의 TV 시청 정보에 따라 특정 TV 프로그램을 사용자를 대신하여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759338호(2017.07.12.)는 오픈 AP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헬스 케어 코칭 인공지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픈 API를 통해 수집되는 복수의 맥박정보 및 프로필 정보에 대해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맥박정보 및 프로필 정보에 대한 건상상태 진단 및 건강 유지 방법을 포함하는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결과 데이터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맥박정보 및 프로필 정보와 가장 일치하는 진단 결과를 상기 결과 데이터서버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자동 전송하는 오픈 AP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헬스 케어 코칭 인공지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성행기술은 사용자 정보(즉, 맥박정보 및 프로필 정보)와 결과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진단결과를 매칭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진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대부분의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TV 시청 정보나 맥박정보 및 프로필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캐릭터 또는 아바타로 형성되는 AI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I 개체를 해당 사용자의 특성이나, 성격 또는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하나의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해당 AI 개체를 육성하고, 상기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되는 AI 개체에 대한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옵션 정보 등을 포함하는 AI 개체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요자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AI 개체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는 과정이나, 상기 사용자가 해당 AI 개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해당 AI 개체가 가지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들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 또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AI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 또는 해당 사용자의 취향이나 성향에 따라 상기 생성한 AI 개체를 지속적으로 강화학습시킴으로써, 해당 AI 개체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도록 육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AI 개체가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I 개체를 생성할 때, 음악 추천, TV 채널추천, IoT 디바이스 제어, 뉴스 추천, 스케줄 관리 등을 위한 복수의 학습모델을 각각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각각의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AI 개체를 독립적인 개체로 육성할 수 있도록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I 개체를 육성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갱신 또는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분야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정보를 시간적 순서 및 인과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사용하는 수요자가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시간대별 선호하는 TV 채널, 시간별 장소별 냉난방 온도, 시간별 조명제어정보, 선호하는 뉴스분야, 인물, 음악, 아티스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AI 개체에 강화 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특정 IoT 디바이스 제어, 뉴스 추천, 음악 추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정, 알람시간, 기념일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스케줄을 학습하여 상기 AI 개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스케줄을 자동으로 알려줌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비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성 또는 텍스트로 추천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AI 개체에 입력하면, 상기 AI 개체는 상기 요청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요청에 따라 상기 각각의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스케줄, IoT 기기 제어, 음악, 뉴스 등에 대한 추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AI 개체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에서 추가 또는 갱신되는 AI 개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 정보는, 상기 AI 개체의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별로 추가 또는 갱신되며,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가공 정보 및 옵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추가 또는 갱신되는 AI 개체 정보를 상기 AI 개체의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AI 개체 정보는 추가 또는 갱신되는 순서 및 인과관계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시적 정보는, 상기 AI 개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의인화된 얼굴, 음성, 키 또는 몸무게를 포함한 신체정보, 상기 AI 개체의 의인화된 성명, 나이, 주소, 전화번호 또는 ID를 포함한 인적사항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서,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로 부여되며, 상기 플랫폼의 추천에 의해서 발급되거나, 변경 가능하도록 발급되거나, 고정된 정보로 발급되는 것을 포함하며, 정보 접근 권한과 장치 접근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행위 정보는, 상기 AI 개체를 통한 구매정보와 구매패턴을 포함하는 소비정보, 상기 AI 개체를 통한 특정 기기나 시설의 활용시간을 나타내는 이용정보, 상기 AI 개체를 통한 특정 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열람을 포함하는 액세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건강정도, 사회적 지위, 또는 교육정도를 포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 정보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국가나 지역을 포함한 위치 및 성별, 연령대 또는 성격을 포함하는 인적사항을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의 소비행태, 이용행태, 또는 액세스 행태를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은, 사용자가 AI 개체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AI 개체부 및 상기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에서 추가 또는 갱신되는 AI 개체 정보를 저장하는 AI 개체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 정보는, 상기 AI 개체의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별로 추가 또는 갱신되며,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가공 정보 및 옵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부는, 사용자가 생성하는 AI 개체를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AI 개체 생성부, 상기 생성한 AI 개체를 육성하는 AI 개체 육성부 및 상기 육성한 AI 개체를 활용하는 AI 개체 활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육성부는, 상기 생성한 AI 개체에 대해서 기계학습을 통해서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학습모델 생성부 및 상기 학습모델을 통해서 사용자가 AI 개체와 인터랙션하면, 상기 인터랙션의 결과가 상기 학습모델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학습모델이 강화학습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 행위에 따라 상기 AI 개체가 진화하는 학습모델 진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모델 진화부는, 상기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AI 개체는 다른 AI 개체와 교류하면서, 상기 사용자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활용부는, 상기 명시적, 상세, 가공 및 선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명시적 정보는, 상기 AI 개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의인화된 얼굴, 음성, 키 또는 몸무게를 포함한 신체정보, 상기 AI 개체의 의인화된 성명, 나이, 주소, 전화번호 또는 ID를 포함한 인적사항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서,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로 부여되며, 상기 플랫폼의 추천에 의해서 발급되거나, 변경 가능하도록 발급되거나, 고정된 정보로 발급되는 것을 포함하며, 정보 접근 권한과 장치 접근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저장부는, 상기 추가 또는 갱신되는 AI 개체 정보를 상기 AI 개체의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AI 개체 정보는 추가 또는 갱신되는 순서 및 인과관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 또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AI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 또는 해당 사용자의 취향이나 성향에 따라 상기 생성한 AI 개체를 지속적으로 강화학습시킴으로써, 해당 AI 개체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도록 육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AI 개체가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I 개체를 육성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갱신 또는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분야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정보를 시간적 순서 및 인과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사용하는 수요자가 자신의 목적에 따라 상기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AI 개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더욱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명령에 따라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육성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I 개체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인터넷과 같은 사이버 공간이나 현실공간의 디바이스에서 특정 개체, 예를 들면 캐릭터나 아바타(분신)를 마치 SNS 계정(접속 창구)을 만드는 것과 같이 생성하고, 해당 캐릭터나 아바타(분신)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따라 강화학습을 통해서 육성 및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서 혹은 SNS상의 활동에 의해서 점점 고도화되고 진화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100)(이하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으로 칭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AI 개체를 생성하기 위한 AI 개체 생성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캐릭터 또는 아바타 등을 포함하는 AI 개체(200)를 각각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의 성향이나 특성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육성하여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AI 개체(200)를 활용하여 상기 AI 개체(200)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를 육성하는 과정이나, 상기 AI 개체(200)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다양한 정보(즉, AI 개체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함으로서, 상기 AI 개체 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자(예: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광고하는 광고업자 등)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상기 AI 개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즉,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사용자에 따라 생성되고, 육성되어 진화되는 과정 및 해당 사용자가 상기 AI 개체(200)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AI 개체(200)에 대한 AI 개체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상기 AI 개체 정보는, 해당 AI 개체(200)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명시적 정보, 해당 AI 개체(200)가 상기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행위에 대한 행위 정보 및 해당 AI 개체(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옵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해당 음성이나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AI 개체(200)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인터랙션 결과를 토대로 상기 AI 개체(200)를 지속적으로 육성하여 해당 AI 개체(200)를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분야를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특정 IoT 기기(400)를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스케줄에 대한 보고를 수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뉴스, 동영상, 상품 등을 추천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AI 개체(200)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한 특성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생성한다. 즉,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는 해당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분야별로 특성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학습데이터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여,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에 접속한 후,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생성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와 상기 사용자 간의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한 인터랙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지속적인 강화학습을 통해 해당 AI 개체(200)를 육성함으로서, 상기 AI 개체(200)가 사용자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학교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구비되고,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성된 인공지능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클라우드 서버나 웹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상기 AI 개체(200)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AI 개체(200)를 육성 또는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적용된 AI 개체(200)는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서 생성되어 해당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적용된 AI 개체(200)와 동기화된다.
또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에 적용되어 독립적인 개체로 SNS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에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계정(즉, account)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SNS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야별 학습모델은, TV 채널 추천용 학습모델,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 IoT 기기(400) 제어용 학습모델, 뉴스 추천용 학습모델, 스케줄 추천용 학습모델, 상품 추천용 학습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모델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의 설계자에 의해 복수의 학습모델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을 통해 AI 개체(200)를 생성하고자 할 때,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의 AI 개체 생성 절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예: 지문, 음성, 제스처) 및 개인정보(예: 사용자 ID, 이름과 계정정보를 포함하는 지갑(wallet)정보 등)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AI 개체(200)의 생성을 신청하며,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포함한 AI 개체(200) 생성신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계정을 생성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AI 개체(200)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각 사용자에 대한 AI 개체(20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이 사용자의 가정에 구비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가족 구성원별로 상기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각 구성원에 대한 AI 개체(200)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상기 AI 개체(200)를 활성화하여, 해당 AI 개체(200)를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되는 지문인식수단,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의 키패드, 터치 팬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문인식수단, 마이크 또는 카메라 및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구비되는 지문인식수단, 마이크 또는 카메라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직접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할 때, 해당 AI 개체(200)가 타 AI 개체(200)와 구별되는 정보를 가지고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될 수 있도록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를 설정함으로서, 부여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옵션 정보를 부여한다.
상기 명시적 정보 및 옵션 정보는, 상기 AI 개체(200)를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상태를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명시적 정보는, 의인화된 얼굴, 음성, 키 또는 몸무게를 포함하는 AI 개체(200)의 신체정보 및 의인화된 국적, 성명(즉, 호칭), 나이, 주소, 전화번호 또는 ID를 포함하는 AI 개체(200)의 인적사항을 포함한다.
상기 AI 개체(200)의 신체정보 및 인적사항은,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서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로 설정 및 부여된다.
또한 상기 옵션 정보는, AI 개체(200)에 대한 건강정도, 직장이나 근로경력을 포함하는 사회적 지위 또는 학력 및 자격증 보유상황을 포함하는 교육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의 상기 신체정보는, 상기 AI 개체(200)를 시각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정보를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커스터마이징 정보를 토대로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신체정보를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모델링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AI 개체(200)를 모델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 및 옵션 정보를 AI 개체(200)에 부여함으로써, 타 AI 개체(200)와 구별되어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는, 타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 또는 인증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400)에 대한 정보 및 상기 IoT 기기(400)에 대한 접근권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가정, 사무실 또는 학교 등과 같이 댁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IoT 기기(4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IoT 기기(400)에 대한 상기 AI 개체(200)의 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시적 정보는,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의해서 추천되거나, 변경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된 정보로 발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IoT 기기(400)는,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조명, TV, 냉난방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복수의 IoT 기기(400) 기기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할 때,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특성정보(즉,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를 미리 지정된 포맷으로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학습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특성정보를 토대로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는, 시간대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TV 채널(예: 스포츠, 교양, 오락,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시간, 장소(예: 거실, 안방, 서제, 주방, 욕실 등) 및 날씨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조명밝기, 조명색, 조명의 온오프 시간 등을 포함하는 조명정보, 시간, 장소 및 날씨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냉난방온도,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뉴스 분야(예: 경제, 스포츠, 연예 등) 및 인물, 시간 및 날씨 또는 기분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장르(예: 대중음악, 클래식 등)와 아티스트, 주기적으로 금전을 지출해야 되는 지출정보(예: 모임 등으로 인한 정기적 회비, 관리비 등), 기상, 취침 시간, 계획한 일(예: 운동, 휴식, 공부 등), 기념일(예: 결혼기념일, 제사, 생일 등)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 인맥특성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동적인 특성을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 입력 데이터 포맷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를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분야별로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를 분류한다.
이후,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분류한 각 분야별 사용자 특성정보를 각 분야별 강화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는, 사용자의 실질적으로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분야별 학습모델의 학습데이터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시간 및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정보(예: 뉴스, 인물, 날씨)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특정 IoT 기기(400)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특정 스케줄이나, 지출내역에 대한 보고를 수행하거나, 음악, 상품, 특정 인물(즉, 친구 추천) 등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생성한 학습모델에 대한 지속적인 강화학습을 통해 육성됨으로서,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게 되는데, 상기 강화학습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수행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음성이나 텍스트를 통해 상기 AI 개체(200)와 인터랙션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요청명령(예: 드라마 채널 요청)을 입력하면, 해당 AI 개체(200)는, 해당 요청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요청명령에 따라 특정 서비스를 제공(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라마 채널 추천)하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선택(예: 특정 드라마 채널 선택)하면, 상기 AI 개체(200)는 특정 행위(예: 선택한 특정 드라마 채널 온하여 해당 채널을 시청)를 수행하게 되며,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가 수행한 특정 행위에 대한 행위 정보(즉, TV 채널에 대한 시청정보, 시청기간 및 시청시간)를 수집한다.
다시 말해,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AI 개체(200)가 해당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에 대한 행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상기 수집한 명시적 정보, 옵션 정보 및 행위 정보를 시간별, 계절별, 서비스분야별로 원인관계에 따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가 미리 설정한 빈도수 이상이면 상기 제공한 결과를 해당 분야의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학습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함으로서, 해당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AI 개체(200) 사이의 인터랙션을 수행하면, 해당 인터랙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해당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AI 개체(200)를 점진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특정 상품(예: 미세먼지 방지용 마스크)을 추천"이라는 요청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AI 개체(200)는,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회사에서 판매하거나, 가격대별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구매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상품을 웹상에서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추천을 통해 어느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구매행위를 통해 상기 선택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의 구매 행위에 대한 행위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구매 행위에 대한 행위 정보는,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와 시간별, 날짜별, 계절별 구매패턴을 포함하는 소비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방안의 온도를 27도로 유지"하라는 요청명령을 입력한 경우, 해당 방안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특정 시설(즉, 냉난방용 시설)이나 특정 기기(즉, 냉난방용 IoT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행위를 통해 상기 방안의 온도를 27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의 제어행위에 대한 행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I 개체(200)의 제어행위에 대한 행위 정보는 상기 특정 기기나 특정 시설의 시간별, 계절별, 날짜별, 날씨별 활용시간을 나타내는 이용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인터랙션 결과에 따라 특정 시간별, 계절별, 날씨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안의 온도를 분석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학습모델에 상기 분석한 온도값을 반영하여 해당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위 정보는, 특정 사용자(즉, 가정 내 구성원)에 대한 정보(개인정보, 스케줄 정보, 인증정보 등), 상기 IoT 기기(400)의 정보 등을 포함하여 특정 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열람을 포함하는 액세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AI 개체(200) 사이의 인터랙션을 수행하면, 해당 인터랙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해당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AI 개체(200)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해당 AI 개체(200)를 육성하게 되며, 상기 AI 개체(200)를 육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AI 개체(200)에 대한 행위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강화학습을 통해 AI 개체(200)를 육성하는 것은, 한편 상기 강화학습은 상기 인터랙션결과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 상기 AI 개체(200)의 자가학습, 참여학습, 지도학습 및 자율학습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AI 개체(200)는 더욱 고도화되고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되도록 육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학습은,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토대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제공한 서비스의 선택빈도(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을 추천한 경우, 특정 음악을 선택하여 사용한 사용빈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한 키워드(예: 특정 음악 장르(예: 대중음악)에 대한 키워드 등) 등을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에 대한 맛 집, 음악 등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자가학습은,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특성정보와 관련된 또 다른 정보를 웹상으로부터 자동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또 다른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에 적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날씨 상기 AI 개체(200)가 날씨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냉난방온도 또는 조명정보 및 음악에 대한 사용자 특성정보를 토대로 특정 IoT 기기(400)를 제어하거나, 음악을 추천하고자 할 때, 상기 AI 개체(200)는 기상청이나, 웹상으로부터 현재 시간에서의 날씨정보(즉, 온도, 습도 등)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날씨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학습모델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IoT 기기(400)를 제어하거나, 특정 음악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참여학습은, 상기 AI 개체(200)가 사전에 정의된 심리테스트 또는 취향게임 등과 같은 상기 사용자의 식성이나 선호하는 상품, 음악, 친구의 성향 등을 분석하여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참여학습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상품, 음악, 친구 등을 추천할 수 있도록 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학습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특성정보를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TV 채널(예: 스포츠, 교양, 오락,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에 대한 사용자 특성정보를 학습한 AI 개체(200)는, 현재 시간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채널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율학습은, 상기 AI 개체(200)가 자율적으로 학습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SNS 상에서의 친구에 대한 인맥정보를 토대로 특정 친구가 새 글이나 기념일등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최근 이슈가 되는 뉴스정보 등을 추천할 수 있도록 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사용자의 SNS 상의 인맥정보를 학습하여, 해당 사용자와 교류 빈도수가 높은 인맥에 대한 가족, 직장, 학교, 위치, 취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인맥에 대한 교육도, 친밀도, 전문성을 포함하는 역량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강화학습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SNS 상에서 독립적인 개체로 활동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의 SNS 활동에 대한 추천활동을 수행하거나, 타 AI 개체(200)와의 교류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AI 개체(200)는, 사용자의 인맥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특성에 따라 타 사용자 또는 타 AI 개체(200)와의 교류를 통해 AI 개체(200)만의 인맥을 형성하거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진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강화학습을 통해 미리 설정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요청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요청명령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한 요청명령에 따라 사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AI 개체(200)는, 미리 설정한 시간에 따라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예: 현재 시간정보)을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시간(예: 오전 6시)에 뉴스를 추천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뉴스 추천용 학습모델에 현재 시간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뉴스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강화학습의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뉴스분야 및 인물을 출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AI 개체(200)는 해당 뉴스분야 및 인물에 대한 뉴스를 웹상에서 검색하여 해당 검색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뉴스에 대한 추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인터렉션을 통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요청명령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키워드와 미리 설정된 각 추천분야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 요청명령이 어떠한 추천분야에 대한 추천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음악 추천을 위한 대표 키워드가 "음악", "노래", "음원"으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음악을 추천해죠"라는 요청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요청명령으로부터 "음악"이라는 키워드가 추출된 경우, 상기 비교과정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요청명령이 음악 추천을 받고자 하는 것임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강화학습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장르 및 아티스트를 출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AI 개체(200)는 해당 음악 장르 및 해당 음악 장르에 대한 아티스트에 대한 음원을 웹상에서 검색하여 추천 하거나, 기존에 저장된 음원을 추천함으로서, 해당 음악에 대한 추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요청명령은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입력되는 음성 및 텍스트를 인식하여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은, HMM(hidden markov model) 모델과 같이 미리 구축된 언어모델과 형태소 분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그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인터렉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AI 개체(200)가 적용된 AI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카메라, 지문센서, 마이크 또는 키패드를 통해 미리 설정된 특정 제스처를 취하거나, 지문인증을 수행하거나, 상기 설정한 AI 개체(200)의 이름을 호명하여, 상기 AI 개체(200)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음성 또는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강화학습을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학교 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IoT 기기(400)를 자동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시간정보 또는 날씨정보를 상기 IoT 기기 제어용 학습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IoT 기기(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IoT 기기(400)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IoT 기기(40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AI 개체(200)는,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IoT 기기(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해당 IoT 기기(400)로 전송함으로서, 원격에서 상기 IoT 기기(40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터랙션을 통해 인식되는 요청명령이 특정 서비스에 대한 대상을 지정하거나, IoT 기기(400)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지정한 대상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제어정보를 토대로 상기 IoT 기기(40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음성이나 텍스트로 "거실의 온도를 27도로 설정"이라는 요청명령을 입력하거나, 특정 음악제목을 명시하여 음악을 요청하는 경우, 하는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요청명령으로부터 "거실", "온도", "27도"라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거실의 온도를 27도로 유지하기 위해 난방장치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난방장치로 상기 생성한 제어정보를 전송함으로서, 상기 거실의 온도를 27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특정 음악제목에 대한 음원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AI 개체(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추천하거나, 사용자의 가정, 사무실 또는 학교에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400)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방법으로 동작시키도록 하거나,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400)에 대한 동작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가정, 사무실 또는 학교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리 설정한 시간(예: 아침 6시)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을 체크하여 해당 사용자가 해야 할 일을 추천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스케줄 추천용 학습모델에 미리 설정한 조건정보(예: 현재 시간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스케줄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강화학습의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시간별, 날짜별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출력한 스케줄 정보를 미리 설정한 기간(예: 하루, 일주일, 한 달)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상기 스케줄 정보에 따라 해야 할 일을 추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렉션을 통해 사용자가 스케줄 정보에 대한 요청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요청명령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키워드(예: "스케줄", "일정")와 상기 복수의 대표 키워드를 비교하여 해당 요청명령이 스케줄 추천에 대한 요청인 것으로 인식하고, 시간정보를 상기 스케줄 추천용 학습모델에 입력함으로써, 해당 요청명령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 추천에 대한 대표 키워드가 "스케줄", "일정", "기념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가 "오늘 스케줄 체크"라는 요청명령을 텍스트 또는 음성으로 입력하는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오늘", "스케줄"이라는 키워드를 상기 요청명령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대표 키워드와 상기 추출한 키워드를 비교하여 해당 요청명령이 스케줄 추천에 대한 것임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AI 개체(200)는, 스케줄 추천용 학습모델에 현재 시간정보를 입력하여 오늘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오늘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오늘 해야 할 일을 추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학습모델은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포함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봐와 같이,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야별 학습모델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육성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성, 추가 또는 갱신되는 AI 개체(200)에 대한 다양한 정보인 AI 개체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해당 AI 개체 정보를 활용하는 다양한 수요자가 자신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및 옵션 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및 옵션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가공 정보로 가공한 후, 상기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및 옵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정보는, 상기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및 옵션 정보를 통합하여 간략화한 것으로,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국가나 지역 또는 상기 AI 개체(200)가 사용자 단말(300)에 적용되어 해당 AI 개체(200)가 자주 이동하는 위치, 해당 AI 개체(200)의 성별, 연령대 또는 성격을 포함하는 인적사항과 해당 AI 개체(200)의 소비행태, 이용행태 또는 액세스 행태 및 상기 AI 개체(200)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을 이용하여, AI 개체(20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강화학습을 통해 육성함으로서,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AI 개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우선, 사용자는 자신이 구비한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접속한 후, AI 개체(200)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아바타 또는 캐릭터로 구현되는 AI 개체(200)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제공하여,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을 통해 AI 개체(200)를 생성하기 위한 AI 개체 생성요청을 전송한다(①).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커스터마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AI 개체(200)에 대한 모델링을 포함하는 AI 개체(200) 생성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캐릭터 또는 아바타로 구현되는 AI 개체(2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AI 개체 생성과정을 통해 해당 AI 개체(200)가 타 AI 개체(200)와 구별되어 독립적인 개체로 육성되어 진화할 수 있도록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AI 개체(200)의 인증정보, AI 개체(200)의 개인정보, 상기 정보 접근 권한 및 특정 장치(IoT 기기)에 대한 접근권한을 포함하는 명시적 정보와 해당 AI 개체(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옵션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명시적 정보와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설정을 통해 상기 AI 개체 수집 플랫폼(100)으로부터 발급된다.
즉, 상기 AI 개체(200)의 명시적 정보 및 옵션 정보는, 상기 AI 개체 생성과정에서,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발급되거나, AI 개체 수집 플랫폼(100)의 추천에 의해서 발급되거나, 변경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된 정보로 발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이 구비되는 장소(예: 사용자의 가정, 사무실 또는 학교 등)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별로 생성되며, 상기 생성되는 AI 개체(200)는 각 사용자별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 이외에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적용되거나,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에 적용되어,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AI 개체(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각 사용자에 대한 AI 개체(200)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특성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②)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포맷을 통해 사용자 특성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③).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특성정보를 각 분야별로 학습하여 상개 생성한 AI 개체(100)에 대한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즉, 상기 강화학습모델은,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것으로,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포맷을 토대로 해당 사용자가 자신의 특성정보를 선택하거나, 텍스트로 입력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으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분야별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최초 입력되는 사용자 특성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 특성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혹은 변경된 사용자 특성정보는, 상기 생성한 각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강화학습 데이터로써, 사용되고,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강화학습을 통해 해당 AI 개체(200)가 독립적인 개체로 육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가, 시간대별로 사용자의 선호도(점수)를 포함하는 TV 채널(예: 스포츠, 교양, 오락,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에 대한 것이면, 해당 사용자 특성정보를 TV 채널 추천용 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TV 채널을 시간대별로 추천하기 위한 TV 채널 추천용 학습모델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TV 채널 추천용 학습 네트워크의 입력은 미리 설정한 조건정보(예: 현재 시간정보)가 되며, 출력은 선호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채널이 된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가 시간 및 장소별(예: 거실, 안방, 서재, 주방, 욕실)로 선호하는 조명 밝기, 조명색, 온오프 시간 등에 대한 선호도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정보 또는 시간 및 장소별로 냉난방 온도값에 대한 선호도를 포함하는 온도제어정보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IoT 기기(400) 제어용 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함으로서, 해당 사용자에게 특정 IoT 기기(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추천하게 된다.
이때, 상기 IoT 기기(400) 제어용 강화학습 네트워크의 입력은 시간정보, 날씨정보가 될 수 있으며, 출력은 선호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400)에 대한 제어정보가 된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특성정보가 시간대별, 날씨별 또는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선호하는 음악 장르(예: 대중음악, 클래식 등)에 대한 것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음악 추천용 학습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을 추천하기 위한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의 입력은, 시간정보, 날씨정보, 감성정보 또는 이들이 조합이 될 수 있으며, 출력은 선호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장르 및 아티스트 정보가 된다. 이후,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출력한 음악 장르 및 아티스트 정보를 토대로 해당 AI 개체(200)와 연동된 음원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음악 장르 및 해당 음악 장르에 대한 아티스트의 음원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는, 미리 설정한 조건(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간 등)에 따라 상기 분야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요청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한다(④).
또한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특정 분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해당 인터랙션 결과를 상기 특정 분야에 대한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강화학습을 통해 상기 AI 개체(200)를 육성함으로서, 진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들 들어,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지도학습을 통해 상기 특정 분야에 대한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만,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서비스 받고자 하는 대상을 지정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가 요청명령으로 "특정 제목을 포함하는 음악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음원 사이트 등과 같이 음악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상기 제목에 대한 음악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음악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해당 음악을 추천할 수 있도록 상기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함으로서, 상기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와 상기 사용자가 인터랙션하면, 상기 인터랙션의 결과가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에 입력(즉,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분야별 학습모델이 강화학습 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AI 개체(200)가 점진적으로 진화될 수 있도록 육성된다.
한편, 상기 강화학습은, 상기 인터랙션 결과 이외에 AI 개체(200)에 대한 자가학습, 참여학습, 지도학습 및 자율학습을 통해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지도학습을 통해 미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한 특정 대상을 선택하거나, 선택 거절하는 경우, 상기 특정 대상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함으로서, 상기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과 상기 SNS 상에 적용된 AI 개체(200)는 상기 강화학습을 수행한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육성하는 과정 및 상기 AI 개체(200)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생성, 추가 및 변경되는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AI 개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미도시) 또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함으로서, 상기 수집한 AI 개체 정보를 수요자 자신의 목적에 맞도록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AI 개체 정보는,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옵션 정보 및 가공 정보를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AI 개체 정보는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AI 개체(200)를 육성하는 과정 및 상기 AI 개체(200)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가 직간접적으로 부여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육성하는 과정을 통해 타 AI 개체(200)와 구별되는 특성(즉, 선호하는 음악, 상품, 뉴스, TV 채널, IoT 기기 제어 방법 등)을 가지고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명령에 따라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200)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명령에 따라 각 분야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우선 사용자가 상기 AI 개체(200)를 이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당 AI 개체(200)를 활성화 시킨다.
상기 활성화는 미리 설정된 제스처를 수행하거나, 지문인식 또는 AI 개체에 설정된 AI 개체(200)의 이름을 호명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AI 개체(200)가 활성화 된 경우, 해당 사용자는 자신이 추천 받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요청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요청명령은,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음성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AI 개체(200)가 적용된 AI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SNS 상에서의 채팅기능을 활용하거나, 상기 AI 개체(200)를 통해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서 자동으로 제공하는 채팅기능을 통해 상기 요청명령을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I 개체(200)는 독립적인 개체로 상기 채팅에 참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입력되는 추천명령에 대한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추천명령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키워드를 토대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분야를 인식한다.
즉,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요청명령으로부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와 미리 설정된 각 분야별 복수의 대표 키워드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서비스 분야를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음악 추천용 대표 키워드가 "노래", "음악"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요청명령으로부터 추출한 키워드가 "음악"인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요청명령이 음악 추천으로 인식한다.
한편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분야를 인식하는 과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인식한 추천 분야에 대한 강화 학습 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학습모델에 미리 설정된 조건 정보(예: 현재 시간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학습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결과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요청명령을 통해 특정 음악 제목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거나, 특정 IoT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명시적으로 표현(예: 조명 온)하는 것 등과 같이 서비스 받고자하는 대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경우,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특정 음악 제목을 웹상에서 자동으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특정 IoT 기기를 상기 표현한 제어명령에 따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제공한 서비스가 미리 설정한 빈도수 이상인 경우, 이를 해당 분야의 학습모델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AI 개체(200)가 진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인터랙션 결과에 대해 해당 학습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에 대한 행위 정보(예: 상품 또는 음악 추천 및 구매, 또는 특정 IoT 기기의 제어 및 이용시간)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AI 개체(200)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AI 개체부(120) 및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갱신 또는 생성되는 AI 개체(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AI 개체 정보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과 상기 사용자 단말(300)과의 통신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AI 개체(20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각각 생성하기 위한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부(120)는, 상기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바타, 캐릭터로 구현되는 AI 개체(200)를 생성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AI 개체 생성부(121),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육성하는 AI 개체 육성부(122) 및 상기 육성한 AI 개체(200)를 활용하도록 하는 AI 개체 활용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I 개체 생성부(121)는,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AI 개체(20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델링함으로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AI 개체 활용부(123)는, 사전에 정의되어 저장된 커스터마이징 저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AI 개체(200)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과정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 선택정보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여한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AI 개체 정보 저장부(130)를 통해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 또는 클라우드상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육성부(122)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사용자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특성정보를 학습하여 생성한 AI 개체(200)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강화학습을 통해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활용부(123)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AI 개체 활용부(123)를 통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한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생성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AI 개체 활용부(123)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생성하고 육성한 AI 개체(200)를 인터랙션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IoT 기기(400)를 제어하거나,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을 보고하거나, 또는 음악, 동영상, 뉴스, 상품 등을 추천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AI 개체 활용부(123)는, 상기 AI 개체(200)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에 대한 행위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행위 정보를 AI 개체 정보 저장부(130)를 통해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AI 개체 활용부(123)를 통해 생성된 AI 개체에 대한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및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AI 개체 정보를 메모리 또는 클라우드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AI 개체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명시적 정보, 행위 정보 및 선택정보를 통합하여 가공한 가공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AI 개체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AI 개체(200)의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별로 추가, 갱신 또는 생성되는 AI 개체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된다. 또한 상기 AI 개체는 정보는 해당 AI 개체 정보가 생성된 순서 및 상기 각 서비스 분야별로 이전에 저장된 AI 개체 정보와 현재 추가, 갱신 또는 생성되는 AI 개체 정보 간의 시간적 관련성(예: 계절 등)에 따른 원인관계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원인관계라 함은, 계절 등과 같이 시간적 관련성을 원인으로 하여 상기 AI 개체(200)가 가지는 서비스 분야별로 선호도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AI 개체(200)가 여름에는 IoT 기기(400)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정이나 사무실을 특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며, 겨울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가정이나 사무실을 특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I 개체 정보 저장부(130)는, 계절 등과 같이 시간적 관련성에 따라 상기 AI 개체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분류하여 저장되는 AI 개체 정보는, 해당 AI 개체 정보를 사용하는 수요자 입장에서는 시간적 순서나 또는 원인관계를 이용한 검색을 통해 해당 수요자의 목적에 따라 상기 AI 개체 정보를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육성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 육성부(122)는, 상기 AI 개체 생성부(121)를 통해 생성한 AI 개체(200)에 대한 강화학습을 통해 해당 AI 개체(200)를 독립적인 개체로 육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특성정보를 토대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학습모델 생성부(1221) 및 상기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인터랙션의 결과에 따라 상기 생성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육성하여 진화하도록 하는 학습모델 진화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AI 개체 육성부(122)는,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학습데이터(즉, 사용자 특성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전에 정의된 사용자 특성정보 입력 데이터 포맷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성정보 입력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자신의 특성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AI 개체 육성부(122)는, 상기 입력한 사용자 특성정보를 서비스 분야별로 분류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학습모델 생성부(1221)는, 상기 서비스 분야별로 분류된 사용자 특성정보를 서비스 분야별로 각각 학습하여,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은, 상기 서비스 분야별로 분류한 사용자 특성정보를 각각 학습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TV 채널 추천용 학습모델,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 IoT 기기(400) 제어용 학습모델, 뉴스 추천용 학습모델, 스케줄 추천용 학습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분야별 학습모델은,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읜 설계자에 의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에 적용되거나,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버에 대한 AI 개체(200)의 계정(account)을 생성함으로서, SNS상에서 독립적인 개체로 SNS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생성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학습모델 진화부(1222)는, 상기 AI 개체(200)를 통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인터랙션 결과에 따라 상기 생성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육성하여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학습모델 진화부(1222)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모델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AI 개체(200)가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학습모델 진화부(1222)는, 강화학습을 위한 학습데이터의 관련정도에 따라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모델을 결합하여 상기 AI 개체(200)가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날씨별 시간대별 음악을 추천하거나, 날씨별 시간대별로 댁내의 온도나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IoT 기기(40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날씨별 시간대별로 음악을 추천하는 서비스와 IoT 기기(400)를 제어하는 서비스의 관련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이나 IoT 기기 제어용 학습모델에 이용되는 학습데이터는 날씨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당 학습데이터의 관련정도가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학습모델 진화부(1222)는, 상기 음악 추천용 학습모델과 상기 IoT 기기 제어용 학습모델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날씨별 시간대별로 음악 및 IoT 기기 제어를 위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AI 개체(200)를 진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은, 관련 분야에 대해서, 학습데이터를 관련정도에 따라 특성 수치로 계량화하여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스케일링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학습모델 진화부(1222)는 상기 인터랙션 이외에 자가학습, 참여학습, 지도학습 및 자율학습을 통해 상기 각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AI 개체(200)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가학습, 참여학습, 지도학습 및 자율학습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학습모델 진화부(1222)는, 상기 사용자 특성정보 수집부(13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 특성정보가 최초로 입력된 것이 아니라, 상기 AI 개체(200) 및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이 생성된 후 입력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개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I 개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절차는 우선,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AI 개체(20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생성한다(S110).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를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에 입력하여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생성요청을 수행하며, 상기 AI 개체 제공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에 대한 계정을 발급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제공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에게 사전에 정의된 커스터마이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AI 개체(200)를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모델링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는 해당 AI 개체(200)에 대한 명시적 정보, 가공정보 및 선택정보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은, 강화학습을 통해 점점 고도화되며, 이를 통해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는 독립적인 개체로 육성되고 진화된다.
다음으로,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를 통한 사용자 인터랙션, 자가학습, 참여학습, 지도학습 및 자율학습을 통해 상기 생성한 각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가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도록 해당 AI 개체(200)를 육성한다(S120).
즉,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와 상기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수행하면, 상기 AI 개체(200)는 상기 인터랙션을 수행한 인터랙션 결과(즉,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며,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인터랙션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고, 이와 별도로 자가학습, 참여학습, 지도학습 및 자율학습 방법을 통해 상기 생성한 학습모델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생성한 AI 개체(200)를 육성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육성한 AI 개체(200)를 음성 또는 텍스트를 통해 특정 요청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과 같이 해당 AI 개체(200)를 활용할 수 있다(S130).
이후, 상기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100)은, 상기 AI 개체(200)를 생성하는 과정, 육성하는 과정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변경 및 생성되는 AI 개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S140)하고, 상기 수집한 AI 개체 정보를 상기 각 과정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AI 개체 정보를 생성 순서 및 원인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메모리 혹은 클라우드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150)함으로서, 특정 수요자가 상기 저장한 AI 개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AI 개체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상기 AI 개체(200)의 사용자로부터 해당 AI 개체 정보의 접근권한이나 이용권한을 허락받은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AI 개체를 생성하여 자신이 원하는 바대로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육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AI 개체를 독립적인 개체로 진화하도록 하고, 상기 AI 개체를 활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거나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변경 및 생성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정보를 이용하는 수용자가 자신의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AI 개체 정보 수집 플랫폼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AI 개체부 121: AI 개체 생성부
122: AI 개체 육성부 123: AI 개체 활용부
130: AI 개체 정보 저장부 200: AI 개체
300: 사용자 단말 400: IoT 기기
1221: 학습모델 생성부 1222: 학습모델 진화부

Claims (12)

  1.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AI 개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분야별로 선호하는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학습하여 상기 생성한 AI 개체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생성한 AI 개체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기 설정한 조건 정보를 입력하여 출력된 결과에 따라 상기 AI 개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AI 개체를 활용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가 사전에 설정한 빈도수 이상이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거절하는 경우에 따라 해당 서비스 분야에 대한 학습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하는 강화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AI 개체를 육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AI 개체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또는 갱신되는 AI 개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 정보는, 상기 AI 개체의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별로 구분되어 추가 또는 갱신되는 순서 및 인과관계에 따른 분류하여 저장되며, 상기 AI 개체에 대한 명시적 정보, 옵션 정보, 가공 정보 및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I 개체의 행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시적 정보는,
    상기 AI 개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의인화된 얼굴, 음성, 키 또는 몸무게를 포함한 신체정보, 상기 AI 개체의 의인화된 성명, 나이, 주소, 전화번호 또는 ID를 포함한 인적사항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서,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로 부여되며,
    특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특정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위 정보는,
    상기 AI 개체를 통한 구매정보와 구매패턴을 포함하는 소비정보, 상기 AI 개체를 통한 특정 기기 또는 시설의 활용시간을 나타내는 이용정보, 상기 AI 개체를 통한 특정 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열람을 포함하는 액세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건강정도, 사회적 지위 또는 교육정도를 포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 정보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국가나 지역을 포함한 위치 및 성별, 연령대 또는 성격을 포함하는 인적사항을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의 소비행태, 이용행태 또는 액세스 행태를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7.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AI 개체를 생성하는 AI 개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분야별로 선호하는 사용자의 특성정보를 학습하여 상기 생성한 AI 개체에 대한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학습모델 생성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생성한 AI 개체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비스 분야별 학습모델에 기 설정한 조건 정보를 입력하여 출력된 결과에 따라 상기 AI 개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AI 개체를 활용하는 AI 개체 활용부;
    플랫폼에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가 사전에 설정한 빈도수 이상이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거절하는 경우에 따라 해당 서비스 분야에 대한 학습모델의 가중치를 조정하는 강화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AI 개체를 육성하는 학습모델 진화부; 및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AI 개체를 생성, 육성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 또는 갱신되는 AI 개체 정보를 저장하는 AI 개체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 정보는, 상기 AI 개체의 생성, 육성 및 활용 과정별로 구분되어 추가 또는 갱신되는 순서 및 인과관계에 따른 분류하여 저장되며, 상기 AI 개체에 대한 명시적 정보, 옵션 정보, 가공 정보 및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I 개체의 행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명시적 정보는,
    상기 AI 개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의인화된 얼굴, 음성, 키 또는 몸무게를 포함한 신체정보, 상기 AI 개체의 의인화된 성명, 나이, 주소, 전화번호 또는 ID를 포함한 인적사항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서, 인증정보 및 개인정보로 부여되며,
    특정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특정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행위 정보는,
    상기 AI 개체를 통한 구매정보와 구매패턴을 포함하는 소비정보, 상기 AI 개체를 통한 특정 기기 또는 시설의 활용시간을 나타내는 이용정보, 상기 AI 개체를 통한 특정 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열람을 포함하는 액세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건강정도, 사회적 지위 또는 교육정도를 포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공 정보는,
    상기 AI 개체에 대한 국가나 지역을 포함한 위치 및 성별, 연령대 또는 성격을 포함하는 인적사항을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의 소비행태, 이용행태 또는 액세스 행태를 포함하며,
    상기 AI 개체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KR1020190008147A 2019-01-22 2019-01-22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KR10230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147A KR102305177B1 (ko) 2019-01-22 2019-01-22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PCT/KR2019/002298 WO2020153526A1 (ko) 2019-01-22 2019-02-26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147A KR102305177B1 (ko) 2019-01-22 2019-01-22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834A KR20200094834A (ko) 2020-08-10
KR102305177B1 true KR102305177B1 (ko) 2021-09-27

Family

ID=7173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147A KR102305177B1 (ko) 2019-01-22 2019-01-22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5177B1 (ko)
WO (1) WO2020153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53A (ko) * 2020-10-29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공지능 모델을 갱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0574B1 (ko) * 2020-12-30 2023-07-03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오픈 에이피아이를 이용한 에이아이 모델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66B1 (ko) * 2008-02-11 2013-11-29 이점식 진화하는 사이버 로봇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4381A1 (en) *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active user interface
KR20050033918A (ko) * 2003-10-07 2005-04-14 황후 인공지능 아바타를 이용한 전자쇼핑몰 시스템 및 방법
US9159151B2 (en) * 2009-07-13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ringing a visual representation to life via learned input from the user
US9536049B2 (en) * 2012-09-07 2017-01-03 Next It Corporation Conversational virtual healthcare assist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66B1 (ko) * 2008-02-11 2013-11-29 이점식 진화하는 사이버 로봇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526A1 (ko) 2020-07-30
KR20200094834A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96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on-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KR102345945B1 (ko) 맞춤형 현장 정보 교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841887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modifying the presentation of contextually relevant documents in browser windows of a browsing application
US202003645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s in ubiquituous computing environments
KR102309682B1 (ko) 강화학습을 통해 진화하는 ai 개체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플랫폼
US11392580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commending computerized services based on an animate object in the user's environment
US20180323996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scenes using an assistant device
US2016023418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vent based on metadata
US2016023224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ersonalizing computerized services based on mood and/or behavior information from multiple data sources
CN107533677A (zh) 用于产生与有关信息相关的传感器输出的方法、系统和介质
Ross Estranged parents and a schizophrenic child: choice in economics, psychology and neuroeconomics
Jin et al. Contextplay: Evaluating user control for context-aware music recommendation
US107409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or selection and auditing
KR102305177B1 (ko) Ai 개체에 대한 정보 수집 플랫폼 및 이를 통한 정보 수집 방법
CN110120001A (zh) 一种基于知识图谱库与记忆曲线结合提分的方法及系统
CN112113317A (zh) 一种室内热环境控制系统及方法
JP7157239B2 (ja) 感情認識機械を定義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503657A (ja) 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による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Bannerman et al. Platforms and power: A panel discussion
US202300691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user interactions
KR101491986B1 (ko) 개인화된 페르소나 그룹을 통한 소셜 질의응답 시스템
CN112621788A (zh) 一种基于生物钟的管家服务机器人
Granata et al.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Digital Marketing
KR20200093766A (ko) 스마트 콘트랙트를 통한 디지털 정보 거래 플랫폼
Wietreck Towards a new generation of movie recommender systems: A mood based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