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944B1 -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 Google Patents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944B1
KR102304944B1 KR1020210052472A KR20210052472A KR102304944B1 KR 102304944 B1 KR102304944 B1 KR 102304944B1 KR 1020210052472 A KR1020210052472 A KR 1020210052472A KR 20210052472 A KR20210052472 A KR 20210052472A KR 102304944 B1 KR102304944 B1 KR 10230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sket
flow rate
information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승주
Original Assignee
문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주 filed Critical 문승주
Priority to KR102021005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944B1/en
Priority to KR1020210123240A priority patent/KR1025906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reservoir-integrated flowerpot capable of automatic watering. The flowerpot includes: a planting portion forming a plant planting space; a water storage portion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nting portion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portion by the medium of a wick; and a water supply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portion and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The water supply portion includes: a water tank having a bottom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a flow rate adjustment valve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 basket rotatable around an axis of rotation, receiving and stor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pouring the stored water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in the event of rotation in one direction; and a float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portion and moving upward and rotating the basket in the opposite direction such that the water of the basket is not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Description

자동 관수가 가능한 저수조 일체형 화분{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Water tank integrated pot with automatic watering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관수가 가능한 저수조 일체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flowerpot capable of automatic watering.

일반적인 분화재배, 온실재배에 있어서 관수를 반복하다 보면 토양이 단단해져 작물 생육에 저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용기 아래에서부터 표면까지 물을 운반하는 방식의 저면관수 방식이 대안으로 활용되며, 저면관수 중에서도 화분 하단에 심지를 설치하여 수분을 흡입하는 심지를 활용한 관수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In general differentiated cultivation and greenhouse cultivation, repeated irrig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soil becomes hard and inhibits crop growth. In contrast, the bottom irrigation method, in which water is transporte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the surface using capillary action, is used as an alternative. have.

저면관수 방식의 경우 식물이 식재된 토양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의 물이 닳으면 주기적으로 물을 채워주어야 한다. 이때, 관수 주기가 과도하게 짧거나 길면 과습으로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물부족으로 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식재되는 식물에 맞는 관수 주기로 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the case of the bottom irrigation method, 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placed under the soil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runs out, it must be periodically filled with water. At this time, if the irrigation cycle is excessively short or long, the roots of the plant may rot due to excessive moisture or die due to lack of wat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rrigate with a watering cycle suitable for the plants to be planted.

그러나, 1인 가구, 공유 시설 등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화분을 관리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장소에 비치된 화분의 경우, 화분에 주기적인 관수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potted plants placed in places that are not in a state where a manager can periodically manage pots, such a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hared faciliti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periodic irrigation of pots cannot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면관수용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가 일체로 마련되는 자동 관수 화분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watering pot in which a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for bottom watering is integrally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관수에 필요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급수부가 마련되는 자동 관수 화분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watering pot in which a water supply unit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required for watering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관수 주기 및 관수량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관수 화분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irrigation pot capable of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rrigation cycle and irrigation amoun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분은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식재부와, 상기 식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심지를 매개로 상기 식재부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및 상기 저수부와 연통되어 상기 저수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바닥에 출수구가 형성되는 물탱크와, 상기 출수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출수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으로서,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로 쏟아내는 바스켓 및 상기 저수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플로트로서, 상기 저수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스켓의 물이 상기 저수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바스켓을 상기 일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플로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planting part forming a space in which a plant is planted, a water storage part which is disposed under the planting part,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part through a wick, and the water storage part is stored. and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tank having an outlet at the bottom, a flow rat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a rotating shaft rotatable and A basket provided to receive and stor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 basket for pouring stored water into the reservoir when 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a float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the reservoi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part, the float moves upward and rotates the baske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so that the water in the basket is not supplied to the water reservoir.

상기 바스켓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저장하고 제2 위치에서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로 쏟아내고,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바스켓에 저장된 물이 일정량을 초과할 때 상기 바스켓은 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The basket stores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t the first position and pours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position into the reservoir, and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basket at the first position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the basket may b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water.

상기 바스켓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일 수 있다.The basket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lane including the rotation shaft.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저수부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상기 바스켓이 수용되는 바스켓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바스켓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홈으로서, 복수의 지지홈 각각은 상기 지지 돌기에 분리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복수의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때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바스켓의 회전이 시작되는 상기 바스켓의 물의 양과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홈과 다른 지지홈에 결합된 때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바스켓의 회전이 시작되는 상기 바스켓의 물의 양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water supply part includes a partition wall forming a basket space in which the basket is accommodated between the water storage part and the water tank,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to form a rotation axis of the basket, wherein the basket is the basket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e amount of water in the basket at which rotation of the baske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tarts when it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and the support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groove different from the one support groove The amount of water in the basket at which rotation of the basket start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면관수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와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for bottom irrigation and a planting unit for planting plants are integrally provided to provide a flowerpot that is easy to store and us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면관수를 수행함에 따라 토양의 밀도를 낮추고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어 토양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ottom irrigation is performed, the density of the soil can be lowered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t that can create an environment favorable for the growth of plants planted in the soil.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탱크에 물을 채워 두기만 하면 주기적으로 저수부에 물이 자동 공급되므로 사용자가 관수 주기를 직접 챙기지 않아도 되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user fills the water tank with water,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water reservoir periodically,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take care of the irrigation cycl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자동으로 공급되는 물의 관수 주기 및 관수량을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erpot capable of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rrigation cycle and irrigation amount of automatically supplied wate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화분을 적재 및 결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수의 화분을 배치 및 관리할 수 있고 심미감 있는 조형을 연출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erpot capable of arranging and manag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even in a narrow space by load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and can produce aesthetically pleasing mode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X-X'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cut away.
FIG. 2 is a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basket shown in FIG. 2 .
4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ig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a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pper", "lower", "upper", "lower", etc. used below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X-X'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cut away. FIG. 2 is a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basket shown in FIG. 2 .

도 1 내지 3을 참조할 때, 화분(1)은 식재부(100)와, 식재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부(또는, "저수조")(2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flowerpot 1 may include a planting unit 100 and a water storage unit (or “water storage tank”) 200 disposed under the planting unit 100 .

식재부(100)는 흙, 자갈 등이 수용되고 수용된 토양에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식재 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식재부(100)는 상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식재부(100)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흙, 자갈 등의 토양을 식재 공간(101)에 배치할 수 있다.The planting unit 100 may form a planting space 101 that is a space in which soil, gravel, etc. are accommodated and plants are planted in the received soil. The planting unit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 user may place soil, such as soil or gravel, in the planting space 101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planting unit 100 .

식재부(100)는 하단 측 일 모서리에 형성되는 배수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102)는 식재 공간(101)에 담긴 토양에 잔존하는 잉여 수분을 후술하는 저수부(200)의 저수 공간(201)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planting unit 100 may include a drain hole 102 formed in one corner of the lower side. The drain hole 102 may guide excess moisture remaining in the soil contained in the planting space 101 to the water storage space 201 of the water storage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저수부(200)는 식재부(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식재 공간(101)에 배치되는 토양과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 공간(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저수 공간(201)은 저수부(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water storage space 201 disposed under the planting unit 100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soil and plants disposed in the planting space 101 . The water storage space 201 may be formed in the water storage unit 200 .

저수부(200)에 저장된 물은 식재 공간(101)에 배치된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분(1)은 저수부(200)의 물을 식재 공간(101)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고 면사 또는 합성섬유사 등으로 형성되는 심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식재부(100)는 식재부(1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식재 공간(101)을 저수부(200)의 저수 공간(201)과 연통시키는 심지홀(103)을 포함할 수 있다. 심지(110)는 심지홀(103)을 관통하여 일단이 저수 공간(201)의 물에 잠기고 타단이 식재 공간(101)에 배치된 토양에 묻힐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200 may be supplied to the soil disposed in the planting space 101 . Specifically, the flowerpot 1 may include a wick 110 that is provided to move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200 to the planting space 101 and is made of cotton or synthetic fiber yarn. The planting unit 100 may include a wick hole 10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unit 100 to communicate the planting space 101 with the water storage space 201 of the water storage unit 200 . The wick 110 may pass through the wick hole 103 so that one end is submerged in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space 201 and the other end is buried in the soil disposed in the planting space 101 .

이와 같이, 사용자는 심지(110)를 이용하여 저수부(200)의 물을 식재 공간(101)의 토양으로 저면관수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양의 밀도를 낮추고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어 토양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재부(100)의 상단 개구를 통해 토양에 물을 공급하는 표면관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is way, the user may use the wick 110 to irrigate the water of the reservoir 200 into the soil of the planting space 101 at the botto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lower the density of the soil and increase the oxygen concentration,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favorable for the growth of plants planted in the soil.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surface irriga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soil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planting unit 100 is also possible.

화분(1)은 화분(1)의 하단을 형성하는 저수부(200)의 하단 일 모서리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화분들을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적재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화분(1)은 복수의 화분(1)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화분은 서로 동일한 제1 화분 및 제2 화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분의 식재부(100)의 일 모서리를 제2 화분의 적재홈(210)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마련되는 선반의 모서리 등을 화분의 적재홈(210)에 삽입하여 결합시켜 화분을 진열할 수도 있다.The flowerpot 1 may include a loading groove 210 formed at a lower end corner of the water reservoir 200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flowerpot 1 and provided to couple different flowerpots. The flowerpot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owerpots 1 , and the plurality of flowerpots may include the same first flowerpot and the second flowerpot. A plurality of flowerpots can be stacked by inserting one edge of the planting unit 100 of the first flowerpot into the loading groove 210 of the second flowerpot and combining them. In addition, the pots may be displayed by inserting the corners of a separately provided shelf into the loading grooves 210 of the pots and combining them.

이와 같이, 적재홈(210)을 이용하여 다수의 화분들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다수의 화분들을 서로 적재하여 심미감 있는 조형을 연출할 수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flowerpots can be easily loaded and stored using the loading groove 210 , or a plurality of flowerpots can be stacked on each other to produce an aesthetically pleasing molding.

화분(1)은 저수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00)는 저수부(200)와 연통될 수 있다. 급수부(300)의 하부에 저수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급수부(300)는 식재부(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급수부(300)가 식재부(100)의 후면 외측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수부(300)는 식재부(100)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 중 어느 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식재부(100), 저수부(200), 및 급수부(300)의 물탱크(302)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owerpot 1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3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200 . 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water storage unit 200 . The water storage unit 200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unit 300 . 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anting unit 100 .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water supply unit 30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ing unit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be disposed on any one of the front side, the rea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planting unit 100 . Meanwhil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lanting unit 100 , the water storage unit 200 , and the water tank 302 of 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급수부(300)는 바닥에 출수구(302a)가 형성된 물탱크(302)와, 출수구(302a)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400)와, 출수구(302a)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일정 주기마다 저수부(200)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관수 조절 모듈(320)과, 저수부(200)의 물에 떠있도록 마련되는 플로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300 includes a water tank 302 having an outlet 302a on the floor, a flow control valve 400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302a, and a water outlet 302a. 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control module 320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200 at regular intervals, and a float 310 provided to float in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200 .

관수 조절 모듈(320)은 급수부(3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바스켓 공간(303)을 형성하는 외측벽(303a)과, 외측벽(303a)의 하단에 연결되어 바스켓 공간(303) 및 관수 조절 모듈(32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격벽(304)과, 바스켓 공간(303)에 배치되고 출수구(302a)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물을 저수부(200)로 쏟아내는 바스켓(305)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control module 320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303a forming the exterior of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forming a basket space 303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303a to control the basket space 303 and water supply. The partition wall 304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320, and a basket 305 disposed in the basket space 303 and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302a or pouring the stored water into the water storage unit 200 ) may be included.

외측벽(303a)은 식재부(100)를 향하는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항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수직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외측벽(303a)의 단면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벽(303a)의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수직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단면이 직사각형인 물탱크(302) 및 저수부(200)의 외벽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outer wall 303a toward the planting part 100 may be opened. Specifically, a cross section of the outer wall 303a cut by a plane perpendicular to a vertical line ext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may have a 'C' shape. The shape of the outer wall 303a may correspond to the outer walls of the water tank 302 and the water storage unit 20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cut by a plane perpendicular to a vertical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관수 조절 모듈(320)(예: 외측벽(303a))은 바스켓 공간(303)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물탱크(302)의 하단 및/또는 식재부(100)의 후면 및/또는 저수부(20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water irrigation control module 320 (eg, the outer wall 303a) is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302 and/or the rear surface of the planting unit 100 and/or the water storage unit ( 2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예를 들어, 외측벽(303a)의 하단은 저수부(20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측벽(303a)을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관수 조절 모듈(320)을 저수부(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분리된 관수 조절 모듈(320)의 바스켓 공간(303)에 접근하여 그 내부에 배치된 바스켓(305)의 회전축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303a may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200, and in this state, the user pulls the outer wall 303a rearward to adjust the water supply control module 320 to the water storage unit 200. ), and the user can access the basket space 303 of the separated irrigation control module 320 to change the rotation axis of the basket 305 disposed therein.

물탱크(302)는 상방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저수 공간(201)에 주기적으로 공급될 물을 물탱크(302)에 저장할 수 있다. 급수부(300)는 개방된 물탱크(302)의 상단 개구를 차폐하도록 마련되는 커버(30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1)는 물탱크(302)의 일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위아래로 회동함에 따라서 물탱크(302)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할 수 있다.The water tank 302 may have an open top. The user may store water to be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201 in the water tank 302 . 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include a cover 301 provided to shield the upper opening of the open water tank 302 . The cover 301 may be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2 , and may open and close the open top of the water tank 302 as it rotates up and down.

물탱크(302)는 물탱크(302)의 바닥에 형성되고 물탱크(302) 내부에 저장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302a)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구(302a)를 통하여 물탱크(302)의 내부 공간과 바스켓 공간(303)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The water tank 302 may include a water outlet 302a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302 and through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2 can be discharged.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tank 302 and the basket space 303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ater outlet 302a.

유량 조절 밸브(400)는 출수구(302a)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 조절 밸브(400)는 출수구(302a)에 결합될 수 있다. 유량 조절 밸브(400)는 개도가 조절되는 니들 밸브나, 개도가 조절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나, 개도가 조절되는 전자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vle, EE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량 조절 밸브(400)는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의 유량 조절 밸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rate control valve 400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302a. The flow rate control valve 400 may be coupled to the water outlet 302a. The flow control valve 400 may include a needle valve whos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a solenoid valve whose open degree is controlled, or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whos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low control valve 400 may include a flow control valve 400 having a structure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바스켓(305)은 출수구(302a) 및/또는 유량 조절 밸브(400)를 통과하여 출수되는 물탱크(302)의 물을 받아내어 저장할 수 있다. 바스켓(305)은 바스켓(305)이 저장한 물탱크(302)의 물을 저수 공간(201)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basket 305 may receive and store water from the water tank 302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302a and/or the flow rate control valve 400 . The basket 305 may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302 stored in the basket 305 to the water storage space 201 .

바스켓(305)은 물탱크(302) 하부에 배치되는 바스켓 공간(303)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부(300)는 물탱크(302)의 하부에 배치되고 물탱크(30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격벽(304)을 포함할 수 있고, 바스켓 공간(303)은 격벽(304)과 물탱크(30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즉, 격벽(304)은 물탱크(302)의 바닥면과 함께 바스켓 공간(303)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304)은 바스켓(305)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격벽(304)은 급수부(3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basket 305 may be disposed in the basket space 303 disposed under the water tank 302 . 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include a bulkhead 304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302 and spaced apart from the water tank 302 , and the basket space 303 may include the bulkhead 304 and the water tank ( 302) may correspond 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m. That is, the partition wall 304 may form the basket space 303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302 . The partition wall 304 may support the basket 305 from below. The partition wall 304 may be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급수부(300)는 바스켓(305)에서 쏟아진 물을 저수 공간(201)으로 안내하는 연통로(304c)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로(304c)는 바스켓 공간(303)과 저수 공간(201)을 연통시킬 수 있다. 격벽(304)이 저수 공간(201)과 바스켓 공간(303)을 구획하고 있으므로 연통로(304c)는 격벽(304)에 형성되어 격벽(304)을 관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통로(304c)는 격벽(30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통로(304c)는 급수부(300)의 일측면(예: 외측벽(303a))과 격벽(304)의 일단 사이의 간극에 해당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ath 304c for guiding the water poured from the basket 305 to the water storage space 201 . The communication path 304c may communicate the basket space 303 and the water storage space 201 . Since the partition wall 304 divides the water storage space 201 and the basket space 303 , the communication path 304c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04 to pass through the partition wall 304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path 304c may b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304 . The communication path 304c may correspond to a gap between one side (eg, the outer wall 303a) of the water supply unit 300 and one end of the partition wall 304 .

바스켓(305)은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305)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주기적으로 왕복 회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스켓(305)의 구조를 고려하여 회동 메커니즘을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basket 305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R. The basket 305 may periodically reciprocat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Hereinafter, the rotation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asket 305 .

바스켓(305)은 제1 위치에 있을 때 바스켓(305)은 회전축(R)을 기준으로 멀어질수록 격벽(304)과 이격되는 거리가 커지는 경사면(305b)을 포함할 수 있고, 바스켓(305)은 경사면(305b)과 격벽(304) 사이의 공간(306)을 회동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바스켓(305)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바스켓(305)의 하단에서 바스켓(305)의 상단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회전축(R)에서 멀어지도록 경사면(305b)은 격벽(304)의 상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라 함은 경사면(305b)이 격벽(304)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바스켓(305)이 출수구(302a)에서 출수되는 물을 받아내는 위치를 말할 수 있다. 제2 위치라 함은 경사면(305b)의 상단 및/또는 경사면(305b)의 대부분이 격벽(304)과 접촉되거나 경사면(305b)이 격벽(304)과 대략 나란하게 되어 바스켓(305)의 물이 경사면(305b)을 따라 연통로(304c)로 배출되는 위치를 말할 수 있다.When the basket 305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basket 305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305b whose distance from the partition wall 304 increases as th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R increases. can rotate the space 306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305b and the partition wall 304 . In other words, when the basket 305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inclined surface 305b is the partition wall 304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ket 305 to the upper end of the basket 305 so as to move away from the rotation axis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can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In this case, the first position may refer to a position where the inclined surface 305b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304 and the basket 305 receive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302a. The second position means th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and/or most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are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304, or the inclined surface 305b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partition wall 304 so that water in the basket 305 is It can be said that the position discharged to the communication path (304c) along the inclined surface (305b).

급수부(300)는 격벽(304)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304a)를 포함할 수 있고, 바스켓(305)은 지지 돌기(304a)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홈(305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305a)은 바스켓(305)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홈(305a)은 바스켓(305)의 바닥면의 일부가 바스켓(305)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305a)과 회전축(R)은 대략 경사면(305b)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300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304a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304, and the basket 305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groove 305a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 304a. may include The support groove 305a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305 . The support groove 305a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305 inside the basket 305 . The support groove 305a and the rotation shaft 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지지홈(305a)은 지지 돌기(304a)와 분리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돌기(304a)의 상단은 지지홈(305a)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홈(305a)과 지지 돌기(304a)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서 바스켓(305)의 회전축(R)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지지 돌기(304a)가 회전축(R)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groove 305a may be detachabl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rotrusion 304a.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304a may be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305a. As the support groove 305a and the support protrusion 304a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otation shaft R of the basket 305 may be formed. In other words, the support protrusion 304a may form the axis of rotation R.

바스켓(305)의 회전축(R)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P)을 기준으로 일측에 경사면(305b)이 위치되므로 바스켓(305)은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비대칭일 수 있다. 한편, 경사면(305b)을 마주하고 상기 평면(P)과 이격되는 대응면(305c)은 제1 위치에 있을 때 대략 격벽(304)에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응면(305c)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회전축(R)에 대해 멀어지도록 기울어 질 수 있고, 그 기울기는 경사면(305b)의 기울기보다는 작을 수 있다. 한편, 경사면(305b)의 하단과 대응면(305c)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스켓의 바닥면은 제1 위치에서 격벽(304)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전면 또는 후면과 나란한 평면에 의해 잘린 바스켓(305)의 단면은 대략 윗변이 아랫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inclined surface 305b is locat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P including the rotation axis R of the basket 305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sket 305 is a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lane P can Meanwhile,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facing the inclined surface 305b and spaced apart from the plane P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artition wall 304 when in the first posi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may be inclined away from the rotation axis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inclination may be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Mean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and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artition wall 304 at the first pos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basket 305 cut by a plane parallel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an upper side is substantially longer than a lower side.

제1 위치에서, 경사면(305b) 상단과 상기 평면(P) 사이의 거리는 대응면 상단(305c)과 상기 평면(P)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경사면(305b) 하단과 상기 평면(P) 사이의 거리는 대응면(305c) 하단과 상기 평면(P)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In the first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and the plane P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and the plane P.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and the plane P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and the plane P.

비어있는 바스켓(305)에 처음 물이 공급될 때, 회전축(R) 및/또는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경사면(305b)과 반대 측의 바스켓(305) 부분(즉,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대응면(305c) 측의 바스켓(305)의 부분)에 담긴 물의 무게는 회전축(R) 및/또는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경사면(305b) 측의 바스켓(305) 부분에 담긴 물의 무게보다 무거우므로, 바스켓(305)은 경사면(305b)이 격벽(304)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바스켓(305)이 제1 위치에 있다고 칭할 수 있다. 제1 위치에 있을 때 대응면(305c)의 하단이 격벽(304)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태일 수 있다.When water is first supplied to the empty basket 305, the portion of the basket 305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clined surface 305b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R and/or the plane P (ie, the plane P) The weight of water contained in the portion of the basket 305 on the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based on Since it is heavier than the weight of water, the basket 305 is not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305b faces the partition wall 304 . At this time, the basket 305 may be referred to as being in the first position. When in the first position,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may be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partition wall 304 .

처음 바스켓(305)에 물이 담길 때는 상기 평면(P)과 경사면(305b)이 인접하므로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면(305b) 측의 바스켓(305) 부분에 추가되는 물의 무게가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대응면(305c) 측의 바스켓(305) 부분에 추가되는 물의 무게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바스켓(305)에 담긴 물의 수위가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그 수위에서 상기 평면(P)과 경사면(305b) 사이의 거리는 상기 평면(P)과 경사면(304b) 반대 측인 바스켓(305)의 대응면(305c) 사이의 거리보다 크므로,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면(305b) 측의 바스켓(305) 부분에 추가되는 물의 무게가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대응면(305c) 측의 바스켓(305) 부분에 추가되는 물의 무게보다 클 수 있다.When the basket 305 is filled with water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plane P and the inclined surface 305b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weight of the water added to the portion of the basket 305 on the inclined surface 305b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P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water. It may be smaller than the weight of water added to the portion of the basket 305 on the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with respect to the plane P. However,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asket 305 exceeds a certain level, the distance between the plane P and the inclined surface 305b at the water level corresponds to the basket 305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lane P and the inclined surface 304b. Since it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s 305c, the weight of water added to the portion of the basket 305 on th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305b with respect to the plane P is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with respect to the plane P. It may be greater than the weight of water added to the side of the basket 305 portion.

이렇게 지속적으로 바스켓(305)에 물이 저장되고 바스켓(305)에 저장된 물이 일정량(이하, "임계량"이라고 칭할 수 있다.)을 초과하면,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경사면(305b) 측의 바스켓(305) 부분에 담긴 물의 무게가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대응면(305c) 측의 바스켓(305) 부분에 담긴 물의 무게보다 커질 수 있고, 바스켓(305)은 물의 무게에 의하여 제2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water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basket 305 and the water stored in the basket 305 exceeds a certain amount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a “threshold amount”), the inclined surface 305b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P The weight of water contained in the basket 305 of Can be rotated to 2 positions.

달리 말하면, 제1 위치에 있는 바스켓(305)에 담긴 물의 무게 중심은, 처음에 회전축(R)을 기준으로 대응면(305c) 측에 위치되었다가, 바스켓(305)에 저장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경사면(305b) 측을 향해 이동되고, 바스켓(305)에 담긴 물이 임계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경사면(305b)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의 무게 중심이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경사면(305b) 측에 위치될 때, 물의 무게에 의하여 바스켓(305)은 제2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물의 무게가 바스켓(305)의 회전에 미치는 정도와 비교하여 바스켓(305) 자체의 무게가 바스켓(305)의 회전에 미치는 정도는 무시할 만하다.In other word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sket 305 in the first position is initially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R, and t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asket 305 increases. It moves toward the inclined surface 305b as much as possible, and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sket 305 exceeds a critical amount, it may be positioned on the inclined surface 305b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P.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water is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305b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P, the basket 305 may b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water. At this time, compared to the degree to which the weight of water affects the rotation of the basket 305 , the degree to which the weight of the basket 305 itself affects the rotation of the basket 305 is negligible.

제2 위치에서 바스켓(305)은 물을 저수부(200)로 쏟아낼 수 있다. 경사면(305b)은 바스켓(305)의 물을 연통로(304c)로 안내할 수 있고, 바스켓(305)의 물은 연통로(304C)를 통해 저수 공간(201)에 도달할 수 있다.In the second position, the basket 305 may pour water into the reservoir 200 . The inclined surface 305b may guide the water in the basket 305 to the communication path 304c, and the water in the basket 305 may reach the water storage space 201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304C.

플로트(310)는 저수부(200)의 수위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플로트(310)는 바스켓 공간(30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 공간(201)에 배치될 수 있다.The float 310 may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200 . The float 310 may be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201 disposed below the basket space 303 .

플로트(310)는 물에 일부가 잠기어 부력을 형성하는 부유부(310a)와, 부유부(310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바스켓(305)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압 돌기(31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at 310 includes a floating portion 310a partially submerged in water to form buoyancy, and a pressing protrusion 310b protruding upward from the floating portion 310a to pressurize the basket 305. can do.

가압 돌기(310b)는 격벽(304)을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304)은 가압 돌기(310b)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돌기 삽입홀(304b)을 포함할 수 있고, 가압 돌기(310b)는 돌기 삽입홀(304b)을 관통하여 바스켓 공간(303)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 310b may pass through the partition wall 304 .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304 may include a protrusion insertion hole 304b into which the pressure protrusion 310b is inserted, and the pressure protrusion 310b penetrates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04b to the basket space 303 . At least part of it may be exposed.

가압 돌기(310b)는 경사면(305b)과 대응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의 경사면(305b)과 접촉되어 경사면(305b)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 310b may correspond to the inclined surface 305b,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05b at the second position to press the inclined surface 305b upward.

구체적으로, 저수부(200)의 저수 공간(201)에 물이 없거나 최소 수위의 물만이 있을 때 플로트(310)는 제1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로트(310)가 제1 높이에 있을 때 가압 돌기(310b)는 경사면(305b)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위치인 바스켓(305)이 물을 저수 공간(201)으로 쏟아내면 저수 공간(201)의 수위는 상승할 수 있고 플로트(310) 역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로트(310)가 상승하면서 가압 돌기(310b)는 제2 위치인 바스켓(305)의 경사면(305b)과 접촉될 수 있고 경사면(305b)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바스켓(305)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동하게 할 수 있다. 플로트(310)가 바스켓(305)을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시킨 때의 위치를 제2 높이라고 칭할 수 있다. 플로트(310)에 의하여 제1 위치로 복원된 바스켓(305)은 다시 물탱크(302)의 물을 저장하게 되고, 저수 공간(201)의 물이 식재된 식물에게 공급되어 줄어듦에 따라 플로트(310) 역시 제1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re is no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201 of the water storage unit 200 or there is only water at the minimum water level, the float 310 may be located at the first height. When the float 310 is at the first height, the pressing protrusion 310b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05b. In this state, when the basket 305, which is the second position, pours water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201 ,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space 201 may rise and the float 310 may also move upward. As the float 310 rises, the pressing protrusion 310b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05b of the basket 305, which is the second position, and press the inclined surface 305b upward to move the basket 305 from the second position. It can be rotated to 1 position. A position when the float 310 moves the basket 305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height. The basket 305 restored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float 310 again store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02, and as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201 is supplied to the planted plants and decreases, the float 310 ) can also descend to the first height.

이때, 제1 위치에서 바스켓(305)이 물탱크(302)의 물을 받기 시작하여 제2 위치에서 저수 공간(201)으로 물을 쏟아 내고 이러한 과정을 다시 반복하는 시간적 간격은 관수 주기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바스켓(305)에 담기는 물의 양이 임계량에 도달하는 주기가 관수 주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회동이 시작되는 데 필요하고 제2 위치에 도달하여 바스켓(305)에서 배출되게 되는 물의 양을 관수량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물의 관수량과 임계량은 동일 또는 유사한 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basket 305 starts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302 at the first position, pours water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201 at the second position, and repeats this process again corresponds to the irrigation cycle. can That is, the period in which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basket 305 reaches the critical amount may correspond to the irrigation period. In addition,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to start rota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discharged from the basket 305 after reaching the second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irrigation amount. That is, the irrigation amount and the critical amount of water may be the same or similar values.

사용자는 유량 조절 레버(400)를 조작하여 바스켓(305)에 담기는 물의 양이 임계량에 도달하는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즉, 유량 조절 레버(400)는 관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량 조절 레버(400)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관수 주기는 짧아질 수 있고, 유량 조절 레버(400)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관수 주기는 증가될 수 있다.The user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time required for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basket 305 to reach the critical amount by manipulating the flow control lever 400 . That is, the flow rate control lever 400 may adjust the irrigation cycle. For example, if the flow rate of the flow control lever 400 is increased, the irrigation cycle may be shortened, and if the flow rate of the flow control lever 400 is decreased, the irrigation cycle may be increased.

복수의 지지홈(305a) 중 어느 하나가 지지 돌기(304a)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지지홈(305a)에 지지 돌기(304a)가 결합되도록 바스켓(305)을 이동시키게 되면 바스켓(305)의 회전축(R)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지홈에 지지 돌기(304a)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른 지지홈에 지지 돌기(304a)가 결합되도록 바스켓(305)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바스켓(305)의 회전축(R)은 바스켓(305)을 기준으로 볼 때 기존의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좌방 또는 우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basket 305 is moved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304a is coupled to the other support groove 305a in a state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305a is coupled to the support protrusion 304a, the basket 305 The rotation axis R of the can be changed.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304a is coupled to a certain support groove, the user may move the basket 305 so that the support protrusion 304a is coupled to another support groove, and accordingly, the rotation shaft of the basket 305 (R) may be moved to the left or right relative to the existing rotation axis when viewed with respect to the basket 305 .

도면에는 3개의 지지홈(305a)인 제1,2,3 지지홈(305a-1,305a-2,305a-3)이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4개 이상의 지지홈(305a)이 바스켓(305)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R)이 변화되면 회전축(R)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P)은 경사면(305b)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305)에 담기는 물의 무게 중심이 상기 평면(P)을 기준으로 대응면(305c) 측에서 경사면(305b) 측으로 넘어가는 데 요구되는 물의 양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임계량(또는 관수량)이 변화될 수 있다.Although the drawings illustrate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grooves 305a-1, 305a-2, and 305a-3, which are three support grooves 305a, are provid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four or more support grooves are provided. A groove 305a may be formed in the basket 305 . When the rotation axis R is changed, the plane P including the rotation axis R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offset in a direction away from or closer to the inclined surface 305b. Accordingly,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sket 305 to pass from the corresponding surface 305c side to the inclined surface 305b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P may be changed. That is, the threshold amount (or irrigation amount) may be changed.

또한, 출수구(302a)에서 출수되는 물의 양이 일정할 때, 제1 지지홈(305a-1)과 지지 돌기(304a)가 결합되는 경우, 제2 지지홈(305a-2)과 지지 돌기(304a)가 결합되는 경우, 및 제3 지지홈(305a-3)과 지지 돌기(304a)가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임계량까지 물이 담기는데 걸리는 시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어떤 지지홈(305a)을 지지 돌기(304a)에 결합시키는지에 따라서 관수 주기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임계량이 달라지므로, 사용자가 복수의 지지홈(305a) 중 어느 지지홈(305a)에 지지 돌기(304a)를 결합시키는지에 따라서 관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302a is constant, when the first support groove 305a-1 and the support protrusion 304a are coupled, the second support groove 305a-2 and the support protrusion 304a ) is coupled, and when the third support groove 305a-3 and the support protrusion 304a are coupled, the time taken for water to be contained up to each critical amou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irrigation cyc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which support groove 305a the user couples to the support protrusion 304a. In addition, since the threshold amount is different, the amount of watering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which support groove (305a) the user couples the support protrusion (304a)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305a).

예를 들어, 경사면(304b)에 인접한 순으로 제1 지지홈(305a-1), 제2 지지홈(305a-2), 및 제3 지지홈(305a-3)이라고 칭할 수 있고, 제1 지지홈(305a-1)에 지지 돌기(304a)를 결합시킬 때의 물의 임계량은 제2 지지홈(305a-2)에 지지 돌기(304a)를 결합시킬 때의 물의 임계량보다 클 수 있다. 제2 지지홈(305a-2)에 지지 돌기(304a)를 결합시킬 때의 물의 임계량은 제3 지지홈(305a-3)에 지지 돌기(304a)를 결합시킬 때의 물의 임계량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스켓(305)의 형태에 따라서 물의 임계량은 제3 지지홈(305a-3), 제2 지지홈(305a-2), 제1 지지홈(305a-1) 순으로 감소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order adjacent to the inclined surface 304b, the first support groove 305a-1, the second support groove 305a-2, and the third support groove 305a-3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upport grooves. The critical amount of water when coupling the support protrusion 304a to the groove 305a-1 may be greater than the critical amount of water when coupling the support protrusion 304a to the second support groove 305a-2. The critical amount of water when coupling the support protrusion 304a to the second support groove 305a-2 may be greater than the critical amount of water when coupling the support protrusion 304a to the third support groove 305a-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itical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sket 305 is in the order of the third support groove 305a-3, the second support groove 305a-2, and the first support groove 305a-1.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사용자는 유량 조절 레버(400) 조작 및/또는 지지홈(305a)의 선택을 통해 식재되는 식물에 맞는 관수 주기 및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고, 급수부(300)는 설정된 관수 주기 및 관수량에 기반하여 저수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adjust the irrigation cycle and irrigation amount suitable for the plant to be plan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lever 400 and/or the selection of the support groove 305a, and the water supply unit 300 sets the irrigation cycle and pip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200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1)은 식재 공간(101)의 상태에 따라 관수 주기를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사용자의 원격 입력에 기반하여 관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lowerp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change the irrigation cycl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lanting space 101 or may change the irrigation cycle based on a user's remote inpu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 및/또는 저장 장치(5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20)와 저장 장치(53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age tank integrated plant pot control device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510 , a memory 520 , and a storage device 530 . Here, the processor 5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520 and/or the storage device 530 . The processor 5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memory 520 and the storage device 530 may be configured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or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520 may be configured as a read only memory (ROM) and/or a random access memory (RAM).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화분(1)의 일 영역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을 통해 미리 연동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be mounted on one area of the pot 1 . For example, the water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to/from a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또는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하거나 연동되어 있을 수 있으며, 습도 센싱 모듈은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습도 센싱 모듈은 식재 공간(101) 내부에 위치하여 식재 공간(101) 내부의 습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습도 센싱 모듈을 통해 획득한 습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or be linked to at least one humidity sensing module, and the humidity sensing module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Here, the humidity sensing module may be located inside the planting space 101 to acquire humidity information inside the planting space 101 . For example, the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provide the humidit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umidity sensing module to the user terminal.

또는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물탱크(302)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계측 모듈을 더 포함하거나 연동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계측 모듈은 계측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측 센서는 통상의 잔여량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측 모듈은 물탱크(302) 내부에 위치하여 물탱크(302)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계측 센서의 다양한 계측 방법에 따라 물탱크(302) 외부에 위치하여 물의 잔여량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계측 모듈을 통해 획득한 잔여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or be linked with at least one measurement module capable of sensing information on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2 , and the measurement module includes a measurement sensor. may include Here, the measurement sensor may include sensors of various techniques capable of sensing a typical residual amount. Here, the measurement module is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302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2 , but it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tank 302 according to various measurement methods of the measurement senso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may be obtained. For example, the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provide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to the user terminal.

또는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유량 조절 밸브(400)를 제어하여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거나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밸브 제어 모듈은 유량 조절 밸브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5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밸브 제어 모듈을 통해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관수 주기의 변경에 관한 제어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the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or be linked to a valve control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control valve 400 . Here, the valv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valve. For example, the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500 may obtain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through the valve control modul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Here, 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dicate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nge of the irrigation cy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습도 센싱 모듈을 통해 획득한 습도 정보 및 상기 계측 모듈을 통해 획득한 잔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습도 정보 및 상기 잔여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510)는 습도 정보를 기반으로 식재 공간의 습도를 판단할 수 있고, 식재 공간의 습도가 낮은 경우, 출수량을 늘리도록 상기 밸브 조절 모듈을 통해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잔여량 정보를 기반으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고, 잔여량이 적은 경우, 출수량을 줄이도록 상기 밸브 조절 모듈을 통해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The memory 520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510 .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ed to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at least one of humidit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umidity sensing module and residual amou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It may be executed to provide the humidity information and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processor 510 may determine the humidity of the planting space based on the humidity information, and when the humidity of the planting space is low, the processor 510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through the valve control module to increase the water output. Or, for example, the processor 510 may determine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ased on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when the remaining amount is small, the processor 510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through the valve control module to reduce the water outflow. have.

또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실행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510)는 습도 정보 및 잔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출수량에 연관된 관수 주기를 조절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수 주기의 변경에 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자동으로 조절한 관수 주기에 우선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제어 정보에 따른 관수 주기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ntrol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at least one command may be executed to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That is, the processor 510 may automatically adjust the irrigation period related to the water output amou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humidity information and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Prior to the irrigation cycle, the irrigation cycl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습도 정보 및 잔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출수량에 연관된 관수 주기가 조절되는 경우, 프로세서(510)는 출수량 결정 모델을 이용하여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510)는 출수량 결정 모델을 미리 학습할 수 있으며, 미리 학습한 출수량 결정 모델을 기반으로 습도 정보로부터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rrigation cycle related to the water output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humidity information and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the processor 510 may determine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using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That is, the processor 510 may learn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in advance, and may derive information on the flow rate of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humidity information based on the previously learned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여기서, 출수량 결정 모델은 학습용 습도 정보 및 학습용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학습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여 머신 러닝을 통해 미리 학습될 수 있으며, 머신 러닝에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는 DNN(deep neural network) 알고리즘, 합성곱 신경망(CNN, Convoul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알고리즘,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알고리즘 또는 심층 신뢰 신경망(DBN, Deep Belief Network)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알고리즘들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may be learned in advance through machine learning by configuring the humidity information for learning and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water to be discharged for learning as a learning data set, and various algorithms may be utilized for machine learning. For exampl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clude a deep neural network (DNN) algorithm,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lgorithm,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lgorithm, and a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algorithm. Alternatively, a Deep Belief Network (DBN) algorithm may be used, but various other algorithms may be used. Since each algorithm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예를 들어, 출수량 결정 모델은 복수 개의 출수량 결정 모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 및 식물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구분되어 별도로 학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프로세서(510)는 출수량 결정 모델들 중 상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식물의 종류 정보를 기반으로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출수량 결정 모델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식물의 종류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 또는 설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s, and may be separately lear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space in which a plant is planted and a plant typ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rocessors 510 may determine a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for deriving flow rate information of water to be watered based on information on a space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plant among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s, , information on the space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and the type information of the plant may be obtained or set through a user terminal.

나아가, 프로세서(510)는 잔여량 정보에 따른 잔여량이 임계 잔여량 이상인 경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을 고려하지 않고, 습도 정보만을 이용하여 관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프로세서(510)는 출수량 결정 모델을 통해 도출한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510)는 잔여량 정보에 따른 잔여량이 임계 잔여량 미만인 경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을 습도 정보와 함께 고려하여 관수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이 없어지는 시점을 최대한 늦추어 사용자가 물탱크에 물을 다시 채워넣을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10)는 출수량 결정 모델을 통해 도출한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 및 잔여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량 정보에 따른 잔여량이 임계 잔여량 미만인 경우, 잔여량이 적어질수록 도출된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에 따른 출수량을 줄일 수 있다. 또는 관수 주기를 늘릴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residual amount, the processor 510 may adjust the irrigation cycle using only the humidity inform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at is, in this case, the processor 510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derived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However, when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threshold residual amount, the processor 510 may adjust the irrigation cycle by considering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gether with the humidity information. This may be to delay a point in time when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disappears as much as possible to secure time for the user to refill the water tank with water. In this case, the processor 510 may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flow rate information and residual amount information of water to be discharged derived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For example, when the residual amount according to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is less than a threshold residual amount, as the residual amount decreases, the water extra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erived flow rate information of water to be discharged may be reduced. Alternatively, the irrigation cycle can be increase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program or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programs or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process, function, etc.)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function. A module may be stored in a memory and executed by a processor. The memory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processor, and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by various well-known mean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and flash memory.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some aspec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n apparatus, it may also represent a description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method, wherein a block or apparatus corresponds to a method step or feature of a method step. Similarly, aspect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method may also represent a corresponding block or item or a corresponding device feature. Some or all of the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or using) a hardware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a programmable computer, or an electronic circuit. 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 steps may be performed by such an apparatus.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mbodiments, a programmable logic device (eg,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be us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embodiments, the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microprocessor to perform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general, the methods are preferably performed by some hardware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 화분
100; 식재부
200; 저수부
300; 급수부
302; 물탱크
305; 바스켓
310; 플로트
One; pot
100; planting department
200; reservoir
300; water supply
302; water tank
305; basket
310; pontoon

Claims (6)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심지를 매개로 상기 식재부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및
상기 저수부와 연통되어 상기 저수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바닥에 출수구가 형성되는 물탱크;
상기 출수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출수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받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으로서,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로 쏟아내는 바스켓; 및
상기 저수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플로트로서, 상기 저수부에 물이 공급되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스켓의 물이 상기 저수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바스켓을 상기 일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출수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저장하고 제2 위치에서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로 쏟아내고,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바스켓에 저장된 물이 일정량을 초과할 때 상기 바스켓은 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바스켓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이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저수부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상기 바스켓이 수용되는 바스켓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바스켓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홈으로서, 복수의 지지홈 각각은 상기 지지 돌기에 분리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복수의 지지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때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바스켓의 회전이 시작되는 상기 바스켓의 물의 양과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홈과 다른 지지홈에 결합된 때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바스켓의 회전이 시작되는 상기 바스켓의 물의 양은 서로 다른 화분.
a planting unit forming a spac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under the planting part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lanting part through a wick; and
and a water supply uni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unit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tank having a water outlet formed at the bottom;
a flow rat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 basket rotatable about a rotating shaft and provided to receive and stor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wherein the baske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pour stored water into the water storage unit; and
As a float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reservoir, it moves upward and moves the baske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so that water in the basket is not supplied to the reservoir. Including; float to rotate;
The basket stores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t the first position and pours the stored water into the water storage unit at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basket in the first position exceeds a certain amount, the basket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water,
The baske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lane including the rotation shaft,
the water supply
a partition wall forming a basket space in which the basket is accommodated between the water storage unit and the water tank;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to form a rotation shaft of the basket;
The basket is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and arrang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that are detachably and rotatably selectively coupled to the support protrusion,
When the support protrusion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the amount of water in the basket at which rotation of the baske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tarts, and the support protrusion is determined by the one of the support grooves The amount of water in the basket at which rotation of the baske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tarts when it is coupled to the different support groov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상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 내부에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싱 모듈;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을 센싱하는 계측 모듈; 및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저수조 일체형 화분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습도 센싱 모듈을 통해 획득한 습도 정보 및 상기 계측 모듈을 통해 획득한 잔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실행되고,
상기 습도 정보 및 상기 잔여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실행되는 화분.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humidity sensing module for sensing humidity in the space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a measurement module for sensing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Further comprising a water storage tank-integrated potted plant control device including a valv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control valve,
The at least one command is
It is executed to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at least one of humidit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umidity sensing module and residual amoun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is executed to provide the humidity information and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When control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flowerpot is executed to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water discharged.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출수량 결정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습도 정보로부터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도출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잔여량 정보에 따른 물의 잔여량이 임계 잔여량 이상인 경우, 상기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잔여량 정보에 따른 물의 잔여량이 상기 임계 잔여량 미만인 경우, 상기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 및 상기 잔여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출수량 결정 모델은 복수의 출수량 결정 모델들 중 상기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식물의 종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출수량 결정 모델은 학습용 습도 정보 및 학습용 출수되어야 하는 물의 유량 정보를 학습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여 머신 러닝을 통해 미리 학습되는 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t least one command is
It is executed to derive flow rate information of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humidity information based on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When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residual amount, it is executed to contro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based on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When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threshold residual amount, the flow rate control valve is controlled based on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and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space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plant among a plurality of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s,
The water extraction amount determination model is a potted plant that is pre-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by configuring the learning data set with humidity information for learning and information on the flow rate of water to be discharged for learning.
KR1020210052472A 2021-04-22 2021-04-22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KR102304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72A KR102304944B1 (en) 2021-04-22 2021-04-22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KR1020210123240A KR102590695B1 (en) 2021-04-22 2021-09-15 Flower pot with water reservoir including a watering control module detachably provi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72A KR102304944B1 (en) 2021-04-22 2021-04-22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40A Division KR102590695B1 (en) 2021-04-22 2021-09-15 Flower pot with water reservoir including a watering control module detachably provid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944B1 true KR102304944B1 (en) 2021-09-24

Family

ID=77914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72A KR102304944B1 (en) 2021-04-22 2021-04-22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KR1020210123240A KR102590695B1 (en) 2021-04-22 2021-09-15 Flower pot with water reservoir including a watering control module detachably provide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240A KR102590695B1 (en) 2021-04-22 2021-09-15 Flower pot with water reservoir including a watering control module detachably provid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494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767B1 (en) * 1994-08-08 2002-12-11 가부시키가이샤 야마젠가나가타 Potted watering device
KR20120082753A (en) * 2011-01-14 2012-07-24 손용만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for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190066273A (en)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이지움 Method of operation of reactive smart pot and reactive smart pot
KR20200105763A (en) * 2020-08-21 2020-09-09 김다정 Plant Care System Aplicable to Various Types of Poted Pla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767B1 (en) * 1994-08-08 2002-12-11 가부시키가이샤 야마젠가나가타 Potted watering device
KR20120082753A (en) * 2011-01-14 2012-07-24 손용만 Fertigation apparatus operatable without power for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190066273A (en)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이지움 Method of operation of reactive smart pot and reactive smart pot
KR20200105763A (en) * 2020-08-21 2020-09-09 김다정 Plant Care System Aplicable to Various Types of Poted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38A (en) 2022-10-31
KR102590695B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658B1 (en) Flower pot
US20100064581A1 (en) Automated plant support system
JP2009045015A (en) Planting container
KR101677675B1 (en) Decorative flowerpot for water automatic supply
KR102304944B1 (en) Flower pot having water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KR102079443B1 (en) Irrigation management appratus using pressure difference
US9681613B2 (en) Water-level indicator and wide-mouth re-fill apparatus for sub-irrigated, containerized plants that attaches to a plant's growpot
EP3637985A1 (en) Bed seed holder for grow pod
KR20210099742A (en) Hydroponics cultivation device for home use have aquarium
KR101638289B1 (en) Automatic moisture control type convertible flowerpot being capable of vitalizing plants
KR20130137918A (en) Pot
KR102203079B1 (en) Multistage automatic plant cultivating equipment
KR102303717B1 (en) Automatic watersupply device for flowerpot
DK2529616T3 (en) Flowerpot Interior
KR200368043Y1 (en) Multi tray for supporting flowerpot
JP2010279340A (en) Watering refilling vessel
KR20100006301U (en) Apparatus for auto feeding water of a flowerpot
KR102403332B1 (en) Fish tank and pot planting device with adjustable water level
JP2005102665A (en) Double planting pot
KR102109776B1 (en) Water supply device and flower pot with the same
KR102406445B1 (en)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JP2000023580A (en) Watering device and planting pot equipped therewith
JP3542855B2 (en) Automatic irrigation basin
JP6705795B2 (en) Cultivation device and cultivation system
KR20060060421A (en) A water gauge having watertank flower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