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455B1 - Movable toilet - Google Patents

Movable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455B1
KR102304455B1 KR1020190095734A KR20190095734A KR102304455B1 KR 102304455 B1 KR102304455 B1 KR 102304455B1 KR 1020190095734 A KR1020190095734 A KR 1020190095734A KR 20190095734 A KR20190095734 A KR 20190095734A KR 102304455 B1 KR102304455 B1 KR 10230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manure
toilet
manure stora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3971A (en
Inventor
김병문
Original Assignee
진영하우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15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0273B1/en
Application filed by 진영하우징(주) filed Critical 진영하우징(주)
Priority to KR102019009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7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 탱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분노 저장 탱크의 내측 테두리 영역에 히팅 파이프를 설치하여 분뇨가 일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분뇨가 굳는 것을 방지하여, 분뇨가 저장 탱크 내부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여 분뇨 저장 탱크의 사용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분뇨 이동은 가능하되, 급격한 이동을 막을 수 있는 칸막이를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한 간이화징실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oilet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side a manure tank, and by installing a heating pipe in the inner edge area of the anger storage tank to control the manur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to prevent the manure from solidifying, I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use of the excreta storage tank by spreading evenly inside the storage tank.

Description

간이 화장실{MOVABLE TOILET}Simple toilet {MOVABLE TOILET}

본 발명은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열선을 장착하여 동절기에도 분뇨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toilet for preventing excrement from freezing even in winter by installing a heating wire therein.

일반적으로 간이 화장실은 야외에 설치되는데, 야외에 설치되더라도 수도 시설이 좋은 곳에서는 수도사업소에서 공급되는 직수관을 연결하여 수세식 화장실을 설치할 수 있다. In general, a simple toilet is installed outdoors. Even if it is installed outdoors, a flush toilet can be installed by connecting a direct water pipe supplied from a water service office in a place with good water facilities.

하지만, 수도 시설이 열악한 곳에서는 물탱크를 배치하고 물 사용량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선택한다. 이러한 간이 화장실은 분뇨 저장 탱크가 지상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상부에 화장실 본체가 설치되기 때문에 악취를 비롯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유발된다.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However, in places with poor water supply, a method of placing water tanks and reducing water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is chosen. In this simple toilet, various problems, including odor, are caused because the manure storage tank is fixed to the ground floor, and the toilet body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Various methods are being studied as a method for removing odors.

하지만, 대부분 이러한 간이 화장실에서는 악취 제거에 대한 많은 특허가 공개되어 있으나 동절기 분뇨가 결빙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However, in most of these simple toilets, many patents for removing odors have been published, but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of freezing of manure in winter are insufficient.

동절기 동파 방지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대부분 수세식 화장실에서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한정되어 있다. Various techniques for preventing freezing in winter are known, but these are mostly limited to techniques for preventing freezing of water pipes in flush toilets.

하지만, 겨울철에 분뇨가 결빙되는 경우에는 수도관이 동파되는 것 이상으로 여러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manure is frozen in winter, it may cause various problems beyond freezing of the water pipe.

예를 들어, 겨울철에 날씨가 추워지는 경우에는 분뇨가 결빙되거나 딱딱해져 분뇨 덩어리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 한곳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분뇨 저장 탱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뇨가 변기까지 닿을 수 있다. 또한, 분뇨 수거용 차로 분뇨를 수거할 때에도 잘 수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eather becomes cold in winter, the manure freezes or becomes hard, so that the manure lump does not move and is fixed and is accumulated in one place. In this case, even when the manure storage tank is not sufficiently filled, manure can reach the toilet bowl.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well collected even when the excrement is collected by a car for excreta colle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16513,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공고일 :2014.07.0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16513, Mobile toilet with freeze protection function, Announcement date: 2014.07.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03405, 이동식 화장실의 오수배관 결빙 방지 장치. 공고일 : 2018.10.0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03405, a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sewage pipes in a mobile toilet. Announcement Date: 2018.10.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절기에도 분뇨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toilet capable of maintaining the manur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even in winter.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뇨의 온도를 적정하게 관리하여 간이 화장실의 사용 효율을 높이면서 동시에 분뇨 제거를 쉽게 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toilet capable of easily removing the excrement while increasing the use efficiency of the simple toilet by appropriately managing the temperature of the excrement.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장실은 소변기 및 양변기가 배치된 화장실 본체; 및 상기 화장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는, 분뇨 저장 탱크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격자형 프레임;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인출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벽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제1 지지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면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인출관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인출관에 형성된 두개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배치되어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열선이 삽입된 히팅 파이프; 상기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인출관 측 열선에 부착되어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열선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제1 온도센서가 하한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히팅 파이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팅 파이프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박스는 상기 제2 온도센서가 상한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고, 양쪽 측벽,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 및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body in which a urinal and a toilet are disposed; and a manure storage tank disposed under the toilet body to store the manure discharged from the urinal and the toilet, wherein the manure storage tank is formed above the manure storage tank to support the load of the urinal and the toilet. A plurality of lattice-type frames supported by support pillars to be able to; an outlet pip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grid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two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heating pipe can pass; a plurality of first supports protruding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end through which the heating pipe can pass; A second protrusio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nure storage tank,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ting pipe can pass is formed at the end,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withdrawal pipe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support. support fixture; a heating pipe which is disposed while passing through two through-holes formed in the withdrawal pipe and passed through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is disposed in the inner edge area of the excreta storage tank, and has a heating wire inserted therein;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side the manure storage tank to sen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outgoing tube-side hot wire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ire. It includes a cut-off unit for cutting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heating wire, and the toilet body includes a controller box for controlling the heating pipe to be he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heating pipe whe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falls below a lower limit set temperature And, the controller box blocks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by controlling the cut-off unit wh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rises above the upper limit set temperature, and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manure storage tan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 walls , The bottom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spaced apart from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tition attach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upport colum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는 30℃이고,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limit set temperature is 30 ℃, the upper limit set temper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6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의 관통공은 바닥으로부터 1/3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pport is formed at a height of 1/3 from the floor.

본 발명에 의하면, 동절기에도 분뇨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anur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even in wint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뇨 저장 탱크의 분뇨가 한곳에 뭉치지 않고 골고루 퍼지게 하여 분뇨 저장 탱크의 공간을 십분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lly utilize the space of the manure storage tank by dispersing the manure in the manure storage tank evenly without clumping in one pl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겨울철에도 오수차를 이용하여 분뇨를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manure even in winter using the sewage whe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저장 탱크의 모서리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front view of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lan view of the excrement storage tank of the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crement storage tank of the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mperature contro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corner portion of the manure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온도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Figure 1 shows a front view of a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lan view of the excrement storage tank of the simpl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crement storage tank of the simple toilet,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장실은 소변기 및 양변기가 배치된 화장실 본체(100)와 상기 화장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탱크(200)로 구성된다. The simp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oilet body 100 in which a urinal and a toilet are disposed, and a manure storage tank 200 disposed under the toilet body to store excrement discharged from the urinal and toilet.

상기 화장실 본체(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남자 화장실과 여자 화장실로 구분되고, 소변기(110) 및 양변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열선의 온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박스(130)가 화장실 본체(100)의 내벽면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는 여자 화장실의 측벽에 부착되어 있으나, 남자 화장실 측벽에 부착될 수도 있다. The toilet body 100 is a part used by a user, and is generally divided into a men's toilet and a women's toilet, and a urinal 110 and a toilet 120 are installed. And a controller box 13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oilet body 100 . Although it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women's restroom in the embodiment, it may be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men's restroom.

상기 분뇨 저장 탱크(200)는 화장실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격자형 프레임(210), 격자형 프레임에 부착되어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인출관(220),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부착되어 히팅 파이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대(230),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에 타원형으로 설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를 가열하는 히팅 파이프(240), 및 상기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제 1 온도센서(280)를 포함한다. The manure storage tank 200 includes a grid frame 210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toilet body, an outlet pipe 220 attached to the grid frame and having two through-holes through which a heating pipe can pass, the manure storage tank A first support 230 that is protruded and attached to the inner wall at regular intervals to support a heating pipe, a heating pipe 240 installed in an oval shape inside the manure storage tank to heat the manure storage tank, and the manure storage tank It is disposed inside and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280 for sen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nure storage tank.

상기 분뇨 저장 탱크(20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있다. 그리고 상부의 화장실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금속 재질로 된 다수의 프레임(210)이 분뇨 저장 탱크의 상부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자형 프레임(210)은 지지기둥(212)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기둥(212)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210)이 교차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격자형 프레임(210)의 격자 모양은 상부의 화장실 본체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양변기의 위치를 고려해서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지점을 위주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anure storage tank 2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upper part is open. And sinc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toilet body 100, a plurality of frames 210 made of a metal material are formed in a grid shape on the upper part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the grid frame 2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llar 212 . The support pillar 212 may be formed under a portion where the frame 210 intersects as shown in FIG. 3 . The grid shape of the grid frame 21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toilet body.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oilet, the frame can be formed mainly at the point where a large amount of load is applied.

상기 인출관(220)은 격자형 프레임(200)이 일측면에 세로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세로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이고 가로 방향은 지면과 수평 방향이다. 상기 인출관(210)에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개의 관통공 사이로 히팅 파이프가 삽입된다. 즉, 분뇨 저장 탱크에 설치된 히팅 파이프(240)는 인출관(230)을 통해 화장실 본체(100)로 나와 컨트롤러 박스(130)로 연결된다. The lead pipe 220 is vertical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rid-type frame 200 . In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direction is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 horizontal direction is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Two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outlet pipe 210, and a heating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two through-holes. That is, the heating pipe 240 installed in the manure storage tank comes out of the toilet body 100 through the outlet pipe 230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ox 130 .

상기 제1 지지대(230)는 분뇨 저장 탱크(200)의 내측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말단에는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히팅 파이프가 저장 탱크의 바닥에 배치되면 발생되는 열이 뺏겨 열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1 지지대(230)를 통해 히팅 파이프를 분뇨 저장 탱크(230)의 중간 높이 보다 조금 낮은 높이, 대략 바닥으로 부터 1/3 정도로 떠 있도록 한다. 분뇨 저장 탱크 내에 분뇨가 꽉 채워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히팅 파이프를 높이를 대략 바닥으로부터 1/3 정도 되는 높이로 설치함으로써 분뇨를 골고루 히팅 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230 is attached to the protrus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nure storage tank (200).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ting pipe can pass is formed at the end. When the heating pipe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the heat generated is taken away and the thermal efficiency is lowered, so the heating pipe is moved through the first support 230 at a height slightly lower than the middle height of the manure storage tank 230, approximately 1 from the floor. Make it float around /3. Since it is rare that the manure storage tank is completely filled with manure, the manure can be heated evenly by installing the heating pipe at a height of about 1/3 from the floor.

상기 히팅 파이프(240)는 상기 제 1 지지대(230)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바닥면으로 높이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고, 거의 타원형 모양을 형성한다. 그리고 분뇨 저장 탱크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히팅 파이프는 인출관을 통해 화장실 본체(100)로 배출된다. The heating pipe 2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pport 230 and installed at a constant height to the bottom surface, and forms an almost elliptical shape. And the heating pipe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xcrement storage tank is discharged to the toilet body 100 through the outlet pipe.

이때 인출관(220)은 분뇨 저장 탱크(200)의 거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대(230)와 인출관(220) 사이의 어느 정도 거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대(230)와 인출관(220) 사이에 제2 지지대(235)를 설치하여 히팅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대(23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withdrawal pipe 220 is install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area of the manure storage tank 200 ,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230 and the withdrawal pipe 220 is formed. Therefore, by installing the second support 235 between the first support 230 and the outgoing pipe 220,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support the heating pipe.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235 may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그리고 상기 히팅 파이프는 엑셀관이 사용될 수 있고, 히팅 파이프 내부에는 열선이 삽입되고, 부동액이 충진될 수 있다. 열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부동액이 필요없으나 오동작이나 고장 등으로 인해 열선이 작동하지 않을 때를 대비해서 부동액을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동액을 충진하게 되면 열선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엑셀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d the heating pipe may be an excel tube, a heating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ing pipe, and antifreeze may be filled. Antifreeze is not required when the heating wire is operating normally, but it is desirable to fill it with antifreeze in case the heating wire does not work due to a malfunction or breakdown. If the antifreeze is fi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el tube from freezing even when the heating wire does not work.

그리고 상기 제1 온도 센서(280)는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한다. 제1 온도 센서(280)는 분뇨 저장 탱크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므로 도 2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으며, 도 4의 블럭도로만 나타내었다. 다만, 컨트롤러 박스(130)와의 거리를 고려하면 인출관(220)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80 is disposed inside the manure storage tank to sen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nure storage tank.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80 is not shown in FIG. 2 because it may be installed anywhere in the manure storage tank, and is only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However, considering the distance from the controller box 13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pipe 220.

상기 컨트롤러 박스(130)는 상기 제1 온도센서가 하한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이를 감지하여 히팅 파이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팅 파이프를 가열하도록 제어한다. 컨트롤러 박스(130)는 열선의 온도가 30℃에서 60℃의 범위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box 130 detects whe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falls below a lower limit set temperature and applies power to the heating pipe to control the heating pipe to be heated. The controller box 130 is preferably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is in the range of 30°C to 60°C.

본 발명은 분뇨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분뇨가 굳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가열해 분뇨가 한곳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뇨가 특정 부분에 쌓이게 되면 분뇨 저장 탱크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뇨 수거 시에도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열선의 온도를 결빙 방지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the manure from freezing, but also prevents the manure from accumulating in one place by heating it to a temperature that does not solidify the manure. When the manure is accumulated in a specific part, the space of the manure storage tank cannot be sufficiently utilized, and there are various problems during the collection of the manure.

열선의 온도가 일정 범위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열선의 온도가 과열되는 경우에는 화제의 위험 등이 있으므로 열선에 제2 온도센서를 배치해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한 온도 범위 이상으로 올라 갈 경우, 차단기를 통해 열선으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It is desirable to operat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within a certain range, but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is overheated, there is a risk of a fi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heating wire through the breaker.

도 4를 참조하여 온도 제어 관련 구성을 살펴보면, 온도 제어 관련 구성으로는 제1 온도센서(280), 제2 온도 센서(282) 및 컨트롤러 박스(13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박스(130)는 차단부(132)와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emperature control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emperature control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280 , a second temperature sensor 282 , and a controller box 130 , and the controller box 130 is It includes a blocking unit 132 and a control unit 134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온도 센서(280)가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면, 제어부(134)로 감지 온도가 전달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어부는 히팅 파이프 내의 열선에 전기를 공급한다. Whe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280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nure storage tank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etected temperatur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4, and when the sensed temperature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is a heating wire in the heating pipe supply electricity to

이러한 방법으로 분뇨 저장 탱크 내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히팅 파이프가 가열되면서 분뇨 저장 탱크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히팅 파이프가 계속 동작되면서 과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제2 온도센서가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열선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단순히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차단부(132)를 구성하여 열선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In this way, when the temperature in the manure storage tank falls below a certain temperature, the heating pipe is hea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the manure storage tank. Overheating may occur while the heating pipe continues to operate. In this case,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and when the sensed temperature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wire is cut off. At this time, instead of simply turning on/off the switch to cut off the power, a separate cut-off unit 132 is configured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wire.

예를 들어, 열선의 온도가 30℃ 내지 60℃ 가 되도록 설정을 해 놓는 경우, 분뇨 탱크 내부의 온도가 30℃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제어부(134)가 열선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분뇨 탱크 내부가 가열된다. 이때 제어부는 계속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타이머 기능을 추가하여 일정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계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열선이 과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열선의 온도가 60℃ 를 넘는 경우 제어부(134)는 차단부(132)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과열 이외에서 합선이나 단선 등의 경우에도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is set to be 30°C to 60°C,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nure tank falls below 30°C, the control unit 134 applies power to the heating wire to heat the inside of the manure tank. do.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not continuously apply power, but may add a timer function to periodically operat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is is because if power is continuously applied, the heating wire may overheat.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exceeds 60° C., the control unit 134 operates the cut-off unit 132 to cut off the power. In addition, the cut-off unit may cut off the power supply in case of short circuit or disconnection other than overheating.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뇨 저장 탱크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k In the same way as above, the temperature in the manure storage tank can be kept constant. k

다음으로, 분뇨 저장 탱크에는 칸막이(2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Next, a partition 25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manure storage tank.

간이 화장실은 한 번 설치된 후에 계속적으로 한 곳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 사용 후 철거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세척을 위해 이동되는 경우도 있다. 이동시 간이 화장실이 기울어지거나 하게 되면, 분뇨 저장 탱크 내의 분뇨가 한꺼번에 한쪽으로 몰리는 경우 이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칸막이(250)를 추가하여 급격한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Simple toilets are not permanently fixed in one place after being installed, but may be removed after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ved for cleaning. If the toilet is tilted during movement, if the manure in the manure storage tank is gathered to one side at once, there may be a problem in movement.

상기 칸막이(250)는 양쪽 측벽,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 및 프레임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 급격한 쏠림 현상은 방지하지만, 분뇨의 이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칸막이는 두 개의 지지기둥(212)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partition 25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sidewalls, the bottom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the frame to prevent a sudden shifting phenomenon, but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movement of the manure. The partition may be attached between the two support posts 212 .

다음으로, 분뇨 저장 탱크(200)의 외부 형상을 살펴보면, 분뇨 저장 탱크(200)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외부 프레임(201)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에는 화장실 본체의 전열기구와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는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스듬히 형성함으로써 공간 확보에 유리한다. 에어컨 냉각수가 분뇨 저장 탱크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결구를 통해 냉각수를 빼내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외부 프레임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looking at the external shape of the manure storage tank 200, the outer frame 201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manure storage tank 200 may be formed. Various configurations for connection with the electric heater of the toilet body may be added to the outer frame, for example, a connector 202 for connecting a discharge hose for discharging water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may be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or is inclined inwardly.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space by forming it at an angle. It is important to drain the cooling water through the connector, as corrosion may occur if the cooling water of the air conditioner enters the inside of the manure storage tank. The outer frame is preferably formed only on the upper portion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200)의 일측면에는 투명창(260)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분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And a transparent window 2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nure storage tank 200, so that the state of the manure inside can be checked.

다른 일측면에는 배출구(265)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265)를 통해 분뇨가 배출될 수 있으며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n outlet 26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Manur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65 and may facilitate cleaning.

또한, 분뇨 저장 탱크(20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레일홀(270)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rail hole 27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nure storage tank 200 to be transported by a forklift or the like.

이외에도 화장실 입출입을 위한 계단 등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생략하였다. In addition, stairs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toilet may be installed, but this has been omitted.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 파이프(240)를 분뇨 탱크 내부의 가장 자리를 따라 타원형으로 설치하여, 히팅 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열이 분뇨 탱크 내부로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pipe 240 is installed in an oval shape along the inner edge of the manure tank,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pipe can spread evenly into the manure tank, and thus the internal temperature is kept constant. can keep it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 화장실 본체 130 : 컨트롤러 박스
200 : 분뇨 저장 탱크 210 : 프레임
220 : 인출관 230 : 제1 지지대
240 : 히팅 파이프 250 : 칸막이
100: toilet body 130: controller box
200: manure storage tank 210: frame
220: withdrawal pipe 230: first support
240: heating pipe 250: partition

Claims (3)

소변기 및 양변기가 배치된 화장실 본체; 및
상기 화장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간이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뇨 저장 탱크는,
분뇨 저장 탱크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격자형 프레임;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인출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벽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제1 지지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면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인출관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인출관에 형성된 두개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배치되어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열선이 삽입된 히팅 파이프;
상기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온도센서가 하한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히팅 파이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팅 파이프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고, 양쪽 측벽,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 및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장실.
a toilet body in which a urinal and a toilet are disposed; and
In the simple toilet including a manure storage tank disposed under the toilet body to store the manure discharged from the urinal and the toilet,
The manure storage tank,
a plurality of lattice-type frames formed on the top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supported by support columns to support the load of the urinal and toilet;
an outlet pipe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grid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two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heating pipe can pass;
a plurality of first supports protruding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end through which the heating pipe can pass;
A second protrusio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nure storage tank,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ting pipe can pass is formed at the end,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withdrawal pipe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support. support fixture;
A heating pipe which is disposed while passing through two through-holes formed in the outlet pipe and passed through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is disposed in the inner edge area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has a heating wire inserted therein;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side the manure storage tank to sen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nure storage tank; and
The toilet body includes a controller box for controlling to heat the heating pipe by applying power to the heating pipe when the temperature sensor falls below a lower limit set temperature,
The interior space of the excrement storage tank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side walls, the bottom of the excrement storage tank, and a partition spaced from the frame and attach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upport pill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관통공은 바닥으로부터 1/3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장실.

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pport is a simpl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height of 1/3 from the floor.

KR1020190095734A 2018-12-14 2019-08-06 Movable toilet KR102304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34A KR102304455B1 (en) 2018-12-14 2019-08-06 Movable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84A KR102010273B1 (en) 2018-12-14 2018-12-14 Movable toilet
KR1020190095734A KR102304455B1 (en) 2018-12-14 2019-08-06 Movable toile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84A Division KR102010273B1 (en) 2018-12-14 2018-12-14 Movable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71A KR20200073971A (en) 2020-06-24
KR102304455B1 true KR102304455B1 (en) 2021-09-23

Family

ID=7140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734A KR102304455B1 (en) 2018-12-14 2019-08-06 Movable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5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27B1 (en) 2017-11-29 2018-08-2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Mobile lavatory equipped with freeze protection means for piping
KR101903405B1 (en) 2018-03-29 2018-10-02 (주)신유건영 Freezing preventing apparatus for movable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834B1 (en) * 1996-10-31 1998-10-15 양재신 Anti-freezing device of a toilet installed in vehicles
KR101285011B1 (en) * 2011-12-06 2013-07-10 강평호 A structure for gas charging
KR101416513B1 (en) 2013-01-17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엠비테크놀로지 The frost protection for portable toile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27B1 (en) 2017-11-29 2018-08-2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Mobile lavatory equipped with freeze protection means for piping
KR101903405B1 (en) 2018-03-29 2018-10-02 (주)신유건영 Freezing preventing apparatus for movable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71A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1433A2 (en) Rain water harvesting by means of linear elevated tanks
JP2009511777A (en) Sewag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206030B1 (en) Insulating cover for water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KR102304455B1 (en) Movable toilet
KR101287925B1 (en) Automatic water supply for stall
US20150007601A1 (en) Cooling system for a building with low energy consumption
JP4421671B1 (en) Geothermal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heat supply system
US9567740B2 (en) Catch basin grate
KR102010273B1 (en) Movable toilet
CN207597522U (en) Cleaning system without treatment
KR101416513B1 (en) The frost protection for portable toilets
KR100868510B1 (en) Heating apparatus of catch pit
KR20140110310A (en) electric heating plate for antifreeze
KR100974808B1 (en) Water tank for stall
KR101169604B1 (en) Toilet bowl having an anti-freezing device
EP3199019A1 (en) System for vegetation on roofs
RU2158809C1 (en) Rain-water goods with electric heating
KR100431160B1 (en) Water tank for animal husbandry
CA28325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JP3158710U (en) Vertical heater for preventing drain pipe freezing
JP3746950B2 (en) Hot water heater using hot water in bathtub
KR101435770B1 (en) Mobile toilet washing water and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KR20110061127A (en) Roof waterproof construction structure having function capable of reusing rainwater
AU2012101259A4 (en) A water heater
JPH069041Y2 (en) Road surface snow melting device using hot water h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