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010B1 -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010B1
KR102303010B1 KR1020210040949A KR20210040949A KR102303010B1 KR 102303010 B1 KR102303010 B1 KR 102303010B1 KR 1020210040949 A KR1020210040949 A KR 1020210040949A KR 20210040949 A KR20210040949 A KR 20210040949A KR 102303010 B1 KR102303010 B1 KR 10230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normalized
service level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르스 크리스토프 슈멜즈
비즐라와 바즈다
크리스티안 맨와일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1Service on demand, e.g. definition and deployment of services in rea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9Determining service level performance parameters or violations of service level contracts, e.g. violations of agreed response time 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9Determining service level performance parameters or violations of service level contracts, e.g. violations of agreed response time 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H04L41/5012Determining service level performance parameters or violations of service level contracts, e.g. violations of agreed response time 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determining service availability, e.g. which services are available at a certain point i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Abstract

통신 시스템의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서비스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300)와,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요청의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302) ― 서비스 레벨 사양은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및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함 ― 와, 네트워크의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따라 성능 파라미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획득하는 단계(304)와, 네트워크 기능 및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및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306)와,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는 단계(308)와, 비교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면 슬라이스를 생성하는 단계(3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NETWORK SLIC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더 높은 데이터 속도와 높은 서비스 품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신뢰도 요구사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면서 신뢰할 수 잇는 접속 및 데이터 트래픽을 보장하는 방법과 수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개발하면 고객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서비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으로, 이는 특정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는 접속, 서비스 품질 및 데이터 처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특정 기능과 특성을 제공하는 논리적 종단 간 가상 네트워크이다. 대기시간, 신뢰도, 처리량 및 이동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서로 다를 수 있는 서비스들을 실행하기 위해 공통 공유 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 상에서 다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단순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다. 이는 본 발명의 핵심/중요 요소를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유일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부 개념을 나중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구항 8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5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 예가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제시된다. 다른 특징은 설명과 도면, 그리고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독립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및/또는 예 및 특징이 있다면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이하에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기능 또는 엔티티와 그 상호작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정규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변환 유닛의 동작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성능 계산 유닛의 동작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비교 결과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적용하는 장치의 단순화된 예를 도시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본 명세서는 여러 위치에서 "한", "하나" 또는 "일부" 실시예(들)를 지칭할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각각의 그러한 참조가 동일한 실시예(들)에 대한 것이거나 그 특징이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서로 다른 실시예의 단일 특징들은 또한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는(comprising)" 및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단어는 설명된 실시예가 언급된 특징으로만 구성되도록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러한 실시예는 또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징, 구조, 유닛,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요소, 네트워크 요소의 분산 실현, 기지국, eNodeB, gNodeB, 기지국의 분산 실현, 대응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임의의 통신 시스템 또는 필요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의 임의의 조합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서버 및 사용자 장비의 사양은 빠르게 발전한다. 이러한 개발에는 실시예에 대한 추가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단어와 표현은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이들은 구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 아키텍처의 예로서, LTE-A(LTE Advanced) 또는 NR(New Radio, 5G)에 기초한 무선 액세스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지만, 그러한 아키텍처로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파라미터 및 절차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적합한 수단을 갖는 다른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시스템에 대한 다른 옵션의 예로는 UTRAN(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radio access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Bluetooth®,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ZigBee®,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WB(ultra-wideband)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 센서 네트워크, MANET(mobile ad-hoc networks) 및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s)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다.
도 1은 일부 요소와 기능 엔티티만을 도시하는 단순화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하는데, 이들은 모두 논리적 유닛이며 구현은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접속은 논리적 접속이며, 실제 물리적 접속은 다를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이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기능 및 구조를 또한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실시예는 예로서 주어진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는 이 솔루션을 필요한 특성을 제공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예는 예시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은 디바이스(100 및 102)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 및 102)는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 및 102)는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노드(104)와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노드(104)는 코어 네트워크(106)에 추가로 접속된다. 일 예에서, 노드(104)는 셀 내에서 디바이스를 제공하거나 서빙하는 (e/g)NodeB와 같은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노드(104)는 비-3GPP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디바이스로부터 (e/g)NodeB로의 물리적 링크를 업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라고 하고, (e/g)NodeB로부터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링크를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라고 한다. (e/g)NodeB 또는 그 기능은 그러한 사용에 적합한 임의의 노드, 호스트, 서버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의 엔티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e/g)NodeB를 포함하는데, 그럴 경우 (e/g)NodeB는 그럴 목적으로 설계된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링크는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g)NodeB는 자신이 결합된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NodeB는 또한,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중계국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e/g)NodeB는 송수신기를 포함하거나 이에 결합된다. (e/g)NodeB의 송수신기로부터, 디바이스에 대한 양방향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안테나 유닛으로의 접속이 제공된다. 안테나 유닛은 복수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e/g)NodeB는 코어 네트워크(106)(CN 또는 차세대 코어 NGC)에 추가로 접속된다. 시스템에 따라, CN 측의 상대물(counterpart)은 디바이스(UE)를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모바일 관리 엔티티(MME)로 접속하는 서빙 게이트웨이(S-GW, 라우팅 및 전달 사용자 데이터 패킷),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가입자 유닛,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디바이스 등으로도 불림)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자원이 배정되고 할당되는 장치의 한 유형을 나타내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와 함께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릴레이 노드와 같은 대응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 노드의 예로는 기지국을 향한 레이어 3 릴레이(자체-백홀 릴레이)가 있다.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의 디바이스, 즉, 이동국(모바일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셋, 무선 모뎀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알람 또는 측정 디바이스 등), 랩톱 및/또는 터치 스크린 컴퓨터, 태블릿, 게임 콘솔, 노트북,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에 의하거나 그에 의하지 않고 동작하는 무선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예컨대, 휴대용 또는 비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거의 배타적인 업링크 전용 디바이스(그 예로는 네트워크에 이미지 또는 비디오 클립을 로드하는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가 있음)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디바이스는, 예컨대, 스마트 파워 그리드 및 커넥티드 차량에 사용되는, 사람과 사람 또는 사람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이 객체에 제공되는 시나리오인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장치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디바이스는 무선 부품(예컨대, 시계, 이어폰 또는 안경)을 가진 사용자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계산은 클라우드에서 수행된다. 디바이스(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계층 3 릴레이 노드)는 사용자 장비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은 또한 사이버-물리적 시스템(cyber-physical system: CPS)(물리적 엔티티를 제어하는 협업 컴퓨팅 요소의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CPS는 서로 다른 위치의 물리적 객체에 내장된 대량의 상호접속된 정보 및 통신 기술, ICT, 디바이스(센서, 액추에이터, 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등)의 구현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문제의 물리적 시스템이 고유 이동성을 갖는 모바일 사이버 물리적 시스템은 사이버 물리적 시스템의 하위 범주이다. 모바일 물리적 시스템의 예는 사람이나 동물에 의해 운송되는 모바일 로봇 장치 및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들은 단일 엔티티로 묘사되었지만, 상이한 유닛,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 유닛(모두 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이 구현될 수 있다.
5G는 다중 입력-다중 출력(MIMO) 안테나, LTE(소위 소형 셀 개념)보다 더 많은 기지국 또는 노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데, 여기에는 소규모 스테이션과 협력하여 동작하고 서비스 요구, 사용 사례 및/또는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에 따라 다양한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매크로 사이트가 포함된다. 5G 모바일 통신은 비디오 스트리밍, 증강 현실, 다양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차량 안전, 다양한 센서 및 실시간 제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머신형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대량) 머신형 통신(mMTC))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사용 사례 및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5G는 6GHz 미만, cmWave 및 mmWave와 같은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면서 LTE와 같은 기존의 레거시 무선 액세스 기술과도 통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TE와의 통합은 시스템에 따라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단계에서는 매크로 커버리지가 LTE에 의해 제공되고 5G 무선 인터페이스 액세스가 LTE에 대한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스몰 셀로부터 제공된다. 즉, 5G는 인터-RAT 운용성(inter-RAT operability)(예컨대, LTE-5G)과 인터-RI 운용성(inter-RI operability)(6GHz 미만-cmWave, 6GHz 미만-cmWave-mmWave와 같은 내부 무선 인터페이스 운용성)을 모두 지원하도록 계획된다.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것으로 간주되는 개념 중 하나는, 대기시간, 신뢰도, 처리량 및 이동성에 대한 상이한 요구사항을 갖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동일한 인프라 내에서 다수의 독립 및 전용 가상 서브-네트워크(네트워크 인스턴스)가 생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다.
LTE 네트워크의 현재 아키텍처는 무선기기에서 완전히 분산되고 코어 네트워크에서 완전히 중앙 집중화된다. 5G의 낮은 대기시간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는 콘텐츠를 무선기기에 가깝게 가져와야 하는데, 이는 로컬 브레이크 아웃(local break out) 및 멀티-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을 초래한다. 5G를 사용하면 데이터 소스에서 분석 및 지식 생성이 가능하다. 이 접근법은 랩톱, 스마트폰, 태블릿 및 센서와 같은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접속되지 않을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 MEC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호스팅을 위한 분산 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 이것은 또한 더 빠른 응답 시간을 위해 셀룰러 가입자 가까이에서 콘텐츠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갖는다. 에지 컴퓨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데이터 획득, 모바일 서명 분석, 협력적 분산형 P2P 애드혹 네트워킹 및 처리(로컬 클라우드/포그 컴퓨팅 및 그리드/메시 컴퓨팅으로도 분류 가능함), 듀 컴퓨팅(dew computing), 모바일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렛(cloudlet), 분산형 데이터 저장 및 검색, 자율적 자가 치유 네트워크, 원격 클라우드 서비스, 증강 및 가상 현실, 데이터 캐싱, 사물 인터넷(대량 접속 및/또는 대기시간이 중요함), 중요 통신(자율 차량, 교통 안전, 실시간 분석, 시간이 중요한 제어, 의료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광범위한 기술을 커버한다.
통신 시스템은 또한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인터넷(112)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거나 그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을 지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수행될 수 있다(이는 도 1에서 "클라우드"(114)에 의해 도시됨). 통신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스펙트럼 공유 시에 협력하기 위해 서로 다른 운영자의 네트워크에 설비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 엔티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의 기술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을 활용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 도입될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무선 부품을 포함하는 원격 무선 헤드 또는 기지국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서버, 호스트 또는 노드에서 액세스 노드 동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노드 동작은 다수의 서버, 노드 또는 호스트에 분산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RAN 아키텍처의 적용은 RAN 실시간 기능이 RAN 측에서(분산 유닛(DU)(104)에서) 수행되고 비실시간 기능이 중앙 집중식으로(중앙 유닛(CU)(108)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코어 네트워크 동작과 기지국 동작 사이의 작업 분배는 LTE와 다를 수 있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몇몇 다른 기술 발전으로는 빅 데이터와 all-IP가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관리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5G(또는 NR(new radio)) 네트워크는 다수의 계층 구조를 지원하도록 설계되고 있는데, 여기서 MEC 서버는 코어와 기지국 또는 nodeB(gN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MEC는 4G 네트워크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5G는 또한 예를 들어 백홀링(backhauling)을 제공함으로써 5G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강화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위성 통신을 활용할 수 있다. 가능한 사용 사례는 M2M(machine-to-machine) 또는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또는 차량 탑승 승객에게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거나, 중요 통신 및 미래의 철도/해상/항공 통신에 대한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위성 통신은 GEO(geostationary earth orbit) 위성 시스템뿐만 아니라 LEO(low earth orbit) 위성 시스템, 특히 메가-콘스텔레이션(수백 개의 (나노)위성이 배치된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메가-콘스텔레이션 내의 위성(110)은 지상 셀(on-ground cells)을 생성하는 여러 위성-활성화 네트워크 엔티티를 커버할 수 있다. 지상 셀은 지상 중계 노드(104)를 통해 또는 지상 또는 위성에 위치한 gNB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설명된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의 일부의 예일 뿐이며, 실제로 시스템은 복수의 (e/g)Node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다수의 무선 셀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가질 수 있고, 시스템은 물리적 계층 중계 노드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 등과 같은 다른 장치도 포함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e/g)NodeB 중 적어도 하나는 홈 (e/g)NodeB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지리적 영역에는 복수의 무선 셀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무선 셀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셀은 보통 직경이 최대 수십 킬로미터인 대형 셀인 매크로 셀(또는 우산 셀)이거나, 마이크로셀, 펨토셀 또는 피코셀과 같은 더 작은 셀일 수 있다. 도 1의 (e/g)NodeB는 임의의 종류의 이러한 셀을 제공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셀을 포함하는 다계층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계층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액세스 노드가 한 종류의 셀(들)을 제공하므로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e/g)NodeB가 필요하다.
통신 시스템의 배포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플러그-앤-플레이(plug-and-play)" (e/g)NodeB 개념이 도입되었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앤-플레이" (e/g)NodeB를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는, 홈 (e/g)NodeB(H(e/g)NodeBs) 외에, 홈 노드 B 게이트웨이 또는 HNB-GW(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운영자의 네트워크 내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HNB 게이트웨이(HNB-GW)는 다수의 HNB에서 다시 코어 네트워크로 향하는 트래픽을 집계할 수 있다.
도 2는 5G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기초한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장비(200)는 5G 네트워크(202)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204)와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평면 기능(208)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204)에 대한 접속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기지국 또는 gNB(206)에 접속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또한 코어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210)에 접속되는데, 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제어 평면 코어 접속기이며, 이런 관점에서 LTE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의 5G 버전으로 볼 수 있다. 5G 네트워크는, 세션 설정, 수정 및 해제와 같은 가입자 세션을 담당하는 세션 관리 기능(SMF)(212)과, 제어 평면 기능에 정책 규칙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동작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정책 제어 기능(214)을 더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다른 종단점 간의 종단 간 접속의 네트워크 자원이 슬라이싱되는 개념이다. 유사한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사설 네트워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동적으로 생성 및/또는 수정될 수 있는 논리적 종단 간 네트워크로 이해될 수 있다. 종단 디바이스들 사이의 네트워크(들)는 모두 하나의 종단 디바이스에서 다른 종단 디바이스로 슬라이스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스는 네트워크(들) 내에서 논리적 파이프 라인을 형성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라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슬라이스는 특정 서비스 유형을 서빙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세 가지 네트워크 슬라이스/서비스 유형이 표준화되었는데, 이들은 eMBB(5G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의 처리에 적합한 슬라이스), URLLC(초-신뢰도 저 지연 통신의 처리에 적합한 슬라이스) 및 MIoT( 대규모 사물 인터넷의 처리에 적합한 슬라이스)이다. 통신 서비스 공급자(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CSP)는 필요한 경우 추가 네트워크 슬라이스/서비스 유형을 정의할 수 있다. 주어진 사용자 단말기는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동일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슬라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사용하면 통신 서비스 공급자는 공통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 전용 가상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요구사항 및 서비스 레벨 계약(service level agreements: SLA)을 갖는 서비스를 호스팅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가상 또는 논리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서비스 품질(qualities of service: QoS)과 같은 서로 다른 네트워킹 특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네트워크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디바이스, 고객 및/또는 운영자의 특정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맞춤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서비스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전용 항목(예컨대, 네트워크 슬라이스 청사진)을 통해 서비스 카탈로그에서 설명된다. 이 접근법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청사진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각 서비스 요청에 대해 네트워크에 대한 자원 요구사항(전체 용량의 공유)이 계산되어야 한다. 현재 시스템에서, MNO(Mobile Network Operator) 또는 SP(Service Provider)는 네트워크의 기능과 전체 용량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여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를 계획하고 생성한다.
위에서 설명한 접근법을 사용하면, 고객은 전용 서비스 클래스를 지원하는 사전 정의된 슬라이스(청사진)와 같은 서비스 카탈로그의 항목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고객이 (청사진에 기초하지 않고) 자신이 정의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 고객은 특정 파라미터 및 그 속성에 의해 설명되는 일련의 서비스 특성을 포함하는 전용 서비스 레벨 사양(Service Level Specification: SLS)을 갖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개인화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적합한 슬라이스가 존재하는지(예컨대, 서비스 카탈로그 항목 수정) 또는 생성될 수 있는지 여부, 그리고 슬라이스 성능 및 특성이 요청된 SLS를 어느 정도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MNO 또는 SP가 즉시 판정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SLS가 SLA의 하위 부분, 즉, 서비스의 기술 사양만 포함하고 더 많은 비즈니스 관련 사양(예컨대, 전체 서비스 우선순위, 달성 가능한 서비스 품질 측면에서의 유연성 또는 SLS 요구사항, 핵심 성능 표시자(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의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 서비스 저하 또는 중단에 대한 잠재적 벌금 등)은 포함하지 않는 것임에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MNO 또는 SP는 요청된 서비스가 네트워크에서 호스팅될 수 있는지, 즉, 이 서비스의 SLS를 지원하고 서비스 레벨 계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에 따라 요청된 품질을 제공하는 슬라이스가 생성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야 한다. 이것은 다소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객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을 결정, 설명 및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을 설명한다. 서비스 요청은 성능 파라미터 및 속성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특성에 매핑되어야 하는 서비스 요구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흐름도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흐름도는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엔티티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상이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00에서, 장치는 서비스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요청은 다수의 서비스와 관련된다.
단계 302에서, 장치는 요청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의 서비스 레벨 사양(SLS)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사양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및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성능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종단 간 대기시간, 처리량, 패킷 손실을 포함할 수 있다. SLS는 단말기의 수 또는 지리적 영역과 같은 서비스(들)의 규모의 식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전송 및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기능이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은 성능 파라미터의 속성을 포함한다.
단계 304에서, 장치는 네트워크의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따라 성능 파라미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할 때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서 이용 가능한 파라미터에 서비스 레벨 사양의 성능 파라미터를 매핑하도록 구성된다.
단계 306에서,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 및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및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하나 이상의 대안적 구성 및 정규화된 수행 능력이 결정된다.
단계 308에서, 장치는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대안적 구성의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은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된다.
단계 310에서, 장치는 비교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실현될 수 있다면 슬라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의 수행 능력을 결정할 때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요청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을 결정, 설명 및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는 서비스 요청이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됨으로써 서비스의 서비스의 서비스 레벨 계약(SLA)를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판정은 서비스 요구사항과 네트워크 기능의 비교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요구사항과 네트워크 기능은 모두 정규화된 사양에 기초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능 또는 엔티티와 그 상호작용을 갖는 시스템의 예시적 개요가 도 4에 도시된다.
시스템은 SLS 인식 유닛(400)을 포함한다. 인식 유닛(400)은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402)(또는 다수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요청은 임의의 형태(예를 들어, 정의된 언어, 자유 텍스트)로 전달될 수 있다. 인식 유닛(400)은 서비스 요청을 인식하고,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설명으로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식 유닛(400)은 관련 성능 파라미터(예컨대, 종단 간, E2E, 대기시간, 패킷 손실, 처리량) 및 성능 파라미터에 대한 속성(또는 목표 값/범위)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속성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 둘 이상의 값, 예를 들어, <최소, 최대>, <최상, 평균화된 최악의 사례>, 또는 수치의 확률 분포로 설정될 수 있다. 속성의 해석은 예컨대 "지연은 X보다 나쁘지 않아야 한다"로 정의될 수 있다.
인식 유닛(400)은 또한 서비스 요청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은 예를 들어 최상의 실시 정보 및/또는 학습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출력으로서, 인식 유닛(400)은 SLS(Service Level Specification)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LS는 서비스(들)의 머신 판독가능 설명, 성능 파라미터, 관련 성능 파라미터에 대한 속성,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E2E 경로 상의)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한다. 이는 서비스(들)의 규모, 예컨대, 단말기의 수 또는 지리적 영역의 식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현재 토폴로지 및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자원 데이터베이스(404)를 더 포함한다.
시스템은 정규화 모델 데이터베이스(4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규화 모델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에서의 성능 파라미터의 설명과, 완전한 네트워크 내에서 유효한 정규화된 표현의 대응하는 속성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정규화 모델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되어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규화 모델 데이터베이스(406)는 자동 또는 수동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SLS 성능 특성 및 속성의 정규화에 대한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E2E 지연은 정규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데이터 신뢰도는 가용성 및 패킷 손실에 매핑된다. 단말기 당 데이터 속도는 단말기 수를 고려하여 E2E 처리량에 매핑된다.
도 4로 돌아가면, 시스템은 SLS 변환 유닛(408)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SLS 변환 유닛(408)은 인식 유닛(400)으로부터의 서비스 레벨 사양(SLS) 및 정규화 모델 데이터베이스(406)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변환 유닛(408)은 성능 파라미터에 대한 정규화된 속성을 포함하는 정규화된 SLS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LS 변환 유닛(408)은 정규화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따른 성능 파라미터 및 속성의 정규화된 표현에 따라 SLS 인식 유닛(400)에 의해 제공된 SLS를 정규화된 SLS로 정규화한다. 예를 들어, SLS와 함께 제공된 파라미터를 정규화 모델로부터 사용 가능한 파라미터에 매핑하는 것과, 대역폭, 데이터 속도 및 처리량과 같은 속성의 재계산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일 예를 도시한다. 정규화 모델에 따라 정규화된, 서비스 가용성(600), 서비스 지연(602), 패킷 손실(604) 및 서비스 처리량(606)과 같은 파라미터가 정규화된 SLS(608)에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SLS 인식 유닛(400)이 제공하는 정보는 불완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락된 속성(예컨대, 전용 키 성능 표시자(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LS 변환 유닛(408)은 예를 들어 이력 또는 학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규화 동안 SLS를 완성할 수 있다.
도 4로 돌아가면, 시스템은 성능 계산 유닛(41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성능 계산 유닛(410)은, 인식 유닛(400)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을, 정규화 모델 데이터베이스(406)로부터 정규화 모델을,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자원 데이터베이스(404)로부터 스케일링 정보(예컨대, 단말기의 수, 지리적 영역, 및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자원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성능 계산 유닛(410)은 네트워크 기능 및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및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성능 계산 유닛(410)은 서비스(들)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으로부터 E2E 슬라이스 청사진을 선택하고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한 구성을 생성한다. 성능 계산 유닛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자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정보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기능 및 대응하는 자원의 가용성 및 성능에 대한 현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상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6)로부터의 정규화 모델을 사용하여 정규화될 수 있다. 또한, 집계된 정규화된 수행 능력 설명이 선택된 E2E 슬라이스 인스턴스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성능 계산 유닛(410)은 E2E 슬라이스 인스턴스 구성, E2E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 설명(슬라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의 집계된 수행 능력)을 출력으로서 제공한다. 정규화된 설명의 구성 파라미터 및 속성은 SLS 인식 유닛(400)에 의해 도출된 SLS의 속성과 매칭된다.
일 실시예에서, 성능 계산 유닛은 상이한 구성을 갖는 다수의 대안적인 E2E 슬라이스를 제안할 수 있다.
도 7은 성능 계산 유닛에 의해 수행된 네트워크 (E2E 슬라이스) 능력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2 개의 슬라이스 인스턴스(700, 702)가 계산된다. 슬라이스 인스턴스(700)의 경우, 결정된 네트워크 기능(704)의 가용성이 결정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기능 지연(706) 및 전송 링크 지연(708)이 계산된다. 네트워크 기능 신뢰도와 네트워크 기능 처리량 및 기타 파라미터(단순성을 위해 도 7에 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유사한 계산이 수행된다. 슬라이스 인스턴스(702)에 대해 대응하는 계산이 이루어진다.
도 4로 돌아가면, 시스템은 비교 유닛(412)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 유닛(412)은 입력으로서, 변환 유닛(408)으로부터의 정규화된 SLS와, 성능 계산 유닛(410)으로부터의 E2E 슬라이스 구성 및 실행 가능한 E2E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 설명을 수신한다. 성능 계산 유닛이 둘 이상의 대안적인 슬라이스를 제공한 경우, 이들에 대한 데이터도 수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 유닛(412)은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 유닛(412)은 정규화된 SLS에 설명된 요구사항과 정규화된 E2E 슬라이스 능력 간의 비교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비교 결과는 요구사항과 능력 간의 차이(해당되는 경우)에 대한 성능별 파라미터 값일 수 있다. 성능 계산 유닛이 둘 이상의 대안적인 슬라이스를 제공한 경우, 결과는 대안적인 E2E 슬라이스마다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 유닛(412)은 모든 관련 성능 및 구성 파라미터에 대해, 선택적으로는 모든 대안적인 E2E 슬라이스 구성에 대해, 비교 결과를 출력으로 제공한다.
도 8은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에 대해 두 개의 서로 다른 E2E 슬라이스 A 및 B에 대해 비교 유닛에 의해 만들어진 비교 결과의 예를 도시한다. 비교는 지연, 가용성, 패킷 손실 및 처리량에 대한 값을 제공한다. 슬라이스 A는 가용성을 제외한 모든 값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 슬라이스 B는 가용성 및 패킷 손실의 요구사항을 차례로 충족시킨다.
도 4로 돌아가면, 시스템은 결정 유닛(416)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416)은 비교 유닛(412)으로부터 비교 결과를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결정 유닛(416)은 또한 SLA 유틸리티 기능(414)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고객 우선순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무엇보다도, 전반적인 서비스 우선순위, 달성 가능한 서비스 품질 또는 SLS 요구사항 측면에서의 유연성, KPI의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 서비스 저하 또는 중단에 대한 잠재적 벌금을 포함한다.
결정 유닛(416)은 SLA 유틸리티로부터의 데이터에 비추어 비교 결과를 해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2E 슬라이스의 능력에 의해 모든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는 경우, 슬라이스에 대한 실행 가능성 결정은 긍정적이다. E2E 슬라이스의 능력에 의해 모든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없는 경우, 다른 슬라이스 요청이나 활성 슬라이스뿐만 아니라 성능 파라미터 및 속성 범위의 우선순위에 대해 SLA 유틸리티 데이터가 확인될 수 있다. (새로 요청된 슬라이스 또는 활성 슬라이스에서) 성능 요구사항이 허용가능한 감소에 의해 충족될 수 있는 경우, 배포 결정은 긍정적이고 그렇지 않으면 부정적이다.
다수의 대안적인 E2E 슬라이스가 입력으로 제공되는 경우, 둘 이상의 대안에 대해 비교가 수행되고, 최상의 슬라이스에 대한 실행 가능성 결정과 함께 최상의 E2E 슬라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SLA 유틸리티 기능 데이터는 가장 큰 단말기 당 데이터 속도에, 다음으로 지연에, 마지막으로 신뢰성에 우선순위를 두었다. 이에 기초하여, 결정 유닛은 슬라이스 A가 슬라이스 B에 비해 최상의 데이터 속도(처리량)와 더 짧은 지연을 제공하므로 슬라이스 A가 더 낫다고 결정할 수 있다.
부정적인 결정이 내려지면, 서비스 요청을 보낸 고객에게 통보된다(418).
긍정적인 결정이 내려지면, 작업은 슬라이스 수명주기 관리 유닛(420) 및 네트워크 구성 관리(422)로 전달된다.
도 9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장치 또는 네트워크 요소의 단순화된 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네트워크 요소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서로 접속된 여러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일부 실시예를 예시하는 예로서 도시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장치가 또한 다른 기능 및/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설명된 모든 기능 및 구조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장치는 하나의 엔티티로 도시되었지만, 서로 다른 모듈들 및 메모리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엔티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예의 장치(900)는 장치의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902)를 포함한다.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9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제어 회로(902)에 의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906)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장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요소에 장치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회로(908)를 더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906)는 장치의 제어 회로(902)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를 실현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및 첨부된 도면에 설명된 단계 및 관련 기능은 절대적인 연대순이 아니며, 일부 단계는 동시에 또는 주어진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들 사이 또는 단계들 내에서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일부 단계는 생략되거나 대응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제어기는, 전자 디지털 컴퓨터, 처리 시스템, 또는 작업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중앙 처리 장치(CPU) 및 시스템 클럭를 포함할 수 있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CPU는 레지스터 세트, 산술 논리 장치 및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시스템, 제어기 또는 회로는 RAM에서 CPU로 전송되는 일련의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기는 기본 동작을 위한 다수의 마이크로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명령어의 구현은 CPU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는 C, Java 등과 같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기계어 또는 어셈블러와 같은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일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될 수 있다. 전자 디지털 컴퓨터는 또한 프로그램 명령어로 작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가질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때, '회로'라는 용어는, (a)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만으로의 구현과 같은 하드웨어 전용 회로 구현, (b) 예컨대, (적용가능한 경우) (i)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ii) 함께 작동하여 장치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들)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들)/소프트웨어의 일부와 같은, 회로와 소프트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 (c)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일부와 같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필요로 하는 회로 모두를 지칭한다.
이런 '회로'의 정의는 본 출원에서 이 용어의 모든 사용에 적용된다. 추가 예로서,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회로'라는 용어는 또한, 단순히 프로세서(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와 그(또는 그들)에 수반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구현을 커버할 것이다. '회로'라는 용어는 또한, 예를 들어 특정 요소에 적용 가능한 경우, 모바일폰을 위한 베이스밴드 집적 회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서버 내의 유사한 집적 회로,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커버할 것이다.
일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로딩될 때,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도록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배포 매체 상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 형태, 객체 코드 형태, 또는 어떤 중간 형태일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 컴퓨터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및 소프트웨어 배포 패키지를 포함한다. 필요한 처리 능력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일 전자 디지털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다수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주문형 집적 회로(ASIC)와 같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 논리 구성요소들로 구성된 회로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의 하이브리드도 가능하다. 구현 방법을 선택할 때, 당업자는 예를 들어 장치의 크기 및 전력 소비, 필요한 처리 용량, 생산 비용, 및 생산량에 대해 설정된 요구사항을 고려할 것이다.
일 실시예는 서비스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과,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요청의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하는 수단 ― 서비스 레벨 사양은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및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함 ― 과, 네트워크의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따라 성능 파라미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획득하는 수단과, 네트워크 기능 및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및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수단과,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는 수단과, 비교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실현될 수 있다면 슬라이스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는 전술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서비스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것(300)과,
    상기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의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하는 것(302) ― 상기 서비스 레벨 사양은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및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함 ― 과,
    네트워크의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따라 상기 성능 파라미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획득하는 것(304)과,
    상기 네트워크 기능 및 상기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및 상기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것(306)과,
    상기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상기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는 것(308)과,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면 상기 슬라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없다면 상기 서비스 요청 내의 요구사항이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감소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서비스 레벨 계약 데이터로부터 판정하는 것(310)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은 상기 성능 파라미터의 속성을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또한,
    상기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할 때 상기 서비스 레벨 사양의 성능 파라미터를 상기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에 매핑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또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하나 이상의 대체 구성 및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대체 구성의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상기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능의 수행 능력을 결정할 때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또한,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 상기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서비스 레벨 계약 데이터를 고려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되는
    장치.
  8. 방법으로서,
    서비스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300)와,
    상기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의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302) ― 상기 서비스 레벨 사양은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및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함 ― 와,
    네트워크의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따라 상기 성능 파라미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획득하는 단계(304)와,
    상기 네트워크 기능 및 상기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및 상기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306)와,
    상기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상기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는 단계(308)와,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면 상기 슬라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없다면 상기 서비스 요청 내의 요구사항이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감소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서비스 레벨 계약 데이터로부터 판정하는 단계(310)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은 상기 성능 파라미터의 속성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할 때 상기 서비스 레벨 사양의 성능 파라미터를 상기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하나 이상의 대체 구성 및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대체 구성의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상기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능의 수행 능력을 결정할 때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 상기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서비스 레벨 계약 데이터를 고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복수의 서비스와 관련되는
    방법.
  15.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명령어는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서비스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것(300)과,
    상기 서비스 요청에 기초하여, 요청된 서비스의 서비스 레벨 사양을 결정하는 것(302) ― 상기 서비스 레벨 사양은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및 성능 파라미터를 포함함 ― 과,
    네트워크의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따라 상기 성능 파라미터를 스케일링함으로써 상기 결정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정규화하여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획득하는 것(304)과,
    상기 네트워크 기능 및 상기 주어진 정규화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구성 및 상기 네트워크 기능의 정규화된 수행 능력을 결정하는 것(306)과,
    상기 정규화된 서비스 레벨 사양을 상기 정규화된 수행 능력과 비교하는 것(308)과,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면 상기 슬라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없다면 상기 서비스 요청 내의 요구사항이 상기 요청된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감소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서비스 레벨 계약 데이터로부터 판정하는 것(310)
    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40949A 2020-03-31 2021-03-30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KR102303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205321 2020-03-31
FI20205321 2020-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010B1 true KR102303010B1 (ko) 2021-09-15

Family

ID=7419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49A KR102303010B1 (ko) 2020-03-31 2021-03-30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15271B1 (ko)
EP (1) EP3890387A1 (ko)
JP (1) JP6945089B1 (ko)
KR (1) KR102303010B1 (ko)
CN (1) CN1134735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9663A1 (en) * 2022-03-08 2023-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d-to-end orchestration for network service negoti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6987A1 (en) * 2016-10-05 2018-04-11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instantiating a logical network slice for use with an operator-maintained network portion
EP3327990A1 (en) * 2016-11-28 2018-05-30 Deutsche Telekom AG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th multi threshold based sla monitoring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KR20190120833A (ko) * 2017-03-19 2019-10-2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유닛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0231A1 (en) * 2005-12-06 2007-06-07 Brown Douglas P Closed-loop supportability architecture
US10862818B2 (en) * 2015-09-23 2020-12-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network resources to network service providers
US10129108B2 (en) * 2015-11-13 2018-11-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network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for network slicing
BR112018076166A2 (pt) * 2016-06-16 2019-03-26 Huawei Tech Co Ltd método e aparelho de gerenciamento de recursos de fatia da rede
US10637725B2 (en) 2016-11-01 2020-04-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lice management in a management plane
US10742522B2 (en) * 2016-11-14 2020-08-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shareable slice instances
WO2018173564A1 (ja) 2017-03-21 2018-09-27 株式会社Nttドコモ スライス管理装置及びスライス管理方法
US10795598B1 (en) * 2017-12-07 2020-10-06 Pure Storage, Inc. Volume migration for storage systems synchronously replicating a dataset
US10693898B2 (en) * 2018-01-31 2020-06-23 Splunk Inc. Systems data validation
US10986622B2 (en) * 2018-05-10 2021-04-20 Apple Inc. User equipment (UE) down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state selection
US11871419B2 (en) * 2019-11-19 2024-01-09 Intel Corporation Multi-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scheduling for data transmission
US20200167258A1 (en) * 2020-01-28 2020-05-28 Intel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applicable service level agreement
US11159609B2 (en) * 2020-03-27 2021-10-26 Inte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duct to implement deterministic on-boarding and scheduling of virtualized workloads for edge compu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6987A1 (en) * 2016-10-05 2018-04-11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instantiating a logical network slice for use with an operator-maintained network portion
EP3327990A1 (en) * 2016-11-28 2018-05-30 Deutsche Telekom AG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th multi threshold based sla monitoring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KR20190120833A (ko) * 2017-03-19 2019-10-2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방법, 유닛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15271B1 (en) 2021-09-07
EP3890387A1 (en) 2021-10-06
JP2021164155A (ja) 2021-10-11
US20210306215A1 (en) 2021-09-30
CN113473544B (zh) 2023-02-03
JP6945089B1 (ja) 2021-10-06
CN113473544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209B2 (en) Efficient computing of application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11071055B1 (en) Network slice selection in cellular system
US11109284B2 (en) Controlling handover based on network slices supported by base station
US11310864B2 (en) Hybrid transmission scheme determination
EP3921967A1 (en) Selecting uplink transmission band in wireless network
KR102303010B1 (ko)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US20220217620A1 (en) Controlling network access
US11825532B2 (en) Control of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nnections
US11729664B2 (en) Allocating resources for communication and sensing services
US11526826B2 (en) Remote definition of metrics
US20230070917A1 (en) Processing rules for resource elements
US20240107445A1 (en) Base station battery control
EP4280557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WO2023151884A1 (en) Method for enhancing pos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