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765B1 - 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765B1
KR102302765B1 KR1020200043826A KR20200043826A KR102302765B1 KR 102302765 B1 KR102302765 B1 KR 102302765B1 KR 1020200043826 A KR1020200043826 A KR 1020200043826A KR 20200043826 A KR20200043826 A KR 20200043826A KR 102302765 B1 KR102302765 B1 KR 10230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external terminal
data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8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철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1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Abstrac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a communicator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storage, a second storage separated from the first storage,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establis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or, interact wit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ct existence of a first data unit associated with a client device among data units stored in the first external terminal, selectively acquire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e it in the first storage, acquire second data units among the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e them in the second storage, and update the client device using the first data uni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Description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방법{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vice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무선 통신은 장치들 사이를 연결하는 선(line) 없이, 전파를 이용해 원격지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단말기들 및 단말기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며, 이때 단말기들은 복수의 기지국들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통신한다.Wireless communica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a remote location using radio waves without a line connecting devices. In general, a wireless network includes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s, wherein the terminals communicat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최근 다양한 방식들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제안되고 있다. 단말기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기지국을 통하지 않더라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방식들의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ave been proposed. Terminals may establis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 data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going through a base station. Her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technique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위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it cannot be understood a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데이터 유닛을 배포 및/또는 제공하는 데에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기들 각각이 특정 서버 및/또는 장치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지 않고도, 데이터는 무선 통신 단말기들을 통해 자동적으로 배포 및/또는 제공될 수 있다.SUMM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at provide improved convenience in distributing and/or providing data units. For example, data may be automatically distributed and/or provid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without 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to access a specific server and/or device to download the dat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기; 제 1 스토리지; 상기 제 1 스토리지와 분리된 제 2 스토리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리지들, 그리고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제 1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랙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제 1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획득하여 상기 제 2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or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irst storage; a second storage separate from the first storag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storages and the communicator, wherein the processor establish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or; interact wit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irst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among data units stored in the first external terminal; selectively acquir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it in the first storage; obtaining second data units among the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them in the second storage; and update the client device using the first data uni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제 2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지의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스토리지의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establish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cond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or; and provide at least one list representing the first data unit of the first storage and the second data unit of the second storage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at least one of the first data unit and the second data unit corresponding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리스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list of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detect the presence of the first data unit among the data units according to the list.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식별자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may be configured to store an identifier, and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first one of the data units by comparing the identifier to the list.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버전을 나타내는 제 1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버전을 나타내는 제 2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메타 데이터를 상기 제 1 메타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may be configured to store first meta data indicating a version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and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eive second metadata; compare the second metadata with the first metadata; and obtain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based on a result of the comparison.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검증키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상기 검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의 패스 여부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store a verification key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wherein the processor further receives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o; verify the authentication data using the verification key; and obtain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further based on whether the verification has pass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establish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lien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or; and provide the first data unit to the client device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update the clien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외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랙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제 1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제 1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획득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지와 구분되는 제 2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e method includes: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rst external terminal; detecting the presence of a first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among data units stored in the first external terminal by interacting wit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lectively acquir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the first data unit in a first storage; obtaining second data units among the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them in a second storage separate from the first storage; and updating the client device using the first data uni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상기 방법은 제 2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토리지의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스토리지의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establish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cond external terminal; and providing at least one list indicating the first data unit of the first storage and the second data unit of the second storage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ata unit and the second data uni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from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ng of the existence of the first data unit may include: receiving a list of the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first data unit among the data units according to the list.

상기 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버전을 나타내는 제 1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버전을 나타내는 제 2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타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타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first metadata indicating a version of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first storage is a version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store second metadata representing and obtain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based on a result of the comparison.

상기 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검증키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의 패스 여부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first storage further stores a verification key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store, wherein obtaining the first data unit includes: verifying the authentication data using the verification key; and obtain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further based on whether the verification has pass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유닛을 배포 및/또는 제공하는 데에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convenience in distributing and/or providing data units ar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인 스토리지 및 서브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실시 예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두 IOT 단말기들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IOT 단말기들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유닛을 공유한 후 IOT 단말기들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의 IOT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여 메인 및 서브 스토리지들에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외부의 IOT 단말기에 데이터 유닛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외부의 IOT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여 메인 및 서브 스토리지들에 저장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2의 메인 스토리지 및 서브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다른 실시 예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S340단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of FIG. 1 .
3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data stored in the main storage and the sub storage of FIG. 2 .
4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data stored in each of two IOT terminals.
5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data stored in each of the IOT terminals after the IOT terminals of FIG. 4 share a data unit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data units from an external IOT terminal and storing them in main and sub sto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data units to an external IOT terminal.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receiving data units from an external IOT terminal and storing the data units in main and sub storages.
9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data stored in the main storage and the sub storage of FIG. 2 .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340 of FIG. 8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enough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X, Y, 및 Z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X, Y, 및 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X 하나, Y 하나, Z 하나, 또는 X, Y, 및 Z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떤 조합 (예를 들면, XYZ, XYY, YZ, ZZ)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및/또는"은 해당 구성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and not for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t least any one of X, Y, and Z” and “at leas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X, Y, and Z” means one X, one Y, one Z, or two of X, Y, and Z or It can be interpreted as any combination of more (eg, XYZ, XYY, YZ, ZZ). Herein,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공유 시스템(100)은 비컨 단말기(105) 및 제 1 내지 제 3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들(110~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ata sharing system 100 may include a beacon terminal 105 and first to third Internet of Things (IOT) terminals 110 to 130 .

비컨 단말기(105) 및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IOT 단말기들(110~130)로 예시되어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들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이동 수단들(VH1~VH3)에 설치 및/또는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이동 수단들(VH1~VH3)과 함께 이동한다. 비컨 단말기(105) 및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은 서로 인접할 때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개설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유닛들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유닛은 비컨 단말기(105), 제 1 IOT 단말기(110), 및 제 2 IOT 단말기(120)를 차례로 거쳐 제 3 IOT 단말기(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IOT 단말기는 다른 IOT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IOT 단말기에 임의의 데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한편 다른 IOT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컨 단말기(105)는 IOT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IOT 단말기에 임의의 데이터 유닛을 제공하는 한편 IOT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비컨 단말기(105)는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 각각과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과 다르게 고정된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The beacon terminal 105 and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exemplified by the IOT terminals 110 to 130 may be installed and/or loaded to the first to third moving means VH1 to VH3,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to third moving means VH1 to VH3, respectively. When the beacon terminal 105 and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y may establis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share data units through the establish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data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IOT terminal 130 through the beacon terminal 105 , the first IOT terminal 110 , and the second IOT terminal 120 in sequence. In this way, each IOT terminal can receive a new data unit from the other IOT terminal while providing an arbitrary data unit to the other IOT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IOT terminal. Similarly, the beacon terminal 105 may provide an arbitrary data unit to the IOT terminal and receive a new data unit from the IOT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OT terminal. In embodiments, the beacon terminal 105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 except that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have a different fixed structure. can be installed on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 통신, LTE D2D(Device-to-Device)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과 같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방식들의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LTE D2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 I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technologies that transmit information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such as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단말기들(115~135)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장치들(115~135)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이동 수단들(VH1~VH3)에 적재 및/또는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장치들(115~135)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과 인접할 수 있으며, 그것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장치들(115~135)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에 통합된 구성 요소들일 수 있다.First to third client terminals 115 to 135 may be provided. The first to third client devices 115 to 135 may be loaded and/or installed in the first to third moving means VH1 to VH3,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to third client devices 115 to 135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respectively, and may communicate with them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embodiments, the first to third client devices 115 to 135 may be components integrated into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respectively.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장치들(115~135) 각각은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제공되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장치들(115~135) 각각은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엔진 및 ABS(Anti-lock Brake System) 등 해당 이동 수단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엔진 기어 비를 제어하는 트랜스미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장치들(115~135) 각각에 포함된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는 비컨 단말기(105)에 데이터 유닛을 저장할 수 있으며, 비컨 단말기(105)의 데이터 유닛은 위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달된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의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가 IOT 단말기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고도, 해당 IOT 단말기는 다른 IOT 단말기들을 통해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관리자는 IOT 단말기를 파악하여 액세스하는 번거로움 없이 단지 비컨 단말기(105)에 데이터 유닛을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유닛은 복수의 IOT 단말기들(110~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당 IOT 단말기에 배포 및/또는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유닛을 배포 및/또는 제공하는 데에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o third client devices 115 to 135 may be a computer device provid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to third client devices 115 to 135 is an ECU (e.g., a navigation device providing a route guidance function, an engine, and an ECU (Anti-lock Brake System)) that controls various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moving means, such as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Electronic Control Unit),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that performs control on a transmission that controls an engine gear ratio, and the like. Firmware and/or software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client devices 115 to 135 needs to be updated. To this end, the manager may store a data unit in the beacon terminal 105, and the data unit of the beacon terminal 105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as described above. .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may update the firmware and/or software of the corresponding client device using the transmitted data unit. Accordingly, without the administrator's terminal accessing the IOT terminal and providing data,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can acquire the data unit through other IOT terminals and update the client device using the acquired data unit. Additionally, by storing the data unit only in the beacon terminal 105 without the hassle of the administrator identifying and accessing the IOT terminal, the data unit is automatically distributed and distributed to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by the plurality of IOT terminals 110 to 130 / or may be provided. Accordingly, it may provide improved convenience in distributing and/or providing data units.

도 1에서, 3개의 IOT 단말기들(110~130) 및 3개의 클라이언트 장치들(115~135)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더 많은 IOT 단말기들 및 클라이언트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FIG. 1 , three IOT terminals 110 to 130 and three client devices 115 to 135 are shown,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ore IOT terminals and client devices may be provided. .

도 2는 도 1의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110~130)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IOT 단말기(200)과 함께 이동 수단에 적재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1m5)가 도 2에 더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0 to 130 of FIG. 1 . A client device 1m5 loaded on the mobile means together with the IOT terminal 200 is further illustrated in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ITO 단말기(200)는 통신기(210), 데이터 공유기(220),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TO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mmunicator 210 , a data sharer 220 , a main storage 230 , and a sub-storage 240 .

통신기(210)는 데이터 공유기(220)와 연결된다. 통신기(210)는 데이터 공유기(220)의 제어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기(210)는 데이터 공유기(220)의 제어에 응답하여 외부 IOT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데이터 공유기(220)와 외부 IOT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기(210)는 데이터 공유기(220)의 제어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m5)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데이터 공유기(220)와 클라이언트 장치(1m5)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The communicator 210 is connected to the data sharer 220 . The communicator 210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data sharer 220 . The communicator 210 establish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IO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data sharer 220 , and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data sharer 220 and the external IOT terminal. In addition, the communicator 210 establish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lient device 1m5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data sharer 220 , and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data sharer 220 and the client device 1m5 .

데이터 공유기(220)는 통신기(210),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공유기(220)는 통신 인터페이스(I/F)(221), 공유 제어부(222), 스토리지 액세스부(223), 및 클라이언트 업데이트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harer 22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municator 210 , the main storage 230 , and the sub storage 240 . The data sharer 2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I/F) 221 , a sharing control unit 222 , a storage access unit 223 , and a client update unit 224 .

통신 인터페이스(221)는 데이터 공유기(220)와 통신기(210) 사이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1)는 외부 IOT 단말기 및/또는 클라이언트 장치(1m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공유기(220)의 적합한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21)는 데이터 공유기(220)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데이터를 외부 IOT 단말기 및/또는 클라이언트 장치(1m5)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1 may interface between the data sharer 220 and the communicator 210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1 may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IOT terminal and/or the client device 1m5 and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a suitable component of the data sharer 220 . Furthe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1 i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from the components of the data sharer 220 to the external IOT terminal and/or the client device 1m5.

공유 제어부(222)는 데이터 공유기(22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제어부(222)는 통신 인터페이스(221)를 통해 외부 IOT 단말기와 인터랙션하여 외부 IOT 단말기 내 클라이언트 장치(1m5)와 연관된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The sharing control unit 222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data sharer 220 .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may interact with the external IO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1 to detect the presence of a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1m5 in the external IOT terminal.

스토리지 액세스부(223)는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공유 제어부(222)는 상기 감지된 데이터 유닛을 외부 IOT 단말기로부터 선택적으로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 유닛을 스토리지 액세스부(223)를 통해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제어부(222)는 외부 IOT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 중 클라이언트 장치(1m5)와 연관되지 않는 데이터 유닛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 유닛들을 스토리지 액세스부(223)를 통해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access unit 223 may access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to read and write data.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may selectively acquire the sensed data unit from the external IOT terminal, and store the acquired data unit in the main storage 230 through the storage access unit 223 . In addition,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acquires data units no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1m5 among the data units stored in the external IOT terminal, and transfers the obtained data units to the sub storage 240 through the storage access unit 223 . can be stored in

또한, 공유 제어부(222)는 외부 IOT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유닛들을 스토리지 액세스부(223)를 통해 메인 스토리지(230)와 서브 스토리지(240)로부터 읽고, 읽어진 데이터 유닛들을 외부 IOT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reads data units from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through the storage access unit 223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xternal IOT terminal, and reads the read data units from the external IOT.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이러한 공유 제어부(222)의 동작들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Operations of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클라이언트 업데이트부(224)는 공유 제어부(222)의 제어에 응답하여,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m5)의 기능 모듈(FM)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기능 모듈(FM)은 클라이언트 장치(1m5)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다. 클라이언트 업데이트부(224)는 스토리지 액세스부(223)를 통해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 유닛을 클라이언트 장치(1m5)에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장치(1m5)에 데이터 유닛을 이용한 업데이트를 커맨드할 수 있다.The client update unit 224 may update the function module FM of the client device 1m5 by using the data unit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 In this case, the function module FM is software and/or firmware installed in the client device 1m5. The client update unit 224 obtains the data unit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through the storage access unit 223 , provides the obtained data unit to the client device 1m5 , and provides the data unit to the client device 1m5 . You can command the update using .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는 데이터 공유기(220)에 연결된다.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는 데이터 공유기(220)의 제어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쓰고 읽을 수 있다.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를 유지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고체 상태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불휘발성 저장 매체들일 수 있다.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are connected to the data sharer 220 .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may write and read data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data sharer 220 .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may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that retains data even when power is cut off, a solid state drive (SSD), such as a flash memory, etc. They may be non-volatile storage media.

서브 스토리지(240)는 메인 스토리지(230)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및/또는 정보는 메인 스토리지(230)와 서브 스토리지(240)에 섞여서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장치(1m5)와 연관되지 않는 데이터 유닛은 다른 IOT 단말기로의 전달을 위해 외부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되어 IOT 단말기(200)에 저장되면서도, 특히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되어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장치(1m5)와 연관된 데이터 유닛과 분리된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스토리지(230)와 서브 스토리지(240) 각각은 그것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향상된 보안 레벨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ub storage 240 is physically and/or logically separated from the main storage 230 . Accordingly, data and/or information may not be mixed and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 For example, a data unit that is no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1m5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IOT terminal for delivery to another IOT terminal and stored in the IOT terminal 200 , but is particularly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and stored in the main storage Data stored in the 230, for example, may be stored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1m5. Accordingly, each of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may provide an improved security level and reliability for data stored therein.

도 3은 도 2의 메인 스토리지 및 서브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실시 예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data stored in the main storage and the sub storage of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스토리지(230)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서 메인 스토리지(230)는 2개의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저장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의 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2 and 3 , the main storage 230 may stor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In FIG. 2 , the main storage 230 is illustrated as storing two data units DU1 and DU2 ,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number of data units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은 도 2에 도시된 기능 모듈(FM)과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1m5)의 소프트웨어들 및/또는 펌웨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은 클라이언트 장치(1m5)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FM)에 대한 설치 및/또는 업데이트 파일들일 수 있다.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DU1, DU2)은 메인 데이터 유닛들(MDU)로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may correspond to software and/or firmwares of the client device 1m5 such as the function module FM shown in FIG. 2 .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may be installation and/or update files for at least one function module FM of the client device 1m5 . The data units DU1 and DU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may be defined as main data units MDU.

메인 스토리지(230)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을 통해,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이 식별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1m5)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FM)이 식별될 수 있다.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은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로서 정의될 수 있다.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는 예를 들면 IOT 단말기(200)의 제조 시, 메인 스토리지(2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The main storage 230 may further stor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 In other words, at least one function module FM included in the client device 1m5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 The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may be defined as a main data list MDL. The main data list MDL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ain storage 230 when the IOT terminal 200 is manufactured, for example.

메인 스토리지(230)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에 각각 매핑되는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을 통해,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의 버전들이 식별될 수 있다.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된 버전 정보들(VI1, VI2)은 메인 메타 데이터(MMT)로서 정의될 수 있다.The main storage 230 may further store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respectively mapp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 Ver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 The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may be defined as main metadata MMT.

외부 IOT 단말기와의 통신에 따라 메인 데이터 유닛들(MDU) 중 어느 하나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업데이트부(224)는 업데이트된 메인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m5)의 기능 모듈(FM)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메인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버전 정보도 외부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되어 메인 메타 데이터(MMT)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When any one of the main data units (MDU) is updated according to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IOT terminal, the client update unit 224 uses the updated main data unit to update the function module FM of the client device 1m5. can be updated. 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pdated main data unit may also be received from the external IOT terminal and updated in the main metadata MMT.

서브 스토리지(240)는 메인 스토리지(230)와 구분되어 있다. 서브 스토리지(240)는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들(DU3, DU4),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들(DU3, DU4)에 각각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3, DUID4), 그리고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3, DUID4)에 각각 매핑되는 제 3 및 제 4 버전 정보들(VI3, VI4)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서 서브 스토리지(240)는 2개의 데이터 유닛들(DU3, DU4)을 저장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의 수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ub storage 240 is separated from the main storage 230 . The sub storage 240 is configured with third and fourth data unit identifiers DUID3 and DUID4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s DU3 and DU4 and 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s DU3 and DU4, respectively. ), and third and fourth version information VI3 and VI4 mapped to 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 identifiers DUID3 and DUID4, respectively. In FIG. 2 , the sub storage 240 is shown to store two data units DU3 and DU4 ,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number of data units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들(DU3, DU4)은 클라이언트 장치(1m5)의 기능 블록(FM)과 연관되지 않는 것들일 수 있다.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DU3, DU4)은 서브 데이터 유닛들(SDU)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3, DUID4)을 통해,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DU3, DU4)이 식별될 수 있다.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3, DUID4)은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버전 정보들(VI3, VI4)을 통해,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DU3, DU4)의 버전들이 식별될 수 있다.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된 버전 정보들(VI3, VI4)은 서브 메타 데이터(SMT)로서 정의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s DU3 and DU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may be those that are not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block FM of the client device 1m5 . The data units DU3 and DU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may be defined as sub data units SDU. Data units DU3 and DU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data unit identifiers DUID3 and DUID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 The data unit identifiers DUID3 and DUID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may be defined as a sub data list SDL. Versions of the data units DU3 and DU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version information VI3 and VI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 The version information VI3 and VI4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may be defined as sub metadata SMT.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한 양 IOT 단말기들 각각은 상대방의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와 메인 메타 데이터(MMT), 그리고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와 서브 메타 데이터(SMT)를 참조함으로써 상대방의 각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Each of the IOT terminals that have establish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fer to each other's main data list (MDL) and main metadata (MMT), and the sub data list (SDL) and sub metadata (SMT) of the other party's respective data unit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o obtain

도 4는 두 IOT 단말기들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IOT 단말기들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유닛을 공유한 후 IOT 단말기들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데이터는 제 1 IOT 단말기(110) 및 제 2 IOT 단말기(120)에 저장된 것으로 예시된다.4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data stored in each of two IOT terminals. 5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data stored in each of the IOT terminals after the IOT terminals of FIG. 4 share a data unit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ata shown in FIGS. 4 and 5 is exemplified as being stored in the first IO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IOT 단말기(110)의 메인 스토리지(230)는 제 1 메인 데이터 유닛들(MDU1),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 및 제 1 메인 메타 데이터(MMT1)를 저장하고, 제 1 IOT 단말기(110)의 서브 스토리지(240)는 제 1 서브 데이터 유닛들(SDU1), 제 1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1), 및 제 1 서브 메타 데이터(SMT1)를 저장한다. 제 1 메인 데이터 유닛들(MDU1)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포함하며,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을 포함하며, 제 1 메인 메타 데이터(MMT1)는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 1 서브 데이터 유닛들(SDU1)은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들(DU3, DU4)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1)는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3, DUID4)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메타 데이터(SMT1)는 제 3 및 제 4 버전 정보들(VI3, VI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1, 2 and 4 , the main storage 230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includes first main data units MDU1, a first main data list MDL1, and a first main meta The data MMT1 is stored, and the sub storage 240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includes the first sub data units SDU1, the first sub data list SDL1, and the first sub metadata SMT1. save the The first main data units MDU1 includ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and the first main data list MDL1 includes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 and the first main metadata MMT1 is exemplified a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The first sub data units SDU1 include third and fourth data units DU3 and DU4, and the first sub data list SDL1 includes third and fourth data unit identifiers DUID3 and DUID4. , and the first sub-meta data SMT1 is exemplified as including the third and fourth version information VI3 and VI4.

제 2 IOT 단말기(120)의 메인 스토리지(230)는 제 2 메인 데이터 유닛들(MDU2), 제 2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2), 및 제 2 메인 메타 데이터(MMT2)를 저장하고, 제 2 IOT 단말기(120)의 서브 스토리지(240)는 제 2 서브 데이터 유닛들(SDU2),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 및 제 2 서브 메타 데이터(SMT2)를 저장한다. 제 2 메인 데이터 유닛들(MDU2)은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들(DU5, DU6)을 포함하며, 제 2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2)는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5, DUID6)을 포함하며, 제 2 메인 메타 데이터(MMT2)는 제 5 및 제 6 버전 정보들(VI5, VI6)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 2 서브 데이터 유닛들(SDU2)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포함하며,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을 포함하며, 제 2 서브 메타 데이터(SMT2)는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The main storage 230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stores the second main data units MDU2, the second main data list MDL2, and the second main metadata MMT2, and the second IOT terminal The sub storage 240 of 120 stores the second sub data units SDU2 ,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 and the second sub metadata SMT2 . The second main data units MDU2 include fifth and sixth data units DU5 and DU6, and the second main data list MDL2 includes fifth and sixth data unit identifiers DUID5 and DUID6. , and the second main metadata MMT2 is exemplified as including fifth and sixth version information VI5 and VI6. The second sub data units SDU2 includ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and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includes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DUID2), and the second sub-meta data SMT2 is exemplified as including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제 1 및 제 2 IOT 단말기들(110, 120)은 서로 인접할 때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IOT 단말기들(110, 120) 각각의 공유 제어부(222)는 자신의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와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를 상대방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IOT 단말기들(110, 120) 각각의 공유 제어부(222)는 자신의 메인 메타 데이터(MMT)와 서브 메타 데이터(SMT)를 상대방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IOT terminals 110 and 120 may establis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OT terminals 110 and 120 may provide its own main data list (MDL) and sub data list (SDL) to the other party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OT terminals 110 and 120 may provide its own main metadata (MMT) and sub metadata (SMT) to the other party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제 2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2) 및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를 참조하여,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와 연관된 데이터 유닛이 제 2 IOT 단말기(120)에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리스트들(MDL2, SDL2)을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와 비교함으로써 판별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은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과 일치한다.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refers to the second main data list MDL2 and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received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the first client device ( It may be detected whether a data unit associated with 115 exists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This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ceived lists MDL2 and SDL2 with the first main data list MDL1. In FIG. 4 ,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included in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are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of the first main data list MDL1 . , DUID2).

이어서,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해당 데이터 유닛을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에 대응하는 제 2 IOT 단말기(120)의 버전 정보들(VI1’, VI2’)이 제 1 IOT 단말기(110)의 해당 버전 정보들(VI1, VI2)과 비교될 수 있다. 제 2 IOT 단말기(120)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이 제 1 IOT 단말기(110)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에 대응하는 요청을 제 2 IOT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 2 IOT 단말기(120)는 요청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제 1 IOT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IOT 단말기(12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을 제 1 IOT 단말기(110)에 더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스토리지 액세스부(223)를 통해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메인 스토리지(23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되었던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로 업데이트 및/또는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되었던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로 업데이트 및/또는 대체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selectively acquire the corresponding data unit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In embodiments, the version information VI1 ′, VI2 ′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is the corresponding version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 It may be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VI1 and VI2.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 and VI2 ′ stored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be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 VI2 stored in the first IOT terminal 110 . have. In this case,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acquire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 and DU2 ′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In embodiments,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transmit a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to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transmit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o the first IOT terminal 110 .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further transmit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to the first IOT terminal 110 in response to the request. In addition,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update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 and DU2 ′ to the main storage 230 through the storage access unit 223 .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are updat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as shown in FIG. 5 . and/or may be substituted.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are updated and/or updated to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as shown in FIG. 5 . or may be substituted.

실시 예들에서,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다양한 방식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식에 따라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이 패스될 때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과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을 메인 스토리지(23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검증이 페일될 때, 해당 데이터는 드롭 및/또는 폐기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 and when the verification is passed,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 and DU2 ′ and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 and VI2 ′ are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 can be updated. When a verification fails, that data may be dropped and/or discarded.

또한,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제 2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2) 및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를 참조하여,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와 연관되지 않지만 제 1 IOT 단말기(110)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제 2 IOT 단말기(120)에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제 2 메인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들(MDL2, SDL2) 중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의 식별자들을 제외한 식별자들, 그리고 그 버전 정보들을 제 1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1) 및 제 1 서브 메타 데이터(SMT1)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5, UDID6)은 제 1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1)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5, UDID6)에 대응하는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들(DU5, DU6)이 제 1 IOT 단말기(110)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데이터 유닛들임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refers to the second main data list (MDL2) and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but is not associated with the first client device 115, but the first It may be detected whether a new data unit that does not exist in the IOT terminal 110 exists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In this case, identifiers other than the identifiers of the first main data list MDL1 among the second main and sub data lists MDL2 and SDL2 and their version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first sub data list SDL1 and the first sub metadata. (SMT1) can be performed by comparing. In FIG. 4 ,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 identifiers DUID5 and UDID6 are not included in the first sub data list SDL1 . This means that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s DU5 and DU6 corresponding to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 identifiers DUID5 and UDID6 are new data units that do not exist in the first IOT terminal 110 . can do.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해당 데이터 유닛들을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5, UDID6)에 대응하는 요청을 제 2 IOT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 2 IOT 단말기(120)는 요청에 응답하여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들(DU5, DU6)을 제 1 IOT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IOT 단말기(12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제 5 및 제 6 버전 정보들(VI5, VI6)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제 1 IOT 단말기(110)의 공유 제어부(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들(DU5, DU6),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5, DUID6), 그리고 제 5 및 제 6 버전 정보들(VI5, VI6)을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할 수 있다.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acquire the corresponding data units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transmit a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 identifiers DUID5 and UDID6 to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IOT terminal ( 120 may transmit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s DU5 and DU6 to the first IOT terminal 110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further transmit the fifth and sixth version information VI5 and VI6 in response to the request. As shown in FIG. 5 ,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includes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s DU5 and DU6,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 identifiers DUID5 and DUID6, In addition, the fifth and sixth version information VI5 and VI6 may be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

마찬가지로, 제 2 IOT 단말기(120)의 공유 제어부(222)는 제 1 IOT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 및 제 1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1)를 참조하여, 제 2 클라이언트 장치(125)와 연관된 데이터 유닛이 제 1 IOT 단말기(110)에 존재하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유닛을 제 1 IOT 단말기(110)로부터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 2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2)의 식별자들(DUID5, DUID6)은 제 1 메인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들(MDL1, SDL1)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2 IOT 단말기(120)의 메인 스토리지(230)는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다.Similarly, 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refers to the first main data list MDL1 and the first sub data list SDL1 received from the first IO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client It may be detected whether a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device 125 exists in the first IOT terminal 110 , and the sensed data unit may be selectively obtained from the first IOT terminal 110 . In FIG. 5 , identifiers DUID5 and DUID6 of the second main data list MDL2 do not exist in the first main and sub data lists MDL1 and SDL1 . Accordingly, the main storage 230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not be updated.

제 2 IOT 단말기(120)의 공유 제어부(222)는 제 1 메인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들(MDL1, SDL1)을 참조하여, 제 2 클라이언트 장치(125)와 연관되지 않지만 제 2 IOT 단말기(120)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제 1 IOT 단말기(110)에 존재하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 유닛들을 제 1 IOT 단말기(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3, DUID4)은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들(DU3, DU4),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3, DUID4), 그리고 제 3 및 제 4 버전 정보들(VI3, VI4)은 제 2 IOT 단말기(120)의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1, DUID2)은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에 포함되어 있다. 이때, 해당 버전 정보가 추가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제 2 IOT 단말기(120)의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이 제 1 IOT 단말기(110)의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보다 높을 경우, 제 2 IOT 단말기(120)의 해당 데이터 유닛들(DU1’, DU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제 2 IOT 단말기(120)의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이 제 1 IOT 단말기(110)의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보다 낮다면, 제 2 IOT 단말기(120)의 해당 데이터 유닛들(DU1’, DU2’)은 제 1 IOT 단말기(110)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 유닛들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sharing control unit 222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refers to the first main and sub data lists MDL1 and SDL1 , but is not associated with the second client device 125 , but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It may be detected whether a new data unit that does not exist exists in the first IOT terminal 110 , and the detected data units may be acquired from the first IOT terminal 110 . In FIG. 5 , 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 identifiers DUID3 and DUID4 are not included in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 Accordingly, 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s DU3 and DU4, 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 identifiers DUID3 and DUID4, and the third and fourth version information VI3 and VI4 are the second IOT It may be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of the terminal 120 . In FIG. 5 ,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 identifiers DUID1 and DUID2 of the first main data list MDL1 are included in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version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referenced. When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 and VI2 ′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re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 VI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 the first 2 Corresponding data units DU1' and DU2' of the IOT terminal 120 may not be updated as shown in FIG. 5 . If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re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VI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The corresponding data units DU1 ′ and DU2 ′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be updated with data units obtained from the first IOT terminal 11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의 IOT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여 메인 및 서브 스토리지들에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제 1 IOT 단말기(110)가 제 2 IOT 단말기(120)와 인접하여 도 6의 단계들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는 않으나, 제 2 IOT 단말기(120)도 도 6의 단계들을 마찬가지로 수행할 수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data units from an external IOT terminal and storing them in main and sub sto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IOT terminal 110 of FIG. 1 is adjacent to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performs the steps of FIG. 6 . At this time, although no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also perform the steps of FIG. 6 similarly.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S11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인접한 제 2 IOT 단말기(1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한다.1 and 6 , in step S11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establish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djacent second IOT terminal 120 .

S12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와 인터랙션하여 제 2 IOT 단말기(120) 내에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와 연관된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는지 판별한다.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리스트에 기반하여 제 2 IOT 단말기(120) 내에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와 연관된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In step S12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interacts with the second IOT terminal 120 to determine whether a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first client device 115 exists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receives the list of data units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and the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first client device 115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based on the received list existence can be determined.

S13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판별된 데이터 유닛을 선택적으로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하여 메인 스토리지(230, 도 2 참조)에 저장 혹은 업데이트한다. 실시 예들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의 데이터 유닛의 버전이 제 1 IOT 단말기(110)의 그것보다 높을 때,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해당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3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selectively acquires the determined data unit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stores or updates it in the main storage 230 (refer to FIG. 2 ). In embodiments, the first IOT terminal 110 receives the data unit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when the version of the data unit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 can be obtained

S14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 중 다른 일부를 획득하여 메인 스토리지(230)와 구분된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한다.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와 연관되지 않지만 제 1 IOT 단말기(110)에 없는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제 2 IOT 단말기(120) 내에 존재하는지 판별하고, 판별된 데이터 유닛을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하여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리스트에 기반하여,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와 연관되지 않지만 제 1 IOT 단말기(110)에 없는 새로운 데이터 유닛이 제 2 IOT 단말기(120) 내에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In step S14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acquires another part of the data units stored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stores it in the sub storage 240 separated from the main storage 23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 new data unit that is not associated with the first client device 115 but does not exist in the first IOT terminal 110 exists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and returns the determined data unit. It may be obtained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stored in the sub storage 24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based on the list of data units received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 new data unit not associated with the first client device 115 but not in the first IOT terminal 11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t exists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S15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메인 스토리지(230)에 업데이트된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를 업데이트한다. 제 1 IOT 단말기(110)는 데이터 유닛을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에 제공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기능 모듈(FM, 도 2 참조)을 업데이트하도록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를 커맨드할 수 있다.In step S15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updates the first client device 115 using the data unit updated in the main storage 23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provide the data unit to the first client device 115 and use it to command the first client device 115 to update the function module (FM, see FIG. 2 ).

도 7은 외부의 IOT 단말기에 데이터 유닛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IOT 단말기(110)가 제 2 IOT 단말기(120)와 인접하여 도 7의 단계들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는 않으나, 제 2 IOT 단말기(120)도 도 7의 단계들을 마찬가지로 수행할 수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data units to an external IOT termina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IOT terminal 110 performs the steps of FIG. 7 adjacent to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At this time, although no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second IOT terminal 120 may also perform the steps of FIG. 7 similarly.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도 6의 S110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IOT 단말기(110)와 제 2 IOT 단말기(12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개설된 후에,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에 메인 및 서브 스토리지들(230, 240, 도 2 참조)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1 and 7, in step S210, aft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IO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tep S110 of FIG. 6, The first IOT terminal 110 provides a list of data units stored in the main and sub storages 230 and 240 (see FIG. 2 ) to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S22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공된 리스트의 데이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을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2 IOT 단말기(120)는 도 6의 S120단계 내지 S140단계의 제 1 IOT 단말기(110)의 동작들과 마찬가지로, 제공된 리스트의 데이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 유닛을 제 1 IOT 단말기(110)에 요청할 수 있다.In step S22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receive a request for at least one of the data units of the provided list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The second IOT terminal 120 selects at least one of the data units from the provided list, similar to the operations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in steps S120 to S140 of FIG. 6 , and sets the selected data unit to the first IOT A request may be made to the terminal 110 .

S23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요청된 데이터 유닛을 제 2 IOT 단말기(120)에 전송한다.In step S23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transmits the requested data unit to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한 양 IOT 단말기들은 서로 데이터 유닛을 교환할 수 있다.In this way, both IOT terminals that have establish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djacent to each other can exchange data units with each other.

도 8은 외부의 IOT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여 메인 및 서브 스토리지들에 저장하는 방법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S120단계 내지 S140단계에 포함되는 단계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준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receiving data units from an external IOT terminal and storing the data units in main and sub storages. FIG. 8 shows steps included in steps S120 to S140 of FIG. 6 in more detail.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에 자신의 메인 데이터 리스트(이하,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 도 4의 MDL1 참조) 및 자신의 서브 데이터 리스트(이하, 제 1 서브 데이터 리스트; 도 4의 SDL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32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제 2 IOT 단말기(120)의 메인 데이터 리스트(이하, 제 2 메인 데이터 리스트; 도 4의 MDL2 참조)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이하,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 도 4의 SDL2 참조)를 수신할 수 있다.1 and 8 , in step S31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transmits its main data list to the second IOT terminal 120 (hereinafter, the first main data list; see MDL1 in FIG. 4 )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its own sub data list (hereinafter, a first sub data list; see SDL1 of FIG. 4 ). In addition, in step S320, the first IOT terminal 110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to the main data list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hereinafter, the second main data list; see MDL2 in FIG. 4) and the sub A data list (hereinafter, a second sub data list; see SDL2 of FIG. 4 ) may be received.

S33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수신된 제 2 메인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들에서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의 식별자가 서치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그렇다면, 이는 제 2 IOT 단말기(120) 내에 제 1 클라이언트 장치(115)와 연관된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S340단계가 수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S360단계가 수행된다.In step S330, the first IOT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r of the first main data list is searched in the received second main and sub data lists. If so, this means that there is a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first client device 115 in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In this case, step S340 is performed. If not, step S360 is performed.

S310단계 내지 S330단계는 도 6의 S120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Steps S310 to S330 may be included in step S120 of FIG. 6 .

S34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서치된 식별자와 연관하여 제 2 IOT 단말기(120)가 자신보다 더 높은 버전을 가지는지 판별한다. 만약 그렇다면, S350단계가 수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S360단계가 수행된다.In step S34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IOT terminal 120 has a higher version than itself in association with the searched identifier. If so, step S350 is performed. If not, step S360 is performed.

S35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서치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데이터 유닛을 외부 IOT 단말기로부터 획득하여 메인 스토리지(230, 도 2 참조)에 업데이트한다.In step S35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acquires the data unit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identifier from the external IOT terminal and updates it in the main storage 230 (refer to FIG. 2 ).

S340단계 및 S350단계는 도 6의 S130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Steps S340 and S350 may be included in step S130 of FIG. 6 .

도 4에서,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의 식별자들(DUID1, DUID2) 각각이 제 2 서브 데이터 리스트(SDL2)에 존재한다. 제 2 IOT 단말기(120)의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이 제 1 IOT 단말기(110)의 제 1 및 제 2 버전 정보들(VI1, VI2)보다 높은 경우,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10)로부터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수신하고, 그것들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토리지(23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 2 IOT 단말기(110)로부터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은 메인 스토리지(230)에 저장되어 있던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을 대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의 버전 정보들(VI1’, VI2’)이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더 수신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과 함께 메인 스토리지(230)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In FIG. 4 , each of the identifiers DUID1 and DUID2 of the first main data list MDL1 exists in the second sub data list SDL2 . When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 and VI2 ′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re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version information VI1 , VI2 of the first IOT terminal 110 , the first 1 IOT terminal 110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10, and updates them to the main storage 230 as shown in FIG. can do. In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 and DU2 ′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10 are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stored in the main storage 230 . ) can be substituted. Version information VI1' and VI2'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are further received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as shown in FIG. The two data units DU1 ′ and DU2 ′ may be updated in the main storage 230 .

S36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메인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들 중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의 식별자와 일치하지 않는 식별자들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In step S360,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select at least some of the identifiers that do not match the identifier of the first main data list among the second main and sub data lists.

S37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선택된 식별자의 데이터 유닛을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하여 서브 스토리지(240, 도 2 참조)에 저장할 수 있다.In step S37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data unit of the selected identifier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store it in the sub storage 240 (refer to FIG. 2 ).

S360단계 및 S370단계는 도 6의 S140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Steps S360 and S370 may be included in step S140 of FIG. 6 .

도 4에서, 제 2 메인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들(MDL2, SDL2)의 식별자들(DUID1, DUID2, DUID5, DUID6) 중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5, DUID6)은 제 1 메인 데이터 리스트(MDL1)의 어떤 식별자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더불어,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 식별자들(DUID5, DUID6)은 제 1 서브 데이터 리스트(MDL2)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5 및 제 6 데이터 유닛들(DU5, DU6), 그리고 제 5 및 제 6 버전 정보들(VI5, VI6)을 제 2 IOT 단말기(120)로부터 획득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들을 서브 스토리지(240)에 저장할 수 있다.In FIG. 4 ,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 identifiers DUID5 and DUID6 among the identifiers DUID1 , DUID2 , DUID5 , and DUID6 of the second main and sub data lists MDL2 and SDL2 are the first main data list Does not match any identifier in (MDL1). In addition,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 identifiers DUID5 and DUID6 do not exist in the first sub data list MDL2. In this case, the first IOT terminal 110 obtains the fifth and sixth data units DU5 and DU6 and the fifth and sixth version information VI5 and VI6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and , may store them in the sub storage 240 as shown in FIG. 5 .

도 9는 도 2의 메인 스토리지 및 서브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다른 실시 예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data stored in the main storage and the sub storage of FIG. 2 .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는 각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인증자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9에서, 메인 스토리지(230)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인증자들(ATN1, ATN2)을 더 저장하고, 서브 스토리지(240)는 제 3 및 제 4 데이터 유닛들(DU3, DU4)에 각각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인증자들(ATN3, ATN4)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각 인증자는 개인 키(private key)와 같은 암호화 코드를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2 and 9 ,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may further store an authenticator corresponding to each data unit. In FIG. 9 , the main storage 230 further stores first and second authenticators ATN1 and ATN2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respectively, and the sub storage 240 . may further store third and fourth authenticators ATN3 and ATN4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d fourth data units DU3 and DU4, respectively. In this case, each authenticator may be data generated using an encryption code such as a private key.

나아가, 메인 스토리지(230)는 각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검증키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9에서, 메인 스토리지(230)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유닛들(DU1, DU2)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검증키들(VK1, VK2)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각 검증키는 개인 키에 대응하는 공개 키(public key)와 같은 임의의 코드를 사용하여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해당 인증자를 검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main storage 230 may additionally store a verification key corresponding to each data unit. 9 , the main storage 230 may store first and second verification keys VK1 and VK2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units DU1 and DU2, respectively. In this case, each verification key may be data generated using an arbitrary code such as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a private key, and may be used to verify a corresponding authenticator.

도 10은 도 8의 S340단계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340 of FIG. 8 .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S41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도 8의 S340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서치된 식별자와 연관하여 제 2 IOT 단말기(120)가 자신보다 더 높은 버전을 가지는지 판별한다. 만약 그렇다면, S420단계가 수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도 8의 S360단계가 수행된다.1 and 10, in step S410, the first IOT terminal 110 is associated with the searched identifi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tep S340 of FIG. 8, and the second IOT terminal 120 is more Determine if you have a higher version. If so, step S420 is performed. If not, step S360 of FIG. 8 is performed.

S42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서치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2 IOT 단말기(120)의 인증자를 해당 검증키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S430단계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검증키를 이용한 검증이 패스되는지 여부에 따라 도 8의 S350단계 또는 S360단계를 수행한다.In step S420 ,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verify the authenticator of the second IOT terminal 120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identifier using the corresponding verification key. In step S430, the first IOT terminal 110 performs step S350 or step S360 of FIG. 8 according to whether the verification using the verification key is passed.

실시 예들에서, 인증자는 도 8의 S320단계에서 제 2 메인 및 서브 데이터 리스트들과 함께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2 IOT 단말기(120)에 추가적으로 인증자를 요청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authenticator may be received together with the second main and sub data lists in step S320 of FIG. 8 .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IOT terminal 110 may additionally request an authenticator from the second IOT terminal 120 .

예를 들면, 도 4의 제 1 데이터 유닛(DU1’)에 대응하는 인증자(ATN, 도 9 참조)가 수신될 때, 제 1 IOT 단말기(110)는 제 1 검증키(VK1, 도 9 참조)를 이용하여 인증자(ATN)를 검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수신된 인증자(ATN)가 제 1 검증키(VK1)와 일치할 때 검증은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 1 검증키(VK1) 혹은 인증자(ATN)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해시(hash) 함수와 같은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를 인증자(ATN) 혹은 제 1 검증키(VK1)와 비교함으로써 검증의 패스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or ATN (refer to FIG. 9)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unit DU1' of FIG. 4 is received, the first IOT terminal 110 transmits the first verification key VK1, see FIG. 9 ) can be used to verify the authenticator (ATN). In embodiments, the verification may be passed when the received authenticator ATN matches the first verification key VK1. In other embodiments, an operation such as, for example, a hash function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verification key (VK1) or the authenticator (ATN), and the result of the operation is returned to the authenticator (ATN) or the first verification key ( By comparing with VK1),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verification passes or not.

도 11은 도 2의 IOT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IOT terminal of FIG. 2 .

도 11을 참조하면, 컴퓨터 장치(500)는 통신기(510), 제 1 불휘발성 메모리(520), 제 2 불휘발성 메모리(530), 프로세서(540), 및 시스템 메모리(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computer device 500 may include a communicator 510 , a first nonvolatile memory 520 , a second nonvolatile memory 530 , a processor 540 , and a system memory 550 . have.

컴퓨터 장치(500)는 통신기(510)를 통해 인접한 외부 IOT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프로세서(540)의 제어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서, 통신기(510)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LTE D2D 통신, RFID 통신, 마그네틱 보안 전송 통신, 지그비 통신, 적외선 통신과 같은 다양한 방식들의 근거리 무선 통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기(510)는 도 2의 통신기(210)로서 제공될 수 있다.The computer device 500 is configured to establis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external IO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or 510 , and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540 . In embodiments, the communicator 51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various types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LTE D2D communication, RFID communication,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and infrar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or 510 may be provided as the communicator 210 of FIG. 2 .

제 1 및 제 2 불휘발성 메모리들(520, 530) 각각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 및 플래시 메모리 등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들의 저장 매체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휘발성 메모리들(520, 530)은 각각 도 2의 메인 스토리지(230) 및 서브 스토리지(240)로서 제공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nonvolatile memories 520 and 530 may be at least one of various types of storage media capable of retaining data even when power is cut off, such as a hard disk drive, a solid state drive, and a flash memory. The first and second nonvolatile memories 520 and 530 may be provided as the main storage 230 and the sub storage 240 of FIG. 2 , respectively.

프로세서(500)는 범용 혹은 전용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기(510), 제 1 및 제 2 불휘발성 메모리들(520, 530), 그리고 시스템 메모리(55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The processor 500 may include either a general purpose or a dedicated processor,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communicator 510 , the first and second nonvolatile memories 520 and 530 , and the system memory 550 .

프로세서(500)는 실행될 때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을 제 1 불휘발성 메모리(520)로부터 시스템 메모리(550)에 로딩하고,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 메모리(550)는 프로세서(500)의 워킹 메모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추가적인 워킹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500 loads program codes and/or instruction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when executed from the first nonvolatile memory 520 into the system memory 550 and executes the loaded program codes and/or instructions. is composed For example, the system memory 550 may be provided as a working memory of the processor 500 . The processor 5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working memory.

프로세서(500)는 프로세서(500)에 의해 실행될 때 도 2, 도 6 내지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데이터 공유기(220) 혹은 IOT 단말기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데이터 공유 모듈(551)을 시스템 메모리(550)에 로딩하고, 로딩된 데이터 공유 모듈(551)을 실행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모듈(551)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예를 들면 통신기(510)를 통해 제공되고, 컴퓨터 장치(500)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프로세서(500)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장치(500)의 통신기(510) 및 제 1 및 제 2 불휘발성 메모리들(520, 530)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데이터 공유 모듈(551)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영체제(552)를 시스템 메모리(550)에 로딩하고, 로딩된 운영체제(552)을 실행할 수 있다. 운영체제(552)는 컴퓨터 장치(5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500 is a data sharing module 551 that,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500, performs the operations of the data sharer 220 or IOT termi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6 to 8, and 10 in the system. The memory 550 may be loaded and the loaded data sharing module 551 may be executed. The data sharing module 551 may be provided from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rough the communicator 510 , and installed in the computer device 500 . The processor 500 is a data sharing module 551 with components such as the communicator 510 and the first and second nonvolatile memories 520 and 530 of the computer device 500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500 . An operating system 552 providing an interface therebetween may be loaded into the system memory 550 and the loaded operating system 552 may be executed. The operating system 552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computer device 500 .

실시 예들에서, 시스템 메모리(55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및 다른 타입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system memory 5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other types of computer-readable media.

비록 특정 실시 예들 및 적용 례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erein,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is substrate as it grow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5: 비컨 단말기
110~130: 제 1 내지 제 3 IOT 단말기들
115~135: 제 1 내지 제 3 클라이언트 장치들
210: 통신기
220: 데이터 공유기
230: 메인 스토리지
240: 서브 스토리지
105: beacon terminal
110 to 130: first to third IOT terminals
115 to 135: first to third client devices
210: communicator
220: data sharer
230: main storage
240: sub storage

Claims (14)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기;
제 1 스토리지;
상기 제 1 스토리지와 분리된 제 2 스토리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리지들, 그리고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제 1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랙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되지 않는 제 2 데이터 유닛들의 존재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획득하여 상기 제 2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or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irst storage;
a second storage separate from the first storag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storages and the communicator;
The processor is
establish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or;
Interact wit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irst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and second data units no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among data units stored in the first external terminal do;
selectively acquir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it in the first storage;
obtaining the second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them in the second storage;
update the client device using the first data uni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nd provide at least some of the second data units from the second storage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지의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스토리지의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establish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or;
and provide at least one list representing the first data unit in the first storage and the second data units in the second storage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리스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receive the list of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detect the presence of the first data unit and the second data unit among the data units according to the lis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식별자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리스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torage is configured to store an identifier;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first one of the data units by comparing the identifier to the l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버전을 나타내는 제 1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버전을 나타내는 제 2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메타 데이터를 상기 제 1 메타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orage is configured to store first metadata indicative of a version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The processor is
receive second metadata indicating a version of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pare the second metadata with the first metadata;
and obtain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based on a result of the comparis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검증키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상기 검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의 패스 여부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torage is configured to further store a verification key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The processor is
further receiving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verify the authentication data using the verification key;
and obtain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further based on whether the verification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establis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lien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or;
and provide the first data unit to the client device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update the client device.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외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랙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되지 않는 제 2 데이터 유닛들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제 1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획득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지와 구분되는 제 2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comprising: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first external terminal;
Interact with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irst data uni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and second data units not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among data units stored in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o do;
selectively acquir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the first data unit in a first storage;
obtaining the second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and storing them in a second storage separate from the first storage;
updating the client device using the first data unit stored in the first storage; and
and providing at least some of the second data units from the second storage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개설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토리지의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스토리지의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상기 제 2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establish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t least one list representing the first data unit of the first storage and the second data units of the second storage to the second external terminal.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 및 상기 제 2 데이터 유닛들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first data unit and the second data unit comprises:
receiving the list of data units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first data unit and the second data units among the data units according to the lis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의 버전을 나타내는 제 1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버전을 나타내는 제 2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타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타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first metadata indicating a version of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rst storage is configured to store second metadata indicative of a version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The step of storing in the first storage comprises:
comparing the first metadata with the second metadata; and
and obtain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based on a result of the comparis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관된 검증키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의 패스 여부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제 1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Receiving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rst storage is configured to further store a verification key associated with the client device;
Obtaining the first data unit comprises:
verifying the authentication data using the verification key; and
and obtaining the first data unit from the first external terminal further based on whether the verification has passed.
KR1020200043826A 2020-04-10 2020-04-10 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KR1023027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26A KR102302765B1 (en) 2020-04-10 2020-04-10 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26A KR102302765B1 (en) 2020-04-10 2020-04-10 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765B1 true KR102302765B1 (en) 2021-09-15

Family

ID=7779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826A KR102302765B1 (en) 2020-04-10 2020-04-10 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7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532A (en) * 2013-01-18 2015-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eer-to-peer software updates
US20180152234A1 (en) * 2015-05-15 2018-05-31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relay, d2d user equipment and control no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532A (en) * 2013-01-18 2015-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eer-to-peer software updates
US20180152234A1 (en) * 2015-05-15 2018-05-31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relay, d2d user equipment and control n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7820B2 (en) Peer-to-peer syncable storage system
US10645568B2 (en) Carrier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7523136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automatic synchroniz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98833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networks
KR102534209B1 (en) Vehicle update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534024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ared file storage
WO20181075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ile between different terminals
CN102523282A (en) Mobile terminal data sharing method, apparatus thereof and network server
US20120143943A1 (en) Cloud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2801800A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esource sharing processing among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CN105187523A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directory
WO2023000967A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02761940A (en) 802.1X authentication method and equipment
KR102302765B1 (en) Wireless-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o control client device
US118054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updating binary data in vehicle
CN111124316B (en) Storage space shar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5043231A (en) Data protection method, circuit card,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EP3403370B1 (en) 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894507B2 (en) Automatic data exchange between peer devices
US20140279887A1 (en) Virtual storage gate system
US116719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 management in blockchain based iot network
CN113242060B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5250186B (en) Network connection authentica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699947B1 (en) Link system for remote host terminals and Portable USB memory apparatus
US20110270928A1 (en) Data sharing operation between storage device and host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