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739B1 -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739B1
KR102302739B1 KR1020190146639A KR20190146639A KR102302739B1 KR 102302739 B1 KR102302739 B1 KR 102302739B1 KR 1020190146639 A KR1020190146639 A KR 1020190146639A KR 20190146639 A KR20190146639 A KR 20190146639A KR 102302739 B1 KR102302739 B1 KR 10230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calf
age
blood
diarrh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331A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haematocr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하여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생 송아지의 혈액을 분석하여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상기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A Method for Determining of Health Status of Neonatal Calves by using an Index of Biolog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포유기 시기인 정상 송아지와 설사 송아지 각각의 일령 변화에 따른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화된 정상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 및 설사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설사증에 대해 조기에 예방하거나 치료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생 1개월 이내의 신생송아지 설사병(Neonatal Calf Diarrhea, NCD)는 신생송아지의 성장 장애 또는 사망의 흔한 원인이 되는 질병으로, 신생송아지 설사병에 걸린 송아지의 1개월 이내 사망률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설사병의 발생요인에 따라 생체 내의 수분이나 주요 전해질들의 소실 또는 축적을 유발하는데, 체중이 적은 1개월 이내의 신생송아지들은 이러한 수분 및 주요 전해질들의 변화가 생명에 더욱 치명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출생 1개월 이내의 신생 송아지는 이러한 질병으로 인한 폐사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 시기의 사양 관리에 있어서 설사증과 같은 소화기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 송아지의 설사병 등의 소화기 질병에 대해 효율적인 예방, 치료 및 관리를 위해서는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등의 생체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성혈액상에 관한 연구가 성우를 대상으로 수행된 것이 대부분이고 성우의 혈액 및 전해질에 대한 정상 범위만을 제시하고 있어, 신생송아지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부적합하였으며, 일령에 따른 생체정보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다.
한편, 최근 들어 채혈에서 검사 결과의 분석까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i-STAT와 같은 휴대용 혈액 분석기가 보급되면서 축산 농가 현장에서도 혈액 분석을 통해 송아지들의 즉각적인 건강상태의 파악이 가능해졌으므로,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신생 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전해질의 생체정보에 대한 기준 지표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포유기 시기인 정상 송아지와 설사 송아지 각각의 일령 변화에 따른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화된 정상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 및 설사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설사증에 대해 조기에 예방하거나 치료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은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하여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생 송아지의 혈액을 분석하여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상기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신생 송아지의 혈액을 분석하여 헤마토크리트(HCT), 적혈구 수(RBC), 헤모글로빈(Hb),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림프구(Lymphocyte), 단핵 백혈구(Monocyte), 혈액 요소 질소(BUN), 글루코스(Glucose), Na+, K+, Cl-, pH, 중산탄이온(HCO3 -), Anion Gap 및 BE(Base Excess) 중 하나 이상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생 송아지가 정상송아지일 경우,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상기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건강상태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는 일령별에 따른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가 상기 신생 송아지의 일령에 대응되는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건강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생 송아지가 설사 송아지일 경우,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상기 신생 송아지의 설사증상태를 판단하는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보다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헤마토크리트(HCT),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단핵 백혈구(Monocyte) 및 혈액 요소 질소(BUN) 중 하나 이상이 증가되어 있을 경우; 및 상기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보다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중산탄이온(HCO3 -), BE(Base Excess) 및 pH 중 하나 이상이 감소되어 있을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에 따라 설사증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은 포유기 시기인 정상 송아지와 설사 송아지 각각의 일령 변화에 따른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화된 정상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 및 설사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설사증에 대해 조기에 예방하거나 치료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설사증의 발병률 및 폐사율을 줄일 수 있으며, 포유기 시기에 송아지를 건강하게 사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의 (a) 내지 (c)는 일령별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혈액을 RBC profile 검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따른 HCT, RBC 및 Hb의 기준치 그래프.
도 3의 (a) 내지 (d)는 일령별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혈액을 WBC profile 검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따른 WBC, Neutrophil, Lymphocyte 및 Monocyte의 기준치 그래프.
도 4의 (a) 내지 (e)는 일령별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혈액을 I-STAT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따른 BUN, Glucose, Na+, K+ 및 Cl-의 기준치 그래프.
도 5의 (a) 내지 (d)는 일령별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혈액을 혈액 가스 검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따른 pH, HCO3 -, Anion Gap 및 BE(Base Excess)의 기준치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유기 시기인 정상 송아지의 일령 변화에 따른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화된 정상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기준치로 제공함으로써,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뿐만 아니라 포유기 시기인 설사 송아지(설사증에 걸린 송아지)의 일령 변화에 따른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 또한 분석하고 데이터화하여 설사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설사증에 걸린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설사증 상태를 좀더 자세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사증에 대해 조기에 예방하거나 정확한 치료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설사증의 발병률 및 폐사율을 줄일 수 있으며, 포유기 시기에 송아지를 건강하게 사육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은 채취단계(S100), 분석단계(S200) 및 판단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취단계(S100)는 건강상태 또는 설사증에 대한 판단을 하고자 하는 신생 송아지로부터 체혈을 통해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여기서, 신생 송아지는 생후 30일령 이내의 해당되는 송아지를 지칭하는 것이다.
분석단계(S200)는 S100 단계에서 채취한 신생 송아지의 혈액을 혈액검사를 통해 분석하여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혈액검사(CBC 검사)는 IDEXX ProCyte Dx(IDEXX Laboratories)를 이용한 RBC profile 검사, WBC profile 검사와 i-STAT(EC8+ 카트리지)를 이용한 주요전해질 측정 검사 등 일 수 있다.
즉, RBC profile 검사로서 적혈구 수(RBC count), 헤마토크리트(Hematocrit, HCT),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MCV, MCHC, Red Cell Distribution(RDW)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WBC profile 검사로서 백혈구 수(WBC count)와 뉴트로필(Neutrophil), 림프구(Lymphocyte), 단핵 백혈구(Monocyte) 등에 대한 총수와 그 백분율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주요전해질 측정 검사로서 Na+, K+, Cl-, HCO3 -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헤마토크리트(HCT), 적혈구 수(RBC), 헤모글로빈(Hb),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림프구(Lymphocyte), 단핵 백혈구(Monocyte), 혈액 요소 질소(BUN), 글루코스(Glucose), Na+, K+, Cl-, pH, 중산탄이온(HCO3 -), Anion Gap 및 BE(Base Excess) 중 하나 이상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더 다양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에 대한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에 대한 생체정보는 헤마토크리트(HCT), 적혈구 수(RBC), 헤모글로빈(Hb),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림프구(Lymphocyte), 단핵 백혈구(Monocyte), 혈액 요소 질소(BUN), 글루코스(Glucose), Na+, K+, Cl-, pH, 중산탄이온(HCO3 -), Anion Gap 및 BE(Base Excess)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판단단계(S300)는 S200 단계에서 획득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 지표는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설사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S300 단계는 건강상태 판단단계 및 설사증상태 판단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단계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건강상태 판단단계는 S200 단계에서 획득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신생 송아지는 설사증이 걸리지 않은 정상상태의 송아지 즉, 정상송아지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강상태 판단단계는 좀더 다양한 시각에서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설사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같이 이용하여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설사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는 일령별에 따른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들과 일령별에 따른 설사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들을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하기 표 1과 같이 일령별에 따른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 일령별에 따른 설사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일령은 3구간으로 나눠져 이루어질 수 있는데, 1Stag: 1 ~ 10일령, 2Stage: 11~20일령, 3Stage: 21~30일령으로 구분될 수 있다.
Figure 112019117410222-pat00001
이와 같은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하여 건강상태 분석단계는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데, S200 단계에서 획득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가 신생 송아지의 일령에 대응되는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건강상태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건강상태 분석단계는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획득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에서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 기준치를 벗어나는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이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 이상 정보는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에서 기준치를 벗어나는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 기준치와 각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간의 수치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S200 단계에서 획득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신생송아지의 설사증상태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신생 송아지는 설사증이 걸린 송아지 즉, 설사송아지일 수 있다.
이러한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S200 단계에서 획득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신생 송아지의 설사증상태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즉,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와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의 차이 정도에 따라 설사증상태를 경증, 중증 또는 초기, 중기, 말기 등으로 좀더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보다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헤마토크리트(HCT),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단핵 백혈구(Monocyte) 및 혈액 요소 질소(BUN) 중 하나 이상이 증가되어 있을 경우와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중산탄이온(HCO3 -), BE(Base Excess) 및 pH 중 하나 이상이 감소되어 있을 경우와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적혈구 수(RBC), 헤모글로빈(Hb), 림프구(Lymphocyte) 및 Anion Gap 중 하나 이상이 증가되어 있을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에 따라 설사증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증가 정도 또는 감소 정도의 크기에 따라 설사증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글루코스(Glucose), Na+, K+ 및 Cl- 중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하여 설사증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보다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헤마토크리트(HCT),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단핵 백혈구(Monocyte) 및 혈액 요소 질소(BUN) 중 하나 이상이 증가되어 있을 경우와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중산탄이온(HCO3 -), BE(Base Excess) 및 pH 중 하나 이상이 감소되어 있을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에 따라 설사증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사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같이 이용하여 설사증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S300 단계에서 도출된 건강상태에 대한 판단 정보 또는 설사증상태에 대한 판단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설사증상태에 대한 판단 정보에 따라, 바람직한 대처 방안으로 대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대처 정보는, 필요한 수액량, 투여해야 할 HCO3 - 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 영양분, 사료량, 적정 pH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판단 방법은 사람에 의해 직접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단말 등을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입력하면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은 포유기 시기인 정상 송아지와 설사 송아지 각각의 일령 변화에 따른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화된 정상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 및 설사 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설사증에 대해 조기에 예방하거나 치료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설사증의 발병률 및 폐사율을 줄일 수 있으며, 포유기 시기에 송아지를 건강하게 사육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일령별에 따른 정상 송아지와 설사 송아지의 생체정보 분석
1) 신생 송아지에서 정상 송아지 선정 및 일령분류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송아지의 생체정보 변화를 분석하고, 설사송아지와의 생체정보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의 7개 농장에서 생후 30일 내의 건강한 송아지와 설사증에 걸린 송아지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일령별 3단계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여기서 일령별 3단계는 1Stag: 1 ~ 10일령, 2Stage: 11~20일령, 3Stage: 21~30일령로 구성하였다.
2) 혈액 채취
혈액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선정된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로부터 각각 체혈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였다.
3) Red Blood Cells Profiles Analysis
상기 2)에서 채취한 혈액을 RBC profile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 송아지의 생체정보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HCT(%)는 1~10일령에서 31.7(±5.7), 11~20일령에서 30.3(±5.5), 21~30일령에서 35.5(±7.0)로 나타났으며, 성우의 기준치인 23~31.0 보다 다소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BC(red blood cell count, ×106/㎕) 수는 1~10일령에서 8.7(±1.2), 11~20일령에서 8.8(±1.2), 21~30일령에서 10.1(±1.4)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인 4.6~6.9보다 매우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b 농도(g/㎗)는 1~10일령에서 10.7(±1.6), 11~20일령에서 10.1(±1.4), 21~30일령에서 11.2(±1.8)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인 8.8~12.5와 유사하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CV(fL)은 1~10일령에서 35.2(±3.1), 11~20일령에서 33.8(±5.5), 21~30일령에서 36.1(±3.6)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인 40~53 보다 낮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CHC(g/㎗)는 1~10일령에서 33.8(±1.5), 11~20일령에서 34.2(±3.9), 21~30일령에서 31.3(±1.4)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인 36~40 보다 다소 낮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DW(%)는 1~10일령에서 39.2(±3.1), 11~20일령에서 43.3(±3.1), 21~30일령에서 42.5(±3.0)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인 16~21 보다 매우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HCT, RBC, Hb, MCV 값의 일령별 변화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그 결과 값들이 11~20일령에서 다소 감소했다가 21~30일령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MCHC, RDW 값들은 11~20일령에서 다소 증가했다가 21~30일령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들 검사항목에 대한 각 개체 값들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Hb 값들은 성우의 기준 참조범위 내에 유사하게 분포하지만, RBC, HCT, MCV, MCHC, RDW 값들은 제시된 참조 범위를 벗어나는 경향을 보여 성우들의 결과 값과 많은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생체정보 차이를 분석하고 핵심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생체정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설사송아지에서 HCT(%), RBC(red blood cell count, ×106/㎕) 수, Hb 농도(g/㎗)는 정상송아지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White Blood Cells Profile s Analysis
상기 2)에서 채취한 혈액을 WBC profile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 송아지의 생체정보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WBC(×103/㎕) 수는 1~10일령에서 10.1(±4.2), 11~20일령에서 12.7(±3.4), 21~30일령에서 11.4(±2.8)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와 비교했을 때 다소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eutrophil(×103/㎕)의 총 수는 1~10일령에서 6.3±(3.1), 11~20일령에서 70(±3.0), 21~30일령에서 5.1(±1.8)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에 비하여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ymphocyte(×103/㎕)의 총수는 1~10일령에서 3.6(±1.6), 11~20일령에서 5.1(±1.5), 21~30일령에서 5.4(±1.2)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에 비하여 다소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tnocyte(×103/㎕)의 총수는 1~10일령에서 0.1(±0.2), 11~20일령에서 0.3(±0.4), 21~30일령에서 0.5(±0.5)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와 유사하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osinophil(×103/㎕)의 총수는 1~10일령에서 0.1(±0.2), 11~20일령에서 0.3(±0.4), 21~30일령에서 0.5(±0.5)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와 유사하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ophil(×103/㎕)의 총수는 1~10일령에서 0.1(±0.2), 11~20일령에서 0.0(±0.1), 21~30일령에서 0.0(±0.0)로 나타났으며, 앞서 보고된 성우의 기준치와 유사하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일령 증가에 따라 WBC의 구성 비율의 변화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Neutrophil은 서서히 감소하는 반면, Lymphocyte는 서서히 증가하였고, Monocyte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생체정보 차이를 분석하고 핵심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생체정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설사송아지에서 WBC(×103/㎕) 수, Neutrophil(×103/㎕)의 총 수, Lymphocyte(×103/㎕)의 총 수, Motnocyte(×103/㎕)의 총수는 정상송아지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Electrolyte and Chemistry Analysis
상기 2)에서 채취한 혈액을 I-STAT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 송아지의 생체정보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BUN(㎎/㎗)은 1~10일령에서 9.8(±4.8), 11~20일령에서 9.0(±3.1), 21~30일령에서 8.1(±2.7)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우에 비하여 매우 낮게 관찰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Glucose(㎎/㎗)는 1~10일령에서 104.6(±18.7), 11~20일령에서 109.05(±18.4), 21~30일령에서 109.0(±20.5)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우의 기준치에 비하여 매우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Na+(mmol/L)은 1~10일령에서 142.7(±3.6), 11~20일령에서 139.0(±3.1), 21~30일령에서 139.6(±1.6)으로 나타나, 성우의 기준치 내에서 관찰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관찰된 분석값들은 성우의 기준치 범위보다도 훨씬 더 좁은 영역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mmol/L)은 1~10일령에서 5.8(±0.5), 11~20일령에서 5.3(±0.7), 21~30일령에서 5.0(±0.6)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mmol/L)은 1~10일령에서 99.4(±2.3), 11~20일령에서 98.3(±2.2), 21~30일령에서 98.9(±2.3)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성우의 기준치 내에서 다소 낮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brinogen(㎎/㎗)은 1~10일령에서 593(±234), 11~20일령에서 379(±218), 21~30일령에서 321(±219)로 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성우의 기준치와 유사하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생체정보 차이를 분석하고 핵심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생체정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설사송아지에서 BUN(㎎/㎗)은 정상송아지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lucose(㎎/㎗)는 설사송아지에서 정상송아지보다 1~10일령에서 감소, 11~20일령에서 감소, 21~30일령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mmol/L)은 설사송아지에서 정상송아지보다 1~10일령에서 감소, 11~20일령에서 다소 증가, 21~30일령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mmol/L)은 설사송아지에서 정상송아지보다 1~10일령에서 증가, 11~20일령에서 감소, 21~30일령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l-(mmol/L)은 설사송아지에서 정상송아지보다 1~10일령에서 증가, 11~20일령에서 증가, 21~30일령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6) Blood Gas Analysis
상기 2)에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 가스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 송아지의 생체정보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HCO3 -(mmol/L)는 1~10일령에서 31.7±(2.6), 11~20일령에서 39.3(±4.1), 21~30일령에서 29.9(±2.6)로 관찰되어 성우의 기준치보다 다소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ion gap(mmol/L)은 1~10일령에서 17.4(±4.4), 11~20 일령에서 16.7(±4.3), 21~30 일령에서 15.8(±2.4)로 일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성우의 기준치와 유사하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e Excess는 1~10일령에서 6.1(±2.7), 11~20일령에서 3.6(±4.5), 21~30 일령에서 4.1(± 2.9)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는 1~10일령에서 7.41(±0.0), 11~20일령에서 7.38(±0.1), 21~30일령에서 7.38(±0.0)으로 나타났으며, 성우의 기준치 내에서 관찰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관찰된 분석값들은 성우의 기준치 범위보다도 훨씬 더 좁은 영역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CO2(㎜Hg)는 1~10일령에서 49.4(±3.4), 11~20일령에서 48.5(±3.9), 21~30일령에서 51.2(±3.4)로 관찰되었으며, 성우의 기준치에 비하여 다소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CO2(mEq/L)는 1~10 일령에서 32.2(±2.3), 11~20일령에서 31.4(±4.2), 21~30 일령에서 32.3(± 1.9)으로 관찰되었고, 성우의 기준치에 비하여 다소 높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령 변화에 따른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생체정보 차이를 분석하고 핵심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생체정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설사송아지에서 HCO3 -(mmol/L), Base Excess 및 pH는 정상송아지보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설사송아지에서 Anion gap(mmol/L)은 정상송아지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유의적 생체정보 선별 및 일령별에 따른 정상 송아지와 설사 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 제시
상기 3) 내지 6)에서 일령 변화에 다른 정상 송아지의 생체정보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함에 따라, 이 중 유의적 의미를 갖는 생체정보는 헤마토크리트(HCT), 적혈구 수(RBC), 헤모글로빈(Hb),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림프구(Lymphocyte), 단핵 백혈구(Monocyte), 혈액 요소 질소(BUN), 글루코스(Glucose), Na+, K+, Cl-, pH, 중산탄이온(HCO3 -), Anion Gap 및 BE(Base Excess)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기 3) 내지 6)에서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생체정보 차이를 분석하고 핵심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생체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설사증상태에 대한 분석적 성능으로 유의적 의미를 갖는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는 헤마토크리트(HCT), 백혈구 수(WBC), 뉴트로필(Neutrophil), 단핵 백혈구(Monocyte), 혈액 요소 질소(BUN), 글루코스(Glucose), pH, 중산탄이온(HCO3 -), BE(Base Excess)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유의적인 의미를 갖는 생체정보의 일령별에 따른 변화는 하기 표 2 내지 표 5와 같이 나타났고, 이에 따른 일령별에 따른 정상송아지와 설사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는 도 2 내지 도 5와 같다. 이때, 도 2 내지 도 5의 그래프는 BE(Base Excess)를 제외하고 표 2 내지 5에서 기준치로 활용되기에 의미 있는 값이 아닌 음의 값을 제외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9117410222-pat00002
Figure 112019117410222-pat00003
Figure 112019117410222-pat00004
Figure 112019117410222-pat000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하여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생 송아지의 혈액을 혈액검사를 통해 분석하여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단계 및
    시스템이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입력 받아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상기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신생 송아지의 혈액을 혈액검사를 통해 분석하여 Na+, K+, Cl-, pH, 중산탄이온(HCO3 -), Anion Gap 및 BE(Base Excess) 중 하나 이상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생 송아지가 정상송아지일 경우,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상기 신생 송아지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건강상태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는,
    일령별에 따른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가 상기 신생 송아지의 일령에 대응되는 정상송아지의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건강상태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신생 송아지가 설사 송아지일 경우,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를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와 비교하여 상기 신생 송아지의 설사증상태를 판단하는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증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보다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중산탄이온(HCO3 -), BE(Base Excess) 및 pH 중 하나 이상이 감소되어 있을 경우; 및
    상기 정상송아지 생체정보 지표보다 상기 혈액상 및 주요 전해질 생체정보의 Anion Gap이 증가되어 있을 경우; 중 하나 이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에 따라 설사증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KR1020190146639A 2019-11-15 2019-11-15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KR10230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639A KR102302739B1 (ko) 2019-11-15 2019-11-15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639A KR102302739B1 (ko) 2019-11-15 2019-11-15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31A KR20210059331A (ko) 2021-05-25
KR102302739B1 true KR102302739B1 (ko) 2021-09-14

Family

ID=7614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639A KR102302739B1 (ko) 2019-11-15 2019-11-15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470A (ko) 2022-06-07 2023-12-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송아지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균주와, 이를 포함하는 설사증 예방 및 완화 제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수두, 조광현, 어경연, 곽동미, & 권오덕. (2015). 한우 송아지의 성장에 따른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수의학회지, 32(4), 392-39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470A (ko) 2022-06-07 2023-12-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송아지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균주와, 이를 포함하는 설사증 예방 및 완화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31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rrechaga et al. Erythrocyte and reticulocyte indices in the assessment of erythropoiesis activity and iron availability
Brugnara Use of reticulocyte cellular indic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matological disorders
Brugnara Reticulocyte cellular indices: a new approach in the diagnosis of anemias and monitoring of erythropoietic function
EP2202523B1 (en) Diagnosis assisting system
Lewis et al. Reference ranges and normal values
Urrechaga et al. Analysis of reticulocyte parameters on the Sysmex XE 5000 and LH 750 analyzers in the diagnosis of inefficient erythropoiesis
Tornquist Hematology of camelids
KR102302739B1 (ko) 신생 송아지의 생체정보 지표를 이용한 건강상태 판단 방법
Milcic The complete blood count
Brimble et al. Effect of chronic kidney disease on red blood cell rheology
Ceylan et al. Evaluation of reticulocyte parameters in iron deficiency, vitamin B12 deficiency and β‐thalassemia minor patients
Mir et al. Hemato-biochemical indices of crossbred cows during different stages of pregnancy.
Dimço et al. Effect of pregnancy in hematological profile of dogs
Lazarus et al. Kinetics of erythrogenesis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Nasybullina et al. Expert diagnostic system for hemoglobinopathies using the data on blood, erythrocyte, and hemoglobin state
Ervasti et al. In patients who have stainable iron in the bone marrow an elevated plasma transferrin receptor value may reflect functional iron deficiency
Urrechaga et al. Sigma metric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complete blood counts
Isenberg et al. Haematological aspects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 reappraisal using automated methods
Miknienė et al. Evaluation of blood biochemistry, morphology and the amount of isthmuses in the eosinophils nuclei for standard dark mink (Mustela vision)
Urrechaga The Influence of iron status in Hba1c analysis
Lee et al. Establishing Reference Intervals for Complete Blood Cell Count in Healthy Korean Elderly Individuals
US11340212B2 (en) Biological fluid composition categorization method
Finn et al. Flow cytometric validation of automated differentials in pediatric patients.
Jain et al. A prospective study for comparison of hematological parameters in healthy young adult and elderly age group subjects
Nila GAMBARAN MORFOLOGI SEL ERITROSIT PADA MAHASISWI SAAT MENSTRUA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