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564B1 - 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 Google Patents

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564B1
KR102300564B1 KR1020200158274A KR20200158274A KR102300564B1 KR 102300564 B1 KR102300564 B1 KR 102300564B1 KR 1020200158274 A KR1020200158274 A KR 1020200158274A KR 20200158274 A KR20200158274 A KR 20200158274A KR 102300564 B1 KR102300564 B1 KR 10230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assage
vacuum
vacuum ejec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석근
정지홍
황규건
Original Assignee
홍스웍스 주식회사
황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스웍스 주식회사, 황규건 filed Critical 홍스웍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ejector comprises: an inlet port formed in a first side of a body; an outlet port formed in a second side of the body; and at least one suction port formed in a third side of the body. The interior of the body includes: a gas passage having 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moves, a nozzle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and a gas passage including a diffuser for receiving the gas from the nozzle; and a vacuum forming line having a vacuum forming passage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gas passage through at least one suc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suctioned from the at least one suction port passes. The vacuum ejector is formed by a 3D printing layered manufacturing technique. In the gas passag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passage and one end of the diffus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ibs. Therefore, productiv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Description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된 진공 이젝터{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본 발명은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된 진공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진공 이젝터는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기체가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면서 흡입포트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베르누이 정리를 응용하여 대상체에 진공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특히, 공압만으로 진공을 만들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A vacuum ejector is a device (a device that forms a vacuum in an object by applying Bernoulli's theorem) to the suction port as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a device that

진공 이젝터는 본체부 내부의 기체(압축공기)가 흐르는 라인이 복잡하게 구성될 수밖에 없는데 종래의 절삭 가공 및 부품의 결합 방식으로는 진공 이젝터를 소형화하여 제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The vacuum ejector is inevitably composed of a complicated line through which the gas (compressed air) flows inside the main body.

또한, 종래의 진공 이젝터는 절삭 가공 및 부품 간의 결합으로 제작되고 플라스탁 소재(ABS)로 외부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acuum ejector is manufactured by cutting and bonding between parts, and there is a problem in durability, which is easily damaged by external impact with plastic material (ABS).

종래 진공 이젝터가 가지는 내구성 문제를 극복하고 제품을 경량화하고 부품을 통합 설계하여 생산성도 향상 및 개선할 수 있는 진공 이젝터가 요구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제안된 적이 없었다.A vacuum ejector capable of overcoming the durability problem of the conventional vacuum ejector, reduc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integrating the parts to improve and improve productivity is required, but it has not been specifically proposed yet.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384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61384

한국 등록특허 제10-135176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1768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된 진공 이젝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포트;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상기 유입포트와 동일축선상으로 형성된 흡입포트;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흡입포트 주위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이동하는 유입유로,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기체를 공급받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기체이동로와, 상기 기체이동로 타측에 형성된 제1분기부, 상기 제1분기부에 연통되며 상기 복수의 배출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로로 이루어지는 기체이동라인; 및 상기 흡입포트 일측에 형성되는 제2분기부, 상기 제2분기부에 연통되는 복수의 제2분기로, 상기 복수의 제2분기로 각각에 연통되며 상기 기체이동로 일측과 연통되는 진공형성로가 구비된 진공형성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 이젝터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체이동로에서 상기 유입유로의 외주면과 상기 디퓨저의 일측 말단은 복수개의 리브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vacuum ej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 inlet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suction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on the same axis as the inlet por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cludes 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moves, a nozzle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and a nozzle connected to the inlet. A gas passage comprising a gas passage including a diffuser supplied with gas, a first branch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s passage, and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that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branch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line; and a second branch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a plurality of second branches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ranch, and a vacuum forming furnace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branches and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gas passageway and a vacuum forming line provided with, wherein the vacuum ejector is formed by a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in the gas flow pa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path and one end of the diffuser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ibs.

상기 진공 이젝터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로 유입되는 기체의 직진성을 강화하기 위한 와류부재를 구비한다. 진공 이젝터는, 상기 진공형성로는 상기 노즐이 있는 측에서 상기 기체이동로와 연통되고 상기 진공형성로와 상기 기체이동로가 연통되는 부근에 상기 디퓨저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 모양의 역류방지부를 더 구비한다.In the vacuum ejector, the nozzle is provided with a vortex member for enhancing the straightness of the gas flowing into the nozzle. In the vacuum ejector, the vacuum forming path communicates with the gas flow path on the side where the nozzle is locat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backflow prevention parts are ad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ffuser in the vicinity of the vacuum forming path and the gas flow path are in communication. be prepare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측에 형성된 유입포트; 상기 본체부의 제2측에 형성된 배출포트; 및 상기 본체부의 제3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이동하는 유입유로,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기체를 공급받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기체이동로가 구비된 기체이동라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포트는 흡입되는 기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를 통해 상기 기체이동로 일측과 연통되는 진공형성로가 구비된 진공형성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 이젝터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체이동로에서 상기 유입유로의 외주면과 상기 디퓨저의 일측 말단은 복수개의 리브로 연결되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vacuum ej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 inlet port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dy part;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second side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one suction port formed on a third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cludes 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moves, a nozzle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and the gas from the nozzle. a gas flow line provided with a gas flow path including a supplied diffuser; and a vacuum forming line in which the at least one suction port is provided with a vacuum forming path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gas moving path through at least one suction path through which the sucked gas passes, wherein the vacuum ejector is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In the gas flow pa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path and one end of the diffus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ibs.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의 외주면 각각은 상기 제1측의 측면과 복수의 리브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입포트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흡입포트로 연결되는 각각의 흡입유로의 외주면 간에 복수의 리브로 연결되어 있다.Eac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at least one suction passage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by a plurality of rib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a plurality of ribs are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each su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s.

상기 진공 이젝터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로 유입되는 기체의 직진성을 강화하기 위한 와류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진공 이젝터는 상기 진공형성로와 상기 기체이동로가 연통되는 부근에 상기 디퓨저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 모양의 역류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vacuum ejector, the nozzle may include a vortex member for enhancing the straightness of the gas flowing into the nozzle. The vacuum ejecto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backflow prevention unit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ffuser in the vicinity of which the vacuum forming path and the gas flow path communic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금속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되어 진공 이젝터의 내구성이 강하고 부품 수의 감소와 제품의 경량화로 생산성을 상당히 향상시킨다.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metal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vacuum ejector is strong, and the productiv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유입된 압축공기의 직진성을 강화시키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진공 이젝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nhance the straightness of the introduced compressed air and prevent backflow,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ejector.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진공 이젝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의 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라인을 표현하기 위하여 본체부(10)를 투영하여 라인의 형상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의 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라인(기체가 통과하는 통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진공 이젝터의 본체부(10) 내부를 투영한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체부(10)의 일측에서 내부를 투영한 3D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본체부(10)의 타측에서 내부를 투영한 3D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의 본체부(10) 내부에서 리브(41, 42, 43)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 타측에서 바라본 3D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vacuum ejector.
2 is a view showing a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only the shape of the line by projecting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express the lin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ne (a passage through which gas passes) form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ed.
6 is a view showing a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3D view in which the inside is project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FIG. 7 is a 3D view in which the inside is projec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
8 is a 3D view viewed from the other side to specifically show the ribs 41, 42, and 43 inside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cas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shown in block diagram form focusing on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cribe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It is not limited by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진공 이젝터는 본체부 내부의 기체(압축공기)가 흐르는 라인이 복잡하게 구성될 수밖에 없는데 종래의 절삭 가공 및 부품의 결합 방식으로는 본체부를 소형화하여 제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진공 이젝터를 3D 프린터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금속 3D 프린팅 적층 제조 (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 DfAM)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진공 이젝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한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3D 프린팅으로 진공 이젝터를 제조하는데 금속 3D 프린팅과 제조 공법(CNC 머시닝, 와이어 커팅)을 융복합한 공정 설계 기술로 양산 가능한 진공 이젝터를 제안하고자 한다.In the vacuum ejector, the line through which the gas (compressed air) flows inside the main body is inevitably configured in a complicated mann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ejector is manufactured using a 3D printer metho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al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DfAM) technique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vacuum ejector.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vacuum ejector that can be mass-produced with a process design technology that combines metal 3D print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CNC machining, wire cutting) to manufacture a vacuum ejector by metal 3D printing.

이하, 적층제조 설계 기법에 대한 간략히 살펴본다.Hereinafter, an additive manufacturing design technique will be briefly reviewed.

적층제조(가공) 설계 (DfAM)Additive Manufacturing (Machining) Design (DfAM)

DfAM(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은 3D 프린팅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설계개념으로 적층가공을 위한 설계이다. 기존에 쇠를 깎아 만드는 절삭가공은 형상의 제약이 심하고 복잡한 도면은 제작이 불가능하다. 4축, 5축 등 다양한 절삭가공법이 있지만 고속회전 하면서 쇠를 깎는 절삭 공구 특성상 복잡하고 정밀한 부품제작에는 한계가 있다. 적층가공은 절삭가공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소재를 쌓아 형상을 만들기 때문에 서포터만 있다면 형상의 제약이 없어 설계 시 가공 불가능한 부분을 고민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DfAM (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 is a design concept for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3D printing and is a 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 Existing cutting processing, which is made by cutting iron, has severe limitations in shape, and it is impossible to produce complex drawings. There are various cutting methods such as 4-axis and 5-axis, but there is a limit to the production of complex and precise parts due to the nature of the cutting tool that cuts iron while rotating at high speed. Additive manufacturing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worry about impossible parts when designing because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hape as long as there is a supporter because additive manufacturing creates a shape by stacking materials in contrast to cutting processing.

3D 프린팅의 주목적은 시제품 제작 및 맞춤형 다품종 생산에 최적화 되어있고 이는 곧 고부가가치 산업인 의료, 항공, 자동차, 금형, 소재분야 등 특수 분야 및 기존 생산 방식으로 제작 불가능한 제품을 만들어 내는데 필요하며 이때 DfAM 기술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적층제조 공법을 사용하면 다양한 소재를 동시에 첨삭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무리 복잡한 형상이라도, 위치나 방향에 관계없이 만들어낼 수 있다(물론 사용 방식에 따라 채택되는 소재의 종류와 구현되는 형상의 제약이 존재함). 요컨대 DFAM은 3D 프린팅 기술의 장점을 제품이나 시스템 제조에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이다.The main purpose of 3D printing is optimized for prototyping and customized multi-variety production, which is necessary to create products that cannot be manufactured using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s and special fields such as high value-added industries such as medical, aviation, automobile, mold, and material fields. At this time, DfAM technology use the In this way, by using the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not only can various materials be added at the same time, but even complex shapes can be created regardless of location or direction (of course, the type of material adopted and the shape implemented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can be created. restrictions exist). In short, DFAM is a way to make the most of the advantages of 3D printing technology to manufacture products or systems.

3D 프린팅은 1) 최적 설계를 통한 초경량?고강성 구조 구현, 2)복잡한 제품의 ‘조립 없는 원스톱(one-stop)’ 생산, 3) 복합 소재의 동시 적용 등이 가능해지는 등 3D프린팅 기술이 혁신적 설계법의 생산, 적용을 견인하고 있다.3D printing is a 3D printing technology that 1) realizes ultra-light and high-rigidity structure through optimal design, 2) produces 'one-stop' production of complex products, and 3) enables simultaneous application of composite materials. It is leading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novative design methods.

DfAM 기술을 사용하면 기능이나 형상이 복잡한 진공 이젝터 모듈을 별도 조립 공정없이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복잡한 부품을 일체화해 설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다.By using DfAM technology, a vacuum ejector module with complex functions or shapes can be made integrally without a separate assembly process. Not only can complex parts be integrated into design and production, but also the burden on the process can be greatly reduced.

금속 3D 프린팅을 활용한 설계(DfAM) 기술의 가치/장점은 다음과 같다.The value/benefit of design using metal 3D printing (DfAM) technology is as follows.

ⅰ) 부품수 8개에서 1개로 줄여서 제품의 경량화 가능 ⅰ) Product weigh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from 8 to 1

ⅱ) 오링 등 소모성 부품 없어짐 ii) No consumable parts such as O-rings

ⅲ) 금속 재질로 내구성 향상, 신뢰성 향상 iii) Improved durability and reliability with metal material

ⅳ) 평균 년 1~2회 파손되던 부품으로서 A/S 비용 절감. iv) Reduced A/S cost as parts that were damaged 1-2 times a year on average.

도 1은 진공 이젝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vacuum ejector.

도 1을 참조하면, 압축공기(혹은 기체)가 유입포트(11)로 유입되어, 노즐(16)로 연통된다. 흡입포트(14)로 유입된 고압의 기체가 노즐(16)을 통과하며 디퓨저(18)를 지나 배출포트(12)로 나갈 때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주변부 공기를 빨아들여 같이 이송시키게 된다. 진공 이젝터(E)는 고압의 유체가 지닌 압력에너지를 이용하여 흡입 유체를 빨아들여 이송하는 장치이다. 진공 이젝터(E)는 공압만으로도 진공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기기로서 공압(압축공기)가 유입포트(12)로 유입되면 진공이 걸리고 이 부분에 흡착판을 대면 물건이 흡착 이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compressed air (or gas) flows into the inlet port 11 and communicates with the nozzle 16 . When the high-pressure ga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4 passes through the nozzle 16 , passes through the diffuser 18 and exits to the discharge port 12 , the surrounding air is sucked and transported together according to Bernoulli's principle. The vacuum ejector (E) is a device that sucks and transfers the suction fluid by using the pressure energy of the high-pressure fluid. The vacuum ejector (E) is a device that can create a vacuum only with pneumatic pressure. When pneumatic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inlet port 12, a vacuum is applied, and when a suction plate is placed on this part, the object can be adsorbed and transferred.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진공 이젝터(E)는 유입포트(11)를 통해 유입된 기체가 배출포트(12)를 통해 배출되면서 흡입포트(14)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베르누이 정리를 응용하여 대상체에 진공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특히, 공압만으로 진공을 만들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The vacuum ejector (E)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negative pressure in the suction port 14 while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11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and forms a vacuum in the object by applying the Bernoulli theorem. As a device, in particular, it is a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vacuum only with pneumatic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이젝터(E)는 본체부(1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체부(10) 양측에 유입포트(11) 및 배출포트(12), 흡입포트(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포트(11)와 흡입포트(14)가 각각 본체부(10) 양측에 동일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포트(12)가 흡입포트(14) 주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동일축선상이란, 본체부(10)의 측면을 정면으로 볼 때 유입포트(11)의 중심과 흡입포트(14)의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입포트(11)와 흡입포트(14) 및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은 모두의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ure 2, the vacuum ejector (E) is made of a main body portion 10, the main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11, an outlet port 12, and a suction port 14 on both sides of the and the inlet port 11 and the suction port 14 are formed on the same 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 are provided around the suction ports 14 . Coaxial lin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11 and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14 are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viewed from the front,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port 11, the suction port 14,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have the same center.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의 본체부(10)의 소형화를 위하여 흡입포트(14)와 유입포트(11)를 본체부(10) 양측의 동일축선상에 형성시키고, 배출포트(12)를 흡입포트(14) 주변에 구비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기체가 흐르는 라인이 복잡하게 구성될 수밖에 없으며, 이를 제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를 3D 프린터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해결한다. 이와 같이, 도 2에 따른 진공 이젝터(E)는 금속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일체형의 본체부(10)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miniaturize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 14 and the inlet port 11 are formed on the same axi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provide the discharge port 12 around the suction port 14, the line through which the internal gas flows is inevitably configured to be complicated, and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t is solved by using a 3D printer method. As such, the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FIG. 2 is formed of an integral body portion 10 by a metal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의 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라인을 표현하기 위하여 본체부(10)를 투영하여 라인의 형상만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only the shape of the line by projecting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express the lin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부(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원통형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member, o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hedr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which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상기 본체부(10)의 일측면에는 유입포트(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포트(11)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111)이 형성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펌프(D)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나, 후술하는 탈착블록유닛(70)을 더 구비하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n inlet port 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first screw thread 11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ort 11, so that the pump D for supplying gas is screwed. It is made to be possib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provide a detachable block unit 70 to be described later to enable one-touch coupling,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본체부(10)의 타측면에는 상기 유입포트(11)와 동일축선상을 갖는 위치에 흡입포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포트(14)는 상기 유입포트(11)와 유사하게 내주면에 제2나사산(141)이 형성되어 진공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재 또는 흡입판 등이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suction port 1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at a position coaxial with the inlet port 11 , and the suction port 14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milar to the inlet port 11 .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crew thread 141 is formed on the ridge so that a member or a suction plate to form a vacuum can be fastened.

본 명세서에서의 동일축선상이란, 본체부(10)의 측면을 정면으로 볼 때 유입포트(11)의 중심과 흡입포트(14)의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입포트(11)와 흡입포트(14) 및 본체부(10)의 측면은 모두의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좋다.Coaxial lin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11 and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14 are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viewed from the front,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port 11, the suction port 14,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re formed at the same center of each other.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포트(11)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0)의 타측에 유입포트(11)와 동일축선상으로 흡입포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0)의 타측에서 흡입포트(14) 주위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포트(12)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포트(12)는 본체부(10) 타측에 형성되게 되는데,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배출포트(12)에 소음기(40)가 구비되어 기체가 배출될 때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inlet port 11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and the suction port 1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on the same axis as the inlet port 11 .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14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are formed. The discharge port 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square, and the like. In addition, a silencer 40 is provided in each discharge port 12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when the gas is discharged.

본체부(10)의 내부는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이동하는 유입유로, 유입유로와 연결된 노즐(미도시) 및 노즐로부터 압축공기(기체)를 공급받는 디퓨저(미도시)를 포함하는 기체이동로(22)와, 기체이동로(22) 타측에 형성된 제1분기부(24), 제1분기부(24)와 연통되며 복수의 배출포트(12)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로(25)로 이루어지는 기체이동라인(20)이 구비되어 있다.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s a gas movement including 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moves, a nozz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and a diffuser (not shown) receiving compressed air (gas) from the nozzle. The furnace 22, the first branching portion 2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s passage 22, and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25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branching portion 24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 ) is provided with a gas transfer line 20 made of.

또한, 본체부(10)의 내부에, 흡입포트(14) 일측에 형성되는 제2분기부(34), 제2분기부(34)와 연통되는 복수의 제2분기로(35), 복수의 제2분기(35)로 각각에 연통되며 기체이동로(22) 일측과 연통되는 진공형성로(32)로 이루어지는 진공형성라인(30)이 구비되어 있다. 진공형성로(32)는 흡입포트(14)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흡입유로를 통과해 가며 진공이 형성되는 유로를 말한다.In addition,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a second branch portion 34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4, a plurality of second branch passages 35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ranch portion 34, a plurality of A vacuum forming line 30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second branches 35 and consisting of a vacuum forming path 32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gas moving path 22 . The vacuum forming path 32 refers to a flow path in which a vacuum is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by sucking gas from the suction port 14 .

본체부(10) 내부에서 노즐은 노즐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직진성을 강화하기 위한 와류부재를 구비하도록 적층 제조된다.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과할 때 최외각부의 공기를 강제로 회오리치게 만들어 중심부를 지나는 공기를 감싸고 나아감으로써 유입된 압축공기의 직진성(혹은 진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즐은 와류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Inside the body portion 10, the nozzle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to include a vortex member for enhancing the straightness of the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nozzle. In order to improve the straightness (or straightness) of the introduced compressed air by forcibly swirling the air in the outermost part when the compressed air passes through the nozzle and enclos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 nozzle may have a vortex member. .

또한, 복수의 제2분기로(35)는 노즐이 있는 측에서 기체이동로(22)와 연통되고, 복수의 제2분기로(35)와 기체이동로(22)가 연통되는 부근에서 디퓨저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 모양 내벽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돌기 모양 내벽은 노즐로부터 통과된 압축공기가 회오리쳐서 올 때 디퓨저 내벽에 부딪히거나 복수의 제2분기로(35)로 흡입공기가 들어올 때 각각 역류하지 않고 디퓨저를 통해 기체이동로(22)로 통과해 가도록 하기 위한 역류방지부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branch passages 35 communicate with the gas passage 22 on the side where the nozzle is located, and in the vicinity where the plurality of second branch passages 35 and the gas passage 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diffuser A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inner walls ar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inner walls do not flow backward when the compressed air passed from the nozzle hits the inner wall of the diffuser when it whirls, or when the intake air enters the plurality of second branch passages 35, respectively, but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diffuser. 22) serves as a backflow prevention unit to pass through.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의 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라인(기체가 통과하는 통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ne (a passage through which gas passe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of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부(10) 내부에는 유입포트(11) 및 배출포트(12)를 연결하는 기체이동라인(20)과, 진공을 형성하며 흡입포트(14)와 연결되는 진공형성라인(30)이 형성되어 있다.A gas transfer line 20 connecting the inlet port 11 and the outlet port 12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vacuum forming line 30 that forms a vacuum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4 is formed. have.

기체(압축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유입포트(11)는 본체부(10) 일면(혹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입포트(11)의 단부, 즉 타측에는 기체이동로(22)가 연통된다.Described sequential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compressed air) flows in and out, first, the inlet port 11 is formed on one surface (or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end of the inlet port 11, that is, A gas passage 22 is communicated to the other side.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포트(11) 타측에는 폭감소로(21)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기체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압력을 낮추어 기체이동로(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폭감소로(21)에 의해 기체이동로(22)에 기체가 유입되면 후술하는 진공형성로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확보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 width reduction passage 2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let port 11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inflowing gas and lower the pressure to pass through the gas movement passage 22, and the width reduction passage 21 ), when the gas is introduced into the gas passage 22, a suction power capable of sucking the air of the vacuum forming furn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cured.

상기와 같이, 기체이동로(22)로 유입된 기체는 배출포트(12)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데, 이 때 배출포트(12)가 흡입포트(14) 주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제1분기부(24)를 통하여 복수의 곡선형의 제1분기로(25)로 기체를 분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1분기로(25)는 각각의 배출포트(12)에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gas introduced into the gas passage 22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At this time, a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 are provided around the suction port 14, the first The gas is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curved first branch passages 25 through the branch portion 24 . 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branch passages 25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discharge port 1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기부(24)는 4개의 제1분기로(25)로 기체를 분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배출포트(12)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기체를 분기시키는 이유는 기체의 배출량을 증가시켜 빠른 속도로 기체가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기체가 이동하면서 흡입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 the first branch unit 24 may branch gas into four first branch passages 25 , and thus four discharge ports 12 may be provided. The reason for branching the gas is to increase the amount of gas to be discharged so that the gas is discharged at a high speed.

또한 기체이동로(22)는 유입포트(11) 및 배출포트(12)와 동일축선상에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진공형성라인(30)에 대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흡입포트(14) 일측에는 제2분기부(34)가 형성되고, 이 제2분기부(34)는 복수의 곡선형의 제2분기로(35)에 연결되며, 제2분기로(35)가 진공형성로(32)에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lso, the gas passage 2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on the same axis as the inlet port 11 and the outlet port 12 . When describing the vacuum forming line 30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sucked, a second branch portion 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4, and the second branch portion 34 has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assage 35 of the,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35 ha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forming furnace (32).

이때, 제2분기부(34) 또한 4개의 제2분기로(35)로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진공형성로(32) 또한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ranch part 34 also branch into four second branch passages 35 , and thus the vacuum forming furnace 32 may also be formed of four.

제2분기부(34)에 의해 분기되는 이유는 단일의 관로에서 흡입하는 것보다 복수의 관로를 통해 하나의 흡입포트(14)로 흡입력을 전달하는 것이 흡입력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2분기로(35)와 제1분기로(25)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관로들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1분기로(25) 및 제2분기로(35)가 각각 4개로 구비됨에 따라 서로 교차배열이 가능하다. 즉, 복수의 제1분기로(25)들 사이에 하나의 제2분기로(35)가 각각 배열되게 된다.The reason for branching by the second branching part 34 is that the suction power is higher when the suction power is transmitted to one suction port 14 through a plurality of pipes rather than suction from a single pipe. In addition, the second branch passage 35 and the first branch passage 25 are formed to be arranged at positions shif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pipelines, and the first branch passage 25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25 are As four furnaces 35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cross-arrange with each other. That is, one second branch passage 35 is arrang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branch passages 25 , respectively.

즉, 이러한 구성은 실제 사출성형 또는 조립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기체가 세어나갈 우려와 함께 각각의 관로들이 서로 교차 배열됨에 따라 제조가 어려우며,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가공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손쉽게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when using the actual injection molding or assembly method, this configuration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s each conduit is cross-arranged with each other with the fear of gas leaking.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do this.

제2분기로(35)는 진공형성로(32)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형성로(32)는 상기 기체이동로(22)와 나란한 형상으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입포트(11)까지 형성된다.The second branch path 35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vacuum forming path 32 , and the vacuum forming path 32 is parallel to the gas moving path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 It is formed up to the inlet port (11).

진공형성로(32)는 기체이동로(22)와 연통되어, 기체가 이동할 때 생기는 압력차이로 진공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기체이동로(22)의 일측에는 진공형성로(32)와 연통되는 연통공(223)이 형성된 연통로(2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cuum forming furnace 3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gas moving path 22, and a vacuum must be 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when the gas moves, and accordingly, one side of the gas moving path 22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forming furnace 3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path 221 is further provided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223 is 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연통로(221)는 기체이동로(22) 일측에서 직경이 방사형으로 퍼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폭감소로(21) 주위에 이중관 타입으로 형성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path 221 is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spreads radially from one side of the gas flow path 22 , and is formed in a double tube type around the width reduction path 21 .

또한 연통로(221)는 폭감소로(21)와 기체이동로(22)의 경계보다 일측에 구비되며, 이는 곧 기체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체가 이동하면 압력 차이에 따라 연통공(223)을 통하여 진공형성로(32)에 있는 공기가 기체와 함께 흡입되어 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입포트(14)에 흡입력이 전달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ssage 2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width reduction passage 21 and the gas movement passage 22,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as. Accordingly, the air in the vacuum forming furnace 32 is sucke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ga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23 , and accordingly,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port 14 .

나아가 폭감소로(21)를 통해 기체이동로(22)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사선 후방에서 진공형성로(32)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유입된 기체가 연통로(22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more, as the air of the vacuum forming path 32 can be introduced from the diagonal rearwar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it flows into the gas passage 22 through the width reduction passage 21, the inflow gas flows back into the communication passage 221 .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t from happening.

다시, 배출포트(12)는 유입된 기체가 배출되는 곳으로, 빠른 속도의 기체가 배출될 때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소음기(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gain, the discharge port 12 is a place where the introduced gas is discharged, and noise may occur when the gas at a high speed is discharged, and a separate silencer 40 is further provided to solve this problem.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음기(40)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여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소음기(40)를 제조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ilencer 40 can be mounted as a separate member,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the silencer 40 using a 3D printer.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진공 이젝터의 본체부(10) 내부를 투영한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jected.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0)의 내부는, 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유입유로, 유입유로와 연결된 노즐 및 노즐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기체이동로(22)와, 기체이동로(22) 타측에 형성된 제1분기부(24), 제1분기부(24)와 연통되며 복수의 배출포트(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기체이동라인(20)이 구비되어 있다. 도 5에서 각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화살표를 제외한 화살표는 기체의 이동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5 ,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11 moves, a nozzle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and a diffuser receiving compressed air from the nozzle. The furnace 22, the first branch 2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s passage 22, and the gas transfer line 20 communicated with the first branch 24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 This is provided. In FIG. 5, arrows other than arrows indicating each component indicat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ircraft.

또한, 본체부(10)의 내부에, 흡입포트(14) 일측에 형성되는 제2분기부(34)(미도시)는 기체이동로(22) 일측과 연통되는 진공형성로(32)로 이루어지는 진공형성라인(30)이 구비되어 있다. 진공형성로(32)는 흡입포트(14)로부터 기체를 흡입하여 흡입유로를 통과해 가며 진공이 형성되는 유로를 말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ranch portion 34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4 i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made of a vacuum forming passage 32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gas passage passage 22 . A vacuum forming line 30 is provided. The vacuum forming path 32 refers to a flow path in which a vacuum is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by sucking gas from the suction port 14 .

본체부(10) 내부는, 유입포트(11)로 유입된 압축공기(기체)가 노즐을 통과할 때 노즐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직진성을 강화하기 위한 와류부재(48)를 구비하도록 적층 제조된다. 압축공기가 노즐을 통과할 때 최외각부의 공기를 강제로 회오리치게 만들어 중심부를 지나는 공기를 감싸고 감으로써 유입된 압축공기의 직진성(혹은 진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즐은 와류부재(48)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to include a vortex member 48 for enhancing the straightness of the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nozzle when the compressed air (gas)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11 passes through the nozzle. . When compressed air passes through the nozzle, the nozzle is provided with a vortex member (48) to forcibly swirl the air in the outermost part and wrap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enter to improve the straightness (or straightness) of the introduced compressed air. can do.

또한, 진공형성로(32)(혹은 흡입유로)가 기체이동로(22)가 연통되는 부근에서 디퓨저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 모양 내벽(49)을 더 구비한다. 복수의 돌기 모양 내벽은 노즐로부터 통과된 압축공기가 회오리쳐서 올 때(도 6에 곡선 화살표로 표시됨) 디퓨저 내벽에 부딪히거나 진공형성로(혹은 흡입유로)로 흡입공기가 들어올 때 각각 역류하지 않고 디퓨저를 통해 기체이동로(22)로 통과해 배출포트(12)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역류방지부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돌기 모양 내벽을 역류방지부(49)라고 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모양의 역류방지부(49)는 노즐을 통과한 압축공기의 와류를 일시적으로 가둬두어 진공형성로(32)(혹은 흡입유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디퓨저를 통과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를 예방하여 진공 이젝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vacuum forming path 32 (or the suction flow path)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inner walls 49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ffuser in the vicinity of the gas flow path 22 is communicate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inner walls do not flow backwards when the compressed air passing from the nozzles comes in a whirlwind (indicated by a curved arrow in Fig. 6) or when the suction air enters the vacuum forming furnace (or suction passage) when it hits the inner wall of the diffuser. It passes through the diffuser to the gas flow path 22 and serves as a backflow prevention unit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inner walls may be referred to as a backflow prevention part 49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backflow prevention units 49 temporarily trap the vortex of the compress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nozzles so that they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ffuser together with the air sucked through the vacuum forming path 32 (or suction path). Prevents backflow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ejector.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진공 이젝터(E)는 유입포트(11), 흡입포트(14), 배출포트(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포트(14)를 구비한다. 도 6에서는 일 예로서 4개의 흡입포트(14)를 구비한 것으로 예시하였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와 달리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에서는 유입포트(11)와 흡입포트(14)와 동일축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흡입포트(14)가 유입포트(11)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vacuum ejector E includes an inlet port 11 , a suction port 14 , and an exhaust port 12 .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uction port 14 . In Figure 6, as an example, it has been illustrated as having four suction ports (14). Unlike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inlet port 11 and the suction port 14 are not formed on the same axis, and the suction port 14 is the inlet port 11 .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유입포트(11)로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통과하는 유입유로(미도시), 흡입포트(1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유로(미도시)가 구비된다.An inlet passage (not shown)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11 and passes through, and a suction passag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11 passes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0 .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E)의 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라인을 표현하기 위하여 본체부(10)를 투영한 3D 도면을 예시하고 있다. 7 and 8 each illustrate a 3D view in which the body part 10 is projected to represent a lin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0 of the vacuum ejector 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7은 본체부(10)의 일측에서 내부를 투영한 3D 도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본체부(10)의 타측에서 내부를 투영한 3D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7 shows a 3D view in which the inside is project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FIG. 7 is a 3D view in which the inside is projec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본체부(10), 유입포트(11), 흡입포트(14), 배출포트(12)를 구비한다. 유입포트(11)는 본체부(10)의 제1측에 형성되고, 배출포트(12)는 본체부(10)의 제2측(예를 들어, 제1측과 반대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흡입포트(12)는 본체부(10)의 제3측(예를 들어, 제1측과 수직에 해당하는 측) 방향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즉, 유입포트(11)와 배출포트(12)는 동일축선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흡입포트(12)가 4개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다.6 and 7 ,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10 , an inlet port 11 , a suction port 14 , and an exhaust port 12 . The inlet port 11 is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discharge port 12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eg, opposite to the first sid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The suction port 12 is formed in the third side (eg,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and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t least one is forme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inlet port 11 and the outlet port 12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6 and 7, it is illustrated that four suction ports 12 are provided.

본체부(10)의 내부는, 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유입유로(44), 유입유로(미도시)와 연결된 노즐(16), 노즐(16)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디퓨저(18)를 포함하는 기체이동로(22)(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기체이동라인(20)(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부(10)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포트(14)로부터 흡입되는 기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45)가 기체이동로(22) 일측과 연통되는 진공형성로(32)(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진공형성라인(미도시)이 구비된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supplies compressed air from the inlet passage 44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11 moves, the nozzle 16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not shown), and the nozzle 16 . A gas transfer line 20 (not shown) comprising a gas transfer path 22 (not shown) including a receiving diffuser 18 is provided.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t least one suction passage 45 through which the gas sucked from the at least one suction port 14 passes is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gas passage 22 and a vacuum forming passage 32 )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vacuum forming line (not shown).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체이동로(22)에서 유입유로(44)의 외주면과 디퓨저(18)의 일측 말단은 복수개의 리브(41)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유로(44)의 외주면에서도 폭이 감소되는 폭감소로(21)의 외주면과 디퓨저(18)의 일측 말단은 복수의 리브(41)로 연결될 수 있다.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ow passage 44 in the gas passage 22 and one end of the diffuser 18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ibs 41 is formed Preferably, one end of the diffuser 18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dth reducing passage 21, the width of which is also reduc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ow passage 44, may b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ibs (41).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을 위해 연속적으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유입유로의 외주면(44)과 디퓨저(18)의 일측 말단은 복수개의 리브(41)로 연결되어야 하고, 적층 제조된 진공 이젝터의 강도를 높여 준다. 또한,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얇은 리브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inuously form a structure for the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4 of the inflow passage and one end of the diffuser 18 must b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ribs 41, and the strength of the additively manufactured vacuum ejector is increased give. In addition, it may be desirable to be connected with a thin rib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또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45)의 외주면 각각은 본체부(10) 내부에서 유입포트(11)가 형성되는 측면과 복수의 리브(42)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의 리브(42)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를 위한 연속적인 구조물로서 진공 이젝터를 강도를 더 높여준다.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이 복수의 리브(42)는 얇은 리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at least one suction passage 45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side surface on which the inlet port 11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ribs 42 . The plurality of ribs 42 further enhance the strength of the vacuum ejector as a continuous structure for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ribs 42 are formed of thin rib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포트(14)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흡입포트(14)로 연결되는 각각의 흡입유로(45) 외주면 간에는 복수의 리브(43)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흡입유로(45) 각각의 외주면 간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42)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를 위한 연속적인 구조물로서 진공 이젝터를 강도를 더 높여준다.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이 복수의 리브(43)는 얇은 리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 when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4 are formed, a plurality of ribs 43 are connec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each suction passage 45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s 14 . . Similarly, the plurality of ribs 42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each of the suction passages 45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acuum ejector as a continuous structure for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ribs 43 are formed of thin ribs.

노즐(16)은 노즐(16)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직진성을 강화하기 위한 와류부재(48)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45)가 노즐(16)이 있는 측에서 상기 기체이동로(22)와 연통되고,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44)와 기체이동로(22)가 연통되는 부근에 디퓨저(18)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 모양의 역류방지부(49)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nozzle 16 may include a vortex member 48 for enhancing the straightness of the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nozzle 16 . At least one suction flow path 45 communicates with the gas flow path 22 on the side where the nozzle 16 is located, and a diffuser ( 18)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backflow prevention portions 49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의 본체부(10) 내부에서 리브(41, 42, 43)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 타측에서 바라본 3D 도면이다.8 is a 3D view viewed from the other side to specifically show the ribs 41, 42, and 43 inside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10)의 내부는, 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유입유로(44), 유입유로(미도시)와 연결된 노즐(16), 노즐(16)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디퓨저(18)를 포함하는 기체이동로(22)(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기체이동라인(20)(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부(10)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포트(14)로부터 흡입되는 기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유로(45)가 기체이동로(22) 일측과 연통되는 진공형성로(32)(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진공형성라인(미도시)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8 ,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n inflow passage 44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11 moves, a nozzle 16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not shown), and a nozzle 16 . ) is provided with a gas transfer line 20 (not shown) including a diffuser 18 receiving compressed air from the gas transfer path 22 (not shown).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t least one suction passage 45 through which the gas sucked from the at least one suction port 14 passes is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gas passage 22 and a vacuum forming passage 32 )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vacuum forming line (not shown).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으로 형성되되, 기체이동로(22)에서 유입유로(44)의 외주면과 디퓨저(18)의 일측 말단은 복수개의 리브(41)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유로(44)의 외주면에서도 폭이 감소되는 폭감소로(21)의 외주면과 디퓨저(18)의 일측 말단은 복수의 리브(41)로 연결될 수 있다.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ow passage 44 in the gas passage 22 and one end of the diffuser 18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ibs 41. is formed Preferably, one end of the diffuser 18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dth reducing passage 21, the width of which is also reduc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ow passage 44, may b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ibs (41).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을 위해 연속적으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유입유로(44)의 외주면과 디퓨저(18)의 일측 말단은 복수개의 리브(41)로 연결되어야 하고, 더불어 적층 제조된 진공 이젝터의 강도를 높여 준다. 또한,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얇은 리브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inuously form a structure for the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ow passage 44 and one end of the diffuser 18 must b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ribs 41, and the strength of the vacuum ejector manufactured by the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is increased. elevate it In addition, it may be desirable to be connected with a thin rib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0) 내부에 진공형성을 위한 라인들을 성형함에 있어,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함에 따라 제조 편의성을 높이고, 복잡한 라인을 손쉽게 본체 내부에 성형할 수 있는 진공 이젝터를 제안하였다. 나아가 배출포트에 소음기를 더 구비함으로써 기체 배출 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소음기 또한 3D 프린터로 일체형 성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lines for vacuum forming inside the body portion 10, manufacturing convenience is increased by using a 3D printer as an integral part, and complex lines can be easily formed inside the body. A vacuum ejector with Furthermore, by further providing a silencer in the exhaust por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noise when gas is discharged, and to improve manufacturing convenience by configuring the silencer to be integrally molded with a 3D printer.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유입포트(11)와 흡입포트(14)를 동일축선상에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라인들은 본체 내부에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성형되어야 하며, 이를 물리적으로 금형 등을 통해 제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이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따라 손쉽게 제작이 가능해졌다. 진공 이젝터는 소음기를 더 구비하되, 소음기 또한 3D 프린터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소음기에 의해 기체가 배출할 때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the inlet port 11 and the suction port 14 on the same axis, each line must be formed at a position displaced from each other inside the body, and it is physically molde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t through a 3D printer, it has become possible to manufacture it easily by using a 3D printer. The vacuum eject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ilencer, and the silencer is also made to be manufactured by a 3D printe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when gas is discharged by the silencer.

본 발명의 제 1 및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이젝터는 진공 이젝터의 강도를 더 높이고 제품의 경량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입된 기체의 직진성 강화와 역류 방지를 통해 진공 이젝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vacuum ejecto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vacuum ejector, improves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ejector by strengthening the straightness of the introduced gas and preventing backflow.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ould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elements and/or features.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feature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features or features of another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filing.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 : 진공 이젝터
10 : 본체 11 : 유입포트
111 : 제1나사산 12 : 배출포트
14 : 흡입포트 141 : 제2나사산
16: 노즐 18: 디퓨저
20 : 기체이동라인 21 : 폭감소로
22 : 기체이동로 221 : 연통로
223 : 연통공 24 : 제1분기부
25 : 제1분기로 30 : 진공형성라인
34 : 제2분기부 35 : 제2분기로
32 : 진공형성로 40 : 소음기
41: 리브 42: 리브
43: 리브 44: 유입유로
45: 흡입유로 70 : 탈착블록유닛
E: vacuum ejector
10: body 11: inlet port
111: first thread 12: discharge port
14: suction port 141: second thread
16: nozzle 18: diffuser
20: gas movement line 21: width reduction
22: gas transfer path 221: communication path
223: communication hole 24: first branch part
25: first branch furnace 30: vacuum forming line
34: second branch 35: second branch
32: vacuum forming furnace 40: silencer
41: rib 42: rib
43: rib 44: inflow passage
45: suction flow path 70: detachable block unit

Claims (8)

진공 이젝터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포트;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정면으로 볼 때 상기 유입포트의 중심과 동일한 위치에 중심이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상기 유입포트와 동일축 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포트;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흡입포트의 외주면 주변을 감싸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배출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 상기 유입포트, 상기 흡입 포트 및 상기 복수의 배출포트는 3D 프린팅 적층 제조 기법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상기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이동하는 유입유로,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된 노즐 및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기체를 공급받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기체이동로와, 상기 기체이동로 타측에 형성된 제1분기부, 상기 제1분기부에 연통되며 상기 복수의 배출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분기로가 구비된 기체이동라인; 및
상기 흡입포트 일측에 형성되는 제2분기부, 상기 제2분기부에 연통되는 복수의 제2분기로, 상기 복수의 제2분기로 각각에 연통되며 상기 기체이동로 일측과 연통되는 진공형성로가 구비된 진공형성라인을 포함하는, 진공 이젝터.
In the vacuum ejector,
body part;
an inlet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suction port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inlet 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enter i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er of the inlet port whe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is view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front;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in a direction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ction po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The body portion, the inlet port, the suction port and the plurality of outlet ports are integrally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The inside of the body part,
an in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moves, a gas passage including a nozzle connected to the inflow passage, and a diffuser receiving the gas from the nozzle, a first branch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s passage, the a gas transfer lin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branch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branch passag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A second branch form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a plurality of second branches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ranch, and a vacuum forming path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branches and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gas passage A vacuum ejector comprising a vacuum forming line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로 유입되는 기체의 직진성을 강화하기 위한 와류부재를 구비하는, 진공 이젝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nozzle is provided with a vortex member for enhancing the straightness of the gas flowing into the nozzle, a vacuum ejecto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형성로는 상기 노즐이 있는 측에서 상기 기체이동로와 연통되고,
상기 진공형성로와 상기 기체이동로가 연통되기 시작하는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디퓨저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 모양의 역류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진공 이젝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cuum forming path communicates with the gas flow path on the side where the nozzle is located,
A vacuum ejecto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haped backflow prevention units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ffuser at a position near where the vacuum forming path and the gas flow path start to communica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 포트는 4개로 구비되는, 진공 이젝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provided in four, a vacuum ej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 포트는 각각 원형 형상으로 형상되어 있는, 진공 이젝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each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vacuum ej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58274A 2020-10-27 2020-11-23 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KR1023005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0592 2020-10-27
KR1020200140592 202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564B1 true KR102300564B1 (en) 2021-09-09

Family

ID=7777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274A KR102300564B1 (en) 2020-10-27 2020-11-23 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56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384Y1 (en) 2001-10-15 2002-01-24 한국뉴매틱(주) Vacuum ejector device
JP2003194000A (en) * 2001-12-25 2003-07-09 Ckd Corp Ejector
KR101351768B1 (en) 2012-05-24 2014-01-16 이우승 Profile type vaccum ejector pu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384Y1 (en) 2001-10-15 2002-01-24 한국뉴매틱(주) Vacuum ejector device
JP2003194000A (en) * 2001-12-25 2003-07-09 Ckd Corp Ejector
KR101351768B1 (en) 2012-05-24 2014-01-16 이우승 Profile type vaccum ejector pu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4707B2 (en) Conveying device for a fuel cell assembly for conveying and/or recirculating a gaseous medium
CN105264238B (en) Multi-stage vacuum ejector with moulded nozzle having integral valve elements
US20160102682A1 (en) Aspira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CN105008694B (en) The recirculating system of turbocharger air compressor
KR20160018556A (en) Aspirators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CN104870830B (en) The vacuum ejector of diverging outlet flow duct mouth with dropout
JPH11107876A (en) Fuel system
CN214247533U (en) Double-blowing device of vehicle
CN107850092B (en) Device for generat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with a plurality of sub-channels and propulsion outlets in a propulsion section
CN106122120A (en) Compound two-stage multichannel gas-liquid jet pump
KR102300564B1 (en) Vacuum ejector formed by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CN104847708A (en) Supersonic ejector
CN112443518A (en) Supersonic air ejector
CA2580594C (en) Fuel manifold with reduced losses
CN108518366B (en) Two-dimensional-configuration multi-support-plate ejector and application
CA2364516A1 (en) Flow development chamber
CN107592898B (en) Compressor of a turbocharger with an air circulation valve, turbocharger with such a compressor and motor vehicle
US4466250A (en) Air passageway to air injection valve for gas turbine engine
CN112855629A (en) Gas ejector
CN218101340U (en) Composite ejector
CN102392838B (en) Jet injector with high efficiency
CN204553358U (en) A kind of high pressure annular jet pump being applicable to turbopump-feed system
KR20110101295A (en) Ejector
CN212080461U (en) T-shaped three-way pipe
CN101337211A (en) Nozzle of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