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142B1 -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 Google Patents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142B1
KR102300142B1 KR1020210015152A KR20210015152A KR102300142B1 KR 102300142 B1 KR102300142 B1 KR 102300142B1 KR 1020210015152 A KR1020210015152 A KR 1020210015152A KR 20210015152 A KR20210015152 A KR 20210015152A KR 102300142 B1 KR102300142 B1 KR 10230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ining
jacket
antibacterial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석
조성원
Original Assignee
엠플러스에프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플러스에프엔씨(주) filed Critical 엠플러스에프엔씨(주)
Priority to KR102021001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 도련부, 소매부 및 칼라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슬라이드 파스너에 의해 상기 외피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보온용 조끼 라이너를 포함하는 잠바로서,
상기 도련부와 소매부는 고무목단으로서 신축성을 부여하여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우레탄 섬유를 방적하여 제조한 혼방사를 이용한 원단을 사용하고,
상기 칼라부는 단추를 이용하여 상기 외피의 목 둘레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깃 고정 덧댐은 포켓형으로 하며,
상기 잠바에 포함되는 상기 외피의 몸체부 안감, 몸체부 겉감, 도련부 안감, 도련부 겉감, 소매부 안감, 소매부 겉감, 칼라부, 조끼 라이너 안감, 및 조끼 라이너 겉감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단은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항균처리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military fashion style winter jacket}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이 향상된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에 관한 것이다.
의복은 예로부터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수단이었으며, 사회와 문화의 변천에 따라 단순한 신체 보호 수단뿐만 아니라 치장이나 옷차림으로 비롯한 자기 표현의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군대, 소방서, 정비소 등과 같은 야외 또는 작업현장에서 착용하는 현장 근무복은 야외 또는 작업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들은 이러한 점에 포커스를 맞추어 근무복을 제조해 오고 있다.
그러나 경제가 성장하면서, 상기와 같은 기능성과 함께 항균 기능과 같은 위생 기능에 대한 요구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군용 잠바의 경우, 주로 신체 보호 기능성 및 내구성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제조되어 왔을 뿐이나, 최근 들어 위생성에 대한 요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바다에서 발생되는 염분을 포함하는 습기에 매일 노출되는 해군 및 해병의 경우, 위생성에 대한 요구가 더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므로, 신체 보호 기능성 및 내구성과 함께 우수한 위생성을 갖춘 군용 잠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86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체 보호 기능성 및 내구성과 함께 우수한 항균성을 갖춘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 도련부, 소매부 및 칼라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슬라이드 파스너에 의해 상기 외피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보온용 조끼 라이너를 포함하는 잠바로서,
상기 도련부와 소매부는 고무목단으로서 신축성을 부여하여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우레탄 섬유를 방적하여 제조한 혼방사를 이용한 원단을 사용하고,
상기 칼라부는 단추를 이용하여 상기 외피의 목 둘레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깃 고정 덧댐은 포켓형으로 하며,
상기 잠바에 포함되는 상기 외피의 몸체부 안감, 몸체부 겉감, 도련부 안감, 도련부 겉감, 소매부 안감, 소매부 겉감, 칼라부, 조끼 라이너 안감, 및 조끼 라이너 겉감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단은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항균처리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는 신체 보호 기능성 및 내구성과 함께 우수한 항균성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겉 앞면 디자인을 나타내고, 도 2(b)는 겉 뒷면 디자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보온용 조끼 디자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중간층 안감의 앞면 디자인을 나타내고, 도 3(b)는 뒷면 디자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중간층 안감을 뒤집었을 때 앞면 디자인을 나타내고, 도 4(b)는 뒷면 디자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 도련부, 소매부 및 칼라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슬라이드 파스너에 의해 상기 외피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보온용 조끼 라이너를 포함하는 잠바로서,
상기 도련부와 소매부는 고무목단으로서 신축성을 부여하여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우레탄 섬유를 방적하여 제조한 혼방사를 이용한 원단을 사용하고,
상기 칼라부는 단추를 이용하여 상기 외피의 목 둘레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깃 고정 덧댐은 포켓형으로 하며,
상기 잠바에 포함되는 상기 외피의 몸체부 안감, 몸체부 겉감, 도련부 안감, 도련부 겉감, 소매부 안감, 소매부 겉감, 칼라부, 조끼 라이너 안감, 및 조끼 라이너 겉감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단은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항균처리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잠바에 있어서 외피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보온을 위하여 등판, 앞판, 소매에 보온용 솜을 한겹 넣을 수 있다.
상기 외피 몸체부의 전면의 좌우측 부분에는 각각 주머니가 마련될 수 있으며, 주머니는 겉트기로 하고 주머니 입술단에는 부직포를 2겹으로 한 심지를 넣고, 주머니속은 도련까지 내려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 안섶에는 세로방향의 길이 150㎜, 주머니 입술 너비 20㎜의 안주머니를 만들고 파스너 테이프를 부착하여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바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몸체부 안감, 몸체부 겉감, 도련부 안감, 도련부 겉감, 소매부 안감, 소매부 겉감, 칼라부, 조끼 라이너 안감, 및 조끼 라이너 겉감 원단이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항균처리된 원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성분으로서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레리지아(학명: Strelitzia nicolai, 영명: White bird of paradise)는 파초과의 백색꽃이 피며,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극락조화의 한 종류이다. 흰극락조화, 야생바나나 등으로 불리는데, 극락조화들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높이 12m 폭 4m까지 자라고 여러 줄기가 나와서 덤블을 이룬다. 회색의 곧은 줄기는 목질로 야자와도 비슷하며, 표면에 잎들이 떨어진 자국이 나타난다. 길고 두꺼운 잎자루로 줄기에 달리는 2m이상의 광택나는 회녹색 잎들은 같은 과인 나그네나무처럼 부채모양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이 우수한 항균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스트레리지아 잎 추출물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은 하기에서 실험예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상기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은 스트레리지아 잎을 세절하여 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과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물을 4:6 내지 6: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물은 항균 조성물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하기 실험예에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아치오테(스페인어: achiote)는 빅사과 관목의 열매이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및 멕시코이다. 본 발명에서 아치오테 열매는 열매로부터 씨앗을 제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액과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액의 혼합액은, 스트레리지아 잎 추출액 또는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액보다 현저히 우수한 항균활성을 제공하는 것이 아래 실험예에서 확인되었다.
즉, 스트레리지아 잎 추출액 및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액은 동일한 정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너지 효과에 의해 추가적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13813519-pat00001
상기 식에서, m과 n은 몰분율으로서,
m은 0.3 내지 0.7이고, n은 0.3 내지 0.7이며, m+n은 1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는 항균 조성물의 항균 성분들이 섬유 원단에 더 잘 흡착되게 하고, 이후 사용시 잘 고정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바닷가의 염분 성분 중의 염소이온을 고정시켜 잠바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화학식 1의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300,000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0 내지 250,00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4:6 내지 6:4의 중량비로 포함된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과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을 90 내지 97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를 3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조성물은 4:6 내지 6:4의 중량비로 포함된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과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을 90 내지 93 중량%,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를 3 내지 7 중량%, 및 극성 유기용매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 포름아마이드(DMF)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는 그램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균(Bacillus cereus) 및 충치유발균(Streptococcus mutans); 그램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효모류인 칸디다균(Candida albicans) 및 비듬유발균(Malassezia furfur);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의 도포는 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스프레이, 디핑 등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바 원단에 항균 조성물을 스프레이 하여 건조시키거나, 잠바 원단을 항균 조성물에 디핑하여 항균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꺼내어 건조시킬 수 있다.
이후, 100 내지 190℃로 열처리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열처리에 의해서 항균 조성물은 침구용 직물의 표면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는
상기 잠바에 포함되는 몸체부 안감, 몸체부 겉감, 도련부 안감, 도련부 겉감, 소매부 안감, 소매부 겉감, 및 카라부 원단을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형태로 재단하고, 봉재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단들은 목적하는 색상으로 염색을 하고, 상기 항균 조성물로 코팅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는 군용 잠바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겉감 및 도련부 겉감 및 소매부 겉감 및 카라부 원단은 카키색 또는 그린색으로 염색된 원단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단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원단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련부와 소매부는 고무목단으로서 신축성을 부여하여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우레탄 섬유를 방적하여 제조한 혼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방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혼방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는 약 50 : 50 내지 약 95 : 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가 약 50 : 50의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혼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잠바의 질감이 뻣뻣해져 의복으로 가공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95 : 5의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상기 혼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잠바의 세탁견뢰도 및 마찰견뢰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굵기가 가느면서도 강도가 강하여, 제조되는 재활용 기능성 의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약 80 내지 약 140 데니어의 섬도, 약 10 내지 약 60 필라멘트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단 직물이나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의 혼방사 원단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기 또는 편기를 이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이중직, 파일직, 익직, 크레이프직,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직일 수 있고, 상기 여러가지 조직을 배합하거나 색상을 달리한 원사를 용하여 직물에 무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 조직이라 할 때 상기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 방법은 통상적인 삼원 조직 각각의 제직 방법에 의하며, 삼원 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 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 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 가지 조직을 배합하거나 색상을 달리한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에 무늬를 구현하여 문직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비 직물, 자카드 직물, 색사와 조직의 배합에 의한 문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도비 직물은 비교적 간단한 무늬를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며, 약 20 내지 약 40올의 위사에 의해서 완성되는 극히 작은 무늬와 바둑 무늬의 표현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케(pique)직, 버즈아이(birds-eye)직, 와플 클로스(waffle cloth)직, 허케백(huekaback)직, 크레이프직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자카드 직물은 상기 도비 직물과는 다르게 큰 무늬 또는 곡선의 표현이 구현 가능한 직물로, 예를 들어, 브로케이드(brocade), 대머스크(damask), 티피스트리(tapestry)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색상과 조직의 배합에 의한 문 직물은 색사와 평직, 바스켓직, 능직 등의 조직의 배합에 의해 작은 기하학적 무늬를 가진 직물을 만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조가 되는 두 가지 색사를 경위사 모두 한올씩 교대로 배정하고 평직으로 제직하면 경방향 또는 위방향의 가는 줄무늬를 만들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에 대조되는 두 가지 색사를 사용하고 평직 또는 바스켓 조직으로 제직하면 크로우즈풋(crowfoot) 무늬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경위사에 대조가 되는 두가지 색사를 4올씩 교대로 배열하고, 2/2 능직으로 제직하여 연결되지 않은 4각 별모양의 무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가는 줄무늬를 경방향 및 위방향 교대로 배치하면 체크무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물 제조 시 상기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직된 직물의 평량은 약 100 내지 400 g/㎡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직물의 평량이 약 100 g/㎡ 미만일 경우 제조되는 기능성 의류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평량이 약 400 g/㎡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기능성 의류의 경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의복으로 제조 및 착용시에 활동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직물을 재단 및 봉제하여 기능성 의류를 제작한다. 상기 직물은 항균성, 및 친환경성을 구비한 의류 제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속내의, 양말, 앞치마, 행주, 침대 커버, 소파 커버, 스카프, 안대, 헤어밴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제조예 1: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
건조된 스트레리지아 잎을 5~10 mesh로 잘게 분쇄시켜서 스트레리지아 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레리지아 잎 분말 1 kg에 60 %(v/v) 농도의 에탄올 10 L를 혼합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60~80℃에서 교반속도 3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회수한 2차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액 2 k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아치오테(스페인어: achiote) 열매에서 씨앗을 제거한 아치오테 열매를 세절하여 1 kg에 60 부피% 농도의 에탄올 10 L를 혼합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60~80℃에서 교반속도 300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액 2 k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화학식 1의 공중합체의 합성
반응용매인 에틸벤젠에 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3-[[2-(Methacryloyloxy)ethyl]dimethylammonio]propionate, CAS No.24249-95-4)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를 0.5:0.5의 몰비로 첨가하고,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노르말 머캡탄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중합용액을 10 L/hr의 속도로 20 L 반응기에 투입하면서 100℃의 온도로 중합하고, 휘발조에서 150℃의 온도로 미반응 단량체와 반응용매을 제거하고 세척, 탈수, 건조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220,000인 화학식 1의 공중합체를 얻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13813519-pat00002
상기 식에서, m과 n은 몰분율으로서, m=0.5, n=0.5이다.
실시예 1: 잠바 원단 항균 코팅
잠바 몸체부 겉감 원단(PET 100%)을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스트레리지아 잎 추출액 2 kg에 5시간 동안 담가서 항균처리를 한 후 건조시켰다. 이후, 약 110℃의 온도에서 약 40초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건조하는 방법은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건조는 열풍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60℃ 내지 약 150℃에서 5 분 내지 3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2: 잠바 원단 항균 코팅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스트레리지아 잎 추출액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잠바 몸체부 겉감 원단(PET 100%)을 상기 항균 조성물 2 kg에 5시간 동안 담가서 항균처리를 한 후 건조시켰다. 이후, 약 110℃의 온도에서 약 40초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건조하는 방법은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건조는 열풍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60℃ 내지 약 150℃에서 5 분 내지 3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3: 잠바 원단 항균 코팅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스트레리지아 잎 추출액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95 중량% 및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공중합체를 5 중량%로 첨가하여 항균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잠바 몸체부 겉감 원단(PET 100%)을 상기 항균 조성물 2 kg에 5시간 동안 담가서 항균처리를 한 후 건조시켰다. 이후, 약 110℃의 온도에서 약 40초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때 건조하는 방법은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건조는 열풍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60℃ 내지 약 150℃에서 5 분 내지 3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험예 1: 항균활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항균 코팅된 잠바 원단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표적인 식중독균(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Campylobacter jejuni,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hypimurium,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을 사용하였다.
상기 세균류를 멸균된 TSB 배지 10㎖에 배양물에 50㎕를 접종하여 30℃에서 24±1 시간 계대배양하였다. 이 배양물의 농도는 microplate reader 흡수파장 655㎚에서 Abs 0.6±0.1이 유지되었다. 계대배양 한 실험균을 멸균증류수로 10-3배로 희석하여 원판확산법을 실시하였다. 즉, 희석균주를 멸균면봉에 묻혀 4mm 두께의 평판배지에 확산 도말하고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항균원단을 직경 8mm의 원으로 잘라서 올린 후, 24±1 시간 배양하고 생육환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항균원단의 항균활성은 항균원단(직경 8mm)을 포함한 투명대의 크기를 측정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13813519-pat00003
a: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KCTC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KCCM (사)한국종균협회
b: 투명대의 크기(직경mm)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원단은 제조예 1에서 준비한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로 코팅되어 모두 전체 세균류들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 및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로 코팅된 실시예 2의 원단은 실시예 1의 원단보다 더욱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더 나아가서, 화학식 1의 공중합체 화합물을 더 포함한 실시예 3의 원단은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항균 활성 성분이 상기 고분자에 의해 원단에 더 잘 고정된 영향인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2: 잠바 항균 원단의 항균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잠바 항균 원단에 대하여 한국 공업규격 KS K 0693-1990에 의해서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13813519-pat00004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잠바 항균 원단은 모두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냈다.

Claims (6)

  1. 몸체부, 도련부, 소매부 및 칼라부를 포함하는 외피 및 슬라이드 파스너에 의해 상기 외피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보온용 조끼 라이너를 포함하는 잠바로서,
    상기 도련부와 소매부는 고무목단으로서 신축성을 부여하여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폴리우레탄 섬유를 방적하여 제조한 혼방사를 이용한 원단을 사용하고,
    상기 칼라부는 단추를 이용하여 상기 외피의 목 둘레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깃 고정 덧댐은 포켓형으로 하며,
    상기 잠바에 포함되는 상기 외피의 몸체부 안감, 몸체부 겉감, 도련부 안감, 도련부 겉감, 소매부 안감, 소매부 겉감, 칼라부, 조끼 라이너 안감, 및 조끼 라이너 겉감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단은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항균처리된 원단이고,
    상기 항균 조성물은 스트레리지아 잎 에탄올 추출물과 아치오테 열매 에탄올 추출물을 4:6 내지 6: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몸체부 안감, 몸체부 겉감, 도련부 안감, 도련부 겉감, 소매부 안감, 소매부 겉감, 칼라부, 조끼 라이너 안감, 및 조끼 라이너 겉감 원단이 항균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항균처리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오테 열매는 씨앗을 제거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는 그램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균(Bacillus cereus) 및 충치유발균(Streptococcus mutans); 그램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효모류인 칸디다균(Candida albicans) 및 비듬유발균(Malassezia furfur);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KR1020210015152A 2021-02-03 2021-02-03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KR10230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52A KR102300142B1 (ko) 2021-02-03 2021-02-03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52A KR102300142B1 (ko) 2021-02-03 2021-02-03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142B1 true KR102300142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52A KR102300142B1 (ko) 2021-02-03 2021-02-03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1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656A (en) * 1988-08-10 1989-09-12 Nesse Gary E Removable insert assembly for jackets
EP0514508B1 (de) * 1990-11-27 1995-03-15 MRAK, Magdalena Extrakt aus Calotropis procera zur Behandlung von angeborene Syphilis
KR200206535Y1 (ko) * 2000-04-22 2000-12-01 최재승 분리식 의류
JP2004501167A (ja) * 2000-06-16 2004-01-15 ハーキュ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urkholderiacepaciaの処理のためのペプチド、組成物および方法
JP2014055394A (ja) * 2005-12-12 2014-03-27 Southern Mills Inc 抗菌剤を有する耐炎性布帛およ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US20150366273A1 (en) * 2014-06-19 2015-12-24 Rudick Enterprises Inc. Load-bearing jacket
KR20170003863U (ko) 2016-05-04 2017-11-14 (주)해원통상 현장 근무용 점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656A (en) * 1988-08-10 1989-09-12 Nesse Gary E Removable insert assembly for jackets
EP0514508B1 (de) * 1990-11-27 1995-03-15 MRAK, Magdalena Extrakt aus Calotropis procera zur Behandlung von angeborene Syphilis
KR200206535Y1 (ko) * 2000-04-22 2000-12-01 최재승 분리식 의류
JP2004501167A (ja) * 2000-06-16 2004-01-15 ハーキュ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urkholderiacepaciaの処理のためのペプチド、組成物および方法
JP2014055394A (ja) * 2005-12-12 2014-03-27 Southern Mills Inc 抗菌剤を有する耐炎性布帛およ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US20150366273A1 (en) * 2014-06-19 2015-12-24 Rudick Enterprises Inc. Load-bearing jacket
KR20170003863U (ko) 2016-05-04 2017-11-14 (주)해원통상 현장 근무용 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890B1 (ko) 친환경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KR102432113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838883B (zh) 一种高支高密竹纤维毛毯的制造方法
CN105231933A (zh) 一种抗菌混合纤维毛巾制作工艺
KR102300129B1 (ko) 항균 기능이 향상된 의류용 섬유시트
CN111114038A (zh) 一种抗菌运动服装面料
KR102300142B1 (ko)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동계용 잠바
KR102300143B1 (ko) 밀리터리룩 스타일 동계용 잠바
KR102313536B1 (ko)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비행 잠바
KR102313537B1 (ko)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조종 잠바
CN105231498A (zh) 一种抗菌混合纤维袜子制作工艺
KR102300141B1 (ko)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춘추 잠바
KR102313036B1 (ko) 항균 기능이 향상된 화학물질 차단용 보호복
KR102313035B1 (ko) 항균 기능이 향상된 화학물질 방호용 보호복
KR102495304B1 (ko) 항균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방적사 및 이의 제조 방법
Afrin et al. Bamboo fibres and their unique properties
Samanta et al. Potential of ligno-cellulosic and protein fibres in sustainable fashion
KR102300135B1 (ko) 밀리터리 패션 스타일 신발
CN105105344A (zh) 一种抗菌玉米纤维袜子制作工艺
KR102300146B1 (ko) 항균 기능이 향상된 경량 단화
CN105862409B (zh) 一种羊毛衫处理液
CN105054327A (zh) 一种抗菌竹纤维袜子制作工艺
CN107471776A (zh) 一种抗菌运动外套面料及其制备方法
KR102199366B1 (ko) 재활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CN105937087A (zh) 罗布麻多纤混纺针织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