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536B1 - A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based on a 3-dimensional virtual realit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based on a 3-dimensional virtual reality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9536B1 KR102299536B1 KR1020210098227A KR20210098227A KR102299536B1 KR 102299536 B1 KR102299536 B1 KR 102299536B1 KR 1020210098227 A KR1020210098227 A KR 1020210098227A KR 20210098227 A KR20210098227 A KR 20210098227A KR 102299536 B1 KR102299536 B1 KR 102299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ject
- division
- visual field
- screen
- virtual rea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08000013449 Visual field disease Diseas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77 improving vision Effects 0.000 claims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6776 visual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857 visual cortex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452 Hemia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460 Hemiano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18 appropriat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31 bra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74 brain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28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4 ob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4—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e.g. perimeter ty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8—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visual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for the partially sight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MD(Head Mounted Display) 및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 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 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은, 상기 HMD의 화면 상에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1 대상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 출력됨-; 상기 제1 대상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로 도달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체가 분할 또는 소멸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 상기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출력하는 단계; 및 피험체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central)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 및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a 3D virtual reality-based visual field disorder improvement training method using the HM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3D virtual reality-based visual impairment improvement training method using an HMD, comprising: outputting a 3D virtual reality-based first object on a screen of the HMD - The first object is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output in the form of approaching from the 1st position to the 2nd position-;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reaches the second position; outputting the 3D virtual reality-based second and third objects on the screen when the first object is divided or destroyed; and receiving identification inputs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a response input device of the subject, where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a center of a field of view of the subject. and the second and third objects are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a center of visual field of the subject, a normal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nd an impaired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Description
본 발명은 HMD(Head Mounted Display) 및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 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a 3D virtual reality-based visual field disorder improvement training method using the HMD.
일반적으로 뇌졸중은 단일 질병으로 국내 불구원인 1위로, 상기 뇌졸중으로 인한 뇌기능 손상 중, 시야 장애는 전체 피험체의 20~30%의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주요 장애이다. 이러한 시야 장애는 통상적으로 영구결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시야 장애 재활치료 시도 자체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고, 뇌졸증에 따라 시각피질에 뇌손상을 입은 피험체는 특징적으로 병변 반대편에 반측 시야장애(hemianopia)를 보인다. 일례로 좌측 시각피질 부위에 뇌졸중이 발생한 피험체는 우측에 반측 시야장애를 보이는데, 이때 피험체는 두 눈을 모두 뜨고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우측시야에 있는 사물이나 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한다.In general, stroke is a single disease and ranks first for disability in Korea. Among the brain function impairments caused by the stroke, visual field impairment is a major disability that occurs at a high rate of 20-30% of all subjects. This visual field impairment is generally accepted as a permanent defect, an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attempt to rehabilitate the visual field disorder itself, and subjects with brain damage to the visual cortex following a stroke characteristically develop hemianopia on the other side of the lesion. see. For example, a subject who has had a stroke in the left visual cortex has a hemilateral visual field disorder on the right side. In this case, the subject cannot recognize objects or movements in the right visual field when looking straight ahead with both eyes open.
그러나 시각피질 부위에 발생한 뇌졸중에 의한 시야 장애 피험체 중에는 보이지 않는 시야에서 어떤 움직임이나 형태를 알아차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보이지 않는 시야에 X 또는 O를 보여주며 글자를 맞춰보라고 하면, 피험체는 보이지 않는다고 대답하면서도 확률적으로 chance level 이상으로 글자를 맞추고, 심지어 시각자극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피험체는 자극을 시각적으로 지각하지 못하지만, 뇌는 움직임이나 형태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1970년대 Lawrence Weiskrantz가 발견한 이 현상은 맹시(blindsight)라고 불리우고 있는데, 상기 맹시는 보이지 않는데도 알아차리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한 맹시 현상의 존재는 망막을 통해 들어온 시각정보가 시각피질이 아닌 다른 곳을 통해서도 처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owever, some subjects with visual field impairment due to a stroke occurring in the visual cortex may notice certain movements or shapes in an invisible field of view. Even if they answer that they do not see it, they match the letters more than the chance level with probability, and even show an appropriate response to a visual stimulus. These subjects do not perceive the stimulus visually, but the brain notices movement or shape. This phenomenon, discovered by Lawrence Weiskrantz in the 1970s, is called blindsight, which refers to the phenomenon of noticing even though it cannot be seen. The existence of the above-mentioned blindness phenomenon suggests that visu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etina can be processed through other places than the visual cortex.
따라서, 반복적인 시지각 자극 제공을 통해 시지각 학습(훈련)을 수행하여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지각 훈련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visual perception function by performing visual perception learning (training) through repetitive provision of visual perception stimulation.
기존의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제공하는 방법은, 피험체가 피험체의 눈 위치로부터 모니터까지의 거리 및 높이를 맞춰 위치하여야 함으로써, 불편함이 따랐다.In the existing method provided for training for visual field disorders, the subject has to position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height from the subject's eye position to the monitor,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또한, 피험체의 눈 위치로부터 모니터까지의 거리가 정해져 있으므로, 특정 깊이에서의 자극만을 줄 수 있으므로, 다양한 깊이에 따른 자극은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from the eye position of the subject to the monitor is determined, only stimulation at a specific depth can be given, so there is a problem that stimulation according to various depths cannot be given.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험체의 집중력을 유도하고, 다양한 깊이에 따른 자극을 줄 수 있는, 시야 장애 개선을 위한 훈련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ining method, a program, and a computing device for improving visual field disorders, which can induce a subject's concentration and provide stimulation according to various depth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먼거리에서 가까운거리로 이동하는 대상체로 중심시야에 시선방향을 고정한 상태에서 주변시야에 자극을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provide a stimulus to the peripheral field of view while the gaze direction is fixed to the central field of view to an object moving from a far distance to a near distance from the user.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야 장애 훈련을 게임으로 구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d provide training for visual impairment as a g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 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은, 상기 HMD의 화면 상에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1 대상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 출력됨-; 상기 제1 대상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로 도달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체가 분할 또는 소멸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 상기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출력하는 단계; 및 피험체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central)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 및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improving the visual field disorder based on a 3D virtual reality using an HM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outputting a 3D virtual reality based first object on a screen of the HMD - the first the object is outputted in a form approach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n the screen;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reaches the second position; outputting the 3D virtual reality-based second and third objects on the screen when the first object is divided or destroyed; and receiving identification inputs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a response input device of the subject, where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a center of a field of view of the subject. and the second and third objects are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a center of visual field of the subject, a normal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nd an impaired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이때,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제1 조합으로 출력되되, 상기 제1 조합은,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as a first combination, and in the first combination, any one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is located in a normal region of the subject's field of view, and the other O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impaired area of the subject's field of view.
또한,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상기 제1 조합 및 제2 조합의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되되, 상기 제2 조합은, 상기 제2 대상체와 상기 제3 대상체 모두가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at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first combination and the second combination, wherein the second combination is that both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have a field of view of the su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normal region of
또한,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는, 제3 조합으로 출력되되, 상기 제3 조합은,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in a third combination, wherein in the third combination, any one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eld of view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impaired area of the subject's field of view.
또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HMD가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 및 제2 분할 대상체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대상체가 분할되는 동안, 상기 제1 분할 대상체 및 상기 제2 분할 대상체의 깊이는 상기 제1 대상체와 동일 또는 상이하게 조절되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대상체가 상기 제1 분할 대상체 및 상기 제2 분할 대상체로 분할된 후, 상기 HMD가 미리 결정된 영역에서 상기 제1 분할 대상체 및 상기 제2 분할 대상체를 대체하여 가상의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HMD divides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in the step of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the first object is divided into a first divided object and a second divided object at the second position. is divided, and while the first object is divided, the depths of the first division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are adjusted to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object, and the outputting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includes: After the first object is divided into the first division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the HMD replaces the first division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in a predetermined area to obtain the virtual second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object is output.
또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HMD가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소멸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제2 위치에서 흩어지는 형태로 소멸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퍼지는 형태로 소멸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흩어지거나 퍼지는 동안 흩어지거나 퍼지는 형태의 제1 대상체의 제공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HMD destroys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in the step of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the first object disappears in a scattered form at the second position or disappears from the second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depth of the first object in the form of spreading or disappearing in the form of spreading in the second position is adjusted while being dispersed or spreading in the second position.
또한, 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색상이 상이하게 출력되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가로무늬 또는 세로무늬 중에서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하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object has different colors output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randomly selected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pattern or a vertical pattern. output is characterized.
또한,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회전하는 도형 형태로 출력되되, 상기 제2 대상체와 상기 제3 대상체의 회전 방향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하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in the form of a rotating figure, and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randomly output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는, 상기 화면 상에서 출력되는 깊이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하게 출력되되,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가 출력되는 깊이는, 상기 피험체의 눈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대상체 또는 상기 제3 대상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nd third objects are randomly output so that the depths output on the screen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pths at which the second and third objects are output are determined from the eye position of the su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bject or the third obj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가상 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HMD는,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1 대상체를 출력하고-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 출력됨-, 상기 제1 대상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로 도달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고, 상기 제1 대상체가 분할 또는 소멸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 상기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피험체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central)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 및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MD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based visual impairment improvement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 3D virtual reality-based first objec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first object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on the screen. output in the form of approaching the second position -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reaches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object is divided or destroyed on the screen, and the first object is divided or destroyed , output the 3D virtual reality-based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on the screen, and receive an identification input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a response input device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positions in a central field of view of the subject, and the second subject and the third subject are at the center of the subject's field of view, the and located in at least one of a normal area of the subject's field of view and an impaired area of the subject's field of view.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이 날아오는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시야 장애 훈련에 있어서 피험체의 집중력을 유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mulus is provided in the form of flying, thereby inducing the subject's concentration in training for visual field disorder.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자극의 종류를 제공함으로써, 뇌 영역 각각의 장애에 따라 자극을 달리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치료 훈련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stimulation, different stimulations are provided according to disorders of each brain region, thereby effectively training for treatment.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의 형태, 자극 제공의 속도, 각도, 거리 등을 조절하여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난이도 조절 및 피험체의 상태에 따른 치료 훈련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stimulus by adjusting the form of stimulus, the speed, angle, distance, etc. of stimulus provision, difficulty control and treat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are possible.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적으로 자극을 제공하는 방식을 게임으로서 구현하여 시야 장애 훈련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stimulation in three dimensions may be implemented as a game to arouse the user's interest in training for visual field disorder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대상체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을 위에서 바라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시야 장애 훈련 화면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시야 장애 훈련 화면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화면 상에서 제1 대상체(10),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이동하는 연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및 도 9는 실제로 구현되는 화면 상에서 제1 대상체(10),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대상체가 피험체의 중심 시야 방향을 변경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시야 장애가 발생하는 영역에 따라 달라지는 자극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시야 장애 훈련의 난이도 조절로서 제1 대상체,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의 제공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가 제공되는 시야 범위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ual field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viewed from above in which a first object is provided as a form approach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3 is a view showing a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screen from the side.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screen from the front.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tinuous state in which the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movement of the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first object is provided by being moved to change the central viewing direction of the subject.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ype of stimulus that varies according to an area in which a visual field disturbance occurs.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djustment of provision times of a first object, a second object, and a third object as a difficulty adjustment of training for visual field disorder.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gle adjustment of a viewing range provided by a second object and a third objec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A spatially relative term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that includes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은 뇌가소성을 유도하여 시야 장애를 치료하는 것으로서, 뇌가소성을 유도한 시야 장애(예를 들어, 뇌졸중에 의한 시각 피질에 의한 시야장애 등)의 치료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은 디지털치료제로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eat visual field disorders by inducing brain plasticity, and by the therapeutic effect of visual field disorders induced by brain plasticity (for example, visual field disorders caused by stroke, etc.),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digital therapeutic agent. can
디지털 치료제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 수술, 시술 또는 약 등을 처방하게 되는데, 디지털 헬스케어를 약과 같이 사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의미하며, 디지털 치료제는 하드웨어 없이 애플리케이션, 게임, VR, 챗봇, 인공지능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의 의료기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가 치료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Digital therapeutics prescribe surgery, procedures, or medicines to treat patients. Digital therapeutics means treating patients using digital healthcare together with medicines. Digital therapeutics are applications, games, VR, chat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thout hardware. By using software such as software, software alone may b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or software embedded in a hardware medical device may serve as a therapeutic agent.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연산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가 컴퓨팅 장치인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가 헤드마운드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제공해주는 것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컴퓨팅 장치 자체로서,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까지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컴퓨터가 해당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로 표현될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computer' includes various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For example, computers include desktop PCs and notebooks (Note Books) as well as smart phones, tablet PCs, cellular phones, PCS phone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s), synchronous/asynchronous A mobile terminal of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MT-2000), a Palm Personal Computer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the like may also be applicable.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head-mounted display function, including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itself is a computing device. A computer is a computing device that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an image to the head-mounted display. The computer is a head-mounted display computing device itself, including generating and even providing an image. Also, the computer may correspond to a server computer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a client.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puter may be expressed as a terminal or a client.
본 명세서에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에 시야 장애 훈련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2차원 및 3차원(가상현실, VR)에서 수행되는 시야 장애 개선을 위한 훈련 방법으로서, 3차원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예를 들어, PC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장치 또는 컴퓨팅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image to a user's eye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ual field disorders performed i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VR), and uses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when performed in three dimensions.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may be a device connected to and used with a computer (eg, a PC or a smart phone) or a device including a computing func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은 2차원에서의 훈련 수행시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며, 3차원에서의 훈련 수행시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헤드마운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화면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reen' provided to the user includes a separate display screen when training in two dimensions is performed, and includes a screen in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worn by the user when training in three dimensions is performed.
본 명세서에서 '중심시야부'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내에서 중앙 영역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entral viewing area' refers to a central area within a screen provided to a user.
본 명세서에서 '주변시야부'는 화면 내에서 중심시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peripheral viewing area' refers to the remaining area in the screen except for the central viewing area.
본 명세서에서 '제1 대상체'는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한 고정점(fixation point)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피험체 시야의 중심을 고정하는 자극이다. 제1 대상체는 2차원의 형태일 수 있고, 3차원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대상체는 후술할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의 출현 전에 분할되거나 소멸될 수 있으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의 출현 후에 소멸될 수 있으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생성하여 제공하면서 동시에 소멸될 수도 있다. 제1 대상체가 분할되거나 소멸되는 형태에 대하여는 후술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object' serves as a fixation point for training for visual field disorders, and is a stimulus for fixing the center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The first object may have a two-dimensional shape or a three-dimensional shape. In addition, the first object may be divided or destroyed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disappear after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It can be provided and destroyed at the same time. A form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divided or destroyed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명세서에서 '제1 분할 대상체' 및 '제2 분할 대상체'는 제1 대상체가 분할되어 제공되는 대상체로서, 제1 대상체와 동일한 크기 및/또는 동일한 형태일 수 있고, 제1 대상체와 상이한 크기 및/또는 상이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분할 대상체' 및 '제2 분할 대상체'는 일정 시점에서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로 변경 또는 대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irst division object' and 'second division object' are objects provided by dividing the first object, and may be the same size and/or the same shape as the first object, and different sizes from the first object and / or it may be in a different form. Also, the 'first division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may be changed or replaced with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t a certain point in time.
본 명세서에서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는 중심시야, 시야 장애 영역, 정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자극(gabor)이다. 구체적인 제공 영역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refer to a stimulus provided to at least one of a central visual field, a visual field disturbance region, and a normal region. A specific provision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본 명세서에서 '자극 인식 위치'는 제1 대상체가 배치되는 최초의 위치로서, 사용자가 제1 대상체를 중심 시야에서 자극으로서 인식하도록 제1 대상체가 배치되는 위치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imulus recognition position' is an initial position where the first object is disposed, and is a position where the first object is disposed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first object as a stimulus in the central field of vie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ual field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은, 컴퓨터가 화면 상에 가상의 제1 대상체를 제공하는 단계(S100), 제1 대상체(10)의 위치가 제2 위치까지 도달하면, 컴퓨터가 화면 상에서 제1 대상체(10)를 분할하여 제공하거나 제1 대상체(10)를 소멸시키는 단계(S200),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어 제공되거나 소멸된 이후, 컴퓨터가 화면 상에 가상의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제공하는 단계(S300) 및 컴퓨터가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in the method of training for improving visual field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providing a virtual first object on a screen (S100), the position of the
컴퓨터가 화면 상에 가상의 제1 대상체를 제공하는 단계(S100)는, 제1 대상체(10)가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된다.In the step ( S100 ) of the computer providing the first virtual object on the screen, the
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2차원에서의 훈련 수행의 경우에는 사용자와 떨어져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되며, 3차원에서의 훈련 수행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해당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corresponds to a separate display screen separated from the us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raining in two dimensions, and corresponds to the screen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worn by the us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raining in three dimensions. .
본 발명은 2차원에서의 시야 장애 훈련 방법 및 3차원에서의 시야 장애 훈련 방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oth a training method for visual field impairment in two dimensions and a training method for visual impairment in three dimensions.
제1 위치는 제1 대상체(10)의 위치,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이 시작되는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제1 대상체(10)의 위치,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이 종료되는 위치이다.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at which a change of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일 실시예로, 가상 공간 상에서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대상체(1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제1 대상체(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As an embodiment, when the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위치에서 제1 대상체(1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화면을 응시하는 사용자는 화면 상에서 제1 대상체(10)가 크기가 변경(예컨대, 고정된 위치에서 작은 크기에서 점점 큰 크기의 제1 대상체(10)가 제공됨)됨으로 인해 제1 대상체(10)가 이동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후술하는 제1 대상체(1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실시예들에는 제1 대상체(10)가 위치 변경없이 크기가 변경됨으로 사용자가 제1 대상체(10)의 이동으로 인식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먼 위치에 있는 제1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2 위치까지 날아오는 형태라는 것 또한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동일하고, 제공되는 제1 대상체(10)의 크기가 작은 것에서 점점 더 큰 것으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in which the
또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피험체의 중심시야에서의 위치이다.Further,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positions in the subject's central field of view.
제1 대상체(10)가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다가오는 형태로서 이동하는 것은, 화면 내의 공간 상에서 먼 위치에 있는 제1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2 위치까지 날아오는 형태로서 피험체에게 자극이 제공되는 것이다.The moving of the
또한, 제1 대상체(10)는 3차원 상에서 날아오는 형태로 피험체에게 자극이 제공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imulus is provided to the
제1 대상체(10)는 피험체의 중심시야부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피험체 개인 및 질병의 상태에 따라 제1 대상체(10)가 제공되는 각도, 거리 및 속도가 상이할 수 있으며, 각도, 거리 및 속도는 조절이 가능하다.The
제1 대상체(10)를 날아오는 형태로서 피험체에게 제공함으로써, 피험체의 시야를 고정시키는 역할 및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3차원에서의 훈련 수행의 경우, 컴퓨터가 화면 상에 가상의 제1 대상체(10)를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대상체(10)의 자극 인식 위치는 이동되고, 이동된 자극 인식 위치에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1 대상체(10)의 인식이 감지되면, 제1 대상체(10)가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다가오는 형태로서 이동하도록 제공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training in three dimensions, in the step (S100) of the computer providing the virtual
자극 인식 위치가 이동되어, 제1 대상체(10)의 인식이 감지되면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에서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vement of the
컴퓨터가 화면 상에 제1 대상체를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제1 대상체(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의 색상이 상이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the computer providing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 S100 ), the
다가오는 자극, 즉, 제1 대상체(10)가 다가올 때의 색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중심시야를 고정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By changing the color of the approaching stimulus, that is, when the
제1 대상체(10)의 위치가 제2 위치까지 도달하면, 컴퓨터가 화면 상에서 제1 대상체(10)를 분할하여 제공하거나 제1 대상체(10)를 소멸시키는 단계(S200)에서 제1 대상체(10)를 분할하여 제공하거나 소멸시키는 형태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구현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일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흩어지는 형태로 소멸되되, 흩어지는 형태로 소멸되는 것이란,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에서 복수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각각의 조각들이 상하좌우로 흩어지며 멀어짐으로써 사라지는 것이다.In an embodiment, the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퍼지는 형태로 소멸되되, 퍼지는 형태로 소멸되는 것이란,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에서 제1 대상체(10)의 형태가 상하좌우로 점점 넓게 퍼짐과 동시에 희미해지는 것으로, 제1 대상체(10)의 형상이 퍼짐의 정도와 함께 희미함의 정도도 증가하여, 점차 희미하게 됨으로써 사라지는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대각 방향으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흩어지거나 퍼지는 동안 흩어지거나 퍼지는 형태의 제1 대상체(10)의 제공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ile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대각방향으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제공되며, 분할되는 동안 분할되는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의 제공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어 제공되거나 소멸된 이후, 컴퓨터가 화면 상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단계(S300)에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피험체의 시야 중심,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 및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도록 제공한다.After the
일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는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제3 대상체(30)는 피험체의 시야 중심, 즉,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제공하고,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는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제3 대상체(30)는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이자 중심시야를 기준으로 제2 대상체(20)와 대각 방향에 위치하도록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단계(S300)는,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어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제공된 후, 컴퓨터가 미리 결정된 영역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를 대체하여 가상의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이 때,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를 대체하여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형태로는, 일 실시예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회전하며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된다.In this case, in a form in which the
다른 실시예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사라짐과 동시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흐려지며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나누어지며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작아지며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미리 결정된 영역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 또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주변 영역이다.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일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 상에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도달하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when the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도달하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깊이는 조절이 가능하다.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제공 깊이가 조절됨에 따라,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한 자극이 제공되는 화면 상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공되는 깊이는 일 실시예로, 가상 공간 상에서 깊이가 상이하게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 깊이가 다른 것처럼 보여지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The depth at which the
따라서, 각 피험체 및 장애 상태에 따라, 훈련을 위한 자극인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화면 상의 깊이를 조절하여 훈련함으로써, 각각의 상태에 대한 훈련이 더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by adjusting the depth on the screen where the
또한,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는 다양한 조합, 비율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는, 일 실시예로, 제1 조합으로서 제공되고, 제1 조합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 중 하나가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가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때,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대각 방향으로 제공된다.The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는 제2 조합으로서 제공되고, 제2 조합은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 모두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때에도,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대각 방향으로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는 제1 조합 및 제2 조합의 일정 비율로서 제공되고, 일정 비율은, 미리 결정된 비율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의 제1 조합 및 제2 조합의 제공 비율은, 4:1의 비율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atio of the first combination and the second combination of the
시야 장애 영역을 포함하는 자극 조합인 제1 조합과 정상 영역에 제공되는 자극 조합인 제2 조합을 일정 비율로 함께 제공하는 것은, 학습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combination, which is a stimulus combination including the visual field impaired region, and the second combination, which is a stimulus combination provided to the normal region, are provided together in a predetermined ratio, the learning effect may be further increased.
또한, 제1 조합 및 제2 조합의 제공 비율이 4:1인 경우, 가장 효과적인 학습 결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when the provision ratio of the first combination and the second combination is 4:1, the most effective learning result appears.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는 제3 조합으로서 제공되고, 제3 조합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 중 하나가 피험체의 중심 시야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가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 중 하나는 피험체의 중심 시야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되지 않고 중심 시야에 지속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대상체를 기반으로 하여 시야 장애 훈련을 수행할 경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When one of the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에 고정한 상태에서 시선의 이동없이 장애 영역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gaze can be viewed without moving the gaze while the user's gaze is fixed at the center.
상술한 실시예 중, 대상체를 대각 방향으로 제공하는 것과 대상체 중 하나를 중심 시야에 계속적으로 제공하고 나머지 하나를 장애 영역에 제공하는 것 모두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에 고정하고, 시선의 이동 없이 장애 영역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mo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oth of providing the object in a diagonal direction and continuously providing one of the objects to the central field of view and providing the other to the disabled area fix the user's gaze to the center and fix the user's gaze to the disabled area without moving the gaze to be able to see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단계(S300)에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다양한 자극 종류로서 제공될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the
일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는 가로무늬 또는 세로무늬 중에서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random)으로 제공된다.In an embodiment, the
이 경우, 컴퓨터가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400)에서 식별 입력은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가 동일한 무늬인지, 상이한 무늬인지, 또는 장애 영역에 제공된 대상체가 가로무늬인지, 세로무늬인지의 입력을 포함한다.In this case, in the step (S400) of the compute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put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the user's response input device, the identification input determines whether the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는 회전하는 도형이고,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의 회전 방향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으로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이 경우, 컴퓨터가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400)에서 식별 입력은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또는 장애 영역에 제공된 대상체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는지, 왼쪽으로 회전하는지, 아래로 회전하는지, 위로 회전하는지 등 회전 방향의 입력을 포함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mput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put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the user's response input device ( S400 ), the identification input is applied to the
또 다른 실시예로, 화면 상에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깊이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으로 제공되고,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깊이는, 피험체가 인식하는 화면으로부터 제2 대상체(20) 또는 제3 대상체(30)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디.In another embodiment, the depths at which the
이 경우, 컴퓨터가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400)에서 식별 입력은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가 동일한 깊이에 제공되는지, 상이한 깊이에 제공되는지, 또는 장애 영역에 제공된 대상체가 그렇지 않은 영역에 제공된 대상체보다 더 깊이 제공되는지, 덜 깊이 제공되는지의 입력을 포함한다.In this case, in the step (S400) of the compute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put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the user's response input device, the identification input is applied to the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자극 종류는 뇌에서 시야 장애가 발생하는 영역에 따라 달라지므로, 도 7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types of stimulation of the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어 제공되거나 소멸된 이후, 컴퓨터가 화면 상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단계(S300)에서,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어 제공되거나 소멸된 이후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것은, 일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된 후,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미리 결정된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형태로 변경되어 보여지도록 제공한다.After the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는 것은,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분할 되도록 한다.The division of the
미리 결정된 시간은 가능한 짧은 시간으로 설정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짧은 경우에, 피험체가 중심시야에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고, 이후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형태로 변경된 것을 볼 때에, 눈을 돌리지 않고, 중심시야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영역의 깊이는, 제2 대상체(20)가 제공되는 영역의 깊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고, 상이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The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be as short as possibl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s short, the
제공되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종류가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지, 또는 시야 장애 영역에 있는 대상체의 형태가 무엇인지 등을 판단하는 것이 본 발명의 시야 장애 훈련이므로, 시야 장애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것은 훈련에 있어서 큰 효과를 볼 수 없다.Since the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types of the provided
따라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날아오는 형태의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며 미리 결정된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분할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영역 또는 주변 영역 상에 상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형태로 변경되어 보여지도록 제공된다.Accordingl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영역은, 일 실시예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제2 대상체(20) 또는 제3 대상체(30)의 형태로 변경되는 지점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determined region is a point at which the
미리 결정된 영역은, 다른 실시예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날아오는 형태로서 도달한 영역으로, 제2 대상체(20) 또는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영역보다 깊이가 더 깊은 영역의 지점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reached by the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고,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생성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의 설명을 참조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he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단계(S300)에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난이도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the
일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피험체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인 자극의 형태를 맞추게 되면, 콘트라스트를 낮춰 난이도를 높이고, 피험체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인 자극의 형태를 맞추지 못하고, 오답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에는 콘트라스트를 높여 난이도를 낮춰서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ast of the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크기(size)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피험체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인 자극의 형태를 맞추게 되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크기를 줄여 난이도를 높이고, 피험체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인 자극의 형태를 맞추지 못하고, 오답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에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크기를 늘려 난이도를 낮춰서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ize of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노출 시간(duration)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피험체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인 자극의 형태를 맞추게 되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노출 시간을 줄여 난이도를 높이고, 피험체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인 자극의 형태를 맞추지 못하고, 오답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에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노출 시간을 늘려 난이도를 낮춰서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imulus may be provided by adjusting the exposure duration of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위치(location)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of the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제공하는 단계(S300)는, 피험체의 시야 범위 내에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것이고,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위치와 중심시야 간의 각도는 조절이 가능하다.The step of providing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 S300 ) is to provide the
각도 조절은, 일 실시예로, 피험체의 시야 장애 영역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치료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조절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adjustmen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visual field disturbance region, and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adjusted to progress in stag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status.
컴퓨터가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400)는, 상술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제공 형태에 따라, 제2 대상체(20)와 제3 대상체(30)가 동일한지 상이한지, 또는 어떠한 형태인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다.In the compute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put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the user's response input device ( S400 ), the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어 제공되거나 소멸된 이후, 컴퓨터가 화면 상에 가상의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제공하는 단계(S300)에서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정해진 시간만큼 제공하기 전에도, 컴퓨터는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S400)할 수 있다.After the
즉, 컴퓨터가 화면상에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at is, the computer may provide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on the screen and simultaneously receive an identification input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the user's response input device.
입력의 방법으로는, 일 실시예로 어느 버튼을 누르는지에 따라 동일하지 상이한지 입력하고, 다른 실시예로 버튼을 몇 번 누르는지에 따라 동일한지 상이한지 입력하는 등,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문제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는 형태는 모두 포함된다.The input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uch as inputting whether it is the same or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button is pressed in one embodiment, and whether the same or different depending on how many times the button is pressed in another embodiment, etc. All forms of inputting a response to a problem using the response input device of
본 발명은 다가오는 형태로 이동하는 제1 대상체(10)를 이용하여 중심시야에 피험체의 시선 방향을 고정한 상태에서, 중심시야 및/또는 주변시야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인 자극을 연속적으로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이를 게임으로 구현하여 피험체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시야 장애 훈련에 대한 피험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도 2는 제1 대상체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을 위에서 바라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viewed from above in which a first object is provided as a form approach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도 3은 시야 장애 훈련 화면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screen from the side.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피험체의 시야 범위 내 화면 상에 제1 대상체(1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는 제1 대상체(10)의 위치, 크기 또는 형상의 변경이 시작되는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제1 대상체(10)의 위치, 크기 또는 형상의 변경이 종료되는 위치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change of the position, size, or shape of the
일 실시예로, 가상 공간 상에서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위치는 피험체로부터의 거리 및 화면상에서의 거리를 비교하면 제2 위치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다.As an embodiment, when the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위치에서 제1 대상체(1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또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피험체의 중심 시야 상에 있는 위치이며, 제1 대상체(1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므로 피험체의 집중력을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positions on the subject's central field of view, and since the
도 4 및 도 5는 시야 장애 훈련 화면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screen from the front.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중심시야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대각 방향에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4A and 4B illustrate disposition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in different diagon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ield of view.
또한, 도 4의 (a) 및 (b)에는 장애 영역(40) 및 정상 영역(50)에 대각으로 배치되는 형태만 도시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영역(50)에만 대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대상체(20) 또한 정상 영역(50)에 배치된다.In addition, in FIGS. 4A and 4B , only the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중심시야와 장애 영역에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5 (a) and 5 (b) illustrate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in the central field of view and the impaired area.
도 4의 (a), (b) 및 도 5의 (a), (b)를 참고하면, 시야 장애 훈련 화면은 제1 대상체(10), 제2 대상체(20), 제3 대상체(30), 시야 장애 영역(40) 및 정상 영역(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 (b) and 5 (a), (b) , the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screen is a
도 4의 (a), (b) 및 도 5의 (a), (b)에서는 제1 대상체(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대상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생성하면서 함께 소멸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제1 대상체(10)는 소멸되고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Although the
또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된 후,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소멸되고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생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되는 형태로서 나타날 수도 있다.Also, after the
도 4를 참고하면, 제2 대상체(20)는 시야 장애 영역(40)에 배치되고, 제3 대상체(30)는 정상 영역(50) 상에서 중심시야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대상체(20)와 대각 방향에 배치되나,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 중 하나가 시야 장애 영역(40)에, 나머지 하나가 정상 영역(50) 상에 배치되면 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도 5를 참고하면, 제2 대상체(20)는 시야 장애 영역(40)에 배치되고, 제3 대상체(3)는 중심시야에 배치되나,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 중 하나가 시야 장애 영역(40)에, 나머지 하나가 중심시야에 배치되면 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정상 영역(50) 또는 중심시야에 제공된 대상체와 장애 영역(40) 상에 제공된 대상체의 제공된 자극 형태가 동일한지 상이한지, 또는 장애 영역(40) 상에 제공된 대상체로서 제공된 자극 형태가 어떠한 형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시야 장애를 훈련할 수 있다.Whether the provided stimulus form of the subject provided on the
도 6 및 도 7은 화면 상에서 제1 대상체(10),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이동하는 연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tinuous state in which the
도 6의 (a) 내지 (c)는, 도 6의 (a)를 시작으로 하여 도 6의 (b) 및 도 6의 (c)를 시간의 흐름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도 7의 (a)를 시작으로 하여 도 7의 (b) 및 도 7의 (c)를 시간의 흐름대로 나타낸 도면이다.6 (a) to (c) are views showing the flow of time of FIGS. 6 (b) and 6 (c) starting with FIG. 6 (a), and FIG. 7 (a) to (c) are diagrams showing the chronological order of FIGS. 7(b) and 7(c), starting with FIG. 7(a).
도 6 및 도 7은 2차원 화면 및 VR을 이용한 3차원 상의 화면에서 수행되는 시야 장애 훈련을 포함한다.6 and 7 include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performed on a two-dimensional screen and a three-dimensional screen using VR.
VR을 이용한 3차원 상의 화면에서 시야 장애 훈련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관점에서 보았을 때, 멀리서 대상체가 날아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is performed on a three-dimensional screen using VR,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object flying from a distance when view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2차원 화면에서 시야 장애 훈련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대상체가 작은 크기에서 점점 더 큰 크기로 제공되므로, 시각적으로 날아오는 형태로 보여지도록 제공되는 것이다.When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is performed on a two-dimensional screen, since the object is provided from a small size to a larger size, it is provided to be visually viewed in a flying form.
본 명세서 상에서의 실시예들은, VR을 이용한 3차원 상의 화면에서 시야 장애 훈련이 수행되어 멀리서 대상체가 날아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과 2차원 상의 화면에서 시야 장애 훈련이 수행되어 대상체가 작은 크기에서 점점 더 큰 크기로 제공되어 시각적으로 날아오는 형태로 보여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Embodi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 a form in which an object is flying from a distance by performing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on a three-dimensional screen using VR, and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is performed on a two-dimensional screen so that the object becomes increasingly smaller in a small size. Including those that are provided in a large size so as to be visually viewed in a flying form.
도 6의 (a) 및 도 7의 (a)를 참고하면, 먼저 제1 대상체(10)는 도 3과 같이 화면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피험체의 중심 시야 상에 있는 위치이며, 제1 대상체(1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서 VR 상에서 3차원 이동을 제공하므로 피험체의 집중력을 유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A and 7A , first, the
도 6의 (a) 및 도 7의 (a)에서와 같이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까지 도달한 후에는, 도 6의 (b)를 참고하면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대각 방향으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이동하고, 도 7의 (c)를 참고하면,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는 중심시야로 제2 분할 대상체(70)는 장애 영역으로 분할되어 이동한다. After the
도 6의 (b) 및 도 7의 (b)에서는,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이동하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에서 흩어지는 형태로 소멸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퍼지는 형태로 소멸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흩어지거나 퍼지되, 흩어지거나 퍼지는 동안 흩어지거나 퍼지는 제1 대상체(10)의 제공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이동하되, 분할되는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의 제공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6(b) and 7(b), only the
일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와 동일한 깊이에서 흩어지거나 퍼지는 형태로 소멸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즉, 제1 대상체(10)는 피험체의 시각에서 볼 때 제2 위치 및 동일한 깊이에서 분할되거나 흩어지기 시작하고, 깊이의 조절 없이 시야 장애 영역(40) 및 정상 영역(50) 또는, 시야 장애 영역(40) 및 중심시야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배치된다. That is, the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가 흩어지거나 퍼져 배치되는 과정에서, 분리되어 이동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상에서 보이는 제1 대상체(10)의 깊이는 제2 위치의 깊이보다 얕게 조절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dispersing or distributing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과정에서, 분리되어 이동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상에서 보이는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의 깊이는 제2 위치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dividing and disposing the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과정에서, 분리되어 이동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상에서 보이는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의 깊이는 제2 위치의 깊이보다 얕게 조절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dividing and disposing the
즉, 제1 대상체(10)는 제2 위치 및 제2 위치의 깊이에서 분할되거나 흩어지거나 퍼지기 시작하고, 분리되어 이동하는 동안 제1 대상체(10) 또는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대상체가 제공되는 깊이는 얕아진다.That is, the
제1 대상체(10)가 흩어지거나 퍼지는 형태는,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form in which the
따라서, 피험체의 시각에서 볼 때, 분리되어 이동하는 제1 대상체(10)가 점점 앞으로 나오면서 시야 장애 영역(40) 및 정상 영역(50), 또는 시야 장애 영역(40) 및 중심시야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배치되거나, 분할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점점 앞으로 나오다가 시야 장애 영역(40) 및 정상 영역(50), 또는 시야 장애 영역(40) 및 중심시야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된다.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subject's perspective, the separated and moving
도 6의 (b) 및 도 7의 (b)에서는 나뉘어지기 전의 제1 대상체(10)가 배치되는 제2 위치의 깊이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분할되는 과정에서 보이는 위치의 깊이보다 깊다.In FIGS. 6 (b) and 7 (b), the depth of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도 6의 (c)를 참고하면, 도 6의 (b)에서와 같이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대각 방향으로 분할되어 이동하거나, 흩어지는 형태로 소멸되거나, 퍼지는 형태로 소멸된 후에, 제2 대상체(20)가 시야 장애 영역(40)에, 제3 대상체(30)가 정상 영역(50) 상에서 중심시야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대상체(20)와 대각 방향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6C , as in FIG. 6B , the
또한, 도 7의 (c)를 참고하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어 이동하거나, 흩어지는 형태로 소멸되거나, 퍼지는 형태로 소멸된 후에, 제2 대상체(20)가 시야 장애 영역(40)에, 제3 대상체(30)가 중심시야에 배치된다.Also, referring to FIG. 7C , as shown in FIG. 7B , the
일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깊이는 제2 위치의 깊이와 동일하다.In an embodiment, the depth at which the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깊이는 제2 위치의 깊이보다 얕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epth at which the
도 6의 (a) 내지 (c), 도 7의 (a) 내지 (c)의 도면을 참고하여,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고,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되는 과정 및 효과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a) to (c) and 7 (a) to (c),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대상체(1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다가오는 형태로 다가와,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고, 분할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는 분할된 제2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영역까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배치될 방향으로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된 후, 미리 결정된 영역에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를 대체하여 가상의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 때, 미리 결정된 영역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 또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주변 영역이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second and
일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 상에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도달하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when the
다른 실시예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도달하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배치되어야 하는 영역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또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는 것은,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분할 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이 때, 미리 결정된 시간은 가능한 짧은 시간으로 설정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짧은 경우에, 피험체가 중심시야에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고, 이후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형태로 변경된 것을 볼 때에, 눈을 돌리지 않고, 중심시야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be as short as possibl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s short, the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영역의 깊이 중, 제2 대상체(20)가 제공되는 영역의 깊이는, 제2 대상체(20)가 제공되는 영역이 시야 장애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으로서, 제2 대상체(20)가 시야 장애 영역에 제공되는 깊이를 의미한다.Among the depths of the regions in which the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영역의 깊이는, 제2 대상체(20)가 제공되는 영역의 깊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고, 상이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The depth of the region in which the
제공되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종류가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지 등을 판단하는 것이 본 발명의 시야 장애 훈련이므로, 시야 장애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는 것은 훈련에 있어서 큰 효과를 볼 수 없다.Since the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types of the provided
따라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날아오는 형태의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며 미리 결정된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분할된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훈련을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영역 또는 주변 영역 상에 상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형태로 변경되어 보여지도록 제공된다.Accordingly, the
도 8 및 도 9는 실제로 구현되는 화면 상에서 제1 대상체(10),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movement of the
도 8의 (a) 부터 (f)까지, 도 9의 (a) 부터 (f)까지의 순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며, 2차원 또는 3차원에서 구현되는 화면에 모두 해당될 수 있다.It is shown to the user in the order from (a) to (f) of FIG. 8 and from (a) to (f) of FIG. 9, and may correspond to all screens implemented in 2D or 3D.
도 10은 제1 대상체가 피험체의 중심 시야 방향을 변경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first object is provided by being moved to change the central viewing direction of the subject.
도 10은 3차원 공간상에서 피험체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여 시야 장애 훈련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bject wears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to train for visual field disorder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2차원에서의 시야 장애 훈련과는 달리, 3차원 공간상에서 360°의 방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기 시작하는 지점은 3차원 공간 상에서 변경 가능하다. Unlike training for visual impairment in 2D, 360° directions can be used in 3D space. Accordingly, the point at which the
도 10을 참고하면, 제1 대상체(10)의 자극 인식 위치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it can be seen that the stimulus recognition position of the
이동된 자극 인식 위치인 우측의 자극 인식 위치에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이동된 자극 인식 위치에 있는 제1 대상체(10)를 주시 하였다는 것이 확인되면, 컴퓨터는 제1 대상체(10)가 가상공간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다가오는 형태로서 이동하도록 제공하며, 훈련 자극의 제공을 시작한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이동된 자극 인식 위치에 있는 제1 대상체(10)의 주시를 확인하는 방법은, 일 실시예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시하는 방향에 가상공간 상의 이동된 자극 인식 위치에 해당하는 제1 대상체(10)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gaze of the
또한, 다른 실시예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 트랙킹(eye-tracking)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시선 방향을 함께 산출하여, 주시 방향 및 시선 방향에 가상공간 상의 이동된 자극 인식 위치에 해당하는 제1 대상체(10)가 있는지를 판단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includes an eye-tracking function, the gaze direction is calculated together, and the first corresponding to the stimuli recognition position moved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ze direction and the
상기와 같이,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트랙킹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 만일 머리 방향은 자극 인식 위치를 향하고 있더라도, 눈동자의 방향이 자극 인식 위치를 향하고 있지 않다면, 제1 대상체(10)를 주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includes the eye tracking function, even if the head direction is toward the stimulus recognition position, if the pupil direction is not toward the stimulus recognition position, do not look at the
따라서, 머리 방향이 자극 인식 위치를 향하고, 눈동자의 방향 또한 자극 인식 위치를 향하여야만, 제1 대상체(10)를 주시한 것으로 판단된다.Accordingly, it is determined that the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시하는 방향을 인식하는 방법은,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을 인식하는 것이고, 센서의 종류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는 모션 감지 센서 및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한다.A method of recogniz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gazes is to recognize the direction using a sensor, and the type of sensor includes a motion detection sensor including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direc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include all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는 자극 인식 위치는 점 형태로 구성되어, 기존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 차례대로 이동해 감에 따라 사용자 주시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stimulus recognition position to which the
사용자가 훈련 시에 집중하지 않는 경우, 시야가 흐려지며, 시야가 흐려짐에 따라 주변시야 영역에 제공되는 시각 자극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If the user does not concentrate during training, the visual field is blurred, and as the visual field is blurred, the visual stimulus provided to the peripheral visual field may not be recognized.
따라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자극 인식 위치를 변경하여 제1 대상체(10)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훈련 시에 집중하지 않아 실제로 지각할 수 있는 시각자극을 놓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훈련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도 11은 뇌에서 시지각을 담당하는 각 영역을 자극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다양한 자극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ypes of various stimuli applied to stimulate each region responsible for visual perception in the brain.
도 11을 참고하면, 시각을 담당하는 각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t can be seen that each area responsible for time is displayed separately.
다양한 형태의 자극을 이용하여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장애 발생 영역 자체의 호전뿐만 아니라, 장애 발생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의 훈련을 통해서 장애 발생 영역의 손상으로 보지 못하는 것을 대체해서 보는 맹시 또한 훈련할 수 있다.By providing stimuli using various types of stimuli,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disability-occurring area itself, but also training in areas other than the disability-occurring area can be used to replace what cannot be seen as damage in the disorder-generating area. .
도 11의 V1 영역의 경우에는, 가로 및 세로의 구분을 인식하는 영역으로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를 가로 또는 세로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V1 영역을 자극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region V1 of FIG. 11 , as a region for recognizing horizontal and vertical division, the
도 11의 V4 영역의 경우에는, 색상, 깊이 및 형태를 인식하는 영역으로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회전 방향이 동일 또는 상이한 형태로 제공하거나,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V4 영역을 자극할 수 있다.In the case of region V4 of FIG. 11 , as a region for recognizing color, depth, and shape, the
도 11의 MT/V5 영역의 경우에는, 모션(motion), 스피드(speed) 및 방향을 인식하는 영역으로서,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회전 방향이 동일 또는 상이한 형태로 제공하거나,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MT/V5 영역을 자극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T/V5 region of FIG. 11 , as a region for recognizing motion, speed, and direction, the
또한, 장애의 치료를 위한 자극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화면 상에 제공하는 시각적인 자극뿐만 아니라, 청각적 자극 또한 함께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timulus for treatment of a disorder, not only a visual stimulus that provides the
일 실시예로, 피험체가 장애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2 대상체(20)가 제공된 것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2 대상체(20)가 제공된 위치의 힌트로서, 청각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장애 영역이 우측인 경우, 우측에서의 청각적 자극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subject does not well recognize that the
도 12는 시야 장애 훈련의 난이도 조절로서 제1 대상체,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의 제공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djustment of provision times of a first object, a second object, and a third object as a difficulty adjustment of training for visual field disorder.
도 12를 참고하면, 도 12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되어 있으며,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는 구간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는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2 , FIG. 12 is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도 12에서 제1 대상체(10)가 소멸되거나, 제1 대상체(10)가 분리되며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구간은, 제1 대상체(10)가 제2 위치에서 다양한 형태로 소멸되거나, 또는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로 분할되며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In FIG. 12 , the section in which the
따라서, 제1 대상체(10)가 이동하는 구간 이후,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시간 이전에는, 제1 대상체(10)가 소멸되는 형태, 제1 대상체(10)가 2개로 나뉘어지는 형태 또는 제1 대상체(10)가 퍼지는 형태의 구간에 해당된다.Accordingly, after the period in which the
제1 대상체(10)가 소멸되거나, 제1 대상체(10)가 분리되며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구간 이후에는,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된다.After the period in which the
일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가 소멸되거나, 제1 대상체(10)가 분리되며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구간에서 제1 대상체(10)가 단순하게 분리없이 소멸되는 경우에는, 제1 대상체(10)가 소멸되었다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데, 제1 대상체(10)는 소멸되는 구간 안에서 서서히 소멸될 수도 있고, 한 번에 소멸될 수도 있다.As an embodiment, when the
다른 실시예로, 제1 대상체(10)가 소멸되거나, 제1 대상체(10)가 분리되며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구간에서 제1 대상체(10)가 분리되며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에서 제1 대상체(10)가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 2개로 분리되면서 사용자의 시야상에서 다가오는 형태로 제공되다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시간 및 영역 상에 도달하면, 분리되면서 다가오던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소멸되며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거나, 분리되면서 다가오던 제1 분할 대상체(60) 및 제2 분할 대상체(70)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로 변경되어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도 12에서 도시된 시간 구간의 경우에는, 피험체의 상태마다 조절이 가능하며, 시간 구간을 조절함으로써, 피험체의 시야 장애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ime interval shown in FIG. 12 , it is possible to adjust for each condition of the subject, and by adjusting the time interval, treatment of visual field disorders of the subjec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도 13은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가 제공되는 시야 범위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gle adjustment of a viewing range provided by a second object and a third object;
도 13을 참고하면,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시야 장애 영역(40) 및 정상 영역(50)에 대각방향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가 제공되는 시야 범위는, 중심시야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 해당된다.Referring to FIG. 13 , when the
각도가 너무 작으면 중심시야와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의 위치의 차이가 작으므로, 거의 동일하게 볼 수 있는 상태로서 시야 장애 훈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If the angle is too sma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field of view and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d
따라서, 각도의 설정이 중요하며, 약 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setting the angle is important, and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about 15°.
다만, 15°의 각도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피험체의 상태마다 각도를 더 늘리거나 줄여야만 훈련이 가능한 상황이 있다.However, the angle of 15° is not fixed, and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training is possible only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피험체의 장애 영역이 중심시야 기준으로 15°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각도를 늘리고, 피험체의 장애 영역이 중심시야 기준으로 더 작은 각도 범위 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각도를 줄일 수 있다.The angle may be increased when the subject's impaired area corresponds to 15° or mor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ield of view, and the angle may be decreased if the subject's impaired area falls within a smaller angular range based on the central field of view.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장애 훈련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는, 제어부 및 입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화면 상에 가상의 제1 대상체(10)를 제공하되, 제1 대상체(10)는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다가오는 형태로서 이동하도록 제공되고, 제어부는, 제1 대상체(10)의 위치가 제2 위치까지 도달하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제1 대상체(10)를 분할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제1 대상체(10)를 소멸시키고, 제어부는, 제1 대상체(10)가 분할되어 제공되거나 소멸된 이후, 화면 상에 가상의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를 제공하고, 입력 수신부는 사용자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위치는 화면 상에서 제2 위치보다 먼 위치이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피험체의 시야 중심(central)에서의 위치이고, 제2 대상체(20) 및 제3 대상체(30)는 피험체의 시야 중심,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 및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다.A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training for visual field disord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and an input receiver, wherein the controller provides a virtual
상술한 도 1 내지 도 13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시야 장애 훈련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above description of FIGS. 1 to 13 is equally applied to a computing device providing visual field disorder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conta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제1 대상체
20 : 제2 대상체
30 : 제3 대상체
40 : 시야 장애 영역
50 : 정상 영역
60 : 제1 분할 대상체
70 : 제2 분할 대상체10: first object
20: second object
30: third object
40: field of vision impairment
50: normal area
60: first division object
70: second division object
Claims (10)
상기 HMD의 화면 상에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1 대상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 출력됨-;
상기 제1 대상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로 도달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체가 분할 또는 소멸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 상기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출력하는 단계; 및
피험체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central)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 및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In the method performed by a head mounted display (Head Mounted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HMD'),
outputting a 3D virtual reality-based first object on the screen of the HMD, wherein the first object is output in a form approach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n the screen;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reaches the second position;
outputting the 3D virtual reality-based second and third objects on the screen when the first object is divided or destroyed; and
Receiving identification inputs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a response input device of the subjec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positions in a central field of view of the subject,
wherei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located in at least one of a visual center of the subject, a normal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nd an impaired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 reality-based visual impairment training method.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제1 조합으로 출력되되,
상기 제1 조합은,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in a first combination,
In the first combination, any one of the second subject and the third subject is located in a normal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nd the other is located in an impaired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ual acuity based on 3D virtual reality.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상기 제1 조합 및 제2 조합의 미리 결정된 비율로 출력되되,
상기 제2 조합은, 상기 제2 대상체와 상기 제3 대상체 모두가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in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first combination and the second combination,
In the second combination, both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located in a normal region of the subject's field of vision.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는, 제3 조합으로 출력되되,
상기 제3 조합은,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in a third combination,
In the third combination, any one of the second subject and the third subjec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nd the other is located in the impaired area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 training method for visual impairment improvement based on dimensional virtual reality.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HMD가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분할 대상체 및 제2 분할 대상체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대상체가 분할되는 동안, 상기 제1 분할 대상체 및 상기 제2 분할 대상체의 깊이는 상기 제1 대상체와 동일 또는 상이하게 조절되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 출력 단계는,
상기 제1 대상체가 상기 제1 분할 대상체 및 상기 제2 분할 대상체로 분할된 후, 상기 HMD가 미리 결정된 영역에서 상기 제1 분할 대상체 및 상기 제2 분할 대상체를 대체하여 가상의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HMD divides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in the step of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the first object is
A first division object and a second division object are divid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while the first object is divided, the depths of the first division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object. regulated,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includes:
After the first object is divided into the first division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the HMD replaces the first division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in a predetermined area to obtain the virtual second object and the second division object. Characterized in outputting a third object,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ion impairment based on 3D virtual reality using HMD.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HMD가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소멸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제2 위치에서 흩어지는 형태로 소멸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퍼지는 형태로 소멸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흩어지거나 퍼지는 동안 흩어지거나 퍼지는 형태의 제1 대상체의 제공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HMD destroys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in the step of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the first object is
or disappear in a scattered form in the second position,
or disappear in the form of spreading in the second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depth of the first object in the form of scattered or spread is controlled while it is scattered or spread in the second position,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ion impairment based on 3D virtual reality using HMD.
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색상이 상이하게 출력되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가로무늬 또는 세로무늬 중에서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하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bject is output in different colors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randomly output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pattern or a vertical pattern,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ion impairment based on 3D virtual reality using HMD.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회전하는 도형 형태로 출력되되,
상기 제2 대상체와 상기 제3 대상체의 회전 방향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하게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in the form of a rotating figure,
Rotation directions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randomly output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ion impairment based on 3D virtual reality using HMD.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는, 상기 화면 상에서 출력되는 깊이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랜덤하게 출력되되,
상기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가 출력되는 깊이는,
상기 피험체의 눈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대상체 또는 상기 제3 대상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D를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randomly output so that the depth output on the screen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epth at which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output is,
Characterized in representing the distance of the second object or the third object from the eye position of the subject,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ion impairment based on 3D virtual reality using HMD.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1 대상체를 출력하고-상기 제1 대상체는 상기 화면 상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다가오는 형태로 출력됨-,
상기 제1 대상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로 도달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대상체를 분할 또는 소멸시키고,
상기 제1 대상체가 분할 또는 소멸된 경우, 상기 화면 상에 상기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제2 대상체 및 제3 대상체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피험체의 응답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에 대한 식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central)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제2 대상체 및 상기 제3 대상체는, 상기 피험체의 시야 중심, 상기 피험체 시야의 정상 영역 및 상기 피험체 시야의 장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 장애 개선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HMD.communication department;
display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is
outputting a first object based on 3D virtual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first object is output in a form approach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on the screen;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object reaches the second position, dividing or destroying the first object on the screen,
When the first object is divided or disappears, outputting the 3D virtual reality-based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on the screen,
Receiving identification inputs for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from a response input device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positions in a central field of view of the subject,
wherei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located in at least one of a visual field center of the subject, a normal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nd an impaired region of the subject's visual field. An HMD that provides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vision impair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1354 | 2018-11-29 | ||
KR20180151354 | 2018-11-29 | ||
KR1020190155788A KR102284283B1 (en) | 2018-11-29 | 2019-11-28 | Method, program and computing device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5788A Division KR102284283B1 (en) | 2018-11-29 | 2019-11-28 | Method, program and computing device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7074A KR20210097074A (en) | 2021-08-06 |
KR102299536B1 true KR102299536B1 (en) | 2021-09-07 |
KR102299536B9 KR102299536B9 (en) | 2022-10-21 |
Family
ID=71082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5788A KR102284283B1 (en) | 2018-11-29 | 2019-11-28 | Method, program and computing device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
KR1020210098227A KR102299536B1 (en) | 2018-11-29 | 2021-07-27 | A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based on a 3-dimensional virtual reality us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5788A KR102284283B1 (en) | 2018-11-29 | 2019-11-28 | Method, program and computing device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8428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1913B1 (en) | 2022-05-09 | 2023-07-31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
KR102566027B1 (en) | 2022-05-09 | 2023-08-14 | (주)테라모션 |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31668A (en) * | 2021-01-15 | 2021-04-30 | 东莞市东全智能科技有限公司 | Head-wearing type myopia adjusting device and myopia adjusting method |
KR20240048386A (en) | 2022-10-06 | 2024-04-15 | 김경재 | biodegradable mask strap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66900A1 (en) | 2003-01-16 | 2004-08-12 | Hidenori Horie | Eyesight improv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3880A (en) * | 2004-08-09 | 2006-02-14 | 최효승 | Method and apparatus which for visual training |
KR100876085B1 (en) | 2007-04-05 | 2008-12-29 | 조형철 | Training device for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using virtual environment model |
US7926943B1 (en) * | 2009-11-10 | 2011-04-19 | Nike, Inc. | Peripheral vision training and/or testing during central vision fixation |
-
2019
- 2019-11-28 KR KR1020190155788A patent/KR10228428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7-27 KR KR1020210098227A patent/KR1022995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66900A1 (en) | 2003-01-16 | 2004-08-12 | Hidenori Horie | Eyesight improv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1913B1 (en) | 2022-05-09 | 2023-07-31 |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
KR102566027B1 (en) | 2022-05-09 | 2023-08-14 | (주)테라모션 | Gmp practi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6221A (en) | 2020-06-09 |
KR20210097074A (en) | 2021-08-06 |
KR102299536B9 (en) | 2022-10-21 |
KR102284283B1 (en) | 2021-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9536B1 (en) | A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training to improve visual field disorder based on a 3-dimensional virtual reality using the same | |
US12016629B2 (en) |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 |
US10179081B2 (en) | Vision measurement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Deveau et al. | Broad-based visual benefits from training with an integrated perceptual-learning video game | |
US754974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ual discrimination | |
JP2020509790A5 (en) | ||
KR20180034278A (en) |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using head mounted device | |
Zapf et al. | Towards an assistive peripheral visual prosthesis for long-term treatment of retinitis pigmentosa: evaluating mobility performance in immersive simulations | |
US11645931B2 (en) | Training method, program and computing device for ameliorating visual field defect | |
EP3104764B1 (en) | Vision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 |
Kopiske et al. | Icy road ahead—Rapid adjustments of gaze–gait interactions during perturbed naturalistic walking | |
CN110812145B (en) | Visual function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equipment | |
EP4062888A1 (en) | Visual function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 |
Zapf et al. | Assistive peripheral prosthetic vision aids perception and mobility in outdoor environments: A virtual-reality simulation study | |
CN110812146B (en) | Multi-region visual function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equipment | |
Correa-Agudelo et al. | ViLimbs: Improving phantom limb treatment through multisensory feedback | |
Utsumi et al. | A Wearable Device That Makes You Blink When You Should Blink | |
JP6804078B2 (en) | Intraocular flash generator | |
CN110882139A (en) | Visual function adjusting method and device by using graph sequence | |
Edelman et al. | The effect of object-centered instructions in Cartesian and polar coordinates on saccade vector | |
JP2016049310A (en) | Health promotion system | |
KR20170054064A (en) | Program Stored in Storage Medium and System for Blurring Effect of Virtual Reality Device | |
KR20240036743A (en) | A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 |
Jolij et al. | Cognitive Neuroergonomics of Perception | |
Zapf | Development of assistive peripheral prosthetic vision designs for guiding mobility using virtual-reality simul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