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204B1 -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204B1
KR102299204B1 KR1020200057245A KR20200057245A KR102299204B1 KR 102299204 B1 KR102299204 B1 KR 102299204B1 KR 1020200057245 A KR1020200057245 A KR 1020200057245A KR 20200057245 A KR20200057245 A KR 20200057245A KR 102299204 B1 KR102299204 B1 KR 10229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riving
period
valu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익
홍승호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디티
Priority to KR102020005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는,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압 공급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 공급부; 상기 전압 공급부의 출력 또는 상기 전류 공급부의 출력 중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로 인가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DRIVING CIRCUITS FOR OLED DISPLAY PANEL USING VOLTAGE AND CURRENT MIXED DRIVING, DRIV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HAVING THE DRIVING CIRCUITS}
본 발명은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신호의 주기별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1 및 하기에서 기술할 OLED는 PM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신호는, 다음과 같은 동작의 특징을 구비한다.
(1) 애노드(Anode)의 상태 구분 : 사전 충전 구간(Pre-charge period), 피크 구동 구간(Peak drive period) 및 데이터 표시 구간(Data display period)의 3가지 상태를 반복한다.
(2) 캐소드(Cathode)의 상태 구분 : 스캔 구간(Scan period) 및 오프 구간(Off period)을 반복한다.
애노드의 상태에 관해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사전 충전 구간 : 그라운드(GND) 또는 사전 충전 레벨(Pre charge level)로서, 선택된 애노드와 선택된 캐소드에 의해 설정된 화소를 초기화한다. 아울러, 이때 애노드의 전류 출력은 없다.
- 피크 구동 구간 : 고전압 전원 레벨(HV Power level)까지 상승하며, 데이터 표시 구간을 준비한다. 아울러, 피크 전류(Peak current)를 출력한다.
- 데이터 표시 구간 : 선택된 애노드와 선택된 캐소드에 의해 설정된 화소의 계조값(Gray data)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정전류인 데이터 전류(Data current)의 출력을 유지 후 오프된다.
통상의 전류 구동형 OLED 구동 회로에서는 정전류 생성을 위한 상시 소모 전류가 크고 구동 전류도 수백 uA 수준이다. 배터리 사용 시간 연장을 위한 소모 전력 감소 요구가 증가하면서 수 uA 이하의 저전류까지 구동할 필요성도 증가하였다. 일정한 구동 주기를 스캔 단위로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전체의 화면을 구성하게 되는데 각 주기를 시작할 때 애노드 출력의 초기 값을 단시간 내에 안정화하고 PWM 출력 구간을 확보하기 위해 피크 구동 구간을 포함하게 된다. 기존 OLED 구동 회로의 주요 피크 구동 방식은 설정된 출력 전류를 피크 구동 구간에서만 몇 배수로 높여서 출력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는 평균적인 출력이 수백 uA 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충분히 높은 출력 전류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기본 출력 전류가 수 uA 수준으로 낮아진 저전류 구동 환경에서는 몇 배의 값으로 상승시킨 뒤에도 전류가 낮아 초기 안정화에 시간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로 인해 화소의 계조값의 출력 구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화소의 계조값의 출력 구간을 확보하기 위해 피크 구동 구간에 고정적으로 높은 전류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나, 높은 전류를 출력하는 경우 소모 전력이 증가하여 저전류 구동 환경에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피크 구동 구간에서의 구동 방식을 데이터 전류 레벨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 구동 중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는,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압 공급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 공급부; 상기 전압 공급부의 출력 또는 상기 전류 공급부의 출력 중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로 인가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 회로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해당 애노드로 공급되는 제 1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해당 애노드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구간; 및 상기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상기 제 1 전류를 해당 애노드로 공급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나의 스캔 구간 중 해당 애노드의 상태가 변화하도록,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값을 비교하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미만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압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전압 공급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해당 애노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류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전류 공급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해당 애노드로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해당 애노드로 공급되는 제 1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해당 애노드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구간; 및 상기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상기 제 1 전류를 해당 애노드로 공급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나의 스캔 구간 중 해당 애노드의 상태가 변화하도록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전류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값을 비교하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구간 동안 해당 애노드를 전류 구동 또는 전압 구동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동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미만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압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해당 애노드를 전압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류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해당 애노드를 전류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피크 구동 구간에서의 구동 방식을 데이터 전류 레벨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 구동 중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신호의 주기별 타이밍도.
도 2는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에 의한 애노드 출력의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에 의한 애노드 출력의 타이밍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2는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100)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 공급부(120) 및 전류 공급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100)에 의한 애노드 출력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3은 피크 전류가 고전류인 경우의 타이밍도이고, 도 4는 피크 전류가 저전류인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2의 구동 회로(100)에 의해, 도 3 및 도 4과 같이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OLED에 계조(Gray scale)를 표현하기 위해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을 사용할 때 정전류를 데이터 표시 구간 만큼 출력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안정적인 정전류 출력을 위해 피크 구동 구간을 통해 애노드의 전압을 빠르게 상승시켜 둘 필요가 발생한다. 전압 상승이 데이터 표시 구간의 시작 전에 미리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정전류 구간의 출력 전류에서 손해를 보게 되어 계조가 떨어지며 휘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빠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피크 구동 구간에는 고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즉, 도 3에서는 구동 회로(100)는 데이터 라인인 애노드로 전류만을 공급하고, 이 공급된 전류에 의해 애노드 전압이 결정된다. 아울러, 피크 구동 구간에서는 피크 전류가 크기 때문에 해당 구간 내에 애노드 전압이 필요 수준까지 상승된다. 또한, 데이터 표시 구간에서는 화소의 계조값에 맞는 구간 동안 정전류의 출력을 유지 후 전류 출력이 꺼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3과 같은 동작을 위해 구동 회로(100)는, 애노드에 일정 수준의 전압이 확보되어야 출력단의 MOSFET이 포화(Saturation) 영역에서 동작하며 설정된 정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표시 구간 이전에 필요 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 전압을 빨리 상승시켜야 하므로 피크 구동 구간 동안 애노드에 인가하는 전류인 피크 전류는, 데이터 표시 구간 동안 애노드에 인가하는 전류인 데이터 전류 보다 큰 전류를 사용하며 이로 인해 전력 소모가 커지게 된다. 피크 전류와 데이터 전류가 일정 레벨 이상 클 경우 계조값이 크거나 작은 경우 모두 정상적인 구동 구간을 가지고 동작한다.
다만, 도 4는 피크 전류가 저전류인 경우, 구동 회로(100)는 데이터 라인인 애노드로 전류만을 공급하고, 이 공급된 전류에 의해 애노드 전압이 결정된다. 아울러, 피크 구동 구간에서는 피크 전류가 작기 때문에 해당 구간 내에 애노드 전압이 필요 수준까지 상승하지 못한다. 또한, 데이터 표시 구간에서는 애노드 전압이 필요 수준까지 상승하는 동안 출력 전류량이 설정치 보다 낮으며 전압 상승이 완료된 이후 화소의 계조값의 종료 시점까지 정전류를 출력한 후 전류 출력이 꺼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4의 같은 동작을 하는 구동 회로(100)는, 애노드 전압이 부족한 구간의 경우 출력단의 MOSFET이 포화 영역을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으므로 출력 전류량이 설정값 보다 낮아지게 되며 애노드 전압 상승이 완료된 이후 정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표시 구간에서도 상승 중인 애노드 전압으로 인해 저하된 출력 전류만큼 최종 휘도에 손해를 입게 되며 이런 현상은 계조값이 작은 경우, 전체 출력 대비 손해량의 비율이 계조값이 큰 경우 보다 커진다. 결과적으로 휘도가 낮아져서 어둡게 표현되거나 점등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저전류 구동 설정으로 인해 휘도나 점등 불량이 발생하여 화면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불량 회피를 위해 전력 소모량을 원하는 만큼 줄이지 못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참고로, 본 발명의 OLED는 PM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는, 전압 공급부(210), 전류 공급부(220), 스위치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전압 공급부(210), 전류 공급부(220), 스위치부(230) 및 제어부(240)는 각각,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 공급부(210)는,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압 공급부(210)는, 하나 이상의 정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전류 공급부(220)는,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류 공급부(220)는, 하나 이상의 정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치부(230)는, 전압 공급부(210)의 출력 또는 전류 공급부(220)의 출력 중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는 데이터 라인에 해당하고, 캐소드는 스캔 라인에 해당한다.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다수의 스캔 라인을 구비하고, 스캔 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데이터 라인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화소가 선택되게 된다.
제어부(240)는, 스위치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40)는, 전압 공급부(210) 및/또는 전류 공급부(2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에 의한 애노드 출력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다만, 본 발명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는 피크 전류가 고전류인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동작하고, 피크 전류가 저전류인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6에 의해 본 발명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 회로(200)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를 초기화하는 제 1 구간;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해당 애노드로 공급되는 제 1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해당 애노드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구간; 및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제 1 전류를 해당 애노드로 공급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여 상태가 변화하도록,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화소의 선택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수의 애노드 라인 중 하나의 애노드 라인을 선택하고,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수의 캐소드 라인 중 하나의 캐소드 라인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구간은 사전 충전 구간, 제 2 구간은 피크 충전 구간, 제 3 구간은 데이터 표시 구간에 해당한다.
또한, 제 1 전류는, 데이터 표시 구간에서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애노드에 흐르는 정전류인 데이터 전류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 1 구간 및 제 3 구간 동안은, 전류 공급부(220)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애노드로 공급되도록 스위치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구간 및 제 3 구간 동안 애노드는 정전류 구동된다.
제어부(240)는, 제 1 전류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값을 비교하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을 이용하여, 제 2 구간 동안 스위치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어부(240)는, 데이터 전류의 값인 제 1 전류의 값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값과 비교하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에 따라, 제 2 구간 동안 애노드를 전압 구동할 지 전류 구동할 지를 판단하게 된다. 미리 설정된 판단값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 1 전류의 값이 제 2 전류값 미만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압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제 2 구간 동안 스위치부(230)가, 전압 공급부(210)의 출력을 선택하여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데이터 전류값인 제 1 전류의 값이 저전류인 경우 애노드는 제 2 구간 동안 전압 구동되게 된다. 아울러, 전압 공급부(210)의 출력을 선택하여 다양한 전압 레벨을 출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낮은 전압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력 소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40)는, 제 1 전류의 값이 제 2 전류값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류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제 2 구간 동안 스위치부(230)가, 전류 공급부(220)의 출력을 선택하여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데이터 전류값인 제 1 전류의 값이 고전류인 경우 애노드는 제 2 구간 동안 전류 구동되게 된다. 아울러, 제 2 구간 동안 애노드에 공급되는 전류는 피크 전류로서, 제 1 전류의 값보다 높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의 동작 특징에 대해 정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 회로(200)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를 전류(I)와 전압(V)을 혼합하여 구동한다. 이에 따라 전류 구동 시 애노드 전압이, 전압 출력 시 애노드 전류가 결정된다.
즉, 피크 구동 구간에서는, 데이터 전류가 저전류인 경우에는 애노드가 전압 구동되며, 전압이 직접 인가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애노드 전압 상승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표시 구간은, 전류 구동 구간으로 동작하며 애노드 전압이 충분하여 계조값(Gray data)의 종료 시점까지 정전류 출력한 후 전류 출력이 꺼지게 된다.
본 발명의 구동 회로(200)에 따르면 데이터 표시 구간에 저전류 구동을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피크 구동 구간에 전압 구동을 해서 애노드 전압 확보를 빠르게 완료할 수 있다. 데이터 전류가 낮을 때 피크 전류를 높게 유지하려면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분이 줄어들어 별도로 소모되는 전력이 결과적으로 낭비되게 되는데 그런 경우를 감지하여 피크 구동 구간을 전압 구동으로 동작시켜 전력의 낭비를 막고 필요 전압의 확보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동 회로(200)에 따르면 데이터 전류가 고전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압을 이용해서 피크 구동 구간 동안 애노드를 구동하는 것이 전류 구동에 비해 효율이 낮으므로, 데이터 전류가 저전류인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전압 구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LED 디스플레이는, 상술한 본 발명의 구동 회로(200)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방법은, 화소를 초기화하는 제 1 구간;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해당 애노드로 공급되는 제 1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해당 애노드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구간; 및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제 1 전류를 해당 애노드로 공급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여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나의 스캔 구간 중 해당 애노드의 상태가 변화하도록 구동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은, 제 1 전류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값을 비교하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0); 및 S1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구간 동안 애노드를 전류 구동 또는 전압 구동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동을 실시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S10 단계는, 제 1 전류의 값이 제 2 전류값 미만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압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제 2 구간 동안 애노드를 전압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10 단계는, 제 1 전류의 값이 제 2 전류값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류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제 2 구간 동안 애노드를 전류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200),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200)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피크 구동 구간에서의 구동 방식을 데이터 전류 레벨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 구동 중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 구동 회로
210 : 전압 공급부
120, 220 : 전류 공급부
230 : 스위치부
140, 240 : 제어부

Claims (9)

  1.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에 있어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압 공급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 공급부;
    상기 전압 공급부의 출력 또는 상기 전류 공급부의 출력 중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애노드로 인가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해당 애노드로 공급되는 제 1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해당 애노드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구간; 및
    상기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상기 제 1 전류를 해당 애노드로 공급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나의 스캔 구간 중 해당 애노드의 상태가 변화하도록,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값을 비교하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미만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압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전압 공급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해당 애노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류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전류 공급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해당 애노드로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6.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구동 회로를 구비한 OLED 디스플레이.
  7.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해당 애노드로 공급되는 제 1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해당 애노드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구간; 및 상기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상기 제 1 전류를 해당 애노드로 공급하는 제 3 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나의 스캔 구간 중 해당 애노드의 상태가 변화하도록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전류의 값과 미리 설정된 제 2 전류값을 비교하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구간 동안 해당 애노드를 전류 구동 또는 전압 구동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동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미만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압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해당 애노드를 전압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전류의 값이 상기 제 2 전류값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판단값이 전류 구동의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간 동안 해당 애노드를 전류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KR1020200057245A 2020-05-13 2020-05-13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KR10229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45A KR102299204B1 (ko) 2020-05-13 2020-05-13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245A KR102299204B1 (ko) 2020-05-13 2020-05-13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204B1 true KR102299204B1 (ko) 2021-09-07

Family

ID=7779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245A KR102299204B1 (ko) 2020-05-13 2020-05-13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2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82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70122254A (ko) * 2006-06-26 2007-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장치
JP2008046261A (ja) * 2006-08-11 2008-02-2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90122699A (ko) * 2008-05-26 2009-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82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70122254A (ko) * 2006-06-26 2007-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장치
JP2008046261A (ja) * 2006-08-11 2008-02-2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90122699A (ko) * 2008-05-26 2009-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96951A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6587087B1 (en) Capacitive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6774878B2 (en) Drive unit for a luminescence display panel
KR10096980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294231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7619621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precharge capability
KR20150078503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250762B2 (en) Display device
KR20080087355A (ko) 발광 픽셀 및 상기 발광 픽셀의 구동 장치
KR20050087820A (ko) 다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액티브 매트릭스 픽셀셀과 그러한 픽셀의 구동 방법
CN106548739B (zh) 显示驱动装置、显示设备和显示驱动方法
US11645974B2 (en) Display device
CN113903311A (zh) 用于显示器的背光装置
KR10090739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3364290A (zh) 电力提供器
KR101633426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용 전원공급장치
US81541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ith improved power supply contro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0530289C (zh) 具有减小信号失真的电子发射显示器(eed)及驱动eed的方法
US20040189558A1 (en) Drive method and drive device for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JP2003223140A (ja) El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299204B1 (ko) 전압 및 전류 혼합 구동을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구동 회로, 그 구동 방법 및 그 구동 회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KR20070108655A (ko)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패널의 피더블류엠과 피에이엠 혼합 계조 표현을 위한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US82591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7232902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装置
KR100464315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전력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