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786B1 -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786B1
KR102296786B1 KR1020200054531A KR20200054531A KR102296786B1 KR 102296786 B1 KR102296786 B1 KR 102296786B1 KR 1020200054531 A KR1020200054531 A KR 1020200054531A KR 20200054531 A KR20200054531 A KR 20200054531A KR 102296786 B1 KR102296786 B1 KR 102296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ain body
anchor pile
uni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452A (ko
Inventor
양기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37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0281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Priority to KR102020005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7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용 단위체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쐐기 형태의 앵커 파일을 형성하여 파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시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수직 방향 운동 폭을 최소화시키고, 자체 하중을 줄여 부력을 최대화시키며, 가뭄이 심한 갈수기시 앵커 파일에 의해 복수의 조립용 단위체로 연결된 조립체가 호소(lake, 湖沼), 바다, 하천 바닥에 삽입하여 바닥면을 따라 밀착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조립체 또는 조립체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UNIT FOR ASSEMBLING WITH ANCHOR PILE AND ASSEMBLY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용 단위체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쐐기 형태의 앵커 파일을 형성하여 파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시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수직 방향 운동 폭을 최소화시키고, 자체 하중을 줄여 부력을 최대화시키며, 가뭄이 심한 갈수기시 앵커 파일에 의해 복수의 조립용 단위체로 연결된 조립체가 호소(lake, 湖沼), 바다, 하천 바닥에 삽입하여 바닥면을 따라 밀착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조립체 또는 조립체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수, 호수, 각종 폐수, 생활 하수 등과 같은 오염수는 화학적 처리방법, 물리적 처리방법 또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통해 정화하여 농업 용수, 공업 용수 또는 생활 용수 등으로 재사용하고 있다.
이중, 화학적 처리방법 및 물리적 처리방법은 상기 오염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정화 장치를 제작하거나, 반류(side stream) 장치와 같은 추가적인 장치가 요구되므로 최근에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상기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미생물을 통해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물질을 분해하여 이의 유해성을 제거함으로써, 오염수를 정화한다. 여기서, 미생물은 그 종류에 따라 생존에 필요한 조건만 갖추어 주면 빠르게 증식하여 오염수를 더 빠른 속도로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연구도 생물학적 처리 방법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별도로 정해진 장소에 정화 시스템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도록 설치하여 오염수를 정화하고 있음에 따라, 최근 친환경적인 요소를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제10-1158247호(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와, 제 10-1158247호(부유 가능한 조립용 수질 정화 장치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 장치용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부력을 가지도록 그 평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단위체를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 연결 돌기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켜 조립체를 형성하고, 각각의 단위체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에 습지층을 형성하고, 습지층에 습지 식물과 미생물이 부착 가능한 미생물 부착제를 설치하여 물을 정화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체는 조립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수상 태양광 발전소가 설치되는 데, 부력과 태풍에 대한 안정성만 고려하다보니, 한국 수자원공사나 한국 농어촌공사가 소유한 댐이나 저수지에 설치시 가뭄이 심한 갈수기에 호수 바닥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바닥의 경사면 및 요철 부위에 의해 조립체가 접촉되면서 뒤틀림에 의해 조립체 또는 수상광 태양광 발전소가 훼손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한국 수자원공사의 규정은 수심 5미터 이상에만 수상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갈수기때는 수심이 5미터 미만으로 더 떨어질 수 있고, 효율적인 국토 이용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58247호 국내 등록특허 제 10-11582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위한 것으로, 조립용 단위체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쐐기 형태의 앵커 파일을 형성하여 파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시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수직 방향 운동 폭을 최소화시키고, 자체 하중을 줄여 부력을 최대화시키도록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뭄이 심한 갈수기시 앵커 파일에 의해 복수의 조립용 단위체로 연결된 조립체가 호소(lake, 湖沼), 바다, 하천 바닥에 삽입하여 바닥면을 따라 밀착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조립체 또는 조립체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단위체가 이웃하는 단위체와 연결시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변형 발생시 유연하게 대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자켓부가 형성되고,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 워터 스프링과; 상기 메인 워터 스프링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격벽과;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상기 수평 격벽에 형성되는 서브 워터 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하중을 줄여 부력을 증대시키고, 파도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파도에 의한 상기 본체의 수직 방향 운동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상기 본체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쐐기 형상을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앵커 파일;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 또는 상면에서 이웃하는 본체와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는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 워터 스프링과; 상기 메인 워터 스프링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격벽; 및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상기 수평 격벽에 형성되는 서브 워터 스프링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서브 워터 스프링은 상기 메인 워터 스프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수평 격벽의 중앙부에 1개가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앵커 파일은 원형 기둥, 삼각형 기둥, 사각형 기둥 및 다각형 기둥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외측면이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동일 선상으로 수직을 이루고, 나머지 면이 하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쐐기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연결 부재는 이웃하는 본체의 연결 부재와 상호 겹쳐지면서 체결 말뚝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연결 고리는 걸리는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웃하는 본체의 연결 고리 사이에 탄성 패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체결 말뚝은 중앙부에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의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조립용 단위체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따르면, 조립용 단위체에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쐐기 형태의 앵커 파일을 형성하여 파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동시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수직 방향 운동 폭을 최소화시키고, 자체 하중을 줄여 부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뭄이 심한 갈수기시 앵커 파일에 의해 복수의 조립용 단위체로 연결된 조립체가 호소(lake, 湖沼), 바다, 하천 바닥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조립체 또는 조립체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체가 이웃하는 단위체와 연결시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변형 발생시 유연하게 대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중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중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중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중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1)는 본체(10)와, 메인 워터 스프링(20)과, 수평 격벽(30)과, 서브 워터 스프링(40) 및 앵커 파일(5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는 합성수지 또는 탄소섬유 재질로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자켓부(11)가 형성되고,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체(10)가 정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삼각, 사각,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워터 스프링(20)은 물과 접촉 면적을 줄이고, 물이 통과되면서 저항을 감소하여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메인 워터 스프링(20)은 본체(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형상(예를 들어, 본체가 정육각형이고, 메인 워터 스프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 격벽(30)은 메인 워터 스프링(20) 내부에서 수평으로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수평 격벽(30)의 높이는 메인 워터 스프링(2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서브 워터 스프링(40)은 물과 접촉 면적을 줄이고, 물이 통과되면서 저항을 감소하여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수평 격벽(30)에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 워터 스프링(40)은 메인 워터 스프링(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되, 수평 격벽(30)의 중앙부에 1개가 설치되거나, 본체(10)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워터 스프링(40)은 본체(10) 또는 메인 워터 스프링(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형상(예를 들어, 본체 또는 메인 워터 스프링이 정육각형이고, 서브 워터 스프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앵커 파일(50)은 본체(10)의 하중을 줄여 부력을 증대시키고, 파도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파도에 의한 본체의 수직 방향의 운동량을 감소시키도록 본체(10)의 저면에서 본체(10)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쐐기 형상을 가지며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앵커 파일(50)은 원형 기둥, 삼각형 기둥, 사각형 기둥 및 다각형 기둥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되, 그 외측면이 본체(10)의 외측면과 동일 선상으로 수직을 이루고, 나머지 면이 하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쐐기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앵커 파일(50)은 심해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그 길이를 하방향으로 연장해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부유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측면 또는 상면에서 이웃하는 본체(10)와 연결시키도록 연결 부재(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연결 부재(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본체의 연결 부재와 상호 겹쳐지면서 체결 말뚝(61)에 의해 고정되도록 본체(10)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다른 높이(예를 들어, 계단 형태)를 가지며 본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고리(63)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 고리(63)는 걸리는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웃하는 본체(10)의 연결 고리(63) 사이에 탄성 패드(P)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결 말뚝(61)은 중앙부에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고리(63)가 본체(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이웃하는 본체와 연결시 상호 밀착되도록 본체(10)의 외측면에는 연결 고리(63)가 형성되는 부분에 이웃하는 본체의 연결 고리가 삽입되는 오목홈(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 부재(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핀(67)과, 연결핀(67)과 이웃하는 본체(10)의 연결핀(67)을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 부재(69)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탄성 부재(69)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100)의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조립용 단위체(1)를 연결 부재(6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 호소(lake, 湖沼), 바다, 하천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부유시킨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인 워터 스프링(20)의 내부에 습지층을 삽입하고, 습지층에는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친환경적인 요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식물은 물속 또는 물가와 같이 물기가 많은 장소에 사는 습지 식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예로는 연꽃, 갈대, 미나리, 물수세미, 끈끈이주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은 습지층으로부터 물을 포함한 영양분을 공급 받으면서 자랄 수 있다. 또한, 습지층에 미생물이 부착 가능한 미생물 부착제를 통해 메인 워터 스프링(20)과 서브 워터 스프링(40)을 통과하는 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100)는 완구용으로 이용되거나, 수질 정화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립용 단위체가 합성수지 또는 탄소 섬유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면 위에 부유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조립용 단위체들을 포함하는 조립체(100)는 수면 위에 부유하는 해상 풍력 장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립체(100)는 수면 위에 부유하는 해상 부유 도시용 건축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100)는 유체 정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정화 시스템은 조립체, 상기 조립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 방울을 생성하는 버블 생성체 및 상기 버블 생성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체 정화 시스템은 상기 버블 생성체와 연통된 버블을 상부로 유동시키는 유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동관을 통하여 상기 버블이 상승함으로써 상기 버블과 함께 유체가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유닛은 발생된 전력을 버블 생성체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잔류 전력을 다른 시스템에 판매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호소(lake, 湖沼), 바다, 하천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뭄이 심한 갈수기시 수위가 차츰 줄면서 바닥이 드러나는 경우 각각의 조립용 단위체(1)가 수위를 따라 상하로 진동하면서 차츰 가라앉게 되고, 바닥과 접촉시 저면에 설치된 앵커 파일(50)에 의해 각각의 바닥의 굴곡을 따라 삽입 고정된다.
이때, 각각의 조립용 단위체(1)가 탄성을 갖는 연결 부재(60)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의 굴곡에 의해 조립용 단위체(1)와 이웃하는 조립용 단위체가 벌어지더라도 연결 부재(60)가 변형, 즉 신장된다.
이로 인해 바닥의 굴곡과 맞게 각각의 조립용 단위체(1)가 안정적으로 바닥에 삽입 고정되기 때문에 조립체 자체 또는 조립체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태양광 발전 유닛 등)의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조립용 단위체 10 : 본체
20 : 메인 워터 스프링 30 : 수평 격벽
40 : 서브 워터 스프링 50 : 앵커 파일
60 : 연결 부재 100 : 조립체

Claims (8)

  1.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자켓부가 형성되고,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중을 줄여 부력을 증대시키고, 파도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파도에 의한 상기 본체의 수직 방향 운동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저면에서 상기 본체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쐐기 형상을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앵커 파일;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 또는 상면에서 이웃하는 본체와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이웃하는 본체의 연결 부재와 상호 겹쳐지면서 체결 말뚝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 고리이고,
    상기 연결 고리는,
    걸리는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웃하는 본체의 연결 고리 사이에 탄성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 말뚝은 중앙부에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는,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 워터 스프링과;
    상기 메인 워터 스프링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격벽; 및
    파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평면 형상이 원형, 삼각, 사각 및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상기 수평 격벽에 형성되는 서브 워터 스프링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워터 스프링은,
    상기 메인 워터 스프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수평 격벽의 중앙부에 1개가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의 수직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파일은,
    원형 기둥, 삼각형 기둥, 사각형 기둥 및 다각형 기둥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외측면이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동일 선상으로 수직을 이루고, 나머지 면이 하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쐐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의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조립용 단위체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200054531A 2018-02-27 2020-05-07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2296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31A KR102296786B1 (ko) 2018-02-27 2020-05-07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71A KR20190102813A (ko) 2018-02-27 2018-02-27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200054531A KR102296786B1 (ko) 2018-02-27 2020-05-07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771A Division KR20190102813A (ko) 2018-02-27 2018-02-27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452A KR20200053452A (ko) 2020-05-18
KR102296786B1 true KR102296786B1 (ko) 2021-09-03

Family

ID=7091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31A KR102296786B1 (ko) 2018-02-27 2020-05-07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7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80B1 (ko) * 2013-10-31 2014-03-10 주식회사 아이랜드 부유식 수상 구조물용 강 콘크리트 합성 폰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45B1 (ko) * 2009-03-17 2011-09-28 이엑스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적층조립식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158247B1 (ko) 2010-12-14 2012-07-20 주식회사 동호 습지 구조를 이용한 하천 생태 복원 및 유체 정화시스템
KR101669730B1 (ko) * 2014-11-17 2016-10-27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 가능한 조립용 수질 정화 장치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 장치용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80B1 (ko) * 2013-10-31 2014-03-10 주식회사 아이랜드 부유식 수상 구조물용 강 콘크리트 합성 폰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452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a-Clot et al. Floating photovoltaic plants and wastewater basins: an Australian project
KR100925403B1 (ko)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
CN101514054A (zh) 一种组合型生态浮床装置
KR20170028329A (ko) 조석 에너지 변환기 시스템
CN103867421B (zh) 一种模块化柔性伸缩缸海洋潮汐泵水设备
EP3402068A1 (en) Aquatic photovoltaic system
KR20170139236A (ko) 수상 부유체 및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04334424U (zh) 多水域水面漂浮式密集型光伏发电装置
KR102296786B1 (ko)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20090125358A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CN203602407U (zh) 一种人工生态浮岛固定装置
WO2009005184A1 (en) Guide apparatus for inducing downward flow of surface water
KR102284699B1 (ko)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가드 펜스
KR100704385B1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CN205622580U (zh) 一种水上光伏发电系统的柔性固定装置
KR10160639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 개선장치
KR100986820B1 (ko) 막힘방지형 고효율 산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200489239Y1 (ko)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력구조물과 이것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
US20150376852A1 (en) Beach Maintenance System
KR20190102813A (ko)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WO2011058595A2 (en) Floating platform for panels
KR102501451B1 (ko) 일체형 해양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239490B1 (ko) 수상용 태양전지 모듈 장치
CN108751421B (zh) 一种抗风浪生态浮岛及其构建方法
KR102296785B1 (ko) 계류 장치 및 조류 퇴치 장치가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