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762B1 - Shutter and door separate fire prot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Shutter and door separate fire prot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6762B1 KR102296762B1 KR1020210025167A KR20210025167A KR102296762B1 KR 102296762 B1 KR102296762 B1 KR 102296762B1 KR 1020210025167 A KR1020210025167 A KR 1020210025167A KR 20210025167 A KR20210025167 A KR 20210025167A KR 102296762 B1 KR102296762 B1 KR 1022967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door
- door frame
- release
- cei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69—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염차단을 위한 셔터와 도어가 분리되게 하며, 도어와 도어프레임과 별도로 작동되게 하여 도어가 개방된 채 셔터가 작동하여 풍압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which separates the shutter and the door for blocking flame, and operates the shutter with the door open by operating it separately from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reby reducing the interference caused by wind pressur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system.
통상적으로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방화셔터가 천정에서 내려와 차단하게 된다.In general, in case of a fire, the fire shutter descends from the ceiling to block the fir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그리고, 방화셔터는 화재에 따라 전기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내려와서 차단하게 되므로, 그 공간에 위치한 사람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셔터와 도어가 분리된 구성된 것이 최근 특허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43118 A "방화문 셔터"에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e shutter automatically descends and shuts off by an electric device according to a fire, a recent patent discloses that the shutter and the door are separated so that a person located in the space can escape. No. 10-2020-0143118 A "Fire door shutter" is open to the public.
종래에는 방화도어부는 도어문틀부와 비상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어문틀부에 레일이 형성되어 셔터가 하강하도록 하였다. 그래서 미사용 시에는 방화도어부를 벽면측으로 회전시켜 공간 전체 개방감을 높이도록 한 기술이 있다.Conventionally, the fire door part is composed of a door frame part and an emergency door, and a rail is formed in the door frame part so that the shutter is lowered. Therefore, when not in use, there is a technology to increase the sense of openness of the entire space by rotating the fire door to the wall side.
그러나, 화재 발생 시 도어문틀부와 비상문이 일체로 회전되어 닫히므로 연기로 인한 시야의 차단으로 탈출이 어려울 뿐 아니라, 화재시 셔터 하강 시 풍압으로 인하여 스크린이 위로 말려 올려감으로써 방화셔터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However, in case of fire, the door frame and emergency door are rotated and closed integrally, so it is difficult to escape due to blockage of view due to smok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losing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와 도어프레임과 별도로 작동되게 하여 도어가 개방된 채 셔터가 작동하여 풍압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utter and a door-separated fire protection device that can be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o reduce the interference caused by wind pressure by operating the shutter while the door is open. hav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셔터박스에 롤링되어 상,하 이동되는 셔터;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셔터레일; 타측 벽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셔터측으로 회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셔터레일; 상기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을 고정 또는 해제되게 하는 도어프레임릴리즈; 상기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 또는 해제되게 하는 도어릴리즈;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utter that is rolled up and down in a shutter box installed on the ceiling; a first shutter rail installed on one wall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hutter; a door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and rotated toward the shutter; a door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 second shutter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to guide movement of the shutter; a door frame releas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to fix or release the door frame; a door releas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to fix or release the door; It provides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상기 셔터, 상기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릴리즈, 상기 도어릴리즈는, 제어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utter, the door frame, the door, the door frame release, and the door release are operated by a controller.
상기 셔터와 상기 도어프레임이 나란히 되는 천장 또는 바닥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floor in which the shutter and the door frame are aligned.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수용박스와, 상기 수용박스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대와, 상기 수용박스에 설치되어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대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상기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 상기 고정대를 해제하여 하강되게 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may include a accommodating box installed on the ceiling, a fixing base that is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accommodating box to fix or release the door frame, and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box to fix the fixing base by moving left and right. Alterna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witch that releases and lowers the fixing bas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oor frame.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플러쉬볼트와, 상기 천장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 상기 플러쉬볼트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lush bolt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 switch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to operate the flush bolt when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발명은 셔터와 도어가 분리된 방화장치를 구성하여 방화기능을 할 수 있으며, 사람은 도어를 통해 대피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protec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configuring a fire protection device in which a shutter and a door are separated, and a person can evacuate through the door.
그리고, 도어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평상시 도어프레임 전체를 벽면에 회전시켜서 무기둥 형태로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fram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entire door frame is normally rotated on the wall to improve the open feeling in the form of a pillar.
또한, 도어프레임과 도어가 각각 개별로 고정 또는 해제되게 제어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도어프레임이 먼저 회전한 후 셔터가 하강되게 함으로써, 도어가 열린 공간을 통해 시야 확보를 통해 탈출을 할 수 있으며, 화재에 의한 풍압을 낮추게 되므로 셔터 하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door frame and the door to be individually fixed or released, there are advantages as follows. By allowing the shutter to descend after the door frame rotates first, it is possible to escape by securing a view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door.
마지막으로 도어프레임을 기계식 작동에 의해 고정되게 하여 기존의 열에 의한 자석 고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Finally, by fixing the door frame by mechanical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 of fixing magnets by hea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스토퍼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mbodiment of 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embodiment of 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esented for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structures and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a)는 정면도이며, 도 1(b)는 평면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front view, and Fig. 1 (b) is a plan view.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셔터(100), 제1셔터레일(200), 도어프레임(300), 도어(400), 제2셔터레일(500), 도어프레임릴리즈(600) 및 도어릴리즈(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도어(400)와 도어프레임(300)이 도어프레임릴리즈(600)와 도어릴리즈(700)를 통해 개별로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하여 개방감과 화재 방생시 대피와 풍압에 의한 셔터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1, the present invention is a
먼저, 셔터(100) 천장에 설치되는 셔터박스에 롤링에 의해 수용된 상태로 있으며, 화재 발생 시 하강되어 공간을 구획하여 차단하게 된다. 셔터(100)는 통상적으로 전동식으로 구성되어 롤링에 의해 권취하거나 풀 수 있도록 되어 있다.First, the
상기 제1셔터레일(200)은 일측 벽면(W1)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셔터(100)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셔터(100)의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The
상기 도어프레임(300)은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도어(400)를 수용하는 틀이다. 여기서 도어프레임(300)은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수단에 의해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도어프레임(300)은 좌,우 및 상부의 3면이 되게 하여 하부를 제거함으로써 노약자, 어린이 그리고 장애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였다.The
상기 도어(400)는 상기 도어프레임(300)에 설치되어 회전 수단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방화문이다.The
상기 제2셔터레일(500)은 상기 도어프레임(300)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셔터(100)의 타측면과 연결되어 셔터(100)의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The
상기 도어프레임릴리즈(600)는 상기 타측 벽면(W2)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00)을 고정 또는 해제되게 한다.The
상기 도어릴리즈(700)는 상기 타측 벽면(W2)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400)를 고정 또는 해제되게 한다.The
그리고, 제어기가 설치되어 상기 셔터(100), 상기 도어프레임(300), 상기 도어(400), 상기 도어프레임릴리즈(600), 상기 도어릴리즈(700)과 전기적 연결을 통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는 화재감지기의 신호를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ler is installed to control the operation 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에서는 화재 발생 시 순차적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sequential operations in case of fire.
도 2-1을 참조하면, 첫 번째, 도어프레임(300)과 도어(400)는 타측 벽면(W2)인 A공간에서 도어프레임릴리즈와 도어릴리즈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어서 B,C 공간이 개방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2-1, first, the
두 번째, 화재가 발생 되면, 도 2-2에서 처럼 도어프레임릴리즈(600)가 해제되어 도어프레임(300)이 셔터가 설치된 C 공간 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셔터(10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준비가 되게 된다.Second, when a fire occurs, the
세 번째, 도 2-3을 보면 도어프레임(300)이 스토퍼에 의해 고정하게 되면, 셔터(100)가 내려와서 C 공간을 구획하여 차단하게 된다. 이때, 도어(400)가 닫히기 전 개방된 공간인 B로 화재 연기에 의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화재에 의한 풍압도 B공간이 개방되어 있어 C공간으로 하강하는 셔터(100)는 풍압을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Third, referring to FIGS. 2-3 , when the
네 번째, 도 2-4에서 셔터(100)가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도어릴리즈(700)가 해제되고 도어(400)가 회전하여 도어 닫히는 B 공간을 구획하여 폐쇄하므로 방화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Fourth, when the
제어기는 도어프레임(300)의 회전수단을 전기적 작동에 의해 회전시키고, 셔터(100)를 하강하며, 셔터(100)의 하강이 완료된 후 도어(400)를 회전수단을 전기적 작동에 의해 회전시켜 방화 시스템을 완벽히 구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rotates the rotating means of the
한편, 도 3과 4에서는 상기 셔터(100)와 상기 도어프레임(300)과 나란히 되는 천장 또는 바닥에 스토퍼(8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스토퍼(800)는 기계식 작동에 의해 고열에 의한 미작동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S. 3 and 4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800)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수용박스(810)와, 상기 수용박스(81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00)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대(820)와, 상기 수용박스(810)에 설치되어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대(820)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상기 도어프레임(300)과 접촉 시 상기 고정대(820)를 해제하여 하강되게 하는 스위치(8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상기 스위치(83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대(820)를 해제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8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대(820)를 걸림하게 된다.When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800)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플러쉬볼트(840)와, 상기 천장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00)과 접촉 시 상기 플러쉬볼트(84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850)로 구성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여기서 스위치(850)는 도어프레임(300)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플러쉬볼트(840)를 작동시키게 된다. Here,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의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basic technical idea of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Of course, variations are possible.
100: 셔터
200: 제1셔터레일
300: 도어프레임
400: 도어
500: 제2셔터레일
600: 도어프레임릴리즈
700: 도어릴리즈
800: 스토퍼100: shutter
200: first shutter rail
300: door frame
400: door
500: second shutter rail
600: door frame release
700: door release
800: stopper
Claims (5)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셔터레일;
타측 벽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셔터측으로 회전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셔터레일;
상기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을 고정 또는 해제되게 하는 도어프레임릴리즈;
상기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 또는 해제되게 하는 도어릴리즈;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A shutter that is rolled up and down in a shutter box installed on the ceiling;
a first shutter rail installed on one wall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hutter;
a door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and rotated toward the shutter;
a door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 second shutter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to guide movement of the shutter;
a door frame releas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to fix or release the door frame;
a door releas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all to fix or release the door;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상기 셔터, 상기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릴리즈, 상기 도어릴리즈는,
제어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hutter, the door frame, the door, the door frame release, the door release,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by a controller.
상기 셔터와 상기 도어프레임이 나란히 되는 천장 또는 바닥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is installed on a ceiling or floor in which the shutter and the door frame are aligned.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수용박스와, 상기 수용박스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대와, 상기 수용박스에 설치되어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대를 고정 또는 해제하며 상기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 상기 고정대를 해제하여 하강되게 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pper is
An accommodating box installed on the ceiling, a holder moving up and down inside the accommodating box to fix or release the door frame,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box to fix or release the holder by left and right movement, and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witch that releases the fixing bar and lowers it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oor frame.
상기 스토퍼는,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플러쉬볼트와, 상기 천장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접촉 시 상기 플러쉬볼트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및 도어 분리형 방화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pper is
A shutter and door separation type fire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flush bolt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 switch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and operating the flush bolt when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5167A KR102296762B1 (en) | 2021-02-24 | 2021-02-24 | Shutter and door separate fire prot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5167A KR102296762B1 (en) | 2021-02-24 | 2021-02-24 | Shutter and door separate fire prote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6762B1 true KR102296762B1 (en) | 2021-09-02 |
Family
ID=7779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5167A KR102296762B1 (en) | 2021-02-24 | 2021-02-24 | Shutter and door separate fire prot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76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3750B1 (en) * | 2021-08-11 | 2022-01-20 | 주식회사명가건축사사무소 | escape door for fireproof shut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72367A1 (en) * | 2006-05-18 | 2007-11-29 | Mckeon Rolling Steel Door Co., Inc. | Rolling door assembly having pass door arrangement |
KR102055095B1 (en) * | 2019-05-22 | 2019-12-11 | 김진수 | Fire partition system |
KR20200143118A (en) | 2019-06-14 | 2020-12-23 | 정국 | Fire door shutter |
-
2021
- 2021-02-24 KR KR1020210025167A patent/KR1022967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72367A1 (en) * | 2006-05-18 | 2007-11-29 | Mckeon Rolling Steel Door Co., Inc. | Rolling door assembly having pass door arrangement |
KR102055095B1 (en) * | 2019-05-22 | 2019-12-11 | 김진수 | Fire partition system |
KR20200143118A (en) | 2019-06-14 | 2020-12-23 | 정국 | Fire door shut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3750B1 (en) * | 2021-08-11 | 2022-01-20 | 주식회사명가건축사사무소 | escape door for fireproof shut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6762B1 (en) | Shutter and door separate fire protection device | |
JP5648248B2 (en) | Emergency escape device | |
KR101615728B1 (en) |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 |
KR101027371B1 (en) |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in a building | |
KR101503407B1 (en) | A blocking device of fire for evacuating in a building | |
JPH10314329A (en) | Fireproof screen apparatus | |
JP2016059790A (en) | Tunnel fire hydrant device and fire extinguisher case | |
KR101616289B1 (en) | AED system of elevator and thereof method | |
JP5095335B2 (en) | Switchgear | |
JP2001220973A (en) | Architectural shutter | |
KR101306920B1 (en) | Automatic fire shutter closing device | |
KR101093039B1 (en) |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of a building | |
JP2003034481A (en) | Landing hall device of elevator and fire protection system | |
KR20100088440A (en) | Fireproof apparatus using material capable of transforming shape | |
JP7219599B2 (en) | Shutter device, opening operation method of shutter devic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ethod of shutter device | |
JP2003267644A (en) | Fire-proof and smoke-tight shutter for elevator | |
KR20090110530A (en) | Fireproof Screen Shutter with New Emergency Exit Structure | |
KR200400290Y1 (en) | fire-proof shutter control apparatus | |
JP3298050B2 (en) | Device to prevent pinching when the fire protection shutter descends | |
JP2000005331A (en) | Fire protection device | |
KR100419343B1 (en) | fireproof shutter control apparatus | |
JP2004155574A (en) | Elevator device | |
JPH0632733Y2 (en) | Control center | |
JP2007176641A (en) | Fire protection/smoke-prevention shutter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provided therewith | |
JP3843226B2 (en) | Elevator hall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fire preven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