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709B1 -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709B1
KR102296709B1 KR1020200022357A KR20200022357A KR102296709B1 KR 102296709 B1 KR102296709 B1 KR 102296709B1 KR 1020200022357 A KR1020200022357 A KR 1020200022357A KR 20200022357 A KR20200022357 A KR 20200022357A KR 102296709 B1 KR102296709 B1 KR 10229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separator
outer cylinder
height
van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403A (ko
Inventor
이재형
엄수호
이재혁
김남균
윤태민
이혜리
전덕진
정현준
양성규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7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6Steam-separating arrangements
    • F22B37/32Steam-separating arrangem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F22B37/327Steam-separating arrangements using centrifugal force specially adapted for steam generators of nuclear power pla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의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접근 통로를 제1 높이에서 절단하고,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제2 높이에서 절단하고, 베인 상부를 제3 높이에서 절단하며, 베인을 제4 높이에서 절단한 후, 아우터 실린더의 제2 파트를 제5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근 통로는 습분분리기의 베인보다 아래 위치(S1)에서 절단되며,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는 베인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S2)에서 절단된다. 아우터 실린더의 제2 파트는 베인의 절단 위치보다 조금 높은 위치(S5)에서 절단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작업 순서 및 절단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아우터 실린더 및 베인 내부에서 절단 및 용접 작업이 가능하고, 좁은 공간 내에서도 효율적으로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Method for repairing moisture separator}
본 발명은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은 핵분열의 연쇄 반응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원자력 발전에서 사용하는 원자로의 종류로는 가압경수로, 가압중수로, 비등경수로, 가스냉각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중 가압경수로, 가압중수로는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재를 통하여 증기발생기에 전달하고, 증기발생기와 열교환을 통해 증기발생기에서 증기를 생성하여 터빈을 회전시킨다.
증기발생기는 원자로 노심을 순환하면서 가열된 냉각재와 2차측 급수와의 열교환을 수행하며, 전열관, 습분분리기, 증기건조기, 증기 출구 등을 구비한다. 습분분리기는 증기발생기 내에서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발생된 증기에서 습분을 제거하여 증기의 건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습분분리기는 지속적으로 고온의 증기, 습분에 노출되므로, 침식이나 부식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두께가 감소되거나 이탈된 부식물에 의한 부품 손상,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증기발생기를 교체하기도 하지만, 이럴 경우 교체가 필요 없는 다른 부품들도 같이 교체를 해야 하며, 교체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습분분리기만을 보수하는 경우, 습분분리기가 증기발생기 상에서 복수개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내부가 협소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장시간 작업이 수행될 경우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량이 증가하여 위험이 따른다. 따라서 협소한 내부 공간에서도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공개특허 제10-2003-0040576호 (명칭: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 교체 장치)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협소한 내부 공간에서도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습분분리기 아래 측에 제 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접근 통로를 제1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제2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베인 상단을 제3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베인을 제4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아우터 실린더의 제2 파트를 제5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아우터 실린더 상부에 제2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아우터 실린더 상부에 교체된 아우터 실린더의 제2 파트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 아우터 실린더 내부에서 이너 실린더 상부에 교체된 베인을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 교체된 베인의 상단을 용접하는 단계, 아우터 실린더에 교체된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제2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이전에 드레인 파이프를 소정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아우터 실린더에 교체된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 이후에 드레인 파이프 상에 교체된 드레인 파이프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습분분리기 아래 측에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보수 대상 습분분리기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보수 대상 습분분리기를 특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습분분리기 상부에 각각 장착된 습도 센서가 유동하는 증기의 건도를 측정하여, 건도 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해당 습분분리기를 교체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제2 높이는 제3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제5 높이는 제4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각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수행 전에 분진을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는 난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산소 농도 값이 소정 값 이하이면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은 방사선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방사선 농도가 소정 값 이상이면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접근 통로는 적어도 3개의 조각으로 분리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접근 통로는 적어도 3개의 조각이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근 통로를 절단하여 습분분리기의 보수 공간을 확보하고, 보수 작업이 아우터 실린더 내부에서 실시됨으로써, 좁은 공간 내에서도 습분분리기의 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습분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배치 및 보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제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제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제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제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재장착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재장착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각 부품의 절단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 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습분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발생기(1000)는 전열관(1100), 습분분리기 유닛(1200A), 증기 건조기 유닛(1300A), 증기 출구(1400), 접근 통로(1500)를 포함한다. 전열관(1100)은 증기발생기(10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원자력 발전은 원자로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재를 통하여 증기발생기에 전달하는데, 원자로에서 가열된 냉각재는 전열관(1100) 내부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하여, 전열관(1100) 내부의 물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습분분리기 유닛(1200A)에는 복수의 습분분리기(1200)가 배치되어 있다. 전열관(1100)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는 각각의 습분분리기(1200)를 통과하면서 증기로부터 습분이 분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분분리기(1200)는 아우터 실린더(1210), 이너 실린더(1220), 베인(1230)을 구비한다.
아우터 실린더(1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실린더(1210)는 습분분리기(1200)에서 분리된 수분을 아래 방향으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수분은 아우터 실린더(1210)의 내벽을 따라 증기발생기(1000)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너 실린더(1220)는 아우터 실린더(1210)의 내측에서 아우터 실린더(1210)와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너 실린더(1220)는 아우터 실린더(1210)와 동심축을 이룬다. 이너 실린더(1220)는 아우터 실린더(1210)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너 실린더(1220) 내부에서는 전열관(1100)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베인(1230)은 이너 실린더(1220)의 상부에 연결된다. 베인(1230)의 내부는 원통형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이너 실린더(122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다. 베인(1230)은 이너실린더(1220)와 연결된 원통형의 중심에 방사상 외측으로 복수의 커브드 암을 구비한다. 베인(1230)은 이너 실린더(1220) 내측을 통해 상승한 증기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무거운 습분은 외측에 위치한 아우터 실린더(1210) 측으로 보낸다. 분리된 습분은 아우터 실린더(1210)의 내벽을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일부 습분이 제거된 증기는 상부로 이동한다.
습분분리기 유닛(1200A)을 통과한 증기는 증기건조기 유닛(1300A)으로 유입된다. 증기건조기 유닛(1300A)은 복수의 증기건조기(1300)를 구비한다. 증기 건조기(1300)는 습분분리기(1200)에서 습분이 일부 제거된 증기에서 여분의 습분을 더 제거하여, 증기의 건도를 더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증기 출구(1400)는 습분이 제거된 건조한 증기를 터빈 측으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습분분리기(1200)가 열화되어 습분을 제대로 분리하지 못하게 되면, 증기 출구(1400)로 배출되는 증기에 습분이 많이 포함되게 된다. 이 경우, 증기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터빈이 수분 입자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고 나아가 발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화된 습분분리기를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접근 통로(1500)는 작업자가 증기발생기(10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접근 통로(1500)는 증기발생기(1000) 중앙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작업자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다리 형태의 발판이 마련되어 있다. 접근 통로(1500)의 수직 방향에는 소정 높이로 복수의 습분분리기(1200)를 지지하는 수평 지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지지판은 접근 통로(1500)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파이프(1211)는 아우터 실린더(1210)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습분분리기(1200)를 통과한 증기는 증기건조기(1300)로 유입되어 증기건조기(1300) 의 베인에 의해 회전력을 받게 된다. 회전력을 받은 증기는 무게가 무거운 수분이 증기건조기(1300) 외벽에 표착되고, 수분이 제거된 증기는 상부로 이동한다. 증기건조기 외벽에 표착된 수분은 드레인 파이프(1211)를 통해 하부로 이동한다.
증기발생기(1000) 상부에는 작업자가 증기발생기(100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맨 웨이(160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배치 및 보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습분분리기(1200)를 보수하기 위하여, 우선 보수가 필요한 습분분리기(1200)를 특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분분리기(1200)는 접근 통로(1500)를 중심으로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비파괴 검사를 통하여 베인(1230)의 두께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습분분리기(1200)의 아우터 실린더(1210) 상부 측에 습도 센서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증기의 건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 해단 습분분리기(1200)의 베인(1230)의 열화로 판단하여 교체 대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습분분리기(1200) 중 교체 대상이 특정되면, 제거 순서를 결정한다. 습분분리기(1200)가 배치된 영역을 3개로 분류하여, 내측 영역(A1), 중간 영역(A2), 외측 영역(A3)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내측 영역(A1)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부터 제거를 시작한다. 내측 영역(A1)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 중에서는 접근 통로와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제거를 한다. 내측 영역(A1)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의 제거가 완료되면, 중간 영역(A2)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를 제거한다. 중간 영역(A2)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 역시 접근 통로와의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제거한다. 중간 영역(A2)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의 제거가 완료되면, 외측 영역(A3)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를 제거한다.
이는 증기발생기(1000) 내부에서 습분분리기(1200)가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한바,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접근 통로(1500)의 제거를 통해 작업 공간을 마련한 후, 내측에 위치한 습분분리기(1200)부터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한다.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 재장착 과정에서는, 외측 영역(A3), 중간 영역(A2), 내측 영역(A1)에 배치된 습분분리기 순으로 재장착 작업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제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제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습분분리기(1200)를 제거하기 위하여 우선, 증기발생기(1000)의 맨 웨이(1600)를 개방한다. 맨 웨이(1600)를 통하여, 작업자가 이동하고, 제거된 부품, 교체된 부품을 이동시킨다.
습분분리기(1200)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분분리기(1200) 아래측에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1250)를 설치한다(S110).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1250)는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 불꽃 등의 이물질이 증기발생기(1000)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습분분리기(1200)의 교체 작업은 습분분리기(120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절단기를 사용하고, 새로운 습분분리기(1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용접을 실시하는데 이 때 분진이나 불꽃이 튀어 화재의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1250)는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낙하한 분진 등이 다시 증기발생기(1000) 내부를 부유하지 않도록 표면에 점착 성분이 도포될 수도 있다.
각각의 아우터 실린더(1210), 이너 실린더(1220)의 하부에는 난연성 소재의 이물질 유입 방지 스펀지를 삽입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물질 유입 방지 스펀지 밀봉에 의해, 습분분리기(1200) 교체 작업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이 증기발생기(1000) 하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습분분리기(1200)의 하방 뿐 아니라 습분분리기(1200)의 상방에도 보호 커버(1260)를 설치할 수 있다. 증기건조기(1300)의 상부에 각각 이물질 유입 방지 스펀지를 삽입하고, 그 위에 난연성 소재의 보호 커버(126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습분분리기(1200)의 교체 후 증기건조기(1300), 증기 출구(1400)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에 이물질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접근 통로(1500)의 상부를 절단한다(S120). 절단은 접근 통로(1500)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절단된 접근 통로(1500)는 맨 웨이(1600)를 통하여 증기발생기(1000) 외부로 배출된다. 접근 통로(1500)의 상부는 우선 수평 방향으로 절단된다. 접근 통로(15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절단 위치는 습분분리기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습분분리기(1200)의 베인(1230)보다 아래 위치에서 결정된다. 접근 통로(1500)는 맨 웨이(16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된다. 접근 통로(1500)는 적어도 3조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접근 통로(1500)가 제거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확보된다.
접근 통로(1500)가 제거되면, 아우터 실린더(1210) 외부에 배치된 드레인 파이프(1211)를 절단한다(S130). 드레인 파이프(1211)는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의 절단 높이와 같거나 그 아래 높이에서 절단된다. 내측 영역(A1), 중간 영역(A2)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의 경우, 습분분리기(1200)의 제거를 위해 작업자가 접근할 때 드레인 파이프(1211)가 방해 요소가 된다. 다만, 최외곽에 위치한 습분분리기(1200")의 경우 드레인 파이프(1211)를 절단하지 않더라도 제거 및 설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제거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드레인 파이프(1211)는 작업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1 파트(1210a)를 절단한다(S140). 제1 파트(1210a)는 아우터 실린더(1210)의 상부이다. 본 발명은 아우터 실린더(1210) 외측으로는 절단 작업을 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우터 실린더(1210) 내측에서 작업이 행해진다. 아우터 실린더(1210) 내측에서 작업이 행해지면, 분진 등 아우터 실린더(1210) 외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우터 실린더(1210)는 아우터 실린더(1210) 내측에 배치된 베인(1230)의 상부(1231)보다 조금 더 높은 위치에서 절단된다.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1 파트(1210a)를 절단하면,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절단면 아래로 베인(1230) 상부(1231)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노출된 베인(1230)의 상부(1231)를 절단한다(S150). 아우터 실린더(1210)의 상단부가 베인(1230)의 상부(1231)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절단 작업은 아우터 실린더(1210)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베인(1230)의 상부(1231)를 제거하면 베인(1230)의 원통형 내부가 노출된다. 베인(1230)의 내부로 장비를 투입하여 베인(1230)의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S160). 베인(123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절단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베인(1230)이 아우터 실린더(1210) 내부에서 절단되므로, 절단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이 아우터 실린더(12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분진 등은 아우터 실린더(1210)의 하단 및 이너 실린더(1220)의 하단에 쌓이게 된다.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를 절단한다(S170).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는 제1 파트(1210a)가 절단된 아우터 실린더(1210)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를 갖는 아우터 실린더(1210)의 일부분이다. 제2 파트(1210b)의 절단 위치는 베인(1230)의 절단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절단된 부품들은 증기발생기(1000) 외부로 옮겨진다.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까지 제거가 되면, 아우터 실린더(1210) 상단에 제2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1213)를 설치한다(S180). 다음 순번으로 제거될 습분분리기(120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이미 제거 작업을 마친 습분분리기(1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나의 습분분리기(1200)의 베인 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순번의 습분분리기의 베인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한다. 각 단계에서 절단된 부품들은 증기발생기(1000) 외부로 옮겨진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습분분리기의 재장착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습분분리기(1200)는 열화가 발생한 부분이 제거가 된 후 새 부품으로 재장착된다. 장착 순서는 아우터 실린더(1210)과 베인(1230)의 제거 순서와 반대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습분분리기(1200)의 외측 영역(A3)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부터 부품의 장착을 시작한다. 외측 영역(A3)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 장착이 완료되면, 중간 영역(A2)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을 장착한다. 중간 영역(A2)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 장착이 완료되면, 내측 영역(A1)에 배치된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을 장착한다. 부품 제거 후 설치된 제2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1213)는 부품 재장착 과정시 제거된다.
베인(1230)을 재장착하기 위하여, 우선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를 아우터 실린더(1210) 상단에 용접 연결한다(S210). 용접은 아우터 실린더(1210)의 내측에서 수행된다.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 장착 후, 아우터 실린더(1210) 내측으로 베인(1230')을 위치시켜 용접한다(S220). 베인(1230')은 이너 실린더(1220) 상단과 연결된다. 용접은 베인(1230')의 원통형 내측에서 이루어진다.
베인(1230')의 장착 후 베인 상부(1231')를 용접, 연결한다(S230).
베인(1230')의 상부(1231')까지 용접이 완료되면,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1 파트(1210A)를 아우터 실린더(1210)의 상단에 용접 연결한다(S240).
이전 공정에서 드레인 파이프(1211)를 절단한 습분분리기(1200)의 경우 드레인 파이프(1211)를 용접 연결한다(S250). 모든 습분분리기의 부품이 재장착되면, 접근 통로(1500)를 용접한다. 복수의 접근 통로 조각이 운반되어져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습분분리기 부품, 접근 통로의 재장착 후, 용접 부위의 비파괴 검사를 통하여 용접이 잘 수행되었는지 점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에서 각 부품의 절단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습분분리기 교체 방법에 있어 각각의 부품을 절단하는 높이에 대하여 다시 설명한다. 우선 부품의 교체를 위하여 접근 통로(1500) 먼저 절단이 되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통로(1500)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용이하도록, 습분분리기(1200)의 베인(1230)보다 아래 위치(S1)에서 절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1 파트(1210a)는 베인(1230)의 상부(1231)가 아우터 실린더(12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베인(1230)의 상부(1231) 위치보다 높은 위치(S2)에서 절단된다. 아우터 실린더(1210)가 절단된 후 아우터 실린더(1210) 내부에 위치한 베인 상부(1231)를 S3 위치에서 절단한다. 베인 상부(1231)는 다음 단계의 작업인 베인(123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베인(1230) 내부의 통로가 노출되도록 실시된다. 베인 상부(1231)의 절단 단면은 원형 또는 베인 형상의 단면일 수 있다.
아우터 실린더(1210)의 내부에서 이너 실린더(1220)에 연결된 베인(1230)을 절단한다. 베인(1230)은 S4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다. 베인(1230)의 절단 후, 베인의 절단 위치보다 조금 높은 위치(S5)에서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가 절단된다. 본 발명은 접근 통로(1500),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1 파트(1210a), 베인 상부(1231), 베인(1230),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 순으로 정해진 높이에서 절단됨으로써, 아우터 실린더(1210)의 외부 공간이 협소할지라도, 아우터 실린더(1210) 및 베인(1230) 내부에서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분진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에서 절단된 부품은 맨 웨이(1600)를 통하여 증기발생기(1000) 외부로 이동된다.
반대로 새로운 부품을 용접할 시에는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2 파트(1210B)를 용접하며, 아우터 실린더(1210) 내부에서 베인(1230'), 베인 상부(1231')가 용접되도록 한다. 그 후 아우터 실린더(1210)의 제1 파트(1210A) 및 드레인 파이프(1211)가 순차적으로 용접된다. 하나의 습분분리기(1200)의 용접이 완료되면 외측에서 내측으로 다른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용접한다. 복수의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 교체가 완료되면 접근 통로(1500)를 용접하여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수 대상의 습분분리기(1200)를 특정하여 일부만 교체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체 습분분리기(1200)를 교체할 수도 있다. 복수의 습분분리기(1200)의 교체가 완료되면, 설치된 제1 및 제2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및 보호 커버를 제거한다.
습분분리기(1200)의 부품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된다. 각 단계가 수행될 때마다 흡입기 등을 이용하여 분진을 흡입한다.
습분분리기의 교체 작업은 작업 전에 방사선 수치를 확인하여야 하며, 작업 중 방사선 수치에 변동이 생기거나 수치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증기발생기(1000)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산소 농도 값이 소정 값 이하이며,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경고음 대신, 작업자가 보유한 단말에 진동을 가하거나, 램프 등으로 현장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 증기발생기 1100 : 전열관
1200A : 습분분리기 유닛 1200 : 습분분리기
1210 : 아우터 실린더
1210a, 1210A :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
1210b, 1210B : 아우터 실린더의 제2 파트
1211 : 드레인 파이프 1220 : 이너 실린더
1230, 1230' : 베인 1231, 1231' : 베인 상부
1300 : 증기건조기 1400 : 증기 출구
1500 : 접근 통로 1600 : 맨 웨이

Claims (14)

  1. 습분분리기 아래 측에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접근 통로를 제1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제2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베인 상부를 제3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베인을 제4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아우터 실린더의 제2 파트를 제5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트가 절단된 상기 아우터 실린더 상부에 제2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실린더 상단에 교체된 아우터 실린더의 제2 파트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
    상기 아우터 실린더 내부에서 이너 실린더 상단에 교체된 베인을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
    상기 베인의 상단에 교체된 베인 상부를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아우터 실린더에 교체된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제2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 이전에 드레인 파이프를 소정 높이에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실린더에 교체된 아우터 실린더의 제1 파트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 이후에 드레인 파이프 상에 교체된 드레인 파이프를 위치시켜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분분리기 아래 측에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보수 대상 습분분리기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대상 습분분리기를 특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습분분리기 상부에 각각 장착된 습도 센서가 유동하는 증기의 건도를 측정하여, 상기 건도 값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해당 습분분리기를 교체 대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3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높이는 상기 제4 높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수행 전에 분진을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는 난연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산소 농도 값이 소정 값 이하이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사선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방사선 농도가 소정 값 이상이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통로는 적어도 3개의 조각으로 분리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통로는 적어도 3개의 조각이 용접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KR1020200022357A 2020-02-24 2020-02-24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KR10229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57A KR102296709B1 (ko) 2020-02-24 2020-02-24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57A KR102296709B1 (ko) 2020-02-24 2020-02-24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03A KR20210107403A (ko) 2021-09-01
KR102296709B1 true KR102296709B1 (ko) 2021-09-02

Family

ID=7777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357A KR102296709B1 (ko) 2020-02-24 2020-02-24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7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3896A2 (en) 1985-05-27 1986-12-03 Ansaldo Componenti S.p.A. D.G.V. A rising flow separator for a two-phase liquid-gas or liquid-vapour mixture
KR102013074B1 (ko) 2018-10-19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의 습분분리기 조립체 및 습분분리기의 교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481A (en) * 1985-01-18 1986-12-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Low pressure drop modular centrifugal moisture separator
KR20030040576A (ko) 2001-11-15 2003-05-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 교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3896A2 (en) 1985-05-27 1986-12-03 Ansaldo Componenti S.p.A. D.G.V. A rising flow separator for a two-phase liquid-gas or liquid-vapour mixture
KR102013074B1 (ko) 2018-10-19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의 습분분리기 조립체 및 습분분리기의 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03A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3060A (en) System and method for retubing a steam generator
US200701217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usage tooling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KR102296709B1 (ko) 습분분리기 보수 방법
EP0151035B1 (en) Storage arrangements for nuclear fuel
EP2704152B1 (en) Nozzle repairing method
US9597723B2 (en) Tube expansion method
KR20000061665A (ko)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설치되는 적층형 이물질 유입방지필터
KR100270193B1 (ko) 열교환기류 전열관의 결함보수방법 및 폭발확관용 슬리브 결합체
KR102613702B1 (ko) 습분분리기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CA2685800C (en) Device for cleaning oxidized or corroded components in the presence of a halogenous gas mixture
KR102611035B1 (ko) 습분분리기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CA2083888C (en) Device for trapping migrating bodies within the secondary circuit of a steam generator
KR200431175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KR200409916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US11585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external corrosion guards
JPH04232899A (ja) 直管式熱交換器の管に栓を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の使用
KR820001471B1 (ko) 증기발생기의 내부구조물 교체방법
US4703936A (en) Sealoff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a fluid within first and second communicating confined regions
JP2009145047A (ja) 蒸気発生器の水室内点検方法及び遮蔽体
KR20200089348A (ko) 나선형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TWI833937B (zh) 給水分佈器修復
KR101387057B1 (ko) 소각로 보일러용 수관 보호 장치 및 방법
JP4316130B2 (ja) 炉心スプレイ系配管取替工法
RU2249866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тепловыделяющей сборки
JPH07318681A (ja) 圧力容器貫通ハウジングの補修用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