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148B1 -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148B1
KR102296148B1 KR1020190170936A KR20190170936A KR102296148B1 KR 102296148 B1 KR102296148 B1 KR 102296148B1 KR 1020190170936 A KR1020190170936 A KR 1020190170936A KR 20190170936 A KR20190170936 A KR 20190170936A KR 102296148 B1 KR102296148 B1 KR 102296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on
probe
housing
measurement metho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954A (ko
Inventor
김상인
임현근
윤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림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림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림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17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148B1/ko
Priority to EP20902497.5A priority patent/EP4057033A4/en
Priority to PCT/KR2020/003687 priority patent/WO2021125448A1/ko
Publication of KR2021007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48B1/ko
Priority to US17/832,641 priority patent/US1171983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7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G01T1/178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for measuring specific activity in the presence of other radioactive substances, e.g. natural, in the air or in liquids such as rai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01T7/02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or storing samples to be investigated and possibly directly transporting the samples to the measuring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investigating radioactive fluids
    • G01T7/04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or storing samples to be investigated and possibly directly transporting the samples to the measuring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investigating radioactive fluids by fil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돈 측정 장치는, 서로 구분되는 두 개의 공간을 구비하며, 각 공간과 외부가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탐침봉을 구비하는 탐침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탐침부에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탐침봉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RADON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돈-222(Rn-222)는 천연 방사성 가스로서 반감기는 3.8일이다. 라돈은 우라늄-238 붕괴연쇄의 구성원인 라듐-226(Ra-226, 반감기 1600년)의 붕괴생성물이다. 우라늄과 라듐은 토석에 천연으로 존재하며 지속되는 라돈의 원천이다. 라돈 가스는 지각에서 방출되므로 옥외 공기 및 작업장을 포함한 모든 가옥 내 공기에 존재한다. 실내 공기 중 라돈 농도에는 큰 편차가 있는데 주로 지역 지질과 환기율, 건물난방, 기상조건처럼 실내외 압력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때문이다.
라돈은 불활성이므로 흡입한 양 거의 전부가 날숨으로 나온다. 그러나 라돈-222는 단수명 방사성핵종 시리즈로 붕괴하는데 이들 자손핵종인 폴로늄과 비스무트(Po-218, Po-214, Bi-214)를 흡입하면 호흡기내에 침적된다. 공기 중 라돈자손은 두 단계로 에어로졸 결합물을 형성한다. 라돈가스가 붕괴한 후 새로 형성된 방사성 핵종(Po-218, Pb-214, Bi-214)이 미량 가스나 에어로졸과 빠르게(<1초) 반응하고 무리를 형성하여 약 1 nm 크기 입자를 만든다. 이러한 입자들을 ‘미부착입자(unattached particle)’라 부른다. 미부착입자는 다시 1~100초 사이에 공기 중 기존 에어로졸 입자에 부착하여 ‘부착입자(attached particle)’를 만든다. 이때 라돈-222의 자손핵종이 에어로졸 입자에 부착될 확률은 약 40% 정도 된다고 한다(ICRP 간행물115, 2011). 이러한 미부착입자와 부착입자들은 호흡기도에 부착된다. 부착된 라돈자손핵종은 짧은 반감기(30분 미만)로 인해 주로 폐에서 제거되기 전에 붕괴한다. 단수명 라돈자손핵종 중 폴로늄-218과 폴로늄-214 둘은 알파입자를 방출하는데 이것이 폐 선량과 이로 인한 폐암위험을 지배한다.
토론(Thoron, Rn-220) 가스는 라듐-224(Ra-224)의 붕괴생성물이고 토륨-232(Th-232) 붕괴연쇄의 일부이다. 토론은 짧은 반감기(56초)를 가지며 알파붕괴해서 폴로늄-216(반감기 0.14초), 납-212(10.6시간), 비스무트-212(61분), 그리고 폴로늄-212(0.000001초 이하)를 거쳐 납-208을 최종 생성시킨다. 토론의 짧은 반감기 때문에 생성된 지점으로부터 탈출이 라돈처럼 용이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실내 토론피폭의 가장 흔한 선원은 건축재이다. 라돈처럼 토론과 자손 흡입으로 인한 선량은 자손의 붕괴에서 나오는 알파입자이다. 토론의 반감기가 짧아 토론 가스 방사능은 한 방에서도 다를 수 있어 공간의 선량평가에 토론 가스 농도를 이용할 수 없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라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흡착활성탄을 이용하는 수동측정법과, 섬광셀, 이온챔버, PIN다이오드 등을 이용하는 능동측정법이 있다.
능동측정법 중에서 섬광셀(ZnS:Ag) 검출기는 측정감도가 매우 높고 핵종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가격이 높고 형광물질의 열화로 인한 짧은 내구성이 단점이다.
PIN다이오드 측정기는 라돈의 알파붕괴를 통해 생성된 폴로늄 이온을 내부 전기장에 따라 다이오드 표면에 충돌시켜 전하량 변화를 통해 라돈을 비례 측정한다. 라돈-222와 라돈-220을 구별과 라돈자손핵종 분석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크다는 것이 장점이나 측정감도가 낮고 습도에 민감하다는 것이 단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장치는, 서로 구분되는 두 개의 공간을 구비하며, 각 공간과 외부가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탐침봉을 구비하는 탐침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탐침부에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탐침봉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차폐하고, 외부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은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탐침봉이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차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우징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탐침봉이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관통홀에 배치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배치되는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 각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라돈 자손핵종이 통과하는 공극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필터 및 상기 미세 필터 보다 공극의 크기가 작고 라돈이 통과할 수 있는 초미세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의 미세 및 초미세 필터 장착 여부에 따른 측정 방식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측정 방식에 따라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 방식, 라돈 농도와 라돈 및 자손 핵종의 합산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2 측정 방식, 및 상기 합산 농도를 측정하는 제3 측정 방식 중 어느 한 측정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제1 및 제3 측정 방식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제1 및 제2 탐침봉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제2 측정 방식이면, 상기 제1 및 제2 탐침봉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탐침봉을 통해 산출한 제1 농도값과 상기 제2 탐침봉을 통해 산출한 제2 농도값의 차이, 및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을 기초로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인 경우는, 상기 제1 및 제2 농도값의 차이가 제1 설정값 보다 크고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상기 제1 및 제3 측정 방식 중 하나인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농도값의 차이가 제2 설정값 보다 작고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상기 제2 측정 방식 중 하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탐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끝단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된 타측의 중앙 부분에 상기 제1 탐침봉의 끝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환형 형상으로, 상기 제2 탐침봉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벽을 지지하는 지지바디부를 구비하는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방법은, 측정 방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측정 방식에 따라, 제어부를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탐침봉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 중의 라돈 및 라돈의 자손핵종의 농도를 정확하면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정밀하면서 정확하게 라돈 및 라돈의 자손핵종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돈 측정 장치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ㄴ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라돈 측정 장치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라돈 측정 장치(100)는 하우징(110), 탐침부(120), 제어부(130), 차폐부(140), 제1 필터부(150), 제2 필터부(160) 및 송수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두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은 서로 대응하여,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하우징(111)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하우징(111)은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1)의 외면에는 제1 관통홀(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제1 관통홀(111a)은 제1 하우징(111)의 끝단에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11)은 원기둥 형상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하우징(111)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111)은 금속, 전도성도금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하거나, 이들이 외부에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하우징(112)은 제1 하우징(111)과 대응되며, 제2 관통홀(11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은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탐침부(120)는 라돈의 알파입자의 전기적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탐침부(120)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탐침부(120)와 제어부(130)는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탐침부(120)가 제어부(130)에 다른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보다 전기적 저항을 최소화하고,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켜, 탐침부(120)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130)로 전달될 때 탐침부(120)의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탐침부(120)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탐침부(120)는 제어부(130)에 연결되는 하나의 탐침봉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탐침봉은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탐침부(120)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3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 절연된 구조, 및 전기적 연결과 절연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이 서로 절연인 구조인 경우,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은 제어부(130)의 기판 등에 의해 절연되거나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 사이에 별도의 절연체가 배치되어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이 선택적 도통 구조인 경우,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은 위 절연 구조에 스위치 등에 의해 선택적인 전기적 단속(on/off)이 될 수 있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은 스위칭부(190)에 의해 절연 상태이거나, 스위칭부(190) 없이 분리된 상태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은 각각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탐침봉(121)과 제1 하우징(111)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이며, 제2 탐침봉(122)과 제2 하우징(11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이다.
제어부(130)는 탐침부(120)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탐침부(12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는 탐침 신호 수신 모듈(131), 수신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모듈(13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거된 노이즈 신호에서 연산하는 연산 모듈(1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탐침 신호 수신 모듈(131)은 전선과 같은 와이어일 수 있으며,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탐침 신호 수신 모듈(131)은 노이즈 제거 모듈(133) 그 자체일 수 있다.
노이즈 제거 모듈(133)은 입력신호를 반전-비반전 차동 소거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차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제거 모듈(133)은 상기 차동회로를 거쳐 노이즈를 제거한 신호를 일정 시간(예를 들면, 대략 5분 내지 10분) 동안 누적시킨 후 입력된 신호에서 계속 반복되지 않는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제거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노이즈제거회로는 입력된 신호가 누적된 신호의 평균치보다 일정 크기 이상의 높은 신호가 발생하면 노이즈로 판별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신호 중 비이상적으로 갑자기 피크치가 올라가는 신호 등이 포함된 경우 누적된 신호의 평균치보다 일정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를 노이즈로 판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연산 모듈(135)은 상기와 같은 노이즈 제거 모듈(133)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근거로 각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산 모듈(135)은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근거로 라돈의 공기 중 수치, 라돈의 자손핵종의 수치 또는 존재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라돈 측정 장치(100)는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을 전기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90)는 제어부(130)의 지시에 따라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차폐부(14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을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각각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차폐부(140)의 내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차폐부(140)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폐부(14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는 제어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40)는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의 내면은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이러한 홀과 제1 탐침봉(121) 사이 및 홀과 제2 탐침봉(122) 사이에는 별도의 절연부재가 배치되어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과 차폐부(14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폐부(140)는 노이즈 차폐를 위해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전도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부(14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과 동일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제어부(130)에 연결된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에는 차폐부(140)와 별도로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140)는 제어부(130)가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제어부(130)를 외부와 노이즈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부(140)에는 연통홀(141)이 형성됨으로써 제어부(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통홀(141)은 충분히 작음으로써 전기적 노이즈가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140)는 제어부(130)와 외부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홀은 제어부(130)와 외부의 장치 등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의 구성 중 일부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차폐부(14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침 신호 수신 모듈(131)만 차폐부(140)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차폐부(14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필터부(15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필터부(150)는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필터부(150)는 공기 중에 큰 사이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탐침부(120)가 큰 사이즈의 먼지를 통하여 오작동하거나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부(150)는 라돈 및 라돈의 자손핵종은 통과하는 공극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필터부(160)는 제1 필터부(150)의 공극보다 더 작은 공극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필터부(160)는 에어로졸을 제거할 수 있는 초미세 필터(헤파 필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필터부(160)는 에어로졸에 흡착하는 라돈의 자손핵종을 제거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거의 라돈만 존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한 쪽이 다른 쪽 보다 더 큰 공극을 가지는 서로 다른 필터를 구비하는 이외에,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는 동일한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는 라돈의 자손핵종이 통과할 수 있는 공극 크기를 가지는 미세 필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는 라돈의 자손핵종이 통과할 수 없는 초미세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는 라돈 측정 장치(100)의 측정 방식에 따라, 여러 조합으로 교체될 수 있다. 여러 측정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라돈 측정 장치(100)는 스위칭부(190)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을 서로 단속시킬 수 있다. 측정 방식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서,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은 스위칭부(190)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측정 방식의 제1례는 라돈 농도만을 정밀 및/또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1 측정 방식은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가 초미세 필터이고,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이 스위칭부(190)에 의해 도통된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가 초미세 필터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내부에는 라돈만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름이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의 지름이고, 길이가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각각의 길이의 합과 같은 원기둥 형상의 챔버에서 라돈을 측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물질의 핵분열에 따른 공기의 이온화 정도로 핵분열하는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속 빈 원기둥 형상의 이온화 챔버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이온화 챔버의 부피를 늘이면, 핵분열하는 물질을 많이 배치될 수 있어, 해당 물질의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챔버의 부피를 늘이기 위해, 일정 규격의 이온화 챔버에서 챔버의 길이(높이)만 더 길게 하면, 챔버의 개방단의 반대 측인 폐쇄단까지 라돈이 진입하기 어려워, 챔버의 부피를 크게 하는 의미가 없다. 즉, 원통형 챔버의 길이와 지름의 비율이 정상적인 농도 측정 시의 길이/지름 비율 보다 매우 크면, 라돈의 핵분열을 측정할 수 없는 데드 존(dead zone)이 발생하게 된다.
챔버의 길이를 길게 하면서 라돈이 폐쇄단까지 진입되도록 하려면, 챔버의 지름을 늘려야 한다. 챔버의 지름이 커지면, 챔버에 더 높은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해야 한다. 그래야, 핵분열에 따른 이온화된 경로로 내부의 탐침부와 챔버 사이에 전압이 변경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은 양측이 개방된 속 빈 원통형 챔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원통의 길이를 길게 하여 부피를 늘리면서, 원통의 지름을 길이에 대응하여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높은 바이어스 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원통의 지름(단면적)이 커지지 않아, 소형화 및 휴대성에 유리할 수 있다.
측정 방식의 제2례는 라돈 농도와 라돈의 자손핵종의 농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제2 측정 방식은 제1 필터부(150)가 미세 필터이고, 제2 필터부(160)가 초미세 필터이고,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이 스위칭부(190)에 의해 절연된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라돈 및 라돈 자손핵종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하우징(111) 내부에 배치된 제1 탐침봉(121)을 통해 라돈 및 라돈 자손핵종의 농도(이하, '합산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라돈만 통과할 수 있는 제2 하우징(112) 내부에 배치된 제2 탐침봉(122)을 통해 라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측정 방식에 따른 라돈 농도는 제2 측정 방식에 따른 라돈 농도 보다 정밀도나 정확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측정 방식의 제3례는 합산 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3 측정 방식은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가 미세 필터이고,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이 스위칭부(190)에 의해 도통된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기본 원리는 제1 측정 방식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정 방식 및 특정 필터 장착은 본 례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합산 농도를 측정할 때, 미세 필터도 장착하지 않을 수 있다.
송수신부(170)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제어부(130)에서 처리된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거나 외부 장치의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제어부(13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70)로부터 수신한 외부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측정 방식 중 하나로 설정하고, 설정된 측정 방식에 따라 스위칭부(190)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을 단속할 수 있다.
송수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 받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입력 모듈 및/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모듈의 기능을 제공하거나 송수신 기능 없이 입력 및 출력 모듈로서만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 모듈은 그 자체로 외부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압력 센서 모듈(1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력 센서 모듈(134)은 측정된 압력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연산 모듈(135)은 압력 센서 모듈(134)에서 측정된 압력을 근거로 산출된 농도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산 모듈(135)은 압력 센서 모듈(134)에서 측정된 압력을 근거로 보정인자를 0.9 내지 1.1에서 결정하고 이러한 보정인자를 산출된 농도에 곱함으로써 압력에 따른 농도를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의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라돈 측정 장치(100-1)는 하우징(110-1), 탐침부(120-1), 제어부(130-1), 차폐부(140-1), 송수신부(미도시) 및 지지부(18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1), 탐침부(120-1), 제어부(130-1), 차폐부(140-1), 및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지지부(180-1)는 탐침부(120-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80-1)는 탐침부(120-1)가 하우징(110-1)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지지부(180-1)는 탐침부(120-1)의 길이 방향 중 탐침부(120-1)의 중앙 및/또는 하우징(110-1)의 끝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180-1)는 탐침부(120-1)와 하우징(110-1)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180-1)는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180-1)는 제1 하우징(111-1) 내부에 배치되어 제1 탐침봉(121-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81-1) 및 제2 하우징(112-1) 내부에 배치되어 제2 탐침봉(122-1)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8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81-1)는 제1 하우징(111-1)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81-1)는 제1 관통홀(111a-1)이 형성된 제1 하우징(111-1) 부분으로부터 제1 하우징(111-1) 내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181-1)는 중앙 부분에 제1 탐침봉(121-1)의 끝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탐침봉(121-1)의 홈은 제1 지지부(181-1)의 끝단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1-1)의 끝단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인 제1 지지부'(181-1')는 일측은 제1 하우징(111-1)의 끝단에 배치되고, 타측은 제1 하우징(111-1)의 내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타측의 중앙 부분에 오목한 고정 홈(181-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81-3)은 테이퍼 또는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고정 홈(181-3)에 제1 탐침봉(121-1)의 타단이 밀착되어, 제1 탐침봉(121-1)이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81-1')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지지부'(181-1')는 고정 홈(181-3)이 제1 탐침봉(121-1)에 밀려 좌측(도면 기준)으로 수축될 수 있도록, 좌우 길이 및 홈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탐침봉(121-1)이 제1 지지부'(181-1')에 더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182-1)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바디부(182a-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바디부(182a-1)에는 제2 탐침봉(122-1)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관통홀(182b-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탐침봉(122-1)은 밀착되어 끼워진 관통홀(182b-1) 및 제2 하우징(112-1)의 내벽을 지지하는 제2 지지바디부(182a-1)를 통해, 고정되어 진동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제2 지지바디부(182a-1)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홀(182c-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이동홀(182c-1)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공기이동홀(182c-1)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180-1)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탐침부(120-1)를 지지하도록 하우징(110-1)과 탐침부(120-1) 사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180-1)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180-1)가 배치되는 경우 탐침부(120-1)에서는 노이즈가 적게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탐침부(120-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탐침부(120-1)가 흔들리면 탐침부(120-1)와 하우징(110-1) 사이의 전계의 전위가 상이해지고 이로 인하여 탐침부(120-1)에 미세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탐침부(120-1)에서 측정하는 신호에는 이러한 미세전류가 노이즈로 작용함으로써 탐침부(120-1)에서 측정된 신호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지부(180-1)가 배치되는 경우 탐침부(120-1)가 흔들리지 않음으로써 탐침부(120-1)는 정확한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라돈 측정 장치(100-1)는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돈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우선 사용자는 라돈 농도, 자손핵종 농도, 및 합산 농도 중 측정하고자 하는 농도에 따라, 제1 및 제2 필터부(150, 160)의 필터 종류(미세 필터, 초미세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외부 장치를 통해 라돈 측정 장치(100)에 결정된 측정 방식을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170)를 외부 장치로부터 측정 방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제어부(130)는 수신한 측정 방식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90)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측정 방식 신호가 상술한 제1 또는 제3 측정 방식인 경우, 스위칭부(190)는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측정 방식 신호가 상술한 제2 측정 방식인 경우, 스위칭부(190)는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을 절연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라돈을 측정하기 위하여 라돈 측정 장치(100)를 건물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은 건물 바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건물 내부의 공기가 제1 및 제2 관통홀(111, 112)을 통하여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 중의 라돈은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 내부로 공기와 함께 확산될 수 있다.
라돈은 반감기가 3.8일의 물질로서, 라돈은 붕괴된 후 자손핵종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자손핵종은 공기의 수분 등에 흡착되어, 에어로졸 입자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입자는 라돈 보다 그 크기가 커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측정 방식인 경우, 라돈과 그 자손핵종은 공극이 큰 미세 필터인 제1 필터부(150)를 통과하여 제1 하우징(1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극이 작은 초미세 필터인 제2 필터부(160)는 라돈과 그 자손핵종 중 라돈만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112)에는 라돈만 유입될 수 있다.
공기가 제1 하우징(111) 내부 및 제2 하우징(11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탐침봉(121)은 라돈과 라돈핵종의 합산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2 탐침봉(122)은 라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30)에 연결된 차폐부(140)를 통하여 제1 및 제2 하우징(111, 112)에 바이어스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탐침봉(121)과 제1 하우징(111) 사이, 및 제2 탐침봉(122)과 제2 하우징(112) 사이는 바이어스 전압으로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계는 대략 수십 볼트에서 수백 볼트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계가 형성되고 라돈 또는 라돈의 손자핵종이 붕괴되면, 알파붕괴 시 발생하는 이온입자가 전계의 의해 가속되어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 탐침봉(111, 112) 각각 전압이 변동되거나 전류가 변동됨으로써 전기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S330).
이러한 전기신호는 제어부(130)로 전송되며, 제어부(130)는 이러한 전기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라돈 및 라돈의 손자핵종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탐침 신호 수신 모듈(131)은 제1 및 제2 탐침봉(121, 122)의 전압 또는 전류 변동의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35). 탐침 신호 수신 모듈(131)은 수신한 전기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모듈(133)은 수신한 전기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S340).
연산 모듈(135)은 노이즈가 제거된 전기 신호를 근거로 라돈 및/또는 자손핵종의 각각의 농도 또는 합산 농도를 구할 수 있다(S345).
제2 측정 방식의 경우, 제어부(130)는 라돈 농도와 합산 농도로부터 자손핵종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탐침봉(121)을 통한 제1 농도값과, 제2 탐침봉(122)을 통한 제2 농도값을 비교할 수 있다(S350).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농도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와 측정 방식을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60).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3 측정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농도값과 제2 농도값의 차이가 제1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측정 방식이 잘 못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측정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및 제2 농도값의 차이가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역시 측정 방식이 잘 못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7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에러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설정값은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농도를 측정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오차값 범위인 제2 설정값은 제1 및 제2 농도값의 동일 여부 판단에 사용되는 오차값인 제1 설정값 보다 커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차폐부(140)는 제어부(130)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차폐부(140)는 제어부(130) 전부 또는 제어부(130) 중 일부 모듈을 전자기 차폐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서지 전압, 전파 등에 의해 제어부(130)가 영향을 받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라돈 측정 장치(1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공기 중에 라돈 및 라돈의 손자핵종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라돈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130)를 외부 전자기로부터 차단하여 제어부(13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라돈 측정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방사성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라돈 측정 장치(100)는 라돈 뿐만 아니라 라돈이 핵분열하면서 발생하는 라돈의 손자핵종의 농도를 별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100-1: 라돈 측정 장치 110,110-1: 하우징
111,111-1: 제1하우징 112,112-1: 및 제2하우징
120,120-1: 탐침부 121,121-1: 제1탐침부
122,122-1: 제2탐침부 130,130-1: 제어부
130: 제어부 140,140-1: 차폐부
150: 제1필터부 160: 제2필터부
170: 송수신부 180-1: 지지부
181-1: 제1지지부 182-1: 제2지지부

Claims (10)

  1. 서로 구분되는 두 개의 공간을 구비하며, 각 공간과 외부가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탐침봉을 구비하는 탐침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탐침부에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탐침봉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라돈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차폐하고, 외부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은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 탐침봉이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차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우징과 대칭으로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고 타측은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 탐침봉이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라돈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에 배치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배치되는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 각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라돈 자손핵종이 통과하는 공극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필터 및 상기 미세 필터 보다 공극의 크기가 작고 라돈이 통과할 수 있는 초미세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는, 라돈 측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의 미세 및 초미세 필터 장착 여부에 따른 측정 방식을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측정 방식에 따라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측정 방식, 라돈 농도와 라돈 및 자손 핵종의 합산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2 측정 방식, 및 상기 합산 농도를 측정하는 제3 측정 방식 중 어느 한 측정 방식으로 설정하는, 라돈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제1 및 제3 측정 방식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제1 및 제2 탐침봉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제2 측정 방식이면, 상기 제1 및 제2 탐침봉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라돈 측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탐침봉을 통해 산출한 제1 농도값과 상기 제2 탐침봉을 통해 산출한 제2 농도값의 차이, 및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을 기초로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라돈 측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인 경우는,
    상기 제1 및 제2 농도값의 차이가 제1 설정값 보다 크고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상기 제1 및 제3 측정 방식 중 하나인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농도값의 차이가 제2 설정값 보다 작고 상기 설정된 측정 방식이 상기 제2 측정 방식 중 하나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라돈 측정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탐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라돈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끝단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된 타측의 중앙 부분에 상기 제1 탐침봉의 끝단이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환형 형상으로, 상기 제2 탐침봉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벽을 지지하는 지지바디부를 구비하는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돈 측정 장치.
  10. 측정 방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측정 방식에 따라, 제어부를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탐침봉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돈 측정 방법.
KR1020190170936A 2019-12-19 2019-12-19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6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36A KR102296148B1 (ko) 2019-12-19 2019-12-19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EP20902497.5A EP4057033A4 (en) 2019-12-19 2020-03-1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ADON
PCT/KR2020/003687 WO2021125448A1 (ko) 2019-12-19 2020-03-18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17/832,641 US11719833B2 (en) 2019-12-19 2022-06-04 Radon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36A KR102296148B1 (ko) 2019-12-19 2019-12-19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54A KR20210078954A (ko) 2021-06-29
KR102296148B1 true KR102296148B1 (ko) 2021-08-31

Family

ID=7647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36A KR102296148B1 (ko) 2019-12-19 2019-12-19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19833B2 (ko)
EP (1) EP4057033A4 (ko)
KR (1) KR102296148B1 (ko)
WO (1) WO20211254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8540A (en) * 1991-05-01 1992-07-07 Rad Elec, Inc. Gamma radiation compensated radon measurement system
US5898374A (en) * 1995-09-18 1999-04-27 Schepka; Louis F. Sump alarm with radon detection
GB0027320D0 (en) * 2000-11-08 2000-12-27 British Nuclear Fuels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emissions
KR200258780Y1 (ko) * 2001-06-20 2001-12-28 박영웅 시간적분라돈검출기
KR101752054B1 (ko) * 2015-06-26 2017-07-11 주식회사 푸른환경산업연구소 개량형 알파비적 검출기
KR101730887B1 (ko) * 2015-08-24 2017-04-28 주식회사 에프티랩 이중 탐침 구조화 된 이온화 챔버 및 차동 증폭기를 이용한 알파입자 검출 장치
KR101935880B1 (ko) * 2018-04-27 2019-01-07 (주)아이스퀘어 이온화 챔버 방식의 방사능 측정 장치
KR102014771B1 (ko) * 2019-01-25 2019-08-27 주식회사 아이자랩 라돈센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한 웨이퍼 기반 라돈 검출기
KR102040501B1 (ko) * 2019-04-24 2019-11-05 주식회사 에프티랩 다면체 형태의 이온화 챔버를 이용한 라돈센서 장치
KR102483516B1 (ko) * 2020-10-28 2023-01-02 한일원자력(주) 알파 입자의 펄스 검출을 통한 라돈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448A1 (ko) 2021-06-24
KR20210078954A (ko) 2021-06-29
US20220299660A1 (en) 2022-09-22
EP4057033A4 (en) 2023-12-13
US11719833B2 (en) 2023-08-08
EP4057033A1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33879A (ja) 放射線測定装置
JP5052733B2 (ja) 空気中のα粒子放射線用の検出装置
KR101730891B1 (ko) 실시간 연속 라돈 검출장치
US5550381A (en) Event counting alpha detector
US5059803A (en) Rugged alpha particle counter
US10534094B2 (en) Gas sensor
Fenker et al. BoNus: Development and use of a radial TPC using cylindrical GEMs
KR102072652B1 (ko) 이온화 챔버 방식의 방사능 측정장치
KR101771476B1 (ko) 분해능이 향상된 멀티형 라돈가스 농도 측정장치
KR102296148B1 (ko) 라돈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5053624A (en) Radon control system
KR20150093987A (ko) 라돈 측정을 위한 이온화 챔버 및 이를 구비하는 라돈 측정 장치
KR20150093986A (ko) 라돈 측정 장치 및 그의 라돈 측정 방법
Straume et al. Compact tissue-equivalent proportional counter for deep space human missions
CN111551979B (zh) 基于固体核径迹的放射性氡、钍射气子体浓度检测方法
KR20220056408A (ko) 알파 입자의 펄스 검출을 통한 라돈 측정기
Dasgupta Particle Identification with the Cherenkov imaging technique using MPGD based Photon Detectors for Physics at COMPASS Experiment at CERN
Baltzer et al. A pulse-counting ionization chamber for measuring the radon concentration in air
JPH06258443A (ja) 放射線測定装置
Romano et al. RaDoM2: an improved radon dosimeter
EP4196823A2 (en) Gas sensor
CN112051603B (zh) 一种检测氡含量的装置及方法
Pongpun A Neutron Measurement System Design for Pulsed Triga Reactor Experiment at Texas A&M University
Kim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RADON COUNTERS.
Kim et al. Accuracy improvement of a PIN photodiode radon cou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