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561B1 -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561B1
KR102295561B1 KR1020190103429A KR20190103429A KR102295561B1 KR 102295561 B1 KR102295561 B1 KR 102295561B1 KR 1020190103429 A KR1020190103429 A KR 1020190103429A KR 20190103429 A KR20190103429 A KR 20190103429A KR 102295561 B1 KR102295561 B1 KR 10229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oduction
self
personalized
question
bi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3344A (en
Inventor
황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생노트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생노트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생노트에이아이
Priority to KR102019010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561B1/en
Publication of KR2021002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5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기기가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와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하고 있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지원 회사의 요구사항 및 직무에 상응하는 상기 분석 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생성한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답변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답변내용에서 키워드 추출 및 상기 답변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상기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smart device that analyz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pable of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with users of the smart device accessing 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including an intelligent chatbot; A step in whi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sks the user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alysis bi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and duties of the supporting company, and the user answers the ques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 and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extracts keywords from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and labels the intent of the answer to generate user response data, and the user response data is the and reflecting it in the big data analysis so that it is reflected in the question genera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Description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utiliz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자기소개서는 자신을 정리하는 도구로서 서류전형에서 평가는 물론이며, 면접시 작성내용을 바탕으로 면접질문이 구성되는 등 전형과정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The self-introduction letter is a tool to organize oneself, and it affects the overall selection process, including evaluation in the document screening and interview questions based on the contents written during the interview.

이런 가운데 2017년 6월 22일 정부는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를 제시하면서 많은 대기업들이 블라인드 채용을 시행하였고, 기업들은 한정된 비정형 텍스트인 구직자의 자기소개서 및 스펙이 빠진 이력서를 기반으로 지원자를 분석을 하기 시작하는 등 자기소개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In the midst of this, on June 22, 2017, the government proposed 'mandatory blind recruitment in the public sector' and many large corporations implemented blind hiring, and companies analyzed applicants based on limited unstructured text, the job seeker's self-introduction letter and resume without specifications. The importance of self-introduction is growing more and more.

이처럼 채용과정에서 자기소개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지만, 한 채용사이트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구직자 10명 중 8명은 자기소개서 작성시 무엇을 써야할지 막막함(69.9%), 자기소개서에서 요구하는 항목에 기입할만한 스토리 작성에 어려움(49.3%) 등으로 자기소개서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As such, the importance of the cover letter is growing in the hiring process, but according to a survey on a recruitment site, 8 out of 10 job seekers are at a loss for what to write when writing a cover letter (69.9%). They feel difficulties in writing self-introductions due to difficulties in writing stories (49.3%).

이에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양식에 맞춰 빈칸 채워넣기, 끼워 맞추기 등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하였으나 자신만의 차별화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것이 어렵고, 더욱이 타인의 자기소개서를 모방한 경우 표절분석을 통해 불이익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write a self-introduction, various methods such as filling in the blanks and fitting them according to the form have appeared, but it is difficult to write a differentiated self-introduction letter, and furthermore, if you imitate someone else's self-introduction letter, you will be at a disadvantage through plagiarism analysis. There is a problem you are facing.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직자들이 작성한 자기소개서에 대해 멘토들이 참석 지도를 해주는 서비스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멘토들이 첨삭지도 해주는 자기 소개서 가이드 서비스의 종래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37296호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rvice in which mentors provide guidance on self-introduction written by job seekers has begun to develop. As a prior art of the self-introduction guide service provided by these mentors, ther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0037296.

그러나 종래기술은 구직자가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첨삭지도를 원하는 멘토를 선택해 멘토의 의견을 받아 첨삭지도를 받아 수정하기 때문에, 인기 있는 멘토의 경우 첨삭지도를 해주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자기소개서 제출 마감시간이 임박했을 때는 첨삭지도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job seeker writes a self-introduction letter, selects a mentor who wants correction guidance, receives the mentor's opinion, and receives correction guidance, it takes a long time for popular mentors to provide correction guidance, so the deadline for submitting the self-introduction statement is shorten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eive correction guidance when it is imminent.

또한, 종래기술은 구직자가 작성한 자기소개서에 대해 서류통과를 위한 작성을 하기 때문에 자기소개서 기반 면접준비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epare for an interview based on the self-introduction because the self-introduction written by the job seeker is prepared for the document pass.

또한, 종래기술은 구직자가 이미 선택한 회사 및 직무가 구직자에게 매칭되는지 검토하지 않고 자기소개서를 첨삭지도 해주기 때문에 구직자의 적성,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등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path such as the job seeker's aptitude, the job matching the aptitude, and the necessary experience and competency related to the job, because the prior art provides guidance on the self-introduction letter without reviewing whether the company and job that the job seeker has already selected matches the job seek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와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으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by exchanging questions and answers for self-introduction writing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with a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와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으며 자기소개서 기반 면접준비를 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exchange questions and answers for self-introduction writing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nd prepare for an interview based on self-introduction.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직자의 적성,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등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career paths, such as job seekers' aptitude, job matching aptitude, job-related experience and competency,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기기가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와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하고 있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지원 회사의 요구사항 및 직무에 상응하는 상기 분석 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생성한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답변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답변내용에서 키워드 추출 및 상기 답변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상기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device analyz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of successful applicants and analyzes big data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capable of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with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Accessing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that contains; A step in whi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sks the user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alysis bi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and duties of the supporting company, and the user answers the ques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 and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extracts keywords from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and labels the intent of the answer to generate user response data, and the user response data is the It provides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reflecting in big data analysis to be reflected in question generation for writing the cover letter.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업종, 상기 직무 및 상기 회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해 분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 데이터로 학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키워드를 추출 및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labeling)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데이터와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하는 단계;를 걸쳐 상기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generating classification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or at least one of the industry, the job, and the company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and learning with the classification data;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labeling the inten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to generate intention understanding data, and learning from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and analyzing, by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learned with the classification data and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the analysis big data may be generated through.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분석 빅데이터에 메타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may attach metadata to the big data analysis.

또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답변내용을 문장으로 변환해 자기소개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generating the self-introduction by converting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into a sentenc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기본정보, 경험 기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을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답변하는 단계;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의 답변내용을 분석해 상기 사용자의 적성, 상기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상기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 상기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the user inputting at least one profile of basic information and experience record through the smart devi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sking the user a question for profiling and the user answering the ques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analyzes the answer to the question for the profiling, and at least any one of the user's aptitude, a job matching the aptitude, employment information matching the job, and the job-related necessary experience and competency It may further include; deriving profil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은,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연동된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의 상기 직업심리검사 내용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생성될 수 있다.Here, the question for the profiling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profile input by the user and the contents of the job psychological test of th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providing site linked with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

여기서,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은, 상기 회사의 요구사항 및 상기 직무에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가 포함된 상기 분석 빅데이터 및 상기 프로파일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alysis big data and the profil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ntention of the contents of the self-introduction letter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uccessful applicant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company and the job. can be created with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may be linked with a messenger application or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기기와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답변하는 스마트기기; 및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와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하되, 상기 인공지능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지원 회사의 요구사항 및 직무에 상응하는 상기 분석 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생성한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상기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답변내용에서 키워드 추출 및 상기 답변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상기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하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ersonalized personal statement coaching service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smart devices and personalized personal statement coaching service server, by accessing the personalized personal statement coaching service server, A smart device that answers questions for self-introduction;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capable of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and answers with analysis big data and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by analyzing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of successful applicants, where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provides the user with a response that corresponds to the requirements and duties of the supporting company Asking a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alysis big data,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smart devic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and labeling the intent of the response to generate user response data, and reflect the user response data in the analysis big data to create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that reflects the question generation for self-introduction writing;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to provide.

여기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업종, 상기 직무 및 상기 회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해 분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 데이터로 학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키워드를 추출 및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labeling)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데이터와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하는 단계;를 걸쳐 상기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generating classification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or at least one of the industry, the job, and the company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and learning with the classification data;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labeling the inten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to generate intention understanding data, and learning from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and analyzing, by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learned with the classification data and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the analysis big data may be generated through.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회사 인재상,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및 프로파일링 정보을 저장하고 있는 DB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는 인공지능 챗봇; 상기 분석 빅데이터로 학습되어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소서 및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프로파일링 정보, 상기 회사의 인재상 및 상기 직무에 상응하는 상기 분석 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생성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tores the user's profile, a plurality of self-introductions of the past successful applicants, analysis big data analyzing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the company talent image, questions and profiling information for self-introduction, and DB department;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hat asks a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with the user's smart device and receives an answer; an analysis unit that is learned from the analysis big data and analyzes a plurality of past applicants' resumes and answers of the users; And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comprising a; and a ques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filing information, the company's talent image, and the analysis big data corresponding to the job server is provided.

본 발명은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지속적으로 구조화된 질문을 하고 사용자가 답변하여 자연스러운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수 있어 자기소개서 작성에 들어가는 사회적 관리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ocial management cost of writing a self-introduc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sk structured questions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nd write a natural self-introduction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으며 자기소개서 기반 면접 준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xchanging questions and answers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with the user, and preparing for an interview based on the self-introduction letter.

또한, 본 발명은 구직자의 적성,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등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개인의 정체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individual identity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path, such as the job seeker's aptitude, a job matching the aptitude, and necessary job-related experience and compet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generating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classific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analysi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generating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100)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스마트기기(110),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 및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system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personal statement coaching service 100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es a smart device 110 , a personalized personal statement coaching service server 120 , and employment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y. and a test providing site 130 .

스마트기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마트기기(110)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인공지능 챗봇이 제공하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답변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provided by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 Here, the smart device 110 may answer a question for writing a personal introduction provided by the AI chatbot by the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채용정보 검색, 직접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와 연동되어 있으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및 사용자에게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스마트기기(110)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화상 스피커를 포함한다)와 연동되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is linked with job information search and direct psychological test providing site 130, and provides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to users and analysis big data that analyzed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It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hat can ask and answer questions to provide. 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may provide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a messenger application or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including a video speaker)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110 .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스마트기기(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적성,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링 정보를 도출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적성에 맞는 직무를 파악하고, 직무에 맞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aptitude, job matching aptitude, job matching job information, job-related experience and competency to the user through the smart device 110 By deriving and providing profiling information, users can identify jobs that are suitable for their aptitudes and equip them with competencies suitable for their jobs.

또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가 자기소개서 작성 시 지원 회사 및 직무에 맞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여 지원 직무 및 지원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에 상응하는 요구사항에 맞게 작성할 수 있게 하며, 질문과 답변을 통해 면접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asks a user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suitable for the supporting company and job when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so that it can be written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job and the talent desired by the supporting company. and prepare for the interview by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또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스마트기기(110) 사용자의 답변내용에서 키워드 추출 및 답변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generates user response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answer contents of the smart device 110 user and labeling the intent of the answer contents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and user answers The data is reflected in the analysis big data and reflected in the question creation for self-introduction.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와 연동되어,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정보를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에 제공한다.Recruitment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providing site 130 is interlocked with the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and provides employment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information to the personally customized personal statement coaching service server 12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는 스마트기기(110)가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한다.Referring to FIG. 2 , in step S210 , the smart device 110 accesses the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

S220단계에서는 스마트기기(110)의 사용자가 기본정보, 경험 기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을 입력을 한다. 여기서, 기본정보는 개인인적 사항, 학력, 성적 등 일 수 있으며, 경험기록은 아르바이트 경험, 인턴/봉사 경험, 학교수업 프로젝트, 수상 경험, 어학연수 경험 및 군복부 등 일 수 있다.In step S220,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110 inputs at least one profile of basic information and experience record. Here, the basic information may be personal information, academic background, grades, etc., and the experience record may be part-time work experience, intern/volunteer experience, school class project, award experience, language training experience, military uniform, etc.

S23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해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의 직업심리검사 내용과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스마트기기(110) 사용자에게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을 하고 스마트기기(110) 사용자는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에 대하여 답변한다.In step S23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o provid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based on the job psychological test content of the site 130 and the user's profile input by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110. asks a question for profiling, and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110 answers the question for profiling.

S24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사용자가 답변한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의 답변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적성, 상기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링 정보를 도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도출된 프로파일링 정보를 바탕으로 자기의 적성, 자기에게 맞는 직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을 파악하여, 준비할 수 있다. In step S24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analyzes the answers of the questions for profiling answered by the user, and the user's aptitude, the job matching the aptitude, the job matching job information, and job related needs Profil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experience and competency is derived. Here, the user can prepare by identifying his or her aptitude, the job that suits him, and the necessary job-related experience and competency based on the derived profiling information.

S25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프로파일링 정보 중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에 상응하는 회사의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사용자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하여 스마트기기(110)를 통해 답변한다. 여기서,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은,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프로파일링 정보, 회사의 인재상 등과 같은 회사의 요구사항 및 직무에 상응하는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가 포함된 분석 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생성한 것일 수 있다.In step S25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o ask the user a question for writing the company's self-introduction letter corresponding to the job-matching job information among the profiling information, and the user writes the self-introduction letter. Answers through the smart device 110 to the question for. Here, the question for self-introduction writing includes the intention of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corresponding to the company's requirements and duties such as the personal custom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profiling information, the company's talent image, etc. It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alyzed big data.

S26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내용을 문장으로 변환해 자기소개서를 생성한다.In step S26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converts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into a sentence to generate the self-introduction letter.

S27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내용에서 키워드 추출 및 답변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되도록 한다.In step S27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extracts keywords from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and labels the intent of the answer to generate user response data and reflect it in the analysis big data.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question creation for self-introdu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generating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온라인에서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수집하거나, 관리자가 오프라인에서 수집한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저장한다,Referring to Figure 3, in step S31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collects a plurality of self-introductions of past successful applicants online, or stores a plurality of self-introductions of conventional successful applicants collected offline by an administrator.

S32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자연어 처리기술, 자연어 형태소 분석기술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업종, 직무 및 회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해 분류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류 데이터로 학습한다.In step S32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natural language morpheme analysis technology, etc. to extract keywords for at least one of industry, job, and company from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classify data Create and learn from classification data.

S33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자연어 처리기술, 자연어 형태소 분석기술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키워드를 추출 및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labeling)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한다. 여기서, 레이블링한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는 창의력, 팀워크(협업), 리더십, 목표달성, 실패, 문제해결 위주로, 성격, 장단점, 능력, 취미, 특기, 가치관, 성장배경, 경험, 학업, 경력, 지원동기, 희망업무, 입사후포부, 존경하는 인물, 좌우명, 인용, 직무능력, 여행, 적극적, 직무능력, 창조적, 꼼꼼한, 끈기, 긍정적, 신중한, 성실한, 목표의식, 융통성, 논리적, 팀워크, 도전정신, 자립심, 계획적, 의지력, 대인관계, 리더십, 조직력, 적응력, 신뢰, 자기관리, 소통, 책임감, 문제해결, 자신감 등 일 수 있다.In step S33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extracts keywords from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natural language morpheme analysis technology, etc. and labels the inten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 to generate intention grasp data, and learn from intention grasp data. Here, the intention of the self-introductions of a plurality of past candidates who have passed the label is creativity, teamwork (collaboration), leadership, goal achievement, failure, problem solving, personality, strengths and weaknesses, abilities, hobbies, specialties, values, growth background, experience, academic , career, application motivation, desired job, aspirations after joining the company, respected person, motto, citation, job ability, travel, active, job ability, creative, meticulous, perseverance, positive, prudent, sincere, sense of purpose, flexibility, logical, Teamwork, challenging spirit, self-reliance, planning, willpow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eadership, organizational ability, adaptability, trust, self-management,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problem solving, self-confidence, etc. can be.

S340단계에서는 분류 데이터와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하여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분석 빅데이터에 메타데이터를 첨부하여 분석 빅데이터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step S34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learned from the classification data and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analyz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generates analysis big data. 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may attach metadata to the analysis big data to facilitate access to the analysis big dat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classific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자연어 처리기술, 자연어 형태소 분석기술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회사(410) 및 직무(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해 분류 데이터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natural language morpheme analysis technology, etc. to at least one of a company 410 and a job 420 in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It generates classification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or

이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회사(410) 및 직무(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류 데이터로 학습되어,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회사 및 직무별로 분류한다.Then,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is learned as classificatio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any 410 and the job 420, and classifi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by company and job.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generation of analysi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자연어 처리기술, 자연어 형태소 분석기술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문장별로 구분시켜 문장구분(510) 형식으로 가공한 후, 문장구분(510) 형식으로 가공된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키워드(520)를 추출 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natural language morpheme analysis technology, etc. to classify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for each sentence, and after processing it in a sentence division 510 format. , extracts the keywords 520 from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processed in a sentence division 510 format.

이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과 추출된 키워드(520)를 바탕으로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과 추출된 키워드(520)가 의미하는 의도를 문장별로 구분시켜 레이블링(530)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한다. 여기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초기에는 관리자에 의해 레이블링(530)을 입력받아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하나, 학습 후에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레이블링(530)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the extracted keywords 520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520 and the contents of the self-introduction letter of the past successful candidates for each sentence. By dividing and labeling (530), intention grasp data is generated, and the intention grasp data is learned. 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initially receives the labeling 530 by the manager and generates intention understanding data, but after learning,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labels the 530 In this way,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can be generated.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도 3에서 설명한 분류 데이터와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되어,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하여 회사, 업종 및 집무별로 분류하고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에 대한 레이블링이 된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is trained with the classification data and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described in FIG. 3, analyz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categorizes them by company, industry, and job. Generates labeled analytics big data fo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generating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가 지원하는 회사 및 직무에 해당하는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을 분석한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 등이 포함된 분석 빅데이터(610), 사용자가 지원하는 회사에 상응하는 회사의 요구사항 및 사용자의 프로파일링 정보(63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지원 직무 및 지원 회사가 원하는 인재에 맞게 작성할 수 있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640)을 생성한다. 여기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내용에서 키워드 추출 및 답변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includes the intentions of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that analyzed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company and job supported by the user.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the analysis big data 610, the company's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the company the user is supporting, and the user's profiling information 630, a self-introduction letter that can be written according to the talent desired by the supporting job and the supporting company Create a question 640 for writing. Her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generates user response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and labeling the intent of the answer, and reflects it in the analysis big data. It can be reflected in the creation of questions for writing the introduc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S701단계에서는 스마트기기(110)가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한다.Referring to FIG. 7 , in step S701 , the smart device 110 accesses the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

S702단계에서는 스마트기기(110)의 사용자가 기본정보, 경험 기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을 입력을 한다. In step S702,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110 inputs at least one profile of basic information and experience record.

S703단계에서는 스마트기기(110) 사용자가 직무심리 검사를 할지 선택하며, 사용자가 직무심리 검사를 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S704단계를, 직무심리 검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S712단계를 진행한다.In step S703, the smart device 110 user selects whether to perform the job psychological test,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perform the job psychological test, the step S704 is performed, and when the user selects not to perform the job psychological test, the step S712 is performed.

S704단계에서는 스마트기기(110) 사용자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할지 선택하며, 사용자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S708단계를, 자기소개서 작성을 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S705단계를 진행한다.In step S704,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110 selects whether to write a self-introduction, and if the user selects to write a self-introduction, step S708 is performed, and if it is selected not to write a self-introduction, step S705 is performed.

S705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해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의 직업심리검사 내용과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을 하고 스마트기기(110) 사용자가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에 대하여 통해 답변한다.In step S705,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job psychological test contents of th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providing site 130 and the profile entered by the user for profiling. A question is asked and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110 answers the question for profiling.

S706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사용자가 답변한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의 답변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적성, 상기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링 정보를 도출한다. In step S706,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analyzes the answers of the questions for profiling answered by the user, and the aptitude of the user, the job matching the aptitude, the job matching information, and job related needs Profil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experience and competency is derived.

S707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도출된 프로파일링 정보에 상응하는 결과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기의 적성, 자기에게 맞는 직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을 파악하여, 준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결과값 중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은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해당 직무와 매칭되는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종래 합격자의 경험 및 역량을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에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707,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provides the user with a result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rived profilin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understands his or her aptitude, job that suits him, and job-related necessary experience and competency, make it ready Here, among the result values provided by the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job-related necessary experience and competency is the experience of the conventional passer in the self-introduction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ly successful candidates in which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matches the job. and analysis big data that analyzes capabilities.

S708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해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의 직업심리검사 내용과 사용자가 입력한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을 하고 스마트기기(110) 사용자가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에 대하여 답변한다.In step S708,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job psychological test contents of th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providing site 130 and the profile entered by the user for profiling Ask a question and the smart device 110 user answers the question for profiling.

S709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사용자가 답변한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의 답변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적성, 상기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링 정보를 도출한다. In step S709,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analyzes the answers of the questions for profiling answered by the user, and the aptitude of the user, the job matching the aptitude, the job matching information, and job related needs Profil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experience and competency is derived.

S710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프로파일링 정보 중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에 상응하는 회사의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스마트기기(110) 사용자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하여 답변한다. In step S710,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o ask the user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of the company corresponding to the job-matching job information among the profiling information, and the smart device 110 user Answers the questions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S711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내용을 문장으로 변환해 자기소개서를 생성한다.In step S711,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converts the user's answers to the questions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into sentences to generate the self-introduction letter.

S712단계에서는 스마트기기(110) 사용자가 지원하는 회사 및 직무를 선택한다.In step S712, a company and a job supported by the smart device 110 user are selected.

S713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인공지능 챗봇을 이용해 사용자가 선택한 직무와 회사의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스마트기기(110) 사용자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하여 답변한다. In step S713,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us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o ask questions for the job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company's self-introduction letter, and the smart device 110 user answers questions for self-introduction writing do.

S714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내용을 문장으로 변환해 자기소개서를 생성한다.In step S714,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converts the user's answers to the questions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into sentences to generate the self-introduction lett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120)는 DB부(121), 분석부(122), 질문생성부(123), 인공지능 챗봇(124) 및 통신부(1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20 includes a DB unit 121 , an analysis unit 122 , a question generation unit 123 ,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24 , and a communication unit 125 . .

DB부(121)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10)를 통해 입력한 프로파일,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부(122)가 분석한 분류 데이터, 의도파악 데이터 및 분석 빅데이터, 회사 인재상,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 및 프로파일링 정보을 저장한다.The DB unit 121 includes the classification data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22 of the profil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smart device 110,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and analysis big data. It stores data, company talents, questions for self-introduction, questions for profiling, and profiling information.

분석부(122)는 자연어 처리기술, 자연어 형태소 분석기술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해, 업종, 직무 및 회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분류 데이터를 생성해 DB(121)에 저장시킨다.The analysis unit 122 analyz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natural language morpheme analysis technology, etc., extracts keywords for at least one of industry, job, and company to generate classification data, ) is stored in

또한, 분석부(122)는 분석부(122)는 자연어 처리기술, 자연어 형태소 분석기술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해, 키워드를 추출 및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labeling)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해 DB(121)에 저장시킨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22 analyz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natural language morpheme analysis technology, etc., and the analysis unit 122 extracts keywords and labels the intention of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labeling) to generat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and store it in the DB 121.

또한, 분석부(122)는 DB(121)에 저장된 분류 데이터와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되어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하여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해 DB(121)에 저장시킨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22 is learned from the classification data and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stored in the DB 121 , analyzes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of successful applicants, generates analysis big data, and stores the data in the DB 121 .

또한, 분석부(122)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10)를 통해 답변한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의 답변내용을 분석해 프로파일링 정보를 생성해 DB(121)에 저장시킨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22 generates profil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answers of the questions for profiling answered by the user through the smart device 110 , and stores the profiling information in the DB 121 .

또한, 분석부(122)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10)를 통해 답변한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답변내용에서 키워드 추출 및 상기 답변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답변 데이터로 학습되어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DB(121)에 저장시키고, 질문생성부(133)가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22 generates user response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question and answer contents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answered by the user through the smart device 110 and labeling the intent of the response contents, and the user response data is learned and reflected in the analysis big data and stored in the DB 121, so that the question generation unit 133 can be reflected in the question generation for self-introduction.

또한, 분석부(122)는 프로파일링 정보 중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를 통신부(125)를 통해 연동된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에서 검색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22 searches for job information matching the job among the profiling information from th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examination providing site 130 link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5 .

또한, 분석부(123)는 앞서 분석한 내용을 통신부(125)를 통해 스마트기기(11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123 transmits the previously analyzed content to the smart device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5 .

질문생성부(123)는 DB부(121)에 저장된 프로파일링 정보, 회사의 인재상 및 회사의 직무에 상응하는 분석 빅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생성해 DB(121)에 저장시킨다.The question generation unit 123 generates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rofil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unit 121, the company's talent image, and the analysis big data corresponding to the job of the company, and the DB 121 ) is stored in

또한, 질문생성부(123)는 통신부(125)를 통해 연동된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의 직업심리검사 내용과 DB부(121)에 저장된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을 생성해 DB(121)에 저장시킨다.In addition, the question generation unit 123 for profiling based on th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examination providing site 130 link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5 and the pro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unit 121 . A question is created and stored in the DB 121 .

인공지능 챗봇(124)은 DB(121)에 저장된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및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 등을 사용자에게 스마트기기(110)를 통해 질문하고 사용자의 스마트기기(110)를 통해 답변을 받는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124 asks the user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and a question for profiling, etc. stored in the DB 121 through the smart device 110 and receives an answer through the user's smart device 110 . .

통신부(125)는 스마트기기(110)와 연결되어 분석부(122)가 분석한 결과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및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 등을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5 is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110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analysis unit 122, provides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and a question for profiling.

또한, 통신부(125)는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130)와 연동되어 직업심리검사 내용과 채용정보를 제공 받는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5 is linked with th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providing site 130 to receive the job psychological test content and job inform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스마트기기 120 :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
130 :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
110: smart device 120: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130: site providing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Claims (11)

스마트기기가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와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하고 있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분석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문유형과 상기 질문유형에 대한 답변을 위해 지원 회사의 요구사항 및 직무에 상응하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생성하고, 상기 인공지능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답변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키워드 추출 및 상기 답변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상기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Accessing, by a smart device, a personal-customized personal statement coaching service server including big data analyzed by a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capable of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with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generates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and job of the supporting company to answer the question type and the question type based on the analysis big data, and the AI a chatbot asking the user a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and the user answering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and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extracts keywords from the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and labels the intent of the answer to generate user response data, and reflects the user response data to the analysis big data. Including; to be reflected in question generation for self-introduction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업종, 상기 직무 및 상기 회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해 분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 데이터로 학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키워드를 추출 및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labeling)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 데이터와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하는 단계;를 걸쳐 상기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generating classification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or at least one of a business type, the job, and the company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of successful applicants, and learning from the classification data;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labeling the inten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to generate intention understanding data, and learning from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and
Generating the analysis big data through the step of analyzing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by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learned with the classification data and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분석 빅데이터에 메타데이터를 첨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attaches metadata to the analysis big dat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답변을 문장으로 변환해 자기소개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by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the self-introduction letter by converting the user's answer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into a sentenc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기본정보, 경험 기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파일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을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답변하는 단계;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의 답변내용을 분석해 상기 사용자의 적성, 상기 적성과 매칭되는 직무, 상기 직무와 매칭되는 채용정보, 상기 직무 관련 필요 경험 및 역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링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putting, by the user, at least one profile of basic information and experience record through the smart devi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sking the user a question for profiling and the user answering the ques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analyzes the answer to the question for the profiling, and at least any one of the user's aptitude, a job matching the aptitude, employment information matching the job, and the job-related necessary experience and competency What further includes; deriving profil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을 위한 질문은,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연동된 채용정보 및 직업심리검사 제공 사이트의 상기 직업심리검사 내용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생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question for the above profiling is,
Created based on the job information and job psychological test providing site linked with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and the profile input by the user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은,
상기 회사의 요구사항 및 상기 직무에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가 포함된 상기 분석 빅데이터 및 상기 프로파일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생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questions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are:
What is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alysis big data and the profil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ntention of the contents of the self-introduction letter of the plurality of previous successful applicant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company and the job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is linked with a messenger application or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스마트기기와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답변하는 스마트기기; 및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와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인공지능 챗봇을 포함하되, 상기 분석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문유형과 상기 질문유형에 대한 답변을 위해 지원 회사의 요구사항 및 직무에 상응하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생성하고, 상기 인공지능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에 대한 상기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답변에서 키워드 추출 및 상기 답변의 의도를 레이블링하여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답변 데이터를 상기 분석 빅데이터에 반영해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생성에 반영하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시스템.
In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smart devices and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s,
a smart device that accesses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and answers questions for self-introduction; and
Including analysis big data that analyzes a plurality of past applicants' self-introductions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capable of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and answers with users of the smart device, support for question types and answers to the question types based on the analysis big data Generates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any's requirements and job,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sks the user a question for writing a self-introduction, and the smart device user responds to the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that extracts keywords from answers and labels the intent of the answers to generate user response data, and reflects the user response data to the analysis big data to generate questions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containing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업종, 상기 직무 및 상기 회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해 분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 데이터로 학습하고,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에서 키워드를 추출 및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내용의 의도를 레이블링(labeling)하여 의도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한 후, 상기 분류 데이터와 상기 의도파악 데이터로 학습된 상기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Generate classification data by extracting keywords for at least one of the industry, the job, and the company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and learn from the classification data,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and labeling the inten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 statements to generate intention understanding data,
After learning with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the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learned with the classification data and the intention identification data analyzes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to generate the analysis big data
Personalized personal 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사용자의 프로파일,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 상기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기소개서를 분석한 분석 빅데이터, 회사 인재상,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 및 프로파일링 정보을 저장하고 있는 DB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는 인공지능 챗봇;
상기 분석 빅데이터로 학습되어 복수의 종래 합격자 자소서 및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문유형과 상기 프로파일링 정보, 상기 회사의 인재상 및 직무에 상응하는 상기 자기소개서 작성을 위한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 서버.
a DB unit that stores user's profile, a plurality of self-introductions of past successful applicants, big data analyzed by analyzing the plurality of conventional self-introductions, a company persona image, questions for self-introduction, and profiling informa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hat asks a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with the user's smart device and receives an answer;
an analysis unit that is learned from the analysis big data and analyzes a plurality of past applicants' resumes and answers of the users; and
A ques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question for writ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question, the profiling information, and the person and job of the company based on the analysis big data;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server featuring a.
KR1020190103429A 2019-08-23 2019-08-23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955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29A KR102295561B1 (en) 2019-08-23 2019-08-23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29A KR102295561B1 (en) 2019-08-23 2019-08-23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44A KR20210023344A (en) 2021-03-04
KR102295561B1 true KR102295561B1 (en) 2021-08-31

Family

ID=7517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429A KR102295561B1 (en) 2019-08-23 2019-08-23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5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086B1 (en) * 2021-10-27 2023-12-28 주식회사 컬리지니에이아이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of essay
CN117196556B (en) * 2023-09-19 2024-02-23 江苏锡世科技有限公司 Multi-platform recruit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161A (en) * 2013-08-19 2015-03-02 주식회사 잡담 An automatic filler system for application and method
KR101641419B1 (en) * 2014-08-06 2016-07-21 주식회사 하이드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Job MATCHING SERVICE
KR20180113150A (en) * 2017-04-05 2018-10-15 (주)스마트소셜 Method for administering the job-matching by using AI based chat-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44A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xwell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Love Document analysis
Andrew Supervising doctorates at a distance: three trans‐Tasman stories
Eikeland et al. Differentiation in education: a configurative review
Li et al. Training cyber warriors: What can be learned from defense language training?
KR102295561B1 (en) Personalized self-introduction coach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rthakur et al. Understanding depth of reflective writing in workplace learning assessments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Sieben et al. Can concept mapping support the quality of reflections made by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 mixed method study
Aithal et al. Optimizing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GPTs as Teaching and Research Assistants by Professor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 Study on Smart Utilization
Ishimura Information behavior and Japanese students: How can an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rocess lead to better information literacy?
Patricio Research, writing, and collaborative skills, and research Output quality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new normal
Liyanage et al. AI Solution to Assist Online Education Productivity via Personalizing Learning Strategies and Analyzing the Student Performance
Botifar Teaching writing in Indonesian language classes with a genre-based approach (GBA): Between hope and reality (an analysis of lesson plans in the Curriculum 2013 classroom)
Qodad et al. An adap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a matching jobs and resumes engine
von Davier et al. Computational psychometrics: A framework for estimating learners’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from learning and assessments systems
Różewski et al. How to visualize the competence: the Issu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 Visualization
Islam et al. SOFT SKILLS FOR EMPLOYABILITY: EXPLORING ENGLISH GRADUATES'AWARENESS AND PRACTICES IN BANGLADESH.
Kerkiri et al. Semantic web technologies anchored in learning styles as catalysts towards personalising the learning process
Talwar The Strategic Use of Virtual Teacher Assistants to Increase Faculty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Smith-Dluha Mediation and Genre Analysis for English Teachers
Nagata et al. Learning Style and Consciousness Factors in E-Learning System on Information Security
YBAN EXPLOR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JUNIOR HIGH SCHOOL TEACHERS TOWARDS STUDENT-CENTERED LEARNING
Shakib Kotamjani et al. Lecturers perception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rtiary Education in Uzbekistan
Joseph et al. Perspectives on information literacy in the accounting curriculum
Silva et al. The Discrepancy Between Educational Management in São Paulo and Paulo Freire’s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