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55B1 -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55B1
KR102295255B1 KR1020200125213A KR20200125213A KR102295255B1 KR 102295255 B1 KR102295255 B1 KR 102295255B1 KR 1020200125213 A KR1020200125213 A KR 1020200125213A KR 20200125213 A KR20200125213 A KR 20200125213A KR 102295255 B1 KR102295255 B1 KR 102295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ecological
fish species
ultrasonic
disturb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20012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sonar signals or the like, e.g. sonar jamming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39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using analysis of echo signal for target characterisation; Target signature; Target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이나 저수지 등 생태교란 어종의 서식이 예상되는 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구역에 수중을 원격으로 탐사하여 생태 교란 어종의 생태 여부와 생태 현황의 실시간 분석을 도모하여, 효율성 높은 생태교란 어종의 퇴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면에 부양된 탐색정에 탑재되어, 탐색지역의 수중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중지형과 수중에 생태하는 어군들이 표식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수득하는 초음파 어군 탐지부와;
상기 초음파 어군 탐색부를 통해 탐색되는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어군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군 패턴들을 분석하여서,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을 판독하는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와;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입수하여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해당 군집구역의 지형과 생태교란 어종을 촬영하여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의 생태 영상을 수득하는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Ecological investigation and capturing system for ecological disturbance fish species}
본 발명은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이나 저수지 등 생태교란 어종의 서식이 예상되는 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구역에 수중을 원격으로 탐사하여 생태 교란 어종의 생태 여부와 생태 현황의 실시간 분석을 도모하여, 효율성 높은 생태교란 어종의 퇴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는 2007년부터 생태계 교란 외래 생물 종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는 외래종 16종에 대하여 매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목표 중 ‘침입 외래종 제거’를 발표함으로써 침입 외래종 제거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내 내수면의 생태계 교란 생물로 외래어종인 큰입배스(large mouse bass)와 블루길(bluegill)은 국내 토종어류의 개체군 감소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래어종 퇴치를 위한 효율적이고 확실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래어종 퇴치를 위한 전체 시스템 개발에 앞서 물고기 어종 분류를 위한 시스템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수년 전부터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및 딥러닝(deep learning)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딥러닝은 기계 학습의 한 방법으로 컴퓨터가 직접 데이터로부터 스스로 학습하는 네트워크 모델로 직접 이미지, 텍스트 등을 분류하고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은 빅데이터(big data)의 활용, 고성능 GPU(Graphic Processing Unit) 같은 하드웨어의 발전과 인식알고리즘의 개발 등에 힘입어 실용성 높은 기술로 발전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들이 증가하면서 딥러닝의 응용 분야들이 새롭게 창출되고 있다.
그 중 1990년도 후반 LeCun 교수에 의한 개발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사람이나 동물의 시각처리 과정을 모방하여역전파 학습알고리즘(back 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을 기반으로 영상 인식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Y LeCun, L Bottou, Y Bengio, and P Haffner, 1998]
이러한 영상 인식 분야 중 물고기 종의 인식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도 있으나[G Chen, P Sun and YShang, 2017; V A Sindagi and V M Patel, 2018], 이는 물 안이 아닌 물 밖이나 배 위에서 촬영한 물고기 영상으로 어종을 분류하는 작업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자연환경에 서식하는 물고기의 분류작업은 같은 종의 물고기 데이터를 축적하기 어려워 학습 및 테스트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6635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댐이나 저수지 등 생태교란 어종의 서식이 예상되는 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구역에 수중을 원격으로 탐사하여 생태 교란 어종의 생태 여부와 생태 현황의 실시간 분석을 도모하여, 효율성 높은 생태교란 어종의 퇴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은,
수면에 부양된 탐색정에 탑재되어, 탐색지역의 수중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중지형과 수중에 생태하는 어군들이 표식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수득하는 초음파 어군 탐지부와;
상기 초음파 어군 탐색부를 통해 탐색되는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어군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군 패턴들을 분석하여서,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을 판독하는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와;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입수하여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해당 군집구역의 지형과 생태교란 어종을 촬영하여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의 생태 영상을 수득하는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는 수밀형 함체와; 상기 수밀형 함체에 수밀구조로 배치되어 수중 영상을 수득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수밀형 함체에 탑재되어 수밀형 함체의 유형에 따른 추력을 생성하는 추력모듈과; 상기 수밀형 함체에 탑재되어, 초음파 어군 탐지부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에 의해 수중에서의 위치가 식별되도록 하는 초음파 식별모듈을 포함하되,
삭제
삭제
상기 초음파 식별모듈은, 수밀형 함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팽창튜브와; 상기 팽창튜브를 탄지하여 팽창되도록 하는 탄지 스프링과; 상기 탄지 스프링과 결속된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여 탄지 스프링의 수축상태를 조절하여 팽창튜브의 부피를 조절하는 권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피 증감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생태하는 생태교란 어류를 포획하는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를 포함하되,
삭제
상기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좌우 이격하여 배치되며, 통전단자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통전암;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통전암의 통전단자에 전류를 인가하여 이격된 한 쌍의 통전암 사이에 물을 매개로 하는 통전 감전층을 형성하는 전류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 어군 탐지부를 통해 수득되는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통해 탐색을 요하는 수중지형과 수중에 생태하는 어군들을 탐색하는 초음파 어군 탐색과정과;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가 초음파 어군 탐색과정에 의해 탐색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분석하여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을 판독하는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과정과; 상기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가 무인 입수하여,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의 영상을 수득하는 생태교란 어종들의 생태 실태영상을 수득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에 밀도 증감형 초음파 식별모듈을 탑재하여, 수면에 위치한 조사자는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에 반복적으로 점멸하거나, 색상이 변경되는 형태로 표식되는 초음파 식별모듈을 통해서,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의 위치를 정확히 식별하여서 정확한 원격 제어를 통해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를 촬영을 요하는 군집구역에 유형하여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에 있어, 입수형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와, 상기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에 탑재된 초음파 식별모듈의 세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에 있어, 입수형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생태교란 어종의 포획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을 통한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에 있어, 입수형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와, 상기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에 탑재된 초음파 식별모듈의 세부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에 있어, 입수형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의 세부 구성과, 이를 통한 생태교란 어종의 포획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을 통한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1)은, 블루길이나 베스 등이 생태교란 어종들의 서식이 예상되는 댐이나 저수지 등의 수표면에서 수중에 생태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실태를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사에 의해 수득되는 생태교란 어종들의 생태자료는 학술, 및 연구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고, 생태교란 어종의 퇴치에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면에 부양된 탐색정에 탑재되어, 탐색지역의 수중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중지형과 수중에 생태하는 어군들이 표식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수득하는 초음파 어군 탐지부(10)와; 상기 초음파 어군 탐색부(10)를 통해 탐색되는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어군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군 패턴들을 분석하여서,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을 판독하는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20)와;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20)에 의해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입수하여 탑재된 카메라 모듈(32)을 통해 해당 군집구역의 지형과 생태교란 어종을 촬영하여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의 생태 영상을 수득하는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20)는, 초음파 영상 분석과정을 통해 어군영상에서 어류의 개체수와, 크기, 이동 동작, 및 해당 구역의 지형 및 지물을 판독하여 어군 패턴을 추출하고, 사전 취득된 어군 패턴과의 대조를 통해 초음파 영상에서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을 추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수득되는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통해 탐색을 요하는 수중지형과 수중에 생태하는 어군들을 탐색하는 초음파 어군 탐색과정과;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20)가 초음파 어군 탐색과정에 의해 탐색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분석하여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을 판독하는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과정과; 상기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가 무인 입수하여,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의 영상을 수득하는 생태교란 어종들의 생태 실태영상을 수득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이때, 상기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밀형 함체(31)에, 상기 수밀형 함체(31)에 수밀구조로 배치되어 수중 영상을 수득하는 카메라 모듈(32)과, 상기 수밀형 함체(31)가 유영하도록 하는 추력모듈(33)이 각각 탑재된 형태로 구성되어, 추력모듈(33)을 통해 제공되는 추력에 의한 유영에 의해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으로 유영하여서 어종 군집구역의 지형 및 지물과, 생태교란 어종을 촬영하며, 이러한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는 범용의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중에 입수하여 유형하는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에,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에 의해 수중에서의 위치가 정확하게 식별되도록 하는 초음파 식별모듈(60)을 탑재하여서, 탐색정에 위치한 조사자는 초음파 어군 탐지부(10)에 의해 수득되는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통해 수중에 입수하여 유형하는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수중에 입수된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의 원격 제어를 통해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요하는 경로로 진입하여서 해당 군집구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수득하도록 한다.
즉, 조사자는 탐색정에 배치된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탐색지역의 수중에 초음파를 조사하고 이 상태에서 조사자가 초음파 식별모듈(60)이 탑재된 식별된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를 수중에 입수하면, 상기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는 초음파 식별모듈(60)에 의해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의 위치가 정확히 표식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수득한다.
따라서, 상기 탐색정에 위치한 조사자는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과, 상기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에 표식되는 초음파 식별모듈(60)을 통해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의 수중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 상태에서 콘트롤러를 통해 추력모듈(33)을 제어하여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가 촬영을 요하는 군집구역으로 이동하여서 해당 군집구역의 지형 및 지물, 그리고 군집구역에 서식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영상을 수득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초음파 식별모듈(60)은, 도 2c와 도 2d와 같이 수밀형 함체(31)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팽창튜브(61)와; 상기 팽창튜브(61)를 탄지하여 팽창되도록 하는 탄지 스프링(62)과; 상기 탄지 스프링(62)과 결속된 와이어(63)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여 탄지 스프링(62)의 수축상태를 조절하여 팽창튜브(61)의 부피를 조절하는 권취부재(64)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피 증감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수득되는 초음파 영상에는 팽창튜브 부피의 증감에 의해 표식면적이 변경되는 이동체로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의 위치가 정확히 표식된다.
이와 같이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에 초음파 식별모듈(60)을 배치하여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의 수중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도록 구성하면,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와 밀도, 또는 부피와 유사한 어종이나 지형 지물에 의해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의 위치를 오인식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고, 결과적으로 생태교란 어종들의 생태 실태조사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면서 넓은 수중 탐색지역의 생태 조사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가 수중에 입수하여 유형하면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20)에 의해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군집구역의 생태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 상기 수중을 유형하는 이동궤적을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명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탐지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과,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20)에 의해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패턴 분석하여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 그리고 상기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를 통해 수득되는 상기 군집구역의 수중영상을 통해 생태교란 어종의 정밀한 생태조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에 입수한 잠수부가 소지하여, 해당 군집구역에 생태하는 생태교란 어종을 포획하는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40)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40)를 소지하여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에 입수한 잠수부는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30)에 탑재된 상기 초음파 식별모듈(60)을 소지하여서, 탐색정에 위치한 조사자는 초음파 어군 탐지부(10)를 통해 탐지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에 표식되는 초음파 식별모듈(60)을 통해 잠수부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함으로써, 잠수부의 향상된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기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40)는, 도 3과 도 4와 같이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전방에 좌우 이격하여 배치되며, 통전단자(44)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통전암(42, 43); 및 상기 본체(41)에 내장되어 통전암(42, 43)의 통전단자(44)에 전류를 인가하여 이격된 한 쌍의 통전암(42, 43) 사이에 물을 매개로 하는 통전 감전층을 형성하는 전류 공급유닛(47)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40)를 소지하여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으로 이동한 잠수부는, 군집구역에 위치한 배스 등의 생태교란 어류를 통전암(42, 43)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원 공급유닛(47)을 통해 통전암(42, 43)에 전류를 인가하여서, 통전암(42, 43) 사이에 위치된 생태교란 어류가 통전암(42, 43) 사이에 형성되는 통전 감전층에 의해 일시적으로 감전되고, 이 상태에서 잠수부는 감전된 생태교란 어류를 포획한다.
이때, 상기 상호 마주하는 통전암(42, 43)의 내측에는 통전단자(44)를 배치하고, 외측에 절연 가드(45)를 배치하여서, 마주하는 통전암(42, 43)의 내측 사이에만 통전 감전층이 형성되고, 상기 통전암(42, 43)들의 외측으로는 통전 감전층이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포획을 요하는 어류 외에 다른 어류의 감전을 예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전암(42, 43)을 포획을 요하는 반경이나 포획을 요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크기에 따라 이격 간격이 조절되는 포획폭 조절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원 공급유닛(47)은 통전암(42, 43) 사이의 조절된 간격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량이 유기적으로 조절되는 전류 조절형으로 구성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통전암(42, 43)을 본체(41)에 좌우 진퇴구조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통전암(42, 43) 사이에는 정역 회전을 통해 통전암(42, 43)을 측방향으로 진퇴하는 공압 실린더나 전동 실린더 등의 진퇴유닛(46)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유닛(47)은 통전암(42, 43) 사이의 이격간격에 비례하는 세기의 전류를 통전암(42, 43)에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전원 공급유닛(47)은 이격된 통전암(42, 43)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통전암(42, 43)들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하고, 또 통전암(42, 43)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통전암(42, 43)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증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3과 도 4와 같이 포획을 요하는 생태교란 어류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진퇴유닛(46)을 가동하여 이격된 통전암(42, 43)을 좌우로 진퇴하여서, 이격된 한 쌍의 통전암(42, 43)들이 요하는 폭의 포획범위로 이격되어 포획을 요하는 생태교란 어류가 포획범위 내에 안정되게 진입되도록 한 다음, 전원 공급유닛(47)을 통해 각 통전암(42, 43)에 전류를 인가하여 통전암(42, 43)들 사이에 적합한 세기의 통전 감전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위치한 잠수부는 포획을 요하는 생태교란 어류의 포획범위에 따라 진퇴유닛을 통해 통전암(42, 4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포획범위 내에 위치한 생태교란 어류를 적합한 세기의 통전 감전층을 통해서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
1.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10. 초음파 어군 탐지부 20.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
30.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 31. 수밀형 함체
32. 카메라 모듈 33. 추력모듈
40.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 41. 본체
42. 통전암 43. 통전암
44. 통전단자 45. 절연가드
46. 진퇴유닛 47. 전원 공급유닛
60. 부피 증감형 초음파 식별모듈 61. 팽창튜브
62. 탄지 스프링 63. 와이어
64. 권취부재

Claims (4)

  1. 수면에 부양된 탐색정에 탑재되어, 탐색지역의 수중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수중지형과 수중에 생태하는 어군들이 표식된 초음파 탐색지역 영상을 수득하는 초음파 어군 탐지부와;
    상기 초음파 어군 탐색부를 통해 탐색되는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어군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어군 패턴들을 분석하여서, 생태교란 어종의 군집구역을 판독하는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와;
    상기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입수하여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해당 군집구역의 지형과 생태교란 어종을 촬영하여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의 생태 영상을 수득하는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형 군집 영상 수득부는 수밀형 함체와; 상기 수밀형 함체에 수밀구조로 배치되어 수중 영상을 수득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수밀형 함체에 탑재되어 수밀형 함체의 유형에 따른 추력을 생성하는 추력모듈과; 상기 수밀형 함체에 탑재되어, 초음파 어군 탐지부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에 의해 수중에서의 위치가 식별되도록 하는 초음파 식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식별모듈은, 수밀형 함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팽창튜브와; 상기 팽창튜브를 탄지하여 팽창되도록 하는 탄지 스프링과; 상기 탄지 스프링과 결속된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여 탄지 스프링의 수축상태를 조절하여 팽창튜브의 부피를 조절하는 권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피 증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생태교란 어종 군집구역에 생태하는 생태교란 어류를 포획하는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를 포함하되,
    상기 생태교란 어종 포획구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좌우 이격하여 배치되며, 통전단자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통전암;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통전암의 통전단자에 전류를 인가하여 이격된 한 쌍의 통전암 사이에 물을 매개로 하는 통전 감전층을 형성하는 전류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KR1020200125213A 2020-09-25 2020-09-25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KR102295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13A KR102295255B1 (ko) 2020-09-25 2020-09-25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13A KR102295255B1 (ko) 2020-09-25 2020-09-25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255B1 true KR102295255B1 (ko) 2021-08-27

Family

ID=7750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13A KR102295255B1 (ko) 2020-09-25 2020-09-25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25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011A (en) * 1964-07-28 1967-04-04 Wathne Fredrick Electrical trawl net
KR20090010442U (ko) * 2008-04-10 2009-10-14 한상화 포집이 가능한 잠수정
KR100946251B1 (ko) * 2009-07-24 2010-03-10 (주)새한지오텍 해저지표물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해저지형지물 확인시스템
US20100188931A1 (en) * 2009-01-27 2010-07-29 Mark Noonan Desig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ubmarine and other water craft sonar sensors, arrays and/or hydrophones
US20130343151A1 (en) * 2012-06-20 2013-12-26 Furuno Electric Co., Ltd. Underwater detection device
KR101656635B1 (ko) 2014-12-10 2016-09-09 가부시기가이샤니레꼬 어종 판별 장치 및 어종 판별 방법
KR101946542B1 (ko) * 2018-06-28 2019-02-11 마린리서치(주) 수중 조사를 위한 무인이동체
JP2020067367A (ja) * 2018-10-24 2020-04-30 日本無線株式会社 気泡測定装置及び気泡測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011A (en) * 1964-07-28 1967-04-04 Wathne Fredrick Electrical trawl net
KR20090010442U (ko) * 2008-04-10 2009-10-14 한상화 포집이 가능한 잠수정
US20100188931A1 (en) * 2009-01-27 2010-07-29 Mark Noonan Desig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ubmarine and other water craft sonar sensors, arrays and/or hydrophones
KR100946251B1 (ko) * 2009-07-24 2010-03-10 (주)새한지오텍 해저지표물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해저지형지물 확인시스템
US20130343151A1 (en) * 2012-06-20 2013-12-26 Furuno Electric Co., Ltd. Underwater detection device
KR101656635B1 (ko) 2014-12-10 2016-09-09 가부시기가이샤니레꼬 어종 판별 장치 및 어종 판별 방법
KR101946542B1 (ko) * 2018-06-28 2019-02-11 마린리서치(주) 수중 조사를 위한 무인이동체
JP2020067367A (ja) * 2018-10-24 2020-04-30 日本無線株式会社 気泡測定装置及び気泡測定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lton et al. Robotic detection of marine litter using deep visual detection models
Liang et al. Learning to contrast the counterfactual samples for robust visual question answering
Neveln et al. Biomimetic and bio-inspired robotics in electric fish research
Xia et al. Aquatic toxic analysis by monitoring fish behavior using computer vision: A recent progress
Sheehan et al. PelagiCam: a novel underwater imaging system with computer vision for semi-automated monitoring of mobile marine fauna at offshore structures
Li et al. Detection and analysis of behavior trajectory for sea cucumbers based on deep learning
King et al. Efficacy of remote underwater video cameras for monitoring tropical wetland fishes
Hutchison et al. The interaction between resource species and electromagnetic fields associated with electricity production by offshore wind farms
Johnsen et al. Animal navigation: a noisy magnetic sense?
CN107967442A (zh) 一种基于无监督学习和深层网络的指静脉识别方法及系统
Modasshir et al. Enhancing coral reef monitoring utilizing a deep semi-supervised learning approach
Xia et al. In situ sea cucumber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approach
KR102295255B1 (ko) 생태교란 어종의 생태 조사 및 포획시스템
Crescitelli et al. NorFisk: fish image dataset from Norwegian fish farms for species recogni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US20240029347A1 (en) Generating three-dimensional skeleton representations of aquatic animals using machine learning
Aguzzi et al. Advancing fishery-independent stock assessments for the Norway lobster (Nephrops norvegicus) with new monitoring technologies
Xuan et al. SO-YOLOv5: Small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for sea cucumber in complex seabed environment
Wang et al. A Real-Time Individual Identification Method for Swimming Fish Based on Improved Yolov5
Bilik et al.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techniques in continuous beehive monitoring applications: A survey
Wang et al. GANPose: Pose estimation of grouped pigs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Fablet et al. Multiscale analysis of geometric planar deformations: application to wild animal electronic tracking and satellite ocean observation data
Soltanzadeh et al. A prototype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Arctic char in indoor aquaculture operations: possibilities & challenges
ALSAADI et al. Auto Anim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among (Fish, Reptiles and Amphibians Categories) Using Deep Learning
Shashidhara et al. Instance segmentation of benthic scale worms at a hydrothermal site
Steen et al. Audio-visual recognition of goose flocking behav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