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45B1 - 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45B1
KR102295245B1 KR1020190154860A KR20190154860A KR102295245B1 KR 102295245 B1 KR102295245 B1 KR 102295245B1 KR 1020190154860 A KR1020190154860 A KR 1020190154860A KR 20190154860 A KR20190154860 A KR 20190154860A KR 102295245 B1 KR102295245 B1 KR 10229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tation
display unit
touch
based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5758A (en
Inventor
송인혁
이예찬
김윤서
심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굿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굿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굿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5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45B1/en
Publication of KR2021006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 및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은 바디, 회전 기반 이벤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므로, 사용자에게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높은 몰입도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rminal and an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e terminal and the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ody, a control unit providing a rotation-based event, and a sensor unit sensing a movement of the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responds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and proceeds the rotation-based event control,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high degree of immersion and a sense of reality for the rotation-based event.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THEREOF}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n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and an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event progress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the terminal.

단말기는 이동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h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mobile/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is movable. Aga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can carry it directly.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such a terminal is diversified in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is being implemented.

또한, 단말기를 조작하는 방법이 복잡해졌고, 이에 따른 비효율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새로운 방식으로 조작하기 위한 방법들의 개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became complicated, resulting in in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methods for manipulating a user interface in a new way.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특히, 최근에는 오프라인 장소에서 단말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고, 높은 현실감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를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multimedia contents that can be experienced by using a terminal in an offline place are being developed, and the need for a new user interface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terminal is increasing in order to provide a high sense of reality.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공개특허 제 10-2009-0076177호 "동작을 인식하여 마우스 포인터 및 화면 스크롤을 제어하는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9-0076177 "Method of controlling mouse pointer and screen scrolling by recognizing mo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for detecting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a rotation-based event is achieved in response to the detected rotational movement, and an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는 바디, 회전 기반 이벤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ncludes a body, a control unit providing a rotation-based event, and a sensor unit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bod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바디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detect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in response to the sens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그립 감지 이후,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detect whether the body is gripped,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when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detected after sensing the grip of the body.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rotation-based event, the sensor unit may detect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o grip the body based on the touch in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a multi-touch input is sens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body is gripp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범위 이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is sens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body is gripp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각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면적이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바디의 너비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ulti-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is sensed and the area of the point where each touch input is sens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body is gripped and rotates the body about the width direction as an axis.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control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그립 감지 이후,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 축이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body, and after detecting the grip of the body,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maintains a horizontal plane and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s an axis If detec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 및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그립 감지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rotation-based event, wherein the sensor unit detects whether the body is gripped and a drag input,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a drag input to the display unit after sensing the grip of the body You can control the progression of rotation-based events.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는 잠금장치 개방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그립 감지 이후, 감지된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열쇠가 잠금장치로 삽입되는 형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열쇠가 잠금장치로 삽입되는 형상이 출력된 이후,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열쇠가 회전하며 상기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The rotation-based event relates to the opening of the lock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a shape in which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rag input after detecting the grip of the body on the display unit, and the key is returned to the locking device. After the shape to be inserted is output,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sensed, the key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on the display uni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를 이용한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은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using a terminal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body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in response to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상기 단말기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감지된 바디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body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controlling of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c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n response to the detect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based event.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의 그립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rotation-based event may include detecting whether the body is gripped, and determining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when the grip of the body is detected.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cting whether the body is gripped may include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rotation-based event to a display unit, detecting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grip the body based on the touch input may include.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whether the body is gripped based on the touch inpu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body is gripped when a multi-touch input is sens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범위 이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whether to grip the body based on the touch input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body is gripped when a touch inpu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is sens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멀티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각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면적이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의 너비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grip the body based on the touch input, when a multi-touch input to the display unit is sensed and the area of a point at which each touch input is sens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is gripped. The determining and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may include sensing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as an axis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의 그립 감지 이후,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 축이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rotation-based event may include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body and after detecting the grip of the body,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maintains a horizontal plane and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when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axis is detected.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의 그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의 그립 감지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rotation-based event to a display unit,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occurrence of the rotation-based even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body is gripped and after detecting the grip of the body, the display unit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when a drag input is detected.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는 잠금장치 개방에 대한 것이고, 상기 바디의 그립 감지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는 감지된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열쇠가 잠금장치로 삽입되는 형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열쇠가 회전하며 상기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based event is for opening a lock, and after detecting the grip of the body, when a drag input to the display unit is detected,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i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rag input, and outputting a shape to be inserted into a lock to the display unit, 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is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detected, the key is rotat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and outputting to the display unit that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의 회전 움직임을 기초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rogress of a rotation-based event based 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의 그립 감지 이후,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를 움직여 감지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므로, 높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grip of the terminal is sensed, the user directly moves the terminal to control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 high sense of reality.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동작을 사용자에게 구체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직접적인 동작을 기초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가 결정되므로, 높은 몰입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using the terminal can be specifically induced to the user, and success or failure of the rotation-based ev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 operation of the user,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high level of immersio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그립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회전 입력 대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그립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ion-based event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rip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progress of a rotation-based event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rip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게임 콘트롤러(game controll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 slate PC, Tablet PC (tablet PC), ultrabook (ultrabook), game controller (game controller),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watch-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 may be included.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will be.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First, a structur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서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sensor unit 140 , an output unit 150 , an interface unit 160 , a memory 170 ,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etc. may includ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terminal, so 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another terminal 100, or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can do. 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방송 수신 모듈(111)이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wo or more broadcast reception modules 111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broadcast channel switching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Term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terminal 1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Fif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Fif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5G), etc. In this cas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5G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5G,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for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may be understood as a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사이, 또는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FC.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Fidelity (Wi-Fi),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other terminal 100, or the terminal 100 and the oth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area network (Wireless Area Networks) (100, or an external server) can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ted networks. The local area networks may b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Local Area Networks).

여기에서, 다른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단말기(100) 주변에,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other terminal 100 is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mart watch, smart glasses, glass) or HMD (head mounted displa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100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100 . Furthermore, when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data processed in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 It can be transmitted to a wearable devic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data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when a call is received in the terminal 100, the user performs a phone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when a message is received in the terminal 100, the user checks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do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For example, if the terminal utilizes a GPS module, it can acquir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if the terminal utilizes the Wi-Fi module, it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f the Wi-Fi module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If necessar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perform any function of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obtain data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s a substitute or addition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a touch key, a push key, etc.).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단말기(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put of image information, the terminal 100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provided.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structure, and through the cameras 121 forming the matrix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has a plurality of cameras having various angles or focal points. of image information may be input. Also,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acquir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for realizing a stereoscopic imag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processes an external sound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function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100 . Meanwhile,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The user input unit 123 is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rear or side of the terminal 100 , a dome switch, a jog wheel, and a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 input means consists of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in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It may be formed of an arranged touch key.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key or the visual key, it is possible to display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a graphic (graphic), text (text), an icon (icon), a video (video) or these can be made in combination.

센서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141, touch sensor), 그립 센서(142, grip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포스 센서(force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terminal, information about a surround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141, a grip sensor 142,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magnetic field. magnetic sensor, gravity sensor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force sensor,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ultrasonic sensor), optical sensor (eg, camera), microphone (microphone), battery gauge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ermometer, a radiation sensor, a heat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센서부(140)는 단말기(100) 내 정보,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100)의 방위,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4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terminal 100 ,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terminal 100 ,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terminal 100 ,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terminal 100 ,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terminal 100 , whether external devices are coupled, etc. Similarly,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100 is sense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riving or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operations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터치 센서(141)는 단말기(100)에 물체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물체가 단말기(100)에 근접할 때 물체가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터치와 터치 패턴(예를 들어, 터치 거리, 터치 방향, 터치 속도, 터치 시간, 터치 위치,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터치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터치 동작 및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The touch sensor 141 detects that an object approaches the terminal 100 . For example, when the object approaches the terminal 100 on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 a position of the object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may be detected. The touch sensor 141 may detect a touch and a touch pattern (eg, a touch distance, a touch direction, a touch speed, a touch time, a touch position, a touch movement state, etc.).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operation and the touch pattern sensed through the touch sensor 141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display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on the touch screen. can be printed on the

터치 센서(141)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41 is a touch (or touch)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input) can be detected.

일 예로서, 터치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141)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터치 센서(141)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uch sensor 141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touch screen or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touch scree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14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a touch, a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etc. where a touch object apply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141 . . Here, the touch object is an object that applies a touch to the touch sensor 141 ,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이와 같이, 터치 센서(14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As such,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141, a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has been touched, and the like. Here,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component separate from the controller 180 , or may be the controller 180 itself.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may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 or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terminal 100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141)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touch sensors 141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 short (or tap) touch (short touch), long touch (long touch), multi-touch (multi touch), drag touch (drag touch) on the touch screen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ype touch, hovering touch, etc. It can sense touch.

그립 센서(142)는 유저의 단말기(100) 파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 센서(142)는 단말기(100)가 그립(grip)되었는 지 판단할 수 있도록, 단말기(1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grip sensor 142 detects the user's grip of the terminal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sensor 142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erminal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100 is gripped.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에 의해 단말기(100)의 측면이 터치되면, 그립 센서(142)는 측면에 가해진 압력 또는 측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 센서(142)에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하여 단말기(100)의 그립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립 센서(142)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 센서(142)는 복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ide of the terminal 100 is touched by the user's hand, the grip sensor 142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the side or capacitance generated on the side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hav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to the grip sensor 142 ,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at the grip of the terminal 100 is made by the user's hand or the like. The grip sensor 142 may be configured to detect even the touched position and area. The grip sensor 1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 센서(142)는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14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142)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sensor 142 may be a touch sensor 1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the grip sensor 142 may sense a user's touch input sens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o grip based on a user's touch input sens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

실시예에 따라 그립 센서(142)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 영역 중 일부분이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립 센서(142)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터치 신호가 감지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그립 센서(142)로부터 터치 신호에 따라 단말기(100)의 그립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고, 실시예에 따라 그립이 이루어진 위치 및 면적 등을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ip sensor 142 may be disposed to include an edge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 In this case, when a part of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by the user's hand, the grip sensor 142 may detect the touch signal and notify the controller 180 that the touch signal has been detected. 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at the grip of the terminal 100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from the grip sensor 142 , and may detect the location and area where the grip is m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실시예에 따라, 그립 센서(142)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는 터치 센서(141)와 같이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립 센서(142)가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 영역 중 일부에 대하여 터치가 일어난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그립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 센서(141)가 따로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고, 그립 센서(142)에 의해 단말기(100)의 측면에 이루어진 터치를 더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그립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ouch signal input to the grip sensor 142 may be sensed like the touch sensor 141 . For example, when the grip sensor 142 is disposed on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 even when a touch occurs on a part of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erminal 100 . It can be detected that the grip of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touch sensor 141 is separately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151 to detect a touch, and a touch made on the side of the terminal 100 is further detected by the grip sensor 142 to detect the touch of the terminal 100 .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grip has been made.

또한. 실시예에 따라 그립 센서(142)는 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단말기(100)의 후면이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둘러싸이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180)로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후면에 배치된 그립 센서(142)는 터치 센서(141)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된 그립 센서(142)의 적어도 일부에 신호가 입력되면서, 단말기(100)의 측면에 배치된 그립 센서(142)에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단말기(100)의 그립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ip sensor 14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100 , detect whether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100 is surrounded by the user's hand, etc., and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80 . . In this case, the grip sensor 142 disposed on the rear side may be formed of a touch sensor 14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touch signal to the grip sensor 142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100 while a signal is input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 sensor 142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100 . When is inpu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grip of the terminal 100 has occurred.

또한, 가속도 센서(미도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acceleration change in one direction into an electric signal, and is widely used with the development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technology. Accelerometer sensors include, from measuring large-value acceleration used to detect a collision built into an automobile's airbag system, to measuring small-value acceleration used as input means for games by recognizing minute movements of the human hand. There are various types up to. Accelerometers are usually constructed by mounting two or three axes in one package, an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use, only one Z axis may be required. Therefore, if, for some reason, it is necessary to use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instead of the Z-axis direction, a separate engraving board may be used to mount the acceleration sensor upright on the main board.

또한, 자이로 센서(미도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자이로센서는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제공한다.Also, the gyro sensor (not shown)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a gyroscope. Specifically, 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it is possible to detect a direction retur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direction. Gyroscopes include mechanical gyroscopes, ring laser gyroscopes, and fiber optic gyroscopes. The gyro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1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 a sound output module 152 , an alarm unit 153 , and a haptic module 154 . can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with each other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141 .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user.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information on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the terminal 100 , or user interface (UI) and graphic user interface (GUI)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execution screen.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an electronic ink display (e-ink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terminal 100 . In this case, in the terminal 100 ,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disposed integrally on one surface, or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센서(141)는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141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input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on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sensor 141 may detect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thereon.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struc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terminal 100 .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y using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2 ,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153 .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54)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controlled by a user's selection or setting of the controller 180 .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154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output them sequentially.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is a pin arrangement that move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the ejection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the nozzle or suction port, the grazing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the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etc.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an effect caused by heat absorption and an effect by reproducing a feeling of cold and heat using an element capable of absorbing heat or generating heat.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may not only deliver the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may also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00 .

인터페이스부(16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 This interface unit 160,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port), a memory card (memory card)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terminal 100 , data for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100 .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installed on the terminal 100 , and driven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terminal by the controller 180 .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or similar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software code is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바디를 잡는 동작 이후 센서부(140)를 통해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들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 grabs the body of the terminal 100 , the use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sensor unit 140 , and the controller 180 uses the detected movement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100 , various types of events can be controlled.

여기서, 이벤트는 프로그램에 의해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동작 또는 사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음성, 버튼의 누름, 클릭 등의 행위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드래그, 그립, 회전, 이동, 기울임, 흔들기와 같은 장치에 대한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vent means an action or event that can be detected and processed by a program. For example, it may be an action such as a tex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 a voice, a button press, or a click. In addition, it may include actions on the device, such as touch, drag, grip, rotation, movement, tilt, and shake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4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반 이벤트는,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진행되는 이벤트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및 정도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A rotation-based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vent in which an event is performed based on a user's rotation motion. For example, the event may be in progress based on whether the terminal 100 is rotated,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ion-based event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ion-based event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그립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rip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회전 입력 대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progress of a rotation-based event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을 판단(S210)하고,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S220)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반 이벤트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회전하기 쉽게 파지한 상태에서 발생될 수도 있으며, 단말기(100)에 또는 외부 출력장치에 출력되는 상황이 사용자의 단말기(100) 회전을 유도할 때 발생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 및 상황을 판단하여 단말기(100)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 S210 ),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rotation input It changes to the standby state (S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based event may be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terminal 100 to be easily rotated, and the situation outputted to the terminal 100 or an external output device is the user's terminal 100 ) may occur when inducing rotation.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terminal 100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by determining the user's intention and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반 이벤트는 제어부(180)가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한 단말기(100)의 센싱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를 통해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으로 판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based event is rotated through the controller 180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sensed by the controller 180 through the sensor unit 140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It may be determined as the occurrence of a base event.

여기서, 소정의 조건은, 사용자가 회전 기반 이벤트를 진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판별하는 조건으로, 단말기(100)가 감지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기에 인가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80)가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a condition for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ready to proceed with the rotation-based event, and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signal detected by the terminal 100, and in some cases,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terminal Thus,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100)에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위에서 설명한 소정의 조건이 달성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described above is determined based on a touch input received by th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 바디를 손으로 잡는 동작 즉, 단말기(100)의 바디가 그립(grip)으로 인해 터치 센서(141)가 터치 입력을 복수의 영역에서 감지하거나, 감지된 터치 영역이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touch sensor 141 to receive a plurality of touch inputs due to the user's hand gripping the body of the terminal 100 , that is, the grip of the body of the terminal 100 . If the area is sensed or the sensed touch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40)가 단말기(100) 바디가 소정의 기울기 범위를 유지한다고 감지하는 경우에도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occurs even when the sensor unit 140 detects that the body of the terminal 100 maintain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ran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바디가 소정의 기울기 범위를 유지하고, 단말기(100)가 그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occurs e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of the terminal 100 maintain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range and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한편, 본 발명에서, 바디는 단말기(100)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100)를 잡거나, 그립하거나, 회전하는 등의 동작 표현은 바디에 대한 동작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mean the terminal 100 itself. Alternatively, it may mean a cas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terminal 100 . Various parts constituting the terminal 100 may b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pression of motion such as holding, gripping, or rotating the terminal 100 should be understood as an a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센싱 정보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회전 기반 이벤트의 발생으로 판단하고, 이후,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a rotation-based event occurs, and then detec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 It can be changed to the waiting state for rotation input that can be done.

여기서, 회전 입력 대기 상태는, 제어부(180)가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감지된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에 기초하여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처리함으로써,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면 이에 대응되는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may be in a stat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rogress of a rotation-based event by process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 For example, when detecting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information on a rotation-based event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display unit 15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40)가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감지된 터치가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것인 지 판단하여 단말기(100)에 대한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멀티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or unit 140 detects a touch inpu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touch is detected in at least two or more regions, and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1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multi-touch is used for generating an ev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에 멀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면,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touch is made on th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whether a condition for the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and based on this, it can determine whether a rotation-based event is generated. can cause Also,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contents of the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151 .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면, 단말기(100)에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멀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detecting at least two or more tou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multi-touch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has been made in the terminal 100 .

한편,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현제 상태가 가로모드 즉, 출력되는 화면이 가로방향이 긴 모드에서 서로 이격 된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면,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when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100 detects at least two or more tou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andscape mode, that is, a mode in which an output screen is long in a horizontal direction. .

예를 들어, 감지된 두 개의 터치 사이의 거리가 단말기(100)의 바디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 방향 길이의 1/3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에 멀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의 가로 및 세로축 중 더 길이가 긴 쪽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너비방향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이때,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1/3 길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ensed touches is 1/3 or more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terminal 100 or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erminal 100 to perform multi-touch. can be judged as He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the longer on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of the display.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a width direction. Meanwhil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and change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Here, since the 1/3 length is only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부분이 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설정된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가 각각 다른 영역에서 감지되었을 때,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에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멀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set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reset regions, when at least two or more touches are detected in different regions,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 rotation-based event in the terminal 100 . It can be determined that multi-touch for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를 길이 방향 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하나의 터치는 좌측 영역에서, 다른 하나의 터치는 우측 영역에서 감지된다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에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멀티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 영역은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너비 방향 선으로 기준으로 상하로 분할하거나,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divided into a left area and a right area based on a longitudinal line, if one touch is detected in the left area and the other touch is detected in the right area, the controller 180 It may be determined that a multi-touch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made in the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and change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Here, the divided area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case of dividing up and dow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line of the display unit 151 or dividing into two or more are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면적을 판단하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면적이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ler 180 detects a touch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140 ,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area of the point where the touch input is sensed, and the point where the touch input is sensed. When the area of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condition for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구체적으로, 터치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소정의 범위 이상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리는 형태로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터치 센서(141)가 디스플레이부(151)의 1/3면적 이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이에 기초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상태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51)의 1/3 면적에 대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다.Specifically, when a touch is detected in the display unit 151 in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For example, when a touch is made in the form of a user covering the display unit 151 with a palm, when the touch sensor 141 detects a touch input on 1/3 or mor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controller 180 ) may determine that a condition for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based on this. Also, 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state of the terminal 100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Meanwhile, here, the description of the 1/3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only an 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바디를 잡는 동작이 단말기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단말기(100)를 그립(grip)한 것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8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grips the terminal 100 in order to rotate the terminal 100 when the user grabs the body, and ,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based on this.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 및 그립 센서(142)를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그립(grip)한 상태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grips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touch input sens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touch screen and the touch input sensed through the grip sensor 142 . can determine whether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1)에 소정의 범위 이상에서 감지된 경우에도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그립 센서(142)를 통해 단말기(100)가 그립된 상태인 지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면에 배치된 그립 센서(142)를 통해 단말기(100)에 대한 터치를 더 감지할 수 있고, 그립 센서(142)가 단말기(100)의 후면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둘러싸이는지 여부를 더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그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된 터치 입력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ally, when a multi-touch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and even when the display unit 151 detects a multi-touc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the terminal 100 ) can be judged to have been gripped.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100 is in a gripped state through the grip sensor 142 . For example, a touch on the terminal 100 may be further sensed through the grip sensor 142 disposed on the side, and when the grip sensor 142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100, the user's hand, etc.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grip state of the terminal 100 by further sensing whether it is surrounded by th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touch input sensed on the display unit 15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도 3을 참고하여, 단말기(100)의 그립 상태를 설명한다.Here, the grip state of th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3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손바닥을 단말기(100)의 후면과 서로 마주하도록 잡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터치 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thumb)에 의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터치 입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회전 이벤트 발생을 위한 멀티 터치로 판단하여,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 when the user holds his palm with his right hand to face the rear of the terminal 100 , a plurality of touch inputs may be sens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at is, since at least two or more touch inputs may be generated, including a touch input by a thumb,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a multi-touch for generating a rotation event is performed, so that the terminal 100 holds the grip. It can be judged that

보다 상세하게는, 엄지 손가락(thumb)에 의한 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영역에서 감지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 영역에는 중지 손가락(middle finger)부터 새끼 손가락(little finger)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각 터치 간의 거리가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 방향 길이의 1/3 이상 이격되어 형성하는 멀티 터치이므로,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touch by a thumb is sens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display unit 151 , and at least one of a middle finger to a little finger is detected in a left region of the display unit 151 . When a single touch is sensed, since the distance between each touch is a multi-touch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by 1/3 or more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도3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손바닥을 단말기(100)의 전면과 서로 마주하도록 잡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소정의 범위 이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3 , when the user holds his palm with his right hand to face the front of the terminal 100 , a touch inpu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nge may be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151 .

보다 상세하게는, 손바닥이 디스플레이부(151)와 맞닿으면서 하나의 터치가 넓은 면적에서 감지될 수 있다. 즉, 손바닥에 의한 터치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0)의 1/3 범위 이상에서 감지되었으므로,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one touch may be sensed over a wide area while the palm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151 . That is, since the touch by the palm is sensed in the range of 1/3 or more of the display 150 of the terminal 100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또한, 제어부(180)는 그립 센서(142)를 통해 단말기(100)에 대한 터치를 더 감지할 수 있다. 그립 센서(142)가 측면에 배치된 경우, 단말기(100)를 감싸는 동작에 의해 단말기(100) 측면에 이루어진 터치를 더 감지하여, 멀티 터치를 판단하고,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그립 센서(142)가 후면에 배치된 경우, 단말기(100) 후면이 사용자에 의해 둘러싸이는 지 여부에 따라,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는 지 판단할 수도 있다.Also, the controller 180 may further sense a touch on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grip sensor 142 . When the grip sensor 142 is disposed on the side, the touch made on the side of the terminal 100 is further sensed by the operation of wrapping the terminal 100 to determine the multi-touch,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100 is gripped. can Alternatively, when the grip sensor 142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100 is gripped according to whether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100 is surround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그립된 것으로 판단하면,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and change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기울기에 따라,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여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일면이 수평면과 수평 상태이거나,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a condition for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terminal 100 . Specifically, whe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100 is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horizontal plane or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maintained,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condition for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한편,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길이방향 축이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여부에 기초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수평면과 수직한 상태로 일측을 향할 때, 수평면과 가까운 단말기(100)의 일면이 상호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가 ±30도 내의 기울기를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범위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방향은 예시에 불과하며, 각도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a condition for the generation of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based on whether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erminal 100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100 faces one side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one surface of the terminal 100 close to each other. . For example, if the angle maintains the inclination within ±30 degrees,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condition for the occurrence of a rotation-based event has been satisfied, and based on this, the terminal 100 may be changed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have. Here, the angle range and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51 are merely examples, and the angle range may be set in various way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그립 여부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을 충족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based on at least one of whether the terminal 100 is gripped and tilted.

여기서, 도 4를 참고하여, 단말기(100)가 그립된 상태에서 기울기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Here,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inclination con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gripped will be described.

도 4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오른손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좌측을 향하고, 단말기(100)의 좌측면이 수평면을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terminal 100 with his right hand, the display unit 151 faces to the left, and the left side of the terminal 100 faces a horizontal plane.

이때,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를 통해 단말기(100)의 좌측면이 수평면과 평행 상태인 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좌측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수평면과 수직한 상태로 좌측을 향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 축과 수평면과의 각도를 측정하여, 좌측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left side of the terminal 100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through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140 . Also,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an angle between the left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The control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horizontal plane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100 faces to the left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Accordingly,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angle the left side makes with the horizontal plane.

만일,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 조건에 대한 각도가 0도인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그립된 상태이고,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 축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0도, 즉, 평행 상태이므로,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여, 단말기(100)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If the angl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occurrence condition is 0 degrees, the controller 180 indicates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and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horizontal plane is 0 degrees, that is, parallel. Since it is a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and the terminal 100 may be changed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또한, 만일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 조건에 대한 각도가 ±30도 인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그립한 상태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 축과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30도 내로 유지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angl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occurrence condition is ±30 degrees, the user grips the terminal 100 while maintaining the angle betwe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erminal 100 and the horizontal plane within ±30 degree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을 더 감지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further detect a drag input to determine whether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터치 입력 감지 이후, 드래그 입력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지점을 터치하고, 터치 지점을 소정의 위치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touch input is sens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sensed after detecting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a poi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moves the touch point by dragging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erminal 100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또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그립 판단 이후, 드래그 입력을 추가로 감지하는 경우,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detected after determining the grip of th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and sets the terminal 100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can be changed

또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을 추가로 감지하는 경우에도,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고, 단말기(100)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even when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detected while the inclination of the terminal 100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the terminal 100 ) can be changed to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또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그립된 상태에서, 기울기를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 후, 드래그 입력을 추가로 감지하는 경우에도,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고, 단말기(100)를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s satisfied, even when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detected after maintaining the inclina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while the terminal 100 is gripped and ,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erminal 100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예시는 회전 기반 이벤트의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전제 조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회전 기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n example of determining a condition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rerequisite for enter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based event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conditions for generating a rotation-based event may be set through various methods.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 과정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 a proc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반 이벤트는 제어부(180)를 통해 단말기(100) 내부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부(151)에 영상을 출력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소리나 음성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기타 외부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회전 기반 이벤트는 단말기(100) 내부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영상을 출력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based eve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outputting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51 inside or outside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 It can be provided through sound or voice, and can also be output through other external devic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based eve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outputting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51 inside the terminal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반 이벤트는 단말기(100)를 활용한 회전 입력을 기반으로 진행하도록 구현된 이벤트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게임 등에서의 미션, 퀘스트라고 보아도 무방하나, 본 발명은 단말기(100)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수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based event may be an event implemented to proceed based on a rotation input using the terminal 100 . In general, it can be regarded as a mission or a quest in a ga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at it can be performed both on/offline using the terminal 100 .

또한, 본 발명의 회전 기반 이벤트는 참여자가 수행하여야 할 동작이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80)를 통해 설정된 수행 동작에 따라 이벤트의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지 여부에 따라 회전 기반 이벤트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otation-based e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a participant is set, and whether the event is achiev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formed operation set through the controller 180 .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rotation-based event succeeds or fails according to whethe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meets a preset criter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반 이벤트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rotation-based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specific 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반 이벤트는 잠금장치 개방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잠금장치 개방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회전 기반 이벤트에 적용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based event relates to opening a lock. Here, the opening of the lock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rotation-based events based 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

먼저, 도 5의 (a)를 참고하면, 제어부(180)가 회전 기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회전 기반 이벤트에 관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A ,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a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151 .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an image related to a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151 .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잠금장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 (a)에는 문에 열쇠 삽입이 가능한 잠금장치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lock device shape on the display unit 151 . Fig. 5 (a) shows a locking device capable of inserting a key into the door.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멀티 터치 여부를 감지하고, 단말기(100)의 그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고, 드래그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a touch input is sensed from the sensor unit 140 ,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whether a multi-touch is present and determine the grip state of the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terminal 100 may be sensed,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drag input is performed.

도 5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100)가 그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4처럼 단말기(100)의 후면이 사용자의 손바닥과 마주하고, 디스플레이부(151)가 좌측을 향하도록 단말기(100)를 그립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그립한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gripped by the user is illustrated. As shown in FIG. 4 ,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100 faces the user's palm, and the display unit 151 is illustrate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gripped toward the lef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even in a gripped state in various ways.

이때,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그립된 것으로 판단하고, 회전 기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and determine that a rotation-based event has occurred. In addition,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can be changed.

이때,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 상황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회전 기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잠금장치 형상을 열쇠 형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and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based event on the display unit 151 in response to the progress of the rotation-based ev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locking device shape to a key shape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51 or display it simultaneously.

이후, 제어부(180)는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수행해야할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단말기(100)를 수평면과 평행하게 유지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영상 또는 이미지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may additionally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user.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may request to keep the terminal 100 parallel to a horizontal plane or tilt it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gripping the terminal 100 . Also, the controller 180 may request the user to input a touch or drag on an image or an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151 .

이때, 사용자가 수행한 동작은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하고, 제어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반영되어, 사용자가 수행한 동작과 대응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쇠 형상이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어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 즉, 이동, 기울기, 움직임 변화 등에 대응하도록 표시함으로써, 마치 단말기(100)가 열쇠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과 같이 높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may be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140 and reflected on the display unit 151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so tha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key shape is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displayed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terminal 100, that is, movement, inclination, movement change, etc., so that the terminal 100 acts like a key. It can provide a high sense of realism, such as

도 5의 (c)를 참고하면,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100)가 그립된 상태에서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회전 기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클릭 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조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180 outputs information about a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151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gripped by the user is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user may manipulate the image 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through a click or drag input.

예를 들어, 열쇠 형상의 머리 부분을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단말기(100)의 상단부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디스플레이부(151)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열쇠가 잠금장치 내로 삽입되거나, 이동하는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51 detects that the key-shaped head is touched with a finger and then moved by dragging it toward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100 , the control unit 180 sends the display unit 100 to the display unit 151 . A key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 or may indicate a moving shape.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통해 회전 입력을 감지(S230)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control unit 180 detects a rotation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140 ( S23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 이후,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통해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고,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처리함으로써,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roller 180 is changed to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sensor unit 140 and responds to the rotational movement. By processing control command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gression of rotation-based events.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그립된 상태에서 회전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부(140)로 회전 입력이 감지될 때까지 회전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 rotation input while the terminal 100 is gripped by the user, and may maintain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until the rotation input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40 .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제어부(180)가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의 방향, 기울기, 가속도, 각속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설정된 조건을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본 발명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preset condition may be set by the controller 180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inclination, acceleration, angular velocity, etc.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condi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100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통해,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sense the rotation direction through the sensor unit 140 .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may be made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한편, 제어부(180)는 회전 이벤트 발생을 위한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단되는 시점의 단말기(100)의 상태를 기준으로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량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어부(180)는 3축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speed, rotation amount, etc. of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state of the terminal 100 at the point in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the rotation event is satisfied. Also,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may us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도4와 같이 단말기(100)의 좌측면이 수평면을 향하도록 그립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 축이 수평면과 평행을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어부는(180)는 단말기(100)가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센서부(140)는 단말기(100)의 회전을 센싱하여 회전 입력을 판단할 수도 있다. Assuming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erminal 100 is maintain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side of the terminal 100 is gripped toward the horizontal plane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erminal 100 to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10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100 . In this way, the sensor unit 140 may sense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100 to determine the rotation input.

이후, 제어부(180)는 감지된 회전 입력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지 여부를 판단(S240)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sensed rotation input (S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회전 입력이 유효한 회전인 지 판단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유효한 회전으로 판단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 유효하지 않는 회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sensed rotation input is a valid rotation. That is, if the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it may be determined as a valid rotation, and if not, it may be determined as an invalid ro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를 통해 회전 방향이 제1방향은 “false”제2방향은 “true”로 설정되어 있을 때, 단말기(10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즉, “true”로 설정된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는 설정된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회전 움직임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is set to “false”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rue”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00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is, when it is sensed that rotat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rotation direction set to “true” is detected,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rotation movement is invalid based on the set rotation direction.

반면, 단말기(10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즉, “true”로 설정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는 설정된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회전 움직임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erminal 100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erminal 100 rotates in the rotation direction set to “true”, the controller 180 performs rotational movement based on the set rotation direction. can be considered valid.

이후,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이 기 설정된 조건과 부합하는 경우, 제1상태로 판단(S250)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제2상태로 판단(S260)한다.Thereafter,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meets the preset conditio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first state (S250), and when it does not, determines the second state (S2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회전 입력 대기 상태에서 단말기(100)가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회전 방향을 판단하여 결과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in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different results by determining the rotation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이 기 설정된 조건과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회전 기반 이벤트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1상태는 이벤트 달성에 따른 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이벤트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거나, 다음 이벤트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템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meets a preset condition, determines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been achieved, and displays the first status can be displayed. The first state may be a rewar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an event.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providing a hint about the next event or providing an item that can move to the next event.

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이 기 설정된 조건과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회전 기반 이벤트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2상태는 이벤트 달성 실패에 따른 벌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를 다시 수행하도록 요청하거나, 보유 아이템을 회수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does not match the preset con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not been achieved,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s a second state. have. The second state may be a penalty according to event achievement failure.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requesting the event to be performed again or retrieving a possessed ite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가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단말기(100)가 회전하는 동안 또는 회전이 끝난 시점에 진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진동은 단말기(100)에 탑재된 햅틱 모듈(154), 모터 등의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진동이 제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is invalid, vibration may be provided while the terminal 100 is rotated or when the rotation is finished. have.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vibration may be provided. Vibration may utilize a device such as a haptic module 154 and a motor mounted on the terminal 100 . Alternatively, vibration may be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그립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고, 회전 방향이 기 설정된 조건과 부합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5 , as shown in (d),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gripped by the user, the terminal 100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erminal 100. ca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100 and determine whether the rotation direction meets a preset condition.

앞서 언급한 예시와 같이, 단말기(10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을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에 제 1상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s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is invalid, and generates vibration or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ate.

반면, 단말기(10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상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100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is effective and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at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잠금장치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 and output a corresponding image to the display unit 151 .

도 5의 (e)를 참고하면, 단말기(100)가 제2방향으로 회전이 종료된 이후,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회전 기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어부(180)는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E , after the terminal 100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ontrol unit 180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150 is shown. .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is effective, and display a corresponding image on the display unit 151 .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열쇠가 잠금장치로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아가는 형상을 디스플레이부(151)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방향이 잠금장치가 열리는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방향은 예시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shape tha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100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state in which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That is,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Here, the direc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direction is set differently as needed.

이후, 도 5의 (f)를 참고하면, 제어부(180)가 회전 기반 이벤트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한 이후, 디스플레이부(151)에 회전 기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회전 기반 이벤트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 상태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 of FIG. 5 , 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been achieved,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based even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is illustrated. Tha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based event has been achieved,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ate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형상을 디스플레이부(151)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회전 기반 이벤트 달성에 따라서, 다음 이벤트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거나, 다음 이벤트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템 등을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shap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on the display unit 151 .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rotation-based event,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a hint about the next event or provide a reward for an item that can move to the next ev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감지되는 여러 형태의 움직임을 기초로 이벤트를 구성함으로써, 체험형 컨텐츠에 적용할 경우 높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n event based on various types of movements detected while the user grips the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sense of reality when applied to experiential content. can

또한, 단말기(100)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할 동작을 구체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단순 입력이 아닌 사용자의 동작을 기초로 이벤트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가 결정되므로, 높은 몰입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terminal 100, an action to be performed by the user can be specifically induced, and success or failure of the ev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action rather than a simple input, so that a high level of immersion can be provided. There are advantages.

또한, 컨텐츠 제작자는 단말기(100)의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조건에 따라 시나리오를 다양화하는 등 컨텐츠에 대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creat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completeness of the content by variously utilizing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100 to diversify scenarios according to conditions.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그립 상태를 설명한다.Next, a grip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그립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grip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기(100)를 두 손으로 잡는 경우에도, 그립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holding the terminal 100 with both hands,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100 is in a gripped state.

구체적으로, 단말기(100)가 가로로 회전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양 손으로 잡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스크린)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멀티 터치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된 그립 센서(142)를 통한 멀티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erminal 100 are held with both hands while the terminal 100 is rotated horizontally, multi-touch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play unit 151 or the touch screen. can be detected. In addition, a multi-touch input may be sensed through the grip sensors 142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스크린)에 감지된 터치 면적이 상술한 바와 같이 1/3 범위 이상에서 감지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기(100)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since the touch area sensed by the display unit 151 or the touch screen may be sensed in 1/3 or mor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terminal 100 is gripped.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반 이벤트를 양 손으로 그립한 상태로 진행하는 경우,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은 단말기(100)의 너비방향을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tation-based event is performed in a state of gripping with both hand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erminal 100 may rotate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100 as the axis of rotation.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not be limitedly applied,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서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100: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40: sensor unit
150: output unit 160: interface unit
170: memory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Claims (20)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바디;
회전 기반 이벤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바디에 대한 기울기 및 그립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영상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 내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멀티 터치가 감지되고, 상기 멀티 터치가 감지된 지점의 면적이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바디가 그립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 축이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 경우,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게 하고,
변경된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에 드래그 입력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를 상기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회전 입력 대기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회전 움직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를 진행시키는, 단말기.
As a terminal,
The terminal is
body;
a control unit that provides a rotation-based event;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and
It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The sensor unit,
Detects a touch and drag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detects whether the body is tilted and gripped,
The rotation-based event is
It is an event that proceeds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image output on the display uni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in response to the image,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multi-touch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of the point where the multi-touch is sens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is gripped,
When the body is gripped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maintains a horizontal plane and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is chang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detected in the image for the changed rotation-based event, changing the terminal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for detecting the rotation movement,
When the rotation movement is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in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the terminal advances the rotation-based event in response to the rotation mov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가 그립 되고, 상기 바디의 너비방향을 축이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 경우,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게 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body is gripped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maintains a horizontal plane and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is chang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는 잠금장치 개방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으로 잠금장치 형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 이후,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열쇠 형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변경된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에 드래그 입력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열쇠가 잠금장치 내로 삽입되는 형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열쇠가 잠금장치로 삽입되는 형상이 출력된 이후,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열쇠가 회전하며 상기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based event is for lock opening;
The control unit is
After outputting the locking device shape as an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is gripped, the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is changed to a key shape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When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detected in the image for the changed rotation-based event, a shape in which a key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drag inpu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After the shape in which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is output,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vali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valid, the display unit outputs that the key is rotated and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영상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의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 내에서 진행되는 회전 기반 이벤트의 진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의 바디에 대한 기울기 및 그립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멀티 터치가 감지되고, 상기 멀티 터치가 감지된 지점의 면적이 소정의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바디가 그립 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바디가 그립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 축이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 경우,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변경된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에 드래그 입력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를 상기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입력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입력 대기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회전 움직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를 진행시키는,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ogress of a rotation-based event in the terminal based on an image output on a display unit by a terminal and a rotational movement input through a sensor unit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image,
outputting an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detecting touch and drag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detecting whether the terminal is tilted and gripped with respect to the body;
determining that the body is gripped when the multi-touch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rea of the point where the multi-touch is sens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body is gripped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maintains a horizontal plane and a predetermined angle range, changing the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and outputting it to the display unit; and
When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detected in the image for the changed rotation-based event, changing the terminal to a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for detecting the rotation movement,
When the rotation movement is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in the rotation input standby state, the rotation-based event is advanc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mov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그립되고, 상기 바디의 너비방향 축이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 범위를 유지한 경우,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body is gripped and the width direction axis of the body maintains a horizontal plane and a predetermined angle range, changing the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and outputting the image to the display unit, the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는 장금장치 개방에 대한 것이고,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잠금장치 형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바디가 그립된 이후, 상기 잠금장치 형상을 열쇠 형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회전 기반 이벤트가 열쇠 형상으로 변경된 이후, 드래그 입력이 추가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열쇠가 잠금장치로 내로 삽입되는 형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쇠가 잠금장치로 삽입되는 형상이 출력된 이후,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의 회전 움직임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열쇠가 회전하며 상기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진행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tion-based event is for lock open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image for the rotation-based event to the display unit,
outputting a locking device shape;
after the body is gripped, changing the locking device shape to a key shape and outputting it;
after the rotation-based event is changed to a key shape, when a drag input is additionally detected, outputting a shape in which a key is inserted into a lock in response to the drag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valid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sensed after a shape in which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device is outpu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dy is valid, the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o the display unit that the key is rotated and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KR1020190154860A 2019-11-27 2019-11-27 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5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60A KR102295245B1 (en) 2019-11-27 2019-11-27 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60A KR102295245B1 (en) 2019-11-27 2019-11-27 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758A KR20210065758A (en) 2021-06-04
KR102295245B1 true KR102295245B1 (en) 2021-08-30

Family

ID=7639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60A KR102295245B1 (en) 2019-11-27 2019-11-27 Terminal and event progress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2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0999A (en) * 2011-09-30 2013-05-02 Kddi Corp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177A (en) 2008-01-08 2009-07-13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to control mouse pointer and screen scroll with motion sensing
KR20170032205A (en) * 2015-09-14 2017-03-22 서용창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event based tilt
KR20190017280A (en) * 2017-08-10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0999A (en) * 2011-09-30 2013-05-02 Kddi Corp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758A (en)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714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17525B1 (en) Pro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089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536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122307B2 (en) Advanced remote control of host application using motion and voice commands
KR10215273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13710B2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using a stereoscopic 3D pointer on a stereoscopic 3D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2212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80150204A1 (en) Switching of active objects in a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20170322623A1 (en) Combining gaze input and touch surface input for user interfaces i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KR10224725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80321493A1 (en) Hm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8034969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58043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6006263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603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099834B1 (en) Electr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5998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23138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7126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247170B1 (en) Mobile terminal
US20220272185A1 (en) Mobile terminal
KR20200034388A (en) Mobile terminal
US20220291829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KR10213537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