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05B1 -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05B1
KR102295205B1 KR1020190043456A KR20190043456A KR102295205B1 KR 102295205 B1 KR102295205 B1 KR 102295205B1 KR 1020190043456 A KR1020190043456 A KR 1020190043456A KR 20190043456 A KR20190043456 A KR 20190043456A KR 102295205 B1 KR102295205 B1 KR 10229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power supply
identification switch
pow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1013A (en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to KR102019004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05B1/en
Publication of KR2020012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을 통해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와 전원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공급 매체의 해당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전원 수급 기기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원을 분배 및 공급하는 전원 공급 매체 및 상기 전원 공급 매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고 전원 수급 기기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매체를 통해 분배 및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타측에 연결되는 전원 수급 기기에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제5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상기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제5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상기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and in particular, a power supply medium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in which one of the identification switches is turned on When operating in this state, by configuring so that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further through the buzzer,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to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is It makes it simple and clear whether i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device, and thus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power supply devices corresponding to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and supplies power. Identification function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separation and connection of the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and supplies power It relates to a power supply having a.
The constituent means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 supply device, a power supply medium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applied pow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form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Among them, one end is connected to any one connection channe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device, and it comprises a power cable for supplying power distributed and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medium to a powe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 The power supply medium has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power cable An identification swit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supply medium, and a fifth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provided, or the power supply medium is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and an identification switch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and the power supply medium includes a fif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the power cable The other side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Description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을 통해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와 전원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공급 매체의 해당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전원 수급 기기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and in particular, a power supply medium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in which one of the identification switches is turned on When operating in this state, by configuring so that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further through the buzzer,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to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is It makes it simple and clear whether i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device, and thus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power supply devices corresponding to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and supplies power. Identification function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separation and connection of the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and supplies power It relates to a power supply having a.

각종 전자제품 또는 다양한 장비 등이 해당하는 기존의 상용 전원 수급 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1)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1)은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공급하는 기존의 상용 전원 공급 매체(2)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수급 기기(3)에 전원을 공급한다(도 1 참조).The existing commercial power cable 1 is used to supply power to the existing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 3 corresponding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In addition, the existing commercial power cable 1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commercial power supply medium 2 that receives and supplies commercial power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device 3 (see FIG. 1 ).

구체적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 공급 매체(2), 여기에 일측이 연결되는 상용 전원 케이블(1) 및 상기 상용 전원 케이블(1)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상용 전원 수급 기기(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1)은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분배 및 공급하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 등의 상용 전원 공급 매체(2)와 상기 각종 전자제품 등의 상용 전원 수급 기기(3) 사이를 연결하여 직접 상기 각종 전자제품 등의 상용 전원 수급 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1)은 멀티 콘센트에 해당하는 상용 전원 공급 매체(2)(도 1의 (a) 참조) 또는 전원 분배기(2)(도 1의 (b) 참조)와 상기 각종 전자제품 등의 상용 전원 수급 기기(3)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각종 전자제품 등의 상용 전원 수급 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general power supply is a commercial power supply medium (2), a commercial power cable (1) having one side connected thereto, and the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 (3)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mmercial power cable (1) ) is composed of Here, the conventional commercial power cable 1 is between a commercial power supply medium 2 such as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that receives, distributes and supplies commercial power and a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 3 such as the various electronic products. Directly supply power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 3 such as various electronic products by connecting The various electronic products by connecting the medium 2 (refer to (a) of FIG. 1) or the power distributor 2 (refer to (b) of FIG. 1) and the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 3 such as the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t is used to supply power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 3, such as.

각종 전자제품들에 해당하는 상용 전원 수급 기기(3)들을 사용하면서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 등의 상용 전원 공급 매체(2)에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가 어떤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플러그인지를 쉽게 식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 이설이나 추가 장비 증설 또는 유지보수시 다른 플러그를 뽑아 고장의 원인 또는 불편사항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f you cannot easily identify which electronic product the power plug used for the commercial power supply medium 2, such as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s used for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s (3) corresponding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malfunction or inconvenience by pulling out other plugs when moving computers or expanding or maintaining additional equipment.

가정에서 멀티 콘센트는 미관상 이유로 구석진 바닥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멀티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제품인 컴퓨터, 프린터기, 모니터, TV 등과 멀리 떨어져 있으며, 사용되는 모든 상용 전원 케이블(1)들은 상호 식별이 어려운 검은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특정 전자제품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유지보수, 증설, 이설시 많은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t home, the multi-outlet is installed on the floor in a corner for aesthetic reasons, the multi-outlet is far away from commonly used electronic products such as computers, printers, monitors, TVs, etc., and all commercial power cables (1) used are difficult to identify each other. Since it is made of black color, it is not possible to simp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plug of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a specific electronic product,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effort, and cost are required for maintenance, expansion, and relocation.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 현장이나 전산실에 사용시, 전원 케이블들을 포함한 기존의 전원 공급 장치는 정리되지 않은 채로 사용되거나(도 2의 (a) 참조) 또는 선 정리를 위하여 장비 랙에 케이블 타이로 결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도 2의 (b) 참조).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도, 해당 전원 케이블을 찾기 위해서는 케이블 타이 결박을 풀어서 찾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작업이 끝나면, 다시 선들을 결박하여 정리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used in an industrial site or computer room, the existing power supply including power cables is used unorganized (see (a) of FIG. 2) or in an equipment rack for line arrangement. It is generally fastened with a cable tie (see Fig. 2 (b)). However, even in the latter case, in order to find the corresponding power cabl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untying the cable tie to find it, so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time, effort, and cost are required.

사용되는 전자제품들 또는 허브 등 각종 장비들을 비정상적으로 종료시키거나 작동중인 전원 플러그를 뽑아 버리면, 전자제품 등이 고장 나거나 데이터가 날아가고, 더 나아가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고 오류가 발생하며, 대단위 사업장일수록 큰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f various equipment such as electronic products or hubs used are abnormally shut down or the power plug is unplugged, electronic products, etc., break down or data is lost, furthermore, network connection is cut off and errors occur. There is a problem of loss.

기존에는 연결된 전원케이블을 쉽게 찾기 위한 방편으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8823호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7843호에서는 전원 케이블에 네임 타이를 체결하는 방법, 스티커를 붙이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존 방법들은 인쇄물이 시간이 흐르면서 먼지가 쌓이고 지워지면서 네임을 알아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유지보수시 전원 플러그를 해당 콘센트에 인입 하지 않고 작업자의 마음대로 편리한 빈 콘센트에 인입하여 네임 타이나 스티커의 부착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무용지물이 되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In the past, as a way to easily find the connected power cable,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8823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7843, a method of fastening a name tie to a power cable and a method of attaching a sticker are used. However, in the existing methods such as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ame cannot be recognized as dust accumulates and is erased over time. However, it becomes a useless object that does not achieve the purpose of attaching the sticker,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ffectiveness is lowered.

선행기술문헌 1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8823호(공고일자 : 2002년 06월 21일, 고안의 명칭 : 절전 스위치 내장 및 색상띠 표시형 교류 전원 프러그)Prior Ar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8823 (Announcement Date: June 21, 2002, Name of Design: Built-in power saving switch and color band display type AC power plug) 선행기술문헌 2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7843호(공고일자 : 2003년 06월 27일, 고안의 명칭 : 케이블 식별용 라벨링)Prior Ar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7843 (Announcement Date: June 27, 2003, Name of Design: Labeling for Cabl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을 통해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와 전원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공급 매체의 해당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mong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one of a power supply medium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through any one connection channel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identification light is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the identification sound is further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It makes it simple and clear to identify which power supply device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to, and, thereby, a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specific power supply devices corresponding to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to supply power. It can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nd furthermore,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separation and connection of the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such as electronic products or various equipment and supplies pow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 매체와 별개로, 전원 케이블의 양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전원 케이블의 양측인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원 공급 매체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원 공급 매체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tly of the power supply medium,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an on state on one of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further through the buzzer By configuring so as to generate an identification sound,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clear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power cable. It can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th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that can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power cables.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케이블의 콘센트 플러그 및 소켓 플러그에 식별 기능을 위한 식별 스위치 및 발광부 그리고 부저부를 내장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이와 별개로 식별 기능을 위한 식별 스위치 및 발광부 그리고 부저부를 기존 상용 전원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 및 소켓 플러그 어댑터에 구비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고,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소요 비용이 절약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embedding an identification switc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buzzer for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an outlet plug and a socket plug of a power cable, and separately, an identification switch and a light emitting unit and a buzzer for an identification function for an existing commercial power supply By configuring it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an outlet plug adapter and a socket plug adapter tha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a cable, the user's choice can be widened, and the user's cost by allowing the existing commercial power cable to be utilized as i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that enables this to be sav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원을 분배 및 공급하는 전원 공급 매체 및 상기 전원 공급 매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고 전원 수급 기기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매체를 통해 분배 및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타측에 연결되는 전원 수급 기기에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제5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상기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제5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상기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stituent means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in the power supply device, a power supply medium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applied power, and the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form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one side is connected to any one connection channel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power distributed and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medium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cable for supplying to the, the power supply medium is provided with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by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or an identification swit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and the power supply medium is provided with a fif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or , The power supply medium has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has an identification switch, the power supply medium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A fifth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and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여기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내부에 심선들이 배치되는 전원 코드, 상기 전원 코드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플러그 및 상기 전원 코드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센트 플러그는 제1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소켓 플러그는 제2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콘센트 플러그는 제1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는 제2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 플러그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ower cabl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cord having core wires disposed therein, an outl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ord, and a sock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ord, the outlet plug i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is provided, and the socket plug has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socket plug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wherein the outlet plug ha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outlet plug ha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ocket plug ha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outlet plug ha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ocket plug includ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witch.

또한, 상기 전원 케이블은 내부에 심선들이 배치되는 전원 코드, 상기 전원 코드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플러그, 상기 전원 코드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 상기 콘센트 플러그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플러그 기능을 갖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 및 상기 소켓 플러그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플러그 기능을 갖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cable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power cord having core wires disposed therein, an outl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ord, a sock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ord, and the outlet plug. an outlet plug adapter having a plug function and a socket plug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and having a plug function, wherein the outlet plug adapter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ocket plug adapter includes the first 3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or the socket plug adapter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outlet plug adapter include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 third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outlet plug adapter is provided, or the outlet plug adapter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ocket plug adapter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The outlet plug adapter includes a thir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ocket plug adapter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ly.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을 통해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와 전원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전원 공급 매체의 해당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or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the power supply medium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In the middle,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identification light is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is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of the power supply medium It makes it simple and clear to identify which power supply device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nnel is connected to. It can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the power cable that supplies it, and furthermore, it is connected to a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or various equipment, and unexpected results caused by improper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the power cable supplying power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공급 매체와 별개로, 전원 케이블의 양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전원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전원 케이블의 양측인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원 공급 매체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원 공급 매체에 식별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와 별개로 특정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from the power supply medium,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an on state on one of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and furthermore, a buzzer Since it is configured so that an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unit,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clear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power cable.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power cable that is connected to and supplies power to the power supply device can be reduced, and furthermore,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a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regardless of whether the power supply medium has an identification func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losses due to incorrect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of the power cable that supplies pow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케이블의 콘센트 플러그 및 소켓 플러그에 식별 기능을 위한 식별 스위치 및 발광부 그리고 부저부를 내장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이와 별개로 식별 기능을 위한 식별 스위치 및 발광부 그리고 부저부를 기존 상용 전원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 및 소켓 플러그 어댑터에 구비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고,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소요 비용이 절약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switc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buzzer for the identification function may be built-in to the outlet plug and the socket plug of the power cable and implemented, and separately, the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buzzer for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re conventionally installed. Since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an outlet plug adapter and socket plug adapter tha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cable, it can broaden the user's choice and allow the user to utilize the existing commercial power cable as it is.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도 1은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기존 랙에 적용된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1 사용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2 사용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2 통신 방식(PLC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3 통신 방식(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에 적용되는 제1 형태의 전원 케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적용되는 전원 케이블의 제1 통신 방식(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적용되는 전원 케이블의 제2 통신 방식(PLC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9에 적용되는 전원 케이블의 제3 통신 방식(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에 적용되는 제2 형태의 전원 케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적용되는 전원 케이블의 제1 통신 방식(PLC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적용되는 전원 케이블의 제2 통신 방식(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wer supply including a conventional commercial power cable.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of a power supply including a conventional commercial power cable applied to the existing rack.
3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irst us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PLC communication method)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type of power cable applied to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of the power cable applied to FIG. 9 .
11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PLC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wer cable applied to FIG. 9 .
12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third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wer cable applied to FIG. 9 .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type of power cable applied to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PLC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wer cable applied to FIG. 13 .
15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wer cable applied to FIG. 13 .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Where certain embodiments are otherwise feasi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의 구성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인가되는 전원을 분배 및 공급하는 전원 공급 매체(200) 및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고 전원 수급 기기(300)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를 통해 분배 및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타측에 연결되는 전원 수급 기기(300)에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power supply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medium 200 and the power supply medium 200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he applied power.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formed, one side is connected to any one connection channel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 and the power distributed and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cable 100 for supplying the supply device (300).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는 배전반, 분전반, 누전 차단기 등 외부 전원 인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분배하고 공급하는 매체로서, 복수의 전원 수급 기기(300)들에게 상기 전원 케이블(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의 연결 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a medium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power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application device such as a switchboard, a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an earth leakage breaker, and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power supply devices 300 through the power cable 100 . It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to supply.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는 멀티콘센트 또는 전원분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가 멀티콘센트인 경우의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의 사용 형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가 전원분배기인 경우의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의 사용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preferably a multi-outlet or a power distributor. 4 shows the use of a power supply device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wh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a multi-outlet, and FIG. 5 is a case in which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a power distributor. Shows the usage form of the power supply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of

상기 멀티콘센트 또는 전원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는 복수의 전원 수급 기기(300)들에게 전원을 분배하고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원 케이블(1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 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 채널은 예를 들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가 멀티콘센트인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210)가 해당되고,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가 전원분배기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10)가 연결되는 소켓 인터페이스(도 7 및 도 8에서 제3 소켓 인터페이스로 도면 부호 66으로 표기됨)가 해당된다.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splitter distributes and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power supply devices 300,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so that a plurality of power cables 100 can be connected. is provided. The connection channel is,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a multi-outlet, as shown in FIG. 4 , the insertion hole 210 corresponds, and wh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a power distributor, As shown in FIG. 5 , a socket interfac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66 as a third socket interface in FIGS. 7 and 8 ) to which the outlet plug 10 of the power cable 100 is connected corresponds.

도 4에서 전원 공급 매체(200)로서 보여주고 있는 상기 멀티콘센트는 4개의 연결 채널, 4개의 삽입구(2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도 5에서 전원 공급 매체(200)로서 보여주고 있는 상기 전원분배기는 8개의 연결 채널, 8개의 제3 소켓 인터페이스(도 7 및 도 8에서 도면 부호 66으로 표기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The multi-outlet shown as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n FIG. 4 exemplifies that it has four connection channels and four insertion holes 210 , and is shown as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n FIG. 5 . The power distributor exemplifies that the power distributor has 8 connection channels and 8 third socket interface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66 in FIGS. 7 and 8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는 복수의 연결 채널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연결 채널 각각에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은 해당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을 통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로부터 전원을 분배 및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제품 등 각종 장비가 해당될 수 있고, 도 4 및 도 5에서는 프린터, PC, 모니터, 허브, 스토리지, NVR, 허브 등 다양한 장비를 예시하고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are form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and the power cable 100 . The other end of the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device 300 . The power supply device 300 may correspond to various equipment such as electronic products that can operate by receiving and distribu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medium 200 through the power cable 100 , and FIGS. 4 and 5 . shows various devices such as printers, PCs, monitors, hubs, storage, NVRs, and hubs.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와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 사이에서 해당 연결된 전원 수급 기기(3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은 일측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채널 중, 특정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된다.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and the power supply device 300 has a plurality of sides form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 Among the connection channels, it is connected to a specific o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타측이 연결된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특정 연결 채널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ower supply device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dium 200 . Among the formed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ich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s connec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을 통해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200)와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device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the on state on one side,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part on the other side, and further,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buzzer part do.

본 발명에 따른 1차적인 식별 기능은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서 광을 발산하는 형태로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이에 더해서 부저를 울리는 형태로 부저 음을 청각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서 광을 발산하는 형태로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이에 더해서 부저를 울리는 형태로 부저 음을 청각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2차적인 식별 기능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양측 사이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송수신하여 전원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후술하겠다.The primary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nd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from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hannel,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It is implemented in a way that visually expresses the identification light in the form of emitting light from the other side of 100 and aurally expresses the buzzer sound in the form of sounding a buzzer in addition, or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at becomes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aurally expresses the buzzer sound in the form of sounding a buzzer.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power cable can be identifi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between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100 .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이란 1차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 또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또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서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반응하여 식별 광, 더 나아가 식별 음이 표출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채널과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 사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00)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타측 또는 일측에서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반응하여 식별 광, 더 나아가 식별 음이 표출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전원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전원 케이블의 양측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특정 전자제품 등에 해당하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00)의 플러그가 멀티콘센트 또는 전원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s such,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imarily,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or the power cable 100,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or the power supply medium (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n 200), the identification light,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is expressed, so that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between the specific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and the power supply device 300 is facilitated Corresponds to a function that can be identified, and secondly, whe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send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e other side or one side 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further identification sound By being, it corresponds to a function that allows a user or operator to easi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power cable. Therefore, the user or operator can determine which connection channel ( I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whether it is plugged into the insertion hole.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ree main forms.

첫째, 제1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는 제5 식별 스위치(61)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30)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도 4 내지 도 8에서는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에 해당하는 도면 부호 33으로 예시하고 있음)를 구비한다.First,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power supply medium 200 has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 and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plug 30 is turned on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illustrated by reference numeral 3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n FIGS. 4 to 8 ) is provided.

상기 제1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소켓 플러그(30), 즉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 예를 들어 콘센트 플러그(10)가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식별 스위치(6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전자제품 등의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에,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이 어느 전자제품,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 등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is implemented in that wh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send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e socket plug 30, ie,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emits light. am.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a fifth identification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to which the outlet plug 10 is connected When a worker or a user operates the switch 61 in an on state, one side of the sam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a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for example, a socket plug 3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eg,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 provided in the .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the user can determine which electronic product,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etc., the power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s connected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둘째,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도 4 내지 도 8에서는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에 해당하는 도면 부호 31로 예시하고 있음)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는 상기 식별 스위치(3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63)를 구비한다.Second, according to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an identification switch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llustrated by reference numeral 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n FIGS. 4 to 8 ) and,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ncludes a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31 .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식별 스위치(예를 들어 제2 식별 스위치(3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발광부(6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00)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socket plug 30 side. It is a form implemented by light emission from the power supply medium 200 side. Specifically,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for example, an identification switch (eg,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the worker Alternatively, when the user operates in the on state, the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An identification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can easily determine which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that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plugged into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and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셋째, 제3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는 제5 식별 스위치(61)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도 4 내지 도 8에서는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에 해당하는 도면 부호 31로 예시하고 있음)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는 상기 식별 스위치(예를 들어 제2 식별 스위치(3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63)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도 4 내지 도 8에서는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에 해당하는 도면 부호 33으로 예시하고 있음)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도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형태에 해당한다.Third,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the power supply medium 200 has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and an identification switch (socket plug 30 in FIGS. 4 to 8 )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illustrated by reference numeral 31 corresponding to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in the A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llustrated by reference numeral 3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n FIGS. 4 to 8 ) is provided.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the form shown in FIGS. 4 to 8 .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구현 형태와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식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편의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an implementation form that can perform both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and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Therefore, it corresponds to the most preferable implementation form because the user or operator can widen the range of choice and can select and use according to convenience.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이 연결된 특정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is expressed by light emiss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socket plug 30 side wh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send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socket plug 30 side, the power supply medium ( 200) includes all forms that are implemented by light emission from the side.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상기 특정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특정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식별 스위치(6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100)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rd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that the operator or user turns on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n response to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ecific power cable 100 . When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other side of the sam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eg,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 ) can implement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can determine which power supply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100 plugged into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또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식별 스위치(예를 들어, 제2 식별 스위치(3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특정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발광부(6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00)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 for example, an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for example, the second identification When the operator or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31) in an on state, a fifth light emitting unit ( 63),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can easily determine which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that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plugged into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and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상기 제1 구현 형태, 제2 구현 형태 및 제3 구현 형태들은 모두 사용자 및 작업자가 전원 케이블(100)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지만, 사용 또는 작업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상기 제3 구현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and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all allow a user and an operator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power cable 100, but redu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r operator according to use or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8 is most preferred.

상기 제1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는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가 구비되는데, 부저부(예를 들어 제2 부저부(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내지 도 8 참조).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부저부(예를 들어 제2 부저부(3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100)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socket plug 30,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art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a buzzer part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is provided. 2 buzzer part 35)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see FIGS. 4 to 8). Therefore,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onfirm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socket plug 30 side, and further Furthermore, the power cable 100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sounded from the buzzer (eg, the second buzzer 35).

또한, 상기 제2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는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5 발광부(63)가 구비되는데, 제5 부저부(6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내지 도 8 참조).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 측에서 특정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5 발광부(6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5 부저부(6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100)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provided with a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connection channel, it is preferable that a fifth buzzer unit 65 is further provided. (See FIGS. 4 to 8). Accordingly,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onfirm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formed in response to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o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side, and furthermore, the fifth buzzer unit 65 .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power cable 100 by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sounded from the .

또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는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5 발광부(63)가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는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가 구비되는데,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는 상기 제5 부저부(65)가 더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는 상기 부저부(예를 들어 제2 부저부(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provided with a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channel,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for example, a socket The plug 30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As shown in FIGS. 4 to 8 ,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ncludes the fifth buzzer 65 . is further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socket plug 3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the buzzer (for example, the second buzzer part 35).

따라서,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부저부(예를 들어 제2 부저부(3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100)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식별 스위치(예를 들어 제2 식별 스위치(3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 측에서 제5 발광부(6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5 부저부(6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100)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response to each connection channel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user or operator is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from the socket plug 30 side is visually confirmed and further the buzzer part (for example, the second buzzer part 35) ), the power cable 100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from the ), and on the contrary, the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for example, the socket plug 30 ( For example, a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emit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o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side. The power cable 100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confirming and further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sounded from the fifth buzzer 65 .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발광부(63) 및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는 각각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가 멀티콘센트인 경우에, 상기 제5 발광부(63)는 각 연결 채널, 즉 각 삽입구(210)의 주변을 따라 원형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가 전원분배기인 경우에, 상기 제5 발광부(63)는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순서대로 적절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발광부(예를 들어 제2 발광부(33))는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의 둘레는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eg,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 (3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L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 wh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a multi-outlet,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is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along the periphery of each connection channel, that is, each insertion hole 210 . As shown in FIG. 5 , whe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a power distributor,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is preferably arranged in an order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channel. do.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to 8 , each of the light emitting parts (eg,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socket plug 30 .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along the line.

또한,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기 제5 부저부(65) 및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부저부(예를 들어 제2 부저부(35))는 각각 압전 부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 예를 들어 소켓 플러그(30)의 외측으로 부저 음을 발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fth buzzer part 65 provided in response to each connection channel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for example, the buzzer part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 (For example, the second buzzer part 35)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iezoelectric buzzer element, respectively,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and the power cable 100, respectively, for example, a socket plug 30 ) is preferably formed in a form that can emit a buzzer sound to the outsid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의 구현 형태들에서,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제5 식별 스위치(61), 제5 발광부(63) 및 제5 부저부(65)는 세트로 구성되어 각각의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즉,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제5 식별 스위치(61), 제5 발광부(63) 및 제5 부저부(65)가 세트로 구성된다.In the implementation forms of the power supply device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 ) and the fifth buzzer 65 are provided in a set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channel. That is,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 the fifth light emitting part 63 , and the fifth buzzer part 65 are configured as a set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channel.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의 구현 형태들에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은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소켓 플러그(30)인 것을 예시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식별 스위치, 발광부 및 부저부 역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내장 또는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31), 제2 발광부(33) 및 제2 부저부(35)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은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소켓 플러그(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면 부호 40으로 표기됨)인 것으로 적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식별 스위치, 발광부 및 부저부 역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에 내장 또는 구비되는 제4 식별 스위치(41), 제4 발광부(43) 및 제4 부저부(45)인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mplementation forms of the power supply device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4 to 8 ,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the power cable 100 ) to illustrate that it is a socket plug 30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identification switch,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buzzer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are also built-in or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 Although the 2 identification switch 31,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are exemplified as being,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a socket plu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30) can be applied as a socket plug adapter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0 in FIGS. 13 to 15)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30), and as a result, the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light emitting The part and the buzzer part are also, as shown in FIGS. 13 to 15,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a fourth light emitting part ( 43) and the fourth buzzer 45 may be applied.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식별 스위치(6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 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소켓 플러그(30) 또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33) 또는 제4 발광부(43) 및 제2 부저부(35) 또는 제4 부저부(4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When the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n an on state,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Then,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45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are provided. is operated to emit an identification light, respectively, and an identification sound, which is a buzzer sound, is sounded.

반대로,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 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31) 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발광부(63) 및 제5 부저부(6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Conversely,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by the user or operator When operated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hannel. Then,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and the fifth buzzer 65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are operated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that is a buzzer sound,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상기 전원 코드(50)에 의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송된다. 즉,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코드(50)인 유선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도 전송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 또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 또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 또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를 동작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또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특정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by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power cord 50 of the power cable 100 . That i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 which is the power cord 50 ,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pecifically,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or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or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hannel through can be transmitted to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1 통신 방식(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2 통신 방식(PLC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3 통신 방식(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즉, 도 6 및 도 7은 전원 코드(50)를 통한 유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도 8은 무선 모뎀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세 구현 형태 중, 제3 구현 형태에 대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구현 형태에서,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이 소켓 플러그(30)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은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4 식별 스위치(41), 제4 발광부(43) 및 제4 부저부(45)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가 적용될 수 있다.6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PLC communication method)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It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FIGS. 6 and 7 show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power cord 50, and FIG. 8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wireless modem. In particular, FIGS. 6 to 8 show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third implementation form among three implementation forms of a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FIGS. 6 to 8 illustrate that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the socket plug 30 i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FIGS. 13 to As shown in FIG. 15 ,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ocket plug 30 , and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a fourth inside are attached thereto. The socket plug adapter 40 having a buzzer 45 may be appli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여기서는 콘센트 플러그(10)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여주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가 적용될 수 있음)과 연결 채널(삽입구(210) 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여주는 제3 소켓 인터페이스)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제5 식별 스위치(61), 제5 발광부(63) 및 제5 부저부(65)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제2 식별 스위치(31), 제2 발광부(33) 및 제2 부저부(35)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6 , the power supply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here, the outlet plug 10 is exemplified, but FIGS. 13 to The fifth to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hrough the outlet plug adapter 20 shown in Fig. 15 can be applied) and the connection channel (the insertion hole 210 or the third socket interface shown in Figs. 7 and 8)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switch 61 , a fifth light emitting part 63 , and a fifth buzzer 65 , a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3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 a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a second buzzer part 35 are provided.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은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가 대체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는 제4 식별 스위치(41), 제4 발광부(43) 및 제4 부저부(45)를 구비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 플러그(10)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여주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가 적용될 수 있다.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socket plug adapter 4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ocket plug 30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may be substituted, and in this case,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 and a fourth buzzer 45 are provided. Meanwhile, in FIG. 6 ,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exemplifies the outlet plug 10 as described above, but the outlet plug adapter 20 shown in FIGS. 13 to 15 may be applied.

도 6에 도시된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는 유선인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전원 코드(50)를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는 일반적인 전원 코드에서 포함하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 이외에,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에 연결되는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과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에 연결되는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shown in FIG. 6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the power cord 50 of the power cable 100 , which is wired. To this end, the power cord 50 includes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included in a general power cord, in addition to the firs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11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은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에서 발생한 식별 스위치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하며,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에서 발생한 식별 스위치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케이블(100)의 전원 코드(50)는 다섯 라인의 심선으로 구성된다.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the core wire to be transmitted,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generated by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channel.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is a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corresponds to the core wire through which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That is, the power cord 50 of the power cable 1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s composed of five core wires.

도 6의 회로 구성에서, 각 연결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는 일단이 연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핫 라인(53)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은 일단이 연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 각각은 일단이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성 라인(52)에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6 , one end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channel is connected to the hot line 53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through a channel. In addi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It is connected to the provided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fourth buzzer part 45 ). In addition, each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45) has one end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5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52).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특정 연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핫 라인(53)과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고, 이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에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a user or operator turns on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 the hot line 53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ar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 and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 (45)). As a resul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35 ( Alternatively, the fourth buzzer 45)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and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또한, 도 6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는 일단이 상기 핫 라인(5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은 타단이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단과 연결 채널을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발광부(63)와 상기 제5 부저부(6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5 발광부(63)와 상기 제5 부저부(65) 각각은 타단이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중성 라인(52)에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6 ,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The switch 41 )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ot line 5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 In addi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has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and connects one end of the power cable 100 and a connection channel. It is connected to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and the fifth buzzer 65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that are connected through each other. In addition, each of the fifth light emitting part 63 and the fifth buzzer part 65 has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52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핫 라인(53)과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고, 이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발광부(63)와 상기 제5 부저부(65)에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5 발광부(63)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5 부저부(65)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by a user or operator When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hot line 53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ar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 and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and a channel is transmitted to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and the fifth buzzer 65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hrough As a result,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fth buzzer 65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is supplied and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the buzzer sounds.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도 7에서는 콘센트 플러그(10)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 콘센트 플러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여주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가 대체 적용될 수 있음)과 연결 채널을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제5 식별 스위치(61), 제5 발광부(63), 제5 부저부(65) 및 제5 PLC 모뎀(67)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 및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을 구비한다.Next, as shown in FIG. 7 , the power supply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as an outlet plug 10 in one side (in FIG. 7 ) of the power cable 100 and However,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with the outlet plug adapter 20 shown in FIGS. 13 to 15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let plug 10 can be applied instead of the fifth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having an identification switch 61 , a fifth light emitting part 63 , a fifth buzzer part 65 and a fifth PLC modem 67 , a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Plug adapter 40)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45) and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PLC 모뎀(67)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 제5 발광부(63) 및 제5 부저부(6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코드(50)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 및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코드(50)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PLC 모뎀(6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A fifth PLC modem 67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internally includes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 ) and a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nnected to the fifth buzzer 65 and externally wired through the power cord 50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t performs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in the . In addition,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Internally,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The fifth PLC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the unit 45) and extern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by wire through the power cord 50 and a connection channel It performs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the modem 67 .

도 7에 도시된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유선인 전원 코드(50)를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PLC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전원 코드(5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매체로 사용된다.The power supply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shown in FIG. 7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PLC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power cord 50 . To this end, the power cord 50 includes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 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the transmitted core. The power cord 50 configured in this way is used as a mediu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도 7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1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PLC 모뎀(67)은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5 PLC 모뎀(67)은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7 , the fifth PLC modem 67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1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includes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fth PLC modem 67 is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It is possible to perform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and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45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5 PLC 모뎀(67)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2 PLC 모뎀(37)(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부저부(4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a user or an operator turns on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When operating in this state, the fifth PLC modem 67 generate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nd the socket plug 3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provided in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Then, the second PLC modem 37 (the fourth PLC modem 47) that ha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and the second buzzer. The unit 35 (or the fourth buzzer 45) is operated. As a result,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buzzer part 4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45) corresponds to a buzzer sound. sounds an identification tone.

또한, 도 7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PLC 모뎀(6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PLC 모뎀(67)은 상기 제5 발광부(63)와 상기 제5 부저부(6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7 ,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4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and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is connected to the power cord It is possible to perform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the fifth PLC modem 67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using 50 as a medium, and the The fifth PLC modem 6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light emitting part 63 and the fifth buzzer part 65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2 PLC 모뎀(37)(또는 제4 PLC 모뎀(47))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PLC 모뎀(6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5 PLC 모뎀(67)은 상기 제5 발광부(63)와 상기 제5 부저부(6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5 발광부(6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5 부저부(6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31 ) ( Alternatively, when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second PLC modem 37 (or the fourth PLC modem 47) generate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nd the power cord 50 is transmitted to the fifth PLC modem 67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with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as a medium. Then, the fifth PLC modem 67 that ha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and the fifth buzzer 65 . As a result,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fth buzzer 6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도 7에서는 콘센트 플러그(10)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 콘센트 플러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여주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가 대체 적용될 수 있음)과 연결 채널을 통하여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제5 식별 스위치(61), 제5 발광부(63), 제5 부저부(65) 및 제5 무선 모뎀(69)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 및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을 구비한다.Next, as shown in FIG. 8 , the power supply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as an outlet plug 10 in one side (in FIG. 7 ) of the power cable 100 and However,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with the outlet plug adapter 20 shown in FIGS. 13 to 15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let plug 10 can be applied instead of the fifth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having an identification switch 61 , a fifth light emitting part 63 , a fifth buzzer part 65 and a fifth wireless modem 69 , a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Plug adapter 40)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a fourth buzzer 45) and a second radio modem 39 (or a fourth radio modem 49).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제5 무선 모뎀(69)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 제5 발광부(63) 및 제5 부저부(6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 및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코드(50)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무선 모뎀(6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A fifth wireless modem 69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includes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and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internally. ) and the second wireless modem connected to the fifth buzzer 65 and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externally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Internally,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The fifth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the buzzer 45) and extern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via a wired channel through the power cord 50 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modem 69 .

도 8에서 적용되는 무선 통신은 RFID, ZigBee, NFC, Sub-GHz, Wi-Fi, Bluetooth, Z-WAVE, 3G, 4G, 5G, LoRaWAN, Weightless, DASH7, 2.5G, FM 방식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5 무선 모뎀(69)과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 스위치 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lied in FIG. 8 corresponds to any one of RFID, ZigBee, NFC, Sub-GHz, Wi-Fi, Bluetooth, Z-WAVE, 3G, 4G, 5G, LoRaWAN, Weightless, DASH7, 2.5G, FM method. do. Accordingly, the fifth wireless modem 69 and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can transmit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o the other party using any one of th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have.

도 8에 도시된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는 무선 통신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하지만, 기본적인 전원 케이블(100)을 채택 적용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50)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The power supply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shown in FIG. 8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ut a basic power cable 100 is adopted. Accordingly, the power cord 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 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the transmitted core.

도 8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1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무선 모뎀(69)은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5 무선 모뎀(69)은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8 , the fifth wireless modem 69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1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includes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fth wireless modem 69 is a socket plug 3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using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or the socket plug adapter 40), and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4 wireless modem 4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45)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6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5 무선 모뎀(69)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33)(또는 제4 발광부(4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35)(또는 제4 부저부(4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a user or an operator turns on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1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When operating in this state, the fifth wireless modem 69 generate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nd uses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o generate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 It transmits to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the plug adapter 40). Then,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that ha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and the second The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45) is operated. As a result,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or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or the fourth buzzer part 45) corresponds to a buzzer sound. sounds an identification tone.

또한, 도 8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은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무선 모뎀(6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무선 모뎀(69)은 상기 제5 발광부(63)와 상기 제5 부저부(6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8 ,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r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4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or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and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is defin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fth wireless modem 69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fifth wireless modem 6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fth light emitting part 63 and the fifth buzzer part 65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또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또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2 무선 모뎀(39)(또는 제4 무선 모뎀(49))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연결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구비되는 상기 제5 무선 모뎀(69)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5 무선 모뎀(69)은 상기 제5 발광부(63)와 상기 제5 부저부(6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5 발광부(6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5 부저부(6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31 ) ( Alternatively, when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r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generate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o generate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transmission to the fifth wireless modem 69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rough a connection channel using the method. Then, the fifth wireless modem 69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and the fifth buzzer 65 . As a result, the fifth light emitting unit 6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fth buzzer 6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에 의하면,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을 통해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매체와 전원 케이블의 타측 중, 한쪽에서 식별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다른 쪽에서 발광부를 통해 식별 광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부저부를 통해 식별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전원 공급 매체의 해당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타측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들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비 등에 해당하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의 잘못된 분리 및 연결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vice 500 with the present inventor identification function described above, one of the power supply medium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is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part on the other side and the identification sound can be generated further through the buzzer,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A power supply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product or various equipment and supplies power by making it simple and clear to identify which power supply devic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ed power cable is connected to. It can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 required to find a cable, and furthermore, unexpected accidents an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osses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500)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케이블(1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원 케이블(100) 역시 식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100)를 구성하는 전원 케이블(100)에 관한 기술적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device 5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cable 1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That is, the power cable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identification function. 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power cable 100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device 1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의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내부에 심선들이 배치되는 전원 코드(50), 상기 전원 코드(5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플러그(10) 및 상기 전원 코드(50)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양측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에 식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wer cord 50 having core wires disposed therein, and an outl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ord 50 ( 10) and a socket plug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ord 50, and has an identification function on at least one or both of both sides.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은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타측에서 광을 발산하는 형태로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이에 더해서 부저를 울리는 형태로 부저 음을 청각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일측에서 광을 발산하는 형태로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이에 더해서 부저를 울리는 형태로 부저 음을 청각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이 상술한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식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연결 채널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어떠한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expresses the identification light in the form of emitting light from the other side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and in addition, a buzzer sound is expressed audibly in the form of sounding a buzzer In this way, or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e identification light is visually expressed in the form of emitting light from one side, and in addition, the buzzer sound is expressed aurally in the form of sounding a buzzer can be implemented as Therefore, since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described above, and can perform an identification func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ich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이란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타측 또는 일측에서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반응하여 식별 광, 더 나아가 식별 음이 표출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전원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양측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특정 전자제품 등, 즉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00)의 플러그가 멀티콘센트 또는 전원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from the other side or one side, the identification light,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is expressed, so that the user or operator corresponds to a function that can easi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power cable 100 . Therefore, the user or operator can determine which connection channel ( I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whether it is plugged into the insertion hole.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케이블(100)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ower cable 1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ree main forms.

첫째, 제1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콘센트 플러그(10)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30)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33)를 구비한다.First, according to a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outlet plug 10 ha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nd the socket plug 30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that emits light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상기 제1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콘센트 플러그(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3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form implemented in which the socket plug 30 side emits light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utlet plug 10 side. Specifically, the operator or the user turns on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of the power cable 100 plugged into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 stat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 .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ich power supply device 300 the power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s connected to. can be identified.

둘째,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소켓 플러그(30)는 제2 식별 스위치(31)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10)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13)를 구비한다.Second, according to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the socket plug 30 ha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and the outlet plug 10 is activa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and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콘센트 플러그(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3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꽂혀있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발광부(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form implemented in that when the socket plug 30 side send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e outlet plug 10 side emits light. Specifically, when a worker or a use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f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n an on state, the multi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plugged in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an outlet or a power distributor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s which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plugged into. can do.

셋째, 제3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콘센트 플러그(10)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30)는 제2 식별 스위치(31)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 플러그(10)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발광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30)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2 발광부(33)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형태에 해당한다.Thir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outlet plug 10 include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nd the socket plug 30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and the outlet plug 10 includes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ha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and the socket plug 30 includ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 11)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the form shown in FIG. 9 .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구현 형태와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식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편의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an implementation form that can perform both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and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Therefore, it corresponds to the most preferable implementation form because the user or operator can widen the range of choice and can select and use according to convenience.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콘센트 플러그(1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기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콘센트 플러그(1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socket plug 30 side emits light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utlet plug 10 side and the socket plug 30 side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utlet plug 10, it includes all forms implemented by light emission.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3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이 어느 전자제품 등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rd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 11) When the operator or user operates in an on stat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identifies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light emits ligh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which electronic product, etc., the power cable plugged into a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s connected. .

또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3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꽂혀있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발광부(1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of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turned on by an operator or user ) state, i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plugged in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the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which connection channel (insert hole) of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plugged in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상기 제1 구현 형태, 제2 구현 형태 및 제3 구현 형태들은 모두 사용자 및 작업자가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지만, 사용 또는 작업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도 9에 도시된 상기 제3 구현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and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all allow a user and an operator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power cable, but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r operator according to the use or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most preferred.

상기 제1 구현 형태에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는 제2 발광부(33)가 구비되는데, 제2 부저부(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2 부저부(3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ocket plug 30 is provided with a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 and preferably a second buzzer part 35 is further provided (see FIG. 10 ). Accordingly,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onfirm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from the socket plug 30 side and further audibly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sound from the second buzzer 35 . This enables easy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power cables.

또한, 상기 제2 구현 형태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는 제1 발광부(13)가 구비되는데, 제1 부저부(1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 측에서 제1 발광부(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부저부(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utlet plug 10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 preferably a first buzzer unit 15 is further provided (see FIG. 10 ). Accordingly,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from the outlet plug 10 side, and further audibly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sound from the first buzzer 15 . This enables easy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power cables.

또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는 제1 발광부(13)가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소켓 플러그(30)에는 제2 발광부(33)가 구비되는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는 상기 제1 부저부(15)가 더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소켓 플러그(30)에는 상기 제2 부저부(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utlet plug 10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 and at the same time the socket plug 30 is provided with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 FIGS. As shown in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uzzer part 15 is further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is further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at the same time. .

따라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소켓 플러그(30) 측에서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2 부저부(3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 측에서 제1 발광부(1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부저부(1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s operated in an on state, a user or an operator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at the socket plug 30 side The power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visually confirming the emitting identification light and further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sounded from the second buzzer 35, and vice versa,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A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onfirm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from the outlet plug 10 side and further The power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sounded from the first buzzer 15 .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발광부(13) 및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발광부(23)는 각각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와 상기 소켓 플러그(30)의 둘레는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23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may each include an LED, and are shown in FIG. 9 .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outlet plug 10 and the socket plug 30 is preferably formed in a band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부저부(15) 및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부저부(25)는 각각 압전 부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와 상기 소켓 플러그(30)의 외측으로 부저 음을 발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uzzer part 15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and the second buzzer part 25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may each include a piezoelectric buzzer element,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plug 10 and the socket plug 30 are formed in a form capable of emitting a buzzer sound to the outside.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식별 스위치(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33) 및 제2 부저부(3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When the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er cable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It is transmitted to the socket plug 30 formed in. Then,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the second buzzer 35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are operated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respectively, and to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that is a buzzer sound.

반대로,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제2 식별 스위치(3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발광부(13) 및 제1 부저부(1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Conversely, when the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he power cable It is transmitted to the outlet plug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Then,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and the first buzzer part 15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are operated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that is a buzzer sound,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코드(50)에 의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송된다. 즉,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코드(50)인 유선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도 전송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 또는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를 동작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소켓 플러그(30)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콘센트 플러그(10)로 전송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by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power cord 50 . That i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 which is the power cord 50 ,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pecifically,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31 is transmitted to the socket plug 3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or the outlet plug 10 formed on one side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제1 통신 방식(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제2 통신 방식(PLC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제3 통신 방식(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즉, 도 10 및 도 11은 전원 코드(50)를 통한 유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도 12는 무선 모뎀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세 구현 형태 중, 제3 구현 형태에 대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10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PLC communication method), and FIG. 12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the third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S. 10 and 11 show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power cord 50, and FIG. 12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wireless modem. In particular, FIGS. 10 to 12 show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third implementation form among three implementation forms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제1 식별 스위치(11), 제1 발광부(13) 및 제1 부저부(15)를 구비하고,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제2 식별 스위치(31), 제2 발광부(23) 및 제2 부저부(3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 10,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and a first to the outlet plug 10 corresponding to one side. One buzzer part 15 is provided,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23 ,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are provided on the socket plug 3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도 10에 도시된 전원 케이블은 유선인 전원 코드(50)를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는 일반적인 전원 코드에서 포함하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 이외에,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에 연결되는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과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에 연결되는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ower cable shown in FIG. 1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the wired power cord 50 . To this end, the power cord 50 includes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included in a general power cord, in addition to the firs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11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은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에서 발생한 식별 스위치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하며,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은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에서 발생한 식별 스위치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의 전원 코드(50)는 다섯 라인의 심선으로 구성된다.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a core wire through which is transmitted,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corresponds to a core wire through which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is transmitted,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corresponds to the core wire through which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is transmitted. That is, the power cord 50 of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is composed of five core wires.

도 10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는 일단이 상기 핫 라인(5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은 일단이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발광부(33)와 상기 제2 부저부(3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발광부(33)와 상기 제2 부저부(35) 각각은 일단이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성 라인(52)에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0 ,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ot line 5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 do. In addi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provided at the socket plug 30 at the other end. 2 is connected to the buzzer (35). In addition, each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52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핫 라인(53)과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5)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고, 이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발광부(33)와 상기 제2 부저부(35)에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33)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35)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an operator operat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n an on state, the hot line 53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The switch signal line 55 is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a power signal (eg, 220V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5 , and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and the second buzzer 35 . As a resul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35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is supplied and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the buzzer sounds.

또한, 도 10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는 일단이 상기 핫 라인(5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은 타단이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의 타단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 각각은 타단이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중성 라인(52)에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0 ,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ot line 5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 is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has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having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and one end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 1 is connected to the buzzer (15).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and the first buzzer part 15 has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52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핫 라인(53)과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56)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고, 이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에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부(13)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1 부저부(15)는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를 공급받아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an operato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n an on state, the hot line 53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A switch signal line 56 is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 and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 It is transmitted to one light 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 As a resul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receive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is supplied and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the buzzer sounds.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제1 식별 스위치(11), 제1 발광부(13), 제1 부저부(15) 및 제1 PLC 모뎀(17)을 구비하고,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제2 식별 스위치(31), 제2 발광부(33), 제2 부저부(35) 및 제2 PLC 모뎀(37)을 구비한다.Next, as shown in FIG. 11 ,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to the outlet plug 10 corresponding to one side. , a first buzzer unit 15 and a first PLC modem 17 ,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 and a second buzzer in the socket plug 3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A unit (35) and a second PLC modem (37) are provided.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PLC 모뎀(17)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 제1 발광부(13) 및 제1 부저부(1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코드(50)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 제2 발광부(33) 및 제2 부저부(3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코드(50)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PLC 모뎀(1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first PLC modem 1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and the first buzzer part 15, and externally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second PLC modem 3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by wire through the power cord 50 . In addition, the second PLC modem 3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and externally In general, power li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first PLC modem 1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by wire through the power cord 50 .

도 11에 도시된 전원 케이블은 유선인 전원 코드(50)를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PLC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전원 코드(5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매체로 사용된다.The power cable shown in FIG. 11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PLC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power cord 50 . To this end, the power cord 50 includes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 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the core line being transmitted. The power cord 50 configured in this way is used as a mediu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도 11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PLC 모뎀(17)은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PLC 모뎀(17)은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여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PLC 모뎀(37)은 상기 제2 발광부(33)와 상기 제2 부저부(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1 , the first PLC modem 1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nd the first PLC modem 17 is the power source Power lin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second PLC modem 3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by using the cord 50 as a medium, and the second PLC modem 37 include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1 PLC 모뎀(17)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2 PLC 모뎀(37)은 상기 제2 발광부(33)와 상기 제2 부저부(3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3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3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n an on state, the first PLC modem 17 is an identification switch A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PLC modem 3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Then, the second PLC modem 37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and the second buzzer 35 . As a resul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3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또한, 도 11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PLC 모뎀(37)은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PLC 모뎀(37)은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여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PLC 모뎀(1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PLC 모뎀(17)은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1 , the second PLC modem 3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and the second PLC modem 37 is Power lin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first PLC modem 1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and the first PLC modem 17 i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15)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2 PLC 모뎀(37)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PLC 모뎀(1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1 PLC 모뎀(17)은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부(1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1 부저부(1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n an on state, the second PLC modem 37 is an identification switch A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PLC modem 1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Then, the first PLC modem 17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 As a resul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rst buzzer 1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제1 식별 스위치(11), 제1 발광부(13), 제1 부저부(15) 및 제1 무선 모뎀(19)을 구비하고,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제2 식별 스위치(31), 제2 발광부(33), 제2 부저부(35) 및 제2 무선 모뎀(39)을 구비한다.Next, as shown in FIG. 12 ,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to the outlet plug 10 corresponding to one side. , a first buzzer unit 15 and a first wireless modem 19 ,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 and a second buzzer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3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a unit (35) and a second radio modem (39).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제1 무선 모뎀(19)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 제1 발광부(13) 및 제1 부저부(1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 제2 발광부(33) 및 제2 부저부(3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무선 모뎀(1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first wireless modem 1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13 and the first buzzer part 15 and externally the 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 In addition,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the second light emitting part 33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and externally In general, 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modem 1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

도 12에서 적용되는 무선 통신은 RFID, ZigBee, NFC, Sub-GHz, Wi-Fi, Bluetooth, Z-WAVE, 3G, 4G, 5G, LoRaWAN, Weightless, DASH7, 2.5G, FM 방식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무선 모뎀(19)과 상기 제2 무선 모뎀(39)은 상기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 스위치 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lied in FIG. 12 corresponds to any one of RFID, ZigBee, NFC, Sub-GHz, Wi-Fi, Bluetooth, Z-WAVE, 3G, 4G, 5G, LoRaWAN, Weightless, DASH7, 2.5G, FM method. do. Accordingly, the first wireless modem 19 and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may transmit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o the counterpart using any one of th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도 12에 도시된 전원 케이블은 무선 통신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하지만, 기본적인 전원 케이블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50)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The power cable shown in FIG. 12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ut performs a basic power cable function. Accordingly, the power cord 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 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the transmitted core.

도 12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무선 모뎀(19)은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무선 모뎀(19)은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무선 모뎀(39)은 상기 제2 발광부(33)와 상기 제2 부저부(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2 , the first wireless modem 1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 and the first wireless modem 19 is configured in advanc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using a 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include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 and the second buzzer part 35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식별 스위치(1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1 무선 모뎀(19)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2 무선 모뎀(39)은 상기 제2 발광부(33)와 상기 제2 부저부(3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발광부(3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부저부(3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an operator operates the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in an on state, the first wireless modem 19 is an identification switch A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using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n,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and the second buzzer 35 . As a resul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second buzzer 3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또한, 도 12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무선 모뎀(39)은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무선 모뎀(39)은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무선 모뎀(1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무선 모뎀(19)은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2 ,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 and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i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modem 1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may be performed using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irst wireless modem 19 may includ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15)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식별 스위치(3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2 무선 모뎀(39)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무선 모뎀(19)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1 무선 모뎀(19)은 상기 제1 발광부(13)와 상기 제1 부저부(1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발광부(1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1 부저부(1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an operator oper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30 in an on state, the second wireless modem 39 operates the identification switch A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modem 1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using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n, the first wireless modem 19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and the first buzzer unit 15 . As a resul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irst buzzer 1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의 구성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내부에 심선들이 배치되는 전원 코드(50), 상기 전원 코드(5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플러그(10), 상기 전원 코드(50)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30),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플러그 기능을 갖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및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플러그 기능을 갖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식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13,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cord 50 having core wires disposed therein, an outl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ord 50 ( 10), the socket plug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ord 50, the outlet plug adapter 20 and the socket plug 3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let plug 10 and having a plug function ) is detachably connected to and configured to include a socket plug adapter 40 having a plug function, wherein at least one or both of the outlet plug adapter 20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has an identification function, have.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은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타측에서 광을 발산하는 형태로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이에 더해서 부저를 울리는 형태로 부저 음을 청각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일측에서 광을 발산하는 형태로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이에 더해서 부저를 울리는 형태로 부저 음을 청각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가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양측이 상호 식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연결 채널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어떠한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expresses the identification light in the form of emitting light from the other side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and in addition, a buzzer sound is expressed audibly in the form of sounding a buzzer Implemented in this way, or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e identification light is visually expressed in the form of emitting light from one side, and in addition, the buzzer sound is expressed aurally in the form of sounding a buzzer can be implemented as In this way, the outlet plug adapter 2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 and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100 perform a mutual identification function. Because of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ich power supply device 300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is connected to.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별 기능이란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타측 또는 일측에서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에 반응하여 식별 광, 더 나아가 식별 음이 표출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전원 케이블의 양측이 동일한 전원 케이블의 양측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능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가 멀티 콘센트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from the other side or one side, the identification light, furthermore, the identification sound is expressed, so that the user or operator corresponds to a function that can easily identify whether both sides of the power cable are both sides of the same power cable. Therefore, the user or operator can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which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plug of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plugged into. have.

그런데,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상기 식별 기능이 상술한 제1 형태와 달리, 상기 콘센트 플러그(10),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콘센트 플러그(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된다.However, in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function is not provided in the outlet plug 10 and the socket plug 30, but in the outlet plug, unlike the first form described above. The outlet plug adapter 2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ocket 10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30 are provided.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는 도 14 및 도 1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10)가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소켓 인터페이스(26)를 타측에 구비하고,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삽입구, 도 7 및 8에서는 제3 소켓 인터페이스(66)로 표기함)에 꽂힐 수 있는 제1 플러그 인터페이스(28)를 일측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는 도 14 및 도 1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 플러그(30)에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플러그 인터페이스(48)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소켓 인터페이스(46)를 타측에 구비한다.As can be seen from FIGS. 14 and 15 , the outlet plug adapter 20 has a first socket interface 26 on the other side through which the outlet plug 10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multi outlet or power source. A first plug interface 28 that can be plugged into a connection channel (insertion hole, denoted as a third socket interface 66 in FIGS. 7 and 8)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or is provided on one side.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FIGS. 14 and 15 , the socket plug adapter 40 has a second plug interface 48 on one side to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30 , and the power supply A second socket interface 46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upply device 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식별 기능을 구비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를 각각 기존의 상용 전원 케이블의 콘센트 플러그(10)와 소켓 플러그(30)에 각각 접속하여 전원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사용 전원 케이블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전원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발휘된다.The power cable can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outlet plug adapter 20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to the outlet plug 10 and the socket plug 30 of the conventional commercial power cable, respectively. Therefor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figure the power cable while using the existing power cable as it is is exhibited.

상기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케이블(100)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역시 크게 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ower cable 100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ree major forms.

첫째, 제1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는 제3 식별 스위치(21)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43)를 구비한다.First,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outlet plug adapter 20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turns on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 and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

상기 제1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3 식별 스위치(1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4 발광부(3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특정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form that is implemented by displaying the light emission from the socket plug adapter 40 side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utlet plug adapter 20 side. Specifically,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1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of the power cable 100 that is plugged in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s operated by an operator or a user.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33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300 when operated in the on stat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can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ich power supply device 300 the power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s connected to. can be identified.

둘째,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23)를 구비한다.Second, according to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the socket plug adapter 40 ha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nd the outlet plug adapter 20 turns on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nd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꽂혀있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3 발광부(2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form that is implemented in that when the socket plug adapter 40 send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e outlet plug adapter 20 emits light. Specifically, when a worker or a user operate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of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n an on state,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plugged in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An identification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s which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plugged into. can do.

셋째, 제3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는 제3 식별 스위치(21)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23)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43)를 구비한다.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에 해당한다.Third, according to a third implementation form, the outlet plug adapter 20 ha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ha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nd the outlet plug adapter (20) includes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3 and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21 .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the form shown in FIG. 13 .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제1 구현 형태와 상기 제2 구현 형태에 따라 식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편의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해당된다.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corresponds to an implementation form that can perform both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and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Therefore, it corresponds to the most preferable implementation form because the user or operator can widen the range of choice and can select and use according to convenience.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 따른 식별 기능은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측에서 식별 스위치 신호를 보내면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측에서 발광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is a form implemented by expressing light emission from the socket plug adapter 40 side when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outlet plug adapter 20 side, and the socket plug adapter ( 40) When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sent from the side, the outlet plug adapter 20 includes all forms implemented in light emission.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10)에 구비되는 제3 식별 스위치(2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전자제품 등에 연결되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4 발광부(4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의 특정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 전원 케이블이 어느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refore, the third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10 of the power cable 100 plugged into a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n an on state by a worker or user When operated as ,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identific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an electronic produc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can easily determine which power supply device 300 the power cable plugged into the specific channel (insert port) of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is connected to. and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또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제3 구현 형태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케이블(100)의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연결 채널에 꽂혀있는 동일한 전원 케이블(100)의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2 발광부(23)에서 식별 광이 발광하는 식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특정 전원 수급 기기(3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멀티 콘센트 또는 전원 분배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공급 매체(200)의 어느 연결 채널(삽입구)에 꽂혀 있는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of the power cable 100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turned on ( on) stat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of the same power cable 100 plugged in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 outlet or power distributor ) can implement an identification func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s light. Through this, the operator or user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s which connection channel (insert port) of the power supply medium 200 corresponding to the multi-outlet or power distributor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specific power supply device 300 is plugged into. can do.

상기 제1 구현 형태, 제2 구현 형태 및 제3 구현 형태들은 모두 사용자 및 작업자가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지만, 사용 또는 작업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도 13에 도시된 상기 제3 구현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implementation form, the second implementation form, and the third implementation form all allow a user and an operator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power cable, but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r operator according to the use or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3 is most preferred.

상기 제1 구현 형태에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는 제4 발광부(43)가 구비되는데, 제4 부저부(4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참조).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측에서 제4 발광부(4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4 부저부(4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provided with a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 and preferably, a fourth buzzer part 45 is further provided (see FIG. 14 ). Accordingly,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onfirm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on the socket plug adapter 40 side, and further audibly audibles the identification sound from the fourth buzzer 45 . Power cables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recognition.

또한, 상기 제2 구현 형태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는 제3 발광부(23)가 구비되는데, 제3 부저부(2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참조).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측에서 제3 발광부(2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3 부저부(2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utlet plug adapter 20 is provided with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 and preferably, a third buzzer unit 25 is further provided (see FIG. 14 ). Accordingly,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confirm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on the side of the outlet plug adapter 20 , and further audibly audibles the identification sound from the third buzzer 25 . Power cables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recognition.

또한, 상기 제3 구현 형태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는 제3 발광부(23)가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는 제4 발광부(43)가 구비되는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10)에는 상기 제3 부저부(25)가 더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는 상기 제4 부저부(4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utlet plug adapter 20 is provided with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 and at the same time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provided with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 as shown in Fig. 14 . and as shown in FIG. 15 , the third buzzer 25 is further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10 , and the fourth buzzer 45 is further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be

따라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측에서 제4 발광부(4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4 부저부(4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가 온(on) 상태로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 측에서 제3 발광부(23)에서 발광하는 식별 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상기 제3 부저부(25)에서 울리는 식별 음을 청각적으로 인지하여 전원 케이블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is operated in an on state, a user or an operator can operate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from the socket plug adapter 40 side. ), it is possible to visually identify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power cable and further audibl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sound from the fourth buzzer 45 to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power cable, and vice versa, the socket plug adapter 40 A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on-state operates in an on state, the user or operator visually emits the identification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from the outlet plug adapter 20 side. The power cabl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dentified by checking and further audibl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sound sounded from the third buzzer 25 .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발광부(23) 및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발광부(43)는 각각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의 둘레는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and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may each include an LED, and FIG. 13 . As shown in, each of the outlet plug adapter 20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preferably formed in a band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또한,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부저부(25) 및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부저부(45)는 각각 압전 부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의 외측으로 부저 음을 발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buzzer 25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and the fourth buzzer 45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may each include a piezoelectric buzzer element, , each of the outlet plug adapter 20 and the socket plug adapter 40 are preferably formed in a form capable of emitting a buzzer sound to the outside.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3 식별 스위치(2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4 발광부(43) 및 제4 부저부(4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When the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er cable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he power cable It is transmitted to the socket plug adapter 40 formed on the other side. Then,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fourth buzzer 45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are operated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and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that is a buzzer sound, respectively.

반대로, 상기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제4 식별 스위치(4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식별 스위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3 발광부(23) 및 제3 부저부(25)가 동작되어 각각 식별 광을 발광하고 부저음인 식별 음을 울린다.Conversely, when the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in an on state,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power It is transmitted to the outlet plug adapter 20 formed on one side of the cable. Then, the third light emitting part 23 and the third buzzer 25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are operated to emit identification light, respectively, and to sound an identification sound that is a buzzer soun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코드(50)에 의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송된다. 즉,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상기 전원 코드(50)인 유선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도 전송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3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 또는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를 동작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원 케이블(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40)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로 전송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by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y the power cord 50 . That is,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 which is the power cord 50 ,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pecifically,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30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er cable 100 or the fourth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generated by operat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41 is a socket plug adapter 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100 or an outlet plug adapter formed on one side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 20) can be transmitt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제1 통신 방식(PLC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제2 통신 방식(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이다. 즉, 도 14는 전원 코드(50)를 통한 유선 통신 방식, 구체적으로 PLC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도 15는 무선 모뎀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세 구현 형태 중, 제3 구현 형태에 대한 회로 구성 블록도를 보여주고 있다.14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PLC communication method)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 It i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FIG. 14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specifically, a PLC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power cord 50, and FIG. 15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wireless modem. have. In particular, FIGS. 14 and 15 show a circuit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a third implementation form among three implementation forms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제3 식별 스위치(21), 제3 발광부(23), 제3 부저부(25) 및 제3 PLC 모뎀(27)을 구비하고,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제4 식별 스위치(41), 제4 발광부(43), 제4 부저부(45) 및 제4 PLC 모뎀(47)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 14,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to the outlet plug adapter 20 corresponding to one side, A third buzzer unit 25 and a third PLC modem 27 are provided, and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 and a fourth buzzer are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part 45 and a fourth PLC modem 47 .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3 PLC 모뎀(27)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 제3 발광부(23) 및 제3 부저부(2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코드(50)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PLC 모뎀(4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PLC 모뎀(47)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 제4 발광부(43) 및 제4 부저부(4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전원 코드(50)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PLC 모뎀(2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third PLC modem 2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 the third light emitting part 23 and the third buzzer part 25 and externally Power li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by wire through the power cord 50 . In addition,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fourth buzzer part 45 , Externally, power li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third PLC modem 2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by wire through the power cord 50 .

도 14에 도시된 전원 케이블은 유선인 전원 코드(50)를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PLC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전원 코드(5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매체로 사용된다.The power cable shown in FIG. 14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PLC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power cord 50 . To this end, the power cord 50 includes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 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the core line being transmitted. The power cord 50 configured in this way is used as a mediu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도 14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PLC 모뎀(27)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PLC 모뎀(27)은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여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PLC 모뎀(4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4 부저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4 , the third PLC modem 2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 and the third PLC modem 27 is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and the fourth PLC modem 47 is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43 and the fourth buzzer 45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3 PLC 모뎀(27)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PLC 모뎀(4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4 부저부(4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4 발광부(4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4 부저부(4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in an on state, the third PLC modem 27 is identified A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Then, the fourth PLC modem 47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and the fourth buzzer 45 . As a result,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ourth buzzer 4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또한, 도 14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PLC 모뎀(47)은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여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PLC 모뎀(27)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PLC 모뎀(27)은 상기 제3 발광부(23)와 상기 제3 부저부(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4 , the fourth PLC modem 47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nd the fourth PLC modem 4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can perform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PLC modem 2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and the third PLC modem 27 is the thir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part 23 and the third buzzer part 25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4 PLC 모뎀(47)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원 코드(50)를 매체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PLC 모뎀(2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3 PLC 모뎀(27)은 상기 제3 발광부(23)와 상기 제3 부저부(2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발광부(2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3 부저부(2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in an on state, the fourth PLC modem 47 is identified A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hird PLC modem 27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the power cord 50 as a medium. Then, the third PLC modem 27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and the third buzzer unit 25 . As a result,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third buzzer 2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원 케이블(100)은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제3 식별 스위치(21), 제3 발광부(23), 제3 부저부(25) 및 제3 무선 모뎀(29)을 구비하고,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제4 식별 스위치(41), 제4 발광부(43), 제2 부저부(45) 및 제2 무선 모뎀(49)을 구비한다.Next, as shown in FIG. 15 , the power cab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and a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to the outlet plug adapter 20 corresponding to one side. ), a third buzzer unit 25 and a third wireless modem 29, and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and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to the socket plug adapter 4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2 buzzers 45 and a second radio modem 49 are provided.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제3 무선 모뎀(29)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 제3 발광부(23) 및 제3 부저부(2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무선 모뎀(4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무선 모뎀(49)은 내부적으로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 제4 발광부(43) 및 제4 부저부(45)와 연결되고 외부적으로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무선 모뎀(2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third wireless modem 2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 the third light emitting part 23 and the third buzzer part 25 and externally 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 In addition,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the fourth light emitting part 43 and the fourth buzzer part 45 , Externally,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third wireless modem 2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

도 15에서 적용되는 무선 통신은 RFID, ZigBee, NFC, Sub-GHz, Wi-Fi, Bluetooth, Z-WAVE, 3G, 4G, 5G, LoRaWAN, Weightless, DASH7, 2.5G, FM 방식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무선 모뎀(29)과 상기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 스위치 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lied in FIG. 15 corresponds to any one of RFID, ZigBee, NFC, Sub-GHz, Wi-Fi, Bluetooth, Z-WAVE, 3G, 4G, 5G, LoRaWAN, Weightless, DASH7, 2.5G, FM method. do. Accordingly, the third wireless modem 29 and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may transmit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o the other party using any one of th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도 15에 도시된 전원 케이블은 무선 통신을 통해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하지만, 기본적인 전원 케이블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50)는 접지 라인(GROUND LINE)(51), 중성 라인(NEUTRAL LINE)(52) 및 핫 라인(HOT LINE)(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 라인(51)은 접지되는 심선에 해당하고, 상기 중성 라인(52)은 콜드 라인(COLD LINE)에 해당하는 심선이며, 상기 핫 라인(53)은 전원 신호(예를 들어, 220V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에 해당한다. The power cable shown in FIG. 15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ut performs a basic power cable function. Accordingly, the power cord 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ound line 51 , a neutral line 52 , and a hot line 53 . The ground line 51 is a core wire to be grounded, the neutral line 52 is a core wire corresponding to a cold line, and the hot line 53 is a power signal (eg, a 220V signal). corresponds to the core line being transmitted.

도 15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3 무선 모뎀(29)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무선 모뎀(29)은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무선 모뎀(4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4 부저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5 , the three wireless modems 2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 and the third wireless modem 29 is configur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using a 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includes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 43) and the fourth buzzer 45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2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3 무선 모뎀(29)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무선 모뎀(49)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제4 발광부(43)와 상기 제4 부저부(4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4 발광부(4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4 부저부(4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1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in an on state, the third wireless modem 29 is identified A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using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n,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and the fourth buzzer 45 . As a result,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4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fourth buzzer 4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또한, 도 15의 회로 구성에서,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무선 모뎀(49)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무선 모뎀(49)은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2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무선 모뎀(2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무선 모뎀(29)은 상기 제3 발광부(23)와 상기 제3 부저부(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15 ,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 and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wireless modem 2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20 using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third wireless modem 29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wireless modem 29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part 23 and the third buzzer part 25 .

이와 같은 회로 연결 구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40)에 구비되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41)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키면, 상기 제4 무선 모뎀(49)은 식별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여 사전에 정의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30)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무선 모뎀(29)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식별 스위치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3 무선 모뎀(29)은 상기 제3 발광부(23)와 상기 제3 부저부(25)를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발광부(23)는 식별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3 부저부(25)는 부저음에 해당하는 식별 음을 울린다.According to such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when a user or operator operates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1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40 in an on state, the fourth wireless modem 49 is identified A switc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hird wireless modem 29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30 using a predefin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n, the third wireless modem 29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operates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and the third buzzer 25 . As a result,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23 emits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third buzzer 25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buzzer s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may be modified or changed.

1 : 상용 전원 케이블 2 : 상용 전원 공급 매체
3 : 상용 전원 수급 기기 10 : 콘센트 플러그
11 : 제1 식별 스위치 13 : 제1 발광부
15 : 제1 부저부 17 : 제1 PLC 모뎀
19 : 제1 무선 모뎀 20 :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
21 : 제3 식별 스위치 23 : 제3 발광부
25 : 제3 부저부 26 : 제1 소켓 인터페이스
27 : 제3 PLC 모뎀 28 : 제1 플러그 인터페이스
29 : 제3 무선 모뎀 30 : 소켓 플러그
31 : 제2 식별 스위치 33 : 제2 발광부
35 : 제2 부저부 37 : 제2 PLC 모뎀
39 : 제2 무선 모뎀 40 : 소켓 플러그 어댑터
41 : 제4 식별 스위치 43 : 제4 발광부
45 : 제4 부저부 46 : 제2 소켓 인터페이스
47 : 제4 PLC 모뎀 48 : 제2 플러그 인터페이스
49 : 제4 무선 모뎀 50 : 전원 코드
51 : 접지 라인(GROUND LINE) 52 : 중성 라인(NEUTRAL LINE)
53 : 핫 라인(HOT LINE) 55 : 제1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
56 : 제2 식별 스위치 신호 라인
61 : 제5 식별 스위치 63 : 제5 발광부
65 : 제5 부저부 66 : 제3 소켓 인터페이스
67 : 제5 PLC 모뎀 69 : 제5 무선 모뎀
100 : 전원 케이블 200 : 전원 공급 매체
210 : 삽입구 300 : 전원 수급 기기
500 :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1: Commercial power cable 2: Commercial power supply medium
3: commercial power supply device 10: outlet plug
11: first identification switch 13: first light emitting unit
15: first buzzer 17: first PLC modem
19: first wireless modem 20: outlet plug adapter
21: third identification switch 23: third light emitting unit
25: third buzzer 26: first socket interface
27: third PLC modem 28: first plug interface
29: third wireless modem 30: socket plug
31: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33: second light emitting unit
35: second buzzer 37: second PLC modem
39: second wireless modem 40: socket plug adapter
41: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43: fourth light emitting unit
45: fourth buzzer 46: second socket interface
47: fourth PLC modem 48: second plug interface
49: fourth wireless modem 50: power cord
51: GROUND LINE 52: NEUTRAL LINE
53: hot line (HOT LINE) 55: first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56: second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line
61: fifth identification switch 63: fifth light emitting unit
65: fifth buzzer 66: third socket interface
67: fifth PLC modem 69: fifth wireless modem
100: power cable 200: power supply medium
210: insertion port 300: power supply device
500: power supply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Claims (3)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원을 분배 및 공급하는 전원 공급 매체 및 상기 전원 공급 매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채널에 일측이 연결되고 전원 수급 기기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매체를 통해 분배 및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타측에 연결되는 전원 수급 기기에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제5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상기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제5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 매체는 상기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5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타측에는 상기 제5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케이블은 내부에 심선들이 배치되는 전원 코드, 상기 전원 코드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플러그, 상기 전원 코드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플러그, 상기 콘센트 플러그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플러그 기능을 갖는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 및 상기 소켓 플러그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플러그 기능을 갖는 소켓 플러그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콘센트 플러그가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소켓 인터페이스를 타측에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 매체의 연결 채널에 꽂힐 수 있는 제1 플러그 인터페이스(28)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소켓 플러그에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플러그 인터페이스를 일측에 구비하고, 상기 전원 수급 기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소켓 인터페이스를 타측에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식별음을 울리는 제4 부저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식별음을 울리는 제3 부저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제3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제4 식별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3 발광부와 상기 제4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식별음을 울리는 제3 부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는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식별 스위치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제4 발광부와 상기 제3 식별 스위치의 온(on) 동작에 따라 식별음을 울리는 제4 부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발광부 및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발광부는 각각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와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의 둘레는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플러그 어댑터에 구비되는 상기 제3 부저부 및 상기 소켓 플러그 어댑터에 구비되는 상기 제4 부저부는 각각 압전 부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A power supply comprising: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hannels formed in the power supply medium and the power supply medium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he applied power, one side is connected to any one connection channel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and is distributed through the power supply medium and a power cable for supplying the supplied power to the powe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power supply medium has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An identification swit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and the power supply medium is provided with a fif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The power supply medium has a fifth identification switch and an identification switch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and the power supply medium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witch. 5 and a light emitting unit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able, and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ifth identification switch;
The power cable includes a power cord having core wires disposed therein, an outl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ower cord, a socket plu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cord, and a plug func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let plug and a socket plug adapt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and having a plug function,
The outlet plug adapter has a first socket interface on the other side that allows the outlet plug to be inserted and connected, and a first plug interface 28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connection channel of the power supply medium on one side,
The socket plug adapter has a second plug interface on one side for being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socket plug, and a second socket interface on the other side for connecting to the power supply device,
The outlet plug adapter include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socket plug adapter includes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or a fourth buzzer that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socket plug adapter include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outlet plug adapter includes a thir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or a third buzzer that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outlet plug adapter has a third identification switch, the socket plug adapter has a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nd the outlet plug adapter is configured by an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A thir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nd a third buzzer that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fourth identification switch, wherein the socket plug adapter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witch signal and a fourth buzzer that sounds an identification sound according to an on oper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switch,
The thir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and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each include an LED, and the perimeters of the outlet plug adapter and the socket plug adapter are formed in a band shape, respectively. formed,
The third buzzer provided in the outlet plug adapter and the fourth buzzer provided in the socket plug adapter each include a piezoelectric buzzer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43456A 2019-04-15 2019-04-15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KR102295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56A KR102295205B1 (en) 2019-04-15 2019-04-15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56A KR102295205B1 (en) 2019-04-15 2019-04-15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13A KR20200121013A (en) 2020-10-23
KR102295205B1 true KR102295205B1 (en) 2021-08-31

Family

ID=7303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456A KR102295205B1 (en) 2019-04-15 2019-04-15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20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736A (en) 2000-05-08 2001-11-16 Asahi Denshi Kenkyusho:Kk Plug to detect supplying electricity
US20080099313A1 (en) 2006-10-25 2008-05-01 Dhir Alok K Illuminated cable
JP2013145636A (en) 2012-01-13 2013-07-25 Sharp Corp Identification adapter,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37A (en) * 1992-08-24 1994-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Transceiver cable device
KR970059923U (en) * 1996-04-16 1997-11-10 이규관 Lamp lighting adapter and plug at power on
KR200278823Y1 (en) 2002-01-18 2002-06-21 김상석 Electricity Plug of AC Switch insertion and Collar Band Type.
KR200317843Y1 (en) 2003-03-22 2003-06-27 채한병 discernment matter for cognizing power cable
KR20070059575A (en) * 2005-12-07 2007-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confirming a plug of an electronic appliance
KR20090055291A (en) * 2007-11-28 2009-06-02 최명호 Multi-concentic plug having display function of title for electric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GB2507992B (en) * 2012-11-16 2015-01-28 Ge Aviat Systems Ltd Cable having audio recording and play back
KR20150002526U (en) * 2013-12-19 2015-06-29 최예지 Plug with Lamp and Switch
KR20170138030A (en) * 2016-06-06 2017-12-14 이원준 Ac cord plug having insertion indicator and ala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736A (en) 2000-05-08 2001-11-16 Asahi Denshi Kenkyusho:Kk Plug to detect supplying electricity
US20080099313A1 (en) 2006-10-25 2008-05-01 Dhir Alok K Illuminated cable
JP2013145636A (en) 2012-01-13 2013-07-25 Sharp Corp Identification adapter,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13A (en)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3719B2 (en) Setting apparatus and setting method each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in electric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200408666Y1 (en) Relay outlet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voltage
JP6873814B2 (en) Cables and electronics
US201601921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abnormal load on premises broadcasting device
US202003437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ND REMOVING ELECTRICAL AND IoT DEVICES BY A PUSH AND PULL HAND TOOL
CN104932065A (en) Optical fiber system with PCB-free optical fiber wiring module and optical fiber wiring method
WO2017101136A1 (en) Intelligent experimental teaching system
CN1054318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nd imprinting touch icons of a touch pad
US9159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lectric appliance
KR102295205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JP2016116159A (en) Communication adaptor and electric equipment
KR100760280B1 (en) Relay outlet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voltage
KR102191911B1 (en) Network system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KR20200119975A (en) Power cable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US10063019B1 (en) LED LAN cable connector capable of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LED LAN cable capable of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and LED LAN cable system capable of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KR101156738B1 (en) Control system for standby power outlet
WO2018233310A1 (en) Power strip
JP2002305469A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46247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KR20160054917A (en) Multi-tap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N204178159U (en) Melt the intelligent control server equipment that matrix, control and power management are integrated
US20150321110A1 (en) Play equipment controller
KR101055995B1 (en) Intelligent power connector
JP2006039165A (en) Wiring board
CN209980456U (en) All-round wifi infrared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9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419

Effective date: 202107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