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30B1 -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5030B1 KR102295030B1 KR1020190111005A KR20190111005A KR102295030B1 KR 102295030 B1 KR102295030 B1 KR 102295030B1 KR 1020190111005 A KR1020190111005 A KR 1020190111005A KR 20190111005 A KR20190111005 A KR 20190111005A KR 102295030 B1 KR102295030 B1 KR 102295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e
- tag
- trend
- theme
- bran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731 temporal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700 time series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255830 The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1 dimension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12 network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기업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복수의 트렌드(trend)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트렌드를 분석하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테마(thema)를 결정하는 라이프 테마 결정부, 상기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이미지 집합으로서 정의되는 라이프 씬(scene)을 결정하는 라이프 씬 결정부 및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와 상기 라이프 테마 및 상기 라이프 씬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태그(tag)를 생성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라이프 태그 생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업의 브랜드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를 제안하고 트랙킹할 수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브랜드(brand)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식별하고 경쟁자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차별화하며 고객의 마음 속에서 가치를 느끼게 하는 경험적 상징체계를 의미할 수 있다. 기업의 브랜드는 강력한 기업의 아이덴티티(identity)로서 기업의 방향과 목적을 제시하고 제품의 입지를 굳히며 직원 채용에 도움을 주거나 또는 기업의 평판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브랜드를 정의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기업에 적합한 브랜드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 내부는 물론 소셜 미디어와 같은 기업 외부 요소까지 고려하여 기업의 브랜드를 결정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할 수 있다면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브랜드를 정의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4001(2009.10.21)호는 디지털 콘텐츠 내용 맞춤형 키워드 광고를 위한 상업적 태그 집합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관련되어 생성되는 상업적 태그 집합을 활용하여 키워드 광고를 실행하는데 활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내용 맞춤형 키워드 광고를 위한 상업적 태그 집합 생성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0478(2004.02.16)호는 네트워크 기반의 브랜드 네이밍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제시하는 다양하고 신선한 수많은 브랜드 후보작들을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고, 많은 회원을 유치하여 사이트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많은 회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새로운 수익창출을 꾀할 수 있으며, 기업 고객들이 저렴하게 브랜드 네이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업의 브랜드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를 제안하고 트랙킹할 수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기반으로 브랜드 핵심 가치를 어필하면서 보편적이고 포스트에 적용하고 싶은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업의 브랜드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를 제안하고 브랜드 마케팅 차원의 지속적인 트랙킹을 통해 기업의 브랜딩 전략 수립을 지원할 수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는 특정 기업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복수의 트렌드(trend)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트렌드를 분석하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테마(thema)를 결정하는 라이프 테마 결정부, 상기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이미지 집합으로서 정의되는 라이프 씬(scene)을 결정하는 라이프 씬 결정부 및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와 상기 라이프 테마 및 상기 라이프 씬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태그(tag)를 생성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에서 상기 브랜드에 대한 가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중 평판 점수가 임계치 이하인 키워드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테마 결정부는 상기 분석에 대한 결과로서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에 관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의 공통성을 도출하고 상기 공통성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프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씬 결정부는 상기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 각각과 연관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집합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태그 생성부는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라이프 테마와 연관되면서 상기 라이프 씬으로부터 도출되는 라이프 감성을 공유하는 키워드 문구(keyword phrase)를 상기 라이프 태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는 상기 라이프 태그와 연관된 소셜(social)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랙킹(tracking) 보고서를 생성하는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는 상기 소셜 데이터에서 검출되는 상기 라이프 태그의 사용빈도와 사용자 감정에 관한 시계열 및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시각화 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라이프 태그 생성 방법은 특정 기업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복수의 트렌드(trend)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트렌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테마(thema)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이미지 집합으로서 정의되는 라이프 씬(scene)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와 상기 라이프 테마 및 상기 라이프 씬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태그(tag)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은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기반으로 브랜드 핵심 가치를 어필하면서 보편적이고 포스트에 적용하고 싶은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은 기업의 브랜드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를 제안하고 브랜드 마케팅 차원의 지속적인 트랙킹을 통해 기업의 브랜딩 전략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태그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태그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이프 태그 생성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라이프 태그 생성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기업의 브랜드를 위한 라이프 태그를 생성하고 라이프 태그에 대한 트랙킹을 수행하여 관련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라이프 태그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기반으로 브랜드 핵심 가치를 어필하면서도 보편적이고 포스트에 적용하고 싶은 키워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프 태그는 단순히 유행하는 키워드, 브랜드의 USP(Unique Selling Point) 홍보, 고유명사로 정의될 수 없다.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과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기업의 브랜드에 관한 라이프 태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기업의 브랜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웹을 통해 수집한 브랜드 관련 소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가 기업의 브랜드에 관한 가치 분석을 통해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기업의 브랜드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라이프 태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 라이프 씬 결정부(330),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특정 기업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복수의 트렌드(trend)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트렌드를 분석하여 기업의 독자적인 키워드를 찾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특정 기업의 브랜드와 연관된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특정 기업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도출할 수 있다. 특히, 트렌드(trend) 키워드는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결과로서 도출되는 키워드로서, 단순히 기업의 내부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생활 패턴, 소비 패턴이나 관점 등의 외부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특정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 내용이나 범위, 고객 정보 등을 기초로 해당 기업과 직접 연관되는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키워드의 범위에 포함되는 하위 키워드들 중에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트렌드(trend)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으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은 빅데이터 마이닝(mining)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빅데이터 마이닝(mining) 도구는 언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대량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기초 정보를 추출하고 부분적을 나타난 다양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 및 해석함으로써 내재된 인사이트(insight)를 도출하는 분석 도구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마이닝 도구는 키워드로 표현되는 특정 개체의 빈도 변화를 분석하거나, 키워드 그룹에 대한 관찰을 통해 분야별 특징을 해석할 수 있으며, 개체 및 키워드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고, 변화 및 변화의 동인을 탐색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빅데이터 마이닝(mining) 도구는 자연어처리 기반의 분석 엔진, 조회 엔진, 및 관리도구 부분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에서 브랜드에 대한 가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중 평판 점수가 임계치 이하인 키워드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특정 기업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되어 결정되는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고객들로부터의 평판이 나쁜, 즉 고객들로 하여금 기업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갖게 하는 키워드를 사전에 제거하여 불필요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웹문서, 블로그, 뉴스 등을 수집할 수 있고,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해당 트렌드 키워드에 관한 감성을 수치화하여 평판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평판 점수는 긍정적인 감성일수록 높아지고 부정적인 감성일수록 낮아질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는 사전에 설정된 임계치를 기준으로 임계치보다 더 낮은 평판 점수를 갖는 트렌드 키워드를 제거할 수 있고, 고객들로부터 긍정적 반응을 얻을 수 있는 트렌드 키워드 만을 기초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테마(thema)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라이프 테마(thema)는 특정 기업이 브랜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고객들이 기업의 브랜드를 통해 형성하는 기업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는 트렌드 키워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라이프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는 분석에 대한 결과로서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에 관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의 공통성을 도출하고 공통성에 기초하여 라이프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는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에 관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 과정에서 도출되는 데이터 또는 분석 결과로서 생성되는 데이터 간의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할 수 있고 해당 특징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의 키워드를 라이프 테마로서 결정할 수 있다.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는 라이프 테마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추출 (extracting), 정제 (filtering), 분류 (classification) 및 그룹화 (cluster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이프 씬 결정부(330)는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이미지 집합으로서 정의되는 라이프 씬(scene)을 결정할 수 있다. 라이프 씬(scene)은 라이프 테마를 대표하는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라이프 씬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객에게 노출될 경우 고객은 라이프 테마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고, 더 나아가 라이프 테마와 연관된 기업의 브랜드를 떠올릴 수 있다. 라이프 씬 결정부(330)는 다양하게 수집된 이미지들 중에서 라이프 테마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이미지를 선별하여 라이프 씬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씬 결정부(330)는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 각각과 연관되는 이미지를 이미지 집합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씬 결정부(330)는 라이프 테마가 '젊음'인 경우 '장소', '연예인' 등을 라이프 보조 테마로서 결정할 수 있고, '장소'와 관련하여 2030이 주로 모이는 페스티벌 현장에 관한 이미지를 이미지 집합에 추가하거나 또는 '연예인'과 관련하여 2030이 주로 관심을 갖는 연예인에 관한 이미지를 이미지 집합에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 씬 결정부(330)는 이미지에 관한 특징 추출과 분류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씬 결정부(330)는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 모두와 연관되는 이미지를 이미지 집합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씬 결정부(330)는 라이프 테마가 '젊음'인 경우 '장소', '연예인' 등을 라이프 보조 테마로서 결정할 수 있고, '장소'와 관련하여 2030이 주로 모이는 페스티벌 현장에 '연예인'과 관련하여 2030이 주로 관심을 갖는 연예인이 참석한 이미지를 이미지 집합에 추가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와 라이프 테마 및 라이프 씬을 기초로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를 통해 트렌드, 테마 및 씬을 기반으로 오리지널리티(originality)와 대중성을 모두 갖춘 라이프 태그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는 여행 전문기업에 대해 모든 여행자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여행'이라는 테마를 표현할 수 있는 '여행에 미치다'라는 라이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는 분석 결과를 기초로 라이프 테마와 연관되면서 라이프 씬으로부터 도출되는 라이프 감성을 공유하는 키워드 문구(keyword phrase)를 라이프 태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 결과로 도출되는 다양한 키워드를 기초로 라이프 테마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선별할 수 있고, 라이프 씬에 포함된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 구성된 키워드 문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키워드 문구는 라이프 씬에 관한 감성 정보와의 연관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라이프 씬의 이미지와 키워드 간의 유사도는 이미지로부터 도출되는 텍스트와 키워드 간의 유사도에 해당할 수 있고, 이미지로부터 도출되는 특징 벡터와 키워드 간의 유사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로서 제공되는 키워드 집합에서 라이프 테마 및 라이프 씬 각각의 유사도의 합이 가장 큰 키워드를 결정하고, 해당 키워드에 관한 소셜 데이터를 기초로 라이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는 해당 소셜 데이터 중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키워드를 결정하고,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키워드 문구 또는 문장을 라이프 태그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는 특정 기업의 브랜드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 과정부터 라이프 테마 및 씬을 결정하고 라이프 태그를 생성하는 과정에 관한 라이프 태그 인사이트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인사이트 보고서는 기업의 브랜드에 관한 가치 분석의 결과물로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 결과, 기업의 브랜드 핵심 가치를 어필할 수 있는 라이프 테마와 라이프 씬에 관한 분석 결과, 그리고 기업의 브랜드로서 고객의 이미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라이프 태그에 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는 라이프 태그와 연관된 소셜(social)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랙킹(tracking)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에 의해 생성된 라이프 태그는 SNS 메시지에 포함되는 해시 태그로서 사용될 수 있고,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는 해시태그로서 라이프 태그의 변천과 수용도를 특정 기간 단위로 분석하여 트랙킹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트랙킹 보고서는 생성된 라이프 태그에 대한 언급량의 변화를 분석하거나, 생성된 라이프 태그에 대한 내용의 변화를 분석하거나, 기업의 마케팅 활동과 연관한 라이프 태그의 확산도를 분석하거나, 또는 결정된 라이프 테마에 대한 기업의 브랜드 연관도를 확인하여 도출되는 결과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는 소셜 데이터에서 검출되는 상기 라이프 태그의 사용빈도와 사용자 감정에 관한 시계열 및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시각화 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는 소셜 미디어를 수집 분석하여 고객의 이용 패턴과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는 라이프 태그와 연관되고 소셜 미디어 상에서 기업의 인지도와 호감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라이프 태그의 추이, 점유율, 연관어, 감성 등 다차원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에 대한 다양한 시각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는 소셜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과정에서 분석 룰(rule)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계 학습과 통계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 라이프 씬 결정부(330),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 및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310)를 통해 특정 기업의 브랜드와 연관된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단계 S410).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라이프 테마 결정부(320)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테마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라이프 씬 결정부(330)를 통해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이미지 집합으로서 정의되는 라이프 씬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50).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라이프 태그 생성부(340)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와 라이프 테마 및 라이프 씬을 기초로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70).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350)를 통해 라이프 태그와 연관된 소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랙킹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90).
도 5는 도 1에 있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라이프 태그 생성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기업 정보를 기초로 라이프 태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라이프 태그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해시 태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기업 정보를 기초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소셜 미디어 브랜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어필해야 할 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기업명을 해시태그로 하는 SNS 메시지를 수집할 수 있고, 소셜 미디어에서 기업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테마가 무엇인지, 테마를 바탕으로 한 씬은 어떠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트렌드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이 추구해야할 핵심 테마를 발굴하고 핵심 테마에 적합한 씬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핵심 테마를 표현하는 이미지를 씬으로서 결정할 수 있고, 씬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관한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트렌드, 테마 및 씬을 기반으로 라이프 태그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여행 전문 기업에 대한 라이프 태그로서 '여행에 미치다'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커피 전문 기업에 대한 라이프 태그로서 '혼커'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음식 전문 기업에 대한 라이프 태그로서 '온더 테이블'을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유행하는 키워드, 브랜드의 USP 홍보 또는 고유 명사를 단순 제시하는 것을 넘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반영하고, 브랜드 테마를 발굴하며 키워드의 확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고객들이 SNS 메시지를 통해 사용하기를 원하는 키워드 문구로서 라이프 태그 키워드를 생성하고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130)는 생성된 라이프 태그를 기업이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우 라이브 태그 트랙킹을 통해 소셜 미디어 상에서 해당 라이프 태그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보고서 형태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라이프 태그 생성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 320: 라이프 테마 결정부
330: 라이프 씬 결정부 340: 라이프 태그 생성부
350: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 360: 제어부
110: 사용자 단말 130: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 320: 라이프 테마 결정부
330: 라이프 씬 결정부 340: 라이프 태그 생성부
350: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 360: 제어부
Claims (8)
- 특정 기업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복수의 트렌드(trend)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트렌드를 분석하고,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에서 상기 브랜드에 대한 가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중 평판 점수가 임계치 이하인 키워드를 제거하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부;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테마(thema)를 결정하는 라이프 테마 결정부;
상기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이미지 집합으로서 정의되는 라이프 씬(scene)을 결정하는 라이프 씬 결정부; 및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와 상기 라이프 테마 및 상기 라이프 씬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태그(tag)를 생성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부를 포함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테마 결정부는
상기 분석에 대한 결과로서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에 관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의 공통성을 도출하고 상기 공통성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프 테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씬 결정부는
상기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라이프 보조 테마들 각각과 연관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집합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태그 생성부는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라이프 테마와 연관되면서 상기 라이프 씬으로부터 도출되는 라이프 감성을 공유하는 키워드 문구(keyword phrase)를 상기 라이프 태그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태그와 연관된 소셜(social)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랙킹(tracking) 보고서를 생성하는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태그 트랙킹부는
상기 소셜 데이터에서 검출되는 상기 라이프 태그의 사용빈도와 사용자 감정에 관한 시계열 및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시각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기업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복수의 트렌드(trend)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각각에 관한 라이프스타일(lifestyle) 트렌드를 분석하고,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에서 상기 브랜드에 대한 가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들 중 평판 점수가 임계치 이하인 키워드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테마(thema)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라이프 테마를 기초로 이미지 집합으로서 정의되는 라이프 씬(scene)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관한 분석 결과와 상기 라이프 테마 및 상기 라이프 씬을 기초로 상기 브랜드에 대한 라이프 태그(tag)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프 태그 생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1005A KR102295030B1 (ko) | 2019-09-06 | 2019-09-06 |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1005A KR102295030B1 (ko) | 2019-09-06 | 2019-09-06 |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584A KR20210029584A (ko) | 2021-03-16 |
KR102295030B1 true KR102295030B1 (ko) | 2021-08-31 |
Family
ID=7522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1005A KR102295030B1 (ko) | 2019-09-06 | 2019-09-06 |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503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968B1 (ko) * | 2016-08-05 | 2017-11-13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진촬영정보를 이용한 해시태그 추천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0478B1 (ko) | 2001-05-07 | 2004-03-02 | 주식회사 아이니드 | 네트워크 기반의 브랜드 네이밍 서비스 시스템 |
KR101021656B1 (ko) | 2008-03-24 | 2011-03-16 | 강민수 |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
KR100956159B1 (ko) * | 2008-04-24 | 2010-05-0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라이프로그 장치 및 정보 자동 태그 입력 방법 |
KR101285721B1 (ko) * | 2010-12-22 | 2013-07-18 | 주식회사 케이티 | 웹 마이닝을 이용한 콘텐츠 태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KR101560456B1 (ko) * | 2013-11-01 | 2015-10-15 | 황성봉 | 어휘 분석을 이용한 트렌드정보 추출 및 예측 방법 |
-
2019
- 2019-09-06 KR KR1020190111005A patent/KR1022950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968B1 (ko) * | 2016-08-05 | 2017-11-13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진촬영정보를 이용한 해시태그 추천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584A (ko) | 202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andomi et al. | Beyond the hype: Big data concepts, methods, and analytics | |
US838072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US20180373788A1 (en) | Contrastive multilingual business intelligence | |
US10469275B1 (en) | Clustering of discussion group participants | |
CN103678647A (zh) | 一种实现信息推荐的方法及系统 | |
Jeon et al. | Hashtag recommendation based on user tweet and hashtag classification on twitter | |
JP6928044B2 (ja) |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 |
Dong et al. | Further experiments in opinionated product recommendation | |
Jia et al. | Multi-modal learning for video recommendation based on mobile application usage | |
US9740695B2 (en) | Method for enriching a multimedia content, and corresponding device | |
Bykau et al. | Fine-grained controversy detection in Wikipedia | |
KR101976056B1 (ko) |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 |
US9747375B2 (en) | Influence personal benefit from dynamic user modeling matching with natural language statements in reviews | |
EP3374879A1 (en) | Provide interactive content generation for document | |
Catal et al. | Cross-Cultural Personality Prediction based on Twitter Data. | |
Lo et al. | Use of a high-value social audience index for target audience identification on Twitter | |
KR102295030B1 (ko) | 라이프 태그 생성 장치 및 방법 | |
Nigam et al. | Connecting the dots to infer followers' topical interest on Twitter | |
Wasim et al. | Extracting and modeling user interests based on social media | |
CN107783948B (zh) | 一种基于社交网络原理的词汇社交网络分析方法 | |
Renjith et al. | SemRec–An efficient ensemble recommender with sentiment based clustering for social media text corpus | |
Khan et al. | Multimodal rule transfer into automatic knowledge based topic models | |
US9940395B2 (en) | Influence business benefit from user reviews and cognitive dissonance | |
Mircoli et al. | Automatic extraction of affective metadata from videos through emotion recognition algorithms | |
CN115130453A (zh) | 互动信息生成方法和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