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377B1 - 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 - Google Patents

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377B1
KR102294377B1 KR1020190130580A KR20190130580A KR102294377B1 KR 102294377 B1 KR102294377 B1 KR 102294377B1 KR 1020190130580 A KR1020190130580 A KR 1020190130580A KR 20190130580 A KR20190130580 A KR 20190130580A KR 102294377 B1 KR102294377 B1 KR 10229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unit
hood
smoke
partition wall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8611A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만 filed Critical 이종만
Priority to KR102019013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377B1/en
Publication of KR2021004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57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 clean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연기의 기름기 제거와 살균이 가능한 주방용 후드에 있어서, 후드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오염된 연기를 포집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구; 경사진 격벽으로 후드 내부의 공동을 분기하여 하기의 분사구로부터 분무된 물이 분기된 공동에서 상하로 순환됨에 따라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염된 연기의 기름기를 제거하는 1차 살균부; 자외선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1차 살균부를 통과한 오염된 연기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2차 살균부; 및 1차 살균부의 하면에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1차 살균부가 조리시 발생된 연기 내의 기름기를 흡수하고, 2차 살균부가 자외선 파장의 광으로 1차 살균부를 통과한 연기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기름기가 다수 함유된 연기가 유입되어도 완벽하게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hood capable of removing grease and sterilizing polluted smoke generated in the kitchen, comprising: a suction 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d to collect the polluted smoke and introduce it to the inside; a primary sterilizing unit that branches the cavity inside the hood with an inclined bulkhead and removes grease from the polluted smoke flowing in from the suction port as water sprayed from the following injection port circulates up and down in the branched cavity; a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of an ultraviolet wavelength to remove microorganisms in the polluted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nd it is drawn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spray port for spraying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bsorbs oil in smoke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removes microorganisms in the smoke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with light of ultraviolet wavelength, so tha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haust perfectly purified air even if smoke enters.

Description

주방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연기의 기름기 제거와 살균이 가능한 주방용 후드{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A kitchen hood capable of removing grease and sterilizing polluted smoke generated in the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증기 및 연기를 흡입하여 기름기, 냄새 및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itchen hood capable of discharging purified air by inhaling odors, steam and smoke generated when food is cooked to remove grease, odors and microorganisms.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조리기구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튀김이나 육류등을 가열하면 음식물로부터 기름기가 포함된 증기나 연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열기구의 주변과 집안에 기름냄새와 음식냄새가 남아있게 된다. When cooking food using a gas stove for cooking appliances at a general home or restaurant, when frying or meat is heated, steam or smoke containing oil is generated from the food, which causes the smell of oil around the heating appliance and in the house. and the smell of food remains.

특히 패스트 푸드나 레스토랑과 같은 전문 음식점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므로 가열기구의 상부에 냄새와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다. In particular, sinc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moke and odors are generated in specialized restaurants such as fast food and restaurants, a range hood for sucking and discharging odors and smoke is installed above the heating device.

그러나, 단지 냄새와 연기를 흡입하여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면 다수의 미생물과 기름기를 포함한 연기로 인하여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고, 이웃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 규제가 없으나, 이미 대다수의 서양 국가들은 환경보존 측면에서 음식점 내에서 발생된 연기의 살균 후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규제화 하고 있다. However, if only odors and smoke are inhal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they are, the surrounding air may be polluted with smoke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and grease, and may cause discomfort to neighbors. Although there is no regulation related to this in Korea yet, most Western countries are already regulating the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of smoke generated in restaurants in term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그림 1][Figure 1]

Figure 112019107138251-pat00001
Figure 112019107138251-pat00001

상기 [그림 1]은 어느 일 패스트푸드점의 배기 덕트를 촬영한 모습이다.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살균없이 배출하게 된다면 [그림 1]에서와 같이 배기구의 내부에 오염된 찌꺼기, 기름때 등이 침적된다. 이 경우, 음식점 내로 기름때나 오염물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오염된 공기가 그대로 배출되어 건물 외의 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Figure 1] is a picture of the exhaust duct of a fast food restaurant. If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food is discharged without sterilization, as in [Fig. In this case, grease or pollutants may fall into the restaurant, and the polluted air is discharged as it i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environment outside the building.

따라서, 근래에는 조리시 발생된 연기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는 후드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살균용 후드는 공기정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처음엔 제기능이 발현되어도 후드 내에 기름때 등이 침적되어 주기적으로 세척하거나 부품을 갈아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hood capable of purifying and discharging smoke generated during cooking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 conventional sterilization hood has a problem in that air purification is not performed effectively or even if its function is initially expressed, oil stains are deposited in the hood, so that it must be cleaned or replaced periodically.

최근, 연기 조리시 발생된 연기 내의 미생물을 살균하는 후드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는 가정용으로 적합함은 별론, 전문 음식점과 같이 연기 내에 다수의 오일 분자가 포함된 경우 이를 분해하지 못하여 공기 정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종래기술은 연기 내의 오일 분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완벽하게 정화되지 못하였으며, 살균을 위한 장치들에 [그림 1]과 같은 기름때가 붙게되어 관리의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하였다.Recently, a hood that sterilizes microorganisms in smoke generated during smoke cooking has been known, but apart from that it is suitable for home use, when a large number of oil molecules are contained in smoke, such as in a specialty restaurant, it cannot be decomposed, so air purification is effective. could not be done In other words, since the prior art does not effectively remove the oil molecules in the smoke, the finally exhausted air was not completely purified, and oil stains as shown in [Figure 1] are attached to the devices for sterilization, so management is still difficult. exist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316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1626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된 연기의 냄새, 미생물, 기름기를 모두 제거하여 완벽하게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hood capable of discharging completely purified air by removing all odors of smoke, microorganisms, and grease generated during cooking.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의 사용에도 정화를 위한 살균 수단에 기름때가 묻지 않는 구조로 구현되어 정화의 성능이 감소되지 않는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hood in which the performance of purification is not reduced because the sterilization means for purification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stain oil even after long-time use.

또한, 본 발명은 살균 수단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유지 보수가 용이한 주방용 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hood that is easy to maintain so that the sterilization means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연기의 기름기 제거와 살균이 가능한 주방용 후드에 있어서, 후드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오염된 연기를 포집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구; 경사진 격벽으로 후드 내부의 공동을 분기하여 하기의 분사구로부터 분무된 물이 분기된 공동에서 상하로 순환됨에 따라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염된 연기의 기름기를 제거하는 1차 살균부; 자외선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1차 살균부를 통과한 오염된 연기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2차 살균부; 및 1차 살균부의 하면에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hood capable of degreasing and sterilizing polluted smoke generated in a kitchen, comprising: a suction 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d to collect and introduce the polluted smoke into the interior; a primary sterilization unit that branches the cavity inside the hood with an inclined bulkhead and removes grease from the polluted smoke flowing in from the suction port as water sprayed from the following injection ports circulates up and down in the branched cavity; a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that irradiates light of an ultraviolet wavelength to remove microorganisms in the polluted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pray hole for injecting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that is drawn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1차 살균부는 하부가 흡입구의 천정을 형성하고 상부가 후드의 내측 공동 안에서 절곡되어 종단면이 “∩”형상인 공동을 형성하는 제1 격벽; 및 제1 격벽의 절곡된 상부 방향으로 구배지게 돌출되어 분사구로부터 분무된 물을 제1 격벽의 공동으로 유도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artition wall having a lower portion forming a ceiling of the inlet and an upper portion bent in the inner cavity of the hood to form a cavity having a “∩” shape in longitudinal section; and a second partition wall that protrudes in a bent upward direc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guides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le into the cavity of the first partition wall.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2차 살균부는 제1 격벽과 제2 격벽의 사이에 개구된 공간으로 1차 살균부를 통과한 오염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aminated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into the open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2차 살균부는 자외선 파장의 광과 오존이 발생되는 UV-C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V-C lamp that generates ultraviolet light and ozon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UV-C 램프는 제2 격벽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UV-C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2차 살균부는 제2 격벽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드의 측면 방향으로 토출되는 슬라이딩 수단을 더 구비하고, UV-C램프는 슬라이딩 수단에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further includes a sliding means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ood, and the UV-C lamp may be disposed on the sliding means.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후드는 후드의 하면에 연결되고 분사구가 내부로 인입 배치되며 후드의 내부에서 순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kitchen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the injection port is disposed inside, and the water circulated inside the hood is discharged.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1차 살균부가 조리시 발생된 연기 내의 기름기를 흡수하고, 2차 살균부가 자외선 파장의 광으로 1차 살균부를 통과한 연기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기름기가 다수 함유된 연기가 유입되어도 완벽하게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bsorbs oil in the smoke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the secondary sterilizer removes microorganisms in the smoke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with light of ultraviolet wavelength, so that a large amount of oil is contain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haust perfectly purified air even if smoke enters.

또한, 본 발명은 후드의 내부 공동이 1차 살균부와 2차 살균부로 분기되어 기름때가 제거된 연기가 2차 살균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에도 정화를 위한 UV-C 램프에 기름때가 묻지 않는 구조로 구현되어 정화의 성능이 감소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nal cavity of the hood is branched into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the oil from which the oil has been removed flows into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rformance of purification is not reduced by being implemented in a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수단에 UC-V 램프가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딩 수단을 토출하여 램프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UC-V lamp is disposed on the sliding means,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lamp by discharging the sliding means, so that maintenance i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kitchen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rovided in the respective drawings indica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ade clearer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는 배기구(3), 흡입구(20), 1차 살균부(30: 301, 303), 2차 살균부(50: 501, 503), 분사구(70), 및 배수구(90)를 포함할 수 있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 hoo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itchen hood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 a kitchen hoo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haust port 3 , an intake port 20 , a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301, 303, and a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 : 501 , 503 ), the injection hole 70 , and the drain hole 90 may be included.

흡입구(20)는 후드(1)의 하부에 마련되고 오염된 연기(5)를 포집하여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1)는 상하로 순환되는 물(7)을 이용하며 별도의 팬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연기(5)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면서 정화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흡입구(20)는 후드(1)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따라 포집된 연기는 별도의 팬 없이 후드(1)의 하부로 유입된다.The inlet 2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od 1 and may collect the contaminated smoke 5 and introduce it to the inside. The kitchen hood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water 7 that circulates up and down and does not have a separate fan, so the smoke 5 should be able to be purified while naturally mov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20 is disposed in the lower front of the hood 1 , and thus the smoke collected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od 1 without a separate fan.

1차 살균부(30)는 경사진 격벽으로 후드(1) 내부의 공동을 분기하여 분사구(70)로부터 분무된 물이 분기된 공동에서 상하로 순환됨에 따라 흡입구(20)로부터 유입된 오염된 연기(5)의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다.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branches the cavity inside the hood 1 with an inclined partition wall, and polluted smoke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20 as th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port 70 circulates up and down in the branched cavity. (5) oil can be removed.

1차 살균부(30)는 제1 격벽(301), 제2 격벽(3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301 and a second partition wall 303 .

제1 격벽(301)은 하부(3011)가 흡입구(20)의 천정을 형성하고 상부(3013)가 후드(1)의 내측 공동 안에서 절곡되어 종단면이 “∩”형상인 공동 A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first partition wall 301, the lower part 3011 forms the ceiling of the intake port 20, and the upper part 3013 is bent in the inner cavity of the hood 1 to form a cavity A having a “∩” shape in longitudinal section. .

본 실시예로 제1 격벽(301)의 바디에는 투광창(3015)이 설치될 수 있다. 투광창(3015)은 내부 물(5)의 순환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유리 소재로 제공된다. 후드(1)는 내부의 살균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외부의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투광창(3015)을 통해서 공동 A에 회오리치는 물(7)의 순환을 작업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분수구(70)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정화능력이 확보된 상태에서의 후드(1)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light transmitting window 3015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01 . The light transmitting window 3015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that can visually confirm the circulation of the internal water 5 .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d 1 is manufactured so that an external operator can check whether the internal sterilization device is operating properly.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directly check the circulation of the water 7 swirling in the cavity A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window 3015, and the case where a problem occurs in the water fountain 70 can also be immediately confirmed, so that the purification ability is secured. It is possible to use the hood (1) in

제2 격벽(303)은 제1 격벽(301)의 절곡된 상부(3013) 방향으로 구배지게 돌출되어 분사구(70)로부터 분무된 물(7)을 상기 제1 격벽(301)의 공동 A로 유도할 수 있다. 제2 격벽(303)은 상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후드(1)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1 격벽(301)과 제2 격벽(303)으로 후드(1) 내부의 공동은 A 영역과 B 영역으로 나뉘게 된다. 제2 격벽(303)은 제1 격벽(301)의 상부(3013)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한다.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protrudes in a gradient in the direction of the bent upper part 3013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01 to guide the water 7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le 70 into the cavity A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01 . can do.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has a predetermined angle upward and protrudes inside the hood 1 . The cavity inside the hood 1 is divided into an A area and a B area by the first partition wall 30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forms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upper portion 3013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01 .

제2 격벽(303)은 형성된 각도로 물(7)을 A 공동으로 유도하며, 유도된 물은 제1 격벽(301)에 의해 대류되어 후드(1)의 하부로 배수되기 때문에 B 공동에서는 누전 등의 우려가 없이 살균을 위한 램프(50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guides the water 7 to the A cavity at an angle formed, and since the induced water is convect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301 and dra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od 1, there is a short circuit in the B cavity. A lamp 501 for sterilization may be provided without concern.

1차 살균부(30)는 오염된 연기(5) 속의 오일분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차 살균부(30)는 물(7)을 이용하기 때문에 연기(5) 속의 오일 분자가 혼합되어 물(7)과 함께 쓸려나가게 된다. 이 경우, 물에 융해되는 연기(5) 속의 미생물 또한 1차적으로 필터링되어 이후 2차 살균부(50)의 정화능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can effectively remove oil molecules in the contaminated smoke 5 . Since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uses water 7 , oil molecules in the smoke 5 are mixed and washed away together with the water 7 . In this case, the microorganisms in the smoke 5 that are dissolved in water are also primarily filtered, so that the purification ability of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reafter.

2차 살균부(50)는 자외선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1차 살균부(30)를 통과한 오염된 연기 내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2차 살균부(50)는 제1 격벽(301)과 제2 격벽(303)의 사이에 개구된 공간으로 1차 살균부(30)를 통과한 오염된 연기(5)가 유입되어 2차적인 살균을 수행하게 된다.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 may remove microorganisms in the contaminated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by irradiating light with an ultraviolet wavelength. In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 the contaminated smoke 5 passing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opened between the first bulkhead 301 and the second bulkhead 303, so that secondary sterilization will be performed.

2차 살균부(50)는 UV-C램프(501)와 슬라이딩 수단(5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 may include a UV-C lamp 501 and a sliding means 503 .

UV-C램프(501)는 자외선 파장의 광과 오존을 발생시켜 연기 내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한다. 2차 살균부(50)에 슬라이딩 수단(503)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UV-C램프(501)는 제2 격벽(30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UV-C lamp 501 generates ultraviolet light and ozone to effectively sterilize microorganisms in smoke. When the sliding means 503 is not provided in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 , the UV-C lamp 50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

자외선은 1000~4000Å(angstrom)의 파장 사이에 존재하는 빛의 띠이고 크게 3가지로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1) 3000~4000Å의 범위를 갖는 자외선은 자외선 중 파장이 가장 길기 때문에 Lang Wave라고도 하며 통칭 UV-A라고 불린다. 2) 2800~3200Å의 범위를 갖는 자외선은 자외선 파장 중 중간 부분이기 때문에 Middle Wave라고 부르고 있으며 3000~3200Å 사이에서 Suntanning Effect가 강한 특징이 있다. 통칭 UV-B라고 불린다. 3) 1800~2800Å의 범위를 갖는 자외선은 자외선 파장 중 가장 짧은 파장을 갖는다 하여 Short Wave라고도 표현하며 각종 미생물을 죽이는 효과로 인해 Germicidal Range 또는 UV-C라고 불린다. 특이점으로 이때, 1000~2000Å 대역에서는 오존(O3)을 형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Ultraviolet light is a band of light that exists between a wavelength of 1000 to 4000 Å (angstrom) and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areas. 1) Ultraviolet rays with a range of 3000~4000Å have the longest wavelength among ultraviolet rays, so they are also called Lang Wave and commonly called UV-A. 2) Ultraviolet with a range of 2800~3200Å is called Middle Wave because it is the middle part of the UV wavelength, and it has a strong Suntanning Effect between 3000~3200Å. It is commonly referred to as UV-B. 3) Ultraviolet with a range of 1800~2800Å is also called Short Wave because it has the shortest wavelength among ultraviolet wavelengths. As a singularity, at this time, there is an effect of forming ozone (O3) in the 1000-2000Å b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차 살균부(50)에서 1000~2000Å 대역의 자외선 파장을 발생시키는 UV-C램프(501)가 구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UV-C램프(501)를 사용하는 경우, 염소 살균 방법에서와 같은 가스 발생이 없으며, 부식성이나 독성 또한 없으며, PH의 증감이 없고 외부 물질과의 반응으로도 독성 물질 생성이 있을 수 없게 된다. 특히, UV-C램프(501)는 오존이 발생되기 때문에 오염된 연기(5)를 거의 완벽하게 정화할 수 있어 특히 본 발명에 적합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UV-C lamp 501 for generating an ultraviolet wavelength in the 1000 to 2000 Å band is provided in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 . When the UV-C lamp 501 is used, there is no gas generation as in the chlorine sterilization method, there is no corrosiveness or toxicity, there is no increase or decrease of PH, and toxic substances cannot be generated even by reaction with external substances. In particular, the UV-C lamp 501 can almost completely purify the polluted smoke 5 because ozone is generated, so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그림 2][Figure 2]

Figure 112019107138251-pat00002
Figure 112019107138251-pat00002

[그림 2]는 UV-C램프(501)를 사용하여 정화된 배기 덕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는 [그림 1]에 도시된 배기덕트 상에 UV-C램프(501)를 조사했을 때의 모습으로, 이미 이물질이 침적된 덕트 상의 침전물 또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Figure 2] shows the exhaust duct cleaned using UV-C lamp (501). This is the appearance when the UV-C lamp 501 is irradiated on the exhaust duct shown in [Fig.

슬라이딩 수단(503)은 제2 격벽(303)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드(1)의 측면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UV-C램프(501)는 슬라이딩 수단(503)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 수단(503)에는 보호 덮개(5011)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는 보호 덮개(5011)가 필요 없도록 UV-C램프(501)가 기름때나 물에 접촉되지 않는 구조인 장점이 있지만, 공동 B로 유입되는 소량의 물로 방전이나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수단(503)에 UV-C램프(501)를 감싸는 보호 덮개(5011)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sliding means 50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and may be discharg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hood 1 . In this case, the UV-C lamp 501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sliding means (503). In addition, the sliding means 503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5011).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UV-C lamp 501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oil or water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5011 is not required, but accidents such as discharge or short circuit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cavity B generation?? Therefore, a protective cover 5011 surrounding the UV-C lamp 501 may be provided on the sliding means 503 .

슬라이딩 수단(503)은 제2 격벽(303)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맞물려 후드(1)의 측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503)은 UV-C램프(501)가 구비되는 전면에 경도가 형성되어 UV-C램프(501)의 장착시 조사각을 넓게 하여 B 공동 전체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The sliding means 503 may be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03 to be discharg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od 1 . The sliding means 503 has a hardnes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where the UV-C lamp 501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UV-C lamp 501 is mounted, the irradiation angle is widened so that the entire B cavity can b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분사구(70)는 1차 살균부(30)의 하면에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배수구(90)는 후드(1)의 하면에 연결되고 분사구(70)가 내부로 인입 배치되며 후드(1)의 내부에서 순환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분사구(70)는 배수구(90)안을 관통하여 1차 살균부(30)의 하면에 노출된다. 배수구(90)에는 고정용 클램프(9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용 클램프(901)는 분사구(70)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injection port 70 may be drawn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to spray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The drain port 9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1 , and the injection hole 70 is disposed inside the hood 1 , and the water circulated inside the hood 1 may be discharged. The injection port 70 penetrates through the drain port 90 and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 . A fixing clamp 901 may be provided at the drain 90 , and the fixing clamp 901 may be fixed such that the injection hole 70 faces upwar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주방용 후드
3: 배기구
5: 오염된 연기
5’: 정화된 연기
7: 물
A, B: 공동의 분기된 영역
10: 후드 본체
20: 흡입구
30: 1차 살균부
301: 제1 격벽
3011: 제1 격벽 하부
3013: 제1 격벽 상부
3015: 투광창
303: 제2 격벽
50: 2차 살균부
501: UV-C 램프
503: 슬라이딩 수단
5011: 보호 덮개
70: 분사구
90: 배수구
901: 고정 클램프
1: kitchen hood
3: exhaust vent
5: Polluted smoke
5': Purified Smoke
7: water
A, B: common bifurcated area
10: hood body
20: intake
30: primary sterilization unit
301: first bulkhead
3011: lower portion of the first bulkhead
3013: upper first bulkhead
3015: floodlight
303: second bulkhead
50: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501: UV-C lamp
503: sliding means
5011: protective cover
70: nozzle
90: drain
901: fixed clamp

Claims (7)

주방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연기의 기름기 제거와 살균이 가능한 주방용 후드에 있어서,
후드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오염된 연기를 포집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구;
경사진 격벽으로 후드 내부의 공동을 분기하여 하기의 분사구로부터 분무된 물이 분기된 공동에서 상하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염된 연기의 기름기를 제거하는 1차 살균부;
자외선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상기 1차 살균부를 통과한 오염된 연기 내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2차 살균부; 및
상기 1차 살균부의 하면에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는,
분사되는 물이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염된 연기의 진행 경로를 가이드하되, 상기 1차 살균부 또는 상기 2차 살균부로 진행될 수 있는 오염된 연기를 상기 1차 살균부로 유도하고,
상기 1차 살균부는,
하부가 상기 흡입구의 천정을 형성하고 상부가 후드의 내측 공동 안에서 절곡되어 종단면이 “∩”형상인 공동을 형성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의 절곡된 상부 방향으로 구배지게 돌출되어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무된 물을 상기 제1 격벽의 공동으로 유도하며, 상기 2차 살균부의 하부 격벽을 정의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살균부는,
“∩”형상인 공동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격벽의 하부가 바닥면으로 구배진 제1 격벽 하부를 구성하되, 상기 제1 격벽 하부는 오염된 연기가 흡입되는 상기 흡입구의 상부 격벽을 형성하고,
분획된 상기 1차 살균부와 상기 2차 살균부는,
상기 흡입구의 상부로 위치되어 오염된 연기가 분출되는 상방향의 배출 경로상에 병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1차 살균부와 상기 2차 살균부가 오염된 연기가 분출되는 상방향의 배출 경로상에 병렬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1차 살균부 또는 상기 2차 살균부로 진행될 수 있는 오염된 연기가 상기 분사구의 분출된 물이 상기 2차 살균부의 하부 격벽을 정의하는 상기 제2 격벽으로 인하여 상기 1차 살균부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In a kitchen hood capable of removing grease and sterilizing polluted smoke generated in the kitchen,
an inle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od to collect the polluted smoke and introduce it into the inside;
a primary sterilization unit that branches the cavity inside the hood with an inclined partition wall and removes grease from the polluted smoke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ort as water sprayed from the following injection port circulates up and down in the branched cavity;
a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which irradiates light of an ultraviolet wavelength to remove microorganisms in the polluted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nd
and a spray hole that is drawn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nd sprays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The nozzle is
The sprayed water guides the path of the polluted smoke flowing in from the suction port, and induces the polluted smoke that can proceed to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or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to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 first partition wall having a lower portion forming a ceiling of the inlet and an upper portion being bent in the inner cavity of the hood to form a cavity having a “∩” shape in longitudinal section; and
and a second partition wall that protrudes in a bent upward direc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to guide th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port into the cavity of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defines a lower partition wall of the secondary sterilization part;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forming a “∩”-shaped cavity constitutes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that is incli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forms an upper partition wall of the inlet through which contaminated smoke is sucked,
The fractionated primary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It is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ort and is disposed in parallel on an upward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polluted smoke is ejected,
As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and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are arranged in parallel on an upward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smoke is ejected, the contaminated smoke that can progress to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or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is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ort. The hood for the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the ejected water is guided to the primary sterilization unit due to the second barrier rib defining a lower barrier rib of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살균부는,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의 사이에 개구된 공간으로 상기 1차 살균부를 통과한 오염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The hood for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minated smok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terilizer is introduced into a space open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살균부는,
자외선 파장의 광과 오존이 발생되는 UV-C 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A kitchen hood comprising a UV-C lamp that generates ultraviolet light and ozon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UV-C 램프는,
상기 제2 격벽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UV-C lamp,
Kitchen hood,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살균부는,
상기 제2 격벽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드의 측면 방향으로 토출되는 슬라이딩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UV-C램프는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ary steriliz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sliding means dispos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dischar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ood,
The UV-C lamp is a kitchen hood,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lid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후드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구가 내부로 인입 배치되며 후드의 내부에서 순환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d for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the injection port is arranged to be drawn in, and further comprising a drain port through which water circulated inside the hood is discharged.
KR1020190130580A 2019-10-21 2019-10-21 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 KR102294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80A KR102294377B1 (en) 2019-10-21 2019-10-21 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80A KR102294377B1 (en) 2019-10-21 2019-10-21 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11A KR20210048611A (en) 2021-05-04
KR102294377B1 true KR102294377B1 (en) 2021-08-27

Family

ID=7591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580A KR102294377B1 (en) 2019-10-21 2019-10-21 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37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197A (en) 1990-09-26 1991-12-03 Wisting Walter L Fume hood
CN2541763Y (en) * 2002-02-05 2003-03-26 北京龙鸣振华环保净化设备有限公司 Oil fume purifier for foodstuff industry
JP2015114045A (en) * 2013-12-11 2015-06-22 東洋興商株式会社 Deodorization device for range hood
JP3201172U (en) 2015-08-14 2015-11-26 城昌企業股▲分▼有限公司 Range hood structure
CN205586716U (en) * 2015-12-17 2016-09-21 陕西科弘厨房工程设备有限公司 Compound multiple -effect cooking oil fumes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61B1 (en) 2013-05-06 2015-09-10 아트먼 주식회사 The hood for kitchen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197A (en) 1990-09-26 1991-12-03 Wisting Walter L Fume hood
CN2541763Y (en) * 2002-02-05 2003-03-26 北京龙鸣振华环保净化设备有限公司 Oil fume purifier for foodstuff industry
JP2015114045A (en) * 2013-12-11 2015-06-22 東洋興商株式会社 Deodorization device for range hood
JP3201172U (en) 2015-08-14 2015-11-26 城昌企業股▲分▼有限公司 Range hood structure
CN205586716U (en) * 2015-12-17 2016-09-21 陕西科弘厨房工程设备有限公司 Compound multiple -effect cooking oil fumes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11A (en)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468B2 (en) Air treatment apparatus
KR101826236B1 (en) Ultraviolet air sterilizer
RU2121629C1 (en) Room air cleaning device
KR101550261B1 (en) The hood for kitchen with the air cleaning function.
KR102090377B1 (en) Sterilization device
GB2426513A (en) UV light for aquarium
US20100329924A1 (en) Sponge Sterilizer
KR100823674B1 (en) Deodorizing device and hood of meat roaster
US20140056764A1 (en) Odour control unit
KR102294377B1 (en) Kitchen hood for sterilization of contaminatied oily smoke
CN213911479U (en) Disinfection lamp and range hood
KR20110038896A (en) Uv sterilizer for clean water
JP5927705B2 (en) Deodorizer for range hood
ES2962469T3 (en) Devi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KR20060108146A (en) The operation nethod with a kitchen huden
KR200406269Y1 (en) fire board fume filtering apparatus
KR20110093307A (en) Hood for kitchen and there of working method
KR100554966B1 (en) Apparatus for deodorization
KR101365748B1 (en) Hand dryer and integrated filter
CN107965818B (en) Range hood with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WO2022233945A1 (en) Extractor hood for hobs with an air sanitising chamber
CN217447665U (en) Sterilizing device for dish washing machine
JP2009299966A (en) Exhaust device for plumbing equipment room
US20220410051A1 (en) Extraction hood
KR200265992Y1 (en) The exhaust hood for kitchen with ultraviolet rays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