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169B1 - Apparatus for sensing fi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nsing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169B1
KR102294169B1 KR1020210072690A KR20210072690A KR102294169B1 KR 102294169 B1 KR102294169 B1 KR 102294169B1 KR 1020210072690 A KR1020210072690 A KR 1020210072690A KR 20210072690 A KR20210072690 A KR 20210072690A KR 102294169 B1 KR102294169 B1 KR 10229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sensing
communication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찬
박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콘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콘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콘비즈
Priority to KR102021007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1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06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capable of expanding a fire detection range and increasing the accuracy of fire detection. The fire detector includes: a sensing part sensing an optical wavelength of 4.3um by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an optical wavelength of 3.9um by sunlight; and a determination part determining whether a fire occurs based on the sensed optical wavelengths of 4.3um and 3.9um. The sensing part includes: a base plate including a first mounting member having a flat shape and s second mounting member having both sid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 first optical sensor place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 sense the optical wavelength of 4.3um by the occurrence of a fire; a second optical sensor placed on the other on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 sense the optical wavelength of 4.3um by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a third optical sensor plac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to sense the optical wavelength of 3.9um by sunlight. When only the optical wavelength of 4.3um is detected from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part but the optical wavelength of 3.9um is not detected, the determination part determinate the situation as the occurrence of a fire.

Description

화재 발생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FIRE}Fire detection device {APPARATUS FOR SENSING FIRE}

본 발명은 화재 발생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 탐지 범위를 확장시키고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etection device capable of extending a fire detection range and increasing the accuracy of fire detection.

일반적으로, 특정 시설의 화재 가능성을 감시하거나 또는 건물의 화재를 감시하는 것과 같이 시설, 실내 등에서의 화재를 감시하고 알림을 제공하는 화재 감지 장치는, 다양하게 공개가 되어 있으며 실생활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fire detection device that monitors a fire in a facility, indoors, etc. and provides a notification, such as monitoring the possibility of a fire in a specific facility or monitoring a fire in a building, has been disclosed in various ways and is applied and used in real life. .

하지만, 야외, 도로, 산악지대 등과 같은 경우, 기존의 화재 감지 장치는, 지형 지물, 수면, 이동 물체, 야생 동물 등으로 인한 반사광 또는 발열체를 화재 또는 화재 요인으로 오인식하거나, 착각하여 각종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화재 탐지 범위가 좁아 화재 감지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적외선 센서의 경우 모든 빛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태양광으로 인한 오탐이 많아 화재탐지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outdoor, road, mountainous areas, etc., conventional fire detection devices misrecognize or mistake reflected light or heating elements due to terrain features, water surface, moving objects, wild animals, etc. as fire or fire factors, and various errors occur. In addition to the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fire detection is lowered due to the narrow fire detection range, the infrared sensor outdoors has many false positives due to sunlight that has all the light spectrum, so it is applied to fire detection.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do.

또한, 산악지대의 경우, 기존의 화재 감지 장치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통신이 원활하지 않아 정작 화재 가능성이 발견되어도 즉각적으로 보고가 되지 않고, 통신 불량으로 촬영된 영상이 서버로 전송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ountainous areas, existing fire detection devices do not communicate smoothly due to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o even if a fire is discovered, it is not reported immediately, and images captured due to poor communication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re was.

따라서, 향후, 화재 탐지 범위를 확장시키고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높이며 산악지대에서도 통신이 원할한 화재 발생 감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fire detection device that expands the fire detection range, increases the accuracy of fire detection, and enables smooth communication even in mountainous area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8044호 (2018.09.1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58044 (2018.09.11)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2개의 광센서와,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1개의 광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화재 발생을 감지함으로써, 화재 탐지 범위를 확장시키고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높이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wo optical sensors for sensing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fire, both sides of which are disposed on the second mounting member inclined at the same angle, and a flat shape The branch is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based on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ingle optical sensor that senses a light wavelength of 3.9um by sunlight, thereby extending the fire detection range and increasing the accuracy of fire detection. To provide a sens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고속 전송하거나 또는 저속 전송할 수 있도록 가공 처리함으로써, 산악지대에서도 통신이 원할한 화재 발생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detection device that enables smooth communication even in mountainous areas by processing an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to be transmitted at high speed or at low spe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감지 장치는,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과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센싱된 4.3um 광파장과 3.9um 광파장을 기초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 및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1 광센서;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2 광센서; 그리고,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3 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은,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광센서 및 상기 제2 광센서 간의 배치 각도가 60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된 상기 제1 광센서 및 제2 광센서를 통해 4.3um 광파장에 대해 120도 센싱 각도 범위와 50m 센싱 거리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가 서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광센서가 상기 제1, 제2 광센서에 대해 다른 선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장착 부재가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대해 단차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로부터 상기 4.3um 광파장만이 검출되고 상기 3.9um 광파장이 미검출되면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A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4.3um optical wavelength by the fire and 3.9um optical wavelength by sunlight;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is based on the sensed 4.3um light wavelength and 3.9um light wavelength,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mounting member having a flat shape and a second mounting member having both sid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 base plate comprising; a first optical sensor dispose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 sense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the fire; a second optical sens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 sense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the fire; and a third optical sensor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to sense a 3.9um optical wavelength by sunlight, wherei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are based on the center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are inclined to form a disposition angle of 60 degrees, and the sensing unit is 4.3um through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It has a sensing angle range of 120 degrees and a sensing distance range of 50 m with respect to the optical wavelength,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are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optical sensor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ensors Doedoe disposed on another lin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the base plate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second mounting member is stepp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member, the determination unit, When only the 4.3um optical wavelength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the 3.9um optical wavelength is not detec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이때,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하고, 화재로 인식할 광파장의 패턴이 반복적으로 인식되면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may check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and if the pattern of the light wavelength to be recognized as a fire is repeatedly recogniz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할 때,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센싱신호의 세기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한 회수를 기초로 상기 화재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할 때,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출 또는 일몰 시간인지를 확인하고,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출 또는 일몰 시간이면 상기 화재 발생 판단을 중지하거나 또는 일출 또는 일몰 시간에 상응하는 수치 개수 범위를 조정하여 상기 화재 발생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when check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counts the intensity of the sensing signal exceeding the reference range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and the size of the fire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times can be judged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when check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check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sunrise or sunset time, and stops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if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sunrise or sunset time Alternatively,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numerical range corresponding to the sunrise or sunset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발생 감지 장치는 화재 발생 감지를 위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센싱부, 판단부, 카메라부, 그리고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시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to detect the fir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nd, i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the determination unit, the camera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e power supply unit may supply power at all times or power generated by solar power generation.

이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920MHz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통신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may wirelessly transmit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in a 920 MHz frequency ba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발생 감지 장치는 상기 통신부 및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가공하여 저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상기 통신 연결된 중계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복사하여 소정시간 후에 다른 중계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 재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amera unit, the control unit, to check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normal,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for high-speed transmission in real time,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is abnormal, processes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t low speed, and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with at least one relay device, from the camera unit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acquired image to the communication-connected relay device, and the relay device may copy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and retransmit it to another relay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고속 전송할 때, 와이파이 헤일로(WiFi HaLow) 통신 방식으로 영상을 고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저속 전송할 때, 로라(LoRa) 통신 방식으로 영상을 저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t high speed when transmitt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t high speed using a WiFi HaLow communication method, and when transmitt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t low spee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an image at a low speed using a LoRa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화새 발생 시,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고해상도의 스틸컷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스틸컷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unit to shoot a moving picture, transmits the moving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camera unit to take a still-cut photo of a high resolution higher than a preset level when a firebird occurs, ,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till-cut pictur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면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스틸컷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스틸컷 사진을 타임랩스(time-lapse) 방식으로 저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unit to take a video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normal,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video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at high speed in real time,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abnormal, the The camera unit may be controlled to take a still-cut picture, an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still-cut pictur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t a low speed in a time-lapse method.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2개의 광센서와,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1개의 광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화재 발생을 감지함으로써, 화재 탐지 범위를 확장시키고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wo optical sensors are disposed on the second mounting member with both sid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to sense the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the fire, and are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having a flat shap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based on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ingle optical sensor that senses a light wavelength of 3.9um by sunligh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fire detection range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fire detection.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고속 전송하거나 또는 저속 전송할 수 있도록 가공 처리함으로써, 산악지대에서도 통신이 원할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cess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to be transmitted at a high speed or at a low spe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t is possible to have a smooth communication effect even in a mountainous area.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센싱부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화재 발생 장치의 영상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nsing unit of FIG. 1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se plate of a sensing uni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transmission process of a fire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Before the descrip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herein will be briefly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erms is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s not used in the meaning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describ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화재 발생에 의한 제1 광파장과 태양광에 의한 제2 광파장을 센싱하는 센싱부(100)와, 센싱된 제1 광파장과 제2 광파장을 기초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0 for sensing a first light wavelength due to fire and a second light wavelength due to sunlight, and the sensed first light wavelength and a determination unit 20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fire exists based on the second light wavelength.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화재 발생 감지를 위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300),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부(400), 센싱부(100), 판단부(200), 통신부(400) 및 카메라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 그리고 센싱부(100), 판단부(200), 카메라부(300), 그리고 통신부(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unit 300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to detect a fire, a communication unit 400 for transmitting an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300, a sensing unit 100, and a determination unit 200 ),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the camera unit 300 ,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100 , the determination unit 200 , the camera unit 30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0 . (500)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센싱부(100)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 및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제1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1 광센서,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제1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2 광센서, 그리고 제1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제2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3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ing unit 1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a base plate including a first mounting member having a flat shape and a second mounting member having both sid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 generate a fire. A first optical sensor for sensing a first light wavelength by It may include a third optical sensor for sensing the second optical wavelength by

이때,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은,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광센서 및 상기 제2 광센서 간의 배치 각도가 60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may be inclined so that a disposition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is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또한, 센싱부(100)는,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된 제1 광센서 및 제2 광센서를 통해 4.3um 광파장에 대해 120도 센싱 각도 범위와 50m 센싱 거리 범위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00 may have a 120 degree sensing angle range and a 50 m sensing distance range for a 4.3 μm optical wavelength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여기서, 제1, 제2 광센서의 120도 센싱 각도는, 서로 일부 중첩될 수 있다.Here, the 120 degree sensing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may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일 예로, 센싱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장착 부재에 제1, 제2 광센서가 배치될 경우, 제1 광파장에 대해 50m의 센싱 거리범위인 경우 약 120도이며 그 이하의 거리범위인경우 탐지 가능한 각도는 더 넓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are disposed on the second mounting member of the base plate, the sensing unit 100 may have a sensing distance of 50m with respect to the first light wavelength of about 120 degrees and less than or equal to 120 degrees. In the case of a range, the detectable angle may be wid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 판단부(200)는, 센싱부(100)의 센싱신호로부터 제1 광파장만이 검출되고 제2 광파장이 미검출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determination unit 200 may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only the first light wavelength is detected and the second light wavelength is not detected from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00 .

여기서, 제1, 제2 광센서는,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광센서일 수 있고, 제3 광센서는,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광센서일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ensors may be an optical sensor sensing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fire, and the third optical sensor may be an optical sensor sensing a 3.9um optical wavelength caused by sunlight, which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판단부(200)는, 센싱부(100)의 센싱신호로부터 4.3um 광파장만이 검출되고 3.9um 광파장이 미검출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200 may determine that a fire occurs when only a 4.3 μm optical wavelength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00 and a 3.9 μm optical wavelength is not detected.

그 이유는, 4.3um 광파장이 화재 발생에 의한 불꽃에서 나타나는 광파장이고, 3.9um 광파장이 태양광에 의한 자연계에서 나타나는 광파장이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the 4.3um light wavelength is the light wavelength that appears in flames caused by fire, and the 3.9um light wavelength is the light wavelength that appears in the natural world caused by sunlight.

또한, 판단부(200)는, 화재 발생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센싱부(100)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하고, 동일한 화재로 인식할 광파장에 대한 센싱신호의 발생 패턴이 반복적으로 인식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200 checks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and the generation pattern of the sensing signal for the light wavelength to be recognized as the same fire is If it is repeatedly recognize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예를 들면, 판단부(200)는, 5초 동안 100번씩 센싱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4.3um 광파장만이 검출되고 3.9um 광파장이 미검출되는 동일한 화재 발생 패턴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어, 화재 발생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200 repeats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ensing signal 100 times for 5 seconds several times, and when the same fire occurrence pattern in which only the 4.3um optical wavelength is detected and the 3.9um optical wavelength is not detected repeatedly appears, fire It can be determined as the occurrence of the fi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fire occurrence judgment can be increased.

또한, 판단부(200)는, 센싱부(100)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할 때,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센싱신호의 세기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회수를 기초로 화재의 크기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200, when check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counts the intensity of the sensing signal exceeding the reference range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and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times You can also judge the size of the fire.

예를 들면, 판단부(200)는, 5초 동안 100번씩 센싱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할 때, 센싱신호의 세기가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회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한 회수를 기초로 화재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00 repeats the process of checking the sensing signal 100 times for 5 seconds several times, the number of times the intensity of the sensing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range is counted and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times of fire size can be determined.

여기서, 판단부(200)는, 센싱신호의 세기가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회수가 많을수록 화재의 크기가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determination unit 200 may determine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times the intensity of the sensing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range, the greater the size of the fire.

또한, 판단부(200)는, 센싱부(100)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할 때,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출 또는 일몰 시간인지를 확인하고,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출 또는 일몰 시간이면 화재 발생 판단을 중지하거나 또는 일출 또는 일몰 시간에 상응하는 수치 개수 범위를 조정하여 화재 발생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200, when check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confirm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sunrise or sunset time, and if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sunrise or sunset time The fir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stopping the fire determination or by adjusting the numerical range corresponding to the sunrise or sunset time.

즉, 판단부(200)는, 일출 또는 일몰 시간 등과 같이, 자연광 등으로 인한 판단 오류 확률이 높은 시간대에 화재 발생 판단을 중지함으로써, 화재 발생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200 may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by stopping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during a time period in which a determination error probability due to natural light is high, such as sunrise or sunset time.

경우에 따라, 판단부(200)는, 일출 또는 일몰 시간 등과 같이, 자연광 등으로 인한 판단 오류 확률이 높은 시간대에 수신되는 센싱신호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수치 개수 범위를 조정하여 화재 발생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화재 발생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In some cases, th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 fire by adjusting the numerical rang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received in a time period with a high probability of determination error due to natural light, such as sunrise or sunset time, etc.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fire occurrence judgment.

일 예로, 판단부(200)는, 상기 자연광 등으로 인한 판단 오류 확률이 높은 시간대에는 센싱부(100)의 센싱 민감도 수치를 디폴트 수치에서 기 설정된 수준으로 하향된 수치로 변경하고, 상기 자연광 등으로 인한 판단 오류 확률이 높은 시간대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하향된 수치를 다시 원래의 디폴트 수치로 변경함으로써, 화재 발생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200 changes the sensing sensitivity value of the sensing unit 100 to a value lowered from the default value to a preset level during a time period in which the probability of a judgment error due to the natural light is high, and the natural light, etc. When it is not a time period in which the probability of a judgment error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s high, the lowered numerical value is changed back to the original default value,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다음, 전원부(500)는, 센싱부(100), 판단부(200), 카메라부(300), 통신부(400), 그리고 제어부(6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데, 상시 전기 또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Next, the power supply unit 500 may supply power to the sensing unit 100 , the determination unit 200 , the camera unit 300 , the communication unit 400 , and the control unit 600 , which can be powered by electricity or solar power at all times. The generated power can be supplied.

그리고, 통신부(400)는, 외부 중계 장치 또는 외부 서버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relay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여기서,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와 중계 장치 사이, 또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와 서버 사이, 또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페어링 또는/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He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network may include both wired/wireless networks, between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and the relay device, or between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and the server, or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 and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supports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or protocols for pairing and/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a user terminal.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규격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These wired/wireless networks include all communication networks to be supported now or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can support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for the same.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에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 와이파이 헤일로(WiFi HaLow), 로라(LoRa)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Such wired/wireless networks include, for example, Universal Serial Bus (USB),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Component, S-Video (analog),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 RGB, D-SUB networks for wired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s and protocols for them,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LTE/ To be formed by a network for wireless connection such as 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LTE-A), Wi-Fi direct, WiFi HaLow, and LoRa, and a communication standard or protocol for it can

예를 들어, 통신부(40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includ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헤일로(WiFi HaLow), 로라(LoRa),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Fi HaLow, LoRa,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DLNA).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etc.,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은,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It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module.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와이파이 헤일로(WiFi HaLow), 로라(LoRa),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Wi-Fi HaLow, LoRa,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an

일 예로, 본 발명의 통신부(400)는,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약 920MHz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통신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wirelessly transmit an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300 in a frequency band of about 920 MHz, which is only an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면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하도록 통신부(400)를 제어하고,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이면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가공하여 저속 전송하도록 통신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400 to transmit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300 at high speed in real tim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norm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f is abnormal,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controlled to process and transmi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300 at a low speed.

이처럼, 본 발명은, 산악지대 등과 같이, 통신이 원할하지 않는 지역에서도 통신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 방식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화재 등과 같이 긴급 정보를 원할하게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even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not smooth, such as in a mountainous area, emergency information such as a fire can be transmitted smoothly.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고속 전송할 때, 와이파이 헤일로(WiFi HaLow) 통신 방식으로 영상을 고속 전송하도록 통신부(4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저속 전송할 때, 로라(LoRa) 통신 방식으로 영상을 저속 전송하도록 통신부(40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300 is transmitted at high speed, the control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400 to transmit the image at high speed using a WiFi HaLow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camera When the image acquired from the unit 300 is transmitted at a low speed,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image at a low speed using a LoRa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only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평상 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3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현장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도록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고해상도의 스틸컷 사진을 더 촬영하도록 카메라부(3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스틸컷 사진을 상기 동영상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고해상도는 상기 동영상의 해상도보다 한 단계 또는 여러 단계가 높은 해상도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amera unit 300 to take a video in normal times, and transmits the video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300 in real time, and when a fire occurs, the fire scene The camera unit 300 may be controlled to further take still-cut photos of a higher resolution than a preset level to be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still-cut photos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300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moving picture. In this case, the high resolution above the preset level may be a resolution one or several step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moving picture.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면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3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하도록 통신부(400)를 제어하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이면 고해상도로 스틸컷 사진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3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스틸컷 사진을 타임랩스(time-lapse) 방식으로 저속 전송하도록 통신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amera unit 300 to take a video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norm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0 to transmit the video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300 at high speed in real time. control,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is abnormal, the camera unit 300 is controlled to take a still-cut picture in high resolution, and the still-cut pictur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300 is transmitted at a low speed in a time-lapse method.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be controlled.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통신 연결된 중계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400 to transmi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300 to the communication-connected relay device when 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relay device.

여기서, 중계 장치는, 카메라부(3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복사하여 소정시간 후에 다른 중계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 재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relay device may copy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300 and retransmit it to another relay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2개의 광센서와,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1개의 광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화재 발생을 감지함으로써, 화재 탐지 범위를 확장시키고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second mounting member having both sid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nd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having a flat shape and two optical sensors for sensing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fir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based on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ingle optical sensor that senses a light wavelength of 3.9um by ligh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fire detection range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fire detection.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고속 전송하거나 또는 저속 전송할 수 있도록 가공 처리함으로써, 산악지대에서도 통신이 원할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cess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to be transmitted at a high speed or at a low spe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t is possible to have a smooth communication effect even in a mountainous area.

도 2는, 도 1의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센싱부의 베이스 플레이트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nsing unit of FIG. 1 ,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e plate of the sensing unit.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싱부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160)과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150)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2 장착 부재(15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1 광센서(120), 제2 장착 부재(15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2 광센서(130), 그리고 제1 장착 부재(160)에 배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3 광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member 160 having a flat shape and a second mounting member 150 having both sid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a base plate ( 110), dispos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optical sensor 120 and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for sensing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fire to include a second optical sensor 130 for sensing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fire, and a third optical sensor 140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160 to sense a 3.9um optical wavelength by sunlight can

이때, 제2 장착 부재(150)의 양측면은, 제2 장착 부재(150)의 양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광센서(120) 및 제2 광센서(130) 간의 배치 각도가 60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are inclined so that the disposition angle between the first optical sensor 120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130 is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 can be formed.

여기서, 센싱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2 장착 부재(150) 양측면에 배치된 제1, 제2 광센서(120, 130)를 통해 4.3um 광파장에 대해 약 120도 센싱 각도 범위와 약 50m 센싱 거리 범위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sensing uni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ensors 120 and 13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of the base plate 110, a sensing angle range of about 120 degrees for a light wavelength of 4.3um and about 50 m It may have a sensing distance range.

또한, 제1, 제2 광센서(120, 130)의 120도 센싱 각도는, 서로 일부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120 degree sensing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120 and 130 may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그리고, 센싱부는, 제1 광센서(120)와 제2 광센서(130)가 서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고, 제3 광센서(140)가 제1, 제2 광센서(120, 130)에 대해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And, the sensing unit, the first optical sensor 120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130 are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the third optical sensor 140 for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ensors (120, 130) It may be arranged on a different line.

여기서, 제3 광센서(140)는, 제1, 제2 광센서(120, 130)와 다른 선상에서, 제1 광센서(120)와 제2 광센서(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third photosensor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hotosensor 120 and the second photosensor 130 on a lin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120 and 130 .

이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2 장착 부재(150)가 제1 장착 부재(160)에 대해 단차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base plate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is stepp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member 160 .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1 광센서(120)의 장착을 위해 제2 장착 부재(15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홈(122), 제2 광센서(130)의 장착을 위해 제2 장착 부재(15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홈(132), 그리고 제3 광센서(140)의 장착을 위해 제1 장착 부재(160)에 형성되는 제3 장착홈(142)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base plate 110, the first mounting groove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for mounting the first optical sensor 120, the mounting of the second optical sensor 130 A second mounting groove 13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150 for mounting, and a third mounting groove 142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member 160 for mounting the third optical sensor 140 . may include.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3 장착홈(142) 양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제1, 제2 체결홈(171, 172)이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base plate 110,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171 and 172 for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to fix the base plate 110 to both sides of the third mounting groove 142 may be disposed. .

도 4는, 화재 발생 장치의 영상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fire generating devic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화재 관련 영상을 포함한 데이터를 약 920MHz 주파수 대역으로 주변 중계 장치(20) 또는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fire occurrenc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data including a fire-related image to the surrounding repeater 20 or the server 30 in a frequency band of about 920 MHz.

여기서,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원할한 경우,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us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us is desired, may transmit image data at high speed in real time.

하지만,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원할하지 않은 경우,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여 저속 전송할 수 있다.However,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eck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not smooth, process the image data and transmit the image data at a low speed.

이처럼, 본 발명은, 산악지대 등과 같이, 통신이 원할하지 않는 지역에서도 통신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 방식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화재 등과 같이 긴급 정보를 원할하게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even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not smooth, such as in a mountainous area, emergency information such as a fire can be transmitted smoothly.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원할한 경우, 와이파이 헤일로(WiFi HaLow) 통신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고속 전송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원할하지 않은 경우, 로라(LoRa) 통신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저속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image data at high speed using a Wi-Fi HaLow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is desired, and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is not desir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image data at a low speed using the LoRa communication method.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평상 시, 동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화재 발생 시, 동영상 대신에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고해상도로 스틸컷 사진을 촬영하여 촬영한 스틸컷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captured video in real time by shooting a video, and when a fire occurs, a still-cut photo is taken with a high resolution higher than a preset level instead of a video. One still cut picture can be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면 동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하고,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이면 고해상도로 스틸컷 사진을 촬영하여 촬영한 스틸컷 사진을 타임랩스(time-lapse) 방식으로 저속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normal, by shooting a video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video in real time,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is abnormal, by taking a still-cut photo in high resolution. Still-cut photos can be transmitted at a low speed in a time-lapse method.

또한, 본 발명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20)와 통신 연결되면 영상 데이터를 통신 연결된 중계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Also, when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at least one relay device 20 , it may transmit image data to the communication-connected relay device 20 .

여기서, 중계 장치(20)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1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복사하여 소정시간 후에 다른 중계 장치(20) 또는 외부 서버(30)로 재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relay device 20 may copy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fire detection device 10 and retransmit it to another relay device 20 or an external server 30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ich is only an example.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2개의 광센서와,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1개의 광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화재 발생을 감지함으로써, 화재 탐지 범위를 확장시키고 화재 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second mounting member having both sid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nd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having a flat shape and two optical sensors for sensing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fir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based on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a single optical sensor that senses a light wavelength of 3.9um by ligh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fire detection range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fire detection.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고속 전송하거나 또는 저속 전송할 수 있도록 가공 처리함으로써, 산악지대에서도 통신이 원할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cessing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to be transmitted at a high speed or at a low spe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have a smooth communication effect even in a mountainous area.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serv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C, C++, JAVA, machine language, etc. that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read through a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code (Code) coded in the computer language of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functions defining functions necessary for executing the methods, etc.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or code related to memory reference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in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enced.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located remotely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remot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a cache, a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a computer readable code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conta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0)

화재 발생 감지를 위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920MHz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통신 전송하는 통신부;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과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4.3um 광파장과 3.9um 광파장을 기초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카메라부, 상기 통신부, 상기 센싱부, 상기 판단부 및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가공하여 저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상기 통신 연결된 중계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복사하여 소정시간 후에 다른 중계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 재전송하고,
상기 센싱부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장착 부재 및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2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1 광센서;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재 발생에 의한 4.3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2 광센서; 및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에 의한 3.9um 광파장을 센싱하는 제3 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은,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광센서 및 상기 제2 광센서 간의 배치 각도가 60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 장착 부재의 양측면에 배치된 상기 제1 광센서 및 제2 광센서를 통해 4.3um 광파장에 대해 120도 센싱 각도 범위와 50m 센싱 거리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는, 서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광센서는 상기 제1 광센서 및 상기 제2 광센서에 대해 다른 선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광센서와 제2 광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장착 부재가 상기 제1 장착 부재에 대해 단차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로부터 상기 4.3um 광파장만이 검출되고 상기 3.9um 광파장이 미검출되면,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to detect fire;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in a 920 MHz frequency b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4.3um optical wavelength caused by fire and a 3.9um optical wavelength caused by sunlight;
a determination unit for judging whether a fire exists based on the sensed 4.3um optical wavelength and 3.9um optical wavelength;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sensing unit, the determina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or for supplying power generated by solar power generation;
The control unit checks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us,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at high speed in real tim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is normal, and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dition is abnormal, th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cess the image and transmit it at a low speed,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to the communication-connected relay device when communication is connected with at least one relay device,
The relay device copies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and retransmits it to another relay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sensing unit,
a base plate including a first mounting member having a flat shape and a second mounting member having both side surface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 first optical sensor dispose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 sense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the fire;
a second optical sens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 sense a 4.3um light wavelength caused by the fire; and
and a third photosensor disposed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to sense a 3.9um light wavelength by the sunlight,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are inclined so that a disposition angle between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is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he sensing unit has a 120 degree sensing angle range and a 50 m sensing distance range for a 4.3um optical wavelength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are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The third photosensor is disposed on a different line with respect to the first photosensor and the second photosenso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hotosensor and the second photosensor,
The base plate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second mounting member is stepp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member,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fire occurs when only the 4.3um optical wavelength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the 3.9um optical wavelength is not detec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하고, 화재로 인식할 광파장의 패턴이 반복적으로 인식되면, 상기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judging unit,
A fir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unit checks the sensing signal a plurality of tim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when the pattern of the light wavelength to be recognized as a fire is repeatedly recognized,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occurre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할 때,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센싱신호의 세기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한 회수를 기초로 상기 화재의 크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judging unit,
When check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the intensity of the sensing signal exceeding a reference range is counted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and the size of the fir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unted number of times, characterized in that fire detection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신호를 일정시간별로 복수회 확인할 때,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출 또는 일몰 시간인지를 확인하고,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출 또는 일몰 시간이면 상기 화재 발생 판단을 중지하거나 또는 일출 또는 일몰 시간에 상응하는 수치 개수 범위를 조정하여 상기 화재 발생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judging unit,
When check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a plurality of times for each predetermined time,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sunrise or sunset time, and if the current time is a preset sunrise or sunset time,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is stopped or the sunrise or sunset time Fire occurrenc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numerical number range corresponding to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고속 전송할 때, 와이파이 표준 통신 방식으로 영상을 고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저속 전송할 때, 920M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영상을 저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high-speed transmission of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high-speed transmission of the image in a Wi-Fi standard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is transmitted at a low speed, the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mage at a low speed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920 MHz frequency ban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화새 발생 시,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고해상도의 스틸컷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스틸컷 사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Controls the camera unit to take a video, and transmits the video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in real time,
Fire occurrenc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irebird occurs, the camera unit is controlled to take a still-cut picture of a high resolution higher than a preset level, and the still-cut pictur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is transmitte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면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고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스틸컷 사진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스틸컷 사진을 타임랩스(time-lapse) 방식으로 저속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 감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is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normal, control the camera unit to shoot a video,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video acquired from the camera unit at high speed in real tim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state is abnormal, controlling the camera unit to take the still-cut pictur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till-cut picture obtained from the camera unit at a low speed in a time-lapse method fire detection device.
KR1020210072690A 2021-06-04 2021-06-04 Apparatus for sensing fire KR102294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90A KR102294169B1 (en) 2021-06-04 2021-06-04 Apparatus for sensing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90A KR102294169B1 (en) 2021-06-04 2021-06-04 Apparatus for sensing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169B1 true KR102294169B1 (en) 2021-08-26

Family

ID=7746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690A KR102294169B1 (en) 2021-06-04 2021-06-04 Apparatus for sensing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16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211A (en) * 2003-04-24 2004-11-18 Hochiki Corp Light scattering smoke detector
KR101278300B1 (en) * 2011-09-02 2013-06-25 박운학 System for Integrated Information Guid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70058044A (en) 2015-11-18 2017-05-26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Smart fire monitoring and power distribution panel system for electric fire prevention
KR101817730B1 (en) * 2017-05-11 2018-01-11 주식회사 아이알티코리아 Fire detec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for preventing false alarm
JP2019179574A (en) * 2019-06-24 2019-10-17 ホーチキ株式会社 Fire detector
JP6807238B2 (en) * 2017-01-19 2021-01-06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Fire det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211A (en) * 2003-04-24 2004-11-18 Hochiki Corp Light scattering smoke detector
KR101278300B1 (en) * 2011-09-02 2013-06-25 박운학 System for Integrated Information Guid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70058044A (en) 2015-11-18 2017-05-26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Smart fire monitoring and power distribution panel system for electric fire prevention
JP6807238B2 (en) * 2017-01-19 2021-01-06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Fire detector
KR101817730B1 (en) * 2017-05-11 2018-01-11 주식회사 아이알티코리아 Fire detec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for preventing false alarm
JP2019179574A (en) * 2019-06-24 2019-10-17 ホーチキ株式会社 Fire det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256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CN104143248B (en) Forest fire detection based on unmanned plane and preventing control method
US99000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101148799B1 (en) Infrared thermal image fire detector and fire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RU2645306C2 (en) Managing sources of light through the portable device
WO201518275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7519399A5 (en)
US201701641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090926B2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23253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iring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lighting device
CN111294526A (e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camera from being burnt by sun
US11381459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hidden camer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901995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network management
KR101913041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firefighting capable of detecting location of life
CN110073701B (en) Method of controlling radio signal transmitted by gateway, and recording medium
KR102294169B1 (en) Apparatus for sensing fire
US10631158B2 (en) 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59588A1 (en) Terminal and information relay apparatus
JP5048577B2 (en) Monitoring system, tag device, senso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10044595A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 hidden camera,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10024307B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etection and/or decoding
KR101786718B1 (en) 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KR1012449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information communication
KR101895726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firefighting capable of detecting ignition point
KR101683747B1 (en) Network camera with the plural digital outputs for alarm output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