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152B1 -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 Google Patents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152B1
KR102294152B1 KR1020190174653A KR20190174653A KR102294152B1 KR 102294152 B1 KR102294152 B1 KR 102294152B1 KR 1020190174653 A KR1020190174653 A KR 1020190174653A KR 20190174653 A KR20190174653 A KR 20190174653A KR 102294152 B1 KR102294152 B1 KR 10229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d
wearer
glasses
appro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2586A (en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152B1/en
Publication of KR2021008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5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8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visual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for the partially sigh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결손 증상이 있는 착용자를 위한 재활보조 안경으로서, 한 쌍의 안경렌즈; 상기 안경렌즈를 지지하며, 안경귀 및 안경다리가 마련된 안경테; 상기 안경테에 장착되고, 주변 사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안경렌즈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착용자가 결손된 시야각 부분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사물을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므로 결손된 시야의 방향에서 접근하는 사물에 대한 착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줌으로써 위험의 발생을 예방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with visual field defects,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wearers with visual field deficit symptoms, comprising: a pair of spectacle lenses; a spectacle frame supporting the spectacle lens and provided with spectacle ears and spectacle legs;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and sensing (approaching) a surrounding object;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spectacle lens and displayed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object within the range of the missing field of view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Disclosed is a techniqu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hazard by drawing the attention of the person.

Description

시야장애 재활보조 안경{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시야 결손이 있는 환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는 보조 안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 to assistive glasses that can aid i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뇌경색이나, 뇌출혈 또는 뇌종양 등으로 시교차(optic chiasm)이하의 시각로(optic tract)가 손상되거나, 후두엽이 손상된 환자는 안구의 기능 이상이 아닌 뇌의 시신경이나, 시각영역의 기능 이상으로 동측반맹 혹은 사분맹 등이 발생한다. Patients with damage to the optic tract below the optic chiasm or damage to the occipital lobe due to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hemorrhage, or brain tumor, etc. Or quadrants occur.

이런 동측반맹이나 사분맹 등과 같은 시야 결손(visual field defect)은 시야 결손이 있는 부분이 보이지 않음으로 인하여 일상생활 중이나, 보행, 이동 중, 다가오는 장애물, 사물, 사람 등을 인지하지 못하여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이 있으며 종종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Such visual field defects such as ipsilateral hemi-blindness or quadrilateral blindness are significant in daily life because the part with the visual field defect cannot be seen, so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an approaching obstacle, object, or person during daily life, walking, moving, etc. It is uncomfortable and often puts you in a dangerous situation.

특히 이러한 시야 결손은 증상의 회복이 매우 느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련된 장애에 대한 재활 또한 어렵다. In particular, such visual field defect is known to have a very slow recovery of symptoms, and rehabilitation for related disorders is also difficult.

따라서, 환자의 시야가 결손된 방향에서 사물이 다가오거나, 근거리에 위치했을 때 이를 환자가 인식하고 위험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재활을 도울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when an object approaches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patient's field of view is lost, or when it i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the patient recognizes it and avoids the danger, thereby securing the patient's safety and assisting rehabilitation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57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1577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야가 결손된 방향에서 근접하는 사물을 환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glasses that enable a patient to recognize an object that is clos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eld of view is l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은, 시야결손 증상이 있는 착용자를 위한 재활보조 안경으로서, 한 쌍의 안경렌즈; 상기 안경렌즈를 지지하며, 안경귀 및 안경다리가 마련된 안경테; 상기 안경테에 장착되고, 주변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접근속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안경렌즈에 배치되고, 결손된 시야각 부분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접근속도를 상기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설정하며, 상기 사물의 접근속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변화되는 변조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rehabilitation assisting eyeglasses for a wearer with visual field defect symptoms, comprising: a pair of spectacle lenses; a spectacle frame supporting the spectacle lens and provided with spectacle ears and spectacle legs;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and generating a sensing signal by sensing an approach distance or an approach speed of a nearby object;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spectacle lens and emitting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approach distance or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within the range of the missing viewing angle part; set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object, and increases or decreases the modulation rate at which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changes according to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can also be done with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pectacle lens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viewing angle portion of the wearer.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자의 좌측에 위치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배치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착용자의 우측 눈의 시야각 범위 내에 진입될 수 있거나, 상기 착용자의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배치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착용자의 좌측 눈의 시야각 범위 내에 진입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display unit includes an LED that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pectacle len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 is the viewing angle of the wearer's right ey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disposed o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 may enter within the viewing angle range of the wearer's left eye. have.

여기서, 상기 LED는, 상기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다수개가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LED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EDs ar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pectacle lens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viewing angle portion of the wearer.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LED가 하나의 줄로 배열되어 하나의 LED라인을 이루고,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LED라인이 병렬적으로 배치되거나 세로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LED라인이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라인을 추가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 plurality of the LEDs are arranged in one row to form one LED line, and one or more of the LED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or one or more of the LED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vertical direction. Another feature may be that the brightness of the emitted light is increased by additionally emitting the LED li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s the approaching distance of the object approaches.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경테의 좌측에 마련된 상기 안경귀에 배치되는 제1 근접센서 및 상기 안경테의 우측에 마련된 상기 안경귀에 배치되는 제2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근접센서 또는 상기 제2 근접센서는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상기 사물의 접근속도를 감지하여 얻는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disposed on the spectacle ea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disposed on the spectacle ea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pectacle frame, the first proximity sensor or the second The proximity sensor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detecting the approach distance or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to the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은, 상기 안경테에 장착되고, 상기 착용자가 상기 사물의 접근 또는 접근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re mounted on the glasses frame, and a notification unit that outputs a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approach or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object; It can also be used as a feature.

여기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안경테의 좌측의 안경다리와 우측의 안경다리 각각에 배치된 이어폰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an earphone disposed on each of the temple on the left side and the temple on the right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s another fea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은,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의 방향에서 접근하는 사물에 대한 착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줌으로써 위험의 발생을 예방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시야결손이 있는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시야결손을 극복하기 위한 재활을 도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visual field loss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risk by calling the wearer's attention to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direction of the wearer's missing field of visio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wearer with a visual field defect and help rehabilitation to overcome the visual field de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의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우측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우측의 일부 부분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이 근접함에 따라 LED라인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이 접근해오는 거리에 따라 발광하는 LED의 총 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이 접근해오는 접근속도에 따라 발광하는 LED의 총밝기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이 접근해오는 접근속도에 따라 변화되는 LED 밝기의 변화속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의 안경다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form of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right side in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rtion of the right side in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LED lines are sequentially emitted as an object approaches in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total brightness of LEDs that emit light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which an object approaches in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change in the total brightness of the LED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approach speed at which an object approaches in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hange rate of LED brightness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an approach speed at which an object approaches in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appl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mple part of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ccording to an appl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10)은, 시야결손 증상이 있는 착용자를 위한 재활보조 안경으로서, 안경렌즈(200), 안경테(100), 감지부(310), 제어부(320) 및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에 안경테(100)에 장착되어 감지부(310), 제어부(320) 및 표시부(3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0) 또한 포함되며 충전지나 배터리를 예로 들을 수 있다.1 and 2, the visual field defici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for wearers with visual field deficit symptoms, a spectacle lens 200, a spectacle frame 100, It includes a sensing unit 310 , a control unit 320 , and a display unit 330 . Here, a power supply unit 340 mounted on the eyeglass frame 100 to supply power to the sensor 310 , the control unit 320 , and the display unit 330 to operate is also included,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battery.

안경렌즈(200)는 통상의 안경처럼 좌우 하나씩 한 쌍(210, 220)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안경렌즈(200)에는 후술할 표시부(330)가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spectacle lens 200 is provided as a pair (210, 220) one by one on the left and right like normal spectacles. In the spectacle lens 200 , a display unit 33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missing viewing angle range.

안경테(100)는 안경렌즈(200)를 지지한다. 이러한 안경테(100)에는 안경렌즈(200)가 끼워지는 테(141, 143), 코다리(130) 안경귀(121, 123)와 안경다리(111, 113)가 마련되어 있다. The spectacle frame 100 supports the spectacle lens 200 . The spectacle frame 100 is provided with frames 141 and 143 into which the spectacle lens 200 is fitted, the nose bridge 130 , the glasses ears 121 and 123 , and the temples 111 and 113 .

감지부(310)는 안경테(100)에 장착되며, 착용자 주변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접근속도를 감지한다. The sensing unit 310 is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100 and detects an approach distance or an approach speed of objects around the wearer.

이러한 감지부(310)는, 착용자 기준으로 안경테(100)의 좌측에 마련된 안경귀(121)에 배치되는 제1 근접센서(311) 및 안경테(100)의 우측에 마련된 안경귀(123)에 배치되는 제2 근접센서(313)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310 is disposed on the first proximity sensor 311 disposed on the eyeglass ear 121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eyeglass frame 100 based on the wearer and the eyeglass ear 123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eyeglass frame 100 . A second proximity sensor 313 is included.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1 근접센서(311) 또는 제2 근접센서(313)가 안경다리(111, 113) 또는 테(141, 143)에 마련된 실시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Of course, if necessary,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roximity sensor 311 or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13 is provided on the temples (111, 113) or the frames (141, 143)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제1 근접센서(311) 또는 제2 근접센서(313)는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사물의 접근속도를 감지하여 얻는 감지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311 or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13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sensing the approach distance or speed of the object to the electrically connected control unit 320 .

제어부(320)는 표시부(330), 감지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부(3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다. 즉, 제1 근접센서(311) 또는 제2 근접센서(313)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320)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하여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330)를 제어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3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30 and the sensing unit 310 , and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310 . That is, the control unit 320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proximity sensor 311 or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13 controls the display unit 330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이러한 제어부(320) 또한 안경테(100)에 장착되어 있다.This control unit 320 is also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100 .

제어부(320)는 제1 근접센서(311) 또는 제2 근접센서(313)에 의해 감지되는 사물의 접근속도 또는 접근거리에 따라 표시부(330)의 표시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the display form of the display unit 330 according to the approach speed or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311 or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13 .

다음으로 도 3을 더 참조하여 안경렌즈에 배치된 표시부(330)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display unit 330 disposed on the spectacle lens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우측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right side in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더 참조하면, 표시부(330)는 안경렌즈(200)에 배치된다. 그리고, 결손된 시야각 부분의 범위 내에 있는 사물을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한다. Referring further to FIG. 3 , the display unit 330 is disposed on the spectacle lens 200 . Then, an object within the range of the missing viewing angle part is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20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it.

이러한 표시부(330)로서 LED(3330)는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220)의 일부분(ZR1)에 배치된다. The LED 3330 as the display unit 330 is disposed on a portion ZR1 of the spectacle lens 220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missing viewing angle portion.

여기서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220)의 일부분(ZR1)이란, 안경렌즈(200)의 일부분(ZR1)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착용자의 시신경에 도달하여도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해당되어 착용자가 인식을 하지 못하게 되는 부분을 말한다. Here, the part ZR1 of the spectacle lens 220 corresponding to the part of the wearer's defective viewing angle is the part of the wearer's missing viewing angle even when the light entering through the part ZR1 of the spectacle lens 200 reaches the optic nerve of the wearer. This refers to the part that the wearer cannot recognize.

그리고 표시부(330)로서 LED(333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한다. In addition, the LED 3330 as the display unit 330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20 .

LED(3330)는 다수개가 연이어 배열되어 하나의 LED라인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LED라인이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LED라인(331, 333, 336, 338)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A plurality of LEDs 3330 are arranged one after another to form one LED line. And a plurality of such LED lines may be provided. Here, the LED lines 331 , 333 , 336 , 338 as shown in FIG. 1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1 .

구체적으로 LED라인이 배치되는 위치와 갯수는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범위에 맞게 맞춤형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어느 한 쪽의 렌즈 중 일부 부분에만 LED라인이 배치된 형태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LED lines arranged are customized to fit the wearer's missing viewing angle range. Therefore, there may be a form in which the LED line is arranged only on a part of one of the lenses.

근접센서(311, 313)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320)는 LED라인(331, 333, 336, 338)의 발광을 각각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light emission of the LED lines 331 , 333 , 336 and 338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proximity sensors 311 and 313 , respectively.

이처럼 다수개의 LED 또는 LED라인은,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200)의 일부분에 배치되되, 다수개의 LED가 하나의 LED라인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LED라인이 안경렌즈(2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As such, a plurality of LEDs or LED lines ar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pectacle lens 200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missing viewing angle portion, a plurality of LEDs form one LED line, and a plurality of LED lines are provided on the spectacle lens 200 ) may be placed in

다수개의 LED가 하나의 줄로 배열되어 하나의 LED라인을 이루고, 안경렌즈(200)의 일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LED라인이 병렬적으로 배치되거나 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LED라인이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LEDs are arranged in one row to form one LED line, and a plurality of LED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200 or a plurality of LED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vertical direction. may be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안경렌즈(220)의 표면에 LED(3330)가 배치된 형태도 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경렌즈(220)에 LED가 매립되어 배치된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3, a form in which the LED 333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spectacle lens 220 is also possible, and although not shown, a form in which the LED is embedded in the spectacle lens 220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200)의 일부분(ZR1)에 배치된 LED(3330)는 착용자의 결손된 시야각 범위에 해당되므로 착용자는 안경렌즈(200)의 일부분(ZR1)에 배치된 LED(3330)가 보이지 않는다. The LED 3330 disposed on the part ZR1 of the spectacle lens 200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defective viewing angle range corresponds to the wearer's missing viewing angle range, so the wearer is disposed on the part ZR1 of the spectacle lens 200 . LED 3330 is not visible.

그러나, 제2근접센서(313)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LED(3330)가 발광을 하게 되면, LED(3330)의 발광된 빛(LR1)이 반사 또는 굴절을 통해 반대측 눈의 시신경에 도달되어 LED(3330)가 발광되는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LED 3330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13 , the emitted light LR1 of the LED 3330 is reflected or refractioned.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LED 3330 is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emitted by reaching the optic nerve of the contralateral eye.

즉, 도 3에서, 착용자의 우측 눈 앞에 배치되는 안경렌즈(220)에서, 결손된 시야각 범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의 부분(ZR1)에 배치된 LED(3330)에서 발광된 빛(LR1)은 착용자의 우측 눈이 아닌 반대편 좌측 눈의 시신경에 도달된다. That is, in FIG. 3 , in the spectacle lens 220 disposed in front of the wearer's right eye, the light LR1 emitted from the LED 3330 disposed in the part ZR1 of the spectacle lens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viewing angle range is the wearer It reaches the optic nerve of the contralateral left eye rather than the right eye.

좌측 눈의 시신경에 도달된 LED(3330)의 빛을 인식한 착용자는 우측의 결손된 시야각 범위의 방향에서 어떤 사물이 근접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착용자는 고개를 우로 돌려서 근접하는 사물을 정상적인 시야각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wearer, recognizing the light of the LED 3330 reaching the optic nerve of the left eye, recognizes that an object is approaching in the direction of the missing viewing angle range on the right side, and the wearer turns their head to the right to view the adjacent object at a normal viewing angle. can be identified in detail.

이처럼 착용자의 좌측에 위치되는 안경렌즈(210)의 일부분에 배치된 LED(336)에서 발광된 빛이 착용자의 우측 눈의 시야각 범위 내에 진입될 수 있거나, 착용자의 우측에 위치되는 안경렌즈(220)의 일부분(ZR1)에 배치된 LED(3330)에서 발광된 빛(LR1)이 착용자의 좌측 눈의 시야각 범위 내에 진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336 disposed o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210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 may enter the viewing angle range of the wearer's right eye, or the spectacle lens 220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LR1 emitted from the LED 3330 disposed on the portion ZR1 of the polarizer can enter the viewing angle range of the wearer's left eye.

도 4에서는 LED(3330)의 상측에 반사판(3335)이 배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LED(3330)로부터 발광된 빛(LR2)이 반사판(3335)에 의해 반사되어 착용자의 좌측 눈의 시신경으로 입사된다. 4 schematically shows a form in which the reflector 3335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D 3330 . 4 , the light LR2 emitted from the LED 3330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3335 and is incident on the optic nerve of the wearer's left eye.

이처럼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LED(3330)의 배치형태도 가능하며,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판(3335)가 함께 배치된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As such, the arrangement form of the LED 3330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3 is possible, and the form in which the reflector 3335 is arranged together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4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그리고, 제어부(320)가 표시부(330)의 LED 또는 LED라인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달리하도록 LED 또는 LED라인을 제어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ntroller 320 to control the LED or the LED line so as to vary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or the LED line of the display unit 330 .

즉, 제어부(320)는, 사물의 접근거리에 따라 표시부(330)의 LED 또는 LED라인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사물의 접근속도에 따라 표시부(330)의 LED 또는 LED라인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변화되는 변조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That is, the control unit 320 set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or LED line of the display unit 330 accor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object, and the LED or the LED line of the display unit 330 according to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Increases or decreases the modulation rate at which the brightness of light emitted from

이어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이 근접함에 따라 LED라인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이 접근해오는 거리에 따라 발광하는 LED의 총 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First,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LED lines are sequentially emitted as an object approaches in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lo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sual field deficit rehabilitation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total brightness of the LED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distance an object approaches from the glasses.

먼저,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착용자에게 결손된 시야각 범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220)의 일부분(ZR1)에 다수개의 LED 라인(333-1, 333-2, 333-3)이 배치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6 , a plurality of LED lines 333-1, 333-2, 333-3 are disposed on a part ZR1 of the spectacle lens 220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angle range that is missing for the wearer. has been

착용자에게 결손된 시야각 범위에 있는 사물(11)이 접근하여 접근거리가 D1이 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320)가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LED라인(333-1, 333-2, 333-3)중 하나의 LED라인(333-1)이 발광되도록 제어한다. LED라인(333-1)에서 발광된 빛(LR31)는 착용자의 반대측 정상적인 시야각 범위로 진행하여 착용자의 시신경에 도달된다. When the wearer approaches the object 11 in the missing viewing angle range and the approach distance becomes D1, the control unit 32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ler 320 controls one of the LED lines 333-1, 333-2, 333-3 to emit light. The light LR31 emitted from the LED line 333 - 1 travels in the normal viewing angle rang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er and reaches the optic nerve of the wearer.

사물(11)이 착용자에게 더 다가와서 접근거리가 D2가 되면 제어부(320)는 추가적으로 다른 하나의 LED라인(333-2)도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발광하는 LED라인(333-2)에서 발광된 빛(LR32)도 먼저 발광되던 빛(LR31)와 함께 착용자의 시신경으로 진행하여 도달하게 된다. When the object 11 approaches the wearer and the approach distance becomes D2, the controller 320 additionally controls the other LED line 333-2 to emit light. The light LR32 emitted from the additionally emitted LED line 333-2 also progresses to the wearer's optic nerve together with the light LR31 that was previously emitted.

이처럼 사물(11)이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증가하게 된다. As such, as the distance of the object 11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emitted light increases.

사물(11)이 더욱 가깝게 접근하여 접근거리가 D3가 되면 나머지 하나의 LED라인(333-3)도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추가적으로 발광하게 되며, 추가적으로 발광된 빛(LR33)도 먼저 발광되던 빛(LR31, LR32)과 함께 착용자의 시신경으로 진행하여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LED라인(333-1, 333-2, 333-3)에 의해 발광되는 빛의 총 밝기가 더 증가하게 된다. When the object 11 approaches closer and the approach distance becomes D3, the other LED line 333-3 also emits additional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20, and the additionally emitted light LR33 also emits light first. It travels to the wearer's optic nerve along with the lights LR31 and LR32. Accordingly, the total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ED lines 333-1, 333-2, 333-3 is further increased.

이와 같이, 사물(11)의 접근거리가 가까워지는 만큼 LED라인(333-1, 333-2, 333-3)에 의해 발광되는 빛의 밝기 또한 증대된다. In this way, as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object 11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ED lines 333-1, 333-2, 333-3 is also increased.

그리고 LED라인에 의한 빛의 총밝기와 접근거리와의 관계를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그래프로 개략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brightness of light by the LED line and the approach distance can be schematically expressed as a graph as referenced in FIG. 6 .

이처럼 감지된 사물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As the distance of the sensed object approache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or the LED lines 333-1, 333-2, 333-3 may be set.

또는 감지된 사물의 접근속도에 비례하여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변화되는 속도인 변조속도를 변화시키는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to change the modulation rate, which is the rate at which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or LED line (333-1, 333-2, 333-3)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detected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이 접근해오는 접근속도(V1, V2, V3)에 따라 발광하는 LED 또는 LED라인의 총밝기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total brightness of an LED or LED line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approach speed (V1, V2, V3) at which an object approaches in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for visual field de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일정한 접근속도 예를 들어 V1의 접근속도로 접근함에 따라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의 총밝기 또한 증가한다.As shown in FIG. 7 , the total brightness of the LEDs or LED lines 333-1, 333-2 and 333-3 also increases as the approach speed approaches a constant approach speed, for example, V1.

그리고,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V1의 접근속도로 접근하는 사물(11)에 대한 단위시간당 LED 또는 LED 라인(333-1,333-2,333-3)의 총밝기의 증가량에 비하여 V2의 접근하는 사물(11)에 대한 단위시간당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의 총 밝기의 증가량이 더 크다. And, as shown in FIG. 7 ,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total brightness of the LED or LED line (333-1, 333-2, 333-3) per unit time for the object 11 approaching at the approach speed of V1, the object approaching of V2 The amount of increase in the total brightness of the LEDs or LED lines 333-1, 333-2 and 333-3 per unit time for (11) is larger.

그리고, V2의 접근속도로 접근하는 사물(11)에 대한 단위시간당 LED 또는 LED 라인의 총밝기의 증가량에 비하여 V3의 접근하는 사물(11)에 대한 단위시간당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의 총 밝기의 증가량이 더 크다.And,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total brightness of the LED or LED line per unit time for the object 11 approaching at the approach speed of V2, the LED or LED line (333-1,333-2,333) per unit time for the object 11 approaching of V3 The amount of increase of the total brightness of -3) is larger.

따라서, 사물(11)이 접근하는 속도가 V1에서 V2로, 그리고 V2에서 V3로 증가할수록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의 단위시간 당 총 밝기 즉, 변조속도 또한 변화하여 증가된다. Therefore, as the speed at which the object 11 approaches increases from V1 to V2 and from V2 to V3, the total brightness per unit time of the LED or LED line (333-1, 333-2, 333-3), that is, the modulation speed also changes and increases. do.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서 사물(11)이 접근해오는 접근속도에 따라 변화되는 LED 또는 LED라인 밝기의 변화속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change rate of the brightness of the LED or LED line,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pproaching speed of the object 11 in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ing vision lo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11)의 접근속도에 비례하여 밝기의 변화속도 즉 변조속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사물(11)의 접근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의 밝기 변화속도 또한 증가한다.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8 , the change speed of the brightness, that is, the modulation speed,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11 . Accordingly, as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11 increases, the brightness change speed of the LED or LED lines 333-1, 333-2, 333-3 also increases.

이처럼, 접근하는 사물(11)의 접근속도에 비례하여 LED 또는 LED라인(333-1,333-2,333-3)이 점멸되는 간격이 좁아지도록 제어부(320)가 제어하는 응용된 실시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As such, in proportion to the approach speed of the approaching object 11, the applied embodiment in which the controller 320 controls the interval at which the LED or LED line (333-1, 333-2, 333-3) blinks becomes narrower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한 편, 이와 같은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 알림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의 안경다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with visual field loss according to an appl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drawing shown.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10)은 안경테(100)에 장착되고, 착용자가 사물의 접근 또는 접근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알림부(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1 and 9,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100, and the control unit 320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approach or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object. 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350 for outputting a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이러한 알림부(350)의 바람직한 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100)의 좌측의 안경다리(111)와 우측의 안경다리(113) 각각에 배치된 이어폰(352)을 들을 수 있다.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notification unit 350, as shown in FIG. 10, earphones 352 disposed on each of the temples 111 on the left side and the temples 113 on the right side of the eyeglass frame 100 can be heard. .

예를 들어, 시야가 결손된 좌측의 방향에서 사물의 접근이 제1 감지센서(311)에 감지되어 감지신호가 제어부(320)으로 전달되면, 제어부(3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ED(331, 336)가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이와 함께 좌측의 안경다리(111)에 배치된 이어폰(352)이 알림음을 울리도록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an approach of an object is sensed by the first detection sensor 311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field of view and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20,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LED 331, 336) controls to emit light, and with this, the earphone 352 disposed on the temple 111 on the left side is controlled to sound a notification sound.

따라서 착용자는 좌측 방향에서 접근하는 사물이 있다는 것을 알림음을 통해서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earer can recognize through the notification sound that there is an object approaching from the left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에 의하면, 시야가 결손된 방향에서 근접하는 사물을 환자인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므로 위험의 발생을 회피하여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야 결손에 따른 불편함을 극복하고 재활하는데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ing vision lo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er, who is the patient, can recognize objects that are close in the direction of the visual loss, so that the occurrence of danger can be avoided and the safety of the wearer can be secured. ,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to overcome the discomfort caused by visual field loss and to help rehabilitation.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
100 : 안경테
200 : 안경렌즈
310 : 감지부 311, 313, : 근접센서
320 : 제어부 330 : 표시부
3330 : LED
331, 333, 336, 338, 333-1, 333-2, 333-3 : LED라인
10: glasse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with visual field defects
100: glasses frame
200: glasses lens
310: sensing unit 311, 313,: proximity sensor
320: control unit 330: display unit
3330: LED
331, 333, 336, 338, 333-1, 333-2, 333-3: LED line

Claims (8)

시야결손 증상이 있는 착용자를 위한 재활보조 안경으로서,
한 쌍의 안경렌즈;
상기 안경렌즈를 지지하며, 안경귀 및 안경다리가 마련된 안경테;
상기 안경테에 장착되고, 주변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접근속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안경렌즈에 배치되고, 결손된 시야각 부분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접근속도를 상기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설정하며, 상기 사물의 접근속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변화되는 변조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자의 좌측에 위치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배치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착용자의 우측 눈의 시야각 범위 내에 진입될 수 있거나, 상기 착용자의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배치된 상기 LED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착용자의 좌측 눈의 시야각 범위 내에 진입될 수 있고,
상기 LED는,
상기 결손된 시야각 부분에 대응되는 안경렌즈의 일부분에 다수개가 하나의 줄로 배열되어 하나의 LED라인을 이루고,
상기 안경렌즈의 일부분에서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상기 LED라인이 병렬적으로 배치되거나 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상기 LED라인이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LED라인이 배치되는 위치와 개수는 상기 결손된 시야각 범위에 맞춤형으로 설정되는,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
Rehabilitation aid glasses for wearers with visual field defect symptoms,
a pair of spectacle lenses;
a spectacle frame supporting the spectacle lens and provided with spectacle ears and spectacle legs;
a sensing unit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and generating a sensing signal by sensing an approach distance or an approach speed of a nearby object;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spectacle lens and emitting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approach distance or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within the range of the missing viewing angle part;
The control unit is
Se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object, increase or decrease the modulation rate at which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changes according to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The display unit,
and an LED disposed o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viewing angle part and emitting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disposed o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earer may enter the viewing angle range of the wearer's right eye, or disposed o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wear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ay enter within the viewing angle range of the wearer's left eye,
The LED is
A plurality of spectacle lenses are arranged in one row to form one LED line o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corresponding to the missing viewing angle part,
A plurality of the LED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spectacle lens or a plurality of the LED lin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LED lines are arranged to be customized to the missing viewing angle range,
Visual impairment rehabilitation glas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라인을 추가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발광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
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approaching distance of the object becomes closer, the brightness of the emitted light is increased by additionally emitting the LED li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Visual impairment rehabilitation glass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경테의 좌측에 마련된 상기 안경귀에 배치되는 제1 근접센서 및 상기 안경테의 우측에 마련된 상기 안경귀에 배치되는 제2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근접센서 또는 상기 제2 근접센서는 상기 사물의 접근거리 또는 상기 사물의 접근속도를 감지하여 얻는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ing unit,
A first proximity sensor disposed on the spectacle ea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disposed on the spectacle ea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pectacle frame,
The first proximity sensor or the second proximity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btained by detecting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object or the approach speed of the object to the control unit,
Visual impairment rehabilitation glass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은,
상기 안경테에 장착되고, 상기 착용자가 상기 사물의 접근 또는 접근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
7. The method of claim 6,
The visual field defect rehabilitation assistance glasses,
A notification unit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and outputting a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the approach or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Visual impairment rehabilitation glass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안경테의 좌측의 안경다리와 우측의 안경다리 각각에 배치된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결손 재활보조 안경.
8. The method of claim 7,
The notif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phone is disposed on each of the temple on the left side and the temple on the right side of the spectacle frame,
Visual impairment rehabilitation glasses.
KR1020190174653A 2019-12-26 2019-12-26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KR102294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53A KR102294152B1 (en) 2019-12-26 2019-12-26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53A KR102294152B1 (en) 2019-12-26 2019-12-26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586A KR20210082586A (en) 2021-07-06
KR102294152B1 true KR102294152B1 (en) 2021-08-25

Family

ID=7686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653A KR102294152B1 (en) 2019-12-26 2019-12-26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152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544U (en) * 2008-09-19 2008-10-09 이근량 Glasses with a built in LED
GB201103200D0 (en) * 2011-02-24 2011-04-13 Isis Innovation An optical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375868B1 (en) * 2012-08-07 2014-03-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ensing Function
KR20160093529A (en) * 2015-01-29 2016-08-08 유퍼스트(주) A wearable device for hearing impairment person
KR101818906B1 (en) * 2016-03-31 2018-02-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lasses for walking assist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8723B1 (en) 2018-04-03 2020-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Sight revision glasses for paralysis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586A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1116A1 (en) Electronic eyewear and display
US10261343B2 (en) Frame independent focus adjustable eyewear lens
US20150302773A1 (en) See Through Display enabling the correction of visual deficits
TW201347725A (en) Eyewear
JP20165385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writing mode or reading mode
US10416462B2 (en) See through display enabling the correction of visual deficits
US10795162B2 (en) Image displayable eyeglasses
CN104614876A (en) Device for preventing myopia and correcting sitting posture
US20140327602A1 (en) Virtual image display apparatus
CN102458223A (en) Ophthalmic spectacles for characterizing a convergence of the eyes of a wearer
AU2017248071A1 (en) Glasse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system comprising such glasses and a glasses case for such glasses
KR20120027329A (en) Ophthalmic spectacles for characterizing the direction of gaze of a wearer
KR101518115B1 (en) Glasses for the deaf
KR102294152B1 (en) A Eyeglasse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s
KR102370455B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CN208672937U (en) A kind of eyesight correction device
KR20110024388A (en) Glasses for correcting eyesight
CN101604073A (en) Achromatopsia-correcting glasses
CN209946534U (en) Industry auxiliary type AR glasses
JPWO2017163643A1 (en) Wearability adjustment value output glasses system, wearability adjustment value output glasses, wearability information detection glasses, program used for wearability adjustment value output glasses system, and glasses with adjustment function
CN207396904U (en) A kind of anti-blue light decreasing concentration number glasses
CN108061977B (en) A kind of glasses for being easy to find
JP3212577U (en) glasses
KR102294822B1 (en) Eyeglasses manufacturing body data measuring device using stereo vision
KR102569250B1 (en) Glasses to see the r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