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014B1 - 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 Google Patents

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014B1
KR102294014B1 KR1020210017985A KR20210017985A KR102294014B1 KR 102294014 B1 KR102294014 B1 KR 102294014B1 KR 1020210017985 A KR1020210017985 A KR 1020210017985A KR 20210017985 A KR20210017985 A KR 20210017985A KR 102294014 B1 KR102294014 B1 KR 102294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d
area
land
damag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흔우
차승훈
전성우
성현찬
국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to KR102021001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0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6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 method of classifying a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is disclosed. A damaged land classific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extracting a first damaged land using a land cover map; and classifying a second damaged land by correcting the first damaged land based on a satellite image.

Description

훼손 인과관계를 이용하여 훼손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아래의 설명은 자연환경이 훼손되는 유형을 구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techniques for classifying the types of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자연환경이 훼손되는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은 훼손 대상에 따른 구분, 훼손 원인에 따른 구분, 훼손 원인과 영향에 따른 구분, 훼손 형태에 따른 구분, 생태계 유형에 따른 구분, 생태계 유형별 훼손 원인과 영향에 따른 구분, 훼손 정도에 따른 구분 등 다양하게 나뉠 수 있다.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types of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i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of damage,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ause of damage,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ause and effect of the damage,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damage type,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cosystem, and the cause and effect of the damage by the type of the ecosystem. It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damage an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자연환경 훼손지는 훼손을 발생되게 하는 '원인'과 이것이 환경에 영향을 끼쳐 나타나는 '영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훼손 원인의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은 관점에 따라 '영향을 통한 구분', '자연적/인위적 훼손에 따른 구분' 등의 방법이 있다.Sites damaged by natural environments can be divided into 'causes' that cause damage and 'impacts' that affect the environment. There are methods such as 'classification through influence' an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natural/artificial damage'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to classify the types of damage causes.

영향을 통한 구분은 점적, 선적, 면적 형태에 따른 훼손 유형으로 구분된다. 자연적/인위적 원인에 따른 구분은 태풍, 폭우, 지진 등 자연적 요인에 의해 훼손된 경우와 인위적 요인이 훼손 원인으로 작용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이 발생된 경우를 포함한다.Classification through impact is divided into drip, shipment, and damage type according to area typ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natural/anthropogenic causes includes cases of damage caused by natural factors such as typhoons, heavy rains, and earthquakes, and cases wher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occurs due to artificial factors acting as the cause of damage.

훼손 원인과 영향에 관한 파악이 명확한 자연적/인위적 훼손 원인에 따라 훼손지를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classifying damaged areas according to natural/man-made causes of damage, where the cause and effect of damage are clearly identified.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훼손지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훼손지 분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제1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인공위성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훼손지를 보정하여 제2 훼손지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훼손지 분류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classifying damaged land executed on a computer device, the computer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contained in a memory, the method compris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land extracting the first damaged land using the cover map; an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rrecting the first damaged area based on the satellite image and classifying the second damaged area.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각 년도마다 작성된 토지피복지도를 중첩 분석하여 토지의 변화지점을 상기 제1 훼손지로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first damaged land, the change point of the land may be extracted as the first damaged land by overlapping analysis of the land cover map prepared for each year.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용도지역지구도(KLIS) 정보를 이용하여 토지이용 규제 지리정보에 따라 규제지역과 용도지역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훼손지 중 상기 규제지역과 상기 용도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최소 면적기준에 해당되는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훼손지 중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진 사업지에 해당되는 훼손지를 제외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훼손지와 자연보전지역을 중첩 분석하여 상기 자연보전지역과 연결성을 가진 훼손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extracting of the first damaged land includes: classifying the regulated area and the use area according to the land use regulation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the KLIS information; extracting damaged land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area standard from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regulation area and the use area among the first damaged areas; excluding the damaged land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site on which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made from among the first damaged land; and overlapping analysis of the first damaged area and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to add a damaged area having connectivity with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훼손지를 분류하는 단계는, 인터넷에 공개된 지도 상의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훼손지 중에서 나지로 변화된 지역이 아닌 기개발지에 해당하는 지역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피복지도에서 상기 제1 훼손지로 추출된 폴리곤의 형태가 상기 인공위성 영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훼손지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classifying the second damaged land may include: using a satellite image on a map published on the Internet, delet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n existing developed land, not a changed area, from among the first damaged land; and correcting the first damaged area using the satellite image when the shape of the polygon extracted from the first damaged land in the land cover map does not match the satellite image.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훼손지 분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훼손지로 분류된 훼손지 목록을 상기 제2 훼손지에 대한 위치와 훼손 유형을 포함하는 세부 항목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amaged site classification method manages,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damaged site list classified as the second damaged site as a database together with detailed items including the location and damage type for the second damaged sit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훼손 원인과 영향에 관한 파악이 명확한 자연적/인위적 훼손 원인에 따라 훼손지를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d area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natural/artificial damage for which the cause and effect of damage are 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훼손지를 분류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토지피복지도 분류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토지피복지도 상의 변화지역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변화지역의 용도지역 지구도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변화지역에 대한 중첩분석 결과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경영향평가 사업지 대상지역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성을 가진 자연보전지역 내 훼손지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훼손지 보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for classifying damaged l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assification table of land co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nge area on the land cover ma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trict map of a use area of a change are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sult of overlapping analysis for a change reg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 site target are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amaged area in a nature conservation area with connectivit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damaged paper correction proces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연환경이 훼손되는 유형을 구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echnology for classifying types of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훼손 원인과 영향에 관한 파악이 명확한 자연적/인위적 훼손 원인에 따라 훼손지를 분류할 수 있다.Embodiments including those specifically disclosed herein may classify damaged sites according to natural/artificial causes of damage for which it is clear about the cause and effect of da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훼손지 분류 장치는 도 1을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damaged land class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puter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훼손지 분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computer device 100 is a component for executing the damaged land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memory 110 , a processor 120 , a communication interface 130 ,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140).

메모리(1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1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1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메모리(1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6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로딩될 수 있다.The memory 110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disk drive. Here, a non-volatile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and a disk drive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er device 100 as a separate permanent storage device distinct from the memory 110 . Also,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0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110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110 . The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In another embodiment,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0 rather tha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110 of the computer device 100 based on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by file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160 .

프로세서(1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30)에 의해 프로세서(1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Th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120 by the memory 110 o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received instruction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110 .

통신 인터페이스(130)은 네트워크(160)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가 다른 장치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100)의 프로세서(120)가 메모리(1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1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6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60)를 거쳐 컴퓨터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120)나 메모리(1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1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0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computer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through the network 160 . For example, a request, command, data, file, etc. generated by the processor 120 of the computer device 100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110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 160) to other devices. Conversely, signals, commands, data, files, etc. from other devices may be received by the computer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0 of the computer device 100 via the network 160 . A signal, command, or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30 may be transferred to the processor 120 or the memory 110 , and the file may be a storage medium (described above) that the comput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persistent storage).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6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유선/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6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6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and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 broadcasting network) that the network 160 may include may also include short-distanc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have. For example, the network 160 may includ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campus area network (C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broadband network (BBN). , the Interne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network 16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network topology including a bus network, a star network, a ring network, a mesh network, a star-bus network, a tree or a hierarchical network, etc. not limited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입출력 장치(1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150)는 컴퓨터 장치(1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140 may be a means for an interface with the input/output device 150 .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microphone, keyboard, camera, or mouse,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or speaker. 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interface 140 may be a means for an interface with a device in which functions for input and output are integrated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The input/output device 15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with the computer device 100 .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100)는 도 1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1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1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computer device 100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1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of the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puter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input/output device 150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 camera, various sensors, and a database.

본 실시예들은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훼손된 지역(훼손지)을 추출하여 DB(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constructed as a DB (database) by extracting the damaged area (damaged area) through analysis using the land cover map.

훼손의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자연적/인위적 훼손에 따른 구분 방법을 사용한다.As a method of classifying the type of damage, the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natural/artificial damage is used.

자연적 요인으로서 자연현상이 훼손 원인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끼친 경우는 종의 손실, 외래종(또는 위해종) 유입, 강우·바람 및 중력에 의한 토양의 침식(산사태 등)이 발생한 경우, 태풍·홍수·해일에 의한 자연재해(산사태, 홍수 등), 해류 방향의 변화 등이 있다.In the case of natural factors and natural phenomena acting as the cause of damage, loss of species, introduction of alien (or endangered species), soil erosion (landslide, etc.) caused by rainfall, wind, and gravity, typhoons, floods, etc. There are natural disasters caused by tsunami (landslides, floods, etc.) and changes in the direction of ocean currents.

한편, 인위적 훼손 원인은 인간에 의하여 실시되는 건설행위, 생물자원 남획, 토지용도 변경 등과 같은 1차 훼손과 비점오염원 발생에 따른 영향과 같은 2차 훼손 등이 있다. 각 원인 별로 발생되는 훼손을 살펴보면 국가 및 군사시설은 군사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산불, 벌목, 헬기장 및 송전탑 건설, 군부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등이 있다. 농업활동은 인삼밭, 농경지 개간, 산불로 인한 훼손 등을 유발하며, 농경지 사이의 농수로를 조성하거나 소하천을 콘크리트로 조성하여 훼손하고 있다. 도로 및 철도는 도로의 확충 및 포장, 철도, 임도 등에 의하여 훼손되고 있으며, 그밖에 관광지의 방문객, 간척 및 매립, 기타 개발사업에 의한 훼손 등의 영향으로 훼손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causes of anthropogenic damage include primary damage such as construc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humans, overexploit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and land use change, and secondary damage such as the effect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Looking at the damage caused by each cause, the state and military facilities include forest fires, logging, heliport and 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and pollutants generated from military bases due to military activities. Agricultural activities cause damage to ginseng fields, farmland clearing, forest fires, etc., and create agricultural waterways between farmlands or create small rivers with concrete to damage them. Roads and railroads are being damaged by road expansion and pavement, railroads, forest roads, etc., and other damage caused by visitors to tourist destinations, reclamation and reclamation, and damage by other development projects.

이하에서는 훼손 유형 분류 및 유형별 DB화를 위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process for classification of damage types and DB for each typ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훼손지를 분류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for classifying damaged l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토지피복지도 상의 토지 변화지점(이하, '제1 훼손지'라 칭함)을 추출할 수 있다(S110). 프로세서(120)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수집하여 각 년도마다 작성된 토지피복지도를 중첩 분석함으로써 제1 훼손지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집된 각 년도의 토지피복지도 자료를 중첩 분석하여 토지피복의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산림, 초지, 습지, 농업지역 등이 나지로 변화된 지역을 제1 훼손지로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rocessor 120 may extract a land change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damaged land') on the land cover map (S110). The processor 120 may extract the first damaged land by overlapping analysis of the land cover map prepared for each year by collecting the middle classification land cover map. The processor 120 may extract an area in which forests, grasslands, wetlands, agricultural areas, etc. are changed to bare ground as the first damaged area when the land cover change is analyzed by overlapping the collected land cover map data for each year.

도 3은 토지피복지도 분류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단계(S110)의 수행 결과로 토지피복지도 상의 변화 지역(빨간색 표시 지역)을 나타낸 것이다.3 shows a classification table of the land cover map, and FIG. 4 shows a change area (area indicated in red) on the land cover map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step S11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용도지역지구도(KLIS) 중 규제지역 및 용도지역을 분류할 수 있다(S120). 프로세서(120)는 용도지역지구도(KLIS) 정보 중 토지이용 규제 지리정보(물환경 부문, 자연환경 부문)를 분류하여 추출한다. 이때, 물환경 부문은 상수원보호구역, 공장설립제한지역, 수변구역을 포함하고, 자연환경 부문은 자연공원, 자연환경, 야생생물보호, 자연환경보전지역, 생태계보존지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용도지역지구도(KLIS) 정보로서 수집된 대상 레이어 중 레이어명 및 코드명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추출한다. 이때, 코드명이 미분류이거나 기타인 경우는 추출 대상에서 제외시킨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processor 120 may classify the regulated area and the use area in the KLIS (S120). The processor 120 classifies and extracts land use regulation geographic information (water environment sector, natural environment sector) among the KLI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water environment section includes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factory establishment restriction zone, and waterside zon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section includes natural park, natural environment, wildlife protection,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and ecosystem conservation zone. The processor 120 classifies and extracts a layer name and a code name from among the collected target layers as KLIS information. In this case, if the code name is unclassified or other, it is excluded from the extraction target.

도 5는 단계(S120)의 수행 결과로 토지 변화지점으로 추출된 지역의 규제지역 및/또는 용도지역 지구도를 나타낸 것이다.5 shows a district map of a regulated area and/or a use area of an area extracted as a land change point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12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추출된 제1 훼손지 중 단계(S120)에서 분류된 규제지역과 용도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대한 중첩분석을 수행한다(S130). 프로세서(120)는 변화된 나지 중 토지이용규제지역 내 피복 변화지역과 용도지역 구분 이외의 지역을 중첩 분석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processor 120, as shown in FIG. 6, among the first damaged land extracted in step S110, overlapping analysis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regulated area and the use area classified in step S120. to perform (S130). The processor 120 overlaps and analyzes areas other than the coverage change area and the use area classification within the land use regulated area among the changed bare areas.

도 6은 단계(S130)의 수행 결과로 중첩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6 shows a result of overlapping analysis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130.

아울러, 프로세서(120)는 제1 훼손지 중 지적도상의 지목 중 임야와 공원 부분과 중첩지역을 분석하여 분류하고, 임(임야인 경우), 공(공원인 경우)을 중첩하여 해당 지역을 분류한다. 산림 및 원야를 이루고 있는 수림지, 죽림지, 암석지, 자갈땅, 모래땅, 습지, 황무지 등의 토지는 임야로 하고, 일반공중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에 이용하기 위한 시설을 갖춘 토지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공원 또는 족지로 결정·고시된 토지는 공원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analyzes and classifies forests, parks, and overlapping areas among designated items on the cadastral map of the first damaged land, and classifies the corresponding areas by overlapping forests (in the case of forests) and voids (in the case of parks). Forest land, bamboo forest, rocky land, gravel land, sandy land, wetland, wasteland, etc., that make up forests and plains, are considered forests, and land equipped with facilities for public health, recreation, and emotional life.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Planning and Use of

프로세서(120)는 훼손지 대상지역의 최소 면적기준을 확정한다. 프로세서(120)는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최소 면적기준과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보전관리지역) 면적의 최소기준인 5,000㎡ 이상인 훼손지만 추출한다.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e minimum area standard of the damaged area target area. The processor 120 extracts only damage that is more than 5,000 m2, which is the minimum area standard for the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fund return project and the minimum area of the small-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arget project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area.

프로세서(120)는 제1 훼손지 중 환경영향평가 사업지 대상지역을 제외한다. 훼손지 대상지역과 환경영향평가 사업지를 중첩 분석하여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진 사업지에 해당하는 훼손지는 제외한다. 도 7은 환경영향평가 사업지 대상지역을 제외시키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노란 네모박스에 해당하는 부분이 훼손지와 환경영향평가 사업지가 중첩되는 지역으로 제외된다.The processor 120 excludes the target area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 among the first damaged areas. By overlapping analysis of the damaged area target area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 site, the damaged area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site for which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performed is excluded. 7 shows that the target area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 site is excluded,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yellow box is excluded as the area where the damaged area and th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project site overlap.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연결성 단절이 우려되는 자연보전지역에 해당되는 훼손지를 추출한다(S140). 프로세서(120)는 상기한 과정(S110 내지 S130)을 통해 전국의 훼손지를 추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광역생태축, 생태자연도 1등급, 국토환경성평가 1, 2등급, 백두대간보호구역, 정맥(좌우 150m), 개발제한구역 등 연결성 단절이 우려되는 자연보전지역과 분류된 훼손지를 중첩분석하여 연결성을 가진 자연보전지역 내 해당하는 훼손지를 추가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processor 120 extracts damaged land corresponding to a nature conservation area that is concerned about disconnection of connectivity ( S140 ). The processor 120 can extract damaged land across the country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S110 to S130), and furthermore, a wide-area ecological axis, an ecological nature level 1, a land environment evaluation level 1 and 2, a Baekdudaegan protection zone, a vein (150m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extract damaged areas in nature conservation areas with connectivity by overlapping analysis of damaged areas classified with nature conservation areas that are concerned about disconnection of connectivity, such as development restricted areas.

도 8은 단계(S140)의 수행 결과로 연결성을 가진 자연보전지역 내 훼손지(백두대간보호지역, 정맥, 개발제한구역 등의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8 shows damaged areas in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with connectivity (cases such as Baekdudaegan protected area, vein, development restricted area, etc.)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140).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1단계로 토지피복지도에 근거한 제1 훼손지의 도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 지열 별로 제1 훼손지를 분류할 수 있고, 광역생태축, 백두대간보호구역, 정맥, 개발제한구역 등의 연결성을 가진 지연보전지역 내에 위치한 제1 훼손지를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or 120 may obtain the derivation result of the first damaged land based on the land cover map in one step. The processor 120 may classify the first damaged land for each geothermal region, and may classify the first damaged land located within the delayed conservation area with connectivity such as a wide ecological axis, a Baekdu-daegan protected area, a vein, and a development restriction area.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제1 훼손지에 대한 삭제나 수정 등의 보정 과정을 거쳐 최종 훼손 지역(이하, '제2 훼손지'라 칭함)을 도출할 수 있다(S150).Referring back to FIG. 2 , the processor 120 may derive a final damag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amaged site') through a correction process such as deletion or correction of the first damaged site (S150).

1단계로 토지피복지도에 근거한 제1 훼손지 도출 결과를, 최근의 인공위성 사진과 비교한 결과, 나지로 변화된 지역이 아닌 주거지역과 교통지역 등 개발지역, 바위산, 습지, 하천변, 초지 등 실제 훼손지가 아닌 경우가 존재하여 이를 2차적으로 보정할 필요가 있다.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 of deriving the first damaged site based on the land cover map in the first step with the recent satellite image, it is not an area that has been changed to bare ground, but a development area such as a residential area and a transportation area, a rocky mountain, a wetland, a riverside, a grassland, etc. There are cases where this is not the case, and it is necessary to secondaryly correct it.

프로세서(120)는 제1 훼손지에 대해 인터넷에 공개된 지도(예를 들어, 다음지도, 네이버지도 등) 상의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보정 작업을 거쳐 2단계로 최종 훼손지인 제2 훼손지를 도출하고 검수한다.The processor 120 derives and inspects the second damaged site, which is the final damaged site, through a correction operation using a satellite image on a map (for example, Daum Map, Naver Map, etc.) published on the Internet for the first damaged site. .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제1 훼손지 중 기개발지에 해당하는 지역을 삭제할 수 있다(S151).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훼손지 중에서 나지로 변화된 지역이 아닌, 시가화·건조지역(주거지역(도 9 참조), 공업지역(도 10 참조), 교통지역, 문화·체육·휴양시설 등), 농업지역(논, 밭 등), 산림지역(바위산,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등), 습지(연안 습지 등), 수역(내륙수 등), 초지(인공 초지, 자연 초지 등) 등에 해당되는 지역을 삭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delet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developed land among the first damaged land (S151).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is not an area changed to bare among the first damaged areas, but an urbanization/dry area (a residential area (see FIG. 9), an industrial area (see FIG. 10), a traffic area, a culture/sports/resort area) facilities), agricultural areas (paddy fields, fields, etc.), forest areas (rock mountains, broadleaf forests, coniferous forests, mixed forests, etc.), wetlands (coastal wetlands, etc.), water bodies (inland waters, etc.), grasslands (artificial grasslands, natural grasslands, etc.) ), etc., can be deleted.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제1 훼손지를 수정할 수 있다(S152). 프로세서(120)는 토지피복지도에서 제1 훼손지로 추출된 폴리곤의 형태가 위성영상의 훼손지와 불일치하는 경우 해당 훼손지를 수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폴리곤이 위성영상 훼손지의 일부분만 나타내는 경우 실제 훼손지로 수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correct the first damaged area using the satellite image ( S152 ). The processor 120 may correct the damaged area when the shape of the polygon extracted as the first damaged area from the land cover map does not match the damaged area of the satellite image. As shown in FIG. 11 , when a polygon represents only a part of a damaged area of a satellite image, the processor 120 may correct it as an actual damaged area.

프로세서(120)는 제1 훼손지에 대한 보정 작업(S151 내지 S152)을 거쳐 실제 훼손지에 해당되는 제2 훼손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acquire the second damaged paper corresponding to the actual damaged area through correction operations S151 to S152 for the first damaged area.

프로세서(120)는 훼손 원인 별 제2 훼손지에 대한 현황조사 결과를 기초로 원인별 훼손지 유형 분류를 표준화하여 이를 토대로 훼손지의 DB를 구축할 수 있다. 훼손지에 대한 조사는 훼손 지점과 그 일대를 거시적으로 조사하는 양적측면(Macro) 조사를 실시하고, 훼손지 주변의 인문·사회 환경의 조사 분석을 통해 생태복원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들을 예측 및 표준화 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standardize the classification of the damaged land type by caus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investigation on the second damaged land for each cause of damage and build a DB of the damaged land based thereon. Investigation of damaged areas is a quantitative (macro) survey that macroscopically investigates the damaged area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predicts and standardizes those that may affect the ecological restoration plan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around the damaged area. It can be used as a city reference.

프로세서(120)는 DB화를 통해 최종 훼손지 목록으로 분류된 제2 훼손지 목록을 관리할 수 있으며, 제2 훼손지에 대한 위치와 훼손 유형(원인)을 포함하는 세부 항목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훼손 유형 별로 제2 훼손지를 구분하여 개별 DB로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processor 120 may manage the second damaged site list classified into the final damaged site list through DB conversion, and may manage detailed items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second damaged site and the damage type (cause) togeth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processor 120 to classify the second damaged area for each type of damage and manage it as an individual DB.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훼손 원인과 영향에 관한 파악이 명확한 자연적/인위적 훼손 원인에 따라 훼손지를 구분할 수 있다. 훼손지 및 훼손 유형을 파악하고 훼손지의 평가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생태복원사업 계획 시 복구사업에 적용 등 여러 분야에서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실용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d area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natural/artificial damage for which the cause and effect of damage can be clearly identified. By identifying damaged areas and types of damage and establishing an evaluation system for damaged areas, it is possible to increase practicality and efficiency by preparing evaluation standards in various fields, such as applying to restoration projects when planning a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logic unit,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embodied i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for interpretation by or providing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h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may be to continuously store the program executable by the computer, or to temporarily store the program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a variety of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several hardware combined, i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ny computer system, and may exist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those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may include recording media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n app store for distributing applications, a site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other various software, and a serve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5)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훼손지 분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훼손지 분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제1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인공위성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훼손지를 보정하여 제2 훼손지를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용도지역지구도(KLIS) 정보를 이용하여 토지이용 규제 지리정보에 따라 규제지역과 용도지역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훼손지 중 상기 규제지역과 상기 용도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최소 면적기준에 해당되는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훼손지 중에서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진 사업지에 해당되는 훼손지를 제외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훼손지와 자연보전지역을 중첩 분석하여 상기 자연보전지역과 연결성을 가진 훼손지를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훼손지를 분류하는 단계는,
인터넷에 공개된 지도 상의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훼손지 중에서 나지로 변화된 지역이 아닌 기개발지에 해당하는 지역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피복지도에서 상기 제1 훼손지로 추출된 폴리곤의 형태가 상기 인공위성 영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훼손지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훼손지 분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2 훼손지로 분류된 훼손지 목록을 상기 제2 훼손지에 대한 위치와 훼손 유형을 포함하는 세부 항목과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훼손지 분류 방법.
In the method for classifying damaged areas executed in a computer device,
the computer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execute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contained in a memory;
The damage classification method is,
extract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first damaged land using a land cover map; and
Classify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second damaged area by correcting the first damaged area based on an artificial satellite image
including,
The step of extracting the first damaged paper,
classifying the regulated area and the use area according to the land use regulation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the KLIS information;
extracting damaged land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area standard from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regulation area and the use area among the first damaged areas;
excluding the damaged land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site on which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made from among the first damaged land; and
adding damaged land having connectivity with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by overlapping analysis of the first damaged area and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including,
The step of classifying the second damaged area is,
delet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n existing development site, not an area changed to bare ground, from among the first damaged areas by using a satellite image on a map published on the Internet; and
If the shape of the polygon extracted from the first damaged land in the land cover map does not match the satellite image, correcting the first damaged area using the satellite image
including,
The damage classification method is,
managing,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 list of damaged sites classified as the second damaged site as a database together with detailed items including the location and damage type of the second damaged site;
Damaged land classif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훼손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각 년도마다 작성된 토지피복지도를 중첩 분석하여 토지의 변화지점을 상기 제1 훼손지로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훼손지 분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the first damaged paper,
Extracting the change point of the land as the first damaged site by overlapping analysis of the land cover map prepared for each year.
Damaged land class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17985A 2021-02-09 2021-02-09 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KR102294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85A KR102294014B1 (en) 2021-02-09 2021-02-09 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85A KR102294014B1 (en) 2021-02-09 2021-02-09 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14B1 true KR102294014B1 (en) 2021-08-27

Family

ID=7750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85A KR102294014B1 (en) 2021-02-09 2021-02-09 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0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04B1 (en) * 2022-10-19 2023-01-13 주식회사 제이비티 A system for automatic detection and restoration of damaged topsoi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255A (en) * 2014-10-23 2016-05-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gis-based thematic mapping method to use in estimating the annual amou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partially updated land-cover map
KR101728137B1 (en) * 2016-02-04 2017-04-19 (주)한라지리정보 Method for land-cover item images classification by using satellite picture and GIS
KR20190063985A (en) * 2017-11-30 2019-06-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renewal of sub-divided landcover map and automated searching of artificial grassland in apartment complex utilizing near-infrared aerial photograph
KR102134278B1 (en) * 2019-07-23 2020-07-15 주식회사 선도소프트 Land use and land use change matrix processing apparatus using spatial big data in LULUCF are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255A (en) * 2014-10-23 2016-05-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gis-based thematic mapping method to use in estimating the annual amou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partially updated land-cover map
KR101728137B1 (en) * 2016-02-04 2017-04-19 (주)한라지리정보 Method for land-cover item images classification by using satellite picture and GIS
KR20190063985A (en) * 2017-11-30 2019-06-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renewal of sub-divided landcover map and automated searching of artificial grassland in apartment complex utilizing near-infrared aerial photograph
KR102134278B1 (en) * 2019-07-23 2020-07-15 주식회사 선도소프트 Land use and land use change matrix processing apparatus using spatial big data in LULUCF are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04B1 (en) * 2022-10-19 2023-01-13 주식회사 제이비티 A system for automatic detection and restoration of damaged topso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eschi et al. GIS and volcanic risk management
RS et al. Flood hazard assessment of Vamanapuram River basin, Kerala, India: an approach using remote sensing & GIS techniques
Cengiz et al. The impact of economic growth oriented development policies on landscape changes in Istanbul Province in Turkey
Martínez‐Murillo et al. Effect of salvage logging and check dams on simulated hydrological connectivity in a burned area
KR1020095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renewal of sub-divided landcover map and automated searching of artificial grassland in apartment complex utilizing near-infrared aerial photograph
Periyasamy et al. Flood vulnerable zones in the rural blocks of Thiruvallur district, South India
Boualla et al. GIS-base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in the Safi region, West Morocco
Cao et al. Spatial simulation of forest road effects on hydrology and soil erosion after a wildfire
Elmoulat et al. Mass movements susceptibility mapping by using heuristic approach. Case study: province of Tétouan (North of Morocco)
KR102294014B1 (en) METHOD to classify damage type Using damage causalITY
Eskandari et al. Mapping the land uses and analysing the landscape elements in south-western Iran: Application of Landsat-7 field data and landscape metrics
Micle Archaeological heritage between natural hazard and anthropic destruction: the negative impact of social non-involvement in the protection of archaeological sites
Biswas et al. Spring water suitable and vulnerable watershed demarcation using AHP-TOPSIS and AHP-VIKOR models: study on Aizawl district of North-Eastern hilly state of Mizoram, India
Nerella et al.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GIS-based likelihood frequency ratio model: a case study of Pakyong—Pacheykhani area, Sikkim Himalaya
Lech et al. Depopulation and devastation: using GIS for tracing changes in the archaeological landscape of Kharaib al‐Dasht, a Late Islamic fishing village (Kuwait)
Calligaris et al.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Arandu Area Shigar Valley, CKNP (Gilgit-Baltistan-Pakistan)
Aretouyap et al. Assessing groundwater potential in Foumban and implication on urban planning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ouzerda et al. Collapse dolines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frequency ratio method and GIS in Sahel-Doukkala, Morocco
KR102244751B1 (en) METHOD to SELECT PRIORITY AREA TO BE RESTORED
Mondal et al. Landslide susceptibility and risk: a micro level study from the Balason River basin in Darjeeling Himalaya
Jaya et al. Application of land cover maps for comparison of alignment of land capability between predictions of land use in 2035 based on trends and spatial planning policies (RTRW)
Pandey et al. Characteristics of large landslides and application of frequency ratio model for susceptibility assessment, lower Jalal catchment (Himachal Pradesh)
Poi et al. GIS, remote sensing and MCE approach for identifying groundwater prospective zones in mountainous region of PNG
Ayadiuno et al. Conflict of Land Use Types over Geomorphological Space of Anambra State, Southeastern Nigeria: The Analyses and Predictions
Suango et al. Capacity of Constructive Reception Through the Geo-Spatial Analysis of Physical Soil Variables in Ibarra, Ecu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