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839B1 -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839B1
KR102293839B1 KR1020140194427A KR20140194427A KR102293839B1 KR 102293839 B1 KR102293839 B1 KR 102293839B1 KR 1020140194427 A KR1020140194427 A KR 1020140194427A KR 20140194427 A KR20140194427 A KR 20140194427A KR 102293839 B1 KR102293839 B1 KR 10229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ompensation
display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371A (ko
Inventor
김창만
김상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8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부 및 보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보상 회로부는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가 받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보상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패널에 스캔신호(또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
위와 같은 표시장치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전원과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출력된 스캔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기반으로 표시패널이 빛을 발광 또는 투과시키게 됨에 따라 특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표시장치는 특정 영역이 곡면을 갖거나 접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표시패널로도 구현된다. 이러한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기판 상에 소자를 형성하고 특정 영역을 구부러트리거나 접기 때문에 기판의 변형에 의해 소자(트랜지스터 등)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소자의 특성이 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 제안된 방식으로 장치를 구동할 경우 표시패널의 소자의 특성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휘도 변화 또는 색감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바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휘도 변화 또는 색감 변화를 방지 및 개선하고 표시품질은 물론 장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부 및 보상 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보상 회로부는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가 받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보상 동작을 수행한다.
보상 회로부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의 디지털값을 조절하거나, 데이터신호의 아날로그값을 조절하거나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을 조절한다.
보상 회로부는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를 통해 스트레스에 따른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전달받고, 소자의 특성 변화에 대응되는 보상 계수를 추출하고, 보상 계수를 기반으로 데이터 구동부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의 디지털값을 조절한다.
보상 회로부는 표시패널의 모든 서브 픽셀로부터 스트레스에 따른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전달받거나,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로부터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보상 회로부는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만 감마를 조절할 수 있다.
보상 회로부는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 밴딩 영역 및 밴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는 회로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감마 최대 전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보상 회로부는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단에 구비된 더미 소스 앰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소스 앰프부는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 밴딩 영역 및 밴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는 회로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을 가변하도록 증폭률이 변동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가 받는 스트레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소자가 받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의 디지털값을 조절하거나, 데이터신호의 아날로그값을 조절하거나,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을 구부러트리거나 접는 외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전압) 보상을 수행할 수 있는 보상 회로부를 적용하여 휘도 변화 또는 색감 변화를 방지 및 개선하고 표시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시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보상할 수 있는바 장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표시패널의 제1구현예의 상부 예시도.
도 4는 표시패널의 제2구현예의 상부 예시도.
도 5는 밴딩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의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보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밴딩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의 평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보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감마부의 구성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보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데이터 구동부의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네비게이션, 영상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웨어러블(Wearable)(시계, 안경 등) 및 모바일폰(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다.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전기영동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일례로 설명한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공급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스캔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감마부(145), 표시패널(150) 및 전원 공급부(180)가 포함된다.
표시패널(150)은 스캔 구동부(130) 및 데이터 구동부(140)를 포함하는 구동부로부터 출력된 스캔신호와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150)은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50)은 기판의 재료에 따라 특정 영역이 곡면을 갖거나 접히는 형태(곡면형 또는 접이형) 등으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50)은 두 개의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들(SP)이 구동전류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빛을 발광하게 됨에 따라 특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캔라인(GL1)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또는 교차부에 형성된)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 픽셀회로(PC)에는 구동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회로와 이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회로가 포함된다.
서브 픽셀은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대응하여 구동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제1전원라인(VDDEL)과 제2전원라인(VSSEL)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에 구동전류가 공급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는 구동전류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한다.
보상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보상회로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된다. 보상회로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저온 폴리실리콘(LTPS), 아몰포스 실리콘(a-Si), 산화물(Oxide) 또는 유기물(Organic) 반도체층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영상 공급부(110)는 데이터신호를 영상처리하고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신호 등과 함께 출력한다. 영상 공급부(110)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클럭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을 타이밍 제어부(120)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공급부(110)로부터 데이터신호 등을 공급받고, 스캔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30)에는 레벨 시프터와 시프트 레지스터가 포함된다. 스캔 구동부(130)는 스캔라인들(GL1 ~ GLm)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스캔신호를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30)는 표시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이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30)에서 게이트인패널 방식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시프트 레지스터이다.
데이터 구동부(140)은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부(145)로부터 제공된 감마 기준전압(GMA)에 대응하여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집적회로(IC)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표시패널(150)에 공급할 제1전원(VDDEL)과 제2전원(VSSEL)을 생성한다. 제1전원(VDDEL)은 고전위전원에 해당하고 제2전원(VSSEL)은 저전위전원에 해당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입력전원을 기반으로 표시패널(150)에 공급할 전원(VDDEL, VSSEL)은 물론 스캔 구동부(130)나 데이터 구동부(140) 등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표시장치는 전원공급부(180)로부터 출력된 전원(VDDEL, VSSEL)과 스캔구동부(130) 및 데이터구동부(140)로부터 출력된 스캔신호 및 데이터신호(DATA)를 기반으로 표시패널(150)을 발광시키게 됨에 따라 특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3은 표시패널의 제1구현예의 상부 예시도이고, 도 4는 표시패널의 제2구현예의 상부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 200)는 중앙 표시영역(AAS)을 기준으로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이 접히는 형태의 표시패널로 구현된다.
제1예시도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의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이 사용자(USR)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해 접히는 형태로 구현된다. 반면, 제2예시도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표시패널의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이 사용자(USR)의 반대 방향을 향해 접히는 형태로 구현된다.
위와 같은 형태로 표시패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또는 수지) 등의 기판 상에 소자(트랜지스터, 유기 발광다이오드 등)를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표시패널의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을 형성하기 위해 좌 우측의 일부에 위치하는 밴딩 영역(BL, BR)을 구부러트리거나 접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로 표시패널을 구부러트리거나 접을 경우 기판의 변형(물리적 변형)에 의해 소자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소자의 특성이 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 제안된 방식으로 장치를 구동할 경우, 표시패널의 중앙 표시영역(AAS) 대비 좌측 및 우측 표시영역(AAL, AAR)에 소자의 특성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휘도 변화 또는 색감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바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제1실시예>
도 5는 밴딩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보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중앙 표시영역(AAS)을 기준으로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을 접도록 형성된 밴딩 영역(BL, BR)을 갖는 표시패널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밴딩 영역(BL, BR)에 의한 소자(예: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로 평면 영역에 해당하는 중앙 표시영역(AAS) 대비 휘도 및 색감차가 발생하는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물리적 변형으로 중앙 표시영역 대비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을 보상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소자(예: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센싱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하고 이로부터 휘도 및 색감차를 유발하는 편차를 수득하고 이를 데이터신호로 보상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휘도 및 색감차를 데이터신호로 보상하는 이유는 표시패널을 구부리거나 접을시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에 의한 구동전류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데이터신호를 보상하는 것을 일례로 하지만 전원(VDDEL)을 함께 보상할 수도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는 외부 보상부(160)가 포함된다. 외부 보상부(160)는 장치의 구동 중에 표시패널(150)의 모든 서브 픽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예: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센싱한 후 트랜지스터의 변화(문턱전압, 전류 이동도 등)에 따른 편차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보상하고 보상된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도 6에서, AP Video Signal은 영상 공급부(110)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의미한다.
표시패널(150)의 모든 서브 픽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예: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센싱하는 방식은 서브 픽셀의 내부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를 이용한다.
센싱 트랜지스터는 적어도 N(N은 1 이상 정수) 프레임마다 서브 픽셀의 내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예: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을 통해 수득한 데이터는 외부 보상부(160)(및/또는 데이터 구동부)에 전달된다.
외부 보상부(160)는 센싱 트랜지스터를 통해 수득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변화(문턱전압, 전류 이동도 등)에 대응하여 메모리부(165)에 저장된 보상 계수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신호에 가감하거나 곱하는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신호를 보상한다. 즉, 메모리부(165)의 보상 계수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열화 등을 보상하는 제1보상 계수뿐만 아니라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등을 보상하는 제2보상 계수 또한 포함된다. 메모리부(165)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부 보상부(160)는 표시패널(150)의 특정 영역이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등의 외형적인 가변에 의해 어떠한 스트레스가 발생할 경우 메모리부(165)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보상 계수를 추출하고 데이터신호를 보상하여 휘도 및 색감차를 보상(또는 개선)한다. 이 경우, 무라(Mura) 보상과 동일하게 데이터신호를 보상하므로 휘도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보상부(160)는 모든 트랜지스터의 초기 특성을 초기 외부 보상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과정에서 구동 트랜지스터 등에 스트레스가 발생할 경우 추가 센싱을 수행하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변경된 특성만큼 데이터신호를 보상하여 휘도 및 색감차를 보상(또는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모든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재검출하기 위해 센싱을 수행할 경우 센싱 시간 및 보상 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 시간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보상부(160)는 표시패널(150)의 밴딩으로 인하여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좌 우측 표시영역, 밴딩 영역 또는 좌 우측 표시영역과 밴딩 영역)만 보상한다.
외부 보상부(160)는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센싱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이 영역에서 발생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등에 스트레스를 센싱한다. 센싱 트랜지스터는 이 영역에서 발생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등에 스트레스에 해당하는 밴딩 스트레스(BS)를 외부 보상부(160)에 전달한다.
외부 보상부(160)의 보상 계수 변경부(168)는 센싱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된 밴딩 스트레스(BS)를 기반으로 메모리부(165)에 저장된 제2보상 계수를 변경(또는 갱신)한다. 제2보상 계수는 표시패널을 구부리거나 접을시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보상값이다.
보상 계수 변경부(168)는 센싱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된 밴딩 스트레스(BS)를 기반으로 제2보상 계수를 변경(또는 갱신)하기 위해 자체 연산으로 마련된 보상 계수 변경값(CC)을 메모리부(165)에 저장한다.
그러므로, 외부 보상부(160)는 모든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재검출할 경우 센싱 시간 및 연산 시간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으로 지정된 영역만 추가 센싱을 진행하여 초기 트랜지스터의 특성 대비 변화된 부분만 보상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서브 픽셀의 내부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와 외부 보상부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구부리거나 접을시 발생하는 문제를 보상한다.
<제2실시예>
도 7은 밴딩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보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9는 감마부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중앙 표시영역(AAS)을 기준으로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을 접도록 형성된 밴딩 영역(BL, BR)을 갖는 표시패널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밴딩 영역(BL, BR)에 의한 소자(예: TFT)의 특성 변화로 평면 영역에 해당하는 중앙 표시영역(AAS) 대비 휘도 및 색감차가 발생하는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물리적 변형으로 중앙 표시영역 대비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을 보상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중앙 표시영역(AAS)의 제1감마 기준전압(GMAF)을 생성하는 제1감마부(FG)와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의 제2감마 기준전압(GMAB)을 생성하는 제2감마부(BG)를 갖는 감마부(145)를 이용하여 휘도 및 색감차를 유발하는 편차를 보상한다. 감마부(145)는 적색, 녹색 미 청색에 대해 독립적으로 감마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서브 픽셀에 내부 보상부가 포함된 경우 효과적이다. 그 이유는 내부 보상부의 경우 초기 트랜지스터(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센싱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감마부(145)는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과 같이 물리적 변형으로 중앙 표시영역(AAS) 대비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만 감마 기준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제2감마부(BG)를 이용하여 보상한다.
제2감마부(BG)는 타이밍 제어부나 표시패널의 밴딩 특성(밴딩으로 인해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 밴딩 영역, 밴딩 각도 등)을 센싱할 수 있는 회로부로부터 감마전압 제어신호(GMX)를 공급받고 이를 기반으로 감마 최대 전압값을 변경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감마부(BG)는 제1감마부(FG)의 감마 최대 전압값(Vreg1 out)을 기준으로 자신의 감마 최대 전압(Vreg2 out)을 조절한다. 때문에, 표시패널의 물리적 변형으로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에 대한 보상이 존재하는 경우 제2감마부(BG)의 감마 최대 전압값(Vreg2 out)과 제1감마부(FG)의 감마 최대 전압값(Vreg1 out)은 상이하게 설정된다.
하지만,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에 대한 보상이 미존재하는 경우 제2감마부(BG)의 감마 최대 전압값(Vreg2 out)과 제1감마부(FG)의 감마 최대 전압값(Vreg1 out)은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 결과, 제1감마부(FG)와 제2감마부(BG) 간의 전압 편차는 최소화될 것이며, 중앙 표시영역(AAS)과 좌 우측 표시영역(AAL, AAR) 간의 화질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는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표시패널의 물리적 변형으로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만 데이터전압을 가변할 수 있는 감마부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구부리거나 접을시 발생하는 문제를 보상한다.
<제3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보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11은 데이터 구동부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표시패널의 중앙 표시영역(AAS)에 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제1데이터 구동부(140a)와 우측 표시영역(AAR)에 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제2데이터 구동부(140b)를 갖는 데이터 구동부(140)를 이용하여 휘도 및 색감차를 유발하는 편차를 보상한다.
제1데이터 구동부(140a)는 데이터신호를 래치하는 래치부 및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는 DA변환부를 포함하는 소스 출력부(143)와 소스 출력부(143)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소스 앰프부(148)를 갖는다.
제1데이터 구동부(140a)는 표시패널의 평편한 영역(Flat Area)에 해당하는 중앙 표시영역(AAS)에 데이터전압을 출력한다. 때문에, 제1데이터 구동부(140a)는 표시패널의 물리적 변형과 무관하므로 데이터전압을 보상없이 그대로 출력한다.
제2데이터 구동부(140b)는 데이터신호를 래치하는 래치부 및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는 DA변환부를 포함하는 소스 출력부(143), 소스 출력부(143)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소스 앰프부(148) 및 데이터전압을 보상하는 더미 소스 앰프부(149)를 갖는다.
제2데이터 구동부(140b)는 표시패널의 밴딩 영역(Edge Bending Area)에 해당하는 우측 표시영역(AAR)에 데이터전압을 출력한다. 때문에, 제2데이터 구동부(140b)는 표시패널의 물리적 변형으로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을 보상하기 위해 데이터전압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제2데이터 구동부(140b)는 데이터전압을 보상하기 위해 더미 소스 앰프부(149)를 제어한다. 예컨대, 더미 소스 앰프부(149)는 실험을 기반으로 소자의 특성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고정 증폭률을 갖도록 구현되거나 외부 제어신호(CS)를 기반으로 변동 증폭률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제어신호(CS)는 타이밍 제어부나 표시패널의 밴딩 특성(밴딩으로 인해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 밴딩 영역, 밴딩 각도 등)을 센싱할 수 있는 회로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데이터 구동부의 내부에 2중 저항 스트링(R-String)을 구성하기 어려운 경우 적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표시패널의 평편한 영역(Flat Area)에는 기존 방식과 동일하게 데이터전압을 출력한다. 반면, 표시패널의 밴딩 영역(Edge Bending Area)에는 휘도를 개별 조절할 수 있는 더미 소스 앰프부를 더 구성하고 데이터전압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데이터 구동부(140a)와 제2데이터 구동부(140b)는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데이터 구동부(140a)는 표시패널의 평편한 영역(Flat Area)에 배치된 제1 내지 제i데이터라인들(DL1 ~ DLi)에 데이터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2데이터 구동부(140b)는 표시패널의 밴딩 영역(Edge Bending Area)에 배치된 제j 내지 제n데이터라인들(DLj ~ DLn)에 데이터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데이터 구동부(140)가 제1데이터 구동부(140a)와 제2데이터 구동부(140b)를 갖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제1데이터 구동부(140a)와 제2데이터 구동부(140b)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에 따른 문제가 표시패널의 휘도 변화로 즉시 나타나게 되며 이는 제품의 신뢰성 및 제품의 완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서브 픽셀의 휘도가 이전과 다른 형태로 변경될 경우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 결과 밴딩 영역에서는 붉은색으로 또는 푸른색으로 색감의 변화가 야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시상태(Abnormal Display)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시감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시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보상할 수 있는바 장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의 디지털값을 조절(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의 아날로그값을 조절(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더미 소스 앰프부를 추가하고 데이터전압을 조절(변경)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결합 조합하여 보상 회로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표시패널을 구부러트리거나 접는 외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신호(또는 전압) 보상을 수행할 수 있는 보상 회로부를 적용하여 휘도 변화 또는 색감 변화를 방지 및 개선하고 표시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시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보상할 수 있는바 장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영상 공급부 120: 타이밍 제어부
130: 스캔 구동부 140: 데이터 구동부
145: 감마부 150: 표시패널
180: 전원 공급부 160: 외부 보상부
168: 보상 계수 변경부 149: 더미 소스 앰프부
FG: 제1감마부 BG: 제2감마부

Claims (10)

  1.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밴딩 스트레스에 따른 소자의 특성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소자의 특성 변화에 대응하여 추출된 보상 계수를 기반으로 데이터신호를 가변하는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보상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계수는
    상기 소자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제1보상 계수와,
    상기 밴딩 스트레스에 따른 상기 소자의 특성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제2보상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회로부는 보상 계수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계수 변경부는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된 상기 밴딩 스트레스를 기반으로 상기 제2보상 계수를 갱신하고 변경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부는
    상기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전달되는 상기 데이터신호의 디지털값을 조절하거나, 상기 데이터신호의 아날로그값을 조절하는 표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모든 서브 픽셀로부터 상기 스트레스에 따른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전달받거나, 상기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로부터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전달받는 표시장치.
  5.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제1감마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제1감마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좌 우측 표시영역의 밴딩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감마 기준전압이 조절된 제2감마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제2감마부를 포함하는 감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감마부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 표시영역에 제1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2감마부를 기반으로 상기 좌 우측 표시영역에 제2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마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가 야기되는 영역, 밴딩 영역 및 밴딩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는 회로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감마 최대 전압값을 변경하는 표시장치.
  7.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소스 앰프부를 갖는 제1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좌 우측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더미 소스 앰프부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소스 앰프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소자의 특성 변화에 대응하여 발생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전압을 가변하도록 증폭률이 변동되는 표시장치.
  8. 삭제
  9.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표시패널의 서브 픽셀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표시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접힐 때 밴딩 스트레스에 따른 소자의 특성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소자의 특성 변화에 대응하는 보상 계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계수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패널에 공급할 데이터신호를 가변하는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계수는
    상기 소자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제1보상 계수와,
    상기 밴딩 스트레스에 따른 상기 소자의 특성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제2보상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상 계수는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된 상기 밴딩 스트레스를 기반으로 갱신되고 변경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신호의 디지털값을 조절하거나, 상기 데이터신호의 아날로그값을 조절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40194427A 2014-12-30 2014-12-30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293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427A KR102293839B1 (ko) 2014-12-30 2014-12-30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427A KR102293839B1 (ko) 2014-12-30 2014-12-30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371A KR20160083371A (ko) 2016-07-12
KR102293839B1 true KR102293839B1 (ko) 2021-08-26

Family

ID=5650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427A KR102293839B1 (ko) 2014-12-30 2014-12-30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087B1 (ko) 2018-06-12 2023-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81440B1 (ko) * 2019-11-08 2021-07-27 (주) 엔피홀딩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출력 방법
CN111445881B (zh) * 2020-05-08 2022-0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图像处理方法
CN113674657A (zh) * 2021-08-20 2021-11-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痕补偿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9113A (ja) * 2010-02-04 2013-05-23 イグニス・イノベ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有機発光デバイスに関する相関曲線を抽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410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넓은 범위로 가변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장치의 온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장치
KR101572270B1 (ko) * 2009-10-08 2015-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2500898B1 (en) * 2011-03-18 2023-01-1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KR102082779B1 (ko) * 2013-04-16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9113A (ja) * 2010-02-04 2013-05-23 イグニス・イノベ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有機発光デバイスに関する相関曲線を抽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371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3396B2 (en) Bendable display panel and ben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05899B1 (ko)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11056036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191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FT compensation circuit
KR102607397B1 (ko) 표시 장치의 전원 제어 회로
US10593265B2 (en) Compensation circuit in which a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width-to-length ratios of driving transistors of any two sub-pixels is identical with a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width-to-length ratios of two sense transistors corresponding to the two sub-pixel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ixel circuit, compens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633604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344730B1 (ko) 데이터 구동부,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1138937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driving circuit
US9030387B2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0119712A1 (zh) 显示装置的补偿方法、装置和显示设备
JP2017120409A (ja) 有機発光表示装置、有機発光表示パネル、有機発光表示装置の映像駆動方法、並びに有機発光表示装置の有機発光ダイオード劣化センシング駆動方法
KR2015007717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363842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 센싱 방법
KR102293839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1651740B2 (en) Display device and compensation method thereof
KR20170028000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316566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의 타이밍 설정 방법
KR2013004456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6092440A (zh) 显示装置和驱动电路
KR102462528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20210166616A1 (en) Display device
KR20140137729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92335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보상 방법
KR102668459B1 (ko) 픽셀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