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665B1 - 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665B1
KR102293665B1 KR1020200044175A KR20200044175A KR102293665B1 KR 102293665 B1 KR102293665 B1 KR 102293665B1 KR 1020200044175 A KR1020200044175 A KR 1020200044175A KR 20200044175 A KR20200044175 A KR 20200044175A KR 102293665 B1 KR102293665 B1 KR 10229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us bar
lug
bal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근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044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6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02G5/025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tribution panel with an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can be configured so that a cable lug and a bus bar are coupled by a press-fit method to have no need for a separate fastening operation, thereby allowing work to be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even in a narrow space inside the distribution panel. In addition,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able lug and the bus bar to each other includes a ball coupling groove and a ball, so that the cable lug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us bar and can be fixed by the ball after the insertion. Thus, the distribution panel can have a simple structure and facilitate easier coupling. In addition, a pressure indicator light indicating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is provided around a cable hole, so that an operator can visually recognize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and thus an electric shock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 hollow chuck that is opened and closed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is provided in the cable hole, so that while a voltage is applied, no cable is led thereinto, and thus an electric shock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bus bar is formed as an assembly block with respect to a body, and if the assembly block is detached when the cable lug is separated from the bus bar, the cable lug can be separated.

Description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러그를 부스 바에 압입하여 결합함으로써, 결합시 안정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cables that can improve stability and convenience during coupling by press-fitting cable lugs to bus bars.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건물의 각 요소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장치이다.In general, a switchboard is a power device for distribut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it to each element of a building.

상기 배전반은, 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는 케이블 러그(Cable lug)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러그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케이블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분하는 다수의 부스 바(Bus bar)를 포함한다. The switchboard includes a case having a cable inlet through which a cable is introduced, a cable lug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cable introduced through the cable inlet, and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 plurality of bus bars that are bolted to the cable lug and distribute power supplied from the cable.

그러나, 종래의 배전반은,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부스 바가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바, 다수의 부스바들에 각각 볼트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체결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witchgear, since the cable lug and the bus bar are fastened and fixed by bolts, bolts must be faste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so the fastening operation is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한국등록특허 제10-1884080호Korean Patent No. 10-1884080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도록 부스 바의 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bus bar so that cables can be more easily combined.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은, 일면에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러그가 삽입되도록 러그 삽입홈이 형성된 부스 바와;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부스 바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러그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오목하게 형성된 볼 결합홈과,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러그 삽입홈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러그를 상기 러그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볼 결함홈에 삽입되는 볼을 포함한다.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cable inlet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cable lug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an end of the cable introduced through the cable inlet is inserted; a bus bar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lug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cable lug;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able lug and the bus bar, wherein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ball coupling groove concavely formed in any one of the cable lug and the lug insertion groove, and the other of the cable lug and the lug insertion groove. It is provided in one and includes a ball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ll defect groove when the cable lug is inserted into the lug insertion groove.

상기 볼 결합홈은, 상기 케이블 러그의 외측면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볼은, 상기 러그 삽입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볼 장착홈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A plurality of the ball coupling groov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lug, and the balls are movably mounted in the ball mount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상기 볼 장착홈은 상기 볼이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진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볼과 상기 볼 장착홈 사이에는 상기 볼에 상기 볼 결합홈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The ball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irections so that the ball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between the ball and the ball mounting groove,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ball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ll coupling groove. is provided

상기 볼은, 중심이 상기 볼 장착홈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볼 장착홈으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장착된다.The ball is mounted so that the center is located inside the ball mounting groov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ball mounting groove.

상기 부스 바는, 내부에 상기 러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러그 삽입홈의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관통홀에 착탈가능토록 조립되고, 상기 러그 삽입홈을 향한 면에 상기 볼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러그를 상기 러그 삽입홈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관통홀로부터 탈거되도록 형성된 조립 블럭을 포함한다.The bus bar includes a body having the lug insertion groove formed therein, a body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and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hrough hole, and the ball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lug insertion groove and an assembly block formed with a groove to be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when the cable lug is separated from the lug insertion groove.

상기 부스 바는, 상기 본체와 상기 조립 블럭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bus bar further includes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body and the assembly block.

상기 케이블 러그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삽입부와, 상기 케이블 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부스 바에 삽입되도록 중실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볼 결함홈이 형성된 부스 바 결합부를 포함한다.The cable lug includes a cable insertion part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end of the cable is inserted, and a solid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rom the cable insertion part and inserted into the bus bar, and the ball defect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formed bus bar coupling portion.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가압 표시등을 더 포함한다.In the case, it is installed around the cable inlet, and further includes a pressure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상기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은, 3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3개씩 한 세트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 표시등은, 상기 세트마다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세트에 대응되는 상기 부스 바의 전압 인가 여부를 각각 표시한다.The plurality of cable inlets are formed to form a set of three each so that three-phase power is supplied, and the pressure indicator lights are respectively disposed for each set to indicate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corresponding to the set.

상기 가압 표시등은,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시 제1색으로 점등되고, 상기 부스 바에 전압 해제시 상기 제1색과 다른 색으로 점등된다.The pressure indicator light is lit in a first color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and is lit in a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상기 케이블 인입구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중공 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척은, 상기 부스 바에 전압 해제시 상기 케이블이 인입가능하도록 개방되고,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시 차폐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hollow chuck installed in the cable inlet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wherein the hollow chuck is opened to allow the cable to be introduced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and is shielde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상기 중공 척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향한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개폐하는 복수의 죠(jaw)들과, 상기 부스 바의 전압 인가시 상기 죠들을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향해 전진 이동시키고, 상기 부스 바에 전압 해제시 상기 죠들을 후진 이동시키는 죠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The hollow chuck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cabl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nd a plurality of jaws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toward the cable through hole to open and close the cable through hole. ) and a jaw actuator that moves the jaws forward toward the cable through-hole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and moves the jaws backward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은, 일면에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러그가 삽입되도록 러그 삽입홈이 형성된 부스 바와;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부스 바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가압 표시등과; 상기 케이블 인입구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스 바에 전압 해제시 상기 케이블이 인입가능하도록 개방되고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시 차폐되는 중공 척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블 러그의 외측면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 볼 결합홈과, 상기 러그 삽입홈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러그를 상기 러그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볼 결함홈에 삽입되는 볼을 포함한다.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cable inlet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cable lug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an end of the cable introduced through the cable inlet is inserted; a bus bar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lug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cable lug;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able lug and the bus bar; a pressure indicator light installed around the cable inlet in the case to indicate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and a hollow chuck installed at the cable inlet to open and close, open to allow the cable to be drawn in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and shielded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wherein the coupling means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lug. and a plurality of ball coupling groov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all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ball defect groove when the cable lug is inserted into the lug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은,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가 압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전반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witchboard with the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ble lug and the bus bar are coupled by the press-fit method, so that a separate fastening operation is not required, so that the work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even in a narrow space inside the switchboard can be done

또한,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은, 볼 결합홈과 볼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블 러그를 부스 바에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삽입 후에는 볼에 의해 결합이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결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means for mutually coupling the cable lug and the bus bar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ll coupling groove and a ball, it is easy to insert the cable lug into the bus bar and the coupling is fixed by the ball after insertion, 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coupling.

또한, 케이블 인입구 주변에 전압의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가압 표시등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전압 인가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ressure indicator light indicating whether voltage is applied is provided around the cable inlet, the operator can visually recognize whether voltage is applied, thereby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또한, 케이블 인입구에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중공 척을 구비함으로써,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는 케이블을 인입할 수 없게 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having a hollow chuck that opens and closes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cable inle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by preventing the cable from being drawn in while voltage is applied.

또한, 부스 바를 본체부와 조립 블럭으로 구성함으로써, 부스 바로부터 케이블 러그를 분리시 조립 블럭을 탈거하면, 케이블 러그의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bus bar with the main body and the assembly block, when the cable lug is separated from the bus bar, when the assembly block is removed, the cable lug can be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케이블 인입구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중공 척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스 바에서 조립 블럭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able lug and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lug and bus bar shown in FIG. 2 are coupled.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ble inlet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open/close state of the hollow chuck shown in FIG. 5 .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ble lug and a bus bar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ssembly block is separated from the bus bar shown in FIG. 7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able lug and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케이스(10), 케이블 러그(Cable Lug)(20), 부스 바(Bus bar)(30) 및 결합수단(40)을 포함한다.The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 a cable lug 20 , a bus bar 30 and a coupling means 40 .

상기 케이스(10)는, 외부로부터 케이블(2)이 인입되고,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기 위한 상기 부스 바들(30)이 복수개가 구비된다. In the case 10, a cable 2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bus bars 30 for distributing power supplied from the cable 2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10.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2)이 인입되도록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11)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cable inlets 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so that the cable 2 is introduced.

상기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11)은, R,S,T를 포함하는 3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3개씩 한 세트를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cable inlets 11 are formed to form a set of three so that three-phase power including R, S, and T is supplied.

상기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11)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cable inlets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케이블 러그(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인입구(11)로부터 인입된 상기 케이블(2)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cable lug 2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end of the cable 2 introduced from the cable inlet 11 is insert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러그(20)는, 케이블 삽입부(21)와 부스 바 결합부(22)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cable lug 20 includes a cable insertion part 21 and a bus bar coupling part 22 .

상기 케이블 삽입부(21)는, 상기 케이블(2)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삽입부(21)는, 상기 케이블(2)이 압입된 후 압착된다. The cable insertion part 21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end of the cable 2 is inserted. The cable insertion part 21 is compressed after the cable 2 is press-fitted.

상기 부스 바 결합부(22)는, 상기 케이블 삽입부(21)에서 연장되고, 상기 부스 바(30)에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스 바 결합부(22)는 상기 케이블 삽입부(2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스 바 결합부(22)는, 후술하는 볼 결합홈(41)이 형성되도록 속이 차 있는 중실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부스 결합부(22)는 상기 볼 결합홈(4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bus bar coupling part 22 extends from the cable insertion part 21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bus bar 30 . The bus bar coupling part 2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cable insertion part 21 . In addition, the bus bar coupling part 22 is formed in a solid cylindrical shape so that a ball coupling groove 41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oth coupling part 22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 thickness in which the ball coupling groove 41 can be concavely formed.

상기 부스 바(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러그(20)가 삽입되도록 러그 삽입홈(30a)이 형성된다. 상기 부스 바(3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러그 삽입홈(30a)이 형성된다. The bus bar 3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nd a lug insertion groove 30a is formed so that the cable lug 20 is inserted. The bus bar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러그 삽입홈(30a)은, 상기 케이블 러그(20)의 상기 부스 결합부(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다.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is a groove formed concavely in a cylindric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oth coupling part 22 of the cable lug 20 .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lug and bus bar shown in FIG. 2 are coupled.

상기 결합수단(4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러그(20)와 상기 부스 바(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볼 결함홈(41)과,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볼 장착홈(42)과, 상기 볼 장착홈(42)에 장착된 볼(43)을 포함한다. 3 and 4, the coupling means 40 includes a ball defect groove 41 formed in any one of the cable lug 20 and the bus bar 30, and a ball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other one. (42) and a ball (43) mounted on the ball mounting groove (42).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 결합홈(41)은 상기 케이블 러그(20)에 형성되고, 상기 볼(43)은 상기 부스 바(30)에 장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볼(43)이 상기 케이블 러그(20)에 장착되고 상기 볼 결함홈(41)이 상기 부스 바(30)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ball coupling groove 41 is formed in the cable lug 20 and the ball 43 is mounted on the bus bar 30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all 43 is mounted on the cable lug 20 and the ball defect groove 41 is formed in the bus bar 30 without the ball 43 .

상기 볼 결합홈(41)은, 상기 케이블 러그(20)중에서 상기 부스 바 결합부(22)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다. 상기 볼 결합홈(41)은, 상기 부스 바 결합부(22)의 외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2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볼 결합홈(41)의 개수는 상기 케이블 러그(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ball coupling groove 41 is a groove formed concave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coupling part 22 among the cable lugs 20 .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wo of the ball coupling grooves 4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coupling part 2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ball coupling grooves 41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ble lug 20 .

상기 볼 장착홈(42)은, 상기 러그 삽입홈(30a)의 내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다. The ball mounting groove 42 is a groove formed conca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상기 볼 장착홈(42)은 내부에서 상기 볼(43)이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진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ball mounting groove 42 is elong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irections so that the ball 43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side.

상기 볼 장착홈(42)은 상기 러그 삽입홈(32a)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게 형성되어, 상기 볼(4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all mounting groove 42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lug insertion groove 32a, thereby preventing the ball 43 from being separated.

상기 볼 장착홈(42)과 상기 볼(43)은 탄성부재(4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상기 볼(43)이 상기 볼 결합홈(41)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4)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ball mounting groove 42 and the ball 43 are connected by an elastic member 44 . The elastic member 44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ball 43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ball coupling groove 41 .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4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il spring.

상기 볼(43)은, 상기 볼 장착홈(42)에 유동가능하되 이탈 방지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볼(43)의 중심(C)은 상기 볼 장착홈(42)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볼(43)은 상기 볼 장착홈(4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볼(43)의 중심(C)과 상기 러그 삽입홈(30a)의 표면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된다. 상기 거리(d)는 상기 볼(43)의 유동에 따라 일정 범위내에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43)은 상기 볼 장착홈(42)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은 반구 형상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볼(43)은 상기 볼 장착홈(42)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The ball 43 is movable in the ball mounting groove 42 but is mounted to prevent separation. The center C of the ball 43 is located inside the ball mounting groove 42 , so that the ball 4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ll mounting groove 42 . That is, the center C of the ball 43 and the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d varies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ball 43 . Accordingly, since the portion of the ball 43 exposed from the ball mounting groove 42 is smaller than a hemispherical shape, the ball 43 is caught in the ball mounting groove 42 to prevent sepa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40)은 볼(4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볼(43) 대신 다른 형상의 돌출부 등이 구비된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means 40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he ball 43, but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hat a protrusion of a different shape is provided instead of the ball 4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케이블 인입구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중공 척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ble inlet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open/closed state of the hollow chuck shown in FIG. 5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인입구들(11)은 총 6개로 이루어지고, 2세트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cable inlets 11 are made of a total of six and are described as two sets.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들(11)의 주변에는 가압 표시등(50)이 설치된다.A pressure indicator 50 is installed around the cable inlets 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

상기 가압 표시등(50)은,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인가 여부를 표시하며, 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sure indicator 50 indicates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 and an LED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가압 표시등(50)은, 상기 케이블 인입구들(11)의 세트마다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부스 바(30)의 전압 인가 여부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The pressure indicator 50 may be disposed for each set of the cable inlets 11 , respectively, to indicate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corresponding to the set.

즉,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블 인입구들(11)은 2개의 제1,2세트(set1)(set2)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표시등(50)은 상기 제1세트(set1)에 대응하는 부스 바의 전압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제1가압 표시등(51)과, 상기 제2세트(set2)에 대응하는 부스 바의 전압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제2가압 표시등(52)을 포함한다.That is, referring to FIG. 5 , in this embodiment, the cable inlets 11 include two first and second sets (set1) (set2), and the pressure indicator light 50 is the first set. A first pressure indicator 51 for indicating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corresponding to (set1), and a second pressure indicator light for indicating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t (set2) ( 52).

상기 가압 표시등(50)은,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인가시 제1색으로 점등되어 위험 상태를 알리며 상기 케이블 인입구(11)의 개방 불가를 알릴 수 있으며,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해제시 상기 제1색과 다른 제2색으로 점등되어 안전 상태를 알리며 상기 케이블 인입구(11)의 개방 가능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색은 붉은 색, 상기 제2색은 녹색으로 예를 들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압 표시등(50)은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인가시 점등되고, 전압 해제시 소등되어, 전압 인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pressure indicator 50 is lit in a first color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to indicate a dangerous state and can inform that the cable inlet 11 cannot be opened. When the voltage is released, it is lit in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to indicate a safety state and to inform that the cable inlet 11 can be opened. Here, the first color may be red, and the second color may be gre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sure indicator 50 may be turned 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and turned off when the voltage is released to indicate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한편, 상기 케이블 인입구들(11)에는 상기 케이블 인입구들(11)을 개폐하기 위한 중공 척(60)이 설치된다.Meanwhile, a hollow chuck 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le inlets 11 is installed in the cable inlets 11 .

상기 중공 척(60)은, 상기 케이블 인입구들(11)마다 설치되어,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해제시 상기 케이블(2)이 인입가능하도록 개방되고,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인가시 차폐되는 척이다.The hollow chuck 60 is installed at each of the cable inlets 11 , and is opened so that the cable 2 can be drawn in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30 , and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 It is pretending to be shielded.

상기 중공 척(60)은, 상기 케이블 인입구(11)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2)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홀(61a)이 형성된 바디부(61)와, 상기 바디부(61)에서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향한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개폐하는 복수의 죠(jaw)들(62)과, 상기 바디부(61)에 구비되어 상기 죠들(62)을 구동시키는 죠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The hollow chuck 60 includes a body portion 61 installed in the cable inlet 11 and having a cable through hole 61a through which the cable 2 passes, and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body portion 61 . A plurality of jaws 62 instal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hole 61a to open and close the cable through hole 61a, and the jaws 62 provided in the body part 61 ) and a jaw actuator (not shown) for driving.

상기 죠들(62)은 2개 이상이 서로 소정각도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Two or more jaws 62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 this embodiment, three jaws are provided as an example.

상기 죠들(62)은 상기 바디부(61)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전후진 이동한다. 상기 죠들(62)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차폐시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개방시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에 끼워지는 상기 케이블(2)에 밀착된다.The jaws 62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rail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61 . The jaws 62 are formed in a sectoral shape to cover the cable through-hole 61a when the cable through-hole 61a is shielded, and the cable through-hole 61a when the cable through-hole 61a is opened.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2) fitted to the

상기 죠 액추에이터(미도시)는,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인가시 상기 죠들(62)을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향한 중심으로 전진 이동시켜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차폐시키고,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해제시 상기 죠들(62)을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시켜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개방시킨다. 상기 죠 액추에이터(미도시)는, 상기 중공 척(60)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죠들(62)을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죠 액추에이터(미도시)는,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 척(60)이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드릴 척 등과 같이 수동으로 개폐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The jaw actuator (not shown) shields the cable through hole 61a by moving the jaws 62 forward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cable through hole 61a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When the voltage on the bus bar 30 is released, the jaws 62 are moved back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ble through hole 61a to open the cable through hole 61a. The jaw actuator (not shown) may move the jaws 62 forward and backwar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hollow chuck 60 . The jaw actuator (not shown)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or a motor. In this embodiment, the hollow chuck 60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for example,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manually open and close such as a drill chuck.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to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작업자는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하여 상기 부스 바들(30)에 전압이 해제된 해압(de-energize) 상태로 작업하여야 한다. The operator must work in a de-energized state in which the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s 30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작업자는 상기 가압 표시등(50)의 점등 색을 확인하여, 전압 인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whether voltage is applied by checking the lighting color of the pressure indicator 50 .

또한, 상기 케이블 인입구(11)에 설치된 상기 중공 척(60)은 상기 부스 바(30)에 전압인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만 자동 개방된다. In addition, the hollow chuck 60 installed in the cable inlet 11 is automatically opened only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30 .

상기 중공 척(60)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상기 케이블(2)을 상기 케이블 인입구(11)를 통해 상기 배전반의 내부로 인입할 수 있다. When the hollow chuck 60 is opened, an operator may introduce the cable 2 into the switchboard through the cable inlet 11 .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해압 상태를 상기 가압 표시등(50)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가압 표시등(50)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에도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상기 중공 척(60)이 자동으로 차폐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2)을 인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시 감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the decompression state through the pressure indicator 50, and even if the pressure indicator 50 is not checked, the hollow chuck 60 automatically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a voltage is applied. Because it is shielded with, since the cable 2 cannot be retracted, an electric shock accident can be prevented during operation.

또한, 상기 중공 척(60)의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을 통해 상기 케이블(2)이 인입되고, 상기 중공 척(60)의 죠들(62)은 상기 케이블(2)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블(2)을 잡아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ble 2 is introduced through the cable through hole 61a of the hollow chuck 60, and the jaws 62 of the hollow chuck 6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2 and the cable ( 2) can be taken.

따라서, 케이블을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글랜드 등을 추가 삽입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케이블 관통홀(61a)과 상기 케이블(2)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물질 유입도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insert a separate cable gland to hold the cable, and since a gap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cable through hole 61a and the cable 2,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상기 케이블(2)을 상기 배전반의 내부로 인입한 후, 상기 케이블(2)의 단부를 상기 케이블 러그(20)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 러그(20)를 압착한다.After the cable 2 is introduced into the switchboard, the end of the cable 2 is inserted into the cable lug 20 and the cable lug 20 is compressed.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러그(20)를 상기 부스 바(30)의 상기 러그 삽입홈(30a)에 삽입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 , the cable lug 20 is inserted into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of the bus bar 30 .

상기 케이블 러그(20)를 상기 러그 삽입홈(30a)에 하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볼(43)은 상기 케이블 러그(20)가 미는 힘에 의해 상기 볼 장착홈(42)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밀려나서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44)는 압축된다. When the cable lug 20 is pushed downwardly into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the ball 43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ball mounting groove 42 by the force of the cable lug 20 pushing it. is pushed back and moves backwards.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44 is compressed.

따라서, 상기 케이블 러그(20)는 상기 러그 삽입홈(30a)에 압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ble lug 20 may be press-fitted into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상기 케이블 러그(20)가 상기 러그 삽입홈(30a)에 완전히 압입된 이후에는 상기 볼(43)은 상기 탄성부재(4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After the cable lug 20 is completely press-fitted into the lug insertion groove 30a, the ball 43 moves for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4 .

즉, 상기 볼(43)은 상기 볼 결합홈(41)을 향한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돌출되어 상기 볼 결합홈(41)에 결합된다.That is, the ball 43 protrudes while moving forwar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ll coupling groove 41 and is coupled to the ball coupling groove 41 .

상기 볼(43)이 상기 볼 결합홈(41)에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케이블 러그(20)와 상기 부스 바(30)의 결합이 고정된다.When the ball 43 is inserted into the ball coupling groove 41 and coupled, the coupling between the cable lug 20 and the bus bar 30 is fixed.

상기와 같이, 상기 케이블 러그(20)를 상기 부스 바(30)에 압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볼트 체결 등의 체결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보다 용이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ble lug 20 is press-fitted to the bus bar 30 and coupled, a separate fastening operation such as bolting is not required, so the operation is easier and the operation time can be reduc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러그와 부스 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스 바에서 조립 블럭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ble lug and a bus bar are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ssembly block is separated from the bus bar shown in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부스 바(130)가 본체(131)와 조립 블럭(132)을 포함하는 구성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7 and 8,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ar 130 includes a body 131 and an assembly block 132,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Since the operation is similar to the abov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mila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상기 부스 바(130)는, 상기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되는 상기 조립 블럭(132)을 포함한다.The bus bar 130 includes the main body 131 and the assembly block 132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31 .

상기 본체(131)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 러그(20)가 삽입되는 상기 러그 삽입홈(130a)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131 has the lug insertion groove 130a into which the cable lug 20 is inserted.

상기 러그 삽입홈(130a)의 측면에는 상기 케이블 러그(20)의 삽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홀(130b)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130b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130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ble lug 20 .

상기 조립 블럭(132)은, 상기 관통홀(130b)에 착탈가능토록 조립된 블럭이다. 상기 조립 블럭(132)은, 상기 러그 삽입홈(130a)을 향한 면에 상기 볼(43)이 장착된 상기 볼 장착홈(42)이 형성된다. The assembly block 132 is a block assemb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130b. The assembly block 132, the ball mounting groove 42 in which the ball 43 is mounted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ug insertion groove 130a.

상기 조립 블럭(132)은, 상기 부스 바(130)의 외측면에 맞대어지는 플랜지부(132a)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132a)는 볼트 등에 의해 상기 부스 바(130)의 외측면에 체결 고정된다.The assembly block 132 includes a flange portion 132a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130 , and the flange portion 132a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130 by a bolt or the like. is fixed

상기 조립 블럭(132)은, 상기 케이블 러그(20)를 상기 부스 바(130)로부터 분리시에만 상기 관통홀(130b)로부터 탈거된다. The assembly block 132 is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130b only when the cable lug 20 is separated from the bus bar 130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 바(130)는 2개의 볼들(43) 중 1개의 볼(43)만 상기 조립 블럭(132)에 장착되어 탈거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들(43)의 개수에 대응되게 조립 블럭(132)을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bus bar 130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only one ball 43 of the two balls 43 is mounted on the assembly block 132 and can be remov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assembly blocks 132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43).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스 바(130)는, 상기 본체부(131)에 상기 볼(43)이 구비된 상기 조립 블럭(132)이 착탈가능토록 조립됨으로써, 상기 부스 바(130)로부터 상기 케이블 러그(20)를 분리시 상기 조립 블럭(132)을 탈거하여 분리 가능하다. In the bus bar 1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ing block 132 provided with the ball 43 in the main body 131 is detachably assembled, so that the booth When the cable lug 20 is separated from the bar 130 , the assembly block 132 may be removed to separate i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2: 케이블 10: 케이스
11: 케이블 인입구 20: 케이블 러그
21: 케이블 삽입부 22: 부스 바 결합부
30, 130: 부스 바 30a: 러그 삽입홈
40: 결합수단 41: 볼 결합홈
42: 볼 장착홈 43: 볼
50: 가압 표시등 60: 중공 척
131: 본체부 132: 조립 블럭
2: Cable 10: Case
11: cable entry 20: cable lug
21: cable insertion part 22: bus bar coupling part
30, 130: bus bar 30a: lug insertion groove
40: coupling means 41: ball coupling groove
42: ball mounting groove 43: ball
50: pressure indicator light 60: hollow chuck
131: body portion 132: assembly block

Claims (13)

일면에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러그가 삽입되도록 러그 삽입홈이 형성된 부스 바와;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부스 바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러그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오목하게 형성된 볼 결합홈과, 상기 케이블 러그와 상기 러그 삽입홈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 러그를 상기 러그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볼 결함홈에 삽입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케이블 인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 여부를 표시하는 가압 표시등과,
상기 케이블 인입구에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스 바에 전압 해제시 상기 케이블이 인입가능하도록 개방되고,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시 차폐되는 중공 척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 척은,
상기 케이블 인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향한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개폐하는 복수의 죠(jaw)들과,
상기 부스 바의 전압 인가시 상기 죠들을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향해 전진 이동시켜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차폐시키고, 상기 부스 바에 전압 해제시 상기 죠들을 후진 이동시켜 상기 케이블 관통홀을 개방시키는 죠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cable inlet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cable lug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an end of the cable introduced through the cable inlet is inserted;
a bus bar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lug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cable lug;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able lug and the bus bar;
The coupling means,
A ball coupling groove concavely formed in any one of the cable lug and the lug insertion groove, and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cable lug and the lug insertion groove to insert the cable lug into the lug insertion groove. Includes a ball to be inserted,
a pressure indicator light installed around the cable inlet in the case to indicate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A hollow chuck installed at the cable inlet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depending on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open to allow the cable to enter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and further comprising a hollow chuck that is shielded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The hollow chuck,
a body part installed in the cable inlet and having a cabl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plurality of jaws that are install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direction toward the cable through-hole along the rail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open and close the cable through-hole;
A jaw actuator that moves the jaws forward toward the cable through-hole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to shield the cable through-hole, and moves the jaws backward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to open the cable through-hole A switchboard with an improved cable connection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 결합홈은, 상기 케이블 러그의 외측면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볼은, 상기 러그 삽입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볼 장착홈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ball coupling groov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lug,
The ball is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a cable movably mounted in a ball mount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 장착홈은 상기 볼이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진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볼과 상기 볼 장착홈 사이에는 상기 볼에 상기 볼 결합홈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all mounting groove is formed lo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irections so that the ball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a cabl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ball in a direction toward the ball coupling groove between the ball and the ball mounting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은, 중심이 상기 볼 장착홈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볼 장착홈으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장착된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all is a switchboard with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of the cable mounted so that the center is located inside the ball mounting groov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ball mounting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스 바는,
내부에 상기 러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러그 삽입홈의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관통홀에 착탈가능토록 조립되고, 상기 러그 삽입홈을 향한 면에 상기 볼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러그를 상기 러그 삽입홈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관통홀로부터 탈거되도록 형성된 조립 블럭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us bar is
a body having the lug inser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lug insertion groove;
A cable comprising an assembly block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hrough hole, the ball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lug insertion groove, and is formed to be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when the cable lug is separated from the lug insertion groove switchboard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스 바는,
상기 본체와 상기 조립 블럭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us bar is
A switchboard with an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main body and the assembly block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러그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삽입부와,
상기 케이블 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부스 바에 삽입되도록 중실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볼 결함홈이 형성된 부스 바 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ble lug is
a cable insertion part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an end of the cable is inserted;
A switchboard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for cables including a bus bar coupling part extending from the cable insertion part and formed in a solid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bus bar and having the ball defect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인입구들은, 3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3개씩 한 세트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 표시등은, 상기 세트마다 각각 배치되어 상기 세트에 대응되는 상기 부스 바의 전압 인가 여부를 각각 표시하는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able inlets are formed to form a set of three so that three-phase power is supplied,
The pressure indicator light is disposed for each set, and the cable coupling structure is improved to indicate whether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corresponding to the s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표시등은, 상기 부스 바에 전압 인가시 제1색으로 점등되고, 상기 부스 바에 전압 해제시 상기 제1색과 다른 색으로 점등되는 케이블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배전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gear having an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wherein the pressure indicator lights in a first color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bus bar, an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when voltage is released to the bus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44175A 2020-04-10 2020-04-10 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KR102293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175A KR102293665B1 (en) 2020-04-10 2020-04-10 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175A KR102293665B1 (en) 2020-04-10 2020-04-10 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665B1 true KR102293665B1 (en) 2021-08-24

Family

ID=7750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175A KR102293665B1 (en) 2020-04-10 2020-04-10 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6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0563A (en) * 2021-09-14 2022-04-26 常州德众新能源有限公司 Control wiring device and process convenient for equipment maintenan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570U (en) * 1993-12-22 1995-07-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or
KR100956133B1 (en) * 2009-11-20 2010-05-06 서광전기통신공사(주) Termination equipment
KR200459130Y1 (en) * 2010-04-13 2012-03-19 배지홍 Safety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ocket holes
KR101219137B1 (en)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Insulation type distributing box layed underground
CN103618161A (en) * 2013-12-02 2014-03-05 国家电网公司 Plug device of grounding system
KR101884080B1 (en) 2016-10-10 2018-07-31 이재필 Slide type bus bar conn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570U (en) * 1993-12-22 1995-07-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or
KR100956133B1 (en) * 2009-11-20 2010-05-06 서광전기통신공사(주) Termination equipment
KR200459130Y1 (en) * 2010-04-13 2012-03-19 배지홍 Safety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socket holes
KR101219137B1 (en)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Insulation type distributing box layed underground
CN103618161A (en) * 2013-12-02 2014-03-05 国家电网公司 Plug device of grounding system
KR101884080B1 (en) 2016-10-10 2018-07-31 이재필 Slide type bus bar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0563A (en) * 2021-09-14 2022-04-26 常州德众新能源有限公司 Control wiring device and process convenient for equipment maintenance
CN114400563B (en) * 2021-09-14 2024-01-09 常州德众新能源有限公司 Control wiring device convenient for equipment maintenan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6799B1 (en) Cable terminal for a pump
US7794252B2 (en) Explosion-proof connector including a socket part and a plug part
US7341468B2 (en)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and system with shock absorbent fault closure stop
CA2747227C (en) Separable connector system with a position indicator
KR102293665B1 (en) Distribution panel with improved cable coupling structure
JPS6350820B2 (en)
JP2011100551A (en) Connector structure
US20200212630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P3172744B1 (en) 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 for a machine cable
CA2747226C (en) Separable connector system with vents in bushing nose
US7749007B1 (en) Micro switch power connector
EP0919076B1 (en) Encapsulated gas isolated high voltage installation with a partitioned connector component
US4170394A (en) High voltage separable connector system with modified dwell position
WO2013051529A1 (en) Terminal fitting
CN1038008C (en) A system for intercomecting the envelopes of two devices, at least one of which is under pressure
WO2016066522A1 (en) Explosion-proof assembly
DE102006041949B3 (en) Connection point for a jumper lead, to start a vehicle motor stalled with a flat battery, has a connector moving partially within an insulating sleeve shrouding it in the rest position
EP1336228B1 (en) Actuator for controlling fittings
CN107444561B (en) Explosion-proof electric bicycle
GB2125234A (en) An explosion- or flame-proof electrical coupling
KR101597227B1 (en) Bydirection socket with door for power cable
KR20190021107A (en) Safety plug connector
US5614697A (en) Electrical trunking with watertight coupling
JP6922952B2 (en) Device connector device
US3852549A (en) Plug-in contact and blast valv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