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45B1 -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445B1
KR102293445B1 KR1020200151136A KR20200151136A KR102293445B1 KR 102293445 B1 KR102293445 B1 KR 102293445B1 KR 1020200151136 A KR1020200151136 A KR 1020200151136A KR 20200151136 A KR20200151136 A KR 20200151136A KR 102293445 B1 KR102293445 B1 KR 10229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home screen
home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676A (ko
Inventor
고영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0126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24164A/ko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44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는 서비스 장치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서비스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내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홈 화면에서 단축 실행하기 위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며,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전체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의 위치와 서로 다른 홈 화면의 위치에 자동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Apparatus for home appl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통해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축 실행하기 위해 홈 화면에 배치하여 개인화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선풍적인 인기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약칭하여 '앱'이라 함)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예를 들어, 일정관리, 주소록, 게임, 동영상, 음악재생 등의 컨텐츠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폰 환경에서 사용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확인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축 실행 아이콘으로 홈 스크린 화면에 배치할 수 있는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의도적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의 단축 실행 아이콘을 드래그(Ddrag) 및 드롭(Drop) 행위를 통해 홈 스크린에 배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9919호, 2013년 01월 24일 공개(명칭: 휴대 단말기의 최근 실행 아이콘 표시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 장치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하고,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내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홈 화면에서 단축 실행하기 위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자동으로 배치하여 단축 실행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서비스 장치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홈 화면에서 단축 실행하기 위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전체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의 위치와 서로 다른 홈 화면의 위치에 자동으로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홈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내역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홈 화면에서 팝업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팝업창을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제안 결과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최대 실행 횟수, 최소 실행 횟수 및 일자 별 실행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홈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통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라 실행 내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실행 내역을 이용하여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안함으로써, 홈 화면에 자동으로 제안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따라 자동으로 홈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개인 취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된 개인 취향에 따른 타겟 광고 등의 부가 정보를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의 홈 스크린 및 어플 서랍 화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단축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제안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홈 스크린으로 단축 실행 아이콘을 자동으로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 홈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통해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축 실행하기 위해 홈 스크린(이하, 홈 화면이라 칭함)에 배치하여 개인화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LTE(Long Term Evolution) 폰,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목록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하, 어플리케이션 서랍 화면이라 칭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여 실행 내역 저장 및 분석하고, 분석된 실행 내역 정보에 따라 홈 스크린을 통해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축 실행 아이콘을 홈 화면에 배치하기 위한 제안 내역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에 따라 제안 내역에 따른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축 실행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연동하고, 단말 장치(100)에서 요청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제어부(11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역에 따라 홈 화면에서 단축 실행 아이콘을 통해 실행할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축 실행 아이콘의 배치를 제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1) 및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및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첨부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아이콘들이 표시되는 화면 즉, 홈 화면을 관리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어플리케이션 서랍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1)로부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이하,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정보라 칭함)를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별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홈 화면에서 단축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독출하고, 독출된 하나 이상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안할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한다. 여기서, 실행 내역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실행 일자, 실행 횟수 및 실행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홈 화면에서 단축 실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안하고, 제안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내역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홈 화면에서 팝업창 등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팝업창을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제안 결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자동으로 배치하고,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을 단축 실행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생성된 단축 실행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안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최대 실행 횟수, 최소 실행 횟수, 일자 별 실행 횟수 등을 기준으로 선정되어 제안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서비스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다른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부(12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입력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어플리케이션 제안에 따른 확인에 따른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 장치(100)의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더불어, 어플리케이션 제공에 관련한 정보 및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련한 정보 즉,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 DB(141),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정보 DB(142) 및 어플리케이션 제안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안 내역 정보 DB(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출력부(150)는 기본적으로, 단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출력부(15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스피커),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는 입력부(1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대표적으로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표시부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 즉,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랍 화면 및 단축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단축 실행 아이콘)을 표시하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장치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연동하고, 앱 스토어 등을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주기적으로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는 경우, 단말 장치(100)로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는 단말 장치(100)로 어플리케이션 제작자들로부터 등록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앱 스토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는 단말 장치(100)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요청 받으면, 구매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유료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결제 서비스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프로그램(웹 스토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제작자들로부터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저장 및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하여 관리하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어플리케이션 서랍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1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11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관련 정보를 실행 내역 정보로서, 실행 내역 정보 DB(142)에 저장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 값이 카운트되고, 카운트 실행 값은 실행 횟수 정보에 누적하고,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종류(유형), 실행 일자, 실행 시간 등을 파악하고, 파악된 실행 관련 정보 및 실행 횟수 정보를 실행 내역 정보로서, 실행 내역 정보DB(142)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11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한다. 이에 앞서, 단말 장치(100)는 실행 내역 분석을 위한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 화면에서 분석 주기를 일주일, 한달 또는 1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특정 이벤트 발생에 대한 선택 메뉴 예를 들어, 관심 정보를 선택하여 관심 정보에 따른 유형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석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1104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에 맞는 후보 어플리케이션들을 독출하고, 독출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안할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는 최다 실행 횟수, 일자 별 실행 횟수, 시간 별 실행 횟수, 일정 기간 동안의 최소 실행 횟수, 사용자가 선정한 관심 분야 등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이들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1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안 메시지를 팝업 창을 통해 홈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다 실행횟수 조건에 따라 최근 가장 많이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어플리케이션 종류, 설치일자, 실행 횟수), 홈 메뉴에 추가 여부를 묻는 문구 및 선택 메뉴를 표시한 제안 메시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별 실행 횟수 조건에 따라 주말 또는 평일 등에 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첨부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실행 횟수 조건에 따라 최근 사용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안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제안 메시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안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1106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팝업창에 표시된 제안 메시지를 확인하면, 1107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제안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홈 화면에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축 실행 아이콘을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실시 에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며,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110)에 대한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내역을 직접 분석하고, 홈 화면에 배치할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안내하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10)가 서비스 장치(200)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내역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홈 화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11)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실행 관련 정보를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실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여 홈 화면에 팝업창 등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안 내역 결과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112)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독출하고, 독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홈 화면의 일영역에 자동으로 배치하고,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을 단축 실행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생성된 단축 실행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장치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와 같이, 통신부(21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며, 여기에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 및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부(24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실행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실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하고, 실행 관련 정보를 실행 내역 정보로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230)는 실행 내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실행 실행 내역 정보 DB 및 관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D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부(240)는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단말 장치(100)의 홈 화면에 배치할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 및 제안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부(240)는 분석된 실행 내역 정보 및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부(240)는 분석된 실행 내역 정보를 통해 취향을 분석하고, 분석된 취향이 관심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분석된 취향과 관련한 광고 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부가 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단말 장치(100)에서 홈 화면의 일 영역에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저장 및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2101단계에서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면, 21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관련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련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마다 또는 단말 장치(100)에서 임시 저장되었다가 주기적으로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는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실행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제안할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 및 제안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러면 21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안 메시지를 홈 화면의 일 영역에 팝업창을 통해 표시한다.
그런 다음 2104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안을 수락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제안을 수락하면, 2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제안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여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제안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자동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아이콘을 단축 실행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생성된 단축 실행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2106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제안 내역 결과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2201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 장치(100)로부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련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마다 또는 단말 장치(100)에서 임시 저장되었다가 주기적으로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실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 후,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값을 카운트하고, 실행 값을 실행 횟수 정보에 누적하고,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종류(유형), 실행 일자, 실행 시간 등을 파악하여 파악된 실행 관련 정보 및 실행 횟수 정보를 실행 내역 정보로서, 실행 내역 정보DB에 저장한다.
이후, 2202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고, 2203단계에서 분석된 실행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제안할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한다.
그런 다음 2204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정보 및 제안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안 메시지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에서는 수신된 제안 메시지를 홈 화면의 일 영역에 팝업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안을 수락하여 단말 장치(100)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제안 어플리케이션의 생성된 단축 실행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한 후, 제안 내역 결과 정보를 전송하면, 220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안 내역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한편, 서비스 장치(200)는 분석된 실행 내역 정보 및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부가 정보를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홈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통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라 실행 내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실행 내역을 이용하여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안함으로써, 홈 화면에 자동으로 제안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따라 자동으로 홈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개인 취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된 개인 취향에 따른 타겟 광고 등의 부가 정보를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
112: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230: 저장부
240: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부

Claims (3)

  1. 서비스 장치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실행 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홈 화면에서 단축 실행하기 위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전체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홈 화면으로 자동 배치시키되, 상기 아이콘을 상기 전체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배치된 위치와 다른 위치의 홈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른 위치는,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전체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위치한 행과 동일한 행에 해당하는 홈 화면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정된 제안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내역 정보를 포함한 제안 메시지를 홈 화면에서 팝업창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팝업창을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제안 결과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대 실행 횟수, 최소 실행 횟수 및 일자 별 실행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제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200151136A 2013-08-26 2020-11-12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KR10229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136A KR102293445B1 (ko) 2013-08-26 2020-11-12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269A KR20150024164A (ko) 2013-08-26 2013-08-26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51136A KR102293445B1 (ko) 2013-08-26 2020-11-12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269A Division KR20150024164A (ko) 2013-08-26 2013-08-26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676A KR20200130676A (ko) 2020-11-19
KR102293445B1 true KR102293445B1 (ko) 2021-08-26

Family

ID=7367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136A KR102293445B1 (ko) 2013-08-26 2020-11-12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4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55B1 (ko) * 2012-05-17 2013-02-15 권오형 사용자 중심의 메인 화면 아이콘 구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50B1 (ko) 2010-07-22 2012-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 처리 장치, 그것의 gpu 시뮬레이션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EP3734406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30065802A (ko) * 2011-11-30 201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워드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944275B1 (ko) * 2012-02-14 2019-01-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바탕화면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55B1 (ko) * 2012-05-17 2013-02-15 권오형 사용자 중심의 메인 화면 아이콘 구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676A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366B1 (ko)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956725B2 (ja) コンテキスト認識型ヘルプ・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101875805B1 (ko) 애플리케이션의 제시 및 설치를 위한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EP3057048A1 (en)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KR20140144104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JP605117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470651B1 (ko)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4317648A (zh) 一种监测广告的方法和装置
KR20170115543A (ko) 데스크톱 공유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EP2590074A1 (en) System for inserting services in a software application
CN110753251A (zh) 视频切换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186455B1 (ko) 사용자 맞춤 기능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US95944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additional icon content into a display screen
KR102293445B1 (ko) 홈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장치
EP263218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in an Electronic Device
US20210026913A1 (en) Web browser control feature
JP5504168B2 (ja) 移動体端末の待ち受け画面上の情報領域の表示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580221A (zh) 控件测试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376322B1 (ko)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KR102044743B1 (ko) 어플리케이션 상세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KR20150100067A (ko) 스크린샷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원격지원방법
CN107861666A (zh) 桌面应用安装方法及装置
CN110045895B (zh) 信息处理方法、系统、介质和计算设备
CN111158678B (zh) 视频播放的方法、设备、客户端装置及电子设备
KR101325533B1 (ko) 음악 히스토리 서비스 방법, 모바일 단말기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