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399B1 - Book-truck - Google Patents

Book-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399B1
KR102293399B1 KR1020210037372A KR20210037372A KR102293399B1 KR 102293399 B1 KR102293399 B1 KR 102293399B1 KR 1020210037372 A KR1020210037372 A KR 1020210037372A KR 20210037372 A KR20210037372 A KR 20210037372A KR 102293399 B1 KR102293399 B1 KR 10229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epper
support beam
side beam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3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인수
Original Assignee
조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수 filed Critical 조인수
Priority to KR102021003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truck comprising: a main body with wheels; and a stepper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and guided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when in use, and is guided to be mount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from the floor when not in use. Unlike the prior art, the book tru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n the floor in a state in which the stepper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book truck, and as the use state is maintained, a user can stably step on and climb the book truck. As a handrail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t a set he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due to a fall of the user using the stepper.

Description

북트럭{BOOK-TRUCK}Book truck {BOOK-TRUCK}

본 발명은 북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북트럭의 본체의 일측에 스텝퍼(stepper)를 일체로 구비한 상태로 바닥에 지지되며 사용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밟고 올라갈 수 있으며, 본체에 난간대를 설정 높이로 구비함에 따라 스텝퍼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북트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truck, and more particularly, it is supported on the floor in a state in which a stepper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book truck, and as the use state is maintained, the user can stably step on it and climb it, It relates to a book truck that is provided with a handrail at a set height in the main body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a fall of a user using a stepper.

도서관이나 북카페 등의 공간에서 사람들은 보통 책장에 진열된 책들 중에서 여러 권의 책들을 한꺼번에 고르고, 선택된 책들을 자리로 옮겨서 읽는 경우가 많다. 이때, 크고 무거운 다수의 책을 옮기는 것은 매우 불편한 작업이다.In a space such as a library or book cafe, people usually select several books from among the books displayed on the bookshelf at once, and move the selected books to a seat and read them. At this time, moving a large number of large and heavy books is a very inconvenient task.

뿐만 아니라, 북카페 등과 같이, 비치된 책의 열람이 가능한 공간에서 음료 등의 먹거리가 판매 또는 제공되거나 음식물의 반입이 가능한 경우, 사람들이 음식물을 손에 든 상태에서 책을 고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책을 선택하여 자리로 이동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작업이다.In addition, when food such as drinks are sold or provided in a space where books can be read, such as a book cafe, or food can be brought in, people can choose a book while holding food in their hands. In this case, 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elect a book and move to a seat.

이를 개선하기 위해, 북트럭은 다수의 책들이 보관 및 진열되는 도서관 등의 공공장소에서 주고 이용되고 있으며, 책들의 이동 및 운반을 위한 이동식 서가의 기능을 갖는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 book truck is given and used in public places such as libraries where a large number of books are stored and displayed, and has a function of a movable shelf for moving and transporting books.

종래 북트럭은 크게 몸체와, 그 몸체의 하측에 마련되는 캐스터로 구분되며, 그 몸체는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며 양측에 수직으로 마련된 측판과, 그 측판의 내측을 연결하며 상호 적정 간격의 높이로 마련되는 선반들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book truck is largely divided into a body and a cast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the body is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and the side plates are provided vertically on both sides, and the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at an appropriate height. It is made up of shelves that are

그런데, 보관해야 하는 서적의 수량이 증가하면서, 서가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는 북트럭으로 서적을 이동 후, 별도의 사다리를 가져와서 서적을 높은 위치의 책꽂이에 정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as the number of books to be stored increases, as the height of the shelf increases, the user moves the books with a book truck, and then brings a separate ladder to align the books on the bookshelves in a high position. .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553호(고안의 명칭: 책 운반용 카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3520호(발명의 명칭: 북엔드부를 구비하는 북트럭)가 제안된 바 있다.As related technologie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5-0002553 (name of design: cart for carrying books)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43520 (title of invention: book truck with bookend part) are proposed as related technologies. has b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북트럭의 본체의 일측에 스텝퍼(stepper)를 일체로 구비한 상태로 바닥에 지지되며 사용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밟고 올라갈 수 있으며, 미사용시 스텝퍼를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본체에 고정 설치함에 따라, 서가의 높은 위치에 서적을 수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북트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s supported on the floor in a state in which a stepper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book truck, and as the use state is maintained, the user can stably step on it and climb it.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ok truck that is intend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who store books in a high position of the shelf by fixing the stepper to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when not in use.

본 발명은 본체에 난간대를 설정 높이로 구비함에 따라 스텝퍼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미사용시 난간대의 높이를 낮게 보관함으로써 난간대를 보호고자 하는 위한 북트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ok truck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due to a fall of a user using a stepper by providing the handrail with a set height in the body, and protecting the handrail by keeping the height of the handrail low when not in use. There is this.

본 발명에 따른 북트럭은: 바퀴가 달린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시 바닥에 지지되도록 설치 안내되며 미사용시 바닥으로부터 유격되도록 상기 본체에 거치 안내되는 스텝퍼를 포함한다.A book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on wheels; and a stepp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stalled and guided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when in use, and guided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when not in use.

상기 스텝퍼는,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사이드빔;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빔에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빔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발판; 및 상기 사이드빔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사이드빔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사이드빔을 지지하는 서포트빔을 포함한다.The stepper may include at least one pair of side beams arranged side by side; Footrests having both sides connected to the facing side beams and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de beams; and a support beam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each or any one of the side beams, and the other side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side beam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최상측의 상기 발판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사이드빔에 각각 힌지 연결되며, 상기 서포트빔은 일측이 상기 사이드빔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최상측의 상기 발판이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사이드빔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본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most footres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sidebeam at different positions, and the support beam has one side hinged to the sidebeam and the other side hing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uppermost footrest is hinged to the main body. When rotating in the upper direction, the side beam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최상측의 상기 발판을 제외한 상기 발판은 양측이 하나 이상의 고정핀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빔의 이동에 연동되어 움직이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trest except for the uppermost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fixedly connected by one or more fixing pins and moved or fix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eam.

상기 서포트빔은, 상기 사이드빔의 사용시, 상기 사이드빔에 구비되는 스토퍼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beam, when the side beam is us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ained by a stopper provided on the side beam.

상기 서포트빔과 상기 사이드빔은, 상기 사이드빔의 미사용시, 겹쳐진 상태로 구속핀에 의해 상호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beam and the side beam, when the side beam is not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utually constrained by a restraining pin in an overlapping state.

상기 본체는 난간대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rail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북트럭은 종래 기술과 달리 북트럭의 본체의 일측에 스텝퍼(stepper)를 일체로 구비한 상태로 바닥에 지지되며 사용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밟고 올라갈 수 있으며, 미사용시 스텝퍼를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본체에 고정 설치함에 따라, 서가의 높은 위치에 서적을 수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ok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n the floor in a state in which a stepper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book truck, unlike the prior art. It can go up, and when not in use, the stepper is fix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who stores the books in a high position of the shelf.

본 발명은 본체에 난간대를 설정 높이로 구비함에 따라 스텝퍼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미사용시 난간대의 높이를 낮게 보관함으로써 난간대를 보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a fall of a user using a stepper by providing the handrail with a set height in the body, and protect the handrail by keeping the height of the handrail low when not in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초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초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를 펼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텝퍼의 서포트빔이 사이드빔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스텝퍼에 연동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풋의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itial state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initial state of the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stepper of the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unfolded stepper of the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stepper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eam of the stepper is fixed to the sid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foot interlocking with a stepper to support th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북트럭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초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초기 상태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itial state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n initial state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를 펼친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stepper of the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unfolded side view of the stepper of the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pper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의 스텝퍼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stepper of a book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텝퍼의 서포트빔이 사이드빔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eam of the stepper is fixed to the sid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10)은 본체(20) 및 스텝퍼(stepper,100)를 포함한다.1 to 10 , the book tru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0 and a stepper 100 .

본체(20)는 서적을 수납하거나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체(20)는 수납공간(22)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본체(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 body 20 is formed to accommodate or arrange books. In particular, the main body 20 is shown as forming the receiving space (22). Of course, the body 20 is applicable to various shapes and various materials.

아울러, 본체(2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 개의 바퀴(24)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ody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24 to facilitate movement.

그리고, 본체(20)는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6)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손잡이(2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6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it by hand for movement. Of course, the handle 26 is applicable in various shapes.

또한, 스텝퍼(100)는 본체(20)의 일측에 연결된 채 구비된다. 그리고, 스텝퍼(100)는 사용시 바닥에 지지되도록 설치 안내되며, 미사용시 바닥으로부터 유격되도록 본체(20)에 거치 안내된다.In addition, the stepper 100 is provided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In addition, the stepper 100 is installed and guided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when in use, and is guided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when not in use.

상세히, 스텝퍼(100)는 사이드빔(110), 발판(120) 및 서포트빔(130)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stepper 100 includes a side beam 110 , a scaffold 120 and a support beam 130 .

사이드빔(110)은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편의상, 사이드빔(110)은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사이드빔(1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t least one pair of side beams 110 is arranged side by side. For convenience, the side beam 110 is provided as a pair of side by side. In addition, the side beam 110 is applicable to various shapes and various materials.

그리고, 발판(120)은 마주하는 사이드빔(110)에 양측이 연결되고, 사이드빔(11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ootrest 120 are connected to the side beam 110 facing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ootrests 120 are provi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de beam 110 .

이때, 발판(120)은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의 프레임(122), 및 프레임(122)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패드(124)로 이루어진다. 패드(124)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프레임(122)과 패드(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footrest 120 includes a frame 122 made of a metal material to have rigidity, and a pad 124 that is received and fixed in the frame 122 . The pad 124 is applicable to various materials, and the frame 122 and the pad 124 are applicable to various shapes.

특히, 최상측의 발판(12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본체(20)와 사이드빔(110)에 각각 힌지 연결된다.In particular, the uppermost footrest 120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and the side beam 110 at different positions.

즉, 본체(20)는 일측면 상부에 힌지브라켓(142)을 구비한다. 이때, 힌지브라켓(142)은 발판(120)의 가로너비(W)만큼 유격된다. 그래서, 힌지브라켓(142) 각각은 대응되는 프레임(122)의 코너 또는 측면에 접하게 된다.That is,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hinge bracket 142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t this time, the hinge bracket 142 is spaced apart as much as the horizontal width W of the footrest 120 . Thus, each of the hinge brackets 142 comes into contact with a corner or a sid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rame 122 .

그리고, 힌지핀(144)이 대응되는 힌지브라켓(142)과 프레임(122)을 연결한다. 그래서, 사이드빔(110)의 축 방향을 따라 최상측의 발판(120)은 힌지핀(144)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Then, the hinge pin 144 connects the corresponding hinge bracket 142 and the frame 122 . So,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de beam 110, the uppermost footrest 12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44 .

아울러, 발판(120) 특히 프레임(122)은 세로너비(H) 방향으로 힌지핀(144)과 유격되는 양측면에 대응되는 사이드빔(1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부를 힌지 연결한다. 즉, 제 1피벗핀(152)이 대응되는 사이드빔(110)과 프레임(122)을 연결한다. In addition, the footrest 120, in particular, the frame 122 is hinge-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de beam 11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hinge pin 144 and the gap in the vertical width (H) direction. That is, the first pivot pin 152 connects the corresponding side beam 110 and the frame 122 .

이에 따라, 발판(120)이 힌지핀(144)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 사이드빔(110)은 동시에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바닥과 이격된다. 이때, 사이드빔(110) 각각은 자중에 의해 제 1피벗핀(152)을 기준으로 하향되며 본체(20)의 일측면에 접하거나 근접된다.Accordingly, when the footrest 120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pin 144, the side beam 110 is simultaneously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t this time, each of the side beams 110 is downward relative to the first pivot pin 152 by its own weight, and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

반대로, 발판(120)이 힌지핀(144)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 사이드빔(110)은 동시에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바닥에 접하게 된다. 이때, 사이드빔(110) 각각은 서포트빔(130)에 의해 본체(20)의 일측면에서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배치된다.Conversely, when the footrest 120 is rotated in the low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44 , the side beam 110 is simultaneously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At this time, each of the side beams 110 is gradually spread apart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by the support beam 130 .

또한, 서포트빔(130)은 사이드빔(110)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사이드빔(1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20)에 연결되어, 본체(20)에 대해 사이드빔(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eam 130 has one side connected to each or any one side beam 110 of the side beam 110 ,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 the side beam 110 . plays a supporting role.

편의상, 서포트빔(130)은 본체(20)에 대해 사이드빔(110) 각각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한다.For convenience, the support beams 130 are shown supporting each of the side beams 110 with respect to the body 20 .

상세히, 서포트빔(130) 각각은 축 방향을 따라 대략 중앙 위치, 또는 중앙과 상부 사이의 위치에서 대응되는 사이드빔(110)과 연결된다. 즉, 대응되는 서포트빔(130)과 사이드빔(110)은 제 2피벗핀(154)에 의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In detail, each of the support beams 130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ide beam 110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sition or a posi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upper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That is, the corresponding support beam 130 and the side beam 110 are hingeably connected by the second pivot pin 154 .

그리고, 본체(20)는 일측면 하부에 피벗브라켓(156)을 구비한다. 이때, 피벗브라켓(156)은 발판(120)의 가로너비(W)의 길이보다 소정 넓게 배치된다.And,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pivot bracket 156 in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At this time, the pivot bracket 156 is arranged to be wid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dth W of the footrest 120 .

아울러, 피벗브라켓(156)은 대응되는 서포트빔(130)의 축 방향을 따라 하측을 힌지 연결한다. 즉, 대응되는 피벗브라켓(156)과 서포트빔(130)은 제 3피벗핀(158)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In addition, the pivot bracket 156 is hinged at the lower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beam 130 . That is, the corresponding pivot bracket 156 and the support beam 130 are hingeably connected with the third pivot pin 158 .

이에 따라, 사이드빔(110) 각각이 제 1피벗핀(152)을 기준으로 회동시, 서포트빔(130)은 제 2피벗핀(154)에 의해 사이드빔(110)에 대해 회동되며, 제 3피벗핀(158)에 의해 본체(20)에 대해 회동된다.Accordingly, when each of the side beams 11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ivot pin 152 , the support beam 13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ide beam 110 by the second pivot pin 154 , and the third 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dy 20 by a pivot pin 158 .

특히, 발판(120)이 힌지핀(144)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 사이드빔(110)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바닥과 이격되고, 자중에 의해 제 1피벗핀(152)을 기준으로 하향되며 본체(20)의 일측면에 접하게 되거나 근접되고, 서포트빔(130)은 사이드빔(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본체(20)의 일측면에 접하거나 근접된다.In particular, when the footrest 120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44, the side beam 110 moves in the upper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based on the first pivot pin 152 by its own weight. Downward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the support beam 13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ide beam 110 and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특히, 최상측의 발판(120)을 제외한 발판(120)은 양측이 하나 이상의 고정핀(162)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대응되는 서포트빔(130)의 이동에 연동되어 움직이거나 고정된다.In particular, both sides of the footrest 120 except for the uppermost footrest 120 are fixedly connected by one or more fixing pins 162 and are moved or fix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beam 130 .

이때, 최상측의 발판(120)을 제외한 발판(120)의 프레임(122)은 양측에서 세로너비(H)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복수 개의 고정핀(162)을 구비하여 대응되는 사이드빔(110)에 힌지 가능하게 삽입한다.At this time, the frame 122 of the footrest 120 except for the uppermost footrest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ins 162 o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width (H) direction from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side beam 110. It is hingedly inserted into the

이에 따라, 사이드빔(110)이 본체(20)의 일측면에 접하거나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미사용 상태가 될 경우, 최상측의 발판(120)을 제외한 발판(120)은 양측에 구비된 일직선상의 고정핀(162)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된다. 이로써, 사이드빔(110)이 미사용 상태일 경우, 모든 발판(120)은 본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최소화된다.Accordingly, when the side beam 110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is in an unused state, the footrest 120 except for the uppermost footrest 120 is a straight line provided on both sides. It is inclined downward by the upper fixing pin 162 . Accordingly, when the side beam 110 is not in use, all of the footrests 120 are minimiz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

그리고, 사이드빔(110)이 본체(20)의 일측면에서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용 상태가 될 경우, 최상측의 발판(120)을 제외한 발판(120)은 복수 개의 고정핀(162)에 의해 상향 회동되며 바닥에 대해 나란한 상태가 된다. 이때, 최상측의 발판(120)도 바닥에 대해 나란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side beam 110 is rotated in a direction gradually widen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to be in use, the footrest 120 except for the uppermost footrest 120 has a plurality of fixing pins 162 . It is rotated upward by the , and is in a state parallel to the floor. At this time, the uppermost footrest 120 is also parallel to the floor.

한편, 사이드빔(110)이 본체(20)의 일측면에서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용 상태가 될 경우, 서포트빔(130)은 사이드빔(110)에 구비되는 스토퍼(172)에 구속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de beam 110 is rotated in a direction gradually widen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to be in use, the support beam 130 is constrained by a stopper 172 provided in the side beam 110 . .

즉, 사이드빔(110) 각각은 제 2피벗핀(154)에 인접되는 위치에 스토퍼(172)를 구비하여 사용 상태의 서포트빔(130)의 하측을 지지한다.That is, each of the side beams 110 is provided with a stopper 172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pivot pin 154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eam 130 in a used state.

이때, 서포트빔(130)은 축 방향을 따라 상측 하부에 수용홈(174)을 형성하여 스토퍼(172)를 수용한다. 스토퍼(172)가 수용홈(174)에 수용되어 위치 설정됨에 따라, 사이드빔(110)과 서포트빔(130)이 사용 상태를 유지하고, 제 2피벗핀(154)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된다. 물론, 스토퍼(17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beam 130 forms an accommodating groove 174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stopper 172 . As the stopper 172 is received and positioned in the receiving groove 174 , the side beam 110 and the support beam 130 maintain a use state, and the load applied to the second pivot pin 154 is distributed. . Of course, the stopper 172 is deformable in various shapes.

특히, 서포트빔(130)은 축 방향을 따라 상부 양측에 수용홈(174)을 형성하고, 스토퍼(172)는 서포트빔(130)의 사용 상태일 경우 수용홈(174)에 일대일 수용되도록 사이드빔(110)에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support beam 130 forms accommodating grooves 174 on both upper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topper 172 is a side beam to be received one-to-one in the accommodating groove 174 when the support beam 130 is in use. (110) is provided.

이로써, 스텝퍼(100)가 미사용시, 서포트빔(130)과 사이드빔(110)은 세워진 채 포개진 상태이며, 스토퍼(172)는 대응되는 서포트빔(130)의 측면을 지지한다.Accordingly, when the stepper 100 is not in use, the support beam 130 and the side beam 110 are stacked while standing, and the stopper 172 supports the side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beam 130 .

그리고, 스텝퍼(100)가 사용시, 사이드빔(110)과 서포트빔(130)이 연동되어 기울어지면서, 서포트빔(130)은 수용홈(174)에 스토퍼(172)를 각각 수용 안내한다. 따라서, 서포트빔(130)은 견고하게 사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nd, when the stepper 100 is used, the side beam 110 and the support beam 130 are interlocked and inclined, and the support beam 130 receives and guides the stopper 172 in the receiving groove 174,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upport beam 130 is firmly maintained in use.

또한, 대응되는 서포트빔(130)과 사이드빔(110)은, 사이드빔(110)의 미사용시, 겹쳐진 상태로 구속핀(182)에 의해 상호 구속된다. 이때, 구속핀(182)은 대응되는 서포트빔(130)과 사이드빔(110)에 삽입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구속핀(18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support beam 130 and the side beam 110 are mutually constrained by the restraining pin 182 in an overlapping state when the side beam 110 is not used. At this time, the constraint pin 182 is to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upport beam 130 and the side beam (110). Of course, the constraint pin 182 is deformable in various shapes.

그리고, 본체(20)는 난간대(190)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한다.And,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handrail 190 to be movable.

이때, 난간대(190)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구비되는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스텝퍼(100)의 발판(120)을 밟으면서 손으로 난간대(190)를 잡음에 따라 안정적으로 높은 위치에 서적을 정렬하거나 또는 높은 위치의 서적을 꺼낼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the handrail 19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as a pair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with both hands, the number of the handrails is not limited. As the user steps on the footrest 120 of the stepper 100 and holds the handrail 190 by hand, the books can be stably arranged at a high position or the books at a high position can be taken out.

특히, 난간대(190)는 폴(192) 및 핸들(194)을 포함한다. 핸들(194)은 폴(192)의 상부에서 폴(192)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거나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핸들(19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handrail 190 includes a pole 192 and a handle 194 . The handle 194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pole 192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ole 192 . The handle 194 is deformable in various shapes.

아울러, 본체(20)는 난간대(190)의 폴(192)을 축 삽입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리브(196)를 고정 형성한다.In addition, the body 20 has a sleeve 196 fixedly formed so that the pole 192 of the handrail 190 is axially inserted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핸들(194)의 높이가 설정된 후, 위치설정핀(198)에 의해 폴(192)은 슬리브(196)에 대해 위치 고정된다. 위치설정핀(198)은 슬리브(196)와 폴(192)에 순서대로 삽입된다. 물론, 폴(192)은 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fter the height of the handle 194 is set, the pole 192 is fixed in position relative to the sleeve 196 by means of a positioning pin 198 . The positioning pins 198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sleeve 196 and the pawl 192 . Of course, the pole 19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enable height adjustment.

그리고, 난간대(190)의 미사용시, 핸들(194)이 본체(20)의 상측면에 접할 때까지, 폴(192)은 슬리브(196)에 삽입된 채 축 방향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폴(192)은 바닥에 닿지 않는 길이로 이루어진다.And, when the handrail 190 is not in use, the pole 192 is inserted into the sleeve 196 and descends along the axial direction until the handle 19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 At this time, the pole 192 is made of a length that does not touch the floor.

특히, 본체(20)는 하사점까지 하강한 폴(192)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난간대(190)의 미사용시, 위치설정핀(198)이 폴(192)에 가하는 가압력(하중)이 줄어들게 된다. 지지대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to support the pole 192 is lowered to the bottom dead center. In this case, when the handrail 190 is not used, the pressing force (load) applied by the positioning pin 198 to the pole 192 is reduced. The support is deformable in various shape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스텝퍼에 연동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풋의 작동 상태도이다.1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foot interlocking with a stepper to support th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북트럭(10)은 본체(20) 및 스텝퍼(stepper,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book truck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0 and a stepper 100 .

그리고, 스텝퍼(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빔(110), 발판(120) 및 서포트빔(130)을 포함한다.And, the stepper 10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side beam 110, the scaffold 120 and the support beam 130.

특히, 스텝퍼(100)가 사용 상태로 펼쳐진 후, 사용자가 밟고 올라갈 경우, 본체(20)가 스텝퍼(100) 방향으로 넘어지려는 힘이 작용한다.In particular, after the stepper 100 is unfolded in a used state, when a user steps on the stepper 100 , a force for the main body 20 to fall in the direction of the stepper 100 acts.

그래서, 본체(20)가 스텝퍼(100) 방향으로 전도될 수 있다.Thus, the body 20 may be inverted toward the stepper 100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상측의 발판(120)은 세로너비 방향으로 힌지핀(144)과 제 2피벗핀(152) 사이에 풋(105)을 힌지 연결한다.To prevent this, the uppermost footrest 120 hinges the foot 105 between the hinge pin 144 and the second pivot pin 152 in the vertical width direction.

그래서, 해당 발판(120)이 힌지핀(144)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 풋(105)도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해당 발판(120)이 힌지핀(144)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 풋(105)도 하강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ootrest 120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44, the foot 105 also rises. Conversely, when the footrest 120 is rotated in the low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44, the foot 105 also descends.

즉, 풋(105)은 해당 발판(12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하게 된다.That is, the foot 105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ootrest 120 .

풋(105)은 완전히 하강시 바닥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풋(105)은 바닥에 대한 본체(20)의 접지력을 증가시킨다.The foot 10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when it is completely lowered. Thus, the foot 105 increases the grip of the body 20 against the floor.

물론, 풋(10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foot 105 is deformable in various shapes.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No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북트럭 20: 본체
22: 수납공간 24: 바퀴
26: 손잡이 100: 스텝퍼(stepper)
110: 사이드빔 120: 발판
122: 프레임 124: 패드
130: 서포트빔 142: 힌지브라켓
144: 힌지핀 152: 제 1피벗핀
154: 제 2피벗핀 156: 피벗브라켓
158: 제 3피벗핀 162: 고정핀
172: 스토퍼 174: 수용홈
182: 구속핀 190: 난간대
192: 폴 194: 핸들
196: 슬리브 198: 위치설정핀
10: book truck 20: body
22: storage space 24: wheels
26: handle 100: stepper (stepper)
110: side beam 120: footrest
122: frame 124: pad
130: support beam 142: hinge bracket
144: hinge pin 152: first pivot pin
154: second pivot pin 156: pivot bracket
158: third pivot pin 162: fixing pin
172: stopper 174: receiving groove
182: restraint pin 190: handrail
192: pole 194: handle
196: sleeve 198: positioning pin

Claims (7)

바퀴가 달린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시 바닥에 지지되도록 설치 안내되며 미사용시 바닥으로부터 유격되도록 상기 본체에 거치 안내되는 스텝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텝퍼는,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사이드빔;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빔에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빔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발판; 및 상기 사이드빔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사이드빔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사이드빔을 지지하는 서포트빔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빔은 축 방향을 따라 상측 하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빔은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사이드빔을 펼쳐 사용시, 상기 스토퍼가 대응되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빔과 상기 서포트빔의 사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서포트빔과 상기 사이드빔의 힌지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트럭.
body on wheels; and a stepp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stalled and guided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when in use, and guided to be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when not in use,
The stepper may include at least one pair of side beams arranged side by side; Footrests having both sides connected to the facing side beams and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de beams; and a support beam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each or any one of the side beams, and the other side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side beam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support beam forms a receiving groov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ide beam includes a stopper,
When the side beam is spread and used, the stopper is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use state of the side beam and the support beam is maintained, and the load applied to the hinge portion of the support beam and the side beam is distributed. Book truck,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최상측의 상기 발판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사이드빔에 각각 힌지 연결되며,
상기 서포트빔은 일측이 상기 사이드빔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최상측의 상기 발판이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사이드빔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본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트럭.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most footres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side beam at different positions,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support beam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side beam, and the other side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n the uppermost footrest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side beam is moved upward and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제 3항에 있어서,
최상측의 상기 발판을 제외한 상기 발판은 양측이 하나 이상의 고정핀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빔의 이동에 연동되어 움직이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트럭.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caffold, except for the topmost scaffold, has both sides fixedly connected by one or more fixing pins, and is moved or fix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eam.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빔과 상기 사이드빔은, 상기 사이드빔의 미사용시, 겹쳐진 상태로 구속핀에 의해 상호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트럭.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support beam and the side beam, when the side beam is not in use, the book tru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utually constrained by a restraining pin in an overlapping state.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난간대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트럭.
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and 4,
The book tr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handrail to be movable.
KR1020210037372A 2021-03-23 2021-03-23 Book-truck KR102293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72A KR102293399B1 (en) 2021-03-23 2021-03-23 Book-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72A KR102293399B1 (en) 2021-03-23 2021-03-23 Book-tru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99B1 true KR102293399B1 (en) 2021-08-24

Family

ID=7750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372A KR102293399B1 (en) 2021-03-23 2021-03-23 Book-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9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577A (en) * 1993-09-17 1995-03-28 Daifuku Co Ltd Cart having stepladder
KR19980056988U (en) * 1997-01-27 1998-10-15 전창옥 Stepping Cart With Ladder
KR20130077850A (en) * 2013-04-30 2013-07-09 주식회사 위드에스엔씨 A booktruck with bookends
US20170314327A1 (en) * 2016-04-29 2017-11-02 Wal-Mart Stores, Inc. Wheeled cart for transporting store i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577A (en) * 1993-09-17 1995-03-28 Daifuku Co Ltd Cart having stepladder
KR19980056988U (en) * 1997-01-27 1998-10-15 전창옥 Stepping Cart With Ladder
KR20130077850A (en) * 2013-04-30 2013-07-09 주식회사 위드에스엔씨 A booktruck with bookends
US20170314327A1 (en) * 2016-04-29 2017-11-02 Wal-Mart Stores, Inc. Wheeled cart for transporting store i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5178A1 (en) Mobile modular stand
US20190233998A1 (en) Height adjustable sewing machine support and storage system
US9980583B2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US10376062B2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KR102293399B1 (en) Book-truck
JPH07301015A (en) Folding chair
US9738116B1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US8672296B2 (en) Apparatus for lifting pallet racks
JP2922178B2 (en) Lifting device
JP6880832B2 (en) Desk side panel
JP4302669B2 (en) Retractable memo stand, chair with backrest, and moving bleachers
US7293784B2 (en) Adjustable computer case support
JP6880831B2 (en) Movable shelves
GB2231552A (en) Stacking frame for pallets
AU2008201692A1 (en) Pallet storage system
KR100622441B1 (en) chair combined table
JP2682488B2 (en) Standing meeting table
WO1999062375A9 (en) Height adjustable workstation
US20230218086A1 (en) Collapsible Kitchen Step Stool
JP3232476U (en) Serving car
JP3904211B2 (en) Product display stand
CN219020607U (en) Form filling table
JP3796314B2 (en) Folding table
WO1993003650A1 (en) Desk mechanism
JP3525328B2 (en) Elevating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