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936B1 -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 Google Patents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936B1
KR102292936B1 KR1020190134529A KR20190134529A KR102292936B1 KR 102292936 B1 KR102292936 B1 KR 102292936B1 KR 1020190134529 A KR1020190134529 A KR 1020190134529A KR 20190134529 A KR20190134529 A KR 20190134529A KR 102292936 B1 KR102292936 B1 KR 102292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oor
drain
guid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0196A (en
Inventor
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19013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936B1/en
Publication of KR2021005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04Distributing means for power supply in m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되고, 슬라이드되며 상기 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부 도어부의 슬라이드 시에 슬라이드 되는 방향으로 도어부를 가이드하고, 배수를 유도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도어부가 케이스의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의 하단과 접촉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함체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closure having a sliding door installed inside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on an open side of the case, slides, and when the door unit slides to open and close the case A housing is provided, including; a guide part including a drain part for guiding the door part in a sliding direction and inducing drainage, and a buffer part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door part when the door part closes the case.

Description

터널 내부용 함체{BOX CASE INSTALLED IN TUNNEL}Tunnel interior enclosure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함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closure having a sliding door installed inside a tunnel.

통상적으로 도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터널은 내부가 어둡고 자연적인 공기의 순환이 어려우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조명 및 환기시설 등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시설들은 전기를 동력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전장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장은 터널 내부에서 마련된 제어부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제어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경우에 차량주행중 비산되는 비산물이나 청소시 분사되는 물 등의 영향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거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체 내에 전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함체를 개폐하는 도어가 여닫이 문의 형태를 취할 경우에 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라서, 이동중인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육안으로 확인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터널용 함체는 안전 및 공간의 확보가 미흡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함체는 터널의 청소시에 물을 분사하게 되면 함체 내에 물이 유입되어 전장에 부식을 촉진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In general, tunnels required in the process of road construction are dark inside and difficult to circulate natural air, so lighting and ventilation facilit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se problems. Because these facilities are powered by electricity, they can be controlled via the battlefield. The electric field can be controlled by an administrator through a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the tunnel. When the control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corrosion or damage may occur due to the influence of scattering products scattered during vehicle driving or water sprayed during cleaning.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ocat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lefield within the enclosure. However, when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using takes the form of an opening door, it may be difficult to visually identify it from a driver of a moving vehicle depending o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ntional housing for tunnels is insufficient in securing safety and space. In addition, if water is sprayed during the cleaning of the tunnel,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enclosure to promote corrosion on the battlefiel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69548 호 (1999. 11. 20)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69548 (1999. 11.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앞서 기술한 종래의 터널용 함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함체의 도어 개방 시에도 제어부의 조작자가 차량운전자로부터 식별될 수 있게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unnel enclosure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operator of the control unit to be identified from the vehicle driver even when the door of the enclosure is op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터널 청소시 분사되는 물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거나 일부 유입된 물을 배수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ain the water that is injected during tunnel cleaning, either not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or partially introduced.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되고, 슬라이드되며 상기 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부 도어부의 슬라이드 시에 슬라이드 되는 방향으로 도어부를 가이드하고, 배수를 유도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도어부가 케이스의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의 하단과 접촉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함체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closure having a sliding door installed inside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on an open side of the case, slides, and when the door unit slides to open and close the case A housing is provided, including; a guide part including a drain part for guiding the door part in a sliding direction and inducing drainage, and a buffer part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door part when the door part closes the case.

그리고, 드레인부는, 가이드부의 표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복수 개의 제1드레인홈; 복수 개의 제1드레인홈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홈인 제2드레인홈; 및 제2드레인홈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가이드부에 하방으로 관통되는 홀인 드레인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rain groove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guide unit; a second drain groove which is a groov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drain gro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rain hole, which is a hole penetrating downward through the guide part so that the fluid flowing along the second drain groove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또한, 제2드레인홈은 복수 개의 제1드레인홈 각각과 연결되어 유체를 배수시킬 수 있다.Also, the second drain groove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drain grooves to drain the fluid.

또한, 도어부는, 케이스를 폐쇄시키는 관절형 스크린, 관절형 스크린을 권취할 수 있는 권취부 및 케이스가 개방된 경우에 스크린을 권취한 권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unit may include an articulated screen for closing the case, a winding for winding the articulated screen,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winding on which the screen is wound when the case is opened.

또한, 권취부는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케이스가 개방되도록 관절형 스크린을 견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ing unit can pull the articulated screen so that the case is op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또한, 완충부는 폐쇄상태의 도어부를 기준으로, 도어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지지부, 도어부의 외측에 외치되는 제2지지부 및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고, 도어부의 폐쇄 상태에서 도어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connects the first support part positioned inside the door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external to the door part, and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based on the door part in the closed state, and the door part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part It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또한, 제1지지부는 제2지지부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제2지지부는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제2지지부 사이에 배수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may be formed, and a drainage part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support parts.

또한, 가이드부는, 스크린이 슬라이드가 되는 방향의 양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베이스; 가이드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크린의 양면 중 일면 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가이드베이스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크린의 양면 중 타면 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the screen is a guide bas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lide direc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guide base and extending toward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creen;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se and exten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both surfaces of the screen.

또한, 가이드부는, 제1연장부가 제2연장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Also, in the guide part, the first extension part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cond extensio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함체의 도어를 열고 제어부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차량운전자로부터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n operator who opens a door of a housing and operates a control unit to be identified from a vehicle dri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터널 청소시 분사되는 물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일부 유입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water injected during tunnel cleaning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or to drain some of the introduced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함체가 터널내에 배치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도어부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가이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드레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드레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가 스크린과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사시도.
1 is a view in which a tunnel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tunnel;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view showing that the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with the door part, Figure 4 (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guide part,
5 (a) is a view showing a drain structure formed inside the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view showing a drain structure formed under the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Figure 6 (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f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screen. Figure 6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함체(100)가 터널(1) 내에 배치된 도면이다.1 is a view in which a tunnel enclos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tunnel 1 .

도 1을 참조하면, 터널용 함체(100)는 터널(1)의 내벽면에 일부가 매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매몰되지 않고 노출된 측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터널(1) 내의 전장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수용하고 있을 수 있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요구되는데 사용자가 함체(100)를 개방하고 조작을 하는 중에 함체(100)의 도어가 여닫이 방식의 도어인 경우에 열린 도어가 사용자를 가려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개방각도가 90도이고 사용자가 함체(100)의 정면에 서있다면 도어에 가려진 부분은 운행하는 차량이 있는 위치에서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unnel enclosure 100 may be installed by being partially buri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unnel 1 . An openable and openable door may be installed on the exposed side without being buried. The enclosure 100 may accommodat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lefield within the tunnel 1, and a user's operation for controlling this is required. ), it may be difficult for a driver who drives a vehicle to visually identify the user because the open door covers the user when the door is an opening/closing type door. For example, i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90 degrees and the user is standing in front of the housing 100 , the part covered by the door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at a location where a moving vehicle is loca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함체(100)는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10)에 개방된 측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110), 도어부(110)의 개폐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부(120) 및 도어부(110)가 폐쇄 시에 도어부(110)의 일부와 접촉되는 완충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20)가 도어부(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도어부(110)가 케이스(10)의 개방된 부분을 패쇄하기 위해 도어부(110)의 일부가 하방으로 내려올 때 하한선에 완충부(130)가 위치된다. 케이스(10) 내에는 제어부(미도시) 등의 전장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부(110), 가이드부(120) 및 완충부(130) 각각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housing 100 includes a door unit 11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side of the case 10 with one side open, and a guide unit 120 disposed in the opening/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unit 110 . and a buffer unit 130 that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door unit 110 when the door unit 110 is closed.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art 12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oor part 110 , and a part of the door part 110 comes down in order for the door part 110 to close the open part of the case 10 . When the buffer unit 130 is located at the lower limit. An electric field such as a controlle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case 10 .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each of the door unit 110 , the guide unit 120 , and the buffer unit 13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10)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oor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부(11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되는 하우징(111), 하우징(111) 내에 위치되는 권취부(112), 권취부(112)에 의해 권취되는 스크린(1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1)은 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1)이 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스크린(113)이 상하 슬라이딩되며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oor unit 110 is wound by a housing 111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 a winding unit 112 located within the housing 111 , and a winding unit 112 . a screen 113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11 may be dispos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 As the housing 11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 the screen 113 slides up and down to perform opening and closing.

상기 권취부(112)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탄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권취부(112)에 모터가 채용됨으로써 스크린(113)의 권취여부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권취부(112)가 코일 스프링으로 채용되는 경우는 권취를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winding part 112 may generate elasticity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y a coil spring. Of course, since a motor is employed in the winding unit 112 , whether or not the screen 113 is wound may be performed by the power of the motor. However, when the winding unit 112 is employed as a coil spring, a separate configuration is not additionally required to generate power for winding. This can be optionally determined according to need.

또한, 권취부(112)는 스크린(113)의 권취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스크린(113)이 금속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권취가 될 수 있도록 복수의 블레이드(113a)가 조인트(113b)를 통한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린(113)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조인트(113b)는 조인트(113b)를 중심으로 이웃한 블레이드(113a) 간 힌지가 될 수 있는데, 이 때의 힌지축은 권취부(112)의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스크린(113)이 개폐되기 위해 가이드부(12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조인트(113b)에 의해 회전되는 힌지축은 수평방향일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으로 스크린(113)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113a)의 양단부가 가이드부(120)에 의해 안내되어 스크린(113)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ing unit 112 may determine whether to wind the screen 113 . When the screen 113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plurality of blades 113a may be a screen 113 formed by connection through a joint 113b so as to be wound. In this case, the joint 113b may be a hinge between adjacent blades 113a around the joint 113b, and the hinge axis at this time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winding unit 112 . As an example, when the screen 113 is vertically slid along the guide part 120 to open and close, the hinge axis rotated by the joint 113b may b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screen 113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blade 113a are guided by the guide part 120 so that the screen 113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앞서 설명한 권취부(112)가 코일스프링을 채용한 경우에 스크린(113)의 개방 방향으로 코일스프링의 탄성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함체(100)의 폐쇄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린(113)이 수직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함체(100)의 개방은 스크린(113)에 별도의 구속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스크린(113)이 수직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동력을 위한 별도 구성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상기 구성에 요구되는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acts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creen 113 when the above-described winding unit 112 employs the coil spring, the closing of the enclosure 100 is performed by the user so that the screen 113 is vertical. This can be done by moving downwards.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of the housing 100 may be performed while the screen 113 is moved vertically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in a state where a separate constraint is not applied to the screen 113 . That is, since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power is not required,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pace required for the configura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20)가 도어부(110)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가이드부(12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a) is a view showing that the guide unit 120 is disposed with the door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guide unit 120. As shown in FIG.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20)는 블레이드(113a)의 양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0)는 가이드베이스(127), 제1연장부(125) 및 제2연장부(126)를 포함한다. 함체(100)의 폐쇄상태에서 제1연장부(125)는 스크린(113)을 기준으로 내측(스크린(113)의 일면측)에 위치되고, 스크린(113)의 외측에 제2연장부(126)가 위치(스크린(113)의 타면측)될 수 있다. 가이드베이스(127)는 제1연장부(125) 및 제2연장부(126)를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베이스(127), 제1연장부(125) 및 제2연장부(126)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guide part 120 may guide both ends of the blade 113a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guide part 120 includes a guide base 127 , a first extension part 125 ,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26 . In the closed state of the housing 100 , the first extension 125 is located on the inside (one side of the screen 113 ) with respect to the screen 113 , and the second extension 126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creen 113 . ) may be located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113 ). The guide base 127 is formed to connect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to each other, and the guide base 127,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are It may be formed integrally.

그리고, 제1연장부(125) 및 제2연장부(126)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113)의 내측에 위치한 제1연장부(125)가 제2연장부(126)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125)의 보다 긴 연장길이는 스크린(113)이 하방으로 내려와 함체(100)가 폐쇄상태가 되었을 때, 함체(100) 외부에서 물을 분사하면 함체(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each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tension length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extension 125 located inside the screen 113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extension 126 . The longer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is when the screen 113 descends downward and the housing 100 is in a closed state, when water is spray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water flows into the housing 100. It may be a structure to prevent inflow.

상술한 바와 같이 터널(1)의 청소를 위해 터널(1) 내벽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함체(100)는 터널(1) 내벽면에 매몰 등의 방법을 통해 설치되는데 노출된 면을 통해 물이 함체(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될 수 있는 물의 유입차단을 위한 구조로써 제1연장부(125)가 제2연장부(126)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물 유입차단 구조로써, 이하에서는 가이드부(120)에 형성되는 드레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water may be sprayed on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1 for cleaning the tunnel 1 . The enclosure 100 is installed through a method such as burial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unnel 1 , an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enclosure 100 through the exposed surface. Accordingly, as a structure for blocking the inflow of water that can be introduced, the first extension 125 may extend lo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second extension 126 . As such a water inflow blocking structure, a drain structure formed in the guide part 12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드레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드레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드레인 구조는 제1드레인홈(121), 제2드레인홈(122) 및 드레인홀(123)을 포함한다.Figure 5 (a) is a view showing a drain structure formed inside the guide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view of the guide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drain structure formed in the lower part. The drain structure formed in the guide part 120 includes a first drain groove 121 , a second drain groove 122 , and a drain hole 123 .

도 5(a)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20)의 내측면에는 드레인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은 블레이드(113a)가 안내되는 면이 될 수 있다. 함체(100)의 폐쇄 시에 물의 유입이 되는 경로는 스크린(113)을 구성하는 각 블레이드(113a)의 양단으로 물이 이동되어 가이드 공간을 따라 함체(100) 내측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a drain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120 . The inner surface may be a surface on which the blade 113a is guided.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when the housing 100 is closed may include a path in which water moves to both ends of each blade 113a constituting the screen 113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long the guide space. have.

상기 경로에서 물이 가이드부(120)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가이드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드레인 구조를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물이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부(12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드레인홈(121)에 도달하게 되는데 드레인 홈에 도달한 물은 제1드레인홈(121)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물의 이동동력은 물의 자중이며, 물이 하방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제1드레인홈(121)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water moves toward the guide part 120 in the path, the water may be drained through the drain structure formed inside the guide part 120 . When water flows into the guide part 120 , the water may be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part 12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its own weight. When it moves downward, it reaches the first drain groove 121 , and the water that reaches the drain groove moves along the first drain groove 121 . The moving power of water is its own weight, and in order to induce water to flow downward, the first drain groove 121 may be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또한, 제1드레인홈(121)은 사선방향으로 가이드부(120) 내측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연장부(125), 가이드베이스(127) 및 제2연장부(126)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드레인홈(121)은 제1연장부(125)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가이드베이스(127)의 내측표면을 통해 제2연장부(126)의 내측표면에 걸쳐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드레인홈(121)의 연장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드레인홈(12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제1드레인홈(121)은 제2드레인홈(122)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드레인홈(12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들이 제2드레인홈(122)에서 합류될 수 있는 것이다.Also, the first drain groove 121 may be formed across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120 in an oblique direction. That is, it may be formed in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 the guide base 127 ,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 For example, the first drain groove 12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125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126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base 127 . . The extension of the first drain groove 121 may be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drain grooves 121 may be formed, and each of the first drain grooves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groove 122 . That is, water moving downward along each of the first drain grooves 121 may be joined in the second drain grooves 122 .

한편, 제2드레인홈(122)은 제1연장부(125), 가이드베이스(127) 및 제2연장부(126)의 내측면 중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드레인홈(122)이 제2연장부(126)의 내측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며 제1연장부(125), 가이드베이스(127) 및 제2연장부(126)의 내측표면 중에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제1드레인홈(121)의 최하단이 제2드레인홈(122)과 합류되는 형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드레인부를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이 제2드레인부에서 합류하여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drain groove 122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 the guide base 127 ,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 The formation of the second drain groove 122 shown in FIG. 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6 is only an example,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5, the guide base 127 and the It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extensions 126 . However, it is preferable to adopt a type in which the lowermost end of each of the first drain grooves 121 joins the second drain groove 122 . In this way, the water moving downward through the first drain unit may merge in the second drain unit and continuously move downward.

도 5(b)는 제2드레인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 물이 드레인홀(123)을 통해 함체(100)의 외측으로 배수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드레인홀(123)은 가이드부(120)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상일 수 있다. 제2연장부(126)는 함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구성이므로 제2연장부(126)에 관통된 구멍을 통해 물은 함체(10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드레인홀(123)은 제2드레인홈(122)의 연장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홀(123)이 제2연장부(126)를 관통하는 경로는 하방을 향한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FIG. 5( b ) shows that the water moved downward along the second drain part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drain hole 123 , and the drain hole 123 is the guide part 120 . It may be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Since the second extension 126 is a configura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water may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a hole through the second extension 126 . The drain hole 123 may be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econd drain groove 122 . In addition, a path through which the drain hole 123 passes through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oblique line.

그 외에도 드레인홀(123)은 도 5(b)의 예시와 달리 함체(100)의 외측과 제2연장부(126)의 내측이 연통되는 구멍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함체(100)의 외측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드레인홀(123)은 제2연장부(126)를 하방으로 관통하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추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써, 제2연장부(126)의 두께는 제1연장부(12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 hole 12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through which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extension 126 communicate, unlike the example of FIG. 5B . However, the drain hole 123 may be formed as a path penetrating the second extension 126 downward to prevent the water spray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from flowing in. As one of the conditions fo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130)가 스크린(113)과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130)의 사시도이다.Figure 6 (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ffer unit 130 is in contact with the screen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완충부(130)는 함체(100)의 폐쇄 시에 스크린(113)과 접촉될 수 있다. 완충부(130)는 스크린(113)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금속재의 케이스(1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130)는 스크린(113)과 접촉을 통해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131), 접촉부(131)로부터 연장되고 스크린(113)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지지부(132) 및 접촉부(131)로부터 연장되고 스크린(113)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지지부(133)를 포함한다.6 (a) and 6 (b), the buffer 1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creen 113 when the housing 100 is closed. The buffer unit 13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screen 113 from collided with the metallic case 10 while moving downward. The buffer 130 includes a contact portion 131 that relieves an impact through contact with the screen 113 , a first support portion 132 exten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131 and positioned inside the screen 113 , and the contact portion 131 . and a second support 133 extending from the screen 113 and positioned outside the screen 113 .

구체적으로, 제1지지부(132)는 접촉부(1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스크린(113)을 피해 함체(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제2지지부(133)는 접촉부(1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접촉부(131)와 함께 스크린(113)의 하강지점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133)는 기 결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133) 간에 형성된 간격은 배수부(134)로써 기능할 수 있다. 즉, 함체(100) 외측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스크린(113)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물이 완충부(130) 상에서 고여있지 않고 즉각적으로 배수되도록 개방된 것이다.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portion 132 extends upward from the contact portion 131 to avoid the screen 113 and block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 The second support part 133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contact part 131 to guide the lowering point of the screen 113 together with the first contact part 131 .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133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gap form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arts 133 may function as the drainage part 134 . That is, when the water spray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is moved downward along the screen 113 , the water is not stagnant on the buffer unit 130 and is opened so as to be drained immediate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 터널
10 : 케이스
100 : 함체
110 : 도어부
111 : 하우징
112 : 권취부
113 : 스크린
113a : 블레이드
113b : 조인트
120 : 가이드부
121 : 제1드레인홈
122 : 제2드레인홈
123 : 드레인홀
125 : 제1연장부
126 : 제2연장부
127 : 가이드베이스
130 : 완충부
131 : 접촉부
132 : 제1지지부
133 : 제2지지부
134 : 배수부
1: tunnel
10: case
100 : hull
110: door unit
111: housing
112: winding part
113: screen
113a: blade
113b: joint
120: guide unit
121: first drain groove
122: second drain groove
123: drain hole
125: first extension
126: second extension
127: guide base
130: buffer part
131: contact
132: first support part
133: second support
134: drain part

Claims (11)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되고, 슬라이드되며 상기 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슬라이드 시에 상기 슬라이드 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부를 가이드하고, 배수를 유도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부가 상기 케이스의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부의 하단과 접촉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표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복수 개의 제1드레인홈;
상기 복수 개의 제1드레인홈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홈인 제2드레인홈; 및
상기 제2드레인홈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하방으로 관통되는 홀인 드레인홀;을 포함하는, 함체.
a door unit positioned on an open side of the case and sliding to open and close the case;
a guide part including a drain part for guiding the door part in a sliding direction when the door part slides, and for inducing drainage; and
Including a; and a buffer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door part when the door part closes the case,
The drain part,
a plurality of first drain grooves which are groove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guide part;
a second drain groove which is a groov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drain groov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enclosure including;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드레인홈은 상기 복수 개의 제1드레인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배수시키는, 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drain groov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drain grooves to drain the flui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케이스를 폐쇄시키는 관절형 스크린;
상기 관절형 스크린을 권취할 수 있는 권취부; 및
상기 케이스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스크린을 권취한 상기 권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part,
an articulated screen closing the case;
a winding unit capable of winding the articulated screen; and
A housing contain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winding unit wound around the screen when the case is open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개방되도록 관절형 스크린을 견인하는, 함체.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inding unit pulls the articulated screen so that the case is op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the enclos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폐쇄상태의 상기 도어부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지지부;
상기 도어부의 외측에 외치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도어부의 폐쇄 상태에서 도어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part is based on the door part in a closed state,
a first support part located inside the door part;
a second support part external to the door part; and
and a contact par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nd contacting the door part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는, 함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vertically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enclosur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수부가 형성되는, 함체.
7.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s are formed, and a drainage portion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부에 포함되고 슬라이드를 통해 이동되는 스크린이 슬라이드 시에 상기 스크린의 양단을 가이드하여 슬라이드 방향을 안내하는, 함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unit,
When the screen included in the door part and moved through the slide slides, the enclosure guides both ends of the screen to guide the slide direc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린이 상기 슬라이드가 되는 방향의 양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베이스;
상기 가이드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크린의 양면 중 일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가이드베이스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크린의 양면 중 타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함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e unit,
a guide base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becomes the slid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guide base and extending on one side of both surfaces of the scree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se and extending on the other side of both surfaces of the scree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연장부가 상기 제2연장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함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guide unit,
The first extens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cond extension, the enclosure.
KR1020190134529A 2019-10-28 2019-10-28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KR102292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29A KR102292936B1 (en) 2019-10-28 2019-10-28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29A KR102292936B1 (en) 2019-10-28 2019-10-28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96A KR20210050196A (en) 2021-05-07
KR102292936B1 true KR102292936B1 (en) 2021-08-24

Family

ID=7591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529A KR102292936B1 (en) 2019-10-28 2019-10-28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93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554A (en) * 2000-04-27 2001-11-02 Nec Eng Ltd Respiration structure of outdoor enclosure
KR200396158Y1 (en) * 2005-05-30 2005-09-20 제일설계(주) Switchboard case
JP2017214028A (en) 2016-06-02 2017-1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On-vehic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851Y2 (en) * 1988-12-28 1991-08-15
KR200169548Y1 (en) 1999-08-14 2000-02-15 현진조명주식회사 A ceiling filling type fluorescence lamp fittin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554A (en) * 2000-04-27 2001-11-02 Nec Eng Ltd Respiration structure of outdoor enclosure
KR200396158Y1 (en) * 2005-05-30 2005-09-20 제일설계(주) Switchboard case
JP2017214028A (en) 2016-06-02 2017-1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On-vehic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96A (en)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5996A (en) Working machine
JPH1034492A (en) Machine tool with door
CN106168430B (en) Domestic refrigerator having a door-side support with a pivot axis and a pivot axis arranged outside a lateral handle groove
KR102292936B1 (en) Box case installed in tunnel
KR20150139351A (en) Improved insulation type automatic sliding door
KR101614059B1 (en) Pilot door device for vessel
KR101090974B1 (en) By-pass motorized damper
US8789873B2 (en) Vehicle door systems
KR101868807B1 (en) Roller shutter
JP5914425B2 (en) Swivel construction machine
KR101286992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roof
JP2010018424A (en) Escalator device
KR100894665B1 (en) Powered slid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KR102217624B1 (en) Multiple sliding electric doors
JP5137645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255751B1 (en) Apparatus of preventing hole for observing subterranean water
JP2008196253A (en) Opening/closing device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JP4765043B2 (en) shutter
JP2007270535A (en) Linear-driven sash and method of modifying sash
KR101510012B1 (en) Power window switch for vehicle
KR102212164B1 (en) ventilation water control grating
JP4821283B2 (en) Shutter device
JP3896320B2 (en) Window with shutter
JPH09177457A (en) Garage gate door
JP7053025B2 (en) Emergency telephone box do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