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934B1 -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934B1
KR102292934B1 KR1020190133570A KR20190133570A KR102292934B1 KR 102292934 B1 KR102292934 B1 KR 102292934B1 KR 1020190133570 A KR1020190133570 A KR 1020190133570A KR 20190133570 A KR20190133570 A KR 20190133570A KR 102292934 B1 KR102292934 B1 KR 10229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door
stopper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356A (ko
Inventor
김장후
Original Assignee
김장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후 filed Critical 김장후
Priority to KR102019013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9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 E05B65/087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sliding parallel to the wings cooperating with the slide guide, e.g.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05B17/2092Means responsive to tampering or attack providing additional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using notches

Abstract

새시 및 도어에 장착되는 록킹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새시의 일측, 타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일면의 길이방향으로는 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의 동작과 연동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1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도어의 개폐를 허용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2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결합부와 결속되어 적어도 도어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일 때 외부침입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Locking device for sash door with external intrusion detector}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범위 내에서도 도어가 구간별로 잠금될 수 있고, 도어가 새시로부터 이격된 상황에서 외부 침입 또한 감지할 수 있는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록킹장치는 건축환경의 적절한 설계와 효과적인 사용을 통해 범죄 불안감과 발생 범위를 줄이고 삶의 질을 증대시키는 기법인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기본 이론 중 접근통제(Access Control)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국내의 공동주택은 1960년대부터 건설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대표적인 주택 유형으로 자리잡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전체 주택 가운데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6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국에서 아파트에 거주하는 거주가구가 1,000만호 이상으로, 전체 가구 중 48.6%임을 의미한다.
2000년대부터 녹색건축인증제도를 비롯한 여러 공동주택과 관련된 인증제도가 시행중이며, 2015년부터는 국내에 준공되는 규모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적용이 의무화되었다.
CPTED 이론은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가능성을 주장하는 이론으로서, 환경범죄학 여러 이론 중에서 현재 가장 넓게 사용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는 미국의 범죄예방연구소(NCPI: National Crime Prevention Institute)에서 '적절한 디자인과 건조 환경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내리기도 하며, 크로우(Crowe, T.)에 의해 '건축환경의 적절한 설계와 효과적인 사용을 통해 범죄 불안감과 발생 범위를 줄이고 삶의 질을 증대시키는 기법'으로 정의내리기도 한다. CPTED는 건축설계나 도시계획 등의 도시 환경에 있어서 범죄에 대한 지역의 방어적 디자인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근본적으로 범죄의 발생 기회를 줄이게 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고 사람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종합적 범죄예방 전략을 말한다. CPTED의 이론적 기원은 제이콥스(Jacobs, J.)에서부터 시작된다. 제이콥스는 1961년'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라는 저서를 통해 도시 재개발의 비극을 예상하였으며, 도시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지역들은 파괴되었고 범죄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주장했다. 제이콥스는 환경을 통한 범죄예방을 위해 비공식적 사회통제(informal social control),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 영역의 정체성(territorial identity) 등을 강조하였는데, 특히 주요한 범죄 활동 억제요소로서 '거리의 눈(The eyes on the street)'개념에 근거한 자연적 감시를 이야기하였다. 이와 같이 제이콥스는 건축물, 지역, 또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을 하고자 하는 CPTED 개념을 가장 먼저 체계화하였다. CPTED라는 용어는 제프리(Jeffery, R.)가 1971년 도시설계와 범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하면서 처음 소개되었다. 제프리는 범죄 예방과 처벌에 관련된 사회시스템에 인간 행태와 환경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을 지적하였으며, 범죄관련 행태 및 성향에 기초한 물리적 환경설계를 통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CPTED 이론에서는 물리적 환경, 주택설계 및 환경설계, 주민의 참여, 행정적 지원 등과 같이 주거지 형성과 관련된 다양한 사항의 종합적 고려를 강조한다. 이를 통하여 주택 같은 미시적 구성단위에서부터 도시가로, 지역사회 등 거시적 구성단위에 이르기까지 각 영역에서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두려움이 적은 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CPTED 이론은 뉴먼(Newman, O.)이 '방어공간(Defensible Space)'개념을 사용하면서 실질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뉴먼은 뉴욕시 주택청의 범죄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환경적 요인들을 검토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즉, 방어공간이론에 근거하여 범죄자 자체와 범행동기보다 범죄자들의 범죄행위 유발을 억제하는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건축이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주목하였다. 뉴먼은 범죄에 대한 방어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물리적 설계요소로써 영역성(territoriality),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 이미지(image), 사회적 환경(milieu)을 이야기하였다. 이외에도 뉴먼은 근린주구의 공간을 사적공간, 반사적공간, 반공적공간, 공적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뉴먼은 근린주구 내 공간들은 가급적 사적공간의 범위에 많이 포함되어 자연적 가시성 확보를 통하여 주민들에 의한 보호와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고, 공적공간과 반공적공간의 계획시 반사적영역과 사적영역을 최대한 포함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계획 및 디자인이 범죄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1980년대에 이르러 CPTED 이론과 원리들은 '깨진 유리창이론(Broken Windows Theory)'과 실증연구들로 인해 건축물과 환경의 '관리(maintenance)'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즉, 범죄는 사회가 적절히 돌보지 않는, 혹은 방치한 지역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지역사회에 ‘깨진 창문’이 없다면 범죄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며 결국 완전히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이러한 관리의 중요성은 콜먼(Coleman, A.)이 1985년 영국의 시영 임대아파트단지(council housing estates)에 대한 연구결과에 의해 심화되었다. 또한, 콜먼은 고층 건축물들을 다른 양식의 건축물들과 비교하여 건축 양식과 범죄율, 반사회적 행동 간에는 상호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콜먼은 물리적 환경 그 자체가 그 지역의 높은 범죄율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데에 이르렀다.
2000년대 들어 크로우(Crowe, T.)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CPTED의 실천전략들을 체계화하는 작업을 하였다. 뉴먼의 방어공간 이론에서 도출한 범죄예방을 위한 원칙과 더불어 방어공간 이론에서 다루지 않았던 공간의 관리와 사용에 초점을 맞춘 상황적 범죄예방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크로우는 CPTED 기법을 6가지 기본 원리(자연적 감시, 접근 통제, 영역성 강화, 명료성 강화, 활용성 증대, 유지관리)로 정리하였다.
CPTED 이론의 핵심은 도시환경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결과적으로 범죄발생과 범죄에 대한 불안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란 범죄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과 요인을 줄여나가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때의 환경은 단순한 물리적 환경 또는 도시·건축 설계만을 지칭하는것이 아닌 사회과학, 법의 집행, 행동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 공동체 등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포괄적 개념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 정의를 바탕으로 범죄예방환경설계의 기본원리는 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동성 증대, 유지관리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원리는 그 내용이 독립적 영역으로 구분되지 않고, 서로 중첩적이며, 상호 영향 관계 하에 있다. CPTED 5대 원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
자연적 감시란 일상생활을 하는 주변의 사람들에게 더 잘 보일 수 있도록 가로등 밝기나 높이조절 또는 창문, 담, 벽을 가시권내에 들 수 있도록 길거리 감시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범죄자들에게 범행기회를 포기케 하는 제반적인 조치를 말한다. 이는 거주민들 혹은 사람들로부터'거리의 눈(The eye on the street)'을 통하여 가시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자연적 감시는 침입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주민들이 이웃과 낯선 사람들의 활동을 쉽게 구분할 수 있고 범죄용의점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경찰에 신고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게 함으로써 범죄활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접근 통제(Access Control)>
접근 통제란 범죄자가 목표로 하는 대상 입지에 접근을 차단하는 시설, 장비, 인력을 배치하는 것으로 범죄 소지가 있는 자의 접근을 어렵게 한다. 또한 아파트나 공동 주택단지의 경우 주민편의 등을 고려하여 단지 내 출입구 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출입통제장치를 설치하여 허가받지 않은 사람의 출입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 원리는 범죄자로 하여금 타인의 주거지역 등에 접근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접근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경비원과 같은 전문 인력과 자물쇠, 첨단출입통제장치, 무인경비시스템 등과 같은 물리적 수단이 병행될 수 있다.
<영역성 강화(Territoriality)>
영역성은 공·사 공간을 구별하고 대지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울타리, 표지판, 조경, 조명, 도로포장 설계 등과 같은 소유권을 표현하는 물리적 특징을 사용하며, 해당 영역에서 활동하거나 그 영역을 사용하는 사람은 영역에 대한 통제에 긍정적인 반면 잠재적 범죄자는 고립지역을 개선 인식함으로써 범죄를 저지르고자 하는 마음이 감소한다. 영역성은 사적공간과 공적 공간 사이의 구별과 대지의 경계선을 정의할 수 있는 특징을 내포하기도 한다.
<활동성 증대(Activity Support)>
공원, 공터 등 거주민들이 함께하는 복합시설을 설치 및 활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감시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일반 시민들의 활발한 사용을 유도 및 자극함으로써 그들의 눈에 의한 자연스런 감시를 강화하여 인근 지역의 범죄 위험을 감소시키고 주민들로 하여금 안전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공원, 도심지, 광장과 같이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곳을 청소년·노인과 같은 어느 한 계층의 사람들만이 전용하는 것보다는 가족 단위 또는 지역 주민들이 시간대별, 지역별로 공동 사용이 가능하도록 놀이시설이나 각종 휴게시설 등을 조성하는 방안이 있다.
<유지관리(Maintenance and Management)>
정돈되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고 개선하게 되면 잠재적 범죄자에게 그 장소가 범행하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이미지를 전달하여 사전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깨진 유리창 이론'과 맥락을 같이하는데, 즉 황폐화되거나 버려진 듯한 인상을 주는 공공장소는 사용자에 의한 통제나 관심부족을 표시함으로써 무질서와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로 전락될 수 있다. 범죄자를 유혹하는 물건을 없애고 정원을 말끔히 정비하고 쓰레기를 방치하지 않고 집과 창고 등은 깨끗이 수리 하는 등 적절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지역 내 범죄에 대해서 철저하게 관리 및 통제를 하고 있다는 가시적인 인상을 주기 위해 '범죄감시 지역'이라는 표지판의 설치 등을 통해 범죄예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3326호
공동주택에 적용된 범죄예방환경설계 요소의 범죄불안감 저감효과(황성은, 2019)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 공동주택의 사적영역인 창문·발코니의 보안설비로서, CPTED 요소인 침입 방어성능을 확보한 제품 설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록킹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유아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록킹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새시 및 도어에 장착되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새시의 일측, 타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일면의 길이방향으로는 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의 동작과 연동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1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도어의 개폐를 허용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2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결합부와 결속되어 적어도 도어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일 때 외부침입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록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는 스토퍼와;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스토퍼가 연동되도록, 상기 스토퍼 및 손잡이와 결합되어, 손잡이의 제1동작에는 스토퍼를 결합부로부터 결속 해제시키고, 제2동작에는 스토퍼를 결합부와 결속시키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과 새시의 일측과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거리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외부침입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레일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적외선센서와; 상기 적외선센서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리드선 및 제2리드선과; 전원부와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3리드선 및 제4리드선과;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어 제1리드선과 제3리드선 및 제2리드선과 제4리드선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본체 사이에는 본체의 직선운동을 스토퍼에 전달하도록 연결대가 더 형성되어 스토퍼와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스토퍼의 외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에 삽입된 연결대를 관통하여 연결대를 고정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눠지고, 상부측에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손잡이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누름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의 회전에 맞춰 누름돌기가 회동되는 손잡이 연결구와; 상기 케이스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구동되는데, 상기 손잡이 연결구의 누름돌기에 의해 하측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유닛을 상측으로 구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 관통구 측에 형성되어 연결대의 끝단부와 연결되고, 하측부에는 제1연결홀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는 연결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상측부와 연결유닛의 제1연결홀에 연결되어 구동유닛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에 전달하여 연결유닛을 상,하로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유닛을 구동유닛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더 길게 구동시키는 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새시 내의 도어의 개폐 범위에서도 도어가 구간별로 잠금되는 기능이 있어, 외부 침입자는 물론 영유아가 출입할 수 없을 정도로 도어가 개방되면서도 잠금이 가능하여, 환기와 보완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특히, 환기 중에도 영유아의 추락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기본 이론 중 접근통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범죄 불안감과 발생 범위를 줄이고 삶의 질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영유아의 추락사를 방지하는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및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장점 및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장점 및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새시 도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가 설치된 새시 도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센서부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스토퍼,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의 기계적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센서부의 신호가 감지되면 손잡이의 동작에 제동을 가하는 제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새시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이하, 록킹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다양한 타입의 새시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가 도 1과 같은 타입의 새시(1) 도어(2)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록킹장치는 새시(1) 및 도어(2)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새시(1)의 일측, 타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일면의 길이방향으로는 결합부(11)가 복수개 형성된 레일부(10)와, 도어(2)에 장착되는 손잡이(3)의 동작과 연동되며 손잡이(3)의 제1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도어(2)의 개폐를 허용하고, 손잡이(3)의 제2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결합부(11)와 결속되어 적어도 도어(2)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부와, 도어(2)의 개방상태일 때 외부침입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결합부(11)와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는 스토퍼(20)와, 상기 손잡이(3)의 동작에 따라 스토퍼(20)가 연동되도록 상기 스토퍼(20) 및 손잡이(3)와 결합되어, 손잡이(3)의 제1동작에는 스토퍼(20)를 결합부(11)로부터 결속 해제시키고 제2동작에는 스토퍼(20)를 결합부(11)와 결속시키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2)의 일측과 새시(1)의 일측과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제1 센서(예컨대, 근접센서(41))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거리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외부침입을 감지하는 제2 센서(예컨대, 적외선센서(42a,42b))로 구성되거나,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레일부(10)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적외선센서(43a,43b)와, 상기 적외선센서(43a,43b)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11)에 각각 배치되는 제1리드선(44a) 및 제2리드선(44b)과, 전원부(45)와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11)에 각각 배치되는 제3리드선(44c) 및 제4리드선(44d)과, 상기 스토퍼(20)에 장착되어 제1리드선(44a)과 제3리드선(44c) 및 제2리드선(44b)과 제4리드선(44d)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3,2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스토퍼(20)와 본체(100) 사이에는 본체(100)의 직선운동을 스토퍼(20)에 전달하도록 연결대(30)가 더 형성되어 스토퍼(20)와 본체(100)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20)의 하측에는 연결대(30)가 삽입되도록 연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1)이 형성된 스토퍼(20)의 외부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을 통해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21)에 삽입된 연결대(30)를 관통하여 고정하며, 상기 본체(100)는 상기 도어(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111)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눠지고, 상부측에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구(112)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손잡이(3)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결합홀(121)이 형성되고, 일측에 누름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3)의 회전에 맞춰 누름돌기(122)가 회동되는 손잡이 연결구(120)와, 상기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구동되는데, 상기 손잡이 연결구(120)의 누름돌기(122)에 의해 하측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130)과, 상기 구동유닛(130)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유닛(130)을 상측으로 구동시키는 스프링(140)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중 관통구 측에 형성되어 연결대(30)의 끝단부와 연결되고, 하측부에는 제1연결홀(152)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는 연결유닛(150)과,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측부와 연결유닛(150)의 제1연결홀(152)에 연결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150)에 전달하여 연결유닛(150)을 상,하로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유닛(150)을 구동유닛(140)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더 길게 구동시키는 전달유닛(160)을 포함한다.
이하, 록킹장치의 기계적 구성 및 메카니즘만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레일부(10)는 새시(1)의 상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하단면에 결합홈(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12)은 레일부(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가이드레일의 형태에 맞춰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0)의 일면 즉, 상기 결합홈(12)의 반대 측면에는 결합부(11)가형성되되, 상기 결합부(11)는 다수개가 레일부(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이 사이에 스토퍼(20)가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는 돌기 형태로 직각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돌기 이외에 스토퍼(20)가 삽입되도록 홈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기에 결합부(11)의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는 직각삼각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결합부(11)를 이루는 면 중 개방 방향의 측면은 직각으로 이루어지고, 폐쇄방향의 측면은 예각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방향의 직각 측면의 깊이는 1.5 ~ 3.0㎝이기에 스토퍼(20)가 깊게 결착되어 외부에서 도어(2)에 충격이 가해져도 스토퍼(20)가 결합부(11)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건축물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2)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도어(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3)를 정회전(제1동작)시켜 상기 스토퍼(20)가 상기 레일부(10)의 결합부(11)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20)가 개방방향의 상기 직각측면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외력(미는 힘)을 가하면 상기 도어(2)가 상기 새시(1)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여 개방을 허용한다.
반면, 건축물의 외부에서는 손잡이(3)를 사용할 수 없어, 상기 스토퍼(20)가 레일부(10)의 결합부(11)로부터 인출될 수 없다. 즉, 손잡이(3)의 역회전(제2동작)으로 스토퍼(20)가 결합부(11)의 직각측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상기 도어(2)를 개방할 수 없다. 손잡이(3)의 역회전은 손잡이(3)에 물리적 힘이 사라지면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고, 복귀에 의해 스토퍼(20)가 레일부(10)의 결합부(11)에 결착되면 도어(2)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2)의 폐쇄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한데, 이는 스토퍼(20)가 결합부(11)의 폐쇄방향의 예각측면을 타고 올라가게 되기 때문에 폐쇄되는 도어(2)의 이동이 허용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0)의 상측은 결합부(11)의 예각측면을 타고 용이하게 올라가기 위해 경사진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측은 결합부(11)의 직각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0)의 하측에는 연결대(30)가 삽입되도록 연결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1)이 형성된 스토퍼(20)의 외부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22)은 스토퍼(20)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을 통해 핀,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21)에 삽입된 연결대(30)를 관통하여 연결대(30)를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대(30)를 스토퍼(20)에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30)는 스토퍼(20)의 하측에 형성된 연결홈(21)에 연결되어 손잡이(3)의 작동에 따라 스토퍼(20)를 상,하로 작동시킨다.
상기 연결대(30)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손잡이(3)에 연결되는 본체(100)에서부터 결합부(11)에 결착되는 스토퍼(20)까지의 사이에 따라 길이를 절단하여 스토퍼(20)와 본체(10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기에 기존에 설치된 새시의 사이즈에 관계 없이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00)는 손잡이(3)의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도록 도어(2)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는 스토퍼(20)와 연결되는 연결대(30)의 끝단부와 연결되어 손잡이(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연결대(30)를 상,하로작동시키며, 평상시에는 항시 스토퍼(20)가 레일부(10)의 결합부(11)에 결착되어 있도록 스토퍼(20)와 연결대(30)를 상측으로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케이스(110)와, 손잡이연결구(120)와, 구동유닛(130)과, 스프링(140)과, 연결유닛(150)과, 전달유닛(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손잡이(3)가 설치된 도어(2)의 내측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도록 양측면에 고정편(1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13)을 통해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도어(2)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가 중공되는데, 상기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111)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눠지고, 상기 격벽(111)에 의해 구획이 나누어진 중공된 내부에 손잡이연결구(120)와, 구동유닛(130)과, 스프링(140)과, 연결유닛(150)과, 전달유닛(160)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측 즉, 연결대(30)와 연결되는 일측은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양측면에는 전달유닛(160)의 연결돌기(163)가 삽입되어 전달유닛(160)이 상,하로 이동시, 정해진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14)이 전달유닛(160)의 이동만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4)은 케이스(110)의 내부 일측면에 2개의 전달유닛(160)에 맞춰 2개가 형성되는데, 2개의 가이드홈(114)이 상호 하측으로 형성될수록 멀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연결구(120)는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손잡이(3)의 회전축(미도시)이 결합되도록 결합홀(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홀(121)은 케이스의 일면에도 형성되어 손잡이(3)의 회전축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연결구(120)의 외부 일측에는 누름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3)의 회전에 맞춰 누름돌기(122)가 회동되고, 상기 손잡이연결구(120)의 회동에 의해 누름돌기(122)가 지렛대 역할처럼 구동유닛(130)의 일측을 눌려서 구동유닛(130)을 하측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유닛(130)은 케이스(110)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구동되는데, 상기 손잡이연결구(120)의 누름돌기(122)에 의해 하측으로 구동되도록 중단부에 누름단턱(131)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측부에는 전달유닛(160)과 연결되도록 제2연결홀(132)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2연결홀(132)은 2개의 전달유닛(160)에 맞춰 2개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130)의 하단부에는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일측이 지지된 스프링(14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130)의 하단부 일측에는 스프링(140)에 의해 구동유닛(130)이 상측으로 구동시, 설정된 간격 이상 상측으로 구동되지 않도록 걸림돌기(13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34)가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결착되어 구동유닛(130)의 구동간격을 제어하며, 상기 걸림돌기(134)는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결착되도록 끝단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40)은 구동유닛(130)의 삽입홈(133)에 설치되어 구동유닛(130)을 상측으로 밀어서 구동시키는데, 상기 스프링(140)은 일측이 케이스(110)의 격벽(111)에 지지되고, 타측은 구동유닛(130)의 삽입홈(133)에 지지되어 구동유닛(130)을 상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밀어주는 것이다.
상기 연결유닛(150)은 케이스(110)의 내부중 관통구(112)측에 형성되어 연결대(30)의 끝단부와 연결되도록 연결홈(151)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닛(150)이 연결대(30)와 연결방식은 상기에 기술한 스토퍼(20)와 연결대(30)의 연결방식과 유사하다. 즉, 상기 연결홈(151)이 형성된 연결유닛(150)의 외부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은 연결유닛(150)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핀,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151)에 삽입된 연결대(30)를 관통하여 연결대(30)를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대(30)가 연결유닛(150)에서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150)의 하측부에는 전달유닛(160)과 연결되도록 제1연결홀(152)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홀(152)은 2개의 전달유닛(160)에 맞춰 2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홀(152)은 구동유닛(130)의 제 2 연결홀(132)과 동일한 형태,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전달유닛(160)은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측부와 연결유닛(150)의 제1연결홀(152)에 연결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구동을 연결유닛(150)에 전달하여 연결유닛(150)을 상,하로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유닛(150)을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더 길게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달유닛(160)은 구동바(161)와, 힌지장치(162)와, 연결돌기(16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바(161)는 연결유닛(150)과 구동유닛(1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150)에 전달하는 바로써, 2개의구동바(161)가 "X"형태로 형성되어 연결유닛(150)의 제1연결홀(152)과, 구동유닛(130)의 제2연결홀(132)에 구동바(161)의 양끝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하구동에 따라 두개의 구동바(161)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반복 작동되도록 두개의 구동바(161)가 크로스된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장치(16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돌기(163)는 상기 두개의 구동바(161) 양끝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연결유닛(150)의 제1연결홀(152)과 구동유닛의 제2연결홀(132)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구동바(161) 상,하측 사이가 넓어졌다 좁아졌다 작동시, 제1연결홀(152)과 제2연결홀(132)에 가이드 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161)의 하측에 형성된 연결돌기(163)는 구동바(16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는데, 일측의 연결돌기(163)는 구동유닛(130)의 제2연결홀(132)에 연결되고, 타측의 연결돌기(163)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114)에 삽입되어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유닛(130)이 상측으로 구동되면 2개의 구동바(161)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1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130)이 하측으로 구동되면 2개의 구동바(161)는 케이스(110)의 가이드홈(114)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이런 형태로 상기 전달유닛(160)에 의해 연결유닛(150)을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유닛(130)의 상,하 구동간격보다 연결유닛(150)의상,하이동 간격이 더 깊게 형성되어 스토퍼(20)가 레일부(10)의결합부(11)에 깊게 결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록킹장치의 전기적 구성 및 메카니즘만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센서부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근접센서(41)와 적외선센서(42a,42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10)에 구비되는 적외선센서(43a,43b)와, 리드선, 전원부(45) 및 스토퍼(20)에 구비되는 연결부(23,24)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근접센서(41)에 의해 도어(2)의 일측과 접촉된 새시(1)의 일측으로부터 떨어지면 두개의 적외선센서(42a,42b)가 동작되어 외부 침입을 감지한다.
적외선센서(42a,42b)는 상기 새시(1)의 일측을 향하여 적외선을 방출하고, 되돌아오는 양에 따라 물체의 유무를 감지한다.
한편, 센서부의 구성이 후자인 경우는 구체적으로, 두개 이상의 적외선센서(43a,43b)가 상기 레일부(10)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적외선센서(43a,43b)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11)에 각각 배치되는 제1리드선(44a) 및 제2리드선(44b)과, 전원부(45)와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11)에 각각 배치되는 제3리드선(44c) 및 제4리드선(44d)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0)에 장착되어 제1리드선(44a)과 제3리드선(44c) 및 제2리드선(44b)과 제4리드선(44d)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3,24)가 구비된다.
적외선센서(43a,43b)는 적외선이 새시(1)의 하부측을 향하여 조사되도록 배치된다. 제1리드선(44a)과 제2리드선(44b)은 적외선센서(43a,43b)와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일측은 A위치에 있는 결합부(11)에 배치된다. 제3리드선(44c)과 제4리드선(44d)은 전원부(45)와 연결되고 각각의 일측은 A위치에 있는 결합부(11)에 배치된다.
A위치의 결합부(11)에 배치된 제1리드선(44a), 제2리드선(44b), 제3리드선(44c), 제4리드선(44d)에 있어서, 각각의 리드선은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고, 제1리드선(44a)과 제3리드선(44c), 제2리드선(44b)과 제4리드선(44d)의 전기적 연결은 결합부(11)와 접촉되는 스토퍼(20)의 일측에 부착된 연결부(23,2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전원부(45)의 전원으로 적외선센서(43a,43b)가 작동된다.
한편, 전원부(45)의 전원이 적외선센서(43a,43b)에 공급되는 상태는 스토퍼(20)가 A위치의 결합부(11)에 위치될때이며, 이는 도어(2)가 개방된 상태이다. 도어(2)가 닫혀 있으면 적외선센서(43a,43b)는 전원부(45)의 전원으로부터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2)가 개방 상태일때 전원부(45)의 전원이 적외선센서(43a,43b)로 공급되고, 닫힌 상태일때 차단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적외선센서(43a,43b)의 동작이 필요한 상황에서만 전원을 사용하므로, 전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록킹장치를 새시 도어에 적용하면 크리센트 장금장치(미도시)가 불필요하여 새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센서부의 신호가 감지되면 손잡이의 동작에 제동을 가하는 제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새시(1)의 도어(2)가 조금이라도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2)의 개방 방향으로는 락이 걸려 있고, 도어(2)의 외측에는 손잡이가 없다 하더라도, 외부 침입자가 손을 안으로 넣어 손잡이를 돌리면 쉽게 개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센서부가 외부 침입자를 감지하면, 손잡이(3)의 동작을 구속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동유닛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동유닛은 센서부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손잡이의 회전을 구속한다. 예컨대, 센서부에서 신호가 발생되면, 제동유닛은 손잡이의 제2동작에서 제1동작으로 변환되지 않게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동작에서 제1동작으로의 변환을 위해 정회전이 요구되면, 제동유닛은 모터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동유닛은 도 14와 같이 모터(191), 기어(192), 제동바(193),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의 외부 침입 감지 신호에 따라 제동유닛은 제어부를 통해 모터(191)를 회전시키고, 기어(192)에 의해 모터(191)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며, 기어(192)와 연결된 제동바(193)가 전달유닛(160)의 작동 공간(S)을 차지함으로써 손잡이(3) 및 스토퍼(20)를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침입자가 사라지는 위험 해제 시점이면 작동 공간(S)을 차지한 제동바(193)를 복구시키기 위하여 제어부와 연결되는 복구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동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공간(S)에 제동바(193)를 삽입하여 손잡이(3)를 간접적으로 구속하거나, 손잡이(3)에 직접 모터를 연결하여 손잡이(3) 자체를 직접적으로 구속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손잡이(3)가 구속되어 외부침입자가 침입을 시도하다 포기한 경우, 즉, 위험한 순간이 해제된 이후에는 손잡이(3)의 구속을 해제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손잡이(3)를 해제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손잡이(3) 해제 수단은 일반적인 도어락에서 적용되는 카드키 시스템, 또는 출입문 등에 적용되는 지문인식 시스템, 그리고 그 밖의 손잡이 해제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험한 순간이 해제되면 카드키, 또는 지문으로 제동유닛에 의한 손잡이(3)의 작동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레일부 11 : 결합부
12 : 결합홈 20 : 스토퍼
21,151 : 연결홈 22 : 관통홀
30 : 연결대 100 : 본체
110 : 케이스 111 : 격벽
112 : 관통구 113 : 고정편
114 : 가이드홈 120 : 손잡이연결구
121 : 결합홀 122 : 누름돌기
130 : 구동유닛 131 : 누름단턱
132 : 제2연결홀 133 : 삽입홈
134 : 걸림돌기 140 : 스프링
150 : 연결유닛 152 : 제1연결홀
160 : 전달유닛 161 : 구동바
162 : 힌지장치 163 : 연결돌기

Claims (5)

  1. 새시 및 도어에 장착되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새시의 일측, 타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일면의 길이방향으로는 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의 동작과 연동되며, 상기 손잡이의 제1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도어의 개폐를 허용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2동작과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결합부와 결속되어 적어도 도어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부와;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일 때 외부침입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는 스토퍼와,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스토퍼가 연동되도록 상기 스토퍼 및 손잡이와 결합되어 손잡이의 제1동작에는 스토퍼를 결합부로부터 결속 해제시키고 제2동작에는 스토퍼를 결합부와 결속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손잡이의 동작을 구속하는 제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록킹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과 새시의 일측과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거리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외부침입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를 포함하는, 록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레일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적외선센서와;
    상기 적외선센서에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리드선 및 제2리드선과;
    전원부와 연결되며, 일측은 상기 결합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3리드선 및 제4리드선과;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어 제1리드선과 제3리드선 및 제2리드선과 제4리드선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록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본체 사이에는 본체의 직선운동을 스토퍼에 전달하도록 연결대가 더 형성되어 스토퍼와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스토퍼의 외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고정부재가 삽입된 뒤, 연결홈에 삽입된 연결대를 관통하여 연결대를 고정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구획이 나눠지고, 상부측에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손잡이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일측에 누름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의 회전에 맞춰 누름돌기가 회동되는 손잡이 연결구와;
    상기 케이스의 구획된 내부에 형성되어 상,하로 구동되는데, 상기 손잡이 연결구의 누름돌기에 의해 하측으로 구동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유닛을 상측으로 구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 관통구 측에 형성되어 연결대의 끝단부와 연결되고, 하측부에는 제1연결홀이 수평으로 길게 장홀로 형성되는 연결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상측부와 연결유닛의 제1연결홀에 연결되어 구동유닛의 상,하 구동을 연결유닛에 전달하여 연결유닛을 상,하로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유닛을 구동유닛의 상,하 구동 간격보다 더 길게 구동시키는 전달유닛;
    을 포함하는, 록킹장치.
KR1020190133570A 2019-10-25 2019-10-25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KR10229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70A KR102292934B1 (ko) 2019-10-25 2019-10-25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70A KR102292934B1 (ko) 2019-10-25 2019-10-25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56A KR20210049356A (ko) 2021-05-06
KR102292934B1 true KR102292934B1 (ko) 2021-08-24

Family

ID=7591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570A KR102292934B1 (ko) 2019-10-25 2019-10-25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26A1 (ko) * 2020-12-04 2022-06-09 김장후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480A (ja) * 2011-07-19 2013-02-04 Panasonic Corp 防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26Y1 (ko) 2000-03-13 2000-08-16 심종원 창문용잠금장치
KR20080086599A (ko) * 2007-03-23 2008-09-26 안종교 창문설치구조
KR101143863B1 (ko) * 2009-12-23 2012-05-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개폐 검지에 따른 취반기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480A (ja) * 2011-07-19 2013-02-04 Panasonic Corp 防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56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nnelly et al. Physical security: 150 things you should know
Armitage Design, crime and the built environment
KR102292934B1 (ko)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KR102339123B1 (ko) 구간별 록킹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 새시
EP2350981B1 (de) Zugangskontroll- und -steuersystem
WO2022119026A1 (ko) 외부 침입 감지기가 적용된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Newman A design guide for improving residential security
WO2022119027A1 (ko) 구간별 록킹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 새시
KR20210049355A (ko) 새시 도어용 록킹장치
Honey Electronic access control
Edgar et al. The use of locks in physical crime prevention
Sagalyn Residential security
Atlas Designing Safe Schools.
Fennelly Protective barriers and deterrents
O’BLOCK Environmental Design”
Heffield Safe and secure?
Tjoa et al. Safety by design: A review on planning and design strategies for a safer living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communities
ENERGY Designing Security and Working With Architects
Robinson Accessible targets but not advisable ones: The role of accessibility in student apartment burglary
Fennelly et al. Security for Commercial Properties: Deterring Crime through Design
McCOY Mantraps and Turnstiles
Crowe et al. CPTED Applications for Schools
Atlas et al. Creating. Safe. and. Secure. Environments. for. Schools. and. Colleges
Atlas Just when you thought it was safe...
Atlas et al. Schools behind b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