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327B1 - Knee protector for climbing - Google Patents

Knee protector for climb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327B1
KR102292327B1 KR1020190100109A KR20190100109A KR102292327B1 KR 102292327 B1 KR102292327 B1 KR 102292327B1 KR 1020190100109 A KR1020190100109 A KR 1020190100109A KR 20190100109 A KR20190100109 A KR 20190100109A KR 102292327 B1 KR102292327 B1 KR 10229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belt
spring
leg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0547A (en
Inventor
김현숙
최상영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102019010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327B1/en
Publication of KR2021002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용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320),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 상부 플런저(330)와 하부 플런저(331), 상부 연결판(340)과 하부 연결판(341), 커버(350), 볼트(360), 핀(365)으로 구성되는 스프링 조합체(300)와 대퇴 측 벨트(370)와 하퇴 측 벨트(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등산할 때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에 따라,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이, 캐리어(320) 내부의 만곡부(32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무릎을 지지하며, 보행동작을 지원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for mountaineering, a carrier 320, a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an upper plunger 330 and a lower plunger 331, an upper connecting plate 340 and a lower connecting plate 341, a cover ( 350), a bolt 360, and a spring assembly 300 consisting of a pin 365 and a femoral side belt 370 and a lower leg side belt 380 are included, and the action of bending and stretching the leg when the user climbs Accordingly,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expands and contracts along the curved portion 321 inside the carrier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the knee and support a walking motion.

Description

등산용 무릎보호대{KNEE PROTECTOR FOR CLIMBING} Knee protector for mountaineering {KNEE PROTECTOR FOR CLIMBING}

본 발명은 등산용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퇴 측 벨트와 하퇴 측 벨트 사이에 스프링 조합체가 결합 된 구조를 가지며, 등산 시작부터 착용이 가능하며, 올라갈 때는 무릎이 굽혀지는 동작을 지원하여 체력 소모를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며, 산에서 내려올 때는 무릎을 지지하여 무릎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등산용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for mounta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ring assembly is combined between a femoral side belt and a lower leg side belt, and can be worn from the start of mountaineering, and supports bending of the knee when climbing.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nsumption, and relates to a knee protector for mountaineering that can protect the knee from damage by supporting the knee when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삭제delete

등산할 때 무릎보호대를 착용하는 등산 애호가가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일반 무릎보호대는 벨트를 꽉 조여 무릎의 활동을 구속하고 무릎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압박 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런 방식의 무릎 보호대는 등산을 할 때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게 된다.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mountaineering enthusiasts who wear knee protectors when climbing. Currently, general knee protectors on the market take up most of the compression type that restricts the activity of the knee by tightening the belt and restricts excessive movement of the knee. Guards have several disadvantages when climbing.

상기의 압박 식 무릎보호대는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무릎을 굽혀지지 않도록 꽉 조여야 하기 때문에 산에 오르는 경우는 착용치 못하고 마지막 하산할 때만 주로 사용하게 된다.Since the above compression type knee protector has to be tightened so as not to bend the knee in order to perform its function, it cannot be worn when climbing a mountain and is mainly used only for the last descent.

또한, 상기의 무릎보호대는 등산을 하는 중에 계속 미끄러져 내려 고쳐 매는 번거로움이 잦으며, 외관을 고려하여 바지 안에 착용했을 경우에는 고쳐 매는 것이 어렵다.In addition, the knee protector is often cumbersome to keep sliding down while climbing, and it is difficult to fix it when worn in pants in consideration of the appearance.

또한, 상기의 무릎보호대는 밴드를 꽉 조인 상태로 사용하여야 함으로 다리의 혈행이 방해를 받아서 다리가 저린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knee protector must be used with the band tightly tightened,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leg is disturbed and numbness of the leg occurs frequently.

또한, 상기의 무릎보호대는 무릎을 강하게 조여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다리가 뻗은 상태로 지면에 착지되므로 무릎이 구부러진 상태로 착지하는 경우보다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이 크다.In addition, since the knee protector is effective only when the knee is strongly tightened, the impact applied to the joint is greater than when landing with the knee bent because it is landed on the ground with the leg extended.

종래기술에 관한 무릎보호대로서 제안된 특허로는 제10-0970759호 관절보호대와, 등록 실용신안 제20-0474247호 관절보호대를 그 사례로 들 수있다.Patents proposed as knee protectors in the prior art include joint protectors No. 10-0970759 and joint protector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247 as examples.

상기한 압박식 무릎보호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대퇴측 벨트와 하퇴측 벨트 사이에 스프링 조립체가 연결되는 구조의 등산용 무릎보호대(제10-1551082호)로 특허 등록을 받은 바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of the compression type knee protector, the present inventor has received a patent registration as a knee protector for mountaineering (No. 10-1551082)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pring assembly is connected between the femoral belt and the lower thigh belt.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는 도면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종래의 등산용 무릎보호대로서, 대퇴측 벨트(110)와 하퇴측 벨트(120), 상기 대퇴측 벨트와 하퇴측 벨트를 연결하는 스프링 조립체(10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 조립체는 그 내부에 스프링 가이드 부(151)와 스프링 고정부(152) 및 스프링 고정 홈(153)이 형성되어 있는 대퇴측 스프링 케이스(150), 스프링 권취구(16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퇴측 스프링 케이스(160), 나선형 스프링(170), 대퇴측 연결판(130), 하퇴측 연결판(120), 결합 부재로서 핀(180)과 플러그(190) 및 볼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wings shown in Figures 1 to 3 are conventional mountaineering knee protectors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the femoral side belt 110 and the lower thigh side belt 120, and a spring assembly connecting the femoral side belt and the lower thigh side belt ( 100) is included, and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assembly is a femoral spring case 150 having a spring guide part 151, a spring fixing part 152 and a spring fixing groove 153 formed therein. ), the lower leg spring case 160, the helical spring 170, the femur side connecting plate 130, the lower leg connecting plate 120, the lower leg side connecting plate 120 having the spring winding hole 161 formed therein, the pin 180 as a coupling member ) and a plug 190 and a bolt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다리를 펼 때 다리의 굴절 각이 130도 내지 160도에서부터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스프링이 권취되면서 동시에 탄성력이 무릎을 펴는 동작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며, 착지 시에는 다리가 완전히 펴지지 않도록 유도하고, 전진할 때는 권취된 탄성체의 복원력으로 인해 전방으로 향하는 다리가 쉽게 구부러지도록 작용한다.When the leg is spread out, the angle of refraction of the leg starts from 130 to 160 degrees, while the spring assembled inside is wound up,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force acts to suppress the motion of straightening the knee. It acts to easily bend the forward-facing leg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wound elastic body.

또한, 대퇴 측 연결판(130)과 하퇴 측 연결판(120)의 바깥면에 접합되어 있는 수 벨크로 테이프(220)로서, 대퇴측 벨트와 하퇴측 벨트의 내주 면을 따라 좌우 측 일정구간 봉제 되어 있는 암 벨크로 테이프(230) 등의 결합 부재에 결합시키며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별 체형에 따라 스프링 조립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a male Velcro tape 220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moral side connecting plate 130 and the lower leg side connecting plate 120, it is sewn in a certain section on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moral side belt and the lower leg side belt. Since i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oupling member such as an arm Velcro tape 230,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p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ody type.

상기한 본 발명자의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보호대는, 압박형 무릎보호대에 비해 등산 후 무릎의 시림이 적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보행 보조기능으로 장시간 걸을 때 피로를 줄여 주는 장점이 있다.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fatigue when walking for a long time with a walking assistance fun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less soreness of the knee after climbing compared to the compression type knee protector.

또한, 벨트를 부드럽게 체결하여도 계속 흘러내리지 않고 약간 흘러내린 후 그대로 위치를 유지하여 고쳐 매는 횟수가 줄어들며, 벨트를 강하게 조이지 않아도 되어 압박감이나 불편함이 현저히 낮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belt is gently tightened, it does not continuously flow down, and after it flows down, the number of times of fixing is reduced by maintaining the position as it is.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무릎보호대는 사용되어 진 스프링이 권취되고 복원되는 과정에서 금속끼리의 마찰음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knee protector has a problem in that a noise is generated due to friction between metals in the process of winding and restoring the used spring.

또한, 사용되어 진 나선형 스프링은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강선의 폭이 넓어야 하기 때문에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d spiral spring ha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pring case including the spring is thickened because the width of the spring steel wire must be wide in order to maintain an appropriate elastic force.

또한, 중요 부품인 탄성체로서 사용되는 나선형 스프링은 매입단가가 타 스프링에 비해 높아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 횟수가 많아 질수록 초기의 탄성 강도가 빨리 저하되어 제품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piral spring used as an elastic body, which is an important p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because the embedding unit cost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springs. have.

또한, 무릎보호대에서 벨트를 부드럽게 착용했을 때 하퇴 측의 벨트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이 전연 없으나 대퇴 측 벨트는 최초 착용위치에서 다소 아래로 내려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belt on the knee protector is gently worn, the belt on the lower leg is completely fixed in a fixed state, but the belt on the thigh side has a problem that it comes down slightly from the initial wearing position.

또한, 스프링 조합체와 벨트를 연결해주는 연결판은 통공이 형성되지 않아 공기가 통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spring assembly and the belt has a problem in that air does not pass through because the through hole is not formed.

또한, 직립한 상태에서 무릎의 구조를 위에서 보게 되면 슬개골 쪽으로는 좁고 오금 부 쪽으로는 넓어. 무릎보호대를 착용하고 서게 되면 무릎 슬개골과 스프링 조합체 간에 틈새가 벌어져 숲길을 걸으면 장애물에 걸려 보행에 장애가 오는 문제점이 있다.Also, when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knee from above in an upright state, it is narrow toward the patella and wider toward the popliteal region. If you stand wearing a knee protec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gap between the kneecap and the spring assembly is widened.

또한, 상하 벨트의 안쪽 면이 다리의 표면에 고르게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belts are not even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leg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759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7075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247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24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108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51082

무릎이 좋지 않으면 자연적으로 활동량이 줄어들어 필요한 운동량도 떨어지게 되고 무릎근육은 더 퇴행화 하여 약화 되는 악순환이 생긴다.If the knee is not good, the amount of activity naturally decreases and the amount of exercise required is also reduced, and the knee muscles are further degenerated and weakened, creating a vicious cycle.

적절한 운동을 통하여 다리 근육을 강화시키면 강화된 근육은 약화 된 무릎관절을 대신해 체중을 지탱하여 주는 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If the leg muscles are strengthened through appropriate exercise, the strengthened muscles play a complementary role in supporting the weight in place of the weakened knee joint.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는 종래의 무릎보호대가 가진 단점을 개선하여 무릎이 약한 사람이 운동을 할 때 무릎을 지지해주며 활동시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고, 다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서는 보조수단 없이도 실내외 활동이 가능하도록 무릎 근육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에 주안을 두고 있다.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knee protector to support the knee when a person with a weak knee performs an exercise, reduces the burden on the joint during activity, and supports to strengthen the leg muscles Furthermore, it focuses on strengthening the knee muscles so that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can be performed without auxiliary means, and the focus is on making it easy to wear.

이하에서는 세부적인 목적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purpose will be described.

세부적인 목적중 하나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스프링이 가진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욱 적합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 대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대가 필요로 하는 여러 요구특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One of the specific purposes is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with the springs of the prior art and replace them with springs that can exhibit more suitable performance so that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various required characteristics requir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체되는 스프링이 최적의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구조와 배치를 구현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 efficient structure and arrangement so that the replacement spring can implement an optimal mechanis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완전히 방지하여 한번 착용하면 사용을 마칠 때까지 벨트를 다시 고쳐 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tely prevent the belt from flowing down, so that once worn, the belt is not re-tightened until the end of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투과가 원활하여 땀이 빨리 건조되어 피부 건강 유지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하며 무더운 여름에도 갑갑하고 더운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ir permeation smoothly so that sweat dries quickly, which does not cause a problem in maintaining skin health, and does not feel cramped and hot even in hot summ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자의 종래기술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를 폈을 때 무릎의 구조에 의해 자연히 형성되는 스프링 조합체와 무릎 앞쪽 슬개골 간의 사이의 벌어지는 틈새를 최소화하여 착용한 상태의 미관을 좋게 하고, 보행시 주변의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spring assembly naturally formed by the structure of the knee and the kneecap in front of the knee when the leg is stretched while wearing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 It is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body and prevent it from getting caught in obstacles around it when walk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리의 표면과 접촉되는 대퇴측 및 하퇴측 벨트의 안쪽 면이 고르게 다리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emoral side and the lower thigh side bel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e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g evenl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사용된 나선형 스프링을 직선 형상의 압축 스프링으로 대체하고, 대체된 직선형 압축 스프링의 특성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스프링 조합체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ral spring used in the prior art is replaced with a linear compression spring, and a structure of a spring assembly for re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laced linear compression spring as effectively as possible is formed.

또한, 대체되는 직선형 압축 스프링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각 구성품의 구조와 배치를 최적으로 설계하여 만들며, 직선형 압축 스프링의 양단을 동시에 눌리거나 이완시켜, 직선형 압축 스프링이 부드러운 신축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are optimally designed and made so that the replacement linear compression spring exhibits optimal performance, and both ends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are pressed or relax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performs smooth expansion and contraction.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자의 종래기술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보행시 발생 되는 대퇴 측 벨트의 흘러내림을 줄이기 위해, 무릎보호대 착용시 대퇴 측 벨트와 하퇴 측 벨트 간격이 넓어지도록 캐리어나 플런저의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하며, 대퇴 측 벨트의 전면부 내측에 일부 구간 미끄럼 방지밴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slippage of the femoral side belt that occurs when walking in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 the shape of the carrier or plunger is chang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emoral side belt and the lower thigh side belt becomes wider when the knee protector is wor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anti-skid band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femoral side belt.

또한, 대퇴측 벨트와 하퇴측 벨트에 통기공이 형성된 네오프렌 섬유원단을 사용하며, 공기의 투과가 되지 않았던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판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공을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not permeable to air, using neoprene fiber fabric with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femoral belt and the lower thigh belt.

또한, 상기 스프링 조합체가 결합 된 무릎보호대에서 스프링 조합체의 전면부가 무릎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상하 연결판에서 평판부를 기준으로 플런저가 조립되는 조립홈 부를 5도 내지 15도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henomenon that the front part of the spring assembly does not adhere to the knee and the gap widens in the knee protector to which the spring assembly is coupled, the assembly groove in which the plunger is assembled based on the flat plate i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lates 5 degrees to 15 degre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by an angle.

또한, 상기의 무릎보호대에서 상하 측 각각의 벨트를 무릎 관절부 쪽으로 5도 내지 15도 굴절시킨 형상으로 제작하여 무릎 보호대 착용시 대퇴 측 벨트와 하퇴 측 벨트의 안쪽 면이 고르게 다리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knee protector, each belt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bent 5 degrees to 15 degrees toward the knee joint so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femoral belt and the lower thigh bel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eg when wearing the knee protector. do it with

본 발명은 탄성체로서 직선형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며 종래에 사용한 나선형 스프링에 비교해 폭과 중량이 감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직선형 압축 스프링은 구매 단가가 낮아서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inear compression spring as an elastic body, and has an effect of reducing width and weight compared to a conventionally used spiral spring, and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has an effect of improving price competitiveness because the purchase price is low.

또한, 스프링 조합체의 구성부품인 두 개의 플런저가 직선형 코일 스프링의 양단을 동시에 눌리거나 압축을 풀어 줌으로서 종래의 태엽스프링 대비 마찰음이 현저히 감소하고, 사용자가 다리를 펴고 굽히는 동작을 부드럽게 함으로서 사용 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wo plunger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spring assembly, simultaneously press or release the compression at both ends of the straight coil spring,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frictional nois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pring spring, and improves the feeling of use by softening the movement of the user in stretching and bending the legs. has the effect of making

또한, 벨트를 꽉 조이지 않고도 벨트가 흘러내리지 않고 사용 중에 무릎 둘레를 따라 보호대가 돌아가는 경우가 발생 되지 않으며, 고쳐 매지 않고 등산 내내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elt does not come down without tightening the belt, and the protector does not rotat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knee during use.

또한, 스프링 조합체와 무릎과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보행 중에 주변의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를 줄이며, 착용한 상태에서의 외관을 단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spring assembly and the kne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ase of getting caught by obstacles around while walking, and making the appearance in a worn state neat.

또한, 벨트의 안쪽 면이 다리 표면에 고르게 같은 압력으로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adheres evenly to the surface of the leg with the same pressure.

또한, 공기가 잘 통하는 구조로 여름철에도 사용할 수가 있으며 땀이 많은 사용자는 습기의 빠른 건조로 피부를 보호하고, 장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even in summer due to its air permeable structure, and users who sweat a lot can protect their skin from moisture quickly and use it for a long ti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보호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스프링 조립체의 분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 케이스와 나선형 스프링의 조립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조립체의 주요 구성품 조립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조립체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내부 구조와 스프링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런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압축 스프링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판의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퇴 측 벨트와 하퇴 측 벨트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조합체가 벨트에 결합 된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pring assembly in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ssembly of a spring case and a spiral sp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ssembl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sp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sp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y view of the inner structure and spring of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ight compression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a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the femoral side belt and the lower thigh side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view in which the sp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el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특징부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 focusing on features.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무릎보호대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20),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 상부 플런저(330)와 하부 플런저(331), 대퇴 측 연결판(340)과 하퇴 측 연결판(341), 커버(350), 볼트(360), 핀(365)으로 구성되는 스프링 조합체(300)와 대퇴 측 벨트(370)와 하퇴 측 벨트(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무릎보호대는, 사용자가 등산할 때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동작에 따라, 스프링 조합체(300)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이, 완만한 곡선형태를 이루는 캐리어(320) 내부의 만곡부(32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다리를 펼 때는 무릎을 지지하고, 다리를 구부릴 때는 보행동작을 지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Climbing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carrier 320, the straight compression spring 310, the upper plunger 330 and the lower plunger 331, the femoral side connection plate 340 and the lower thigh side connection The plate 341 , the cover 350 , the bolt 360 , the spring assembly 300 consisting of the pin 365 , and the femoral side belt 370 and the lower leg side belt 380 are configured.
Knee protector for mountaine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ght compression spring 310 assembled inside the spring assembly 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bending and stretching the leg when the user climbs, the carrier 320 forming a gentle curve shape I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nternal curved portion 321 to support the knee when the leg is spread, and to support the walking motion when the leg is bent.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대에 사용 가능한 스프링의 실시 예로는 본 발명자의 종래 기술에 사용한 나선형 태엽 스프링과 그 외에 비틀림(토오션) 스프링, 직선형 압축스프링, 직선형 압축 스프링과 유사하나 직선이 아닌 원호 형상으로 제조되는 코일 스프링, 즉 커브드 스프링을 제시할 수가 있다.Examples of springs that can be used for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spiral winding spring used in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 and other torsion (torsion) springs, linear compression springs, and linear compression springs similar to, but in an arc shape instead of a straight line. A coil spring to be manufactured, that is, a curved spring can be presented.

도 6에서 도시되는 스프링은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을 캐리어에 조립했을 때 도면이지만 도면에서 보여지는 스프링 형상은 커브드 스프링 형상과 동일하다.The spring shown in FIG. 6 is a drawing when the straight compression spring 310 is assembled to the carrier, but the spring shape shown in the drawing is the same as the curved spring shape.

상기 커브드 스프링은 성능, 마찰소음, 내구성에 있어 가장 적합하나, 제조 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자체 생산시설이 없는 경우 1회 주문수량이 많아야 되는 단점이 있다. The curved spring is most suitable in terms of performance, friction noise, and durability,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easy and the quantity of one order must be large if there is no own production facility.

따라서, 커브드 스프링이 가지는 성능 면에서의 장점을 활용하면서 원가 면에서 현저히 낮은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을 사용하고, 상기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성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몸체 즉, 최적 구조의 캐리어(320)를 설계하여 최적의 기능을 구현해 내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점이다.Therefore, using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that is significantly lower in cost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performance advantages of the curved spring, and an appropriate body, that is, the optimal body to effectively exhibit the performance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It is the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the carrier 320 of the structure to implement an optimal function.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320)는 몸체 부에 만곡부(321)가 구비되며, 상기 만곡부(321)는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신축운동이 진행되는 구간으로서 가능한 한 직선에 가깝게 큰 원호로, 신축운동을 할 때 횡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 the carrier 320 is provided with a curved portion 321 on the body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321 is a section in whic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proceeds as close to a straight line as possible. The arc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minimize lateral deformation d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또한, 상기 캐리어(320) 몸체에는 상기 만곡부(32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고정 가이드 부(322)가 형성되어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중앙부를 지지하면서 안쪽에서의 이상 굴곡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arrier 320 body is formed with a fixed guide portion 322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ortion 3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while preventing abnormal bending from the inside. plays a role

또한, 상기 캐리어(320)에는 두 개의 회전축(323)이 구비되어 중심부에 회전축 조립 통공(333)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회전축 조립 통공(333)의 일측으로 연결판(340, 341)에 형성된 조립홈부(342)로 삽입되고, 핀(365)이 관통하면서 조립홈부(34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핀조립 통공(334)을 구비한 플런저(330, 331)가 조립되고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상부 플런저(330)와 하부 플런저(331)의 원호 선단에 형성되어 진 압력부(332)가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양단에 압력을 동시에 가하거나 이완시키는 역할을 연속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arrier 320 is provided with two rotation shafts 323, a rotation shaft assembly hole 33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assembly hole 333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s 340 and 341. The plungers 330 and 331 having a pin assembly through hole 334 that are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342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assembly groove 342 while passing through the pin 365 are assembled and the operation of bending and straightening the knee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and the pressure portion 332 formed at the arc tip of the upper plunger 330 and the lower plunger 331 simultaneously applies or relaxes pressure to both ends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continuously. do it with

다리의 신전운동시 허벅지와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가 110도 내지 130도 부터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에 탄성이 걸리면서 무릎에 힘이 들어가게 되며, 다리가 완전히 펴질 때까지 계속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장력이 서서히 증대하면서 무릎에 지지력을 주게 된다.When the leg extension exercise, the angle between the thigh and the calf is 110 degrees to 130 degrees, while the elasticity is applied to the straight compression spring 310, the force is applied to the knee, and the tension of the straight compression spring 310 continues until the leg is completely stretched. This gradually increases, giving support to the knee.

여기서 두 개의 플런저(330, 33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플런저(330)와 하부 플런저(331)로 구성되고, 이 상부 플런저(330)와 하부 플런저(331)에 형성된 각각의 압력부(332)가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양단을 동시에 눌리거나 이완시키게 되면,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 일단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보다는 탄성력의 조기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단을 동시에 눌리거나 이완되는 방식은 종래기술의 제품에 비해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는 특징이 있다.Here, the two plungers 330 and 331 are composed of an upper plunger 330 and a lower plunger 3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pressure parts formed in the upper plunger 330 and the lower plunger 331 When 332) simultaneously presses or releases both ends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arly decrease in the elastic force rather than a method of fixing one end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other end, and both ends The method of simultaneously pressing or relaxing has a characteristic of giving a softer feeling compared to the produc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자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 조합체(100)는 슬개골 부근에서 다리 표면과 스프링 조합체(100)와의 사이에 틈새가 많이 생겨, 장애물에 걸려 보행에 지장을 받는 경우가 발생 되며, 벌어져 있는 경우는 외관상의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된다.In addition, in the spr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the leg surface and the spring assembly 100 in the vicinity of the patella, and there is a case where it is caught by an obstacle and interferes with walking, and if it is spread is a problem of poor appearance.

다리와 스프링 조합체(100) 간에 틈새가 생기는 이유는, 허벅지와 종아리 둘레가 각각 다리 관절부 둘레에 비해 굵고, 무릎의 구조를 위에서 보았을 때 관절 부위는 삼각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며 전면부 쪽에서 측면 쪽으로 돌아가면서 폭이 넓어지는 구조로, 무릎보호대를 착용하고 서게 되면 스프링 조합체(100)에서 전면을 향하는 부분이 무릎표면과 상당히 벌어지는 현상이 생기게 된다.The reason for the gap between the leg and the spring assembly 100 is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thigh and calf is thick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leg joint, respectively, and when the structure of the knee is viewed from above, the joint has a shape close to a triangle and turns from the front side to the side.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is widened, when standing while wearing a knee protector, the front-facing portion in the spring assembly 100 is significantly widened from the knee surfac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 조합체(300)의 구성 부품인 연결판(대퇴측 연결판(340) 및 후퇴측 연결판(341))의 형상을 변경하여 스프링 조합체(300)의 전면부가 슬개골 쪽과의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late (femoral side connecting plate 340 and retracting side connecting plate 34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pring assembly 300, the front surface of the spring assembly 300 It is designed to reduce the gap with the patellar side.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9 에서 도시된 상기 연결판(340, 341)의 저면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퇴측 연결판(340)과 하퇴 측 연결판(341)에서 평판부(343)를 기준으로 조립홈(342)의 형상을 5도 내지 15도의 각도로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틀어서 제작하되 조립홈(342)과 일체로 구성되도록 제작하면, 연결판(340, 341)의 틀어진 각도만큼 자연스럽게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 조합체가 틀어져 앞쪽이 무릎 쪽으로 근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the bottom view of the connecting plates 340 and 341 shown in FIG. 9 , the assembly groove on the basis of the flat plate part 343 in the femoral side connecting plate 340 and the lower leg connecting plate 341 . If the shape of 342 is twisted upward and downward at an angle of 5 degrees to 15 degrees, respectively, but when it is manufactur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ssembly groove 342, naturally straight compression springs ( 3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is twisted so that the front can be approached toward the knee.

이 경우, 대퇴 측 연결판(340)과 하퇴 측 연결판(341)은 대칭구조를 가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femoral side connecting plate 340 and the lower leg side connecting plate 341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다음, 벨트(대퇴측 및 하퇴측 벨트(370, 380))에 관한 것으로 무릎을 감싸고 체결되는 상기의 대퇴측 및 하퇴측 벨트(370, 380)는, 안쪽 면에는 폴리에스테르 원단, 바깥쪽 면에 암 벨크로 기모로 마감된 원단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스프링 조합체(300)의 구성 부품인 연결판(340, 341)의 바깥 면에 수 벨크로 부재를 부착 또는 재봉해두고, 벨트(370, 380)의 안쪽에 재봉으로 부착되는 암 벨크로 기모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접착시켜 사용하거나, 벨트의 내측에 포켓(390)을 재봉으로 형성해 두고, 연결판(340, 341)을 끼운 후 다시 재봉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Next, the femoral and lower thigh belts (370, 380), which are fastened to wrap around the knee as it relates to the belt (thigh side and lower thigh side belts 370, 380), are polyester fabric on the inner surface, and on the outer surface It is made using a fabric finished by raising female Velcro, and attaches or sews a male Velcro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s 340 and 341, which are components of the spring assembly 300, and the belts 370 and 380. It can be used by attaching it in a detachable state to the raised arm Velcro that is attached by sewing on the inside, or by forming a pocket 390 on the inside of the belt by sewing, inserting the connecting plates 340 and 341, and fixing it by sewing again. can be

본 발명자의 종래 기술에서는 벨트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장시간의 산행을 하게 되면 배출된 땀으로 인해 무릎보호대 주변의 옷을 적시는 사례가 발생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기 투과가 원활하도록 도 5에서 보이는 바처럼 상기 연결판(340, 341)에는 평판부(343)에 여러 개의 통공(344)을 형성하여 땀으로 인한 습기 건조가 빨라지도록 하며, 벨트(370, 380)를 구성하는 구성품으로서 벨트 원단, 수 벨크로나 암 벨크로 등의 부재를 공기 투과가 원활한 자재로 채택하여 습기가 빠르게 건조되어 습기로 인한 피부이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 the belt air circulation is not smooth, so when hiking for a long time, a case of wetting the clothes around the knee protector due to the discharged sweat occurs. As such, in the connecting plates 340 and 341, several through holes 344 are formed in the flat portion 343 to speed up moisture drying due to sweat, and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belts 370 and 380, the belt fabri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 such as male Velcro or female Velcro is adopted as a material with smooth air permeation, so that moisture is quickly dried to prevent skin abnormalities caused by moisture.

다음, 본 발명자의 종래 기술에서 상기 대퇴측 및 하퇴측 벨트(370, 380)를 체결할 때 벨트의 위와 아래가 다리 표면에 고르게 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Next, in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elt are not evenly adhered to the leg surface when fastening the femoral side and the lower leg side belts 370 and 380 .

이와 같이 밀착이 잘되지 않는 원인은 허벅지와 종아리 부의 다리의 굵기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가늘어지거나 굵어지기 때문으로, 대퇴측 및 하퇴측 벨트(370, 380)를 평행하게 다리에 매게 되면, 대퇴 측 벨트(370)에서는 허벅지 방향의 위쪽 일부 구간은 밀착이 되고 아래는 밀착되지 않고, 하퇴 측 벨트(380)는 그 반대로 위쪽이 제대로 밀착되지 않게 된다.The reason for this poor adhesion is that the thickness of the thigh and calf part becomes thinner or thicker as it goes down. In (370), some sections of the upper portion in the thigh direction are in close contact and the lower is not in close contact, and the lower leg belt 380, on the contrary, is not proper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벨트(370, 380)의 안쪽 면이 부분 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퇴 측 벨트(370)의 일단은 아래쪽으로 5 내지 15도 각도로 구부러지게 하며 하퇴 측 벨트(380)는 위쪽으로 동일한 각도로 구부러지게 하여, 벨트(370, 380)를 무릎에 체결하기 위해 구부러진 부분을 당기고 벨트(370, 380)의 다른 쪽 일단을 당겨서 평행하게 포개면 밀착이 덜되는 쪽이 더 당겨져 대퇴측 및 하퇴측 벨트(370, 380)가 고르게 무릎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femoral side belt 370 is bent downward at an angle of 5 to 15 degrees as shown in FIG. The lower leg belt 380 is bent upwards at the same angle, pulling the bent part to fasten the belts 370 and 380 to the knee, and pulling the other end of the belts 370 and 380 to make parallel overlapping surface close contact. The side that is less is pulled more so that the femoral and lower thigh belts 370 and 380 are evenly in close contact with the knee surface.

다음, 보호대를 착용하고 등산할 때 착용한 무릎보호대가 수시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등산을 하게 되면 평지 외에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계속 반복하게 되는데 수시로 고쳐매게 된다면 불편함으로 인해 보호대 착용을 기피하게 될 것이다.Nex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nee protector worn while wearing the protector often falls off when climbing. In particular, when climbing a mountain, uphill and downhill roads are repeated over and over again.

본 발명자의 종래기술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타사 제품과 비교해 비교적 벨트의 흘러내림이 적다.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s has less flow down of the belt compared to other products.

이러한 이유는 종아리 쪽 다리는 무릎 관절부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다리의 굵기가 굵어지기 때문에 하퇴 측 벨트는 아래로 밀려 내려가지 않고, 대퇴 쪽에는 다리의 굵기가 허벅지에서 무릎 관절부로 내려갈수록 가늘어 지기 때문에 미끄러짐은 주로 대퇴 측 벨트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다리를 구부리면 대퇴 측 벨트가 아래로 이동되고 다리를 펴게 되면 접혀 졌던 스프링 조합체(300)가 펴지면서, 대퇴 측 벨트는 원래의 위치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alf-side belt gets thicker as it goes down from the knee joint, so the lower leg belt does not slide down. occurs mainly in the femoral side belt, when the leg is bent, the femoral side belt is moved down, and when the leg is stretched, the folded spring assembly 300 is unfolded, and the femoral side belt is pushed up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러나 보호대 착용 후 초기에는 허벅지 쪽의 벨트가 약간 미끄러져 내린 후 그 상태대로 유지하긴 하지만 그래도 약간 흘러내린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t the beginning after wearing the protector, the belt on the thigh side slides down a little and then maintains it as it is.

본 발명자의 종래기술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벨트가 흘러내리는 첫 번째 원인은 대퇴 측 벨트와 하퇴 측 벨트 간의 간격이 적절하지 않아 다리를 구부릴 경우 대퇴측 벨트를 아래로 끌어내리고 무릎을 폈을 때 충분히 밀어올려 주지 못하기 때문이며, 두 번째 원인은 옷과 벨트의 안감 원단 간에 미끄러짐이 발생 되는 것이다.The first cause of the belt slipping in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 is that the gap between the femoral side belt and the lower thigh side belt is not appropriate. The second cause is that slippage occurs between clothes and the lining fabric of the belt.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이는 바처럼, 미끄럼방지 밴드(371)를 부착하여 원단 간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캐리어(320)를 보다 장방형으로 길게 만들거나, 플런저(330, 331)의 길이를 더욱 길게 만들어 대퇴측 벨트(370)와 하퇴측 벨트(380) 간의 간격을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 보호대보다 더 넓혀 벨트의 상하 이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disadvantage, as shown in FIG. 10 , an anti-slip band 371 is attached to prevent slip between fabrics, and the carrier 320 is made longer in a rectangular shape, or the length of the plungers 330 and 331. By making the longer, the interval between the femoral side belt 370 and the lower thigh side belt 380 can be wider than that of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o suppres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elt.

즉 미끄럼 방지 밴드(371)를 채용하고 대퇴측 벨트(370)와 하퇴측 벨트(380) 간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는 구조로 변경하여, 한번 착용하면 착용이 끝날 때까지 고쳐매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다.That is, by adopting the anti-slip band 371 and changing the structure to properly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femoral side belt 370 and the lower leg side belt 380, once worn, it can be used without tying it until the end of wear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The above has exemplarily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본 발명은 등산 시작부터 착용이 가능하며, 올라갈 때는 무릎이 굽혀지는 동작을 지원하여 체력 소모를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며, 산에서 내려올 때는 무릎을 지지하여 무릎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등산용 무릎보호대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from the start of mountaineering,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stamina consumption by supporting bending of the knee when climbing, and knee protector for mountaineering that can protect the knee from damage by supporting the knee when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will be usable as

300 스프링 조합체 310 직선형 압축 스프링
320 캐리어 321 만곡부
322 고정 가이드부 323 회전축
330 상부 플런저 331 하부 플런저
332 압력부 333 회전축 조립 통공
334 핀조립 통공 340 대퇴 측 연결판
341 하퇴 측 연결판 342 조립 홈부
343 평판부 350 커버
360 볼트 370 대퇴 측 벨트
371 미끄럼 방지 밴드 372 테두리 원단
373 분리 스트랩 380 하퇴 측 벨트
390 포켓
300 Spring Combination 310 Straight Compression Spring
320 carrier 321 bend
322 Fixed guide part 323 Rotation shaft
330 upper plunger 331 lower plunger
332 Pressure part 333 Rotation shaft assembly through hole
334 Pin Assembling Hole 340 Femoral Side Connection Plate
341 Lower leg side connection plate 342 Assembly groove
343 flat plate 350 cover
360 Volt 370 Femoral Side Belt
371 non-slip band 372 edging fabric
373 Separation Strap 380 Lower Thigh Side Belt
390 pockets

Claims (4)

안쪽 면에는 폴리에스테르 원단으로 구성되고, 바깥쪽 면에 암 벨크로 기모로 마감된 원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쪽 면에 구성되는 포켓(390)과, 상기 원단 간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 밴드(371)로 이루어지는 대퇴측 벨트(370)와 하퇴측 벨트(380)로 구성되는 벨트;
상기 벨트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되어 신축작동에 의해 상기 다리를 펼 때는 무릎을 지지하고, 상기 다리를 구부릴 때는 보행동작을 지원하는 스프링 조합체(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조합체(300)는,
허벅지와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가 110도 내지 130도를 형성할 때부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
일면으로 완만한 곡선형태를 이루며, 상기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신축운동시 횡 변형을 최소화시키는 만곡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32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직선형 압축 스프링의 중앙부를 지지하면서 이상 굴곡을 방지하는 고정 가이드 부(322)가 형성되고, 두 개의 플런저(330, 3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회전축(323)으로 구성되는 캐리어(320);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중앙부에 상기 두 개의 회전축(3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조립 통공(33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조립통공(333)의 일측으로 상기 직선형 압축 스프링(310)의 양단을 동시에 누르거나 이완시키는 압력부(332)가 형성되고, 핀(365)이 관통하면서 연결판(340, 341)과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플런저(330)와 하부 플런저(331)로 구성되는 플런저(330, 331); 및
상기 플런저(330, 331)가 삽입되며, 상기 핀(365)이 관통하면서 상기 플런저(330, 331)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조립홈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부(342)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포켓(390)에 삽입되어 상기 벨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여러개의 통공(344)이 형성되는 평판부(343)로 이루어지되,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대퇴측 연결판(340) 및 후퇴측 연결판(341)으로 구성되는 연결판(340, 341);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무릎보호대.
The inner surface is made of polyester fabric, and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a fabric finished with raised female Velcro, and a pocket 390 on the inner surface and an anti-slip band 371 to prevent slip between the fabrics. ) a belt consisting of a femoral side belt 370 and a lower thigh side belt 380 made of;
A spring assembly 300 connected to the belt and mounted on the user's leg to support the knee when the leg is extend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and to support the walking motion when the leg is bent; includes;
The spring assembly 300,
A straight compression spring 310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from when the angle between the thigh and the calf forms 110 degrees to 130 degrees;
Forming a gentle curved shape on one surface,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a curved portion 321 that minimizes lateral deformation dur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310 is formed, and the curved portion 321 )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xed guide part 322 for preventing abnormal bending while supporting the central part of the linear compression spring is formed, and two rotation shafts to which the two plungers 330 and 331 are rotatably coupled. a carrier 320 consisting of 323;
A rotation shaft assembly through-hole 333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rotation shafts 32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knee bending and straightening operation, and the linear type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assembly through-hole 333 A pressure portion 332 for simultaneously pressing or relaxing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spring 310 is formed, and the pin 365 passes through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s 340 and 341 ,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plunger (330, 331) consisting of an upper plunger (330) and a lower plunger (331); and
The plungers 330 and 331 are inserted, and as the pin 365 passes through, an assembly groove 342 for suppor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plungers 330 and 331 is formed, and the assembly groove 342 is integrally formed with it. It is configured, inserted into the pocket 390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belt, and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343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4 formed therein, and a femoral side connecting plate 34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and connecting plates 340 and 341 consisting of a retracting side connecting plate 341;
Climbing knee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00109A 2019-08-16 2019-08-16 Knee protector for climbing KR102292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09A KR102292327B1 (en) 2019-08-16 2019-08-16 Knee protector for climb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09A KR102292327B1 (en) 2019-08-16 2019-08-16 Knee protector for climb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47A KR20210020547A (en) 2021-02-24
KR102292327B1 true KR102292327B1 (en) 2021-08-24

Family

ID=7468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09A KR102292327B1 (en) 2019-08-16 2019-08-16 Knee protector for climb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3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623B1 (en) 2021-09-17 2023-1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Knee extension power strengthe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082B1 (en) * 2014-04-18 2015-09-07 최상영 Knee belt for climbing
KR101954028B1 (en) * 2018-08-29 2019-03-04 이승길 Joint assis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00B1 (en) 2010-02-03 2010-08-12 정해천 Joint protector
KR200474247Y1 (en) 2014-01-16 2014-09-01 최광용 Joint prot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082B1 (en) * 2014-04-18 2015-09-07 최상영 Knee belt for climbing
KR101954028B1 (en) * 2018-08-29 2019-03-04 이승길 Joint assis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47A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491A (en)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6047405A (en)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FI125966B (en) accessories
JP2002515791A (en) Energy consuming clothing
US7901371B1 (en) Posture correcting back brace
KR102292327B1 (en) Knee protector for climbing
US20110225844A1 (en) Traction adjustment band for shoe
US9737756B2 (en) Dorsiflexion apparatus
US10322022B2 (en) Plantar fasciitis treatment method and device
JP3094642U (en) Waist band
CN208552954U (en) Elastic band fitness coat
CN207979030U (en) A kind of support bar reinforcement knee-pad
KR20110008071U (en) articular protective
US9242141B2 (en) Dorsiflexion apparatus
KR20160067817A (en) The imitation Ligament for a knee joint on a walking to help, thereof its manufacture method
JP5695812B1 (en) Muscle strengthening equipment
KR200329570Y1 (en) Knee Joint Exercise Band
KR101707548B1 (en) A lower body garment for correcting and exercise
KR102456375B1 (en) Band fastening structure with improved fastening convenience
US11890215B2 (en) Device and method to assist with applying a sleeve to appendages
TWI750804B (en) Protective gear structure (1)
KR102614953B1 (en) Socks
CN210581137U (en) Glove anti-abrasion protective sleeve
KR200448125Y1 (en) Belt with flex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