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755B1 -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755B1
KR102291755B1 KR1020200000534A KR20200000534A KR102291755B1 KR 102291755 B1 KR102291755 B1 KR 102291755B1 KR 1020200000534 A KR1020200000534 A KR 1020200000534A KR 20200000534 A KR20200000534 A KR 20200000534A KR 102291755 B1 KR102291755 B1 KR 10229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optimal
combustion
region
optim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7374A (en
Inventor
나상건
김현식
박지훈
유준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755B1/en
Publication of KR2021008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374A/en
Priority to KR1020210106741A priority patent/KR1023439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5001Measuring CO content in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5003Measuring NOx content in flue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보일러 연소에 따라 상태가 변화하는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그래프 상에서 연소 최적화 제어에 따른 목표치의 임계를 구분하는 영역인 제1 계층과, 상기 제1 계층에 중첩되며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연소 최적화 이전과 연소 최적화 이후의 상태를 구분하는 영역인 제2 계층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와,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의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백분율에 따라 나타내는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상태그래프에 표시하는 최적전상태표시부와,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의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백분율에 따라 나타내는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상태그래프에 표시하는 최적후상태표시부를 포함한다. A device is provided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The device includes a first layer, which is an area for classifying a threshold of a target value according to combustion optimization control, on a status graph displaying the status of a combustion control factor whose status changes according to boiler combustion, and a first layer overlapping the first layer and the combustion control A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second layer, which is a region that distinguishes a state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of a factor and a state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nd a pre-optimal state indicat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a percentage, , a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pre-optimal state indicator on the state graph, and a post-optimal state indicat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a percentage, and the generated post-optimal state indicator and a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n the state graph.

Description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소 상태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연소의 최적화 전(As is)과 후(To be)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tate before (As is) and after (To be) optimization of combustion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석탄화력 발전소 보일러의 연소 최적화를 수행할 때 이 수행된 값을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개별 값에 대해서 막대나 숫자 값으로 표현이 된다. 최적화 전(As is)과 후(To be)의 값을 우리가 한번에 보기가 다소 어렵게 되어 있다. When performing combustion optimization of a coal-fired power plant boiler, the performed value should be displayed to the user on the screen. Generally, each value is expressed as a bar or numeric value. It is rather difficult for us to see the values before (As is) and after (To be) optimization.

한국등록특허 제1794325호 2017년 10월 31일 등록 (명칭: 발전소 보일러의 최적 연소를 위한 미분탄 공급 및 제어장치)Registered Korean Patent No. 1794325 on October 31, 2017 (Name: Pulverized Coal Supply and Control Device for Optimal Combustion of Power Plant Boilers)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화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소 상태 표시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that can confirm the state before and after optimiz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보일러 연소에 따라 상태가 변화하는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그래프 상에서 연소 최적화 제어에 따른 목표치의 임계를 구분하는 영역인 제1 계층과, 상기 제1 계층에 중첩되며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연소 최적화 이전과 연소 최적화 이후의 상태를 구분하는 영역인 제2 계층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와,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의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백분율에 따라 나타내는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상태그래프에 표시하는 최적전상태표시부와,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의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백분율에 따라 나타내는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상태그래프에 표시하는 최적후상태표시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The device includes a first layer, which is an area for classifying a threshold of a target value according to combustion optimization control, on a status graph displaying the status of a combustion control factor whose status changes according to boiler combustion, and a first layer overlapping the first layer and the combustion control A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second layer, which is a region that distinguishes a state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of a factor and a state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nd a pre-optimal state indicat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a percentage, , a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pre-optimal state indicator on the state graph, and a post-optimal state indicat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a percentage, and the generated post-optimal state indicator and a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n the state graph.

여기서, 상기 제1 계층은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임을 나타내는 최적화 영역과,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최적화 영역과 경계선을 통해 구분되어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이 아님을 나타내는 비 최적화 영역을 포함한다. Here, the first layer includes an optimization region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optimal,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by a boundary line to indicate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not optimal. Includes non-optimized regions.

상기 제2 계층은 할당된 연소제어인자를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자영역은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을 나타내는 최적전상태영역 및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를 나타내는 최적후상태영역을 포함한다. The second layer includes one or more factor regions for discriminating the assigned combustion control factors, and the factor domain includes a pre-optimal state region indicating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a post-optimal state region indicating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상기 최적전상태표시부는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의 연소제어인자의 상기 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전상태영역 내의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상기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의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displays the area of the pre-optimal indicator to increase from the optimized region in the optimal state region to the non-optimized region in proportion to the percentag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do.

상기 최적후상태표시부는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상기 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후상태영역 내의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상기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의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displays the area of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to increase from the optimized region in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to the non-optimized region in proportion to the percentag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do.

상기 비 최적화 영역은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종류에 따른 특성에 기반한 연소제어인자의 다양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영역으로 더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on-optimized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display various states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ased 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상기 장치는 연소 최적화 이전 대비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측정값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을 표시하는 변화율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hange r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nge rate indicating a change in a percenta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compared to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태산출부가 연소 최적화의 목표치로 설정한 값인 기준설정값 및 상태그래프 상에서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임을 나타내는 영역인 최적화 영역이 차지하는 백분율인 기준백분율을 기초로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전측정값 및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후측정값을 백분율로 변환하여 최적전백분율 및 최적후백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영역설정부가 상태그래프에 대해 최적화 영역 및 비 최적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계층 및 최적전상태영역 및 최적후상태영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계층과 중첩되는 제2 계층을 설정하는 단계와, 최적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전백분율에 따라 생성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최적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후백분율에 따라 생성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The method is based on the reference set value, which is a value set by the state calculation unit as the target value of combustion optimization, and the reference percentage, which is the percentage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area, which is an area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optimal on the state graph,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Calculating the pre-optimal and post-optimal percentages by converting the pre-optimal measured value, which is a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setting a first layer including an optimization region and a non-optimization region for the graph, and at least one factor region including a pre-optimal state region and a post-optimal state region, and overlapping the first layer; , displaying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optimal percentage by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in the pre-optimal state region, and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by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as the optimum and displaying it in the post-state area.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전백분율 및 상기 최적후백분율을 수학식 A2 = A1 X S2 ÷ S1 및 수학식 B2 = B1 X S2 ÷ S1에 따라 산출하며, 상기 S1은 연소 최적화 목표치로 설정한 값인 기준설정값이고, 상기 S2는 상태그래프 상에서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영역인 최적화 영역이 차지하는 백분율인 기준백분율이고, 상기 A1은 상기 최적전측정값이고, 상기 A2는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전백분율이고, 상기 B1은 상기 최적후측정값이고, 상기 B2는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후전백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alculating step, the pre-optimal percentage and the post-optimal percentag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A2 = A1 X S2 ÷ S1 and Equations B2 = B1 X S2 ÷ S1, wherein S1 is a reference value set as a combustion optimization target value is a set value, S2 is a reference percentage that is a percentage occupied by an optimization area that is an area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in an optimized state on the state graph, A1 is the pre-optimal measurement value, and A2 is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It is a percentage before and after the optimal stat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expressed as a percentage, B1 is the post-optimal measured value, and B2 is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s a percentage before and after optimal It is characterized as a percentage.

상기 최적화 영역은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임을 나타내고, 상기 비 최적화 영역은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최적화 영역과 경계선을 통해 구분되어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이 아님을 나타내고, 상기 인자영역은 할당된 연소제어인자에 대응하여 다른 연소제어인자와 할당된 연소제어인자를 구분하며, 상기 인자영역은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을 나타내는 최적전상태영역 및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를 나타내는 최적후상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timization region indicates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optimal, and the non-optimization reg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by a boundary line to indicate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not optimal, The factor region distinguishes other combustion control factors from the assigned combustion control factors in response to the assigned combustion control factors, and the factor domain includes a pre-optimal state region indicating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a post-optimal state indicating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rea.

상기 최적전상태영역은 상기 제1 계층 및 상기 제2 계층이 중첩됨에 따라 상기 최적화 영역 및 상기 비 최적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전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optimal state region includes the optimized region and the non-optimized region a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verlap each other, and the step of displaying the optimal state indicator on the optimal pre-state region includes The stat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 so that an area increases from the optimized area to the non-optimized area in proportion to the pre-optimal percentage.

상기 최적후상태영역은 상기 제1 계층 및 상기 제2 계층이 중첩됨에 따라 상기 최적화 영역 및 상기 비 최적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후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st-optimum state region includes the optimized region and the non-optimized region a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verlap each other, and the step of displaying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in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includes the post-optimization region. The status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post-optimal status indicator so that an area increases from the optimized area to the non-optimized area in proportion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화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대비하여 한번에 표시함으로써 최적화 연소에 따른 개선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roved state according to the optimized combustion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by display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timization at o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are screen examples for displaying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그래프의 화면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그래프의 화면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그래프의 화면 예이다. First, an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are screen examples of a state graph displaying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reen example of a state graph displaying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reen example of a state graph displaying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10, 이하, '상태표시장치'로 축약함)는 플랜트제어기(1), 상태산출부(100), 영역설정부(200), 최적전상태표시부(300), 최적후상태표시부(400) 및 변화율표시부(5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device (10, hereinafter, abbreviated as 'status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t controller 1, a state calculator 100, It includes a region setting unit 200 , a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 a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400 , and a change rate display unit 500 .

플랜트제어기(1)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플랜트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것이다. 플랜트제어기(1)는 다양한 센서 등을 통해 보일러의 각 종 인자에 대한 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제어 혹은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통해 보일러에 대한 연소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lant controller 1 is for overall control of the plant including the boiler. The plant controller 1 may continuously collect measured values for various factors of the boiler through various sensors and the like. In addition, combustion optimization for the boiler can be performed through user control or program control.

상태산출부(100)는 연소 최적화 제어가 시작되면, 플랜트제어기(1)로부터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전측정값,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후측정값 및 연소 최적화 목표치로 설정한 값인 기준설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상태산출부(100)는 최적전측정값, 최적후측정값 및 기준설정값을 백분율로 변환하여 최적전백분율, 최적후백분율 및 기준백분율을 생성한다. 이때, 상태산출부(100)는 상태그래프(SC)의 제1 계층(L1)에서 최적화 영역(OZ)이 차지하는 백분율을 기준백분율로 결정한다. 제1 계층(L1)에서 최적화 영역(OZ)이 차지하는 백분율은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태산출부(100)는 기준설정값 및 기준백분율을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최적전측정값 및 최적후측정값을 최적전백분율 및 최적후백분율로 나타낸다. When the combustion optimization control is started,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measures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the pre-optimal measurement value, which is the value measured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from the plant controller 1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input of a post-optimal measurement value, which is a value, and a reference set value, which is a value set as a combustion optimization target value. Then, the state calculator 100 converts the pre-optimal measured value, the post-optimal measured value, and the reference set value into percentages to generate the pre-optimal percentage, the post-optimal percentage, and the reference percentage. At this time,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determines the percentage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region OZ in the first layer L1 of the state graph SC as a reference percentage. The percentage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region OZ in the first layer L1 may be preset or set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n,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represents the pre-optimal measured value and the post-optimal measured value as the pre-optimal percentage and the post-optimal percentage based on the reference set value and the reference percentage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Figure 112020000393809-pat00001
Figure 112020000393809-pat00001

여기서, S1은 연소 최적화 목표치로 설정한 값인 기준설정값이고, S2는 제1 계층(L1)에서 최적화 영역(OZ)이 차지하는 백분율인 기준백분율을 나타낸다. 또한, A1은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전측정값이고, A2는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전백분율이다. 그리고 B1는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후측정값이고, B2는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후백분율이다. Here, S1 is a reference set value that is a value set as a combustion optimization target value, and S2 is a reference percentage that is a percentage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region OZ in the first layer L1. In addition, A1 is a pre-optimal measurement value that is a value measured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A2 is an optimal total percentag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a value measured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B1 is the post-optimal measured value, which is a value measured for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nd B2 is the post-optimal percentage indica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s a percentage.

또한, 상태산출부(100)는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소 최적화 이전 대비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을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calculates a change rat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s a percentage, compared to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Figure 112020000393809-pat00002
Figure 112020000393809-pat00002

여기서, X는 변환율을 의미한다. 또한, A1은 최적전측정값이고, B1은 최적후측정값이다. 그리고 A2는 최적전백분율이고, B2는 최적후백분율이다. Here, X means a conversion rate. In addition, A1 is a pre-optimal measured value, and B1 is a post-optimal measured value. And A2 is the pre-optimal percentage, and B2 is the post-optimal percentage.

그러면, 전술한 기준백분율, 최적전백분율, 최적후백분율 및 변화율 산출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n,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percentage, pre-optimal percentage, post-optimal percentage and change rate will be described.

일례로, 연소제어인자 온도, NOx, CO 및 O2 각각의 기준설정값(S1), 최적전측정값(A1) 및 최적후측정값(B1)은 다음의 표 1과 같다고 가정한다.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reference set values (S1), pre-optimal measured values (A1), and post-optimal measured values (B1)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s temperature, NOx, CO and O2, respectively,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연소제어인자(ITEM)Combustion Control Factor (ITEM) 최적전측정값(A1)Pre-optimal measured value (A1) 기준설정값
(S1)
reference set value
(S1)
최적후측정값
(B1)
Post-optimal measurement
(B1)
변화율
(X)
rate of change
(X)
온도Temperature 120 ºC120 ºC 50 ºC50 ºC 40 ºC40 ºC -66.7 %-66.7% NOxNOx 560 MG/NM3560 MG/NM3 200 MG/NM3200 MG/NM3 170 MG/NM3170 MG/NM3 - 69.6 %- 69.6% COCO 60 MG/NM360 MG/NM3 80 MG/NM380 MG/NM3 70 MG/NM370 MG/NM3 +16.7 %+16.7% O2O2 5 %5% 3 %3% 2.5 %2.5% -2.5 %p-2.5%p

이때, 상태그래프(SC)에서 제1 계층(L1)에서 최적화 영역(OZ)이 차지하는 백분율이 40%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태산출부(100)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모든 기준백분율을 40%로 설정한 후, 기준설정값(표 1) 및 기준백분율(40%)을 기초로 수학식 1에 따라 다음의 표 2와 같이 최적전측정값(A1) 및 최적후측정값(B1)으로부터 최적전백분율(A2) 및 최적후백분율(B2)을 산출한다.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percentage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region OZ in the first layer L1 in the state graph SC is 40%. Then,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sets all the reference percentages to 40% as shown in Table 2 below, and then, based on the reference set value (Table 1) and the reference percentage (40%), according to Equation 1, As shown in Table 2, the pre-optimal percentage (A2) and the post-optimal percentage (B2) are calculated from the pre-optimal measured value (A1) and the post-optimal measured value (B1).

연소제어인자
(ITEM)
combustion control factor
(ITEM)
최적전백분율
(A2)
Optimal whole percentage
(A2)
기준백분율
(S2)
Base percentage
(S2)
최적후백분율
(B2)
After Optimal Percentage
(B2)
변화율
(X)
rate of change
(X)
온도Temperature 96.0 %96.0% 40 %40% 32 %32% -66.7 %-66.7% NOxNOx 99.0 %(112 %에서 제한)99.0% (limited from 112%) 40 %40% 34 %34% - 69.6%- 69.6% COCO 30.0 %30.0% 40 %40% 35.0 %35.0% +16.7 %+16.7% O2O2 66.7 %66.7% 40 %40% 33.3 %33.3% -2.5 %p-2.5%p

여기서, 수학식 1에 따르면, 표 2의 NOx의 최적전백분율(A2)의 경우, A2 = A1(560 MG/NM3) × S2(40%) ÷ S1(200 MG/NM3) = 112 %이다. 이와 같이, 최적전백분율(A2)이 99%를 넘는 경우 이를 제한하여 최적전백분율(A2)은 99%로 한다. Here, according to Equation 1, in the case of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A2) of NOx in Table 2, A2 = A1 (560 MG/NM3) × S2 (40%) ÷ S1 (200 MG/NM3) = 112%. As such, when the optimal whole percentage (A2) exceeds 99%, it is limited and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A2) is set to 99%.

그런 다음, 상태산출부(100)는 또한, 상태산출부(100)는 수학식 2에 따라 표 1 혹은 표 2와 같이 연소 최적화 이전 대비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측정값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X)을 산출한다. Then,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also calculates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compared to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s shown in Table 1 or Table 2 according to Equation 2 according to Equation 2 as a percentage. The indicated rate of change (X) is calculated.

영역설정부(200)는 보일러 연소에 따라 상태가 변화하는 인자, 즉,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그래프(SC: state chart)를 해당 영역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복수의 계층 및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예컨대, 연소제어인자는 온도, NOx, CO, O2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영역설정부(200)는 플랜트제어기(1)로부터 상태그래프(SC: state chart)로 표시할 표시대상 연소제어인자를 입력 받아 해당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그래프(SC: state chart)를 해당 영역이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복수의 계층 및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The region setting unit 200 displays a state graph (SC) for displaying a state of a factor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boiler combustion, that is, a state of a combustion control facto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region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a plurality of layers. Set by dividing the area. For example,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may include temperature, NOx, CO, O2, and the like. The area setting unit 200 receives a display target combustion control factor to be displayed as a state graph (SC) from the plant controller 1 and displays a state of the corresponding combustion control factor (SC: state ch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hierarchies and a plurality of regions according to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region and is se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설정부(200)는 상태그래프(SC)를 제1 계층(L1) 및 제2 계층(L2)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계층(L1)과 제2 계층(L2)은 중첩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제1 계층(L1)은 연소 최적화 제어에 따른 목표치의 임계를 구분하는 영역이며, 제2 계층(L2)은 연소제어인자의 연소 최적화 이전과 연소 최적화 이후의 상태를 구분하는 영역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gion setting unit 200 may set the state graph SC by dividing it into a first layer L1 and a second layer L2. Here, the first layer L1 and the second layer L2 are displayed to be overlapped. Here, the first layer L1 is an area for classifying the threshold of the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optimization control, and the second layer L2 is an area for classify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도 2에 제1 계층(L1)이 도시되었다. 영역설정부(200)는 제1 계층(L1)을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영역설정부(200)는 기준백분율에 따라 제1 계층(L1)에서 최적화 영역(OZ)이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중심에 최적화 영역(OZ)이 형성되며, 비 최적화 영역(EZ)은 최적화 영역(OZ)을 둘러싸면서 최적화영역(OZ)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은 경계선(OL)를 통해 구분된다. 경계선(OL)은 온도, NOx, CO, O2와 같은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화 상태인지 여부를 가늠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계선(OL)을 기준으로 최적화 영역(OZ)은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화 상태임을 나타내며, 비 최적화 영역(EZ)은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화 상태가 아님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영역설정부(200)는 제1 계층(L1) 상에서 경계선(OL)을 기준으로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으로 구분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역설정부(200)는 최적화의 목표치에 따라 경계선(OL)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The first layer L1 is illustrated in FIG. 2 . The region setting unit 200 may divide the first layer L1 into an optimized region OZ and a non-optimized region EZ. In this case, the region setting unit 200 determines the area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region OZ in the first layer L1 according to the reference percentage. As shown, the optimization region OZ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ircle, and the non-optimization region EZ is formed to surround the optimization region OZ and extend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OZ. The optimization region OZ and the non-optimization region EZ are separated by a boundary line OL. The boundary line OL may be a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the state of combustion contro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NOx, CO, and O2 is an optimal state. Accordingly, based on the boundary line OL, the optimization region OZ indicates that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in an optimized state, and the non-optimized region EZ indicates that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not in an optimized state. As such, the region setting unit 200 may divide and allocate the optimized region OZ and the non-optimized region EZ based on the boundary line OL on the first layer L1. Accordingly, the region setting unit 200 may set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line OL according to the target value of optimization.

도 3에 제2 계층(L2)이 도시되었다. 제2 계층(L2)은 할당된 연소제어인자를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영역(M: M1, M2, M3, M4)을 포함한다. 즉, 어느 하나의 인자 영역(M1, M2, M3, M4 중 어느 하나)은 온도, NOx, CO, O2와 같은 연소제어인자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된다. 특히, 인자영역(M: M1, M2, M3, M4)은 연소 최적화 이전을 나타내는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 및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를 나타내는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을 포함한다. The second layer L2 is illustrated in FIG. 3 . The second layer (L2) includes one or more factor regions (M: M1, M2, M3, M4) for classifying the assigned combustion control factors. That is, any one factor area (any one of M1, M2, M3, and M4) is allocated to any one of combustion contro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NOx, CO, and O2. In particular, the factor regions (M: M1, M2, M3, M4) include the pre-optimal state region (F: F1, F2, F3, F4) indicating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소제어인자 온도, NOx, CO, O2를 예시로 설명할 것이지만, 연소제어인자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최적화 연소를 위한 제어에 대상이 되는 모든 인자들이 연소제어인자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연소제어인자는 Sox, UBC(Un-Burned Carbon), 보일러 열소비율(Boiler Heat Rate), 보일러 효율(Boiler Efficiency), 소내부하(Power Station Internal Load), 플랜트 효율(Plant Efficiency), 먼지(dust) 정도, 재(Ash)의 양, RH 스프레이 사용량(재가열기(Reheater) 증기를 냉각하는데 사용하는 스프레이 사용량), 사용하는 연료의 성상값(C 값, H값, N값, O값, S값, Ash값, 수분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temperature, NOx, CO, and O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factors subject to control for optimized combustion are included in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can For example, combustion control factors include Sox, UBC (Un-Burned Carbon), Boiler Heat Rate, Boiler Efficiency, Power Station Internal Load, Plant Efficiency, and Dust. dust) degree, amount of ash, RH spray usage (spray used to cool the reheater steam), property value of fuel used (C value, H value, N value, O value, S value, Ash value, moisture, etc.) may be further included.

영역설정부(200)는 제2 계층(L2)에 할당된 연소제어인자를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영역(M: M1, M2, M3, M4)을 설정한다. 이때, 할당하고자 하는 연소제어인자가 복수인 경우, 각 연소제어인자에 대응하여 균등한 영역을 할당한다. 예컨대, 영역설정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연소제어인자를 표시하는 경우, 4개의 연소제어인자에 대응하여 4개의 인자영역(M: M1, M2, M3, M4)이 균등하게 할당한다. 이때, 영역설정부(200)는 4개의 인자영역(M: M1, M2, M3, M4)의 형상과 면적을 균등하게 할당한다. The region setting unit 200 sets one or more factor regions (M: M1, M2, M3, M4) for classifying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s allocated to the second layer (L2). At this tim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mbustion control factors to be allocated, an equal area is allocated to each combustion control fact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when displaying four combustion control factors, the area setting unit 200 includes four printing areas (M: M1, M2, M3, M4) corresponding to the four combustion control factors. Allocate it evenly. In this case, the region setting unit 200 equally allocates the shapes and areas of the four print regions M: M1, M2, M3, and M4.

또한, 영역설정부(200)는 인자영역(M: M1, M2, M3, M4) 각각의 형상과 면적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 및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으로 구분한다.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은 연소제어인자의 연소 최적화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영역이다. 또한, 최적전상태영역(N: N1, N2, N3, N4)은 연소제어인자의 연소 최적화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영역이다. In addition, the region setting unit 200 equally divides the shape and area of each of the printing regions (M: M1, M2, M3, M4) to obtain the pre-optimal state region (F: F1, F2, F3, F4) and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F: F1, F2, F3, F4). It is divided into state areas (N: N1, N2, N3, N4). The pre-optimal state regions F: F1, F2, F3, and F4 are regions for indicating the state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n addition, the pre-optimal state regions N: N1, N2, N3, and N4 are regions for indicating the state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설정부(200)가 설정한 제1 계층(L1) 및 제2 계층(L2)은 중첩되어 표시되며, 이러한 화면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계층의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과 제2 계층의 최적전상태영역(N: N1, N2, N3, N4) 및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을 포함하는 인자영역(M: M1, M2, M3, M4)이 중첩된다. 이러한 중첩에 따라 최적전상태영역(N: N1, N2, N3, N4) 및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 모두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을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ayer L1 and the second layer L2 set by the region setting unit 200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and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4 . As shown, the optimization region (OZ) and non-optimization region (EZ) of the first layer and the pre-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and post-optimal state region (N: N1) of the second layer , N2, N3, N4) overlapping print regions (M: M1, M2, M3, M4). According to this overlap, both the pre-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and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include an optimized region (OZ) and a non-optimized region (EZ). do.

도 5를 참조하면,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전백분율(A2)에 따라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를 생성한다.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는 최적전백분율(A2)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진다. 또한,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생성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를 상태그래프(SC)에 표시한다. 이때,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를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displays an optimal pre-state indicator (FV: FV1, FV2, FV: FV1, FV2, FV3, FV4) are created. The optimal state indicators FV: FV1, FV2, FV3, and FV4 have an area proportional to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A2. In addition,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displays the generated pre-optimal state indicators (FV: FV1, FV2, FV3, FV4) on the state graph SC. In this case,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may display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s (FV: FV1, FV2, FV3, FV4) in the pre-optimal state areas (F: F1, F2, F3, F4).

예를 들면, 도 5에서 제1 내지 제4 인자영역(M: M1, M2, M3, M4) 각각은 연소제어인자 온도, NOx, CO 및 O2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연소 최적화 이전의 온도, NOx, CO 및 O2 각각의 최적전백분율(A2)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제1 내지 제4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 각각을 제1 내지 제4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 각각에 표시한다. 즉,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연소 최적화 이전의 온도의 최적전백분율(A2)에 따라 제1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1)를 생성하고, 제1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1)를 제1 최적전상태영역(F1)에 표시한다. 또한,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연소 최적화 이전의 NOx의 최적전백분율(A2)에 따라 제2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2)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2)를 제2 최적전상태영역(F2)에 표시한다. 또한,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연소 최적화 이전의 CO의 최적전백분율(A2)에 따라 제3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3)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3)를 제3 최적전상태영역(F3)에 표시한다. 그리고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연소 최적화 이전의 O2의 최적전백분율(A2)에 따라 제4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4)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4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4)를 제4 최적전상태영역(F4)에 표시한다. For example, in FIG. 5 , 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first to fourth factor regions M: M1, M2, M3, and M4 corresponds to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temperature, NOx, CO, and O2.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includes first to fourth pre-optimal state indicators (FV: FV1, FV2, FV3) having an area proportional to the optimum total percentage (A2) of each of the temperature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NOx, CO and O2 , FV4). Then,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displays the first to fourth pre-optimal state indicators FV: FV1, FV2, FV3, and FV4, respectively, in the first to fourth pre-optimal state regions F: F1, F2, F3. , F4) are indicated in each. That is, the 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generates the first optimal state indicator FV1 according to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A2 of the temperature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sets the first optimal state indicator FV1 to the first optimal state. It is displayed in the full state area (F1). In addition, the 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generates a second optimal state indicator FV2 according to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A2 of NOx prior to combustion optimization, and removes the generated second optimal state indicator FV2. 2 It is displayed in the optimal pre-state area (F2). In addition, the 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generates a third optimal state indicator (FV3) according to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of CO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2), and removes the generated third optimal state indicator (FV3). 3 It is displayed in the optimal pre-state area (F3). And the 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generates a fourth optimal state indicator FV4 according to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A2 of O2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displays the generated fourth optimal state indicator FV4 as a fourth It is displayed in the optimal pre-state area (F4).

제1 계층 및 제2 계층이 중첩됨에 따라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은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을 포함하며,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는 연소 최적화 이전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의 백분율, 즉, 최적전백분율(A2)에 비례하여 최적화 영역(OZ)으로부터 비 최적화 영역(EZ)으로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가 차지하는 영역이 최적화 영역(OZ) 내에만 한정되면 연소 최적화 이전의 해당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이미 최적화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반면,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가 차지하는 영역이 최적화 영역(OZ)을 벗어나 비 최적화 영역(EZ)까지 확장되어 있다면 연소 최적화 이전의 해당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아직 최적화된 상태가 아님을 인지할 수 있다. A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verlap, the optimal state region (F: F1, F2, F3, F4) includes an optimized region (OZ) and a non-optimized region (EZ), and the optimal state indicator (FV: FV1, FV2, FV3, FV4) are the percenta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that is, the area from the optimization zone (OZ) to the non-optimization zone (EZ) is proportional to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A2). formed to increase. Therefore, if the region occupied by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s FV: FV1, FV2, FV3, FV4 is limited only within the optimization region OZ,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is already in the optimized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area occupied by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 (FV: FV1, FV2, FV3, FV4) extends beyond the optimization area (OZ) to the non-optimization area (EZ),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is still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state is not optimized.

도 6을 참조하면,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후백분율(B2)에 따라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를 생성한다.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는 최적후백분율(B2)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진다.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생성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를 상태그래프(SC)에 표시한다. 이때,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를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400 displays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NV4). The post-optimum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and NV4 have an area proportional to the post-optimum percentage B2. The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400 displays the generated post-optimal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NV4) on the state graph SC. In this case, the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400 may display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and NV4 in the post-optimal state areas N: N1, N2, N3, and N4.

예를 들면, 도 6에서 제1 내지 제4 인자영역(M: M1, M2, M3, M4) 각각은 연소제어인자 온도, NOx, CO 및 O2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연소 최적화 이후의 온도, NOx, CO 및 O2 각각의 최적후백분율(B2)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제1 내지 제4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 각각을 제1 내지 제4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 각각에 표시한다. 즉,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연소 최적화 이후의 온도의 최적후백분율(B2)에 따라 제1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1)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최적후상태영역(N1)에 표시한다. 또한,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연소 최적화 이전의 NOx의 최적후백분율(B2)에 따라 제2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2)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2)를 제2 최적후상태영역(N2)에 표시한다. 그리고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연소 최적화 이후의 CO의 최적후백분율(B2)에 따라 제3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3)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3)를 제3 최적후상태영역(N3)에 표시한다. 또한,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연소 최적화 이후의 O2의 최적후백분율(B2)에 따라 제4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4)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4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4)를 제4 최적후상태영역(N4)에 표시한다. For example, in FIG. 6 , 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first to fourth factor regions M: M1, M2, M3, and M4 corresponds to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temperature, NOx, CO, and O2. The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400 includes first to fourth post-optimal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having an area proportional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B2) of each of the temperature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NOx, CO and O2 , NV4). Then,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400 displays the first to fourth post-optimal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and NV4, respectively, in the first to fourth post-optimal state regions N: N1, N2, N3. , N4) are indicated in each. That is,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400 generates the first post-optimum state indicator NV1 according to the post-optimum percentage B2 of the temperature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nd displays it in the generated first post-optimal state region N1 . do. In addition,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400 generates a second post-optimal state indicator NV2 according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B2 of NOx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removes the generated second after-optimal state indicator NV2. 2 It is displayed in the post-optimal state area (N2). And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400 generates a third post-optimal state indicator NV3 according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of CO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B2), and displays the generated third post-optimal state indicator NV3 as a third It is displayed in the post-optimal state area N3. In addition,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400 generates a fourth post-optimal state indicator NV4 according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B2 of O2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nd removes the generated fourth post-optimal state indicator NV4. 4 It is displayed in the post-optimal state area (N4).

제1 계층(L1) 및 제2 계층(L2)이 중첩됨에 따라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은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을 포함하며,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는 연소 최적화 이후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의 백분율, 즉, 최적후백분율(B2)에 비례하여 최적화 영역(OZ)으로부터 비 최적화 영역(EZ)으로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가 차지하는 영역이 최적화 영역(OZ) 내에만 한정되면 해당 연소제어인자가 최적화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반면,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가 차지하는 영역이 최적화 영역(OZ)을 벗어나 비 최적화 영역(EZ)까지 확장되어 있다면 해당 연소제어인자가 최적화된 상태가 아님을 인지할 수 있다. As the first layer (L1) and the second layer (L2) overlap, the post-optimal region (N: N1, N2, N3, N4) includes an optimized region (OZ) and a non-optimized region (EZ), After-state indicator (NV: NV1, NV2, NV3, NV4) is the percenta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that is, the non-optimized area from the optimization area (OZ) in proportion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B2). (EZ) is formed so that the area increases. Therefore, if the area occupied by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NV4 is limited only within the optimization area OZ,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corresponding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in the optimized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area occupied by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NV: NV1, NV2, NV3, NV4) extends beyond the optimization area (OZ) to the non-optimization area (EZ), recognize that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not in an optimized state. can do.

도 7을 참조하면, 변화율표시부(500)는 상태산출부(100)가 산출한 변화율(X)을 상태그래프(SC)에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태산출부(100)는 수학식 2에 따라 표 1 혹은 표 2와 같이 연소 최적화 이전 대비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측정값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X)을 산출한다. 그러면, 변화율표시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율(-66.7%, -69.6%, +16.7%, -2.5%)을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rate of change display unit 500 displays the rate of change X calculated by the state calculator 100 on the state graph SC.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calculates the change rate (X)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s a percentage as shown in Table 1 or Table 2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quation 2 do. Then, as shown in FIG. 7 , the change rate display unit 500 sets the rate of change (-66.7%, -69.6%, +16.7%, -2.5%) in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can be displayed in

한편, 전술한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상태그래프(SC)에 4개의 연소제어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태그래프(SC)에 하나의 연소제어인자만 표시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의 상태그래프(SC)에 함께 표시되는 연소제어인자의 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four combustion control factors are displayed on one state graph SC in the embodiment of FIGS. 2 to 7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only one combustion control factor may be displayed on one state graph SC. Moreover,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combustion control factors displayed together in one state graph SC.

또한, 전술한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제1 계층(L1)이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은 연소제어인자의 종류에 따른 특성에 기반한 연소제어인자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그 상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layer L1 is divided into an optimized area OZ and a non-optimized area EZ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FIGS. 2 to 7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optimization region OZ and the non-optimization region EZ may be divided into various reg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in order to represent various states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은 균형 영역(balanced Zone) 및 비 균형 영역(Unbalanced Zone)으로 구분되거나, 린 영역(Lean Zone) 및 컴포트 영역(Comfort Zone)으로 구분되거나, 완전 영역(complete Zone) 및 불완전 영역(Incomplete Zo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optimization zone OZ and the non-optimization zone EZ are divided into a balanced zone and an unbalanced zone, or a lean zone and a comfort zone. (Comfort Zone) or may be divided into a complete zone (complete zone) and an incomplete zone (Incomplete Zone).

균형 영역은 보다 명확히 표현하면 연소 가스 온도 분포 균형 영역이며, 보일러 내부의 연소가스의 온도 분포가 고르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비균형 영역은 균형 영역과 반대로 연소가스의 온도 분포가 고르지 않게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낸다. 최적 연소 상태는 보일러 내부의 연소 가스의 분포가 고르게 균형 잡힌 상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최적화 영역(OZ)은 균형 영역이 나타내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clearly, the balance area is a combustion gas temperature distribution balance area, and represents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combustion gas inside the boiler is evenly formed. Contrary to the balanced region, the unbalanced reg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combustion gas is unevenly unbalanced. The optimum combustion state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distribution of combustion gases inside the boiler is evenly balanced. Accordingly, the optimization region OZ may include a state indicated by the balance region.

린 영역은 보다 명확히 표현하면 연소 가스 내의 산소가 희박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이 줄어들기도 한다. 반대로, 컴포트 영역은 산소를 넉넉하게 공급하여 편안하게 연소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는 연소 가스의 산소가 많이 측정되고 질소산화물도 많이 생성되는 상태이다. 최적 연소 상태는 이 연소가스의 산소가 희박한 상태임을 포함한다. 최적화 영역(OZ)은 린 영역이 나타내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an region, more clearly expressed, indicates a state in which oxygen in the combustion gas is lean. At this time, the generation of nitrogen oxides (NOX) is also reduced. Conversely, the comfort reg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oxygen is supplied abundantly and combustion is comfortable. In this state, a lot of oxygen in the combustion gas is measured and a lot of nitrogen oxides are also generated. Optimal combustion conditions include the oxygen-lean condition of this combustion gas. The optimization region OZ may include a state indicated by the lean region.

완전 영역은 정확히 표현하자면 연소가 완전 연소인 상태를 얘기한다. 이는 일산화탄소(CO,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의 생성이 희박한 상태이기도 하다. 반대로 불완전 영역은 연소가 불완전 연소인 상태를 표현하며, 이때는 일산화탄소가 상대적으로 많이 생성되는 상태이다. 최적 연소 상태는 이 일산화탄소가 희박한 상태임을 포함한다. 최적화 영역(OZ)은 완전 영역이 나타내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To be more precise, the complete reg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combustion is complete combustion. It is also a state in which the production of carbon monoxide (CO, a gas generated during incomplete combustion) is rare. Conversely, the incomplete region represents a state in which combustion is incomplete combustion, and in this cas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arbon monoxide is generated. Optimal combustion conditions include this carbon monoxide lean condition. The optimization region OZ may include a state indicated by the complete region.

그리고 전술한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계층(L1) 내에서 비 최적화 영역(EZ)이 하나의 영역으로만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 최적화 영역(EZ)은 연소제어인자의 특성에 기반한 연소제어인자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그 상태의 특성에 따라 추가로 복수의 영역으로 더 구분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FIGS. 2 to 7 ,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non-optimized region EZ is divided into only one region in the first layer L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on-optimized region EZ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in order to represent various states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최적화 영역(EZ)은 연소제어인자의 특성에 기반한 연소제어인자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불균형 영역(Unbalanced Zone), 강한 불균형 온도 분포 영역(Strong Unbalanced Temp. Distribution Zone), 컴포트 영역(Comfort Zone), 과도 배출 영역(Excessive Emissions Zone), 불완전 영역(Incomplete Zone), 공기 결핍 영역(Air Deficiency Zone) 및 공기 과다 영역(Excessive Air Zone) 등으로 추가로 더 구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 the non-optimized region EZ includes an unbalanced zone and a strong unbalanced temperature distribution zone according to various states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 Comfort Zone, Excessive Emissions Zone, Incomplete Zone, Air Deficiency Zone and Excessive Air Zone. .

강한 불균형 온도 분포 영역은 불균형 영역보다 더욱 심하게 연소가스의 온도 분포가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심할 경우 보일러 제어시스템에서 비상상태로 분류하여 정상적인 운전이 아닌 안전을 위한 운전으로 제어를 변경할 수 있다. 과도 배출 영역은 연소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이 컴포트 영역보다 더욱 많이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정상적인 운전이 힘들고, 특히 보일러 뒤 단의 후처리 환경설비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공기 과다 영역은 연소가스 내의 잔존 산소가 컴포트 영역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많은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보일러의 효율 하락에 주요 원인이 된다. 공기 결핍 영역은 연소를 위한 산소가 부족한 불완전 영역보다 더욱 산소가 부족한 상태를 얘기하며, 이때는 보일러 효율이 떨어지고, 연소가스나 Ash에서 UBC(Un-Burned Carbon)이 다량 검출되기도 한다. The strong unbalanced temperature distribution reg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combustion gas is more severe than the unbalanced region. In this state, if severe, the boiler control system classifies it as an emergency state, and the control can be changed to an operation for safety rather than a normal operation. The excessive emission region represents a state in which more nitrogen oxides in the combustion gas are generated than in the comfort region. In this case, normal operation is difficult, and in particular, it may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post-treatment environmental facility at the rear stage of the boiler. The excessive air reg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residual oxygen in the combustion ga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the comfort region. In particular, it is the main cause of the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the boiler. The air-deficient reg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oxygen is scarce more than an incomplete region lacking oxygen for combus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Next, a method for displaying the combustion state of the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태산출부(100)는 연소 최적화 제어가 시작되면, S110 단계에서 플랜트제어기(1)로부터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전측정값,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후측정값 및 연소 최적화 목표치로 설정한 값인 기준설정값이 입력되면, 기준백분율을 설정하고, 기준설정값 및 기준백분율을 기초로 최적전측정값 및 최적후측정값을 백분율로 변환하여 최적전백분율 및 최적후백분율을 생성한다. 이러한 최적전백분율 및 최적후백분율은 수학식 1에 따라 산출된다. 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combustion optimization control is started,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from the plant controller 1 in step S110. When the post-optimal measurement value, which is a value measured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nd the reference set value, which is the value set as the combustion optimization target value, are input, the reference percentage is set, and the pre-optimal measurement value and the optimal The post-measurement values are converted to percentages to generate percent before and after optimal. These optimal pre-percentage and post-optimal percentag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이어서, 상태산출부(100)는 S120 단계에서 연소 최적화 이전 대비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측정값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을 산출한다. 이러한 변화율은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된다. Next, the state calculating unit 100 calculates a change rat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s a percentage compared to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in step S120 . This rate of change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2).

다음으로, 영역설정부(200)는 S130 단계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백분율에 따라 제1 계층(L1)을 최적화 영역(OZ) 및 비 최적화 영역(EZ)으로 구분한다. Next, the region setting unit 200 divides the first layer L1 into an optimization region OZ and a non-optimization region EZ according to the reference percentage as shown in FIG. 2 in step S130 .

그런 다음, 영역설정부(200)는 S140 단계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트제어기(1)로부터 표시대상 연소제어인자를 입력 받고, 입력된 표시대상 연소제어인자에 따라 제2 계층(L2)에 인자영역(M: M1, M2, M3, M4)을 할당한다. Then, as shown in FIG. 3 in step S140, the region setting unit 200 receives the display target combustion control factor from the plant controller 1, and according to the inputted display target combustion control factor, the second layer L2 ) to the print area (M: M1, M2, M3, M4).

그런 다음, 영역설정부(200)는 S150 단계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자영역(M: M1, M2, M3, M4) 각각의 형상과 면적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 및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으로 구분한다. Then, the region setting unit 200 equally divides the shape and area of each of the printing regions M: M1, M2, M3, and M4 as shown in FIG. : F1, F2, F3, F4) and post-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최적전상태표시부(300)는 S160 단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전백분율(A2)에 따라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를 최적전상태영역(F: F1, F2, F3, F4)에 표시한다. 여기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FV: FV1, FV2, FV3, FV4)는 최적전백분율(A2)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5 in step S160,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300 displays the optimal pre-state indicator (FV) according to the optimal pre-percentage ratio (A2), which represents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prior to combustion optimization as a percentage. : FV1, FV2, FV3, FV4) is created, and the generated pre-optimal indicator (FV: FV1, FV2, FV3, FV4) is displayed in the pre-optimal state area (F: F1, F2, F3, F4). Here, the optimal pre-state indicators FV: FV1, FV2, FV3, and FV4 have an area proportional to the optimal pre-percentage A2.

다음으로, 최적후상태표시부(400)는 S170 단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후백분율(B2)에 따라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를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에 표시한다.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NV: NV1, NV2, NV3, NV4)는 최적후백분율(B2)에 비례하는 면적을 가진다. Next, as shown in FIG. 6 in step S170 , the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400 displays the post-optimal state according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B2)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The indicator (NV: NV1, NV2, NV3, NV4) is created, and the generated post-optimal state indicator (NV: NV1, NV2, NV3, NV4) is placed in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indicate The post-optimum state indicators NV: NV1, NV2, NV3, and NV4 have an area proportional to the post-optimum percentage B2.

다음으로, 변화율표시부(500)는 S180 단계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최적화 이전 대비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측정값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66.7%, -69.6%, +16.7%, -2.5%)을 최적후상태영역(N: N1, N2, N3, N4)에 표시한다. Next, as shown in FIG. 7 in step S180, the change rate display unit 500 shows the change rate (-66.7%, -69.6%, -69.6%, +16.7%, -2.5%) are displayed in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N: N1, N2, N3, N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등) 일 수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of FIG. 11 may be a device described herein (eg, a device for displaying a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etc.).

도 11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1 ,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 a transceiver device TN120 , and a memory TN130 .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 and the lik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TN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methods, and the lik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ceiver TN1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On the other hand, the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readable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wires such as those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wir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n the abov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플랜트제어기
100: 상태산출부
200: 영역설정부
300: 최적전상태표시부
400: 최적후상태표시부
500: 변화율표시부
1: Plant controller
100: state calculation unit
200: area setting unit
300: optimal state display unit
400: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500: change rate display unit

Claims (11)

보일러 연소에 따라 상태가 변화하는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그래프 상에서 연소 최적화 제어에 따른 목표치의 임계를 구분하는 영역인 제1 계층과, 상기 제1 계층에 중첩되며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연소 최적화 이전과 연소 최적화 이후의 상태를 구분하는 영역인 제2 계층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의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백분율에 따라 나타내는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상태그래프에 표시하는 최적전상태표시부; 및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의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백분율에 따라 나타내는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상태그래프에 표시하는 최적후상태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계층은
할당된 연소제어인자를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자영역은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을 나타내는 최적전상태영역 및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를 나타내는 최적후상태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On the state graph displaying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boiler combustion, the first layer, which is an area for classifying the threshold of the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optimization control, and the first layer overlapping the first layer,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second layer, which is a region that distinguishes states before optimization and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n optimal state display unit for generating an optimal state indicat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prior to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a percentage,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optimal state indicator on the state graph; and
a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for generating a post-optimal state indicat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a percentage,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post-optimal state indicator on the state graph;
includes,
The second layer is
It includes one or more factor areas that distinguish the assigned combustion control factors,
The print area is
The pre-optimal state region indicating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nd the post-optimal state region indicating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evice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the boi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은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임을 나타내는 최적화 영역과,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최적화 영역과 경계선을 통해 구분되어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이 아님을 나타내는 비 최적화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yer is
an optimization region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optimal;
A non-optimization region tha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through a boundary line to indicate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not optimal.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evice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the boiler.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전상태표시부는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의 연소제어인자의 상기 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전상태영역 내의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상기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의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timal state display unit
Displaying that the area of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 increases from the optimized region in the optimal state region to the non-optimized region in proportion to the percentag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 device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the boi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후상태표시부는
상기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상기 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후상태영역 내의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상기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의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st-optimal state display unit
Displaying that the area of the post-optimum indicator increases from the optimization region in the post-optimum state region to the non-optimization region in proportion to the percentag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the combustion optimization
A device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the boi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 최적화 영역은
상기 연소제어인자의 종류에 따른 특성에 기반한 연소제어인자의 다양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영역으로 더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on-optimized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display various states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 device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the boiler.
제1항에 있어서,
연소 최적화 이전 대비 연소 최적화 이후의 연소제어인자의 측정값의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을 표시하는 변화율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hange r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nge rate indicating a percentag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compared to before combustion optimiz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vice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the boiler.
상태산출부가 연소 최적화의 목표치로 설정한 값인 기준설정값 및 상태그래프 상에서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임을 나타내는 영역인 최적화 영역이 차지하는 백분율인 기준백분율을 기초로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전측정값 및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인 최적후측정값을 백분율로 변환하여 최적전백분율 및 최적후백분율을 산출하는 단계;
영역설정부가 상태그래프에 대해 최적화 영역 및 비 최적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계층 및 최적전상태영역 및 최적후상태영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계층과 중첩되는 제2 계층을 설정하는 단계;
최적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전백분율에 따라 생성된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최적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후백분율에 따라 생성된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prior to combustion optimiz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ference set value, which is the value set by the state calculator as the target value for combustion optimization, and the reference percentage, which is the percentage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area, which is an area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optimal on the state graph. converting the pre-optimal measured value, which is the measured value, and the post-optimal measured value, which is a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into percentages to calculate the pre-optimal percentage and the post-optimal percentage;
For the state graph, the region setting unit selects a first layer including an optimized region and a non-optimized region, and one or more factor regions including a pre-optimal state region and a post-optimal state region, and a second layer overlapping the first layer. setting;
displaying, by a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an optimal pre-state indicator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timal pre-percentage in the pre-optimal state area; and
displaying, by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t-optimal percentage in the post-optimal state area;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ethod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a boil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전백분율 및 상기 최적후백분율을 수학식 A2 = A1 × S2 ÷ S1 및 수학식 B2 = B1 × S2 ÷ S1에 따라 산출하며,
상기 S1은 연소 최적화 목표치로 설정한 값인 기준설정값이고,
상기 S2는 상태그래프 상에서 연소제어인자의 상태가 최적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영역인 최적화 영역이 차지하는 백분율인 기준백분율이고,
상기 A1은 상기 최적전측정값이고,
상기 A2는 상기 연소 최적화 이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전백분율이고,
상기 B1은 상기 최적후측정값이고,
상기 B2는 연소 최적화 이후에 연소제어인자의 상태를 측정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최적후전백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lculating step is
The pre-optimal percentage and the post-optimal percentag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A2 = A1 × S2 ÷ S1 and Equations B2 = B1 × S2 ÷ S1,
S1 is a reference set value that is a value set as a combustion optimization target value,
S2 is a reference percentage that is a percentage occupied by the optimization area, which is an area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is in the optimized state on the state graph,
A1 is the pre-optimal measurement value,
A2 is the optimal total percentag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before the combustion optimization,
B1 is the post-optimal measurement value,
Wherein B2 is a percentage before and after the optimum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value of the measurement of the state of the combustion control factor after combustion optimization
A method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a boil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전상태영역은
상기 제1 계층 및 상기 제2 계층이 중첩됨에 따라 상기 최적화 영역 및 상기 비 최적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전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timal state region is
including the optimized region and the non-optimized region a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verlap,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 in the pre-optimal state area comprises:
wherein the pre-optimal state display unit displays the pre-optimal state indicator so that an area increases from the optimized area to the non-optimized area in proportion to the optimal pre-percentage ratio
A method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a boil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후상태영역은
상기 제1 계층 및 상기 제2 계층이 중첩됨에 따라 상기 최적화 영역 및 상기 비 최적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후상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후상태표시부가 상기 최적후상태인디케이터를 상기 최적후백분율에 비례하여 상기 최적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 최적화 영역으로 면적이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timal post-state region is
including the optimized region and the non-optimized region a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overlap,
The step of displaying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in the post-optimal state area comprises:
wherein the post-optimum state display unit displays the post-optimal state indicator so that the area increases from the optimized area to the non-optimized area in proportion to the post-optimum percentage.
A method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us of a boiler.
KR1020200000534A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KR102291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34A KR102291755B1 (en)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KR1020210106741A KR102343929B1 (en) 2020-01-02 2021-08-1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34A KR102291755B1 (en)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41A Division KR102343929B1 (en) 2020-01-02 2021-08-1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374A KR20210087374A (en) 2021-07-12
KR102291755B1 true KR102291755B1 (en) 2021-08-23

Family

ID=768591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534A KR102291755B1 (en)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KR1020210106741A KR102343929B1 (en) 2020-01-02 2021-08-1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41A KR102343929B1 (en) 2020-01-02 2021-08-12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175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325B1 (en) 2017-04-11 2017-11-07 한국플랜트서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 and Control Powdered Coal for Boiler Optimized Combustion of Power Plant
JP6564543B1 (en) 2019-03-14 2019-08-21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Dat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dat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program, and dat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728A (en) * 2006-03-17 2007-09-27 Omron Healthcare Co Ltd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apparatus
KR20130003658A (en) * 2011-06-30 2013-01-09 한국전력공사 Combustio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119467A (en) * 2018-04-12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nergy efficiency diagnosis service of target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325B1 (en) 2017-04-11 2017-11-07 한국플랜트서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 and Control Powdered Coal for Boiler Optimized Combustion of Power Plant
JP6564543B1 (en) 2019-03-14 2019-08-21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Dat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dat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program, and dat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29B1 (en) 2021-12-24
KR20210087374A (en) 2021-07-12
KR20210103992A (en)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1356B2 (en) Control system, control system program,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boiler system
US8888011B2 (en) Controller and boiler system
KR102291755B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combustion state of a boiler and a method therefor
TW202001462A (en) Operation assistance device for plant, operation assistance method for plant, learning model creation method for plant
CN111981504B (en) Natural gas blending combustion gas distribu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CN111878845B (en) Pipe wall temperature uniformity optimization control method for W-shaped flame boiler at starting stage
JP2016126728A (en) Availability factor prediction apparatus and availability factor prediction method
JP5343935B2 (en) Boiler system
CN114645841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matching supply and demand of compressed air system
JP2012247954A (en) Greenhouse gas emission amount management device
CN113094886B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efficiency of oxygen-enriched combustion boiler
JP5162228B2 (en) Boiler equipment
WO2020166126A1 (en) Kpi improvement assistance system and kpi improvement assistance method
EP2423590A2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display method of oxygen combustion boiler plant
US20150107248A1 (en) Oxy fire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112118B2 (en) Gas turbine lower heating value methods and systems
JP5668807B2 (en) Boiler system
JP6680555B2 (en) Gas turbine control device, gas turbin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017175B2 (en) Energy saving support device and energy saving support method
JP2001347948A (en) Inspection planning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 railway vehicle
JP2005107944A (en) Method for calculating exhaust reduction amount of greenhouse effect gas
JP518507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552166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3254161A (en) Plan changing method, plann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991156B2 (en) Boil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