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654B1 -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654B1
KR102291654B1 KR1020190179803A KR20190179803A KR102291654B1 KR 102291654 B1 KR102291654 B1 KR 102291654B1 KR 1020190179803 A KR1020190179803 A KR 1020190179803A KR 20190179803 A KR20190179803 A KR 20190179803A KR 102291654 B1 KR102291654 B1 KR 10229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ant
control system
fail
mode
instrument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101A (ko
Inventor
임재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6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발전소보호계통 신호 및 안전설비작동계통 신호를 보수 시험반으로 전송하는 그룹 제어기; 기 설정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발전소 사고 유형 별 데이터 셋트를 생성하고 기기제어논리회로를 통해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보수 시험반;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제어논리회로는 Fail Mode 설정 신호가 발생하면 D-Flip Flop 논리에 따라 Fail-As-Is Mode 또는 Compulsory Mode로 동작되도록 설계된,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계측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INSTRUMENTATION CONTROL SYSTEM OPTIMIZED FOR POWER PLANT ACCIDENTS AND INSTRUMENTATION CONTROL METHOD}
본 개시는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원자력발전소 설계에서는 사고발생시 요구되는 안전기능 수행을 위해 안전설비작동계통이 발전소보호계통 및 그룹제어기에서 자동으로 기동하며, 발생된 안전설비작동신호(SIAS(안전주입작동신호), CIAS(격납용기 격리 작동신호 등))는 통신망을 통해 기기제어논리가 설치된 루프제어기로 전달된다. 이 안전기기 작동신호는 전용 제어통신망을 이용하여 기기제어논리에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기기의 안전 기능을 위해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원전 안전 계통은 크게 원자로 보호계통(RPS, Reactor Protection System), 원자로 노심 보호계통(Reactor Core Protection System),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ESF-CCS, Engineered Safety Features - Component Control System) 및 주요변수지시 및 감시계통(Qualified Indication and Alarm System - Post accident monitoring instrumenta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로 보호계통은 안전관련 변수들을 감시하고, 상기 안전관련 변수들이 미리 설정된 안전운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원자로 정지신호 및 공학적 안전설비 개시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은 원전에서의 사고 발생시 사고 영향 완화를 위해 펌프, 밸브 등의 공학적 안전설비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자로 노심 보호계통은 원자로 노심의 주요 운전 변수를 입력받아 국부출력밀도(LPD, Local Power Density)와 핵비등이탈율(DNBR, Departure from nucleate boiling ratio)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운전 제한치를 벗어날 때 원자로 정지신호를 원자로 보호계통으로 전달한다. 주요변수지시 및 감시계통은 원자로 수위를 감시하고, 사고 상황시 안전계통 주요변수를 지시하고 경보를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안전계통 중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에 관한 발명으로써, 기존의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은 아날로그 회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결합된 하이브리드형의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과, 디지털 회로로 구성된 디지털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의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은 아날로그 회로와 디지털 회로가 공존함으로써 신호연계의 복잡성과 공학적 안전 설비와 관련된 모든 기기의 수만큼 디지털 제어기 수량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지닌다. 또한 공학적 안전설비의 한 트레인 내에 다수의 기기가 존재하는데, 이 중 하나의 기기 제어가 불가능할 경우 임의의 공학적 안전설비 한 트레인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상술한 하이브리드형의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의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이 디지털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이며, 이는 발전소 보호계통으로부터의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개시신호를 직접 기기제어기에 전달하며, 하나의 공학적 안전설비 기기제어기가 이중화된 발전소 보호계통 내의 동시논리 프로세서로부터 각각 개시신호를 받아 단일 제어 출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시스템은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신호의 발생이 전적으로 발전소 보호계통에 의해 좌우되고,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 내에 어떠한 작동 확인논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전소 보호계통 내에 존재하는 동시논리 프로세서의 오작동시 하나의 공학적 안전설비 트레인이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단일 기기제어기에 의해 이중화된 동시논리 프로세서로부터 받은 복수의 작동신호를 선택하기 때문에 하나의 동시논리 프로세서 고장시 작동여부를 판별하는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Fail-Mode를 설정하여 발전소 안전기능에 대한 백업기능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운전원 조치 부담 및 인적 오류를 경감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은 발전소보호계통 신호 및 안전설비작동계통 신호를 보수 시험반으로 전송하는 그룹 제어기; 기 설정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발전소 사고 유형 별 데이터 셋트를 생성하고 기기제어논리회로를 통해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보수 시험반;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제어논리회로는 Fail Mode 설정 신호가 발생하면 D-Flip Flop 논리에 따라 Fail-As-Is Mode 또는 Compulsory Mode로 동작되도록 설계된,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Fail-As-Is Mode 에서 상기 보수 시험반은 이전의 출력된 정상값을 출력 값으로 루프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ompulsory Mode 에서 상기 보수 시험반은 Fail-Mode의 설정값을 루프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Fail Mode 설정 신호가 설정된 이후에는, 상기 보수 시험반은 발전소 사고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됨에 응답하여 발전소 제어 계통의 출력 모듈의 출력 값을 루프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수 시험반은 안전 계통에서는 MTP이고, 비안전 계통에서는 EWS일 수 있다.
상기 Fail Mode 설정 신호가 설정된 이후에는, 상기 보수 시험반은 원자로건물 고압력, 원자로건물 고고압력, 가압기 저압력, 증기발생기 저압력, 증기발생기 고수위, 증기발생기 저수위, 원자로건물 지역방사능 고준위, 핵연료 취급지역 방사능 고준위, 주제어 실외기 흡입구 방사능 고준위, 공통원인고장 중 하나의 고장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발전소 제어 계통의 출력 모듈의 출력 값을 루프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측 제어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은 Fail-Mode를 설정하여 발전소 안전기능에 대한 백업기능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운전원 조치 부담 및 인적 오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1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계측 제어 시스템에서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안전주입신호가 발생 시에 기기들의 운전 상태에 대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사고 상황 별 안전설비작동계통 개시 신호가 발생되는 감시 대상 변수의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발전소 사고완화를 위해 기존에 설계된 안전기능 신호(발전소보호신호 및 공학적안전설비작동신호)가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계측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고장이 발생 시에는 이 신호들이 유효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계측 제어 시스템은 발전소 사고 발생 시, 계측제어시스템의 고장이 동시에 발생하더라도 모든 기기를 원하는 Fail-Mode로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안전기능 신호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발전소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계측 제어 시스템이 원활하게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Fail-Mode의 설정은 발전소 안전기능에 대한 백업기능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운전원 조치 부담 및 인적 오류를 경감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고 발생시 발전소보호계통 및 안전설비작동계통 등 자동으로 수행되는 안전기능이 존재하나 필수 작동기기를 제외하고는 운전원 수동조치를 요구하고 있어, 계측 제어 시스템의 내부에서 운전원 조치 경감을 수단을 마련하고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운전원이 취해야 할 수동조치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고별 Fail Mode를 정의하고 발전소 사고 상황 발생시 계측 제어 시스템의 출력신호의 Fail-Mode에서, 설정값을 적절하게 전환함으로써 발전소 기기의 Transient 상태를 안정화하고 운전원에 의해 운전됨에 따라 발생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안전설비작동계통의 작동신호 종류는 안전주입작동신호(SIAS), 격납용기 격리 작동신호(CIAS) 등으로 구별되며, 발생되는 사고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 건전성유지, 방사능 누출방지 등의 고유한 안전기능 수행을 실행할 수 있다.
발전소 사고는 PA(Postulate Accident)->DBA(Design Base Accident)->DEC(Design Extensive Condition)->SA(Severe Accident)로 악화될 수 있다. 안전설비작동계통은 설계기준사고(DBA) 발생 시 발전소를 고온정지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다시 말하면, DBA 보다 심각한 원전사고(DEC나 SA) 발생시에는 원전 계측제어계통의 안전기능 수행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그룹 제어기(100), 보수 시험반(200), 루프 제어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에 루프 제어기(300)의 개별 출력 모듈은 CPU 모듈의 고장, 입출력 데이터 모듈의 고장, 통신 모듈의 고장에 대해서, 출력모듈 상태를 결정하는 자가 진단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외부의 제어 전력 또는 코일의 건전성을 계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고장이 발생하면 출력값을 직전에 입력된 정상값으로 유지하거나 미리 결정된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Fail-As-Is 모드로 설정된 경우, 고장 시 출력 값을 직전에 입력된 정상값으로 유지하거나 Fail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고장 시 출력 값을 기 설정된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의 Fail Mode에서 설정되는 설정값은 온라인 상의 다양한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의 Fail Mode는 보수시험반을 통해 온라인으로 수행 가능하며,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설정이 가능하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안전계통의 안전설비작동상황(SIAS, CIAS, CSAS, MSIS, AFAS, CREVAS, FHEVAS, CPIAS 등) 등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설정값을 유지 모드(Fail-As-Is 모드) 또는 강제 모드(Compulsory Mode) 중 하나로 설정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안전계통의 공학적안전설비작동상황(SIAS, CIAS, CSAS, MSIS, AFAS, CREVAS, FHEVAS, CPIAS 등) 발생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기 이외에 다른 기기들의 최적의 Alignment 상황을 조성하기 위해 모든 발전소제어계통 출력모듈의 Fail Mode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안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에 따르면, 발전소 보호 계통 또는 안전설비작동계통의 개시 신호가 발생한 발전소 기기를 대상으로 사고 상황에 맞는 기기별 Fail-Mode의 설정값을 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전소 사고가 악화되어 안전설비작동계통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계측 제어 계통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강제로 안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설비작동계통 또는 발전소 보호 계통의 고장은 제어전원 상실, 외부 코일 고장 등의 하드웨어 고장 뿐만 아니라 진단 기능에 따른 소프트웨어 고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에 따르면, 안전설비작동계통 또는 발전소 보호 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인지하는 그룹 제어기(100)를 포함하고, 그룹 제어기(100)에 의해 인지된 고장에 대해서 보수시험반(200)을 거쳐 기기제어논리회로의 동작 모드가 Fail-Mode로 전환되고 Seal-in 회로에 의해 강제로 Fail-Mode 설정값으로 강제적으로 설정되는 안전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DBA 사고 발생 시 안전설비작동계통이 동작하여 고온정지 상태로 발전소 기기를 유지해야 하나, 심각한 DEC나 SA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계측제어계통 및 안전기능의 동작을 보장할 수 없으며 운전원의 수동조치에 따라서 안전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계되어야 했다.
계측 제어 시스템(10)에 따르면, 발전소 기기 자체의 Fail Mode와 같은 동작 모드는 Seal-in 기술을 적용하여 기기를 안전 기능에 유리한 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Fail Mode로 설정하여 설정 값이 출력되도록 하게 되면 발전소 운전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원의 수동 조치 부담을 경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같은 기기라도 사고 상황별로 다르게 동작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사고 종류 별로 Fail-Mode 데이터 세트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1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그룹 제어기(100', ESF-CCS Group Controller)는 ESFAS 신호 및 CCF 신호를 보수 시험반(200', MTP/EWS)로 전송할 수 있다. 그룹 제어기(100', ESF-CCS Group Controller)는 발전소보호계통 신호 및 안전설비작동계통 신호를 보수 시험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수 시험반(200', MTP/EWS)은 발전소 사고 유형 별 데이터 셋트를 생성하여, 기기제어논리회로(LOGIC)를 통해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보수 시험반(200')은 발전소 사고 유형에 따라서 Fail -Mode가 설정되고, 해당 사고 유형에서 설정되는 설정값들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전소 사고 유형에서는 Fail-Mode가 1로 설정하고, 제2 발전소 사고 유형에서는 Fail-Mode가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발전소 사고 유형에서는 Fail-Mode가 1로 설정되고, 제1 설정값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되고, 제4 발전소 사고 유형에서는 Fail-Mode가 1로 설정되고 제2 설정값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제어논리회로(LOGIC)는 Seal-in 회로를 활용하여 구현가능하다. 기기제어논리회로(LOGIC)는 설정된 Fail Mode 가 발생하면 D-Flip Flop 논리에 따라 Fail-As-Is Mode 또는 Compulsory Mode로 강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Fail-As-Is Mode가 1로 설정된 경우 기존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설계되며, Compulsory Mode가 1로 설정된 경우, Fail Mode 설정값 대로 출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Fail Mode 설정값, Fail-As-Is Mode 신호, Compulsory Mode 신호는 데이터 세트의 형태로 보수 시험반(200')로부터 정보망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계측 제어 시스템에서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그룹 제어기에서 보수 시험반으로 전달하는 경로에 대한 도면이다.
그룹 제어기(100")에서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는 발전소보호계통 신호 및 안전설비작동계통 신호가 발생하면 안전계통 및 비안전계통 통신망을 통해 보수시험반(200a", 200b")으로 전달된다. 안전 계통의 보수 시험반(200a")은 MTP이고, 비안전 계통의 보수 시험반(200b")은 EWS일 수 있다.
그룹 제어기(100")에서 발생한 신호는 채널 게이트웨이(PATH)를 거쳐서 비안전계통의 보수 시험반(200b")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보수 시험반에서 루프 제어기로 Fail Mode 설정값에 따라서 Fail-As-Is Mode 신호 또는 Compulsory Mode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에 대한 도면이다.
보수 시험반(200a", 200b")에서 루프 제어기(300a", 300b")로 Fail-As-Is Mode 신호 또는 Compulsory Mode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가 전달된다.
보수 시험반(200a", 200b")는 발생한 사고 상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기별 Fail Mode 설정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루프제어기(300a", 300b")의 기기제어논리로 전송한다.
도 5 및 도 6은 안전주입신호가 발생 시에 기기들의 운전 상태에 대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계측 제어 시스템(10)에 따르면, 정상 운전시 안전주입 신호 또는 유로는 생성되지 않고 안전주입신호 발생시 안전 주입 펌프를 동작시키고 안전주입격리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안전주입계통의 기기제어 논리회로가 Fail-Mode로 설정되면,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고장 상황에서도 기기로 기 설정된 설정값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 제어 시스템(10)은 안전주입펌프나 격리 밸브 뿐만 아니라 계통 내 모든 기기에 대한 Fail-Mode 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정의하고 설정 정보에 따라서 안전 기능을 위한 기기 배열을 수행하고 발전소 사고 상황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F 알람 장치에서 안전주입신호가 발생되면, Fail-Mode의 설정 여부에 따라서 출력값이 강제 설정될 수 있다. 출력값은 Fail-Mode에서 설정된 값 및 이전에 정상 동작시, 출력 값 중 하나로 강제 설정될 수 있으며, 출력값의 강제 설정은 안전주입펌프나 격리 밸브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그룹 제어기 200: 보수시험반
300: 루프 제어기 10: 계측 제어 시스템

Claims (6)

  1. 발전소보호계통 신호 및 안전설비작동계통 신호를 보수 시험반으로 전송하는 그룹 제어기;
    기 설정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발전소 사고 유형 별 데이터 셋트를 생성하고 기기제어논리회로를 통해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보수 시험반;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제어논리회로는
    Fail Mode 설정 신호가 발생하면 D-Flip Flop 논리에 따라 Fail-As-Is Mode 또는 Compulsory Mode로 동작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Fail-As-Is Mode에서 상기 보수 시험반은
    이전의 출력된 정상값을 출력 값으로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계측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mpulsory Mode에서 상기 보수 시험반은
    Fail-Mode의 설정값을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계측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ail Mode 설정 신호가 설정된 이후에는, 상기 보수 시험반은
    발전소 사고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됨에 응답하여 발전소 제어 계통의 출력 모듈의 출력 값을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계측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시험반은
    안전 계통에서는 MTP이고, 비안전 계통에서는 EWS인,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계측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ail Mode 설정 신호가 설정된 이후에는, 상기 보수 시험반은
    원자로건물 고압력, 원자로건물 고고압력, 가압기 저압력, 증기발생기 저압력, 증기발생기 고수위, 증기발생기 저수위, 원자로건물 지역방사능 고준위, 핵연료 취급지역 방사능 고준위, 주제어 실외기 흡입구 방사능 고준위, 공통원인고장 중 하나의 고장이 감지됨에 응답하여 발전소 제어 계통의 출력 모듈의 출력 값을 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의 계측 제어 장치.
KR1020190179803A 2019-12-31 2019-12-31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 KR10229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03A KR102291654B1 (ko) 2019-12-31 2019-12-31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03A KR102291654B1 (ko) 2019-12-31 2019-12-31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101A KR20210086101A (ko) 2021-07-08
KR102291654B1 true KR102291654B1 (ko) 2021-08-19

Family

ID=7689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803A KR102291654B1 (ko) 2019-12-31 2019-12-31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6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38B1 (ko) 2018-09-11 2019-07-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542A (ko) * 2000-01-26 2001-08-16 이종훈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발전소 보호 계통
KR101554388B1 (ko) * 2013-09-27 2015-09-18 한국원자력연구원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 및 그 운영 방법
KR101710683B1 (ko) * 2015-08-11 2017-02-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논리 게이트 소자를 사용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계통 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38B1 (ko) 2018-09-11 2019-07-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101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L1Simplex: Fault-tolerant control of cyber-physical systems
CN107484430A (zh) 一种用于核电厂的安全系统及其操作方法
KR101554388B1 (ko)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 및 그 운영 방법
KR101244015B1 (ko) 독립적 다중화 구조를 갖는 통합원전안전계통 및 구성 방법
EP3882924A1 (en) Failure downgrade running method and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control room
EP2602794B1 (en) Control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KR102291654B1 (ko) 발전소 사고 상황에 맞게 최적화된 계측 제어 시스템 및 계측 제어 방법
Pavlova et al. Steam line break investigation at full power reactor for VVER-1000/V320
CN107945897B (zh) 核电事故处理的方法及装置
KR100859236B1 (ko) 디지털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 및 그 시험 방법
CN113972019A (zh) 核电厂事故处理策略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681978B1 (ko) 이종 제어기기를 포함하는 원자로 보호계통
US20200082952A1 (en) Nuclear power plant defense-in-depth safety apparatus having diversity
KR100850484B1 (ko)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의 트립설정치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0857145B1 (ko) 통합 디지털 공학적 안전설비-기기제어계통 및 그 방법
KR101831398B1 (ko) 다양성보호계통시스템
US200301129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ystem
KR101245049B1 (ko) 원전 다중구조 적응형 제어기기 및 방법
Kumar et al. A review of defences against common cause failures in reactor protection systems
Yoshikawa et al. Integrated functional modeling method for configuring NPP plant DiD risk monitor and its application for AP1000
Clark et al. Using Systems Theoretic Perspectives for Risk-Informed Cyber Hazard Analysis in Nuclear Power Plants.
Arians et al. Concepts for the architecture of digital I&C systems in NPPs and approaches for their assessment
Wei-zhi et al. Study of AP1000 Protection System Based on FirmSys
Guler Yigitoglu et al. A New Layer to the PRA: Operational Performance Risk Assessment
Kim et al. Regulatory Experience against Digital I&C CCFs of NP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