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36B1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36B1
KR102291436B1 KR1020190104354A KR20190104354A KR102291436B1 KR 102291436 B1 KR102291436 B1 KR 102291436B1 KR 1020190104354 A KR1020190104354 A KR 1020190104354A KR 20190104354 A KR20190104354 A KR 20190104354A KR 102291436 B1 KR102291436 B1 KR 10229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et
song image
points
transa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773A (ko
Inventor
김희배
김규엽
윤현근
류태희
장재훈
한준희
최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9010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36B1/ko
Priority to US17/604,989 priority patent/US20220215360A1/en
Priority to PCT/KR2019/011458 priority patent/WO2021040113A1/ko
Publication of KR2021002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773A/ko
Priority to KR1020210105530A priority patent/KR102485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 노래영상의 제공자에게 합리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서 포인트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oint Distribution Method Using Block chain Network in Karaoke App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 노래영상의 제공자에게 합리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서 포인트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70년 일본에서 노래방이 탄생한 이래 아시아에서는 노래방은 여전히 성업 중이다. 인터넷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달은 오프라인 노래방을 온라인 노래방 플랫폼으로 탄생하게 하였다. 2017년 일본 노래방 백서에 따르면 2016년 일본에서의 노래방 인구는 4700만 명에 이르고, 최근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한 중국 텐센트뮤직의 경우 온라인 노래방 플랫폼의 월 실질 사용자수가 8억 명에 이른다.
기존 노래방(노래방) 앱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는 일부 제공되는 무료 곡을 테스트 해보고, 유료 결제를 진행한 후 다양한 노래를 부를 수 있었다.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저작권과 음원 비용, 및 서비스서버 유지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유료서비스는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유료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모집을 위해 마케팅을 하더라도 상당수의 경우 유료화로 인해 다시 이탈이 되기 때문에, 실 사용자의 수가 줄어들고, 서비스 운영 측에서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노래방 앱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모든 플랫폼/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하고 사용하지만, 사용자가 노래(및 영상) 녹음을 통하여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에 대한 보상은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기존의 노래방 앱 서비스에서는 노래를 부르는 것 외의 다른 즐거움을 가지기는 어려웠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것은 매우 드물었다.
또한, 이와 같은 보상에 대한 내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비용 및 투명성 등에 있어서 대안이 없었다.

선행특허 1(한국공개특허 10-2018-0014004)는 서버 기반으로 노래의 가사 파일, 오리지널 오디오 파일 및 반주 오디오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가사 파일은 가사 표시 시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서버는 제1 가사 부분 및 제2 가사 부분을 얻도록 가사 파일을 분할하고, 가사 분할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는 타겟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 오디오 파일은 제1 가사 부분에 대응하는 표시 시간에 반주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고 제2 가사 부분의 표시 시간에 상기 오리지널 오디오 파일을 출력함으로써 얻어지고, 및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된 가라오케 요청을 수신한 후에, 서버는 타겟 오디오 파일 및 가사 분할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여, 클라이언트가 반주 오디오 로서 타겟 오디오 파일을 사용하고 가사 분할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가라오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 노래영상의 제공자에게 합리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서 포인트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해 포스팅을 하거나 혹은 타인의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사용자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포스팅된 상기 노래영상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신한, 특정 사용자의 지갑으로부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에 대하여 대한 포인트 이동을 요청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수신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을 요청하는 기록요청단계;를 포함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신규 사용자의 가입에 따라 신규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1 이상의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지갑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사용자단말기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 입력에 따른 상기 트랜잭션수신단계 및 상기 기록요청단계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이 보유하는 포인트는 증가하고, 상기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는 외부의 다른 지갑으로의 전달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설정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기설정된 후원기간이 만료한 후에,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일부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한 사용자의 일부 및 해당 노래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되는 포인트분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을 포함하고, 서버시스템에서 설정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기설정된 후원기간이 만료한 후에,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모듈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일부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한 사용자의 일부 및 해당 노래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하는 것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랜잭션 수신단계에서의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상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이동이 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상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및 이동이 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 중 1 이상의 정보에 대한 해쉬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랜잭션은 해당 노래영상의 제공자가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포스팅트랜잭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제1후원기간 동안에 제3자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서포트트랜잭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1후원기간 이후의 제2후원기간 동안에 제3자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기프트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는 상기 포스팅트랜잭션, 상기 서포트트랜잭션, 및 상기 기프트트랜잭션에 따른 포인트의 이동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요청단계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모듈에서 상기 트랜잭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은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저장되는 노래영상에 대한 예치포인트를 받는 예치 지갑의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트랜잭션은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영상의 서버시스템으로의 저장의 비용으로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상기 예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예치트랜잭션; 및 상기 예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회수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트랜잭션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탈퇴하거나 혹은 해당 노래영상을 서버에서 삭제하는 경우에 수행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으로 구현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해 포스팅을 하거나 혹은 타인의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사용자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포스팅된 상기 노래영상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특정 사용자의 지갑으로부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에 대하여 대한 포인트 이동을 요청하는 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수신부;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을 요청하는 기록요청부;를 포함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 또한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제공하는 후원 방식의 도입으로 노래영상의 제공자에게 합리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운영과 관련된 저작권 및 시스템 운영 비용을 시스템 내부에서 창출할 수 있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생산한 노래 콘텐츠별로 지갑을 형성하고, 해당 콘텐츠에 공감한 다른 사용자들의 후원을 통하여 적립된 포인트를 유저 및 후원한 다른 사용자에게 돌려줌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보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따른 포인트의 이동, 및 내역을 공정성 있고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고, 포인트 관리에 대한 시스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노래영상 포스팅 및 후원 등의 기능에 따라 사용자들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참여를 도모하고, 사용자들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참여가 증가될 수도록,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의 가치가 높아지고, 높아진 포인트 가치에 의하여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사용자들의 더욱 많은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선순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포인트 분배 방법이 수행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포인트 분배 방법의 수행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시스템, 및 노래영상 각각의 계정 혹은 지갑에서의 보유 포인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자신의 지갑을 확인하는 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된 노래영상의 순서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후원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 및 제2후원단계에서의 일부 수행단계들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 혹은 제2후원단계에서의 일부 수행단계들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 혹은 제2후원단계에서의 후원을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노래영상에 대한 포인트 누적 및 이에 대한 분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 방법의 세부 단계를 수행하는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접속모듈과 노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갑생성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지갑 및 노래영상 지갑과 관련된 포인트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관리 방법의 단계에 따른 노래영상 지갑에서의 포인트의 현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접속모듈의 노드에서의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에서의 노래영상의 저장 등의 동작에 따른 포인트의 예치 등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에서 관리되는 포인트에 대한 통화량의 상태 변화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모듈”, “컴포넌트”에 대한 해석도 전술한 “~부”에 따르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스마트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포인트”는 본 발명의 방법 혹은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시스템 내부에서의 토큰, 포인트, 가상화폐, 금전, 혹은 실제 금전에 상응하는 요소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소유자 사이에서 이동이 발생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는 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는 상기 서버시스템 외부의 시스템에서 다른 재화 혹은 토큰, 포인트, 가상화폐, 금전, 혹은 금전에 상응하는 요소 등과 교환될 수 있는 무형의 재화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의 일 예로는 상기 서비스서버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큰, 혹은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외부의 거래소에서 다른 토큰(가상화폐 등)과 교환이 될 수 있는 가상화폐가 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는 금전적 가치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서버시스템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트랜잭션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인트”는 상기 서버시스템에 노드 전체 혹은 전체 일부가 관련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장부에 기록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포인트 분배 방법이 수행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부르고자 하는 노래를 선택하고, 동시에 이어폰 등을 통하여 노래의 배경음악을 들으면서,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하여 자신의 노래를 녹음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등록절차를 통하여 서버시스템(1000)에 사용자를 등록하고,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시스템(1000)으로 제공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인터랙션함으로써 사용자가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후술하는 포스팅, 후원, 지갑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시스템(1000)은 1 이상의 메모리 및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시스템(10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동작하는 것을 관리하고, 사용자들의 정보, 음원데이터, 노래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사용자들의 포인트를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서버시스템(1000)은 단일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버시스템(100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직접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비스서버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서버 및/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래방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다른 이용자와의 인터랙션 기능(예를들어 댓글달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노래영상을 포스팅하고, 이에 따라 후원 및 분배 등을 진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포인트 분배 방법의 수행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포인트 분배의 전체 과정에서는 전술한 사용자단말기와의 인터랙션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서버시스템(1000)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100에서는 노래영상을 포스팅하고자 하는 노래영상제공자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노래영상에 대하여 제3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수행하는 포스팅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100에서는 노래영상이 상시 서버시스템(1000) 내에 포스팅된다. 이후 해당 노래영상은 제3자도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 노래영상제공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포인트를 후원 혹은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계 S200에서 보다 많은 후원자를 모집할 수도 있다.
단계 S200에서는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상기 포스팅된 노래영상을 제3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하고자 하는 후원자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후원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후원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제1후원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200에서는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후원한 포인트가 누적된다. 상기 단계 S200에서는 노래영상과 함께 해당 노래영상에 누적된 포인트(초기포인트+제1후원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상기 제1기간이 지난 후에, 기설정된 제2기간 동안 상기 포스팅된 노래영상을 제3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하고자 하는 후원자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후원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후원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제2후원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300에서는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후원한 포인트가 누적된다. 상기 단계 S200에서는 노래영상과 함께 해당 노래영상에 누적된 포인트(초기포인트+제1후원포인트+제2후원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후원단계가 수행되는 기간 보다, 제2후원단계가 수행되는 기간이 길다. 예를들어, 제1후원단계가 수행되는 기간은 1주이고, 제2후원단계가 수행되는 기간은 4주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누적된 포인트를 해당 노래영상을 포스팅한 사용자 및 상기 제1기간 동안 후원한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분배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노래영상제공자에게는 노래영상제공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제1후원단계에서 후원한 후원자에게 후원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다.
제1후원단계에서의 후원자들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뿐만 아니라, 이후 제2후원단계에서의 후원 내역에 따른 수익금 분배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분배방법은 보다 많은 사용자가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제1후원단계에서 자신이 생각하기에 유망하다고 판단되는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함으로써,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후원단계에서는 순수하게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을 수행하는 사람들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노래영상에 대해 누적된 포인트는 노래영상제공자, 제1후원단계에서의 후원자, 및 시스템운영주체로 분배된다. 이와 같은 분배를 통하여 보다 많은 노래영상제공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동시에 노래영상제공자는 보다 수준 높은 노래영상을 포스팅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동시에 후원자가 될 수 있는 사용자들을 보다 많이 본 서비스에 참여시킬 수 있고, 이들의 후원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서버시스템(1000)의 전체 혹은 서버시스템(1000)의 일부를 운영하는 시스템운영주체에게 누적된 포인트가 분배됨으로써, 시스템운영주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1000)의 운영, 음원 저작권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불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무료 형태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혹은, 시스템운영주체가 저작권자 등을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1000)에서의 사용자, 시스템, 및 노래영상 각각의 계정 혹은 지갑에서의 보유 포인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해 포스팅을 하거나 혹은 타인의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 각각은 자신의 지갑(혹은 주소)을 보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는 각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지갑에서의 포인트를 이용 혹은 차감하여, 노래영상을 저장하거나, 노래영상을 포스팅하거나 혹은 타인의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노래영상 각각은 자신의 지갑(혹은 주소)을 보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는 각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1후원단계 및 제2후원단계를 통하여 해당 노래영상에 후원을 수행하게 되면,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되는 포인트가 누적된다.
이후, 제2후원단계가 완료되면, 해당 상기 노래영상에 누적된 포인트는 상기 제1후원단계에서의 후원자의 지갑, 노래영상제공자의 지갑, 및 시스템운영주체의 지갑으로 분배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운영주체는 자신의 지갑(혹은 주소)을 보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는 각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운영주체의 지갑은 단일의 지갑이 아닌 복수의 지갑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각각의 지갑에서 보유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지갑에서 보유하는 총 포인트 형태로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서 기록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갑에서 일어난 트랜잭션이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트랜잭션을 종합하여 각각의 지갑에서의 보유 포인트를 도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갑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지칭하는 지갑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갑은 전자서명과 관련된 암호화키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서버시스템(1000)은 비대칭키 방식이 적용되고, 해당 지갑의 주소는 공개키에 해당하고, 해당 지갑에 대한 트랜잭션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입력 혹은 저장된 개인키에 의하여 서명되어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서 검증이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101에서는 서버시스템(1000)은 사용자단말기에 녹음을 수행할 노래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예를들어 검색입력, 카테고리 입력 등)에 따라 녹음을 수행할 노래들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02에서는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을 통하여 자신이 녹음을 수행할 노래를 선택한다.
단계 S103에서는, 서버시스템(1000)은 노래영상제공자의 사용자단말기에 녹음을 수행할 배경음원을 제공한다. 상기 배경음원은 반주, MR, 혹은 반주음원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 S104에서는, 사용자단말기에서는 수신한 배경음원이 재생되고, 사용자는 이어폰 등을 통하여 배경음원을 듣고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 등을 통하여 녹음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성만을 녹음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설시예에서는 음성녹음이 되면서 동시에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녹음 및/또는 영상촬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S105에서는 상기 서버시스템(1000)은 상기 노래영상제공자의 사용자단말기에서 녹음이 수행된 음성정보 혹은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06에서는 상기 노래영상제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배경음원에 대해 상기 음성정보 혹은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가 결합된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 저장하는 서버저장단계가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S104를 통하여 수행한 녹음에 대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서는 확인을 할 수 있지만, 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단계 S105 및 S106을 통하여 서버시스템(1000)에 저장한 후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시스템(1000)에 저장된 자신의 노래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계 S107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자신의 지갑에서 일정 포인트를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 지급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지급된 포인트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를 삭제하거나 혹은 서버시스템(1000)에서 탈퇴할 때 반환 받을 수 있다. 이는 서버시스템(1000)에서 존재하는 지갑들에서 유동할 수 있는 포인트의 일부를 시스템운영주체와 관련된 계좌에 예치(DEPOSIT)함으로써 일종의 포인트의 스테이킹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포인트의 총량에는 변화가 없더라도 유동할 수 있는 포인트를 감소시켜, 포인트의 가치를 보다 높이기 위함이다. 특히, 포인트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하여 운영되는 가상화폐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스테이킹을 통하여 가상화폐의 가치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계 S108에서는 상기 노래영상제공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저장된 노래영상에 대한 포스팅을 요청하고, 단계 S109에서는 상기 노래영상제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서버시스템(1000)에 저장된 노래영상을 제3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포스팅하는 포스팅입력단계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S108 및 S109에서 노래영상제공자는 자신이 포스팅하고자 하는 노래영상에 대해 스스로 후원을 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후원단계에서 포스팅되는 노래영상의 리스트 등의 디스플레이 순서는 해당 노래영상에 누적된 포인트에 기초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이 제1후원단계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초기에 노출이 되게 하기 위하여,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해 포인트를 후원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팅단계에서는 노래영상제공자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입력하는 포인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1후원단계에서는, 각각의 노래영상에 대해 누적된 후원포인트에 따라 순서가 정렬되어, 제3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단계 S108 및 S109에서 스스로 후원한 포인트의 양에 기초하여, 분배단계에서의 노래영상제공자에 대한 포인트 분배가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노래영상제공자가 S108 및 S109에서 스스로 포인트를 많이 후원할수록 이후의 분배단계에서 자신이 제공받을 수 있는 포인트의 양이 높아질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저장단계 및/또는 상기 포스팅입력단계에서는 상기 노래영상제공자가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가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저장단계에서 노래영상제공자가 사용해야 하는 포인트는 일정량으로 고정되고, 상기 포스팅입력단계에서 노래영상제공자가 사용하는 포인트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A)는 전술한 단계 S101 및 단계 S102가 수행될 때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이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탭(“듀엣초대”, “인기곡”, 최신곡”)을 선택하거나 혹은 검색을 수행하여 추출된 노래리스트에서 자신이 부르고자하는 노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전술한 단계 S104가 수행될 때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면서 노래를 녹음할 수도 있지만,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지 않고 노래만을 녹음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 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의 (A)는 단계 S106을 수행할 때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정 포인트를 사용하여야만 해당 노래영상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이 해당 노래영상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된 포인트는 시스템운영주체 등의 지갑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인트를 사용하는 저장을 위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입력한 사용자 비밀번호가 검증된 경우에만 포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버시스템(1000)에서의 포인트 사용은 기본적으로 사용자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도 6의 (B)는 단계 S108이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혹은 예치)로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의 검증에 따라 해당 노래의 포스팅 및 자기 후원(혹은 예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자신의 지갑을 확인하는 화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통하여 자신이 서버시스템(1000)에서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 총량, 및 자신이 사용하거나 혹은 자신이 얻는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팅된 노래영상의 순서정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1000)에서 사용자단말기로 보여주는 포스팅된 노래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 순서는 각각의 노래영상에 누적된 포인트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통하여, 후원자들의 제1후원단계에서의 후원 및 노래영상제공자의 포스팅단계에서의 후원을 유도하고, 높은 수준의 노래의 경우 보다 많은 노출 및 이에 따른 보다 많은 후원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201에서는 각각의 노래영상의 후원포인트의 크기에 따라 순서가 정렬된 노래영상의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202에서는 사용자단말기의 노래영상 선택 입력이 상기 서버시스템(1000)으로 송신되고, 단계 S203에서는 해당 노래영상을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203에는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예를들어 해당 노래영상에 누적된 포인트,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댓글 등도 사용자단말기에 전송되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버시스템(1000)은 상기 제1후원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1후원정보는 사용자가 후원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205에서는 상기 제1후원정보에 따라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포인트를 누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후원단계에서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자의 제1후원정보에 따른 후원은 철회가 허용되지 않는다. 이는 보다 공정한 방법으로 후원 및 배분을 진행하고, 현재 노래영상의 포인트를 믿고 후원한 사람들의 신뢰이익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후원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301에서는 각각의 노래영상의 후원포인트의 크기에 따라 순서가 정렬된 노래영상의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302에서는 사용자단말기의 노래영상 선택 입력이 상기 서버시스템(1000)으로 송신되고, 단계 S303에서는 해당 노래영상을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단계 S303에는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예를들어 해당 노래영상에 누적된 포인트,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댓글 등도 사용자단말기에 전송되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버시스템(1000)은 상기 제2후원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2후원정보는 사용자가 후원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305에서는 상기 제1후원정보에 따라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포인트를 누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 및 제2후원단계에서의 일부 수행단계들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의 (A)는 제1후원단계와 관련된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1000)은 포스팅된 노래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카테고리 선택에 따라서 제1후원단계가 수행되고 있는 노래영상을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의 (A)에서는 “주간인기” 탭이 선택되어 있고, “주간인기” 탭에 해당하는 노래영상이 제1후원단계가 수행되고 있는 노래영상에 해당한다.
도 11의 (A)에서와 같이 노래영상들은 누적된 포인트의 순서로 정렬되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현재 시점에서 제1후원단계가 수행되고 있는 복수의 노래 중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 혹은 가장 상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노래영상 혹은 노래영상의 식별정보는 가장 많은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는 노래영상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방식에 의하면 높은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는 노래영상일수록 사용자들에게의 노출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11의 (B)는 제2후원단계와 관련된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1000)은 포스팅된 노래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카테고리 선택에 따라서 제2후원단계가 수행되고 있는 노래영상을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의 (B)에서는 “월간인기” 탭이 선택되어 있고, “월간인기” 탭에 해당하는 노래영상이 제2후원단계가 수행되고 있는 노래영상에 해당한다.
도 11의 (B)에서와 같이 노래영상들은 누적된 포인트의 순서로 정렬되어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현재 시점에서 제2후원단계가 수행되고 있는 복수의 노래 중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 혹은 가장 상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노래영상 혹은 노래영상의 식별정보는 가장 많은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는 노래영상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방식에 의하면 높은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는 노래영상일수록 사용자들에게의 노출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 혹은 제2후원단계에서의 일부 수행단계들에서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는 도 11에서 특정 노래영상을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도 12의 (A)는 해당 노래영상에서의 영상, 해당 노래영상의 노래에 대해 녹음을 수행할 수 있는 선택아이콘, 댓글, 보유 포인트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한편, 도 12의 (B)는 해당 노래영상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 및 이에 대한 후원 입력을 할 수 있는 선택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후원단계 혹은 제2후원단계에서의 후원을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B)에서 후원 입력을 할 수 있는 선택아이콘을 선택했을 때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후원하고자 하는 포인트 및 지갑의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포인트를 사용하여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1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노래영상에 대한 포인트 누적 및 이에 대한 분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팅 이후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포인트는 계속 누적되어 증가하게 된다. 이후 제2후원단계에서의 기간이 지난 후에, 전술한 분배단계가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단계는, 상기 제1후원단계에서 후원을 수행한 후원자에 대한 분배는 상기 제1후원단계에서 후원자의 후원포인트 크기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예를들어, 총 누적포인트가 100이고, 이 중 제1후원단계에서의 후원자에게 30의 포인트가 배분된다고 하고, 제1후원단계의 전체 후원자가 후원자 A 및 B가 있고, 후원자 A가 2포인트를 후원하였고, B가 1포인트를 후원하였다고 한다면, A는 20 포인트를 후원받고, B는 10포인트를 후원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단계는, 상기 제1후원단계에서 후원을 수행한 후원자에 대한 분배는 상기 제1후원단계에서 후원자의 후원포인트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 포인트를 결정하여, 배분을 수행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1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1000)은 1 이상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관리모듈(1100) 및 노래영상, 사용자 정보, 포인트 정보 등이 저장되는 DB(1200)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가 서버시스템(1000)을 구성할 때의 실시예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형태는 일반적인 앱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로 서버시스템(1000)이 구축된 경우에 해당한다.
도 15의 (B)는 포인트와 관련된 생성, 후원, 사용, 분배, 지갑 보유 포인트 등 중 1 이상에 대한 내역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이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15의 (B)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인트와 관련된 생성, 후원, 사용, 분배, 지갑 보유 포인트 등 중 1 이상에 대한 내역이 서버시스템(1000)의 DB(12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저장되어 있거나 혹은 포인트와 관련된 생성, 후원, 사용, 분배, 지갑 보유 포인트 등 중 1 이상에 대한 내역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해당한다.
도 15의 (B)의 실시예에서는 일단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서비스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서비스서버에는 기능별 데몬 과 같은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이 포함되어 있고, 이와 같은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에 의하여 상기 포인트와 관련된 내역이 블록에 기록된다. 이는 포인트와 관련된 내역에 대하여 위변조가 금지되고, 그 진위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1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의 (A)는 포인트와 관련된 생성, 후원, 사용, 분배, 지갑 보유 포인트 등 중 1 이상에 대한 내역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이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16의 (A)의 일 실시예에서는 포인트와 관련된 생성, 후원, 사용, 분배, 지갑 보유 포인트 등 중 1 이상에 대한 내역이 서버시스템(1000)의 DB(12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저장되어 있거나 혹은 포인트와 관련된 생성, 후원, 사용, 분배, 지갑 보유 포인트 등 중 1 이상에 대한 내역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해당한다.
도 16의 (A)의 실시예에서는 일단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서버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포인트와 관련된 내역에 대해서는 서비스서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이 수행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한편, 도 16의 (B)는 서비스서버에는 기능별 데몬 과 같은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이 포함되어 있고, 일부는 이와 같은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에 의하여 상기 포인트와 관련된 내역이 블록에 기록되고, 일부는 사용자단말기에서 바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는 형태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서버시스템(10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해당하고, 서버시스템(1000)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 방법의 세부 단계를 수행하는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포스팅단계, 제1후원단계, 제2후원단계, 및 분배단계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시스템이 전술한 서버시스템(1000)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시스템(1000)은 노래영상을 포스팅하고자 하는 노래영상제공자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노래영상에 대하여 제3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수행하는 포스팅부(1110);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상기 포스팅된 노래영상을 제3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하고자 하는 후원자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후원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후원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제1후원부(1120); 상기 제1기간이 지난 후에, 기설정된 제2기간 동안 상기 포스팅된 노래영상을 제3자의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하고자 하는 후원자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후원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후원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포인트를 누적하는 제2후원부(1130);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누적된 포인트를 해당 노래영상을 포스팅한 사용자 및 상기 제1기간 동안 후원한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분배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팅부(1110), 제1후원부(1120), 제2후원부(1130), 및 분배부(1140)는 단일의 컴퓨팅 장치 내부에서 구현되거나 혹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스팅부(1110), 제1후원부(1120), 제2후원부(1130), 및 분배부(1140) 중 일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이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스팅부(1110), 제1후원부(1120), 제2후원부(1130), 및 분배부(1140) 중 1 이상의 요소 각각이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분배단계의 일부는 서비스서버에서 이루어지고 및 나머지 일부는 블록체인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7의 (A)는 상기 포스팅부(1110), 제1후원부(1120), 제2후원부(1130), 및 분배부(1140)가 하나의 서비스서버의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에 포함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7의 (B)는 상기 포스팅부(1110), 제1후원부(1120), 제2후원부(1130), 및 분배부(1140) 중 일부, 예를들어 분배부(114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컨트랙트의 일부로 수행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7의 (B)의 다른 변형예로서, 전술한 분배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접속모듈(1300) 및 스마트컨트랙트의 일부에 의하여 구현이 되거나, 혹은 전술한 분배단계는 어플리케이션관리모듈(1100)의 일부, 블록체인접속모듈(1300), 및 스마트컨트랙트의 일부에 의하여 구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전술한 포스팅단계, 제1후원단계, 제2후원단계, 및 배분단계에 대한 서버시스템(1000) 내에서의 수행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포스팅단계, 제1후원단계, 제2후원단계, 및 배분단계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조합 및/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적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른 서버시스템에서의 포인트 관리는 서버스서버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보다 포인트에 대한 공정하고 투명한 관리 및 분배에 대한 사용자에 대한 엄격한 보증을 관리하기 위하여, 도 15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실시예들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포인트에 대한 내역을 기록하는 구성을 포함하였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고, 이에 따라 포인트 이동, 분배에 대한 투명하고 공정한 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사용자 참여를 더욱 유도하고, 포인트 자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또는 포인트 분배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다른 방식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른 포인트의 관리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 및 포인트 분배 방법과 관련된 설명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도 1 내지 17에서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 등은 생략될 수도 있고, 이하에서는 포인트의 관리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은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버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00), 및 블록체인네트워크, 서비스서버(1000) 내부에 종속되거나 혹은 독립적인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블록체인접속모듈(1300)(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접속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시스템은 블록체인네트워크의 전체 노드를 포함하는 것이 아닌 블록체인네트워크의 일부 노드만을 포함하는 경우도 해당한다.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버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00), 및 블록체인접속모듈(130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해 포스팅을 하거나 혹은 타인의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는 이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사용자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포스팅된 상기 노래영상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시스템 운영주체와 관련된 1 이상의 지갑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갑의 현황의 상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지갑을 통하여 사용자, 노래영상, 시스템 운영주체는 각자의 포인트를 보유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각자의 보유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각각의 보유포인트의 총량이 각 지갑별로 기록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발신지갑, 수신지갑, 및 이동된 포인트의 정보와 같은 트랜잭션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이와 같은 트랜잭션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지갑의 총 보유 포인트를 도출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에는 지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 내부의 어플리케이션의 지갑모듈 등에서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판단하고, 정당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서버시스템으로의 일부 데이터 전달 혹은 요청(예를들어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다른 지갑으로의 포인트 이동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서버시스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트랜잭션을 유효하게 기록 밑/또는 검증하기 위한 개인키가 암호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고유정보(예를들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고유정보에 의하여 개인키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개인키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개인키에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서버시스템으로의 일부 데이터 전달 혹은 요청(예를들어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다른 지갑으로의 포인트 이동 요청)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혹은 이에 따른 포인트와 관련된 다양한 내역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갑의 생성 및 전술한 포스팅, 후원 등을 통한 포인트의 이동, 및 후원이 완료된 후의 분배에 대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의 관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 S1000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신규 사용자의 가입에 따라 신규 지갑을 생성 및 상기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1 이상의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지갑생성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지갑생성단계는 사용자의 가입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노래영상을 포스팅하는 경우에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지갑이 생성이 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노래영상에 대한 개인키는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노래영상에 대한 지갑의 생성은, 사용자가 노래영상 포스팅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시스템에 요청하고, 서버시스템은 이에 대한 기록요청단계(S3000)에서 해당 지갑의 생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S2000에서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신한, 특정 사용자의 지갑으로부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에 대하여 대한 포인트 이동을 요청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수신단계가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랜잭션수신단계에서 수신되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내부에서 상기 개인키에 대한 확인이 되고 송신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 내부에서 상기 개인키에 대한 확인이 되고,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포스팅, 후원 등에 따른 특정 지갑에서 다른 지갑으로의 포인트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는 기본적으로 포인트에 대한 발신지갑에 대한 정보, 수신지갑에 대한 정보, 이동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3000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을 요청하는 기록요청단계가 수행된다.
즉,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포스팅, 후원 등의 동작들에 따른 포인트의 내역들이 단계 S3000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된다.
블록체인네트워크 내부에서의 데이터 유효성 검증, 블록생성, 합의, 전파 등에 대해서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록요청단계에서 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동작에 의하여 분산하여 저장되어 있는 블록의 기록데이터에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따른 트랜잭션이 기록되고,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새로운 블록들이 생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S4000에서는,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설정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기설정된 후원기간이 만료한 후에,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일부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한 사용자의 일부 및 해당 노래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되는 포인트분배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포인트분배단계는 블록체인접속모듈(1300) 등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외부의 구성이 1 이상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에 관련된 스마트컨트랙트의 실행을 요청을 하고, 노드가 해당 포인트분배와 관련된 스마트컨트랙트를 실행하거나, 혹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가 시점정보에 대한 확인을 하고 자동적으로 해당 포인트분배와 관련된 스마트컨트랙트를 실행하는 경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드 외부의 서비스서버(1000) 혹은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에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제2후원기간 만료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이 해당 노래영상과 관련된 포인트 분배에 대한 요청을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포함된 스마트컨트랙트모듈에 요청하고,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은 해당 분배를 실행하고, 이에 따른 포인트의 이동을 블록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기에서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동작에 따른 지갑 생성, 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서의 기록 등이 서버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단말기에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거나 및/또는 포인트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개인키의 확인을 수행하는 지갑모듈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갑모듈은 전술한 개인키 정보, 암호화된 개인키, 암호화된 개인키를 입력된 복호화키로 복호화하는 모듈, 및 상기 복화화된 개인키가 저장된 개인키 정보와 매칭이 되는지 확인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갑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송신되는 포인트 이동과 관련된 요청을 전자서명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어플리케이션관리모듈(1100), DB(1200)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관리모듈(110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에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DB(1200)에는 노래영상, 댓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DB(1200)에는 추가적으로 계정별 지갑주소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으로부터 도출된 현재 혹은 과거의 지갑의 포인트 보유 내역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제1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은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지갑생성, 포인트 이동 등을 블록에 기록하는 것을 노드에 요청한다. 이와 같은 제1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은 서비스서버(1000)의 어플리케이션관리모듈(1100) 등과 물리적으로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에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서비스서버(1000)의 다른 구성요소와 물리적으로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는 제1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서버시스템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2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 예를들어 노래영상의 열람, 단순 노래음원의 수신 및 녹음 등은 서비스서버(1000)의 어플리케이션관리모듈(1100)에 의하여 할 수 있지만, 지갑생성, 포인트 이동, 포인트에 대한 조회 등은 상기 제2블록체인접속모듈(13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버시스템은 제1블록체인접속모듈(1300) 및 제2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노드는 블록데이터를 분산 혹은 공유하여 저장하고 있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이 요청하는 기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가 스마트컨트랙트모듈에서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결과를 다른 노드에 전파하는 형태로 구현이 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드가 분산컴퓨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의 코드가 각각의 노드에 분산저장 되어 있고,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에 의한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의 특정기능이 호출되는 경우에, 상기 노드들에서 분산컴퓨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0) 및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을 포함한다.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상기 블록체인네크워크의 1 이상의 노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접속모듈(1300)과 노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 혹은 사용자단말기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테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은 상기 지갑생성단계를 수행하는 지갑생성모듈(1310), 상기 트랜잭션수신단계를 수행하는 트랜잭션수신모듈(1320), 상기 기록요청단계를 수행하는 기록요청모듈(1330), 상기 포인트분배단계를 수행하는 분배요청모듈(134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된 포인트 및/또는 지갑과 관련된 내역을 조회하는 조회모듈(1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갑생성모듈(1310)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신규 사용자의 가입에 따라 신규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1 이상의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외의 상기 지갑생성모듈(1310)은 생성된 지갑 정보 일부를 서비스서버(1000)에 전송하거나 혹은 지갑에 대한 관리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지갑생성모듈(1310)은 상기 기록요청모듈의 세부 모듈의 호출에 따라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트랜잭션수신모듈(1320)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특정 사용자의 지갑으로부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에 대하여 대한 포인트 이동을 요청하는 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노드의 블록데이터로 구현되는 블록에는 다양한 형태의 트랜잭션이 기록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노래영상에 대한 포스팅, 후원, 분배와 관련된 트랜잭션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트랜잭션수신모듈(132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서버(1000)로 입력이 되고,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기록요청모듈(1330)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블록에 대한 기록은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스팅, 후원, 등의 포인트 이동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록요청모듈(1330)은 전술한 도 2의 상기 포스팅단계(S100, 혹은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의 단계 S108)와 관련된 포인트의 이동에 대한 블록에서의 반영 혹은 기록을 요청하는 포스팅요청모듈(1331), 상기 제1후원단계(S200)과 관련된 포인트의 이동에 대한 블록에서의 반영 혹은 기록을 요청하는 서포트요청모듈(1332), 상기 제2후원단계(S300)과 관련된 포인트의 이동에 대한 블록에서의 반영 혹은 기록을 요청하는 기프트요청모듈(13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록요청모듈(1330)은 전술한 도 4에서의 단계 S106에서와 같이 노래영상의 서버시스템에서의 저장과 관련된 포인트의 이동에 대한 블록에서의 반영 혹은 기록을 요청하는 예치요청모듈(1334), 및 저장된 노래영상의 삭제 혹은 해당 사용자의 탈퇴와 관련된 포인트의 이동에 대한 블록에서의 반영 혹은 기록을 요청하는 철회요청모듈(1335)을 포함한다.
상기 분배요청모듈(1340)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설정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기설정된 후원기간이 만료한 후에,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일부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한 사용자의 일부 및 해당 노래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되는 포인트분배단계와 관련된 블록에서의 기록 및 반영을 요청한다.
상기 노드에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2000) 및 블록데이터(210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모듈(2000)은 상기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의 세부 모듈에서 요청하는 블록에서의 기록, 반영 등을 수행하기 위한, 지갑생성실행모듈(2010), 포스팅실행모듈(2020), 서포트실행모듈(2030), 기프트실행모듈(2040), 분배실행모듈(2050), 예치실행모듈(2060), 철회실행모듈(2070), 및 조회실행모듈(20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20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포인트분배단계(S4000)의 경우, 보다 분배실행에 대한 공정성 및 확실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서버시스템에서 설정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기설정된 후원기간이 만료한 후에,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모듈(2000)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일부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한 사용자의 일부 및 해당 노래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하는 것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이동 내역 등이 서비스서버(1000)에만 저장되는 경우에는, 포인트와 관련된 보유내역, 후원내역, 분배 내역 등에 있어서 의도적인 위변조가 이루어지거나, 혹은 해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포인트에 대한 신뢰성 및 신뢰성에 기반한 재화로서의 가치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따른 포인트 내역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이 됨으로써, 포인트에 대한 신뢰성 및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포인트의 재화적 가치를 도모하고, 외부의 다른 재화와의 교환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갑생성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입력에 따라 서비스서버(1000)에 가입이 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단계 S1010에서 지갑생성모듈로 지갑생성요청을 하고, 단계 S1020에서, 지갑생성모듈은 연결된 노드로 지갑생성요청을 한다.
이후, 단계 S1030에서 노드의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은 지갑을 생성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블록에 기록하고, 해당 지갑과 관련된 개인키를 생성하여, 단계 S1040 및 단계 S1050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지갑모듈에 전달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지갑모듈은 수신한 개인키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개인키는 이후의 포인트와 관련된 트랜잭션 요청에 있어서 사용자의 검증 및 블록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전자서명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S1040에서는 생성된 지갑의 주소, 예를들어 상기 개인키에 대한 공개키가 상기 지갑생성모듈에 전달되고, 서비스서버(1000)에는 해당 공개키와 해당 지갑의 소유자 정보(예를들어, 소유자의 아이디 혹은 이메일 주소)를 매칭하여 저장해놓을 수 있다.
즉, 상기 지갑생성모듈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신규 사용자의 가입에 따라 신규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1 이상의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지갑 및 노래영상 지갑과 관련된 포인트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포스팅단계(S100), 제1후원단계(S200), 및 제2후원단계(S300)에 따른 트랜잭션수신단계(S2000) 및 기록요청단계(S3000)의 수행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각각의 사용자의 지갑에서의 포인트 이동이 블록에 기록이 된다.
즉,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사용자단말기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 입력에 따른 상기 트랜잭션수신단계 및 상기 기록요청단계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이 보유하는 포인트는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는 외부의 다른 지갑으로의 전달이 허용되지 않는다. 즉, 포스팅단계(S100)의 시작에서부터 제2후원단계(S300)의 완료까지 외부의 지갑으로부터 상기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이동한 포인트는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될 뿐, 외부로 이동이 허용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포스팅, 후원이 활발해질수록, 발행된 포인트, 즉 가상화폐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이동이 불가능한 지갑에 보유되게 된다. 이에 따라, 유통될 수 있는 가상화폐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즉 가상화폐의 가치가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선순환적으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사용자 유입 및 활동이 더욱 도모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관리 방법의 단계에 따른 노래영상 지갑에서의 포인트의 현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은 포스팅, 제1후원, 제2후원 등에 따른 트랜잭션수신단계, 및 기록요청단계의 수행에 따라 보유하는 포인트가 증가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한번 노래영상 지갑으로 들어온 포인트는 후원기간이 완료되기 이전에는 외부의 지갑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후, 포인트분배가 진행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해당 노래영상으로의 포인트 이동, 즉 후원을 수행하였던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S3000에서는 해당 포인트의 이동이 포스팅에 따른 것인지, 제1후원기간 동안의 후원에 따른 것인지, 제2후원기간 동안의 후원에 따른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블록에 기록이 되고, 따라서, 단계 S4000에 따른 포인트의 분배가 제1후원기간에 후원을 수행한 사용자의 지갑에 자신이 후원을 수행한 포인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공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의 노드에서의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에서는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 혹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포인트의 이동과 관련된 요청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요청데이터는 포인트이동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포인트이동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해쉬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청데이터는 포인트이동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전자서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해쉬값은 전자서명 데이터를 반영한 해쉬값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이동과 관련된 정보가 전술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상응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동작은 전술한 상기 트랜잭션 수신단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상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이동이 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상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및 이동이 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 중 1 이상의 정보에 대한 해쉬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랜잭션은 해당 노래영상의 제공자가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포스팅트랜잭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제1후원기간 동안에 제3자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서포트트랜잭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1후원기간 이후의 제2후원기간 동안에 제3자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기프트트랜잭션; 상기 트랜잭션은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영상의 서버시스템으로의 저장의 비용으로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상기 예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예치트랜잭션; 및 상기 예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회수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은 수신한 요청데이터의 해쉬값을 검증하고, 접속된 노드에 해당 트랜잭션기록을 요청한다(S3000).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는 상기 포스팅트랜잭션, 상기 서포트트랜잭션, 상기 기프트트랜잭션, 상기 예치트랜잭션, 상기 회수트랜잭션 등에 따른 포인트의 이동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요청단계(S3000)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모듈에서 상기 트랜잭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노드는 이와 같은 트랜잭션들이 반영된 블록을 생성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에서의 노래영상의 저장 등의 동작에 따른 포인트의 예치 등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은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단계 S5010에 의하여 수행된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저장되는 노래영상에 대한 예치포인트를 받는 예치 지갑의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예치 지갑은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운영주체의 지갑에 해당될 수 있다.
단계 S5020에서는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영상의 서버시스템으로의 저장의 비용으로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상기 예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예치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에서의 기록이 수행된다.
이후, 단계 S5030에 따라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노래영상을 제3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개(포스팅을 수행하고), 단계 S5040에서는 포스팅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에서의 기록이 수행된다.
이후, 단계 S5050 및 S5060에서는 제1후원단계 및 제2후원단계에 따른 서포트트랜잭션, 및 기프트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에서의 기록이 수행된다.
이후, 후원기간이 만료된 이후에, 단계 S5070에서는 해당 포인트의 관련 후원자로의 포인트 배분에 따른 분배트랜잭션이 블록에 기록이 된다.
이후, 단계 S5080에서는 서비스탈퇴 혹은 노래영상의 서버시스템에서의 삭제 등의 요청이 서버시스템으로 수신되고, 단계 S5090에서는 단계 S5020에서 예치 지갑으로 이동한 포인트를 다시 해당 노래영상 제공자의 지갑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트랜잭션은 상기 예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회수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트랜잭션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탈퇴하거나 혹은 해당 노래영상을 서버에서 삭제하는 경우에 수행이 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에서 관리되는 포인트에 대한 통화량의 상태 변화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에 노래영상의 저장이 수행될수록, 가상화폐로 구현될 수 있는 포인트의 전체 통화량에서 예치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비율이 높아진다.
한편,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에서의 포스팅, 후원 등이 수행될수록, 가상화폐로 구현될 수 있는 포인트의 전체 통화량에서 복수의 노래영상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비율이 높아진다.
이와 같은 전체 통화량에서의 예치 지갑에서의 보유비율 및 노래영상 지갑의 보유비율이 동시에 고려된 상태를 도 26의 (C)가 도시한다. 도 26의 (C)에서 사용자지갑(유동가능)은 전체통화량에서 시스템운영주체지갑, 노래방영상지갑, 예치지갑에서 보유하는 통화량, 혹은 코인을 제외한 유동가능한 통화량 혹은 코인량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6의 (C)에서 시스템운영주체의 지갑은 동일한 비율로 유지된다고 하고, 전체통화량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는 경우에,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활성화될수록 전체 통화량 중 예치지갑, 및 노래영상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양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히, 이에 따라 사용자지갑에서 보유할 수 있는 포인트의 양은 감소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스팅, 후원 등에서 사용되는 포인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장부의 공정성을 보증할 수 있고, 포인트 이동 내역 등에 대한 위변조가 객관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다른 거래소 시스템에서 현금, 다른 가상화폐 등과 교환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와 같은 노래지갑, 예치지갑 등의 운영은 결과적으로 유동하는 가상화폐(포인트) 중 일부를 일정기간 동안 스테이킹 하게 되고, 결국은 유동이 가능한 사용자지갑 보유된 가상화폐(포인트)의 양은 적게 되고, 가상화폐(포인트)의 희소성은 더욱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상화폐(포인트)의 가치가 더욱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들을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입시키고, 이들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인센티브로 작용할 수 있다.
도 2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7의 컴퓨팅 장치는 전술한 서버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시스템의 내부 구성요소, 예를들어, 서비스서버(1000), 혹은 노드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에 해당할 수 있다. 혹은 도 27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는 서비스서버(1000) 혹은 노드의 내부 구성요소, 혹은 블록체인접속모듈(1300)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27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2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2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2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해 포스팅을 하거나 혹은 타인의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사용자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포스팅된 상기 노래영상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신한, 특정 사용자의 지갑으로부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에 대하여 대한 포인트 이동을 요청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수신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을 요청하는 기록요청단계;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사용자단말기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 입력에 따른 상기 트랜잭션수신단계 및 상기 기록요청단계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이 보유하는 포인트는 증가하고,
    상기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는 외부의 다른 지갑으로의 전달이 허용되지 않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신규 사용자의 가입에 따라 신규 지갑을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1 이상의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규 지갑에 대한 개인키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지갑생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잭션수신단계에서 수신되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내부에서 상기 개인키에 대한 확인이 되고 송신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 내부에서 상기 개인키에 대한 확인이 되고,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설정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기설정된 후원기간이 만료한 후에,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일부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한 사용자의 일부 및 해당 노래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되는 포인트분배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을 포함하고,
    서버시스템에서 설정된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기설정된 후원기간이 만료한 후에,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모듈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의 일부가 해당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한 사용자의 일부 및 해당 노래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지갑으로 이동하는 것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이 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수신단계에서의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상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이동이 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상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과 관련된 정보, 및 이동이 되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 중 1 이상의 정보에 대한 해쉬값을 포함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은 해당 노래영상의 제공자가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포스팅트랜잭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제1후원기간 동안에 제3자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서포트트랜잭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1후원기간 이후의 제2후원기간 동안에 제3자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기프트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는 상기 포스팅트랜잭션, 상기 서포트트랜잭션, 및 상기 기프트트랜잭션에 따른 포인트의 이동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할 수 있는 스마트컨트랙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요청단계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모듈에서 상기 트랜잭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은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저장되는 노래영상에 대한 예치포인트를 받는 예치 지갑의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트랜잭션은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영상의 서버시스템으로의 저장의 비용으로 자신의 지갑으로부터 상기 예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예치트랜잭션; 및 상기 예치 지갑으로부터 해당 노래영상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동하는 회수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트랜잭션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탈퇴하거나 혹은 해당 노래영상을 서버에서 삭제하는 경우에 수행이 될 수 있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10.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으로 구현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영상에 대해 포스팅을 하거나 혹은 타인의 노래영상에 대해 후원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는 사용자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 포인트에 대한 정보 및 포스팅된 상기 노래영상 각각의 지갑에 대한 보유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특정 사용자의 지갑으로부터 특정 노래영상의 지갑에 대하여 대한 포인트 이동을 요청하는 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수신부;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대해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블록에 기록을 요청하는 기록요청부;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사용자단말기의 해당 노래영상에 대한 후원 입력에 따른 상기 트랜잭션수신부 및 상기 기록요청부의 동작에 의하여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이 보유하는 포인트는 증가하고,
    상기 기설정된 후원기간 동안 해당 노래영상의 지갑에 보유된 포인트는 외부의 다른 지갑으로의 전달이 허용되지 않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시스템.
KR1020190104354A 2019-08-26 2019-08-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354A KR102291436B1 (ko) 2019-08-26 2019-08-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7/604,989 US20220215360A1 (en) 2019-08-26 2019-09-05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ints in karaoke application by using blockchain network
PCT/KR2019/011458 WO2021040113A1 (ko) 2019-08-26 2019-09-05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05530A KR102485364B1 (ko) 2019-08-26 2021-08-10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354A KR102291436B1 (ko) 2019-08-26 2019-08-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530A Division KR102485364B1 (ko) 2019-08-26 2021-08-10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773A KR20210024773A (ko) 2021-03-08
KR102291436B1 true KR102291436B1 (ko) 2021-08-20

Family

ID=746842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354A KR102291436B1 (ko) 2019-08-26 2019-08-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05530A KR102485364B1 (ko) 2019-08-26 2021-08-10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530A KR102485364B1 (ko) 2019-08-26 2021-08-10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15360A1 (ko)
KR (2) KR102291436B1 (ko)
WO (1) WO202104011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7640A (ja) * 2016-11-08 2018-05-17 株式会社ブイシンク 中間決済サーバ
WO2018234482A1 (en) * 2017-06-22 2018-12-27 Plc Group Ag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ACTION OF A BLOCK CHAIN AND METHOD FOR VALIDATING A BLOCK OF A BLOCK CHAI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6527B (zh) * 2015-05-27 2017-04-19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K歌处理方法、装置以及k歌处理系统
JOP20180059A1 (ar) * 2015-12-15 2019-01-30 Global Multimedia Investment Uk Ltd إصدار محتوى مُسجل لأجهزة الجوال
KR101888152B1 (ko) * 2016-06-14 2018-08-13 김성혁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49401B1 (ko) * 2017-04-05 2022-01-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96166B1 (ko) * 2018-01-29 2019-07-03 탁기영 콘텐츠 제작자 및 이용자간 거래에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가 사용되는 콘텐츠 공유 플랫폼의 비용분배방법 및 시스템
KR101979254B1 (ko) 2018-08-01 2019-05-17 주식회사 스트리미 암호화폐 교환을 위한 트랜잭션을 매칭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7640A (ja) * 2016-11-08 2018-05-17 株式会社ブイシンク 中間決済サーバ
WO2018234482A1 (en) * 2017-06-22 2018-12-27 Plc Group Ag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ACTION OF A BLOCK CHAIN AND METHOD FOR VALIDATING A BLOCK OF A BLOCK CHAI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노래방, 블록체인과 만나다…"노래 부르고, 보상도 받고"’, ZDNet Korea(2019.05.17. 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142A (ko) 2021-08-19
KR102485364B1 (ko) 2023-01-05
WO2021040113A1 (ko) 2021-03-04
US20220215360A1 (en) 2022-07-07
KR20210024773A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656B1 (ko)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US20210256550A1 (en) Blockchain-Enabled Crypto Asset Compliance System for Tracking Asset Allocation
US10977626B2 (en) Semi-private blockchain virtual currency exchange systems
KR102240939B1 (ko) 트랜잭션 증명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 적용된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3104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ention based currency
US20190114399A1 (en) Application usage policy enforcement
US20190378121A1 (en) Cryptographic technology platform and methods for providers to enable users to monetize their data
CN110675149B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5425621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有価価値提供装置、移動体通信端末、並びに電子決済方法
US20170228734A1 (en) System for secure routing of data to various networks from a process data network
US20120317034A1 (en) Transparent virtual currency using verifiable tokens
KR20180113143A (ko)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3918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NFT Assets
US111891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tokens for gaming
JP2022532886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への包含のためのトランザクションの適応性
KR102291436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59488B1 (ko)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듀엣 노래부르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91435B1 (ko)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포인트 분배 방법 및 시스템
TW201945989A (zh) 智能票證系統、智能票證派發方法與電腦可讀取儲存裝置
JP6369950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KR20210065902A (ko)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모바일 티켓팅 시스템
KR102381312B1 (ko)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씽클립 제공방법
KR20210026254A (ko) 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수익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JP2018175880A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KR20200094408A (ko) 평판 정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