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537B1 -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 Google Patents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537B1
KR102290537B1 KR1020200150725A KR20200150725A KR102290537B1 KR 102290537 B1 KR102290537 B1 KR 102290537B1 KR 1020200150725 A KR1020200150725 A KR 1020200150725A KR 20200150725 A KR20200150725 A KR 20200150725A KR 102290537 B1 KR102290537 B1 KR 102290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film
cover
cas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관재
Original Assignee
원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관재 filed Critical 원관재
Priority to KR1020200150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기부품과, 상기 전기부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각종 전선이 관통하거나 상기 전기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개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Switching Module of Static Var Compensator}
본 발명은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보수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력은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들을 포함하는 전송 회로를 통해서 발전소(generator)들로부터 부하(load)들로 보내지는데, 발전소들과 부하들은 지리적으로 넓게 퍼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송 회로도 대부분 복잡하게 되며, 전력 조류의 제어도 그만큼 어렵게 된다.
전송 선로를 통해서 흐르는 전력 조류는 전송 선로 양끝의 전압의 크기와 위상의 차 및 전송 선로의 임피던스에 의해 정해진다.
그런데 전송 선로의 임피던스는 임의로 설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로 전송 선로의 길이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송 회로의 전력 조류를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들이 발생한다.
이에 3상 회로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에 따르므로, 전류 파형은 초크 코일과 평활 콘덴서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그 전류 파형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이 전류 파형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노이즈가 발생하고 무효 전력에 의한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에 의한 역률에 의하여 발생한다.
역률(Power Factor)이란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서 역률이 낮다는 것은 전동기 등의 부하에서 동력으로 소비되지 않고 전원 측으로 되돌려지는 불필요한 무효전력이 크다는 의미이다.
피상 전력은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의 조합으로 도출된다. 여기서 무효전력이 커지면 계통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커지고 열손실과 같은 송전 손실이 커지게 되어 변압기 등 송변전 설비 및 배전 설비의 설비 용량이 증가한다.
이에 일반적으로 불필요한 무효전력을 줄이기 위해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사용하나 종래의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는 유지보수는 물론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7998호(2013.10.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보수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기부품과, 상기 전기부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각종 전선이 관통하거나 상기 전기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개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커버의 외측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전압 및 전류 값과 무효분 발생 알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달하는 제2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면을 보호하는 보호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몸체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몸체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몸체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면을 덮는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는 양단이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면에 상기 필름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감기며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필름이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에는 양단이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면에 상기 필름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회전할 시 상기 필름이 상기 제2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타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와, 상기 제2롤러와 결합하고 상기 제2고정부의 일단에 노출되어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롤러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마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몸체와 상기 제4몸체에는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필름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면을 덮을 시 상기 필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몸체에서 인출된 상기 필름이 상기 제2몸체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3몸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이 상기 제1몸체에서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필름에 분사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정전기방지 스프레이와, 상기 정전기방지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되는 분사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컨트롤부와 연계되어 상기 컨트롤부가 작동될 시 상기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에 의하면, 유지보수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의 내부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에 보호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의 내부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10)은 사각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1),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기부품(12), 전기부품(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기부품(1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13) 및 케이스(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각종 전선이 관통하거나 전기부품(12)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11)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개구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구비되며, 개방된 상면에는 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커버(15)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15)는 사용자에 의해 케이스(11)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각종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5)에는 전기부품(1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00)와 전기부품(12)의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200)이 구비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커버(15)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회로기판(110)과 제1회로기판(110)에 연결되는 다수의 LED(120)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LED(120)가 커버(15)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빛을 발광함으로써 전기부품(12)의 상태를 빛으로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00)은 제1회로기판(110)과 연결되고 터치스크린(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회로기판(210)을 구비하며, 제2회로기판(210)에서 생성된 전기부품(12)의 전압, 전류, 무효분 발생 알람 등의 각종 값이 터치스크린(20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 silicon controlled rectifier)와 같은 전기부품(12)의 소손이나 고장발생 시 터치스크린(200)에 정확한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측정 장비를 연결하여 소손이나 고장 유무를 확인할 경우 대비 정확하고 신속한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10)에 설치되는 보호장치(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에 보호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10)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1),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기부품(12), 전기부품(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기부품(1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13), 케이스(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각종 전선이 관통하거나 전기부품(12)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11)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개구부(14),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커버(15), 커버(15)에 구비되어 전기부품(1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00) 및 커버(15)에 구비되어 전기부품(12)의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2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5)에는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을 보호하는 보호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장치(3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보호장치(3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몸체(310),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몸체(320),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몸체(330),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몸체(340) 및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에 각각 연결되어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을 덮는 필름(3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는 터치스크린(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고, 제3몸체(330)와 제4몸체(340)는 터치스크린(2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는 터치스크린(200)의 상하길이에 제3몸체(330) 및 제4몸체(340)의 너비가 합해진 길이로 형성되어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에 각각 연결된 필름(350)이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을 용이하게 덮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름(350)은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을 덮어 터치스크린(200)을 보호하면서 작업자가 터치스크린(200)을 용이하게 터치하고 시각적으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얇고 투명하며 터치 전단력이 높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몸체(310)에는 양단이 제1몸체(3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면에 필름(350)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감기며 제2몸체(320)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311), 제1롤러(311)가 제2몸체(320) 방향으로 회전할 시 필름(350)이 제1몸체(3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홀(312), 제1몸체(310)가 터치스크린(200)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커버(15)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313) 및 제1고정부(313)와 결합하여 제1몸체(3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314)가 구비될 수 있다.
인출홀(312)은 필름(350)이 터치스크린(200)과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제1몸체(310)의 하단에 위치하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1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름(35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크기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개폐부(314)는 필름(350)이 소진되어 새로운 필름(350)으로 교체가 필요할 시 제1롤러(311)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후 작업자가 제1고정부(313)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름(35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몸체(320)에는 양단이 제2몸체(320)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면에 필름(350)의 타단이 연결되며 제2롤러(321),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롤러(321)와 제2롤러(321)가 회전할 시 필름(350)이 제2몸체(3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홀(322), 제2몸체(320)가 터치스크린(200)의 타측면에 위치하도록 커버(15)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323), 제2고정부(323)와 결합하여 제2몸체(32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324), 제2롤러(321)와 결합하고 제2고정부(323)의 일단에 노출되어 외부에서 작업자가 제2롤러(321)의 회전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325) 및 컨트롤부(325)와 제2고정부(323) 사이에 구비되어 제2롤러(321)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마찰부(32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홀(322)은 필름(350)이 터치스크린(200)과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제2몸체(320)의 하단에 위치하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2몸체(3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름(35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크기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개폐부(324)는 필름(350)이 소진되어 새로운 필름(350)으로 교체가 필요할 시 제2롤러(321)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후 작업자가 제2고정부(323)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름(35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부(325)는 제2롤러(321)를 회전시켜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에 위치한 필름(350)을 제2몸체(3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고 제1몸체(310)의 내부에 위치한 필름(350)이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필름(350)의 손상이나 마모로 인해 터치가 용이하지 않을 시 신속하게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마찰부(326)는 컨트롤부(325)를 통해 필름(350)을 이동할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 경우에 작업자의 터치로 인해 필름(350)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장치(300)의 제3몸체(330)와 제4몸체(34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10)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1),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기부품(12), 전기부품(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기부품(1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13), 케이스(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각종 전선이 관통하거나 전기부품(12)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11)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개구부(14),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커버(15), 커버(15)에 구비되어 전기부품(12)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00) 및 커버(15)에 구비되어 전기부품(12)의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2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5)에는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을 보호하는 보호장치(300)가 구비되고, 보호장치(3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몸체(310),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몸체(320),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몸체(330),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몸체(340) 및 제1몸체(310)와 제2몸체(320)에 각각 연결되어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을 덮는 필름(3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3몸체(330)와 제4몸체(340)에는 제3몸체(330)와 제4몸체(340)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필름(350)이 터치스크린(200)의 상면을 덮을 시 필름(350)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며 제1몸체(310)에서 인출된 필름(350)이 제2몸체(320)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홈(331,34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331,341)은 제3몸체(330)와 제4몸체(340)의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고, 필름(35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크기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몸체(330)에는 가이드홈(331)의 상측에 구비되어 필름(350)이 제1몸체(310)에서 제2몸체(320) 방향으로 이동할 시 필름(350)에 분사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정전기방지 스프레이(332), 정전기방지 스프레이(332)를 통해 분사되는 분사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333) 및 정전기방지 스프레이(332)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33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장치(334)는 컨트롤부(325)와 연계되어 컨트롤부(325)가 작동될 시 즉, 필름(350)이 이동될 시에만 제1몸체(310)에 인출되는 필름(350)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무분별한 분사로 인해 터치스크린(200)이 가려지거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전기방지 스프레이(332)를 통해 필름(350)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11: 케이스 12: 전기부품
13: 방열판 14: 개구부
15: 커버 100: 표시장치
110: 제1회로기판 120: LED
200: 터치스크린 210: 제2회로기판
300: 보호장치 310: 제1몸체
311: 제1롤러 312: 인출홀
313: 제1고정부 314: 제1개폐부
320: 제2몸체 321: 제2롤러
322: 인입홀 323: 제2고정부
324: 제2개폐부 325: 컨트롤부
326: 마찰부 330: 제3몸체
331: 가이드홈 332: 정전기방지 스프레이
333: 저장공간 334: 제어장치
340: 제4몸체 341: 가이드홈
350: 필름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기부품과,
    상기 전기부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각종 전선이 관통하거나 상기 전기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개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커버의 외측면으로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1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부품의 전압 및 전류 값과 무효분 발생 알람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달하는 제2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면을 보호하는 보호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몸체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2몸체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몸체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면을 덮는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는 양단이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면에 상기 필름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감기며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필름이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에는 양단이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면에 상기 필름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가 회전할 시 상기 필름이 상기 제2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타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2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와, 상기 제2롤러와 결합하고 상기 제2고정부의 일단에 노출되어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롤러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마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몸체와 상기 제4몸체에는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필름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면을 덮을 시 상기 필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몸체에서 인출된 상기 필름이 상기 제2몸체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3몸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이 상기 제1몸체에서 상기 제2몸체 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필름에 분사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정전기방지 스프레이와, 상기 정전기방지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되는 분사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컨트롤부와 연계되어 상기 컨트롤부가 작동될 시 상기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0725A 2020-11-12 2020-11-12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KR102290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25A KR102290537B1 (ko) 2020-11-12 2020-11-12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25A KR102290537B1 (ko) 2020-11-12 2020-11-12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537B1 true KR102290537B1 (ko) 2021-08-17

Family

ID=7746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725A KR102290537B1 (ko) 2020-11-12 2020-11-12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702B1 (ko) * 2021-12-02 2022-07-15 (주)파워닉스 고압 전력 계통 직결 방식의 판넬형 무효 전력 보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98A (ko) 2012-04-19 2013-10-29 (주) 디지털파워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구비한 전동기 제어반
KR20140099384A (ko) * 2013-02-01 2014-08-12 백승륜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호 케이스
KR20160103749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이에스지케이 정전기 제거부스
KR20170099704A (ko) *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이린 고압용 배전선로 전원공급장치
KR20200059385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대한전설 무혀전력 보상장치를 갖춘 전기 제어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98A (ko) 2012-04-19 2013-10-29 (주) 디지털파워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구비한 전동기 제어반
KR20140099384A (ko) * 2013-02-01 2014-08-12 백승륜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호 케이스
KR20160103749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이에스지케이 정전기 제거부스
KR20170099704A (ko) *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이린 고압용 배전선로 전원공급장치
KR20200059385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대한전설 무혀전력 보상장치를 갖춘 전기 제어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702B1 (ko) * 2021-12-02 2022-07-15 (주)파워닉스 고압 전력 계통 직결 방식의 판넬형 무효 전력 보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537B1 (ko) 전자식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전환모듈
KR20210033265A (ko)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US20080025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using power suppli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6155180A (en) Computer table
CN205489070U (zh) 一种智能反馈配电柜系统
US20100302755A1 (en) Power supply device
US7881045B2 (en) Enclosure of a power electronics appliance
US9820406B1 (en) Power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0609846B1 (en) Adapter board structure for power module of DC power supply
JPH0945564A (ja) 集積型受変電設備機能トランス
JP2002085164A (ja) 電源内蔵テーブル
CN111049030A (zh) 一种防破坏机房工业空调配电箱
CN219875194U (zh) 一种防止设备用电零地电压过高的ups电源装置
CN206041229U (zh) 一种带有散热功能的高压开关柜
US11083114B2 (en) EMC cooling device
CN214100387U (zh) 一种方便布置电器元件线路的电气控制柜
IT201900005382A1 (it) Postazione di lavoro di contenute dimensioni e spostabile
CN211860824U (zh) 一种高速入口计重不锈钢控制柜机箱
CN206595552U (zh) 一种高低压开关柜的防干扰装置
JP2001249733A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を備えた配線内蔵ボックス
CN115604970A (zh) 一种服务器机柜
KR102291524B1 (ko) 서버 랙의 밀도 향상을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CN207925960U (zh) 一种无功补偿用配电柜
CN215263745U (zh) 变流器测试设备
JPH01133529A (ja) 二重床用無停電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