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402B1 -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 Google Patents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402B1
KR102290402B1 KR1020200075278A KR20200075278A KR102290402B1 KR 102290402 B1 KR102290402 B1 KR 102290402B1 KR 1020200075278 A KR1020200075278 A KR 1020200075278A KR 20200075278 A KR20200075278 A KR 20200075278A KR 102290402 B1 KR102290402 B1 KR 10229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nner cylinder
inner bin
side walls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준
Original Assignee
박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준 filed Critical 박범준
Priority to KR102020007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6Sheet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6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P2241/18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writing instru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통의 내측에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내통을 삽입하여 일정기간을 사용한 이후에는 내통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 상부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테두리 상측으로 측벽이 구성되되, 측벽의 상단에는 거치부가 마련되는 꽂이 본체와, 상부가 개방되어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꽂이 형태를 이루며, 꽂이본체에 삽입시 상단이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어 걸림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일회용 내통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일회용 내통은, 볼펜을 수납할 때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부면이 꽂이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탄력을 갖도록 박판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상기 시트는 잉크 누액에 따른 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성형하거나 또는 종이재 표면을 합성수지로 코팅한 것을 접착하여 제작함으로써 내통을 교체하여 사용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거치부를 측벽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거치돌부로 구성하여 내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거치돌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통이 거치돌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거치하여 진열상태를 깔끔하게 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Pencil holder with double-structured storage}
본 발명은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통의 내측에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내통을 삽입하여 일정기간을 사용한 이후에는 내통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필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꽂이는 연필이나 볼펜등의 필기구를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의 연필꽂이는 단순히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연필, 볼펜, 색연필, 가위, 갈 등을 모두 함께 수납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여러 가지 필기구나 문구용품 등을 함께 보관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찾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미관상 지저분하게 보이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길이가 짧아진 연필 등의 필기구를 찾을 경우 원하는 해당 물품을 찾기가 매우 까다롭고, 찾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연필꽂이를 보통 플라스틱 성형제품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볼펜의 잉크나 이물질이 연필꽂이 바닥에 묻으면서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고, 청결한 사용이 어렵다.
또한, 플라스틱의 특성상 경질로 이루어지는데, 볼펜과 같이 촉을 가진 제품을 수납하는 경우 촉이 바닥면에 닿아서 충격이 발생하면서 볼이 뒤틀리거나 그로 인하여 새나온 잉크가 묻어서 연필꽂이 내부가 지저분해 지고, 볼의 잉크가 굳어서 볼펜심이 고장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KR 1020170089196 A KR 102017010184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부를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내통의 교체가 가능하고 내통을 일회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납하고자 하는 필기구의 길이에 따른 깊이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볼펜촉 손상을 방지하고, 필기구가 수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개별 인출이 용이하게 정리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부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테두리 상측으로 측벽이 구성되되, 측벽의 상단에는 거치부가 마련되는 꽂이 본체와, 상부가 개방되어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꽂이 형태를 이루며, 꽂이본체에 삽입시 상단이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어 걸림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일회용 내통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일회용 내통은, 볼펜을 수납할 때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부면이 꽂이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탄력을 갖도록 박판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상기 시트는 잉크 누액에 따른 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성형하거나 또는 종이재 표면을 합성수지로 코팅한 것을 접착하여 제작함으로써 내통의 교체가 가능하면서도 일회용으로 사용하여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납부가 이중 구조를 가지면서도 필기수의 수납 높낮이를 조절하고 필기구 수납시 볼펜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부를 측벽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거치돌부로 구성하여 내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거치돌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통이 거치돌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에 의하면, 꽂이 본체의 상단 테두리 내측에 내통이 착탈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필요에 따라 내통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하고자 하는 필기구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내통을 삽입하여 종류에 따른 필기구 수납이 가능하고 매우 편리하게 필요한 필기구를 찾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가 내통에 수납된 상태에서 내통을 사용자 측으로 기울여서 보관이 이루어지므로 필기구가 한쪽으로 정리되어 깔끔하게 진열되고 사용자가 내통에 수납된 필기구를 육안으로 쉽게 분별하고 필요한 필기구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공공장소에서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필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내통의 각도를 기울여 필기구를 삽입하거나 인출하고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꽂이 본체에 내통이 삽입되는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1의 평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꽂이본체에 홈부가 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 장착구조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내통하단에 완충구와 무게추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이 개구된 수용공간(102)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120)의 상측에 중공된 공간을 구성하도록 바닥면의 테두리가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측벽(140)이 형성되고, 측벽의 상단에는 거치부(160)가 마련되는 꽂이 본체(100)와, 꽂이 본체(100)의 수용공간(102)에 삽입되되 상단의 거치부(160)에 플랜지(260)가 지지되어 하부면(220)이 바닥면(120)으로부터 뜬 상태로 안착되는 내통(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꽂이 본체(100)에 내통(200)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내통만을 일회용으로 사용하여 필기구를 보관하면서도 필기구로부터 이물질이 묻어나더라도 일정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내통을 교체사용함으로써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꽂이 본체(10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한 경질체이고, 상기 내통(200)은 꽂이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펜을 수납할 때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한 박판의 합성수지재이거나 종이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필기구를 삽입할 때 필기구가 낙하되면서 볼펜심이 내통(200)의 하부면(220)에 닿으면서 충격이 발생하는데, 이때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00)이 꽂이 본체(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면(220)이 바닥면(120)으로부터 뜬 상태로 장착되므로 소정의 완충기능을 갖도록 되어 볼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잉크누액을 방지하고 볼펜심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면이 꽂이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탄력을 갖도록 박판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시트는 잉크 누액에 따른 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의 시트를 이용하여 게토바시, 진공성형 등의 방법으로 성형 제작하거나 또는 종이재를 재단하여 접착하여 구성하고, 그 표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되어 잉크 누액에 따라 표면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꽂이 본체(100)에 형성되는 거치부(160)는 측벽(140)의 상단부 자체로 활용하여 플랜지(260)가 측벽(140)의 상단 테두리의 거치부(160)에서 삽입이 제한되어 거치된 상태를 구성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측벽(140)의 내벽에 내입단턱(162)을 형성하여 내통(200)의 플랜지(260)가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꽂이 본체(100)는, 수용공간(102)의 평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통(200)의 벽체(240)는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통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용공간의 모서리 부분에서 내통과의 둘레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그 틈새를 이용하여 내통을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용공간(102)의 평면을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후 측벽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좌,우 측벽(140)의 간격이 용기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수용공간(102)에 내통(200)을 삽입할 때 측벽(140)의 내면이 내통(200) 외면을 가압하여 긴밀히 밀착되면서 내통의 벽체(240)가 안쪽으로 오므라들게 미세하게 눌려지면서 강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유동이 방지되고 긴밀히 조립될 수 있다.
즉, 내통(2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시트 또는 종이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소정의 탄성이나 유연성을 갖도록 되고, 그로 인하여 내통을 가압 끼움시 내통의 좌,우 양측의 외경이 눌려지면서 끼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102)의 좌,우 측벽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전,후 측벽의 간격이 내통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내통(200)이 전,후방으로 미세하게 찌그러질 때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내통(200)이 수용공간(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여짐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내통(200)의 기울어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써 상기 꽂이 본체(100)에 형성되는 거치부(160)는 수용공간의 좌,우 측벽에 내통을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기울여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입단턱(162)에 경사면(16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164)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내통(200)을 선택적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연필꽂이를 진열할 때 전,후방 양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부상에서 서로 마주보고 앉아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후방으로 사용자가 기울어진 방향을 변경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내통(200)을 전방으로 기울여 고정한 상태에서 내통(200)의 인출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꽂이 본체(100)의 후방에는 홈부(142)를 마련함으로써 내통(200)의 플랜지(260) 후방을 잡아서 쉽게 인출할 수 있으며, 홈부(142)를 전,후방에 모두 형성하면 꽂이 본체(100)를 양방향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꽂이 본체(100)의 바닥면(120)과 내통(200)의 하부면(220) 사이에는 도 12와 같이 발포스펀지나, 실리콘,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구(300)를 내장할 수 있다.
이 완충구(300)는 내통(200)을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임의로 기울어짐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써, 내통(200)의 수납공간(202)에 필기구가 수납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하여 완충구 상단에 눌려져 각도조절 상태의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임시고정상태는 기울어짐 각도를 임시 고정할 뿐 사용자가 내통의 기울어진 후방을 눌러서 가압함으로써 힘으로 각도변형을 할 경우에는 내통(200)이 들려지면서 임시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각도가변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미술학원이나 체험학습장과 같이 공공장소에서 하나의 공부상 또는 테이블에서 여러 사람이 마주앉아서 동시에 연필꽂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내통의 각도를 기울여 필기구를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내통에 수납된 필기구의 종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때, 상기 내통(200)의 하단에는 내입공간을 마련하여 중량체(400)를 장착하면 내통(200)에 내용물이 담겨져 있지 않더라도 자중에 의하여 완충구(300)를 가압하여 유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중량체(400)는 고무 등의 논슬립 재질로 형성하고 이 중량체(400)를 내통(2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면 내통만 단독으로 세워두는 경우에 미끄러짐이나 쓰러짐을 방지하고 내통(200)을 교체하고자 내통 자체를 인출하여 독립적으로 세워두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중량체(400)가 삽입되는 내통(200) 하단의 내입공간에 강제끼움으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후 재조립하여 중량체의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꽂이 본체 102: 수용공간
120: 바닥면
140: 측벽 142: 홈부
160: 거치부 162: 내입단턱
164: 경사면
200: 내통 202: 수납공간
220: 하부면
240: 벽체
260: 플랜지
300: 완충구
400: 중량체

Claims (5)

  1. 상부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테두리 상측으로 측벽이 구성되되, 측벽의 상단에는 거치부가 마련되는 꽂이 본체; 및
    상부가 개방되어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꽂이 형태를 이루며, 꽂이본체에 삽입시 상단이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어 걸림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일회용 내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회용 내통은,
    볼펜을 수납할 때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부면이 꽂이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탄력을 갖도록 박판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시트는 잉크 누액에 따른 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성형되거나 또는 종이재 표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된 것을 접착하여 제작되고,
    상기 꽂이 본체는, 수용공간의 평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통은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원통형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공간의 좌,우 측벽의 간격이 내통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내통을 삽입할 때 내통의 외벽이 눌려지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수용공간의 전,후 측벽의 간격은 내통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내통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여 거치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거치부는 수용공간의 좌,우 측벽에 내통을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기울여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내입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 본체의 바닥면과 내통의 하부면 사이에 발포스펀지나 실리콘,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구가 내장되고, 상기 내통 하단의 내입공간에 중량체가 장착되어 중량체에 의하여 내통이 자중에 의하여 완충구 상단에 놓여져 각도조절 상태의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KR1020200075278A 2020-06-19 2020-06-19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KR102290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278A KR102290402B1 (ko) 2020-06-19 2020-06-19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278A KR102290402B1 (ko) 2020-06-19 2020-06-19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02B1 true KR102290402B1 (ko) 2021-08-18

Family

ID=7746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278A KR102290402B1 (ko) 2020-06-19 2020-06-19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30U (ko) * 1987-07-22 1989-03-25 주식회사소예산업 사진틀 겸용 필통
JPH0789551A (ja) * 1993-09-16 1995-04-04 Puromatsukusu Kogyo Kk 使い捨て用コップとホルダーの組合せ構造
KR200375429Y1 (ko) * 2004-11-17 2005-03-10 안형준 필통
KR20170089196A (ko) 2016-01-26 2017-08-03 이호영 선 정리 연필 꽂이
KR20170101849A (ko) 2017-08-18 2017-09-06 김준구 필기구를 세울 수 있는 연필꽂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030U (ko) * 1987-07-22 1989-03-25 주식회사소예산업 사진틀 겸용 필통
JPH0789551A (ja) * 1993-09-16 1995-04-04 Puromatsukusu Kogyo Kk 使い捨て用コップとホルダーの組合せ構造
KR200375429Y1 (ko) * 2004-11-17 2005-03-10 안형준 필통
KR20170089196A (ko) 2016-01-26 2017-08-03 이호영 선 정리 연필 꽂이
KR20170101849A (ko) 2017-08-18 2017-09-06 김준구 필기구를 세울 수 있는 연필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142B2 (en) Pen holder with pen cap holder
US2228493A (en) Pencil box
US6202862B1 (en) Tubular yielding holder for various size pens
US6216856B1 (en) Holder for assorted desk articles
JP6974509B2 (ja) 消去具を備えた筆記具
US2741048A (en) Retoucher's combination pallet
KR102290402B1 (ko) 수납부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US20070031810A1 (en) Squeegee eraser with built-in designs
KR101849221B1 (ko) 다색 보드마카
US6632041B1 (en) Free ink system
US5549405A (en) Heel-shaped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KR200397228Y1 (ko) 접착식 메모지를 내장하는 필기구
KR200208274Y1 (ko) 연필꽂이
CN210054986U (zh) 一种多功能文具盒
JPS5843877Y2 (ja) 製図用又は筆記用物品、殊に製図用線描具の収納ケ−ス
CN214449882U (zh) 一种归置笔的收纳装置
CN217959306U (zh) 收纳结构及组合式收纳装置
GB2075429A (en) Pencil case
CN219288935U (zh) 用于保护带尖的笔具的多功能文具盒
KR200178320Y1 (ko) 연필꽂이
KR20045690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필통
CN209851892U (zh) 考试专用笔
KR100279533B1 (ko) 교습구
JP6574624B2 (ja) ペンホルダ
KR200344558Y1 (ko) 연필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