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230B1 - 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 Google Patents

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230B1
KR102290230B1 KR1020200171329A KR20200171329A KR102290230B1 KR 102290230 B1 KR102290230 B1 KR 102290230B1 KR 1020200171329 A KR1020200171329 A KR 1020200171329A KR 20200171329 A KR20200171329 A KR 20200171329A KR 102290230 B1 KR102290230 B1 KR 10229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ar
base
locking
seat
referen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혜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산업(주) filed Critical 혜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17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2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60Use of locks or ledges for limiting the seat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stand chair, which facilitates maintenance of a stand chair, comprising: a base (20) fixed to the floor on which a stand chair is installed; and a locking bar (40)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20) to allow a seat (2) to be maintained in a seating prohibition state.

Description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본 발명은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람자가 앉아 있지 않은 시트가 지각과 연결된 시트 힌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동식으로 잠금이 가능하고, 잠금 상태로 전환한 다음에는 관리자 등이 인위적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는 이상 항상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manually locked so that a seat on which a spectator is not sitting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upward rotation based on a seat hing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locking state It relates to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always firmly maintain the locked state unless the manager or the like artificially releases the lock after switching to.

일반적으로, 객석 의자는 공연장, 강당이나 영화관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에 장착된 등받이 고정부와, 이 등받이 고정부의 전방에 장착되어 자중에 의해 회동 상승되어 반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와, 이 등받이 고정부의 양측에 장착되어 그 상단에 팔걸이가 구비된 지각(다리)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등받이 고정부와 다리 등은 실내바닥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받침대를 통해 떠받쳐 지지된다. 따라서,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가 자동으로 회동 상승되어 반전되므로, 시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극장, 강의실, 강연회장, 교육장, 회관 등에는 의자는 좁은 공간에 많이 설치할 수 있도록 옆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극장이나 강의실 등에 옆으로 연속되게 설치되는 의자를 연결식 의자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식 의자는 착석자 사이를 지지하는 착석 공간부를 구획하면서 다리 기능을 하는 패널 형상의 지지 프레임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직립 배치됨과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등받이와 팔걸이대가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양단부에 구비된 회동 지지축이 시트 브라켓을 매개로 두 개의 마주하는 지지 프레임에 각각 결합된 시트를 구비한 구조로서, 상기 구조의 연결식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가 평상시에는 등받이 쪽으로 접혀져 있어서 시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로 있다가 착석시에 시트를 등받이 앞으로 펼쳐서 둔부를 올려놓고 착석하게 된다. 한편, 연결식 의자는 극장 등에 한 열로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 장소의 앞뒤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여러 개의 열로 설치가 되므로, 각 열의 연결식 의자 사이에는 통행 공간이 확보된다. 착석자는 시트에 둔부를 얹혀놓고 앉으면 앞쪽 열과의 사이에 확보된 통행 공간에 다리(주로, 종아리 부분)가 위치된다.In general, an audience chair is installed in a performance hall, an auditorium, a movie theater, etc., and a seat back fixing part mounted on a frame, a seat mounted in front of the back fixing part, and rotated and raised by its own weight to be inverted, and the backrest I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part and has a crust (leg) equipped with armrests on its upper end. In addition, the backrest fixing part and the legs are supported and supported by a pedestal fixed to the indoor floor through anchor bolts. Therefore, when the chair is not in use, the seat automatically rotates and rises and is reversed,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seat can be minimized. On the other hand, in theaters, lecture halls, lecture halls, education halls, halls, and the like, chairs are often installed in a continuous sequence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s described above, a chair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sideways in a theater or lecture hall can be referred to as a connecting chair, wherein the lower end of a panel-shaped support frame that functions as a leg while partitioning a seating space that supports between occupants is located on the floor surface. It is fixedly arranged upright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backrest and an armrest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rotational support shafts provided at both ends to be disposed in front of the backrest are provided on two opposite support frames via a seat bracket. As a structure provided with each combined seat, in the articulated chair of the above structure, the seat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occupant is usually folded toward the backrest, so the space occupied by the seat is minimized. put it on and sit down. On the other hand, the articulated chairs are not installed in only one row in a theater, etc., but are installed in several row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place, so that a passage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articulated chairs in each row. When the occupant sits with his buttocks on the seat, his legs (mainly, his calves) are positioned in the passage space secured between the front row and the front row.

한편, 관람석 의자의 시트가 지각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시트 힌지를 기준으로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관객이 시트에서 일어나서 의자에서 퇴장하면 시트가 다시 시트 힌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는 착석 금지 상태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트의 뒤쪽 하부에 무게추를 달아서, 관객이 의자의 시트에서 일어나면 시트 뒤쪽의 무게추의 무게에 의해서 시트가 의자 양쪽 옆의 지각에 결합된 시트 힌지를 기준으로 다시 상향회동되는 반전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시트가 착석 금지 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다시 시트를 임의로 아래로 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록킹 구조가 구비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pectator gets up from the seat and leaves the chair in a state where the seat of the grandstand chair is lowered based on the seat hinge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erception, the seat rotates upward based on the seat hinge. A weight is plac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ck of the seat so that when the audience gets up from the seat of the chair, the weight of the weight on the back of the seat turns the seat into an inverted state in which the seat rotates upward again based on the seat hinges coupled to the crust on both sides of the chair. do. 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a locking structure to prevent the seat from being arbitrarily lowered again when the seat is switched to the seat prohibition state may be provided.

그런데, 기존에는 시트가 상향 회동되는 착석 금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단점이 있고, 구조가 복잡한 만큼 제조 코스트도 많이 나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트가 반전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수동으로 시트 착석 금지 상태 유지를 위한 록킹 상태 조정이 현장에서 즉시 이루어지지 못하고 컨트롤 타워에서 조정해야 하므로 시트 착석 금지 상태 유지를 위한 록킹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단점도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seat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seat rotates upward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s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In addition, when the seat is inverted, the locking system for maintaining the seat prohibition state becomes complicated because the administrator manually adjusts the locking state for maintaining the seat prohibition state cannot be made immediately on site, but has to be adjusted in the control tower.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91010호(2000.05.22 등록)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1010 (Registered on May 22, 2000)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45255호(2004.03.05 등록)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5255 (Registered on March 5, 2004)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75177호(2005.01.28 등록)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5177 (Registered on Jan. 28, 200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람자가 앉아 있지 않은 시트가 관람석 의자의 지각과 연결된 시트 힌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동식으로 잠금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ally lock the seat on which the spectator is not seated so as to maintain the upwardly rotated state based on the seat hinge connected to the perception of the grandstand chai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of a new configuration possibl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가 등받이의 전면 쪽으로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의 저면을 앞쪽에서 받쳐주어서 상기 시트가 착석 금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록킹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ase fixed to the ground on which the grandstand chair is installed; A locking bar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from the front in a seating prohibited state in which the seat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ward the front of the backrest so that the seat is maintained in a seating prohibited state; including; There is provided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베이스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단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록킹 바아와 마주하는 면에 제1회동 기준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에 복수개의 제1죠오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 바아에는 제2회동 기준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에는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죠오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와 복수개의 상기 제2죠오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단 개방부로 회동되어 인출되거나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회동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가 등받이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될 경우 상기 등받이의 쿠션 앞면을 상기 록킹 바아가 뒤쪽에서 받쳐줌으로써 상기 시트의 착석 금지 상태인 록킹 모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is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and the spa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open part of the base, and the base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on a surface facing the locking bar,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jaws, the locking bar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jaws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jaw and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are engaged, the locking bar is rotated and drawn out from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ase, or the locking bar is rota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through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ase It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and when the locking bar is rotated upwardly upward of the base in a state where the seat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face the front of the backrest, the locking bar supports the front of the cushion of the backrest from the ba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in the locking mode, which is a state where the seat is prohibited from sitting by giving.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록킹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상기 록킹 바아가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위쪽으로 상기 록킹 바아가 상향 회동되어 올라오거나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상기 록킹 바아가 하향 회동되어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includes a locking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base, wherein the locking bar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so that the locking bar is rotated upwardly above the base by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bar is rotated downward into the interior of the base.

상기 록킹 구동모터에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의 상기 회전 전달축에 상기 록킹 바아의 기단부쪽이 연결되어,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상기 모터축에 상기 록킹 바아의 기단부쪽이 구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drive motor includes a speed reducer, a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and a proximal end of the locking ba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the locking drive mo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locking bar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상기 베이스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단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상기 감속기에 구비된 상기 회전 전달축에는 상기 록킹 바아와 마주하도록 제1회동 기준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에 복수개의 제1죠오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 바아에는 제2회동 기준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에는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죠오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와 복수개의 상기 제2죠오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상기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나오거나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도록 하향 회동되며,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가 등받이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상기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될 경우 상기 등받이의 쿠션의 전면을 상기 록킹 바아가 뒤쪽에서 받쳐줌으로써 상기 시트의 착석 금지 상태인 록킹 모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is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the spa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open part of the base, an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provided in the speed reducer of the locking drive motor has a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to face the locking bar. is provide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jaws, the locking bar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has a plurality of engaging the plurality of first jaws two second jaws are provided, so that the locking bar moves through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b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are engaged. is rotated upward to come out or to enter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and 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seat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face the front of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When the locking bar is rotated upwardly upwards of the base, the locking bar supports the front of the cushion of the backrest from the back, so that the seat is maintained in the locking mode, which is a state prohibiting seating.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쪽으로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과 상기 록킹 바아를 탄성력으로 당겨서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에 복수개의 상기 제2죠오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를 수동으로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 쪽으로 밀어내릴 때에는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를 복수개의 상기 제2죠오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일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로 타고 넘어가도록 구성된다.A spring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spring pulls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locking bar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with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The jaws are maintained in an engaged state, and when the locking bar is manually pushed down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is rotated upwardly upward of the base, a plurality of the first jaw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the first jaws. The second jaw is configured to ride and pass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상기 베이스는 제1베이스벽과 제2베이스벽에 한 쌍의 사이드 베이스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벽에는 상기 록킹 바아의 한쪽 면 쪽으로 돌출된 제1지지 브라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벽에는 상기 록킹 바아의 다른 면 쪽으로 돌출된 제2지지 브라켓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has a pair of side base sidewalls on the first base wall and the second base wall, and has a box shape with a space therein, and the first base wall has a first base wall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locking bar. A first support bracket portion is provided,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bar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wall.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와 상기 제2지지 브라켓부 사이에 상기 록킹 바아가 회동되어 올라오거나 회동되어 내려가는 록킹 바아 인출홀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part, a locking bar withdrawal hole through which the locking bar is rotated to rise or rotate to descend is secured.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의 상단 높이는 상기 제2지지 브라켓부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ight of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is higher than a height of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part.

상기 록킹 바아에는 확장 지지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ded support piece is further provided.

상기 확장 지지편은 직경이 상기 록킹 바아의 좌우 폭보다 더 큰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nded support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ocking bar.

상기 록킹 바아에는 회동 작동바아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 작동바아를 상기 베이스에서 회전축인 볼트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록킹 바아를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쪽으로 세워지도록 상향 회동시키거나 상기 회동 작동바아를 내려서 상기 록킹 바아를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도록 하향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tation operation bar is provided in the locking bar, and the rotation operation bar is rotated upwardly around a bolt that is a rotation shaft in the base to rotate the locking bar upward to stand up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or the rotation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lowering the bar, the locking bar can be rotated downward to enter the inner space of the base.

상기 회동 작동바아를 상기 베이스에서 위쪽으로 당겨서 상기 록킹 바아를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쪽으로 들려지도록 회동시키거나 상기 회동 작동바아(48)를 내려줌으로써 상기 록킹 바아를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도록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ull the rotation operation bar upward from the base to rotate the locking bar to be lifted upwar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or lower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to move the locking ba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제1회동 기준 블록쪽으로 제2회동 기준 블록과 록킹 바아를 탄성력으로 당겨서 복수개의 제1죠오에 복수개의 제2죠오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에는 록킹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구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에는 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에 구비된 제2회동 기준 블록측 볼트 삽입홀과 제1회동 기준 블록에 형성된 제1회동 기준 블록측 볼트 삽입홀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볼트를 제1회동 기준 블록 쪽으로 당겨서 상기 록킹 바아에 구비된 제2회동 기준 블록의 복수개의 제2죠오가 제1회동 기준 블록의 복수개의 제1죠오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볼트의 외주면과 제1회동 기준 블록의 볼트 삽입홀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유격이 확보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가 상기 등받이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에 의해 록킹 바아에 누르는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은 제1회동 기준 블록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밀리면서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부하가 걸림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ring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spring pulls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locking bar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with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A motor shaft of a locking drive motor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a bolt is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to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side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and the bolt insertion hole o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side formed i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spring pulls the bolt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provided in the locking bar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of the block are kept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pac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l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lt insertion hole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bar by the seat in a state where the seat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in a state where the play is secured and the seat is prohibited from being seate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is based on the first rot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a case in which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is bent due to a load applied while being pushed independently from the block.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의 앞쪽에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제1센서와 제2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인쇄회로기판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있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는 록킹 센싱 기준편이 구비되어,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상향 회동되어 상기 베이스의 위쪽으로 나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를 감지하여 관람석 의자가 등받이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를 상기 록킹 바아가 앞에서 받쳐주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고,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하향 회동되어 다시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가 상기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간 상태를 감지하여 관람석 의자가 등받이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의 앞쪽에서 상기 록킹 바아가 치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록킹 구동모터의 구동을 멈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eed reducer that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and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a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is front and rea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passes through the surface, and a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is provided on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and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bar is rotated upwar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and protrudes upward of the base, the second sensor The locking drive motor so as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supports the seat from the front in a state in which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 by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is raised upward of the bas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is rotated downwardly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and re-entered, the first sensor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has entered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and the grandstand chair is placed on the backre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so that the locking bar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seat in a seat-inhibited state that is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본 발명은 관람자가 앉아 있지 않은 시트가 지각과 연결된 힌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주요부인 록킹 바아를 반전되어 있는 시트의 앞쪽으로 상향 회동시켜서 시트의 쿠션의 전면을 상기 록킹 바아가 받쳐줌으로써 시트의 착석 금지 상태에서 관람석 의자의 등받이의 앞쪽으로 시트를 다시 하향 회동시키는 시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관람석 의자에서 시트가 착석 금지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관람석 의자의 시트를 관람자가 마음대로 시트를 펼쳐서 앉게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관람석 의자 중에서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관람자가 시트의 착석 금지 상태에서 마음대로 시트를 펼쳐서 앉게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관람석 의자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ar, which is the main part, is rotated upwardly to the front of the inverted seat in the state where the seat where the seat is not seated is rotated upward based on the hing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locking bar is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 cushion. By supporting it, it prevents the transition from the seat-inhibited state to the seat-capable state in which the seat is rotated downwards again in front of the backrest of the grandstand chair, so that the seat in the grandstand chair needs to be maintained in the prohibited state. It has an effect of reliably preventing the seat from being seated by the spectator by spreading the seat arbitrarily, and by preventing the case where a spectator who does not have a reservation among the seats in the grandstand is unwillingly unfolding the seat in a state where the seat is prohibited, the grandstand chair has the effect of easy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 바아가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록킹 바아가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쪽으로 올라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록킹 바아와 결합되는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록킹 바아와 주요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관람석 의자의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록킹 바아의 확장 헤드부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회동 기준 블록과 제2회동 기준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의 주요부인 록킹 바아를 수동식으로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의 주요부인 록킹 바아를 수동식으로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록킹 바아를 수동식으로 베이스에서 위쪽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와 록킹 바아 및 록킹 구동모터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 바아가 베이스에서 인출되고 베이스의 내부로 들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를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설치하고 록킹 바아가 베이스에서 올라와서 시트를 착석 금지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를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설치하고 록킹 바아가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 있어서 시트가 회전할 수 있는 언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main part shown in Figure 1;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shown in FIG. 2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shown in Figure 3 is raised upwar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bas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coupled with a locking ba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shown in FIG. 5 and a main part are coupl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of the grandstand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head of the locking bar shown in FIG. 8 is separat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which are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manually withdrawing a locking bar, which is a main part of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manually withdrawing a locking bar, which is a main part of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shown in FIG. 12 is manually withdrawn from the base;
1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se, the locking bar, and the locking drive motor, which are th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which is the main part shown in FIG. 14, is drawn out from the base a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base;
16 is a side view showing a locking state in which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 the grandstand chair is installed, and the locking bar rises from the base to maintain the seat in a prohibited state.
17 is a side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in which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 the grandstand chair is installed and the locking bar enter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so that the seat can be ro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 바아가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록킹 바아가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쪽으로 올라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록킹 바아와 결합되는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록킹 바아와 주요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관람석 의자의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록킹 바아의 확장 헤드부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회동 기준 블록과 제2회동 기준 블록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의 주요부인 록킹 바아를 수동식으로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의 주요부인 록킹 바아를 수동식으로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록킹 바아를 수동식으로 베이스에서 위쪽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와 록킹 바아 및 록킹 구동모터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인 록킹 바아가 베이스에서 인출되고 베이스의 내부로 들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를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설치하고 록킹 바아가 베이스에서 올라와서 시트를 착석 금지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를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설치하고 록킹 바아가 베이스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 있어서 시트가 회전할 수 있는 언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main part shown in FIG. 1, FIG. 3 i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locking bar shown in FIG.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the part,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shown in FIG. 3 is raised upwar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FIG. 5 is a locking ba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by disassemblin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locking bar and the main part shown in FI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ded head of the locking bar shown in FIG. 8 is separated, and FIG.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block,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manually withdrawing a locking ba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grandst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manually withdrawing the locking ba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use,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shown in FIG. 12 is manually withdrawn upward from the base, FIG. 1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base, a locking bar, and a locking drive motor, which ar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which is a main part shown in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locking state in which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 the grandstand chairs are installed, and the locking bar rises from the base to keep the seat in a prohibited state, FIG. 17 is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where the grandstand chairs are installed, and the locking bar enter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so the seat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unlocked state that can rotat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는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20) 위쪽으로 올라오거나 베이스(2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회동되는 록킹 바아(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부에서 록킹 바아(40)를 작동시켜서 관람자가 예약된 관람석 의자의 시트(2)(좌석)를 착석 금지 상태로 전환하거나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화된 시스템과 연계되어서 사용되는 발명이다. 착석 금지 상태는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수직 회동되어 있어서 관람자가 시트(2)에 앉지 못하는 상태이고, 착석 가능 상태는 시트(2)가 등받이(5)의 앞으로 펼쳐져서 관람자가 시트(2)에 착석할 수 있는 상태로서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부에서 관리자 등이 관리하는 착석 금지 상태와 착석 가능 상태를 관리하는 자동화된 시스템과 연계되어서 사용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수동으로 착석 금지 상태와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20 fixed to the ground on which the grandstand chair is installed, and the base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20 to rise above the base 20 or and a locking bar 40 pivoted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base 20 .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locking bar 40 in the main control unit to switch the seat 2 (seat) of the reserved grandstand chair by the spectator to the non-seating state or to be used in connection with an automated system that converts the seated state to a seatable state. It is an invention. The seat prohibition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seat 2 is vertically rotate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so that the spectator cannot sit on the seat 2, and the seated state is the seat 2 is the seat of the backrest 5. As a state in which a spectator can be seated on the seat 2 by unfolding forward,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nnection with an automated system for managing the seat prohibition state and the seat availability state managed by an administrator in the main control unit. Of cou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ally switch between the seated prohibition state and the seatable state.

상기 록킹 바아(40)는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 쪽으로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의 쿠션이 전면을 뒤쪽에서 받쳐주어서 시트(2)가 착석 금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착석 금지 상태는 시트(2)가 수직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어서 관람자가 시트(2)에 착석하지 못하는 상태이다.The locking bar 40 is in a state where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ward the front of the backrest 5, and the cushion of the seat 2 supports the front from the back, so that the seat 2 is prohibited from sitting. to be maintained as The seat prohibition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seat 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pectator cannot sit on the seat 2 .

상기 베이스(20)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 공간부는 베이스(20)의 상단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제1베이스벽(23)과 제2베이스벽(24)에 한 쌍의 사이드 베이스벽(25)을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20)는 바텀 베이스판에 제1베이스벽(23)과 제2베이스벽(24)에 한 쌍의 사이드 베이스벽(25)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제1베이스벽(23)과 제2베이스벽(24)에 한 쌍의 사이드 베이스벽(25)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20)가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20) 내부의 공간부는 베이스(20)의 상단 개방부와 연통된다.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The space por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base 20 . The base 20 includes a pair of side base walls 25 on the first base wall 23 and the second base wall 24, and is configured in a box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The base 20 is a bottom base plate, and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base walls 25 ar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wall 23 and the second base wall 24, and the first base wall 23 and the second A pair of side base walls 25 to the base wall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ase 2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having a space therein, and the space inside the base 20 is a base ( 20) communicates with the upper opening.

상기 베이스(20)는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고정된다. 베이스(20)의 바텀 베이스판에는 좌우 양쪽에 상하면으로 연통된 앵커링홀이 구비되어, 상기 앵커링홀에 지면에 앵커링되어 있는 앵커링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바텀 베이스판 위에서 앵커링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베이스(20)를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 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링홀은 베이스(2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홀 형상의 앵커링홀에 의해 베이스(20)를 앵커링 볼트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지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20)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베이스(20)를 지면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한다는 것은 결국 본 발명의 바닥 고정형 브라켓을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지면의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베이스(20)가 시트(2)의 뒤쪽 위치에서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가 시트(2) 뒤쪽에 설치되도록 한다.The base 20 is fixed to the ground on which the grandstand chairs are installed. The bottom base plate of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nchoring holes communicating with upper and lower surfac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serting the anchoring bolts anchored to the ground in the anchoring holes, and tightening the nuts by fastening the anchoring bolts on the bottom base plate. By giving, the base 20 can be fixed to the ground on which the grandstand chairs are installed. At this time, the anchoring hole is configured in a long hole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se 20, and the base 20 is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ased on the anchoring bolt by the long hole-shaped anchoring hole to be fixed to the ground. Therefore, the base 20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The easy installation of the base 20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ground means that the floor-fixed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ground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grandstand chairs are installed. The base 20 is fixed to the ground at a position behind the seat 2 , so that the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the grandstand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hind the seat 2 .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는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은 록킹 바아(4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복수개의 제1죠오(34)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제1죠오(34)가 원형 블록 형상의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A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bar 40 ,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disposed opposite to the locking bar 40 . A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provided in the block 32 . A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having a circular block shape.

상기 록킹 바아(40)에는 제2회동 기준 블록(42)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원형 블록 형상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The locking bar 40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has a plurality of first jaws 34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Two second jaws 44 are provided. A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block shape.

복수개의 제1죠오(34)와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상단 개방부로 회동되어 인출되거나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서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회동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re engaged,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ase 20 to be drawn out or the locking bar 40 is moved to the base 20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and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될 경우 상기 등받이(5)의 쿠션의 전면을 록킹 바아(40)가 뒤쪽에서 받쳐줌으로써 시트(2)의 착석 금지 상태인 록킹 모드로 유지된다.When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of the base 20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face the front of the back 5, the cushion of the back 5 is By supporting the front of the locking bar 40 from the back, the seat 2 is maintained in the locking mode, which is a state where seating is prohibited.

상기 베이스(20)의 전방 베이스(20)벽에 록킹 구동모터(50)가 장착되고,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에는 감속기어와 같은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에는 회전 전달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전달축에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결합된다.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중심부가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제1죠오(34)는 베이스(20)의 후방 베이스(20)벽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A locking drive motor 50 is mounted on the wall of the front base 20 of the base 20,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provided with a reduction gear such as a reduction gear, and the reduction gea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transmission shaft,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coupl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co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jaw 34 faces the rear base 20 wall of the base 20 .

상기 베이스(20)에 록킹 구동모터(50)가 설치되고,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록킹 바아(40)가 구동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에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 록킹 바아(40)의 기단부쪽이 연결되어,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록킹 바아(40)의 기단부쪽이 구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향 회동되어 올라오거나 베이스(20)의 내부로 록킹 바아(40)가 하향 회동되어 들어가도록 구성된다.A locking drive motor 50 is installed on the base 20 , and a locking bar 40 is drivably connected to a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provided with a speed reducer,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the proximal end of the locking bar 4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tion gear. ,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locking bar 40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 by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or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downwardly into the inside of the base 20. .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에 구비된 감속기어와 같은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전달축에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결합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에는 록킹 바아(40)에 구비된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이 회전하여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회전하면 제2회동 기준 블록(42)이 회전하고 록킹 레버는 회동하게 된다.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 바아(40)가 상향 회동되어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베이스(20)의 상단 개방부를 통과해서 베이스(20)의 위로 올라오고,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 바아(40)가 하향 회동되어 베이스(20)의 위쪽에서 베이스(20)의 상단 개방부를 통과하여 베이스(20) 내부 공간부로 다시 들어오게 된다.A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a speed reducer such as a reduction gear provided in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provided,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coupl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provided.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of the locking bar 40 is configured to engage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provided in the locking bar 40, so that the locking drive motor 50 When the motor shaft rotates,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rotates, and whe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rotates,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rotates and the locking lever rotates. When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s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se 20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and rises above the base 20 When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locking bar 40 rotates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se 20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 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will come back to the department.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될 경우 상기 등받이(5)의 쿠션의 전면을 록킹 바아(40)가 뒤쪽에서 받쳐줌으로써 상기 시트(2)의 착석 금지 상태인 록킹 모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rotates upward to face the front of the back 5, the locking bar 40 moves above the base 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in the prohibited sitting state. When it is rotated upward, the locking bar 40 supports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of the backrest 5 from the back, so that the seat 2 can be maintained in the locking mode, which is a seating prohibition state.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내부에는 스프링(6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록킹 바아(40)를 제1회동 기준 블록(32) 쪽으로 탄성력으로 당겨줌으로써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A spring 6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and the spring 60 connects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locking bar 40 to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re maintained in engagement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by pulling with an elastic force toward the side.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내부에는 블록측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서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마주하는 면과 반대되는 후면에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구비된다. 록킹 센싱 기준편(70)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후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에는 축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 상기 축결합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결합된다.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이 회전하여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회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도 회전한다. 즉,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은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되고 제1회동 기준 블록(32)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감속기어와 같은 감속기가 연결되고,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록킹 센싱 기준편(70)에 결합되고, 록킹 센싱 기준편(70)은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후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회전하고,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도 함께 회전한다.A block side space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and a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i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70) is provided.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by a fastener such as a bolt. In addition,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provided with a shaft coupling hole, so that the shaft coupl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driving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coupl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When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rotates to rotate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lso rotates. That is,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rotated as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also rotated. A reduction gear such as a reduction gear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is coupled to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 and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by being coupled with a fastener such as a bolt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rotates, and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also rotates.

이때,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제2볼트 통과홀(45)이 구비되고, 상기 제2볼트 통과홀(45)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전면은 캡(46)에 의해 막아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46)의 안쪽면에 구비된 캡보스의 내부에 제2볼트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캡(46)의 제2볼트 삽입홀과 제2회동 기준 블록(42) 내부의 제2볼트 통과홀(45)로 볼트(62)가 결합되어, 상기 볼트(62)의 헤드부는 캡(46)의 제2볼트 삽입홀의 선단부에 형성된 헤드홈에 안착되어 걸리고, 상기 볼트(62)의 일부는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내부에 형성된 제1볼트 통과홀(35)을 통과하여 나오고, 상기 제1볼트 통과홀(35)의 끝단에는 너트홈(36)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홈(36)에 수용된 너트(37)가 상기 볼트(6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제1죠오(34)에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제2죠오(44)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주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 스프링(6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록킹 바아(40)를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 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제1죠오(34)에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제2죠오(44)가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is provided with a second bolt through hole 45, the second bolt through hole 45 communicates with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The front surface of the two-rotation reference block 42 is blocked by a cap 46 , and a second bolt insertion hole is provided inside the cap bos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46 , and the cap 46 ) of the second bol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bolt through hole 45 insid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the bolt 62 is coupled, and the head of the bolt 62 is the second part of the cap 46 . It is seated and caught in the head groove formed at the tip of the bolt insertion hole, and a part of the bolt 62 comes out through the first bolt through hole 35 formed i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nd the first A nut groove 3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olt through hole 35 , and the nut 37 accommodated in the nut groove 36 is coupled to the bolt 62 , thereby forming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The first jaw 34 faces the second jaw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to be coupled to the first jaw 34 , and a spring 60 buil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By pulling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locking bar 40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by the elastic force, the The second jaws 44 of the two-rotation reference block 4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in a coupled state.

상기 스프링(60)은 제2회동 기준 블록(42) 내부의 보스부의 내주면과 캡(46)의 안쪽면의 캡보스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스프링(6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안쪽면과 상기 캡(46)의 안쪽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어서 록킹 바아(40)와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상기 볼트(62)를 제1회동 기준 블록(32) 쪽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복수개의 제2죠오(44)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The spring 60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ss part insid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s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46, and at the same time both ends of the spring 6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basis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4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46 ar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locking bar 40,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bolt 62 to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 32),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remain elastically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make it possible

한편, 상기 볼트(62)의 외주면과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제1볼트 통과홀(35)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유격이 확보되어, 상기 링크 바아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을 밀거나 당겨줄 때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볼트(62)가 상기 유격으로 인하여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제1볼트 통과홀(35) 내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크 바아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을 밀거나 당겨줄 때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볼트(62)가 상기 유격으로 인하여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제1볼트 통과홀(35) 내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고 너트(37)도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너트홈(36)과의 사이에 확보된 유격으로 인하여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음에 따라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 부분에 과부하가 걸려서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휘어지는 것과 같은 록킹 구동모터(50)의 소손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certain distance is secur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lt 6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lt passage hole 35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nd the link bar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are secured. The bolt 62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first bolt through hole 35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due to the clearance by the force acting when pushing or pulling (42). do. The bolt 62 due to the clearance by the force acting when pushing or pulling the link bar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is the first bolt through hole 35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 and the nut 37 can move up and down due to the clearance secured between the nut groove 36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nd the locking drive motor 50 The motor shaft portion is overloaded to prevent the locking drive motor 50 from being damaged, such as bending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20)에는 록킹 바아(40)와 마주하는 면에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복수개의 제1죠오(34)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 바아(40)에는 제2회동 기준 블록(42)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내부에는 스프링(6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제1회동 기준 블록(32)쪽으로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상기 록킹 바아(40)를 탄성력으로 밀어서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는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구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볼트(62)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형성된 제1볼트 통과홀(35)에 볼트(62)의 일부가 통과되어 나오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상기 제1볼트 통과홀(35)을 통과하여 나온 상기 볼트(62)의 일부에는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 후면의 너트홈(36)에 수용되어 있는 너트(37)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6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볼트(62)와 상기 록킹 바아(40)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을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 쪽으로 밀어서 록킹 바아(40)에 구비된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볼트(62)의 외주면과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제1볼트 통과홀(35)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유격이 확보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2)에 의해 록킹 바아(40)에 누르는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상기 링크 바아 및 상기 볼트(62)는 제1회동 기준 블록(32)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밀리면서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부하가 걸림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on a surface facing the locking bar 40 , and a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The locking bar 40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has a plurality of second jaws 44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 ) is provided, and a spring 6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and the spring 60 includes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The locking bar 40 is pushed with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re kept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 and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 is driven,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is provided with a bolt 62, and a bolt ( 62) is passed through, and a part of the bolt 62 that comes out through the first bolt through hole 35 i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has a rea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The nut 37 accommodated in the nut groove 36 of the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provided in the locking bar 40 by pushing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re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Maintained in an elastically engaged state with the first jaw 34, an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6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lt passage hole 35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there is a gap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bar 40 by the seat 2 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th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The link bar and the bolt 62 are configured to prevent a case in which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bent due to a load while being pushed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를 수동으로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 쪽으로 밀어내릴 때에는 복수개의 제1죠오(34)를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일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로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를 수동으로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쪽으로 당겨줄 때에도 복수개의 제1죠오(34)를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일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로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록킹 바아(40)를 수동으로 내리거나 당겨줄 때에 복수개의 제1죠오(34)를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제1죠오(34)의 전면은 원주형면으로 구성되고, 제2죠오(44)의 전면도 원주형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죠오(34)와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제1죠오(34)의 원주형면에 제2죠오(44)의 원주형면이 접촉된 상태로 된다. 복수개의 제1죠오(34)와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제1죠오(34)의 원주형면에 제2죠오(44)의 원주형면이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록킹 바아(40)를 수동으로 회동시킬 경우에 제1죠오(34)의 복수개의 제1죠오(42)의 원주형면을 복수개의 제2죠오(44)의 원주형면이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록킹 바아(40)를 회동시키는 작동이 더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locking bar 40 is manually pushed down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ly upward of the base 20,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ride and pass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0 .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locking bar 40 is manually pulled upwar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while the locking bar 40 i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ride over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0). Preferably, when manually lowering or pulling the locking bar 40 ,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jaws 34 is circumferential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can ride smoothly. It is configured as a mold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jaw 44 is also configured as a cylindrical surface. 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re engaged,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first jaw 34 is in a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second jaw 44 is in contact. . When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re engaged and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first jaw 34 is in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second jaw 44, locking When the bar 40 is manually rotated,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jaws 42 of the first jaws 34 can smoothly ride 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so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bar 40 can be made easier and more smoothly.

상기 베이스(20)는 제1베이스벽(23)과 제2베이스벽(24)에 한 쌍의 사이드 베이스벽(25)을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벽(23)에는 록킹 바아(40)의 한쪽 면 쪽으로 돌출된 제1지지 브라켓부(26)가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벽(24)에는 록킹 바아(40)의 다른 면 쪽으로 돌출된 제2지지 브라켓부(27)가 구비된다.The base 20 includes a pair of side base walls 25 on the first base wall 23 and the second base wall 24 to have a box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nd the first base The wall 23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bracket portion 26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locking bar 40 , and the second base wall 24 has a second protruding sid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bar 40 . A support bracket portion 27 is provided.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26)와 제2지지 브라켓부(27) 사이에 록킹 바아(40)가 회동되어 올라오거나 회동되어 내려가는 상단 개방부이 확보된다.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26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part 27 , the upper opening part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to rise or rotate to descend is secured.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26)는 베이스(20)의 제1베이스벽(23)에서 제2베이스벽(24) 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수평 제1지지 브라켓편(26A)과, 상기 수평 제1지지 브라켓편(26A)에 연결되어 하향 연장된 하향 제1지지 브라켓편(26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향 제1지지 브라켓편(26B)은 록킹 바아(40)의 한쪽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first support bracket portion 26 includes a horizontal first support bracket piece 26A extending from the first base wall 23 of the base 20 toward the second base wall 24, and the horizontal first I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piece 26A and is composed of a downwardly extending first support bracket piece 26B. The downward first support bracket piece 26B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one side of the locking bar 40 .

상기 제2지지 브라켓부(27)는 베이스(20)의 제2베이스벽(24)에서 제1베이스벽(23) 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수평 제2지지 브라켓편(27A)과, 상기 수평 제2지지 브라켓편(27A)에 연결되어 하향 연장된 하향 제2지지 브라켓편(27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향 제2지지 브라켓편(27B)은 록킹 바아(40)의 다른 쪽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second support bracket portion 27 includes a horizontal second support bracket piece 27A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wall 24 of the base 20 toward the first base wall 23, and the horizontal second I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piece 27A and is composed of a downwardly extending second support bracket piece 27B. The downward second support bracket piece 27B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bar 40 .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26)의 상단 높이는 제2브라켓 지지부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다. 베이스(20)의 제1베이스벽(23)의 상단 높이가 제2베이스벽(24)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기 때문에,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26)의 상단 높이가 제2브라켓 지지부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가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관람석 의자를 옆에서 볼 때에 상기 제1베이스벽(23)과 제1지지 브라켓부(26)가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벽(24)과 제2지지 브라켓부(27)는 뒤쪽에 배치된다.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26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acket support part. Sinc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ase wall 23 of the base 20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ase wall 24,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26 i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acket support part. It is construct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When the grandstand chair is viewed from th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20 is fixed to the ground on which the grandstand chair is installed, the first base wall 23 and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26 are disposed in front, and the second base The wall 24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portion 27 are arranged on the rear side.

따라서, 상기 록킹 바아(40)를 상대적으로 높이가 더 높은 제1지지 브라켓부(26)가 뒤에서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 바아(40)의 지지력과 시트가 등받이 쪽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의 쿠션의 전면을 록킹 바아(40)가 뒤쪽에서 받쳐주는 지지력을 더 크게 하므로, 시트 착석 금지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locking bar 40 is supported from the back by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26 having a relatively higher height, the support force of the locking bar 40 and the seat rotation upward toward the backrest are prohibited. Since the locking bar 40 supports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from the back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mainta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또한, 상기 록킹 바아(40)에는 확장 지지편(41)이 더 구비된다. 록킹 바아(40)의 상단부에 확장 지지편(41)이 더 구비된다. 상기 확장 지지편(41)은 직경이 록킹 바아(40)의 좌우 폭보다 더 큰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bar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xtended support piece (41). An extended support piece 41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bar 40 . The extended support piece 41 is configured in a circular plate shape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ocking bar 40 .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록킹 바아(40)에 회동 작동바아(48)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 작동바아(48)는 록킹 바아(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록킹 바아(40)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측면과 제2측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록킹 바아(40)의 제1측면에 회동 작동바아(48)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바아(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회동 작동바아(48)가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록킹 바아(40)의 앞에서 볼 때에 회동 작동바아(48)의 하면이 록킹 바아(40)의 제1측면에서 예각 범위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록킹 바아(40)의 앞에서 볼 때에 회동 작동바아(48)의 상면은 록킹 바아(40)의 제1측면에서 둔각 범위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회동 작동바아(48)는 록킹 바아(40)에 연결된 상태에서 록킹 바아(40)의 상단부 쪽(상기 확장 지지편(41)이 있는 쪽)으로 예각 범위로 경사지게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회동 작동바아(48)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나와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 작동바아(48)에는 걸이홀이 구비되어, 상기 걸이홀이 베이스(20)의 위쪽으로 나와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ar 4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operation bar 48 , and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extends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40 . The locking bar 40 is configured in a shap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based on a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locking bar 40 . It take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is extend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bar 40 .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locking bar (40),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al operation bar (48) is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in an acute angle range from the first side of the locking bar (40).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locking bar (40),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is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in an obtuse angle range from the first side of the locking bar (40).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has a structure that is inclinedly extended in an acute angle range toward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bar 40 (the side where the extended support piece 41 is loc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cking bar 40 .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laid down to enter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of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protrude above the base 20 . More preferably, a hook hole is provided in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 so that the hook hole protrudes above the base 20 .

상기 회동 작동바아(48)를 상기 베이스(20)에서 위쪽으로 당겨서 록킹 바아(40)를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쪽으로 들려지도록 상향 회동시키거나 상기 회동 작동바아(48)를 아래쪽으로 내려서 록킹 바아(40)를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도록 하향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록킹 바아(40)를 수동식으로 회동작동시키는 것인데, 수동식은 록킹 구동모터(50)의 손상으로 록킹 구동모터(50)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때를 대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록킹 바아(40)를 록킹 구동모터(50)가 없이 순전히 수동식으로 회동작동시킬 수 있는 경우도 대비한 것이다.Pull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upwards from the base 20 to rotate the locking bar 40 upward so as to be lifted upwar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or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downwards It is possible to lower and rotate the locking bar 40 downward to enter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 In this way, the locking bar 40 is manually rotated, and the manual type is prepared in case the locking drive motor 50 does not operate properly due to damage to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the locking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pared for the case where the bar 40 can be rotated purely manually without the locking drive motor 50 .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관람석 의자에서 시트(2)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시트(2)를 마음대로 관람자가 펼쳐서 착석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 모드와 관람석 의자에서 시트(2)에 관람자가 앉을 필요가 있는 시트(2)를 언록킹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관리자가 조정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2 is rotated upward in the grandstand chair, the locking mode prevents the spectator from freely spreading the seat 2 and sitting on the seat 2 in the grandstand chair. The administrator will coordinate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necessary seat 2 to the unlocking mode.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상향 회동된 상태가 시트 착석 금지 상태이고, 상기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에서 앞으로 회동되어 내려와서 시트(2)에 앉을 수 있는 상태가 시트 착석 가능 상태인데,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록킹 바아(40)가 올라와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시트(2)의 쿠션의 전면을 뒤쪽에서 받쳐줄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기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를 다시 아래로 회동시켜 내린 상태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ate in which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face the front of the backrest 5 is the seat-seating prohibited state, and the seat 2 is rotated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backrest 5 and comes down to the seat (2) The state where you can sit on the seat is a state where you can sit on the seat, and in the state where seat seating is prohibited, the locking bar 40 rises and is in a position that can support the front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ack, so the seat The seat 2 is rotated downward again from the seat prohibition state to prevent conversion to the seatable state, which is a lowered state.

상기 시트 착석 가능 상태에서는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 들어가서 눕혀져 있는 상태가 되고, 관람석 의자의 시트(2)는 지면에 설치된 지각(다리)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언록킹 모드가 된다.In the seat seating state, the locking bar 40 enter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and is in a lying state, and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crust (leg) installed on the ground. It becomes an unlocking mode that can be.

관람석 의자의 시트 착석 가능 상태에서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을 마주보는 쪽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 바아(40)가 상향 회동하여 베이스(20) 위로 올라오고,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 위로 올라오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시트(2)(상향 회동된 시트(2)의 쿠션의 전면)를 뒤쪽에서 받쳐주고 있는 상태(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의 쿠션의 전면을 뒤쪽에서 받쳐주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를 다시 아래로 회동시켜 내린 상태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도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록킹 바아(40)가 상향 회동하여 베이스(20) 위로 올라오고,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 위로 올라오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시트(2)의 쿠션의 전면(상면)을 뒤쪽에서 받쳐주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 위쪽으로 회동되어 올라오는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 위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When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in one direction in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seat 2 is rotated upward to face the front of the backrest 5 in the seat seating state of the grandstand chair, the locking bar 40 ) rotates upward and rises above the base 20, and when the locking bar 40 rises above the base 20, the seat 2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rotated upwar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rear. Since it is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is supported from the rear in the state in which the seat is prohibited from sitting), the se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2 is rotated down again in the state of not being seated in the seat. The transition to the enable state is prevented. When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also rotates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bar 40 rotates upward and rises above the base 20, and the locking bar 40 moves to the base ( 20) When it comes up, it is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ack. At this time, as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and raised above the base 20, the locking drive motor 50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the motor shaft rotates in one direction,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the locking bar 40 rises above the base 20 .

한편, 상기 록킹 바아(40)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은 스프링(60)에 의해 제1회동 기준 블록(32) 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져 있는 상태라서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록킹 바아(40)가 안정적으로 베이스(20) 위쪽으로 회동되어 올라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cking bar 40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re elastically pushed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by the spring 60,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Since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re stably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of As it rotates, the locking bar 40 can be stably rotated upwards of the base 20 to rise.

한편,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의 앞쪽에는 인쇄회로기판(71)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71)에는 제1센서(72)와 제2센서(74)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인쇄회로기판(71)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있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는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결합되어,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상향 회동되어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나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센서(74)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를 감지하여 관람석 의자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2)를 상기 록킹 바아(40)가 뒤쪽에서 받쳐주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고,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하향 회동되어 다시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제1센서(72)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간 상태를 감지하여 관람석 의자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2)의 앞쪽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치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을 멈추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rinted circuit board 7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eed reducer that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a first sensor 72 and a second sensor (72) a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74) is provide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pass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and a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coupl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and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protrudes above the base 20 , the locking bar 40 moves upward of the base 20 by the second sensor 74 . The locking bar 40 keeps the seat 2 supported by the locking bar 40 from the back 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by detecting the raised state.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50, and when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downwardl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re-entered, the locking bar 40 by the first sensor 72 The locking bar 40 from the front of the seat 2 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by detecting a state in which it has entered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 is configur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so that it is maintained in a removed state.

또는, 베이스(20)의 내부에 센싱 기준판과 마주하는 제1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71A)에는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전면 케이스벽(25)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베이스(20)의 위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72)가 장착되고, 베이스(20)의 제1베이스벽 또는 제2베이스벽에는 제2인쇄회로기판(71B)이 장착되고,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71B)에는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접혀져서 들어와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73)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facing the sensing reference plate is built in the base 20 , an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71A has a locking bar 40 on the front case wall 25 of the base 20 . ) is equipped with a first sensor 72 for detecting a state protruding upward of the base 20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se 20,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 71B) is mounted, and a second sensor 73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fold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entered is mounted o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71B. there is.

본 발명은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의 앞쪽에는 인쇄회로기판(71)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71)에는 제1센서(72)와 제2센서(74)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인쇄회로기판(71)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있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는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결합되어, 관람석 의자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상향 회동되어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나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센서(74)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을 멈추고 상기 시트(2)의 쿠션을 상기 록킹 바아(40)가 뒤쪽에서 받쳐주는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하향 회동되어 다시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제1센서(72)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시트(2)의 쿠션의 뒤쪽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치워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을 멈춰서 상기 시트(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언록킹 상태로 전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d circuit board 7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eed reduce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a first sensor 72 and a second sensor (72) a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74) is provide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pass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and a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coupl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and the grandstand chair has a backrest (5). )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in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se 20 and protrudes upward of the base 20,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aised upward of the base 20 is sensed by the two sensors 74 to stop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the cushion of the seat 2 is placed on the locking bar ( 40) is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that maintains a supporting state from the rea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downwardl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re-entered, the first sensor 72 The locking drive motor 50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has entere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maintains the locking bar 40 removed from the back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 Stops the driving of the seat 2 and converts it to an unlocked state in which the seat 2 can be rotated.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상향 회동되어 베이스(20)의 위쪽으로 나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에 구비된 센싱 기준부(센싱 기준부는 예를 들어 센싱 마크가 될 수 있음)가 제2센서(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센서(74)에 의해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로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를 센싱하기 때문에,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의 회전을 중지시켜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로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를 유지한다. 즉, 록킹 바아(40)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시트(2)(즉, 관람석 의자의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되어 있는 시트(2)의 쿠션의 상면)를 뒤쪽에서 받쳐주는 록킹 상태로 유지한다. 또는,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제2센서(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센서(72)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가 되면, 제2센서(74)에 의해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로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의 회전을 중지시켜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로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protrudes above the base 20, a sensing reference part (sensing reference part) provided in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an example (which may be a sensing mark)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ensor 74 , and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by the second sensor 74 and raised. Since the state is sensed,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ing motor 50 is stopped, and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to maintain a raised state. That is, the seat 2 o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of the grandstand chair) from the back Keep it in the locking position that supports it. Alternatively, when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ensor 74 and is out of a position facing the first sensor 72, by the second sensor 74 The locking bar 40 stops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by sens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to prevent the locking bar 40 from rotating inside the base 20 . 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raised state by being rotated upward in the space portion.

상기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록킹 바아(40)가 시트(2)의 쿠션을 뒤쪽에서 받쳐줄 수 있는 록킹 모드에서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 바아(40)가 하향 회동하여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다시 들어가서 눕혀지고,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 위로 올라오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반전되어 있는 시트(2)(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시트(2)의 쿠션)를 뒤쪽에서 받쳐주고 있는 상태(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의 쿠션의 전면(상면)을 뒤쪽에서 받쳐주고 있는 상태)가 해제(시트 록킹 모드가 해제)되므로, 상기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를 다시 아래로 회동시켜 내린 상태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도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록킹 바아(40)가 하향 회동하여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다시 들어가서 눕혀지고,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다시 들어가면 상향으로 세워져 있는 시트(2)의 쿠션을 뒤쪽에서 받쳐주고 있는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즉, 시트 착석 금지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모드에서 시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언록킹 모드로 전환된다.When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locking mod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can support the cushion of the seat 2 from the rear in the seat seating prohibited state, the locking bar 40 moves downward. It rotates to enter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gain and is laid down, and when the locking bar 40 rises above the base 20, the inverted seat 2 (vertically rotated seat 2) of the cushion) from the rear (the state supporting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from the rear in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is released (seat locking mode is released), so the seat seating is prohibited In this state, the seat 2 can be rotated downward again to be converted to a seated state, which is a lowered state. When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also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bar 40 rotates downward and enter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again and is laid down, locking When the bar 40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gain, the locking state supporting the cushion of the seat 2 erected upward from the rear is released. That is, it is switched from the locking mode in which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is maintained to the unlocking mode in which the seat seating enable state can be switched.

한편, 상기 록킹 바아(40)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은 스프링(60)에 의해 제1로테이션 블록(32) 쪽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져 있는 상태라서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록킹 바아(40)가 안정적으로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하향 회동되어 들어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cking bar 40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re elastically pushed toward the first rotation block 32 by the spring 60, the Since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re stably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As it rotates, the locking bar 40 can be stably rotated downwardl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서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에 센싱 기준부(센싱 기준부는 예를 들어 센싱 마크가 될 수 있음)가 제1센서(72)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센서(72)에 의해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와서 눕혀져 있는 상태를 센싱하기 때문에,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의 회전을 중지시켜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와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록킹 바아(40)가 반전되어 있는 시트(2)의 쿠션의 전면(즉, 관람석 의자의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되어 있는 시트(2)의 쿠션의 전면)를 뒤쪽에서 받쳐주지 않고 아래로 빠져있는 언록킹 상태로 유지한다. 또는,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제1센서(72)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센서(74)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가 되면, 제1센서(72)에 의해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다시 들어온 상태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의 회전을 중지시켜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다시 들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반전되어 있는 시트(2)라 함은 관람석 의자의 등받이(5)의 전면과 시트(2)의 쿠션의 전면이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enter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and is laid down, the sensing reference portion (the sensing reference portion may be, for example, a sensing mark) on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the first sensor Since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72 and sense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is laid down by the first sensor 72, the locking drive motor 50 Stop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bar 40 is maintained in a stat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inverted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that is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of the grandstand chair) Keep it in an unlocked state that is pulled down without support from the back. Alternatively, when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sensor 72 and is out of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ensor 74, by the first sensor 72 The locking bar 40 stops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by sensing the state that the locking bar 40 has entere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gain, so that the locking bar 40 is return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maintain an entered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rted seat 2 means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5 of the grandstand chai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face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은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을 마주보는 위치로 상향 회동된 상태인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시트(2)를 뒤쪽에서 받쳐주는 록킹 모드로 전환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관람자 등이 시트(2)를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하향회동시키려 하여도 상기 록킹 레버가 시트(2)를 앞쪽에서 받치고 있기 때문에, 시트(2)를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이 불가능하도록 하므로, 관람석 의자에서 시트(2)가 착석 금지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관람석 의자의 시트(2)를 관람자가 마음대로 시트(2)를 펼쳐서 앉게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착석 금지 상태에서 관람자가 마음대로 시트(2)를 펼쳐서 앉게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관람석 의자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관람자가 착석할 필요가 있는 관람석 의자의 시트(2)를 착석 금지 상태에서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관리자측에서 록킹 바아(40)를 하향 회동되어 시트(2)의 앞쪽에서 치워질 수 있도록 조정하므로, 이처럼 록킹 바아(40)가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 앞쪽의 록킹 바아(40)를 시트(2)의 쿠션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치우는 언록킹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함으로 인하여 관람석 의자에 앉을 권리가 있는 관람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하게 관람석 의자의 시트(2)에 앉도록 하는 서비스가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ar 40 supports the seat 2 from the back in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Switch to the locking mode, and in this state, even if a spectator or the like tries to rotate the seat 2 downward from the vertically rotated seat prohibition state, since the locking lever supports the seat 2 from the front, the seat ( 2) makes it impossible to switch from the prohibited state to the seat-capable state, so the spectator can freely use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which needs to be maintained in the seat-inhibited state in the grandstand chair.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ase of being seated by unfolding it,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the grandstand chair by preventing the case where the spectator freely unfolds the seat 2 and sits in the state where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prohibited. In addition, in order to convert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which the spectator needs to sit, from the prohibited state to the seatable state, the manager side rotates the locking bar 40 downward and can be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seat 2 In this way, the locking bar 40 quickly switches to the unlocked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n front of the seat 2 is removed from the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in the seat seating prohibited state.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a viewer who has the right to sit on the grandstand chair to sit on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quickly and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에서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내부에는 스프링(6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제1회동 기준 블록(32)쪽으로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록킹 바아(40)를 탄성력으로 밀어서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는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구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볼트(62)가 구비되어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 구비된 제2회동 기준 블록(42)측 볼트 삽입홀과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형성된 제1회동 기준 블록(32)측 볼트 삽입홀에 상기 볼트(62)가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볼트(62)를 제1회동 기준 블록(32) 쪽으로 밀어서 상기 록킹 바아(40)에 구비된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볼트(62)의 외주면과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볼트 삽입홀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유격이 확보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상기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에 의해 록킹 바아(40)에 누르는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은 제1회동 기준 블록(32)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밀리면서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부하가 걸림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경우를 방지한다.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 부분이 휘어지는 등의 소손을 방지하므로, 상기 록킹 바아(40)를 베이스(20) 위쪽으로 상향 회동시키거나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하향 회동시키는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이 감속기어와 같은 회전력 전달수단을 통해 구동적으로 연결된 경우에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에 의해 록킹 바아(40)에 누르는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은 제1회동 기준 블록(32)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밀리면서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과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부하가 걸림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경우와 같은 소손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록킹 바아(40)를 베이스(20) 위쪽으로 상향 회동시키거나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하향 회동시키는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제대로 원활하게 들어오지 못하거나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제대로 회동되어 올라오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한다는 것은 록킹 바아(40)에 의해 시트 착석 금지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를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6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and the spring 60 is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a locking bar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40) is pushed b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kept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has a locking drive motor (50). The shaft is driven to be connected, and a bolt 62 is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to include a bolt insertion hole on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side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bolt 62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on the side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formed i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nd the spring 60 inserts the bolt 62 into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 32),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provided in the locking bar 40 ar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Maintaining the sexually engaged state, a certain distance spaced play is secur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lt 6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lt insertion hole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so that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bar 40 by the seat 2 in a state where the seat is prohibited from being rotated upwar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is based on the first rotation While being pushed independently from the block 32, a case in which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bent due to a load is prevented. Since the motor shaft portion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prevented from being burned, such as bending,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locking bar 40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20 or downwardly rotating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is Prevent cases from not working properly. When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through a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reduction gear,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is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bar 40 by the seat 2 in a state where the seat rotat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prohibition from sitting,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is independent from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While being pushe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and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such as when bent due to a load. Or it is prevented in advance from the case in which the operation of downward rotation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is not performed properly. Preventing the locking bar 40 from not smoothly enter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or from being properly rotated upwards of the base 20 to come up is a state where seat seating is prohibited by the locking bar 40 This means that the case of not maintaining the state prevents the transition from the seat-seating prohibited state to the seat-seating enabled state.

또한,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의 앞쪽에는 인쇄회로기판(71)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71)에는 제1센서(72)와 제2센서(74)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인쇄회로기판(71)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있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는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7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eed reducer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a first sensor 72 and a second sensor (72) a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74) is provide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penetrat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an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서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 센싱 기준편(70)에 센싱 기준부(센싱 기준부는 예를 들어 센싱 마크가 될 수 있음)가 제1센서(72)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센서(72)에 의해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와서 눕혀져 있는 상태를 센싱하기 때문에,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의 회전을 중지시켜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와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enter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and is laid down, the sensing reference portion (the sensing reference portion may be, for example, a sensing mark) on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the first sensor Since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72 and sense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is laid down by the first sensor 72, the locking drive motor 50 Stop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bar 40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enter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록킹 바아(40)가 제1록킹 바아부(40A)와 제2록킹 바아부(40B)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록킹 바아부(40B)에 확장 지지편(41)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ar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bar part 40A and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and is extended to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The support piece 41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상기 제1록킹 바아부(40A)는 하단부에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구비되며 제1록킹 바아(40)는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관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록킹 바아부(40A)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 지지홀(40SH)이 구비된다.The first locking bar portion 40A is provided with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t its lower end, and the first locking bar 40 is configur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 plurality of coupling support holes 40SH are provided in the first locking bar portion 40A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록킹 바아부(40B)는 제1록킹 바아부(40A)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록킹 바아부(40B)의 상단부에 상기 확장 지지편(41)이 구비된다. 상기 제2록킹 바아부(40B)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일부가 돌출된 결합 스톱볼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is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bar part 40A, and the extended support piece 4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The second locking bar portion 40B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coupling stop ball, which is supported by a spring and partially protrudes.

상기 제2록킹 바아부(40B)를 제1록킹 바아부(40A)에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60)에 의해 탄지되는 결합 스톱폴이 제2록킹 바아부(40B)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 지지홀(40SH)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합 지지홀(40SH)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상기 제2록킹 바아부(40B)가 제1록킹 바아부(40A)에 결합된 록킹 바아(40)를 형성한다. 상기 록킹 바아(40)가 세워진 상태에서 제2록킹 바아(40)에 구비된 확장 지지편(41)이 착석 금지 상태로 되어 있는 시트(2)의 쿠션을 뒤에서 받쳐주고 있게 되어 시트 착석 금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록킹 바아(40)가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착석 금지 상태인 시트(2)의 쿠션의 전면(상면)을 뒤쪽에서 받쳐주기 위한 록킹 바아(40)가 없어져 있으므로, 상기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를 등받이(5)의 앞쪽으로 펼쳐줄 수 있는 시트 착석 가능 상태가 된다.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bar part 40A, and the engagement stop pole supported by the spring 60 supports a plurality of couplings provided in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forms a locking bar 40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bar part 40A by being inserted and hooked into one of the coupling support holes 40SH among the holes 40SH. .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erected, the extended support piece 41 provided in the second locking bar 40 supports the cushion of the seat 2 which is 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from the back, so that the seat seat prohibition state is obtained. The locking bar 40 for supporting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in a state where seating is prohibited from the back while the locking bar 40 enter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is missing. Therefore, in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the seat 2 can be spread out in front of the backrest 5 to be in a seat seating state.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가지는 기능 내지 효과는 상기한 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록킹 바아(40)가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의 쿠션의 전면을 뒤쪽에서 받쳐주는 록킹 바아(40)가 록킹 구동모터(50)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20) 위로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에서 만일 록킹 구동모터(50)가 고장나는 경우, 상기 제2록킹 바아부(40B)의 결합 지지홀(40SH)에 삽입되어 들어가 있던 연결 지지부(40CB)을 눌러준 상태에서 제2록킹 바아부(40B)를 제1록킹 바아부(40A)에서 분리하면,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의 앞쪽에 시트(2)를 받쳐서 걸려지게 하는 부분(즉, 제2록킹 바아부(40B)와 확장 지지편(41) 부분)이 없어진 셈이 되어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를 하향 회동시키는 시트 착석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ar 40 supporting the front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from the back in the state where the locking bar 40 is prohibited from sitting is the base by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20) If the locking drive motor 50 fails in the state rotated upward, the connection support part 40CB inserted into the coupling support hole 40SH of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is pressed. When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bar part 40A in this state, the part that supports and hangs the seat 2 in front of the seat 2 in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that is, the second The locking bar portion 40B and the extended support piece 41 part) are lost, and thus h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witch from the seat-inhibited state to the seat-seating-enabled state in which the seat 2 is downwardly rota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2록킹 바아부(40B)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 지지홀(40SH)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1록킹 바아부(40A)에 구비된 연결 지지부(40CB)을 복수개의 결합 지지홀(40SH) 중에서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시트(2)의 쿠션의 전면을 뒤쪽에서 받쳐주는 제2록킹 바아부(40B)와 확장 지지편(41) 부분의 높낮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support holes 40SH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econd locking bar part 40B, so that the connection support part 40CB provided in the first locking bar part 40A is provided. The height of the second locking bar portion 40B and the extended support piece 41 supporting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from the rear in the seat seating prohibition state by selecting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upling support holes 40SH and combining them. can be easily and quickly adjust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hang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20. 베이스 23. 제1베이스벽
24. 제2베이스벽 25. 사이드 베이스벽
32. 제1회동 기준 블록 34. 제1죠오
35. 제1볼트 통과홀 36. 너트홈
37. 너트 40. 록킹 바아
41. 확장 지지편 42. 제2회동 기준 블록
44. 제2죠오 45. 제2볼트 통과홀
46. 캡 50. 록킹 구동모터
60. 스프링 62. 볼트
70. 록킹 센싱 기준편 71. 인쇄회로기판
72. 제1센서 74. 제2센서
20. Base 23. First Base Wall
24. Second base wall 25. Side base wall
32. 1st rotation reference block 34. 1st jaw
35. First bolt through hole 36. Nut groove
37. Nut 40. Locking Bar
41. Extended support piece 42.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4. 2nd jaw 45. 2nd bolt through hole
46. Cap 50. Locking drive motor
60. Spring 62. Bolt
70. Locking Sensing Reference 71. Printed Circuit Board
72. First sensor 74. Second sensor

Claims (13)

관람석 의자가 설치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시트(2)를 받쳐주는 록킹 바아(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20)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단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록킹 바아(4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복수개의 제1죠오(34)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 바아(40)에는 제2회동 기준 블록(42)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34)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34)와 복수개의 상기 제2죠오(44)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상기 상단 개방부로 회동되어 인출되거나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회동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될 경우 상기 시트(2)의 쿠션의 전면을 상기 록킹 바아(40)가 뒤쪽에서 받쳐줌으로써 상기 시트(2)의 착석 금지 상태인 록킹 모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 base 20 fixed to the ground where the grandstand chairs are installed;
Locking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20 to support the seat 2 so that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to mainta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A bar (4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and the spa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open part of the base 20 , and the base 20 has a third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bar 40 . A single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provide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jaws 34 , and the locking bar 40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and a plurality of second jaws 44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provided in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nd the plurality of first jaws 44 ar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two jaws 44 are engaged,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ase 20 and drawn out, or the locking bar 40 is moved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se 20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se. It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by being rota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20, and the locking bar 40 is located in the base 20 in the seat prohibited state in which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to face the front of the back 5. ), the locking bar 40 supports the front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from the back, so that the seat (2) is maintained in the locking mode, which is a state where seating is prohibited. For floor-fixed lo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바아(40)는 상기 시트(2)가 상기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2)의 쿠션을 뒤쪽에서 받쳐주어서 상기 시트(2)의 착석 금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bar 40 supports the cushion of the seat 2 from the back 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in which the seat 2 is rotated upwar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so that the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eated prohibition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에 설치된 록킹 구동모터(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상기 록킹 바아(40)가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향 회동되어 올라오거나 상기 베이스(20)의 내부로 상기 록킹 바아(40)가 하향 회동되어 들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locking drive motor 50 installed on the base 20,
The locking bar 40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so that the locking bar 40 is moved upward of the base 20 by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to rise or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downwardly into the base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에는 감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의 상기 회전 전달축에 상기 록킹 바아(40)의 기단부쪽이 연결되어,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상기 모터축에 상기 록킹 바아(40)의 기단부쪽이 구동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provided with a speed reducer,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and the base end of the locking bar 4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speed reducer.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is connected so that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locking bar (40) is drivab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내부에는 스프링(6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쪽으로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상기 록킹 바아(40)를 탄성력으로 밀어서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34)에 복수개의 상기 제2죠오(44)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올라온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를 수동으로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 쪽으로 밀어내릴 때에는 복수개의 상기 제1죠오(34)를 복수개의 상기 제2죠오(44)가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일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로 타고 넘어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pring 6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nd the spring 60 moves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towar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locking bar ( 40) is pushed by an elastic force to keep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nd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ly upward of the base 20 When the locking bar 40 is manually pushed down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in the raised state,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re connected to the spring 60 ),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ide and pass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a certain pressur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는 제1베이스벽(23)과 제2베이스벽(24)에 한 쌍의 사이드 베이스벽(25)을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벽(23)에는 상기 록킹 바아(40)의 한쪽 면 쪽으로 돌출된 제1지지 브라켓부(26)가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벽(24)에는 상기 록킹 바아(40)의 다른 면 쪽으로 돌출된 제2지지 브라켓부(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20 includes a pair of side base walls 25 on the first base wall 23 and the second base wall 24 to have a box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nd the first base The wall 23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bracket portion 26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locking bar 40 , and the second base wall 24 is provided with a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bar 40 .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bracket (2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26)와 상기 제2지지 브라켓부(27) 사이에 상기 록킹 바아(40)가 회동되어 올라오거나 회동되어 내려가는 상단 개방부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loor-fixed locking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part 26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part 27, an upper open part is secured by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to rise or rotate to go dow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브라켓부(26)의 상단 높이는 상기 제2지지 브라켓부(27)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26)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바아(40)에는 확장 지지편(4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bar (40) is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ded support piece (41) is further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바아(40)에는 회동 작동바아(48)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 작동바아(48)를 상기 베이스(20)에서 회전축인 볼트(62)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록킹 바아(40)를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위쪽으로 세워지도록 상향 회동시키거나 상기 회동 작동바아(48)를 내려서 상기 록킹 바아(40)를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도록 하향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bar 4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operation bar 48, and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is rotated upwardly from the base 20 about the bolt 62, which is a rotation axis, so that the locking bar 40 is moved. Rotating upward to stand up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or lowering the rotation operation bar 48 to rotate the locking bar 40 downward to enter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에는 록킹 바아(40)와 마주하는 면에 제1회동 기준 블록(32)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복수개의 제1죠오(34)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 바아(40)에는 제2회동 기준 블록(42)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내부에는 스프링(6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제1회동 기준 블록(32)쪽으로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상기 록킹 바아(40)를 탄성력으로 밀어서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는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구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에는 볼트(62)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형성된 제1볼트 통과홀(35)에 볼트(62)의 일부가 통과되어 나오고,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에 상기 제1볼트 통과홀(35)을 통과하여 나온 상기 볼트(62)의 일부에는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 후면의 너트홈(36)에 수용되어 있는 너트(37)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6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볼트(62)와 상기 록킹 바아(40)와 제2회동 기준 블록(42)을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 쪽으로 밀어서 록킹 바아(40)에 구비된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의 복수개의 제2죠오(44)가 상기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복수개의 제1죠오(34)에 탄성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볼트(62)의 외주면과 제1회동 기준 블록(32)의 제1볼트 통과홀(35)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유격이 확보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시트(2)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시트(2)에 의해 록킹 바아(40)에 누르는 힘이 작용할 경우 상기 제2회동 기준 블록(42)과 상기 록킹 바아(40) 및 상기 볼트(62)는 제1회동 기준 블록(32)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밀리면서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이 부하가 걸림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on a surface facing the locking bar 40, and a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The locking bar 40 is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has a plurality of second jaws 44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 and a spring 6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nd the spring 60 moves towar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towar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and the locking bar. (40) is pushed b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jaws (34) are kept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and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has a locking drive motor (50). The shaft is driven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is provided with a bolt 62 so that the bolt 62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lt through hole 35 formed i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A part is passed through, and a part of the bolt 62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bolt through hole 35 in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has a nut groove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A nut 37 accommodated in 36 is coupled, and the spring 60 first rotates the bolt 62, the locking bar 40, and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by elastic force. The plurality of second jaws 44 of the second rotation reference block 42 provided in the locking bar 40 by pushing toward the reference block 32 are the plurality of first jaws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 34), an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6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lt passage hole 35 of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 gap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is secured, When the seat 2 of the grandstand chair is rotated upward in the direction facing the front of the backrest 5 and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bar 40 by the seat 2 in the seat prohibition state, the second rotation The reference block 42 and the locking bar ( 40) and the bolt 62 are pushed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rotation reference block 32, and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is configured to prevent bending due to a load being applied. Floor-mounted locking device for chai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의 앞쪽에는 인쇄회로기판(71)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71)에는 제1센서(72)와 제2센서(74)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은 인쇄회로기판(71)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있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 전달축에는 록킹 센싱 기준편(70)이 결합되어, 관람석 의자가 등받이(5)의 전면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향 회동된 시트 착석 금지 상태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서 상향 회동되어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나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센서(74)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위쪽으로 올라온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을 멈춰서 상기 시트(2)의 쿠션을 상기 록킹 바아(40)가 뒤쪽에서 받쳐주는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하향 회동되어 다시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제1센서(72)에 의해 상기 록킹 바아(40)가 상기 베이스(2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킹 구동모터(50)의 구동을 멈춰서 상기 시트(2)의 쿠션의 뒤쪽에서 상기 록킹 바아(40)가 치워진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시트(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언록킹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용 바닥 고정형 록킹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printed circuit board 7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eed reducer driving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 and a first sensor 72 and a second sensor 74 a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 is provided,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pass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1, and the locking sensing reference piece 70 is coupled to the rotation transmission shaft of the reducer, so that the grandstand chair is the backrest (5).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up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20 in a state where the seat is prohibited from being rotated upward to a position facing the front, the second sensor The locking bar 40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aised upward of the base 20 by (74) to stop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to secure the cushion of the seat 2 to the locking bar 40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ar 40 is rotated downwardl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20 and re-entered, the locking bar is controlled by the first sensor 72 The locking bar 40 is removed from the back of the cushion of the seat 2 by sensing the state that the 40 has entered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20 and stopping the driving of the locking drive motor 50 . A floor-fixed locking device for a grandst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and converted to an unlocked state in which the seat (2) can be rotated.
KR1020200171329A 2020-12-09 2020-12-09 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KR102290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29A KR102290230B1 (en) 2020-12-09 2020-12-09 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29A KR102290230B1 (en) 2020-12-09 2020-12-09 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230B1 true KR102290230B1 (en) 2021-08-17

Family

ID=7746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329A KR102290230B1 (en) 2020-12-09 2020-12-09 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23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462U (en) * 1991-10-03 1993-04-20 株式会社コトブキ Desk and chair
JP2550967Y2 (en) * 1991-05-21 1997-10-15 株式会社コトブキ Chair
KR200191010Y1 (en) 2000-01-06 2000-08-16 김영국 A seat
EP1152158A1 (en) * 1999-02-03 2001-11-07 Koyo Giken Co., Ltd. Angle adjusting device
KR200345255Y1 (en) 2003-12-23 2004-03-18 혜성산업(주) Support device for chair
KR200375177Y1 (en) 2004-06-14 2005-03-11 박원일 The folding armrest of a seat with a strip
KR20130093411A (en) * 2012-02-14 2013-08-22 석민 강 RFID signal chai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967Y2 (en) * 1991-05-21 1997-10-15 株式会社コトブキ Chair
JPH0529462U (en) * 1991-10-03 1993-04-20 株式会社コトブキ Desk and chair
EP1152158A1 (en) * 1999-02-03 2001-11-07 Koyo Giken Co., Ltd. Angle adjusting device
KR200191010Y1 (en) 2000-01-06 2000-08-16 김영국 A seat
KR200345255Y1 (en) 2003-12-23 2004-03-18 혜성산업(주) Support device for chair
KR200375177Y1 (en) 2004-06-14 2005-03-11 박원일 The folding armrest of a seat with a strip
KR20130093411A (en) * 2012-02-14 2013-08-22 석민 강 RFID signal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505B2 (en) Nosemount seating system
US5542748A (en) Quick release anchoring system for a seat assembly
JP2003199646A (en) Passenger seat
WO2010023754A1 (en) Stored type stand
KR102290230B1 (en) Bottom fixing type locking device for audience chair
KR102279472B1 (en) Manual locking bracket for audience chair
KR102465225B1 (en) Head portion mounting type chair seat control device
JPH1175979A (en) Chair for theater hall
JP4699431B2 (en) Movable chair for viewing
KR20020025200A (en) Portable seating and locking apparatus therefor
US3547484A (en) Suspended seating construction
CN216569101U (en) Height-adjustable wall-hung seat
JP2000033900A (en) Seat unit for aircraft
EP3738473A1 (en) Swivel device for a chair, a chair provided with a swivel device and chair operating method
US11969095B2 (en) Lift chair with horizontally maintained armrests
JP3161376B2 (en) Bleachers
JP2597198Y2 (en) Chair storage type floor device
JPH084491Y2 (en) Indoor structure
KR20230089788A (en) Chair with rotation control lock fonction of seat
KR102224239B1 (en) Audience chair seat bracket
KR20220120352A (en) Audience chair seat power bracket
JPH0421482Y2 (en)
JPH10234499A (en) Dug-in table
JP2003227239A (en) Collapsible step for movable stands
JP4153437B2 (en) Floor forming device in staircase-like bleac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