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546B1 -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546B1
KR102289546B1 KR1020200173510A KR20200173510A KR102289546B1 KR 102289546 B1 KR102289546 B1 KR 102289546B1 KR 1020200173510 A KR1020200173510 A KR 1020200173510A KR 20200173510 A KR20200173510 A KR 20200173510A KR 102289546 B1 KR102289546 B1 KR 10228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solar panel
reinforcing plate
extensio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익
Original Assignee
승창개발 주식회사
이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창개발 주식회사, 이동익 filed Critical 승창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강풍에 의한 태양광 패널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선의 처짐부분에서의 태양광 모듈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며, 또한 강선의 처짐부분에서 태양광 패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집광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A support Apparatus for solar panel using a steel wire}
본 발명은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강풍에 의한 태양광 패널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선의 처짐부분에서의 태양광 모듈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며, 또한 강선의 처짐부분에서 태양광 패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집광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체 에너지를 얻기 위해, 넓은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종 또는 횡으로 배열설치하고, 구조체의 상단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에서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고 있다.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식량 및 전력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 유럽,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농지에서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 및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의 케이블 지지식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20-0119044호에 개시되고, 도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종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메인지주(11)와 상기 복수의 메인지주(11)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바(12)로 구성되고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과; 상기 양측의 지지바(12)에 고정되는 복수 열의 지지케이블(2)과; 전후로 이웃하는 각 지지케이블(2)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태양광 패널(3)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각각 고정클립(31)을 이용하여 지지케이블(2)에 고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태양광 패널(3)이 지지케이블(2)에 지지되어 경작지로부터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므로, 충분한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어 농작물 재배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은 태양광 패널(3)이 지지케이블(2)에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강풍등에 의해서 흔들리면서 태양광 패널(3)의 프레임이 뒤틀리는 변형으로 태양광 패널(3)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3)은 고정클립(31)에 의해서 지지케이블(2)에 고정 지지되지만, 강풍에 의한 흔들림으로 볼트가 느슨해지면서 지지케이블(2)을 따라 위치이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쌍의 지지프레임(1)에 고정되는 지지케이블(2)은 태양광 패널(3)들의 하중에 의해서 처짐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지지케이블(2)의 처짐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3)은 경사지게 설치되어서 집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20-0119044호 한국특허등록 제10-20156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농촌지역의 논이나 밭, 또는 자투리 토지 위에 강선 및 기둥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공중에 부양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강풍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패널을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선의 처짐부분에서도 태양광 패널이 위치이동되지 않고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선의 처짐부분에서도 각 태양광 패널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기립되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향되는 제1가대 및 제2가대와, 상기 제1가대와 제2가대에 각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지지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는 제1강선 및 제2강선과, 상기 제1강선 및 제2강선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제1가대 및 제2가대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는 장력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강선과 제2강선에 태양광 패널을 일정간격으로 지지시키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패널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사각형상의 전지판과, 상기 전지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상,하,좌,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 우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보강판은 상기 좌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제1연장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제2연장부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에 각각 체결되는 U볼트 및 제1너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강선에 상기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 일측의 상기 U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제1너트로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2강선에 상기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 타측의 상기 U볼트가 통과되어 상기 제1너트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고,
상기 제1가대와 제2가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대 및 제2가대는 각 하단부가 지상에 매립되고 상단부가 동일높이로 기립되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장기둥 및 제2장기둥과, 상기 제1장기둥과 제2장기둥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강선이 지지되는 제1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장기둥부;와
상기 각 하단부가 지상에 매립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장기둥 및 제2장기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기립되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단기둥 및 제2단기둥과, 상기 제1단기둥과 제2단기둥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강선이 지지되는 제2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단기둥부;와
상기 장기둥부와 단기둥부를 연결하는 연결바;와
상기 제1장기둥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와
상기 제1단기둥에 배치되며 상기 제2강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U볼트에 나사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제1강선 또는 제2강선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제2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에 각각 장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 U볼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제1고정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3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제2고정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4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연장부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이동가능하며 일단부에 상기 U볼트에 근접되어서 상기 제1강선을 벤딩시키도록 지지하는 제1훅크부가 형성된 제1강선벤딩구와, 상기 제4연장부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이동가능하며 일단부에 상기 U볼트에 근접되어서 상기 제2강선을 벤딩시키도록 지지하는 제2훅크부가 형성된 제2강선벤딩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태양광 패널들의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상호 동일평면으로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U볼트(40)를 채용하여서 태양광 패널(10)을 간편하게 제1강선(1)과 제2강선(2)에 지지시킬 뿐만 아니라, U볼트(40)들로 태양광 패널(10)을 제1강선(1)과 제2강선(2)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태양광 패널(10)을 이동시켜 태양광 패널(10)간 간격 조절을 편리하게 한다.
둘째, 제1보강판(20)과 제2보강판(30)으로 인하여 태양광 패널(1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강풍에 의한 태양광 패널(10) 프레임(12)의 뒤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세째, U볼트(40)에 미끄럼방지돌기(42a)가 형성된 제2너트(42)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미끄럼방지돌기(42a)가 제1강선(1) 또는 제2강선(2)에 밀착되도록 하여 태양광 패널(10)이 최초 배치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네째, 제1,2보강판(20)(30)에 장공(22a)(32a)을 형성하여서 U볼트(40)의 높이조절을 함으로써 제1,2강선(1)(2)의 처짐구간(가)에서도 태양광 패널(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1,2강선벤딩구(50)(60)를 채택하여 U볼트(40)와의 사이에서 제1,2강선(1)(2)이 굴곡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패널(10)이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제1강선(1)과 제2강선(2)에 높이 차이를 갖도록 장기둥부(110)(210)를 단기둥부(120)(220)보다 높게 기립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태양광패널(10)을 경사지게 설치 가능하여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강선(1)과 제2강선(2)의 처짐에 따른 태양광패널(10)의 경사와 더불어, 제1강선(1)과 제2강선(2)의 높이 차이에 따른 태양광패널(10)의 경사가 발생되므로, 우수(雨水)에 의한 태양광패널(10)의 청소시 오염물질이 태양광패널(10)의 한쪽 모서리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효율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제1가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1,2강선에 지지되는 태양광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강선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 예시도,
도 8은 제1,2강선의 처짐부에서의 태양광 패널이 경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1,2강선의 처짐부에서 태양광 패널이 수평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요부 발췌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 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는 강풍에 의한 태양광 패널 프레임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선의 처짐부분에서의 태양광 모듈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며, 또한 강선의 처짐부분에서 태양광 패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집광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기립되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향되는 제1가대(100) 및 제2가대(200)와, 상기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0)에 각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지지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는 제1강선(1) 및 제2강선(2)과, 상기 제1강선(1) 및 제2강선(2)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제1가대(100) 및 제2가대(200)에 마련되는 장력조절기(141,142)(241,242)를 구비한다.
상기 제1강선(1)과 제2강선(2)에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10)들이 일정간격으로 고정 지지된다.
상기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0)는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 사이에 상기 제1강선(1)과 제2강선(2)을 지지하는 중간가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대(100)는 지상(E)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장기둥부(110)와 단기둥부(1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바(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2가대(200)는 제1가대(100)와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지상(E)으로부터 높이가 다른 장기둥부(210)와 단기둥부(2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바(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0)의 장기둥부(110)(210)는 각 하단부가 지상에 매립되고 상단부가 동일높이로 기립되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장기둥(111)(211) 및 제2장기둥(112)(212)과, 상기 제1장기둥(111)(211)과 제2장기둥(112)(212)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강선(1)이 지지되는 제1수평지지대(113)(2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0)의 단기둥부(120)(220)는 상기 각 하단부가 지상에 매립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장기둥(111)(211) 및 제2장기둥(112)(21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기립되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단기둥(121)(221) 및 제2단기둥(122)(222)과, 상기 제1단기둥(121)(221)과 제2단기둥(122)(222)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강선(2)이 지지되는 제2수평지지대(123)(2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0)의 상기 제1장기둥(111)(211)에는 상기 제1강선(1)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141)(24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단기둥(121)(221)에는 상기 제2강선(2)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142)(2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장력조절부(141)(241)와 제2장력조절부(142)(242)는 턴버클 또는 체인블록과 같은 통상의 장력조절기가 사용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1강선(1)과 제2강선(2)에 높이 차이를 갖도록 장기둥부(110)(210)를 단기둥부(120)(220)보다 높게 기립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태양광패널(10)을 경사지게 설치 가능하여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강선(1)과 제2강선(2)의 처짐에 따른 태양광패널(10)의 경사와 더불어, 제1강선(1)과 제2강선(2)의 높이 차이에 따른 태양광패널(10)의 경사가 발생되므로, 우수(雨水)에 의한 태양광패널(10)의 청소시 오염물질이 태양광패널(10)의 한쪽 모서리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효율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태양광 패널(10)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사각형상의 전지판(11)과, 상기 전지판(11)의 각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2)중 서로 나란한 프레임에는 각각 제1보강판(20) 및 제2보강판(30)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1보강판(20)은 상기 나란한 프레임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21)와, 상기 제1고정부(2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제1연장부(22)로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판(30)은 상기 나란한 프레임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31)와, 상기 제2고정부(3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제2연장부(32)로 형성된다.
상기 각 제1연장부(22)와 제2연장부(32)에 각각 U볼트(40) 및 제1너트(41)가 결합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강판(20)과 제2보강판(30) 일측에 체결되는 상기 각 U볼트(40)가 상기 제1강선(1)에 통과되어 상기 제1너트(41)의 체결로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1보강판(20)과 제2보강판(30) 타측에 체결되는 상기 각 U볼트(40)가 상기 제2강선(2)에 통과되어 상기 각 제1너트(41)로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태양광 패널(10)을 간편하게 제1강선(1)과 제2강선(2)에 지지시킬 뿐만 아니라, 제1강선(1)과 제2강선(2)을 따라 태양광 패널(10)을 U볼트(40)들로 지지시킨 상태에서 이동시켜 태양광 패널(10)간 간격 조절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제1보강판(20)과 제2보강판(30)으로 인하여 태양광 패널(1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강풍에 의한 태양광 패널(10)이 잦은 흔들림으로 인한 프레임(12)의 뒤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0) 사이에는 제1강선(1)와 제2강선(2)의 처짐구간(가)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처짐구간(가)에 배치된 태양광 패널(10)들은 강풍에 의해서 흔들리면서 U볼트(40) 및 너트(41)들이 느슨해지는 등으로 최초 고정 지지위치에서 미끄러져 내리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미끄럼방지돌기(42a)가 형성된 제2너트(42)를 상기 각 U볼트(40)에 나사결합하여서, 미끄럼방지돌기(42a)가 상기 제1강선(1) 또는 제2강선(2)에 밀착되도록 하여 태양광 패널(10)이 최초 배치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태양광 패널(10)은 상기 제1강선(1) 및 제2강선(2)의 처짐구간(가)에서는 처짐각도(a)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따라서 제1강선(1) 및 제2강선(2)의 중앙부분에 배치된 태양광 패널(10)들보다 집광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처짐구간(가)에서도 태양광 패널(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태양광 패널(10)이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1연장부(22)와 제2연장부(32)에 각각 장공(22a)(32a)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 U볼트(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제1보강판(20) 장공(22a)의 상측에 U볼트(40)를 고정하고, 제2보강판(30) 장공(32a)의 아래측에 U볼트(40)를 고정함으로써, 제1강선(1) 및 제2강선(2)의 처짐구간(가)에서도 태양광 패널(1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지장치는 상기 제1보강판(20)에는 U볼트(40)의 일측에 제1강선벤딩구(50)를 배치하고, 제2보강판(30)에는 U볼트(40)의 일측에 제2강선벤딩구(60)를 배치하여서, 제1강선(1)과 제2강선(2)이 굴곡되도록 하여 상기 처짐구간(가)에서 태양광 패널(10)이 하향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연장부(2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제1고정부(21)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3연장부(23)를 형성하여서 상기 제3연장부(23)에 제1강선벤딩구(50)를 나사결합하고, 상기 제2연장부(3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제2고정부(31)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4연장부(33)를 형성하여서 상기 제4연장부(33)에 제2강선벤딩구(60)를 나사결합한 것이다.
상기 제1강선벤딩구(50)와 제2강선벤딩구(60)는 각각 몸체기둥에 나사부를 형성하여서 상기 제3연장부(23)와 제4연장부(33)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각 몸체기둥의 상단부에는 제1강선(1)과 제2강선(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훅크부(51)와 제2훅크부(6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볼트(40)와 제1훅크(51)의 높이차를 갖도록 제1강선벤딩구(50)를 상향이동 조절하여서 제1강선(1)이 굴곡되도록 하고, 또한 U볼트(40)와 제2훅크(61)의 높이차를 갖도록 제2강선벤딩구(60)를 상향이동 조절하여서 제2강선(2)이 굴곡되도록 하여, 태양광 패널(10)이 상기 처짐구간(가)에서 하향이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 지지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인접한 상기 태양광 패널(10)들의 프레임(12)에 연결부재(70)를 고정하여서, 인접한 태양광 패널(10)들이 상호 동일평면으로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10)들이 일체로 거동되도록 함으로써 강풍에도 흔들림이 안정되도록 한다.
1...제1강선 2...제2강선
10...태양광 패널 20...제1보강판
30...제2보강판 40...U볼트
41...제1너트 42...제2너트
50...제1강선벤딩구 60...제2강선벤딩구
100...제1가대 200...제2가대

Claims (6)

  1.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기립되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향되는 제1가대 및 제2가대와, 상기 제1가대와 제2가대에 각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지지되며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는 제1강선 및 제2강선과, 상기 제1강선 및 제2강선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제1가대 및 제2가대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는 장력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강선과 제2강선에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일정간격으로 지지시키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패널(10)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사각형상의 전지판(11)과, 상기 전지판(11)의 각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2)중 서로 나란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제1보강판(20) 및 제2보강판(30)을 구비하며,
    상기 제1보강판(20)은 상기 나란한 프레임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21)와, 상기 제1고정부(2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제1연장부(22)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판(30)은 상기 나란한 프레임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31)와, 상기 제2고정부(3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제2연장부(32)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제1연장부(22)와 제2연장부(32)에 각각 체결되는 U볼트(40) 및 제1너트(41)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보강판(20)과 제2보강판(30) 일측에 체결되는 상기 U볼트(40)가 상기 제1강선(1)에 통과되어 상기 제1너트(41)의 체결로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1보강판(20)과 제2보강판(30) 타측에 체결되는 상기 U볼트(40)가 상기 제2강선(2)에 통과되어 상기 제1너트(41)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고,
    상기 제1가대(100)와 제2가대(200)는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가대(100) 및 제2가대(200)는 각 하단부가 지상에 매립되고 상단부가 동일높이로 기립되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장기둥(111)(211) 및 제2장기둥(112)(212)과, 상기 제1장기둥(111)(211)과 제2장기둥(112)(212)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강선(1)이 지지되는 제1수평지지대(113)(213)를 구비하는 장기둥부(110)(210);와
    상기 각 하단부가 지상에 매립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장기둥(111)(211) 및 제2장기둥(112)(21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기립되며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단기둥(121)(221) 및 제2단기둥(122)(222)과, 상기 제1단기둥(121)(221)과 제2단기둥(122)(222)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강선(2)이 지지되는 제2수평지지대(123)(223)를 구비하는 단기둥부(120)(220);와
    상기 장기둥부(110)(210)와 단기둥부(120)(220)를 연결하는 연결바(130)(230);와
    상기 제1장기둥(111)(211)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선(1)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장력조절부(141)(241);와
    상기 제1단기둥(121)(221)에 배치되며 상기 제2강선(2)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장력조절부(142)(242);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U볼트(40)에 나사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제1강선(1) 또는 제2강선(2)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돌기(42a)가 형성된 제2너트(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22)와 제2연장부(32)에 각각 장공(22a)(32a)이 형성되어서, 상기 각 U볼트(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2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제1고정부(21)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3연장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32)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제2고정부(31)와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제4연장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제3연장부(23)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나사이동가능하며 일단부에 상기 U볼트(40)에 근접되어서 상기 제1강선(1)을 벤딩시키도록 지지하는 제1훅크부(51)가 형성된 제1강선벤딩구(50)와,
    상기 제4연장부(33)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나사이동가능하며 일단부에 상기 U볼트(40)에 근접되어서 상기 제2강선(2)을 벤딩시키도록 지지하는 제2훅크부(61)가 형성된 제2강선벤딩구(6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태양광 패널(10)들의 프레임(12)에 고정되어서 상호 동일평면으로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7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1020200173510A 2020-12-11 2020-12-11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10228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10A KR102289546B1 (ko) 2020-12-11 2020-12-11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10A KR102289546B1 (ko) 2020-12-11 2020-12-11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546B1 true KR102289546B1 (ko) 2021-08-13

Family

ID=7731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510A KR102289546B1 (ko) 2020-12-11 2020-12-11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783B1 (ko) * 2021-12-21 2022-08-01 승창개발 주식회사 와이어를 이용한 영농형 발전설비의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20230062775A (ko) * 2021-10-31 2023-05-09 주식회사 세경 태양광패널에 대한 바람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양력억제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지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23Y1 (ko) * 2001-11-21 2002-03-15 손석환 낙석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US20120080076A1 (en) * 2010-09-30 2012-04-05 Miasole Photovoltaic module support with cable clamps
KR20170018812A (ko) * 2014-06-09 2017-02-20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JP2018026892A (ja) * 2016-08-08 2018-02-15 株式会社駒井ハルテック ケーブル懸架型空中太陽光発電装置
KR20200119044A (ko) 2019-04-09 2020-10-19 다스코 주식회사 케이블 지지식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23Y1 (ko) * 2001-11-21 2002-03-15 손석환 낙석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US20120080076A1 (en) * 2010-09-30 2012-04-05 Miasole Photovoltaic module support with cable clamps
KR20170018812A (ko) * 2014-06-09 2017-02-20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015696B1 (ko) 2014-06-09 2019-08-28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JP2018026892A (ja) * 2016-08-08 2018-02-15 株式会社駒井ハルテック ケーブル懸架型空中太陽光発電装置
KR20200119044A (ko) 2019-04-09 2020-10-19 다스코 주식회사 케이블 지지식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775A (ko) * 2021-10-31 2023-05-09 주식회사 세경 태양광패널에 대한 바람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양력억제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지지장치
KR102648534B1 (ko) * 2021-10-31 2024-03-18 주식회사 세경 태양광패널에 대한 바람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양력억제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지지장치
KR102427783B1 (ko) * 2021-12-21 2022-08-01 승창개발 주식회사 와이어를 이용한 영농형 발전설비의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510B2 (en) Slider clip and photovoltaic structure mounting system
KR102289546B1 (ko)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US8671631B2 (en) Panel mounting system
US20150020874A1 (en) Racking assemblies for solar panel installations
US20150101654A1 (en) Solar panel array
KR20170044538A (ko) 태양광 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102211102B1 (ko)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176719B1 (ko) 각도 조절형 태양광 발전장치
JP2013157478A (ja) 太陽光発電ユニット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04235188A (ja) 太陽電池アレイ
US11791761B2 (en) Photovoltaic panel cable mount arrangement
KR102427783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영농형 발전설비의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CN203537301U (zh) 平面屋顶上的太阳能设备安装系统
KR102235683B1 (ko) 태양광 발전용 지지프레임 구조체
CN209823678U (zh) 适用于低纬度地区的光伏支架组件及其组合架
CN103607167B (zh) 平面屋顶上的太阳能设备安装系统
KR200454193Y1 (ko)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KR102210126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구조
US20230291348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modules and ceiling elements
CN220693022U (zh) 一种光伏发电农棚支架系统
RU170174U1 (ru) Опора стол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одулей солнечных батарей
KR10087156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220107357A (ko) 비닐하우스와 결합된 태양광 발전 구조물
JP3179626U (ja) 太陽電池パネル設置用架台
KR20230164285A (ko) 태양광패널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