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333B1 -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333B1
KR102289333B1 KR1020190018672A KR20190018672A KR102289333B1 KR 102289333 B1 KR102289333 B1 KR 102289333B1 KR 1020190018672 A KR1020190018672 A KR 1020190018672A KR 20190018672 A KR20190018672 A KR 20190018672A KR 102289333 B1 KR102289333 B1 KR 10228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aking
medicine
electronic cod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0417A (en
Inventor
김태성
신충현
채성원
김명훈
양태영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333B1/en
Publication of KR2020010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봉투에 부착된 QR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는 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의료기관과 공유하는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 사용자의 약 봉투에 인쇄된 전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약 복용서비스 앱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활성화된 상기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약 복용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업데이트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등록된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처방전을 발행한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전자코드의 스캔 시간을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으로 확인하여,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by recognizing a QR code attached to a medicine envelope, storing time data when a user takes medicine, and sharing it with a medical institution,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nd a camera module provided in a user terminal Scanning the electronic code printed on the user's medicine envelope, the user terminal activating the medicine taking service app, and the user terminal accessing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through the activated medicine taking service app the step of,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check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updating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registering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with the registered guardian terminal and the and providing the prescrip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hat has issued a prescription for the user, wherein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checks the electronic code scan time as the user's medicine intake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updating about.

Description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Method of providing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본 발명은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봉투에 부착된 QR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는 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의료기관과 공유하는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recognition of an electronic code that recognizes a QR code attached to a medicine envelope, stores data when a user takes medicine, and shares it with a medical institution. how to provide it.

최근 평균수명이 연장되는 추세에 따라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수반하여 질병을 가진 고령자 인구도 계속 증가하는 상황이다.The aging of the population is progressing with the recent trend of extending life expectancy, and with it, the elderly population with diseases continues to increase.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의 여러 부분에 질병이 발생되는데, 한 사람이 복수의 질병 증상을 가지는 경우가 있고 이들 질병을 치유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약제를 처방받아서 복용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As we age, diseases occur in various parts of the body. A person may have multiple disease symptoms, and it is common to see several types of medications prescribed to cure these diseases.

일반적으로 처방전에는 약품명칭, 투약량, 투여횟수 또는 투약일수 등에 대한 투약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이러한 투약정보에 준하여 약물의 성분과 약효 지속 시간에 따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약물을 복용할 수 있는 약물 복용 식안을 정함으로써, 투약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a prescription may include medication information on the name of the drug, the dosage, the number of times of administration, or the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sing information, the doctor sets a drug dosage regimen in which the drug can be taken at regular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drug and the duration of the drug effect, so that the dosage effect can be increased.

그러나, 환자가 바쁜 현대 사회의 리듬을 맞추어 생활하다 보면 정해진 약물 복용 시간에 맞추어 복약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약물 복용 시간에 맞춰 복약하지 못하거나 정해진 약물 복용 시간을 놓치면 투약 효과가 낮아지며 정해진 투약기간 후 약이 남아 오용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However, if the patient lives according to the rhythm of the busy modern society, it is not easy to take th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prescribed medication time. In addition, if the medication is not take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time, or if the prescribed medication time is missed, the medication effect is lowered, and the medication remains after the prescribed medication period and is misused.

따라서, 환자는 약물 복용 시간에 맞춰 정해진 투약방법으로 약을 복용할 수 있는 지도가 필요하지만, 약을 처방, 조제하는 병원 또는 약국에서는 약물 복용 시간과 복용방법 등에 대해서만 간단히 안내를 해줄 수 있을 뿐, 이후의 복용하는 과정에서는 환자의 기억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patient needs guidance on how to take the drug according to the prescribed dosage method according to the time of taking the drug, but the hospital or pharmacy that prescribes and dispenses the drug can only provide simple guidance on the time and method of taking the drug. In the process of taking the drug afterward, it is inevitably dependent on the patient's memor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물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notifying the time of taking a drug is being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약물 복용 시간만을 제공할 뿐, 환자가 약을 투약했는지의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is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that only provides a time for taking the drug, and it cannot be confirmed whether the patient has administered the dru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617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2617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자코드가 인식된 시간을 통해 환자의 약 복용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 뿐 아니라 약을 처방한 의료기관과 공유할 수 있는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recognizes an electronic code that can be shared with the user as well as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prescribed the drug by confirming the fact that the patient has taken the drug through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code is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 사용자의 약 봉투에 인쇄된 전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약 복용서비스 앱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활성화된 상기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약 복용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업데이트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등록된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처방전을 발행한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전자코드의 스캔 시간을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으로 확인하여,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canning, by a camera module provided in a user terminal, an electronic code printed on the user's medicine envelope; The step of activating the drug taking service app by the user terminal, the step of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to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through the activated drug taking service app, the step of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confirm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by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to a registered guardian terminal and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hat has issued a prescription for the user,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checks the scanning time of the electronic code as the medicine taking time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updates the stored user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약 봉투에 인쇄되는 전자코드는 바코드 또는 큐알(QR)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de printed on the medicine envelo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y one of a barcode or a QR c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복용 약 정보, 복용 시간, 복용 횟수 및 복용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aking medicine, taking time, number of times of taking, and amount of dosage.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전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된 시간에 약 복용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efore the step of scanning the electronic code, the step of outputting, by the user terminal, a medicine taking alarm at a set time.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는, 상기 약 복용 알람이 출력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코드의 스캔이 확인되지 않으면, 미복용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미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if the electronic code is not scan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medicine taking alarm is output,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ake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tak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guardian terminal,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것으로 확인되면, 과복용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과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ation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server updating the user inform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s medication taking time is within a set time When it is determined as overdo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dos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guardian terminal,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과복용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과복용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drug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verdose information is provided, an overdose alarm is output.

본 발명의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본인이 몇시에 약을 복용하였는지 복용기간이 얼마나 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약물의 오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 drug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isuse of drug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providing quantified data on what time the person took the drug and how long the taking period has been. It has a preventable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의 복용정보를 환자 뿐만 아니라, 약을 처방한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질병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help the patient's disease treatment by providing not only the patient, but also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prescribed the dru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syste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chart showing the metho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약 복용서비스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 보호자 단말(300) 및 의료기관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약 복용서비스 시스템(1)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망(500)을 통해 서로 정보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1 and 2, the drug taking servic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terminal 100, a drug taking service server 200, a guardian terminal 300, and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400 can In addition,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edication service system (1) may be able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0).

사용자 단말(100)에는 약 봉투(10)에 인쇄된 전자코드(11)를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10)을 구비하고, 전자코드(11)를 스캔하는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 가능한 약 복용서비스 앱(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110 capable of scanning the electronic code 11 printed on the medicine envelope 10, and when the electronic code 11 is scanned, a medicine taking service that can be automatically activated An app (not shown) may be installed.

또한, 약 봉투(10)에 인쇄되는 전자코드(11)는 큐알(QR)코드, 바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전자코드(11)에는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ode 11 printed on the medicine envelope 10 may be composed of a QR code, a barcode, etc., and the electronic code 11 includes each user so as to be able to access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200 .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는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 예를 들면, 등록된 사용자의 복용 약 정보, 복용 시간, 복용 횟수 및 복용양을 포함하는 복용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처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200 stores pre-registere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egistered user's drug information, taking time, dos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taking and the dosage,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can be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등록된 보호자 단말(300)과 사용자에게 약을 처방한 의료기관 단말(400)에 실시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registered guardian terminal 300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400 that has prescribed the medicine to the user.

또한,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활성화되는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server 20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app activated in the user terminal 100 .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발생되는 복약 정보 등 사용자 정보는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보호자 단말(300)과 의료기관 단말(400)의 정보 공유가 가능해질 수 있다.Accordingly, user information such as med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shared between the guardian terminal 300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400 through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server 200 .

도 2는 발명의 약 복용서비스 시스템(1)을 이용한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에 관한 것으로, 먼저, 사용자 단말(100)이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에게 약 복용 시간임을 알리는 약 복용 알람을 출력한다(S101).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using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dose alarm (S101).

이때, 설정된 시간은 처방전에 따른 복약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되거나,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 time indicates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and tim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n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server 200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or in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app. It can be set by the user.

이후, 사용자는 약을 복용하기 전에 복약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의료기관에서 처방받은 약 봉투(10)에 인쇄된 전자코드(11)를 스캔한다(S102).Thereafter, the user scans the electronic code 11 printed on the medicine envelope 10 prescribed by the medical institution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0 to check the medication state before taking the medicine. do (S102).

이 전자코드(11)는 큐알(QR)코드, 바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전자코드(11)에는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약 복용서비스 앱(미도시)을 활성화시키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The electronic code 11 may be composed of a QR code, a barcode, etc., and the electronic code 11 includes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a user so as to be able to access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200 . Information for activating a drug taking service app (not shown)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is included.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자코드(11)를 스캔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설치된 약 복용서비스 앱을 활성화 시킨다(S103).When the electronic code 11 is scan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activates the installed medicine taking service app (S103).

이경우, 약 복용서비스 앱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자코드(11)를 스캔함으로써 활성화가 가능하지만, 전자코드(11)의 스캔없이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dicine taking service app can be activated by scanning the electronic code 11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 but may be activated automatically at a user's operation or a set time without scanning the electronic code 11 .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약 복용서비스 앱을 활성화시키면, 활성화된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은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다(S103).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의 정보, 즉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한다.When the drug taking service app is activ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activated drug taking service app (S103).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200,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user information is checked.

그리고,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자코드(11)를 스캔한 시간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이전 시간의 약 복용 시간과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에 대한 약 복용 시간인지를 확인한다(S104).Then,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200 checks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100 scans the electronic code 11, and determines it as the user's medicine taking time. Therefore,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200 compares the drug taking time of the previous time and confirms whether it is the drug taking time for the current user (S104).

전자코드(11)를 스캔한 시간이 약 복용 시간으로 확인되면,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는 현재 복약 시간을 적용하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즉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에 대해 약 복용 시간 및 회수 정보 등을 업데이트 한다(S105).When the scanning time of the electronic code 11 is confirmed as the medication taking time,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server 200 applies the current medication time to the stored user information, that is,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the medication taking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updated (S105).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는 정당한 약 복용 시간으로 확인되면, 이를 사용자 단말(100)의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when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server 200 is confirmed as a proper medication taking time, it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user through the medication taking service app of the user terminal 100 .

이후,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는 업데이트되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된 보호자 단말(300) 및 사용자에 대해 처방전을 발행한 의료기관 단말(400)에 제공한다(S106).Thereafter,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200 provides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to the registered guardian terminal 300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400 that has issued a prescription for the user (S106).

또한, 단계(S104)에서, 이전 시간의 약 복용 시간과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에 대한 약 복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내로 확인이 되면,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사용자의 약 복용 상태를 과복용으로 판단한다(S107).In addition, in step S104 ,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rug taking time for the current user is within the set time compared with the previous time's drug taking time,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200 determines that the user's drug taking state is overdose. do (S107).

그리고,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 뿐만 아니라, 등록된 보호자 단말(300) 및 의료기관 단말(400)에 사용자의 과복용 정보를 제공한다(S108).And,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200 provides the user's overdose information not only to the user terminal 100, but also to the registered guardian terminal 300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400 (S108).

이후, 과복용 정보가 제공된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사용자가 과복용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활성화 된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과복용 알람을 출력하도록 한다(S109).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d with the overdose information outputs an overdose alarm through the activated drug taking service app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act of overdose (S109).

또한, 약 복용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약 복용 알람이 출력(S101)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전자코드(11)의 스캔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약을 미복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보호자 단말(300) 및 의료기관 단말에 미복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200 outputs the medicine taking alarm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 S101 ). If it is not checked whether the electronic code 11 is scan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user does not take the medicin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one, and the information on thi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guardian terminal 300 ,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as non-taking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약의 복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약물의 오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복용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약의 복용정보를 사용자 뿐만 아니라, 약을 처방한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질병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use of a drug in advanc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osage of the drug, as well as efficiently manage the state of taking the drug. There are technical features that can help cure diseases by providing them to prescribed medical institutions.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 약 복용서비스 시스템 10 : 약 봉투
11 : 전자코드
100 : 사용자 단말 110 : 카메라 모듈
200 : 약 복용서비스 서버 300 : 보호자 단말
400 : 의료기관 단말 500 : 무선 통신망
1: Medicine taking service system 10: Medicine bag
11: Electronic code
100: user terminal 110: camera module
200: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300: guardian terminal
400: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50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7)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이 사용자의 약 봉투에 인쇄된 전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약 복용서비스 앱을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약 복용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약 복용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업데이트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등록된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해 처방전을 발행한 의료기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전자코드의 스캔 시간을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으로 확인하여,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하되,
상기 전자코드의 스캔 시간을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전 약 복용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약 복용 시간이 현재 약 복용 시간으로 확인되는 경우, 현재 약 복용 시간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전자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된 시간에 약 복용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약 복용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것으로 확인되면, 과복용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과복용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과복용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과복용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
A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scanning the electronic code printed on the user's medicine envelope;
activating, by the user terminal, a medicine taking service app;
through the activated drug taking service app, the user terminal accessing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checking, by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and providing, by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to a registered guardian terminal and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hat has issued a prescription to the user;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Checking the scan time of the electronic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as the user's medication taking time, and updating the stored user information,
By checking the scan time of the electronic code as the user's drug taking time and comparing it with the previous drug taking time, when the drug taking time is confirmed as the current drug taking time, the user information is updated by applying the current drug taking time,
Prior to the step of scanning the electronic code,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medicine taking alarm at a set time,
In the step of the drug taking service server updating the user information,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s drug taking time is within a set time, it is determined as an overdose and provides overdos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guardian terminal,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he user terminal is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n overdose alarm when the overdose information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 봉투에 인쇄되는 전자코드는 바코드 또는 큐알(QR)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code printed on the medicine envelope is made of either a barcode or a QR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복용 약 정보, 복용 시간, 복용 횟수 및 복용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ine taking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aking medicine, a time of taking it, the number of times of taking it, and an amount of taking 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 복용서비스 서버는,
상기 약 복용 알람이 출력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코드의 스캔이 확인되지 않으면, 미복용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보호자 단말 및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미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코드 인식을 통한 약 복용 서비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dicine taking service server,
If the scan of the electronic code is not confi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drug taking alarm is output,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code has not been taken, and the electronic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tak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guardian terminal, a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medication taking service through awaren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18672A 2019-02-18 2019-02-18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KR102289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72A KR102289333B1 (en) 2019-02-18 2019-02-18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72A KR102289333B1 (en) 2019-02-18 2019-02-18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17A KR20200100417A (en) 2020-08-26
KR102289333B1 true KR102289333B1 (en) 2021-08-12

Family

ID=7224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672A KR102289333B1 (en) 2019-02-18 2019-02-18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3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201B1 (en) 2021-05-17 2023-10-24 김도연 Method for managing dose of nutrition
KR102593202B1 (en) 2021-05-17 2023-10-24 김도연 Method for managing dose of nutr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42B1 (en) * 2017-11-09 2018-06-04 박영세 Apparatus for Directly Observed Treatment System based on activity sensing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6170A (en) 2010-09-09 2012-03-19 김가영 Medicine taking schedule informing apparatus
KR20140139998A (en) * 2014-10-23 2014-12-08 (주)제이브이엠 Management system for taking medicine and supplying method of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ame
KR20180041925A (en)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크론티어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king medic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942B1 (en) * 2017-11-09 2018-06-04 박영세 Apparatus for Directly Observed Treatment System based on activity sensing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17A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3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edical devices
US8943556B2 (en) Secure information release
US201400253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ng Treatment Instructions
US20130325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and wellness mobile management
KR102289333B1 (en)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through electronic code recognition
CA2484547A1 (en) Medical treatment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01593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reate log entries and share a patient log using open-ended electronic messa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20160162660A1 (en) Medication management
CN111145862A (en) Medication safety reminding method and device
KR20170087299A (en) A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using smart device
KR20140020480A (en) Teaching system for auto taking medicine of prescription
KR20180041925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king medicine
CN105844071A (en) Intelligent medicine taking prompting method
WO2009010718A1 (en) Identifier allocation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clinical trials
CN109381775B (en) Block chain infusio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080188A1 (en) Personalized pharmacy medication and care management system
CN109787978A (en) A kind of transmission method of medical data
KR2023000456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jectors and injection management platforms
CN105389478A (en) Medicine timing reminding system
CN103164756A (en)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for precious medicines
US8838464B1 (en) Prescription medication monitoring system
US9910959B2 (en) Entry, storage and retrieval of medical information from a pharmacy
US20210358605A1 (en) Providing global accessibility to prescribed medications
US20160335411A1 (en) Device-based risk management of a therapeutic
US20120271647A1 (en) Method for improved adherence to medicatio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