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290B1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290B1
KR102289290B1 KR1020187024644A KR20187024644A KR102289290B1 KR 102289290 B1 KR102289290 B1 KR 102289290B1 KR 1020187024644 A KR1020187024644 A KR 1020187024644A KR 20187024644 A KR20187024644 A KR 20187024644A KR 102289290 B1 KR102289290 B1 KR 102289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tape member
adhesive
width direction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1713A (en
Inventor
세이 이시카와
유키 노다
아키라 하시노
마사시 기타가와
유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2013/55195Packaging for dispensing and dispo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비피부면측에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사용 후에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과, 전후 방향(L)에 직교하는 폭 방향(W)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22)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70)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60)를 더 갖는다.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hesive portion on the non-skin surface side, which can be kept in a rounded state after use, and can reduce discomfort and discomfort during use.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 front-back direction L, a width direction W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L, a back sheet 22 direc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and a back sheet 22 has an adhesive portion 70 form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The absorbent article 10 further has, on the non-skin-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22 , a tape member 60 disposed inward tha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Absorbent articl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실금 패드, 분변 패드 또는 땀 흡수 시트와 같이, 이면 시트측에 착의에 고정하는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hesive portion for fixing to clothing on the back sheet side, such as a sanitary napkin, panty liner, breast milk pad, adult incontinence pad, fecal pad or sweat absorbent sheet.

생리대나 팬티 라이너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사용시에, 착용자에 착용되는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은, 착용 물품에 대한 흡수성 물품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부를 갖는다. 이 점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쪽)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사용 후에 착용 물품으로부터 떼어낸 착용 물품을 길이 방향으로 말면, 점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에 닿는다. 그러나,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표면 시트)에는 체액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이 점착부와 표면 시트의 접합을 저해하여, 흡수성 물품을 콤팩트하게 말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or panty line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earable article that is worn on a wearer in use. In general, an absorbent article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earing article has an adhesive portion for preventing the absorbent article from shifting with respect to the wearing article.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opposite to the skin surface side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In such an absorbent article, when the wearable article removed from the wearable article after use is rolled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dhesive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However, since body fluid adheres to the skin surface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the body fluid inhibits bond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topsheet, and the absorbent article cannot be rolled up compactly in some cases.

특허문헌 1은, 후처리 테이프 부분을 구비한 생리대를 개시하고 있다. 이 생리대는, 사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냅킨 흡수면과, 사용시에 속옷에 면하는 냅킨 가드면을 갖는다. 생리대를 속옷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가, 냅킨 가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처리 테이프 부분은, 냅킨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냅킨 흡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처리 테이프 부분은, 냅킨 흡수면과 동일한 방향, 즉 착용자의 피부의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anitary napkin provided with a post-treatment tape portion. This sanitary napkin has a napkin absorbent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when in use, and a napkin guard side facing the undergarment when in use. An adhesive tape for adhering the sanitary napkin to the underwear is formed on the napkin guard surface. Moreover, the post-processing tape part is formed in the part which protruded outward from the napkin absorption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napkin. Further, the post-treatment tape portion is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apkin absorbent surface,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wearer's skin.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공개 평04-3542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Application Publication No. Hei 04-35422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생리대에서는, 후처리 테이프 부분이 냅킨 흡수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이 후처리 테이프 부분은, 생리대의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버린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준다.In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post-treatment tape portion is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apkin absorbent surface. This post-treatment tape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during use of the sanitary napkin. Accordingly, the wearer feels uncomfortable or uncomfortable.

따라서, 비피부면측에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사용 후에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Accordingly, with respect to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hesive portion on the non-skin side side,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maintaining a rounded state after use and reducing discomfort and discomfort during use is desired.

일양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ront-rear directio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a back sheet facing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and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further comprising a tape member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도 1은, 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의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테이프 부재로 고정된 상태의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seen from the skin surface side.
It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seen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e state roll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It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seen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5 :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seen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of the state roll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7 : is a figure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of the state fixed with the tape member.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become clear by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an accompanying drawing.

일양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ront-rear directio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a back sheet facing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and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further comprising a tape member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extendable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본 양태에서는, 사용자는, 사용 후에 흡수성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만 후, 테이프 부재를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사용 중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는,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서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사용 후에, 외측으로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를, 이면 시트의 별도의 부분에 형성된 점착부에 부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와 점착부의 접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을 작게 둥글린 상태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user can extend the tape member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fter turning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after use. During use, sinc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sheet, bod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do not adhere to the tape member.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user can keep the absorbent article in a rounded state by attaching the tape member extended outward to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a separate portion of the back sheet. Here, since bodil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do not adhere to the tape member, a decrease in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pe member and the adhesive portion can be prevented, thereby making it easy to keep the absorbent article in a small rounded state.

또, 흡수성 물품은, 경혈 등의 체액이 부착된 면을 내측으로 하여 말리기 때문에, 말린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는, 체액은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청결히 처리할 수 있다.Moreover, since an absorbent article turns inside the surface to which bodil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adhered, and is dried, bodily fluid does not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dried absorbent article. Thereby, the user can cleanly process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또한,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작게 둥글린 상태로 일단 근처의 작은 스페이스 상에 놓아둘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흡수성 물품을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에 부착하고, 속옷이나 옷을 착용한 후에,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쓰레기통 등에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을 폐기하는 쓰레기통이 근처에 없는 상황하에서, 사용자는, 작게 둥글린 흡수성 물품을 가방에 넣어 가지고 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place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on a small space near one end in a small rounded state. Therefore, the user can attach a new absorbent article to a wearing article such as underwear, and after wearing the underwear or clothes, discard the used absorbent article in a trash can or the like. 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waste bin for disposing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vicinity, the user may put the absorbent article in a small round shape and take it with him.

또한, 흡수성 물품의 사용 중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는,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되고,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tape member is form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and does not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so that the tape member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wearer's skin. Therefore, discomfort and discomfort during use can be reduced.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접음선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접음선 중의 가장 전측의 접음선보다 전측, 또는 가장 후측의 접음선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bsorbent article has at least two fold lin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ape member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most fold line among the fold lines, or on the rear side of the rearmost fold line. has been

사용자에 따라서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말 때에, 폭 방향을 따른 접음선에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말기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접음선 중의 가장 전측의 접음선보다 전측, 또는 가장 후측의 접음선보다 후측의 영역은, 말린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노출되며, 또한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서 노출되는 장소에 테이프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고정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user, when rolling up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started to roll along the fold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is case, the area in front of or behind the rearmost fold of the at least two fold lines of the at least two fold lines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and may be located on the terminal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Sinc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at a location exposed at the end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and easily fix the tape member to the adhesive part while the absorbent article is rolled up. there is.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able aspect, the said tape member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1/3 of the length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에 부착된 체액을 가린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느슨하게 마는 경우,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대략 1/3의 영역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흡수성 물품을 마는 경우가 있다(셋으로 접음 또는 넷으로 접음과 같은 상태). 이 경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노출된 영역 중, 권취 방향의 종단측의 영역이 된다. 이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서 노출되는 장소에 테이프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rolled loosely after use while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body fluid adhering to the 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is covered, the user may roll the absorbent article so that approximately 1/3 of the area of the absorbent article is disposed on the inside ( such as Fold in Three or Fold in Four). In this case, from the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length of 1/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end side of the winding direction among the area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becomes the area of Sinc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ide in this wind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and can easily fix the tape member in a rolled up state of the absorbent article.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5%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able aspect, the said tape member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15% of the length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에 부착된 체액을 가린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팽팽하게 마는 경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0%∼15% 정도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노출된 영역 중, 또한 권취 방향의 종단측의 영역이 된다. 이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서 노출되는 장소에 테이프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is rolled taut while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body fluid adhering to the 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is covered, from the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10%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ange of about 15% of the length becomes the area|region on the terminal side of the winding-up direction among the area|region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Since the tape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ide in this wind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and can easily fix the tape member in a rolled up state of the absorbent article.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전측, 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able aspect, the said tape member is comprised so that it can extend in the front side from the front edge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or rearward from the rear edge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사용자는, 통상,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전측 또는 후측부터 전후 방향으로 말기 시작한다. 테이프 부재가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전측, 또는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권취 방향을 따라 테이프 부재를 연장시켜, 테이프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A user usually starts rolling up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When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or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user can attach the tape member by extending the tape member along the winding direction.

또, 약 8할의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전측부터 말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는,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over, about 80% of users start rolling up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from the front side.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is comprised so that it can extend rearward rather than the rear edge of an absorbent article.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able aspect, the said adhesive part is formed on the imaginary line which extended the said tape member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를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전측, 또는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시키고, 말린 흡수성 물품에 똑바르게 테이프 부재를 따르게 하면, 테이프 부재에 점착부가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의 위치를 향하여 비스듬히 인장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ape member is extended in front of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or rearward than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tape member is straightly poured onto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the adhesive portion is attached to the tape member.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absorbent article in a rounded state without pulling the tape member obliquely toward the position of the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프 부재의 폭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부끼리의 간격보다 크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 plurality of the adhesive portion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tap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adhesion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이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를 인출한 끝에 점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adhesive portion does not exist at the end of the tape member taken out by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to the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영역보다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진 힙 플랩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힙 플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힙 플랩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bsorbent article has a hip flap that bulg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ehind a region facing the excretion port of the wearer, the tape member is formed on the hip flap, the tape member comprising: It is comprised so that it can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said hip flap in the said width direction.

힙 플랩은, 흡수성 물품의 후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약 8할의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전측부터 말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는,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노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힙 플랩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테이프 부재를 연장시키고, 이면 시트의 별도의 위치에 형성된 점착부에 테이프 부재를 부착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hip flap is located at the back of the absorbent article. Here, about 80% of users begin to roll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from the front side. Accordingly, the tape member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The user can maintain the absorbent article in a rounded state by extending the tape membe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hip flap and attaching the tape member to an adhesive portion formed at a separate position of the back sheet.

또한, 힙 플랩은 폭 방향으로 불룩해진 부분이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부착시킬 때에, 힙 플랩이 말린 흡수성 물품의 측면을 덮게 된다. 이에 따라, 말린 흡수성 물품의 측면으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힙 플랩이 말린 흡수성 물품의 측면을 덮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 부착된 체액을 덮어 가릴 수 있어, 청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ip flap is a bulg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tape memb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the hip flap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d up absorbent article. Thereby, leakage of the body flui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can be prevented. Further, since the hip flap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the body fluid adhering to the skin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covered and covered, and the feeling of cleanliness can be improved.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프 부재의 폭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부끼리의 간격보다 크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aspect, the adhesive portion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tape memb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adhesive portions in the front-back direction.

이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를 인출한 끝에 점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adhesive portion does not exist at the end of the tape member taken out by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to the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보다 전측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pe member.

테이프 부재보다 전측에 점착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힙 플랩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를, 이면 시트의 별도의 위치에 존재하는 점착부에 부착했을 때에,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adhesive part exists on the front side of the tape member, when the tape member extend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hip flap is attached to the adhesive part existing at a separate position of the back sheet, the absorbent article is rounded. can be maintained as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양가장자리 중 상기 테이프 부재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2/3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asp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is 2/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edge closer to the tape member among both edges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3.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느슨하게 마는 경우,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대략 1/3의 영역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흡수성 물품을 마는 경우가 있다(셋으로 접음 또는 넷으로 접음과 같은 상태). 이 경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2/3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노출된다. 이 노출되는 영역에 점착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rolled loosely after use, the user may roll the absorbent article so that approximately 1/3 of the area of the absorbent article is disposed inside (a state such as three-fold or four-fold). In this case, from the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range of the length of 2/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Since th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in this exposed region,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to the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점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양가장자리 중 상기 테이프 부재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4/5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is 4/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edge closer to the tape member among both edges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5.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팽팽하게 마는 경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20%∼30% 정도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 노출된다. 이 노출되는 영역에 점착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When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is rolled taut, from the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range of the length of about 20% to 30%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on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are exposed Since th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in this exposed region,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to the adhesive portion.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프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져 있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aspect,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tip of the tape member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directed to the opposite side to the fixing portion.

테이프 부재를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시킬 때에,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에는 연장 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에 가해지는 힘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의 고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tape member extends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only in the extension direction. Accordingly,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ortion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the fixing strength of the tape member can be maintained.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이면 시트에 접하는 면과,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테이프 부재에 접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이, 정전기 방지 처리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at least one of a surface of the tape member in contact with the back sheet and a surface of the back sheet in contact with the tape member is subjected to an antistatic treatment.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에 정전기에 의해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가 보다 이면 시트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지고,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reb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ape member from sticking to the back sheet by static electricity. Therefore,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rolled up, the tape member more easily floats off the back sheet, and the user can more easily pick up the tape member and operate it.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이면 시트보다 피부면측에 형성된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bsorbent article has an absorbent body formed on the 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ortion comprises: It overlaps with the said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흡수체가 존재하는 영역은, 흡수성 물품 중에서 특히 강성이 높은 영역이 된다.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가 흡수체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말았을 때에, 강성이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는, 흡수성 물품과 함께 확실히 만곡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가 확실히 만곡됨으로써, 테이프 부재의 자유단이 보다 이면 시트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 region in which the absorber exists is a region with particularly high rigidity in the absorbent article. Since the fixing part of the tape member overlaps the absorbent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rolled up, the fixing part of the tape member located in the region with high rigidity is reliably curved together with the absorbent article. In this way, when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reliably curved, the free end of the tape member is more easily floated from the back sheet. Therefore, the user can pick up and operate the tape member more easily.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이면 시트보다 피부면측에 형성된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체에 형성된 엠보스 또는 상기 흡수체에 형성된 저단위중량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 absorbent article has an absorbent body formed on the 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and the tape member overlaps the embossed body formed on the absorbent body or a low unit weight region formed on the absorbent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테이프 부재가, 흡수체에 형성된 엠보스 또는 흡수체에 형성된 저단위중량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으면, 테이프 부재와 이면 시트(흡수체)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가 보다 이면 시트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지고,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ape member overlaps the embossed body formed on the absorber or the low unit weight region formed on the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gap is likely to occur between the tape member and the back sheet (absorbent body). Therefore,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rolled up, the tape member more easily floats off the back sheet, and the user can more easily pick up the tape member and operate it.

바람직한 일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은,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영역은, 상기 점착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in the absorbent article,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at least a region of the tape member excluding the fixing portion does not overlap the adhesive portion. formed in position.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을 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reby,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rolled up, the tape member tends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pick up and operate the non-fixed portion of the tape memb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모유 패드, 성인용 실금 패드, 분변 패드 또는 땀 흡수 시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특히, 흡수성 물품은, 사용자의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좋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a panty liner, a breast milk pad, an adult incontinence pad, a fecal pad or a sweat absorbent sheet. In particular,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an article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ear article such as a user's underwear.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similar par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e ratio of each dimens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one.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etc. should be judg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Moreover, also between drawings, the part from which the relationship and ratio of mutual dimensions differ may be included.

(1) 제1 실시형태(1) first embodiment

도 1은, 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쪽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쪽에 상당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seen from the skin surface side. It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seen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Here, the "skin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non-skin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side facing away from the wearer's skin during use.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The absorbent article has a front-back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W). The front-back direction L is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ventral side) to the rear side (back side) of the wearer, or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wearer to the front side. The width direction W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L.

흡수성 물품(10)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체(30)를 갖는다. 표면 시트(20)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한다. 이면 시트(22)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The absorbent article 10 includes a topsheet 20 , a backsheet 22 , and an absorbent body 30 between the topsheet 20 and the backsheet 22 . The topsheet 20 faces the wearer's skin side during use. The backsheet 22 faces away from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absorber 30 is extend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L of an absorbent article.

흡수성 물품(10)은, 윙(40) 및 힙 플랩(50)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윙(40)은, 사용시에 착용 물품의 크로치부의 비피부면측으로 되접힌다. 힙 플랩(50)은, 윙(40)보다 후방에서, 폭 방향(W)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 힙 플랩(50)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체(3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The absorbent article 10 may have the wings 40 and the hip flaps 50 . The wing 40 is folded back toward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able article in use. The hip flap 50 is a part which bulged in the width direction W behind the wing 40. The hip flap 50 is a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r 30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흡수성 물품(10)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을 갖는다.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또, 윙(40)을 갖는 흡수성 물품(10)에서는, 배설구 대향 영역(S1)은, 윙(40)끼리의 사이로서,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n excretory opening facing region S1 that faces the wearer's excretory opening (eg, vaginal opening) during use. The excretion port facing region S1 is a region disposed between the wearer's crotch, that is, between the wearer's legs, and corresponds to the region where the absorbent body 30 exists. Further, in the absorbent article 10 having the wings 40 , the excretion port facing region S1 is between the wings 40 and corresponds to the region where the absorbent body 30 exists.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42, 52, 70)를 갖는다. 점착부(42, 52, 70)는, 흡수성 물품(10)을 착용 물품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가 형성된 영역이다. 점착부는, 본체 점착부(70)와, 윙 점착부(42)와, 플랩 점착부(5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dhesive portions 42 , 52 , and 70 form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22 . The adhesive portions 42 , 52 , and 70 are regions in which an adhesive for fix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o the wearing article is formed. The adhesive part includes a main body adhesive part 70 , a wing adhesive part 42 , and a flap adhesive part 52 .

본체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30)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점착부(70)는, 적어도 배설구 대향 영역(S1)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후방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is formed in the area|region which overlaps with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an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extend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from at least the excretion port facing region S1 to the rear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may extend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and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윙 점착부(42)는 윙(40)에 형성되어 있다. 윙(40)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착용 물품에 되접히고, 윙 점착부(42)에 의해 착용 물품의 비피부면측에 부착된다. 플랩 점착부(52)는 힙 플랩(50)에 형성되어 있다.The wing adhesive portion 42 is formed on the wing 40 . The wing 40 is folded back on the wearer's wearing article during use, and is attached to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wearable article by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is formed on the hip flap 50 .

흡수성 물품(10)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접음선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1,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은, 3개의 접음선(F1∼F3)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접음선(F1∼F3)은, 흡수성 물품의 포장시에, 흡수성 물품을 절첩하기 위한 라인이다.The absorbent article 10 may have at least two fold lines exten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 and 2, the absorbent article 10 has three fold lines F1-F3. These folding lines F1 to F3 are lines f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at the time of packaging the absorbent article.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60)를 더 갖는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는, 피부면측으로부터 보면, 흡수성 물품(10)에 가려진 상태가 된다.The absorbent article 10 further has, on the non-skin-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22 , a tape member 60 arranged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Accordingly, the tape member 60 is in a state covered by the absorbent article 10 when viewed from the skin surface side.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테이프 부재(60)는,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함으로써, 테이프 부재(60)가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된다.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As an example,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stituted by an elastic sheet. In this case, when the wearer tensions the tape member 60 , the tape member 60 extends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다른 예로서, 테이프 부재(60)는, Z형으로 절첩된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테이프 부재(60)의 선단을 인장함으로써, 절첩된 테이프 부재(60)가 전개되고,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60)가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된다.As another example, the tape member 60 may be constituted by a sheet folded in a Z shape. In this case, when the wearer tensions the front end of the tape member 60 , the folded tape member 60 is deployed, so that the tape member 60 extends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테이프 부재(60)는, 후처리용의 테이프이고,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에서 본체 점착부(70)에 부착되는 정도로 연장 가능하면 된다.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본체 점착부(70)에 부착 가능한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부재(60)는, 표면 시트(20)보다 본체 점착부(70)에 점착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 테이프 부재(60)는, 점착제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The tape member 60 is a tape for post-processing, and may be extended to the extent that the absorbent article 1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in a rounded state. In addition, as long as the tape member 60 is a material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you may be comprised with any material. Preferably, the tape member 6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er to adhere to the body adhesive portion 70 than the topsheet 20 . Moreover, the tape member 60 does not need to have an adhesive.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62)를 가지고 있고,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60)의 선단부는, 고정부(62)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져 있다. 이 경우, 테이프 부재(60)를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시킬 때에,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에는 연장 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62)에 가해지는 힘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의 고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tape member 60 has a fixing portion 62 fix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and the tip end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extending direction is directed to the opposite side to the fixing portion 62 . is lost In this case, when the tape member 60 is extende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a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only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by,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rt 62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the fixing strength of the tape member 60 can be maintained.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흡수성 물품(10)을 전후 방향(L)으로 만 후, 테이프 부재(60)를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사용 중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서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외측으로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60)를, 이면 시트(22)의 별도의 부분에 형성된 점착부(70)에 부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60)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와 점착부(70)의 접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10)을 작게 둥글린 상태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After us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can turn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and then extend the tape member 60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FIG. 3). reference). During use,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on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22, body fluid such as menstrual blood does not adhere to the tape member 60. does not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attaches the tape member 60 extended outward to the adhesive portion 70 formed on a separate portion of the back sheet 22, thereby making the absorbent article 10 round. You can keep it lean. Here, since bodil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do not adhere to the tape member 60 , a decrease i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ape member 60 and the adhesive portion 70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 absorbent article 10 is made small. You can make it easy to maintain.

또, 흡수성 물품(10)은, 경혈 등의 체액이 부착된 면을 내측으로 하여 말리기 때문에, 말린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는, 체액은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청결히 처리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dried with the surface to which bod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adhered inside, the body fluid does not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dried absorbent article 10. Thereby, the user can cleanly process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또한,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작게 둥글린 상태로 일단 근처의 작은 스페이스 상에 놓아둘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흡수성 물품(10)을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에 부착하고, 속옷이나 옷을 착용한 후에,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쓰레기통 등에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0)을 폐기하는 쓰레기통이 근처에 없는 상황하에서, 사용자는, 작게 둥글린 흡수성 물품(10)을 가방에 넣어 가지고 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place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on a small space near one end in a small rounded state. Therefore, the user can attach the new absorbent article 10 to a wearing article such as underwear, and after wearing the underwear or clothes, discard the used absorbent article 10 in a trash can or the like. In addition, under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waste bin for disposing of the absorbent article 10 nearby, the user may put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bag and take it with it.

또한,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중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되고, 흡수성 물품(10)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22 and does not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so that the tape The member 60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Therefore, discomfort and discomfort during use can be reduced.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8할의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전측부터 말기 시작한다. 테이프 부재(60)가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대부분의 사용자는, 권취 방향을 따라 테이프 부재(60)를 연장시켜,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부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comprised so that it can extend rearward rather than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s shown in FIG. About 80% of users begin to roll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from the front side. Since 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rearward than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most users extend the tape member 60 along the winding direction to attach the tape member 60 to the main body. It can be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70).

테이프 부재(60)는, 접음선(F1∼F3) 중의 가장 후측의 접음선(F3)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말 때에, 폭 방향(W)을 따른 접음선(F1∼F3)에 따라서 흡수성 물품(10)을 말기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적어도 3개의 접음선 중의 가장 후측의 접음선(F3)보다 후측의 영역은, 말린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 노출되며, 또한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 위치한다. 이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서 노출되는 장소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60)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고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provided behind the fold line F3 of the rearmost among the fold lines F1-F3. Depending on the user,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after us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started to roll along the fold lines F1 to F3 along the width direction W in some cases. In this case, the area behind the rearmost fold line F3 among the at least three fold lines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and is located on the terminal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at a loca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ide in this wind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60, and also easily roll the absorbent article into the tape member ( 6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

테이프 부재(6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20)에 부착된 체액에 접촉하고 싶지 않다는 관점에서,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느슨하게 마는 경우가 있다. 흡수성 물품(10)의 피부면에 부착된 체액을 가린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느슨하게 마는 경우,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약 1/3의 영역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흡수성 물품을 마는 경우가 있다(셋으로 접음과 같은 상태). 이 경우,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 노출된 영역 중, 권취 방향의 종단측의 영역이 된다. 이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서 노출되는 장소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60)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고정할 수 있다.The tape member 60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1/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desirable. A user may loosely roll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from the viewpoint of not wanting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dy fluid adhering to the topsheet 20 of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loosely after us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absorbent article 10 covers the body fluid adhering to the 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may notice that an area of about 1/3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s disposed on the inside In some cases, absorbent articles are rolled up as much as possible (same state as when folded in three). In this case, the range of the length of 1/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unded on the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mong the regions exposed to , it becomes a region on the terminal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at a loca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ide in this wind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60 and easily roll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state. The tape member 6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

테이프 부재(6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바람직하게는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0)의 피부면에 부착된 체액을 가린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팽팽하게 마는 경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10%∼15% 정도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 노출된 영역 중, 또한 권취 방향의 종단측의 영역이 된다. 이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서 노출되는 장소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60)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고정할 수 있다.The tape member 60 is preferably 15%, more preferably 10%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ormed within the range.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is rolled taut,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body fluid adhering to the 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s covered,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 the range of the length of about 10% to 1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s, among the region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10, in the winding direction It becomes the area of the terminal side.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at a loca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ide in this wind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60 and easily roll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state. The tape member 6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

본체 점착부(70)는, 테이프 부재(60)를 전후 방향(L)으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60)를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E2)보다 후측으로 연장시키고, 말린 흡수성 물품(10)에 똑바르게 테이프 부재(60)를 따르게 하면, 테이프 부재(60)에 본체 점착부(70)가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의 위치를 향하여 비스듬히 인장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is formed on the imaginary line which extended the tape member 6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Accordingly, when the tape member 60 is extended rearward than the rear edge E2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tape member 60 is straightly poured onto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is attached to the tape member 60. (70) is attach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rounded state without pulling the tape member 60 obliquely toward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

본체 점착부(70)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본체 점착부(70)끼리의 간격(W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를 인출한 끝에 본체 점착부(70)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점착부(7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width direction W is larger than the space|interval W2 of the main body adhesive parts 70 comrades in the width direction 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se in which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does not exist at the end of the user withdrawing the tape member 60 .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60 to the adhesive portion 70 .

또, 본체 점착부(70)가 폭 방향(W)으로 3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경우,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은, 본체 점착부(70)끼리의 사이의 복수의 간격 중, 테이프 부재(60)를 연장한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간격, 또는 가상선에 가장 가까운 간격의 크기보다 크면 된다. 이 대신에,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이, 본체 점착부(70)끼리의 간격 중의 최대의 간격보다 커도 좋다.Moreover, when three or more main body adhesive parts 70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width direction W is equal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s 70 comrade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larger than the magnitude|size of the space|interval located on the virtual line which extended the tape member 60, or the space|interval nearest to the virtual line among the several space|intervals between. Instead of this,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width direction W may be larger than the largest space|interval among the space|intervals of the main body adhesive parts 70 comrades.

본체 점착부(70)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양가장자리 중 테이프 부재(60)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2/3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느슨하게 마는 경우,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대략 1/3의 영역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흡수성 물품을 마는 경우가 있다(셋으로 접음 또는 넷으로 접음과 같은 상태). 이 경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2/3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 노출된다. 이 노출되는 영역에 본체 점착부(7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부착시킬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is from the edge closer to the tape member 60 among both edges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rear edge E2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2/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loosely after use, the user may roll the absorbent article so that approximately 1/3 of the area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s disposed inside (a state such as three-fold or four-fold) ). In this case, the absorbent article 10 in which the range of the length of 2/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was rounded. exposed on the surface of Since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is disposed in this exposed area,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60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

본체 점착부(70)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양가장자리 중 테이프 부재(60)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4/5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팽팽하게 마는 경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가장자리,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가장자리(E2)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20%∼30% 정도의 길이의 범위가,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 노출된다. 이 노출되는 영역에 본체 점착부(7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부착시킬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is from the edge closer to the tape member 60 among both edges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rear edge E2 in this embodiment,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4/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When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e is rolled taut,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n this embodiment, the rear-side edge E2,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A length range of about 20% to 30%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10 . Since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is disposed in this exposed area,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60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

이면 시트(22)와 테이프 부재(60)의 양쪽이, 필름, 예컨대 합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부재(60)의 이면 시트(22)에 접하는 면과, 이면 시트(22)의 테이프 부재(60)에 접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이, 정전기 방지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기 방지 처리는, 예컨대 코로나 처리나 엠보스 가공과 같은 표면 처리여도 좋다. 정전기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이면 시트(22)에 달라붙는 경우가 있다. 정전기 방지 처리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이면 시트(22)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0)을 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보다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지고,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Both the backsheet 22 and the tape member 60 may be formed of a film,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il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surface of the tape member 60 in contact with the back sheet 22 and the surface of the back sheet 22 in contact with the tape member 60 is subjected to an antistatic treatment. The antistatic treatment may be, for example, a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or embossing. The tape member 60 may stick to the back sheet 22 by static electricity. By the antistatic treatme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ape member 60 from sticking to the back sheet 22 . Therefore,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the tape member 60 is more likely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22, and the user can pick up the tape member 60 more easily and operate it.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체(3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은, 흡수성 물품(10) 중에서 특히 강성이 높은 영역이 된다.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흡수체(3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0)을 말았을 때에, 강성이 높은 영역에 위치하는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는, 흡수성 물품(10)과 함께 확실히 만곡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가 확실히 만곡됨으로써, 테이프 부재(60)의 자유단이 보다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art 62 of the tape member 60 overlaps with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region where the absorber 30 exists is a region with particularly high rigidity in the absorbent article 10 . Since the fixing part 62 of the tape member 60 overlaps with the absorbent body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the fixing part of the tape member 60 located in the area|region with high rigidity. (62) is curved securely together with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is way, since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is reliably curved, the free end of the tape member 60 is more likely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22 . Therefore, the user can pick up and operate the tape member 60 more easily.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고정부(62)를 제외한 영역은, 점착부(42, 52, 7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10)을 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region excluding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adhesive portions 42 , 52 , and 70 . Accordingly,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the tape member 60 tends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22 . Therefore, the user can pick up and operate the tape member 60 more easily.

흡수체(30)에는, 소정 패턴의 엠보스(압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30)는, 주위의 흡수체(30)의 단위중량보다 낮은 단위중량을 갖는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체(30)에 형성된 엠보스 또는 흡수체(30)에 형성된 저단위중량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부재(60)가, 흡수체(30)에 형성된 엠보스 또는 흡수체(30)에 형성된 저단위중량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으면, 테이프 부재(60)와 이면 시트(22)(흡수체(30))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0)을 말았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보다 이면 시트(22)로부터 부상하기 쉬워지고,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보다 용이하게 집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 absorber 30 may be provided with an embossing (compression portion) of a predetermined pattern. In addition, the absorber 30 may have a low unit weight region having a unit weight lower than the unit weight of the surrounding absorber 3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overlaps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the embossing formed on the absorber 30 or the low unit weight region formed on the absorber 30 . When the tape member 60 overlaps the embossed body formed on the absorbent body 30 or the low unit weight region formed on the absorbent body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ape member 60 and the back sheet 22 (absorbent body 30) ), a gap is likely to form between them. Therefore,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the tape member 60 is more likely to float from the back sheet 22, and the user can pick up the tape member 60 more easily and operate it.

(2) 제2 실시형태(2)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Next,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It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seen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의 위치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E1)보다 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Embodiment,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omitted. Hereinafter,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tape member 60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in front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The tape member 60 is comprised so that it can extend to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front-side edge E1 of an absorbent article.

테이프 부재(60)는, 접음선(F1∼F3) 중의 가장 전측의 접음선보다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약 30%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말 때에, 흡수성 물품(10)의 후측부터 말기 시작한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말 때에, 폭 방향(W)을 따른 접음선(F1∼F3)에 따라서 흡수성 물품(10)을 말기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가장 전측의 접음선(F1)보다 전측의 영역은, 말린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 노출되며, 또한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권취 방향의 종단측에서 노출되는 장소에 테이프 부재(6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테이프 부재(60)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고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in front of the fold line of the most front among fold lines F1-F3. About 30% of users start rolling up the absorbent article 10 from the back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Moreover, depending on the user, when rolling up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the absorbent article 10 may start to roll along the fold lines F1-F3 along the width direction W. In this case, the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ost forward fold line F1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and may be located on the terminal side in the winding direction. Sinc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at a loca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ide in this winding direc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ape member 60 and easily roll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state. The tape member 6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을 후측부터 마는 것을 고려하면, 테이프 부재(60)의 위치, 및 테이프 부재(60)의 위치와 본체 점착부(70)의 위치 관계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상태를 전후로 역전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from the rear side, the position of the tape member 60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tape member 60 and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tak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ate described in the above is reversed before and after.

즉, 테이프 부재(6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프 부재(60)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E1)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15%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10%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That is,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1/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t is preferable to have Moreover, the tape member 60 is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1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front-side edge E1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10%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본체 점착부(70)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E1)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2/3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점착부(70)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성 물품(10)의 전측 가장자리(E1)로부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0)의 길이의 4/5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has a length of 2/3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front edge E1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the range of Moreover,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is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4/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from the front edge E1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3) 제3 실시형태(3)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도 5∼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비피부면측으로부터 본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의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테이프 부재로 고정된 상태의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도면이다.Next,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5-7. 5 : is a top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seen from the non-skin surface sid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of the state roll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7 : is a figure of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of the state fixed with the tape member.

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Embodiment,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omitted. Hereinafter,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3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의 위치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는, 힙 플랩(50)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60)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힙 플랩(5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tape member 60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on the hip flap 50 . The tape member 60 is comprised so that it can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hip flap 50 in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힙 플랩(50)은, 흡수성 물품(10)의 후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약 8할의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전측부터 말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는, 둥글려진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 노출되게 된다. 또, 도 6에서는,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힙 플랩(50)으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테이프 부재(60)를 연장시키고(도 6 참조), 이면 시트(22)의 별도의 위치에 형성된 점착부에 테이프 부재(60)를 부착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도 7 참조).The hip flap 50 is located at the back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Here, about 80% of users begin to roll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from the front side. Accordingly, the tape member 60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unded absorbent article 10 . In addition, in FIG. 6, the state which pulled the tape member 60 is shown. The user extends the tape member 60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hip flap 50 (see FIG. 6 ), and the tape member 60 on the adhesive portion formed at a separate position of the back sheet 22 . By attaching the absorbent article, it is possible to keep the absorbent article in a rounded state (see Fig. 7).

또한, 힙 플랩(50)은 폭 방향(W)으로 불룩해진 부분이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를 점착부에 부착시킬 때에, 힙 플랩(50)이 말린 흡수성 물품(10)의 측면을 덮게 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말린 흡수성 물품(10)의 측면으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힙 플랩(50)이 말린 흡수성 물품(10)의 측면을 덮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0)의 피부면측에 부착된 체액을 덮어 가릴 수 있어, 청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ip flap 50 is a bulge in the width direction W, when the tape member 6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the hip flap 50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 (See Fig. 7). Thereby, leakage of the body flui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hip flap 50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the body fluid adhering to the skin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can be covered and covered, thereby improving the feeling of cleanliness.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은,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본체 점착부(70)끼리의 간격(W3)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를 인출한 끝에 본체 점착부(70)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s 70 may be formed at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s larger than the space|interval W3 of the main body adhesive parts 70 comrad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se in which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does not exist at the end of the user withdrawing the tape member 60 .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tape member 60 to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

또,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본체 점착부(70)의 간격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테이프 부재(60)의 폭(W1)은,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복수의 간격 중의 최대의 간격보다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over, when there exist two or more intervals of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the width W1 of the tape member 60 is the largest among the some space|interval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t is more preferable to be larger than the interval.

본체 점착부(70)의 적어도 일부는, 테이프 부재(60)보다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부재(60)보다 전측에 본체 점착부(70)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힙 플랩(50)으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시킨 테이프 부재(60)를, 이면 시트(22)의 별도의 위치(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별도의 위치)에 존재하는 본체 점착부(70)에 부착했을 때에,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is formed in front of the tape member 60. As shown in FIG. Since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is present on the front side of the tape member 60 , the user can attach the tape member 60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hip flap 50 to the back sheet 22 .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adhesive portion 70 existing at a separate position (a separat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L), the absorbent article 10 can be maintained in a rounded state.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하여 조금도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embodiment mentioned abov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demonstra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in the form of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nd does not have any limiting meaning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 및 특징은, 가능한 한 조합 및/또는 치환 가능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For examp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stitutions and features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combined and/or substitut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테이프 부재(60)를 본체 점착부(70)에 부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윙 점착부(42)나 플랩 점착부(52)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 흡수성 물품(10)은 비교적 부드러운 물품이기 때문에, 반드시 테이프 부재(60)를 똑바르게 연장시킨 위치에 점착부(42, 52, 70)가 위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테이프 부재(60)를 점착부(42, 52, 70)에 부착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the attachment of the tape member 60 to the main body adhesive part 70 afte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was demonst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ape member 60 may be attached to the wing adhesive portion 42 or the flap adhesive portion 52 as long as the absorbent article 10 can be maintained in a rounded state. In addition, sinc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a relatively soft article, even if the adhesive parts 42, 52, and 70 are not necessarily located at the positions where the tape member 60 is straightly extended, the tape member 6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part ( 42, 52, 70) should be noted.

한편, 2016년 6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26082호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126082 for which it applied on June 24, 2016 is taken in into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상기 양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사용 후에 둥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sorbent article which concerns on the said aspect, after use, it can hold|maintain in a rounded state, and can reduce the discomfort and discomfort during use.

10: 흡수성 물품, 20: 표면 시트, 22: 이면 시트, 30: 흡수체, 40: 윙, 42: 윙 점착부, 50: 힙 플랩, 52: 플랩 점착부, 60: 테이프 부재, 62: 고정부, 70: 본체 점착부, E1: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 E2: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 F1: 제1 접음선, F2: 제2 접음선, F3: 제3 접음선, S1: 배설구 대향 영역,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W1: 테이프 부재의 폭, W2: 폭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 점착부끼리의 간격, W3: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 점착부끼리의 간격 DESCRIPTION OF SYMBOLS 10 absorbent article, 20 top sheet, 22 back sheet, 30 absorber, 40 wing, 42 wing adhesive part, 50 hip flap, 52 flap adhesive part, 60 tape member, 62 fixing part, 70: main body adhesive portion, E1: fron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E2: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F1: first fold line, F2: second fold line, F3: third fold line, S1: excretory facing area, L : front-back direction, W: width direction, W1: width of a tape member, W2: spacing between main body adhesive parts in the width direction, W3: space|interval between main body adhesive parts in front-back direction

Claims (20)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점착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 back sheet facing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a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further comprising a tape member disposed inward than an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said tape member does not have an adhesive, The absorbent article is comprised so that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kept in a roun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착용 물품의 크로치부의 비피부면측으로 되접히는 윙과, 상기 윙보다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불룩해진 힙 플랩을 가지며,
상기 점착부는 상기 윙에 형성된 윙 점착부와 상기 힙 플랩에 형성된 플랩 점착부를 가지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윙 점착부와 상기 플랩 점착부 사이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ng that folds back to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able article when in use; and a hip flap that bulges in the width direction behind the wing,
The adhesive part has a wing adhesive part formed on the wing and a flap adhesive part formed on the hip flap,
At least two fold lines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between the wing adhesive part and the flap adhesive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와,
사용시에 착용 물품의 크로치부의 비피부면측으로 되접히는 윙과,
상기 윙보다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진 힙 플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의 비피부면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된 테이프 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점착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을 둥글린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윙에 형성된 윙 점착부와, 상기 힙 플랩에 형성된 플랩 점착부를 가지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윙 점착부와 상기 플랩 점착부 사이에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접음선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 back sheet facing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A wing that folds back toward the non-skin side of the crotch part of the wearable article when in use;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hip flap that bulg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ehind the wing,
on the non-skin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further comprising a tape member disposed inward than an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tape member has no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s configured to hold the absorbent article in a rounded state,
The adhesive part has a wing adhesive part formed on the wing and a flap adhesive part formed on the hip flap,
At least two fold lines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between the wing adhesive part and the flap adhesive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영역보다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진 힙 플랩을 가지며,
상기 힙 플랩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접음선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힙 플랩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 접음선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The hip fla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having a hip flap that bulg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ehind an area facing the excretory opening of the wearer,
and a fold lin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an area overlapping the hip flap,
and the tape member is formed behind a fold line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hip flap.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테이프 부재에 접하는 면이 정전기 방지 처리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surface of the back sheet in contact with the tape member is subjected to an antistatic treatmen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접음선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접음선 중의 가장 전측의 접음선보다 전측, 또는 가장 후측의 접음선보다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having at least two fold lines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said tape member is an absorbent article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most front fold line among the said fold line, or behind the rearmost fold lin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3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said tape member has a length of 1/3 of the length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in any one of Claims 1-3. An absorbent article formed within the ran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15%의 길이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ape member is formed within a range of 15% of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측 가장자리보다 전측, 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후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ape member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in front of the front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or rearward than the rea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the tape memb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프 부재의 폭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부끼리의 간격보다 큰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plurality of the adhesive portion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width|variety of the said tape member in the said width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space|interval between the said adhesion parts in the said width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영역보다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진 힙 플랩을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힙 플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힙 플랩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The hip fla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having a hip flap that bulg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ehind an area facing the excretory opening of the wearer,
the tape member is formed on the hip flap;
The said tape member is an absorbent article comprised so that it can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said hip flap in the said width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프 부재의 폭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부끼리의 간격보다 큰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at interval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width|variety of the said tape member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space|interval between the said adhesion parts in the said front-back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보다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a front side of the tape memb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양가장자리 중 상기 테이프 부재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2/3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an edge closer to the tape member among both edges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bsorbent article is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2/3 of the length of the said absorbent artic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양가장자리 중 상기 테이프 부재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의 4/5의 길이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is 4/ the l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an edge closer to the tape member among both edges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formed 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반대측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front-end|tip part of the said tape member is form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aid fixing par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보다 피부면측에 형성된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mprising an absorbent body formed on the skin surface side rather than the back sheet,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absorbent articl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aid fixing part is overlapped with the said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보다 피부면측에 형성된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체에 형성된 엠보스 또는 상기 흡수체에 형성된 저단위중량 영역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mprising an absorbent body formed on the skin surface side rather than the back sheet,
The said tape member is an absorbent article which overlaps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the embossing formed in the said absorbent body or the low unit weight area|region formed in the said absorbent bod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에 고정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영역은, 상기 점착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non-skin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An absorbent article wherein at least a region of the tape member excluding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not overlapping the adhesive portion.
KR1020187024644A 2016-06-24 2017-06-20 Absorbent article KR1022892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6082 2016-06-24
JP2016126082 2016-06-24
PCT/JP2017/022736 WO2017221941A1 (en) 2016-06-24 2017-06-20 Absorbent article
KR1020187000587A KR101908444B1 (en) 2016-06-24 2017-06-20 Absorbent art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587A Division KR101908444B1 (en) 2016-06-24 2017-06-20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713A KR20190011713A (en) 2019-02-07
KR102289290B1 true KR102289290B1 (en) 2021-08-13

Family

ID=607845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587A KR101908444B1 (en) 2016-06-24 2017-06-20 Absorbent article
KR1020187024644A KR102289290B1 (en) 2016-06-24 2017-06-20 Absorbent artic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587A KR101908444B1 (en) 2016-06-24 2017-06-20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2) JP6266854B1 (en)
KR (2) KR101908444B1 (en)
CN (1) CN109414359A (en)
AU (1) AU2017282433A1 (en)
MY (1) MY194616A (en)
PH (1) PH12018502745A1 (en)
RU (1) RU2710614C1 (en)
TW (1) TWI754650B (en)
WO (1) WO201722194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6736B2 (en) 2010-05-11 2020-09-2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Placement of user information in a game space
JP7174532B2 (en) * 2018-04-12 2022-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JP7122146B2 (en) * 2018-04-12 2022-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JP7133991B2 (en) * 2018-06-05 2022-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package
JP2020048947A (en) * 2018-09-27 2020-04-02 大王製紙株式会社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2217B2 (en) 1990-05-31 1999-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Wireless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audible sound reproduction function
JPH0553624U (en) * 1991-12-25 1993-07-20 王子製紙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
JP2594564Y2 (en) * 1993-08-24 1999-04-26 株式会社資生堂 Sanitary napkin
JP3566461B2 (en) * 1996-06-28 2004-09-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articles
SE0102246L (en) * 2001-06-25 2002-12-26 Sca Hygiene Prod Ab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20030153891A1 (en) * 2002-02-14 2003-08-14 Molee Kenneth John Multifunctional disposal tape on an absorbent article
JP3779947B2 (en) * 2002-10-11 2006-05-31 ピジョン株式会社 Absorbent pad
JP4522073B2 (en) * 2003-10-24 2010-08-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articles
PL1827340T3 (en) * 2004-12-21 2013-03-29 Essity Hygiene & Health Ab Absorbent pad
CN101193617B (en) * 2005-06-01 2011-10-05 Sca卫生产品股份公司 Absorbent article having disposal fastening means
WO2006130053A1 (en) * 2005-06-01 2006-12-07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disposal fastening means
JP4508966B2 (en) * 2005-07-26 2010-07-21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726649B2 (en) * 2006-02-20 2011-07-20 花王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s
KR20090033774A (en) * 2007-10-01 2009-04-06 윤진실 A sanitary pad for cleanliness
JP4923017B2 (en) * 2008-09-24 2012-04-25 大王製紙株式会社 Individual absorbent articles
US8801687B2 (en) * 2009-03-06 2014-08-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stiffening element and a device for disposal
JP5303327B2 (en) * 2009-03-23 2013-10-02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ption pad
JP5520507B2 (en) * 2009-03-27 2014-06-11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ption pad
WO2010117314A1 (en) * 2009-04-09 2010-10-14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tab in order to facilitate disposal
JP5503925B2 (en) * 2009-08-28 2014-05-28 大王製紙株式会社 Individual absorbent articles
JP5665338B2 (en) * 2010-03-24 2015-0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Body fluid treatm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105274B2 (en) * 2012-12-20 2017-03-2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er for dispos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444B1 (en) 2018-10-17
WO2017221941A1 (en) 2017-12-28
CN109414359A (en) 2019-03-01
AU2017282433A1 (en) 2018-12-20
JP2018000993A (en) 2018-01-11
KR20180008864A (en) 2018-01-24
TW201811282A (en) 2018-04-01
JP6266854B1 (en) 2018-01-24
JPWO2017221941A1 (en) 2018-06-21
PH12018502745A1 (en) 2019-04-15
TWI754650B (en) 2022-02-11
RU2710614C1 (en) 2019-12-30
JP7170388B2 (en) 2022-11-14
KR20190011713A (en) 2019-02-07
MY194616A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290B1 (en) Absorbent article
KR100669128B1 (en) Disposable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
KR20010051747A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for absorbing body fluid
JP6442274B2 (en) Absorbent articles
US20030158534A1 (en) Absorbent article
US20120046630A1 (en) Absorbent article
CN111565691B (en) Absorbent article
KR20100135742A (en) Absorbent article
JP7112987B2 (en) urine absorbing pad package
EP3705099B1 (en) Absorbent article
KR102498460B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TW201938125A (en) Absorbent article
CN111511328B (en) Absorbent article
CN111511331B (en) Absorbent article
JP2019118578A (en) Absorbent article
WO2018116636A1 (en) Absorbent article
JP2024000123A (en) Absorbent article
JP2019118577A (en) Absorbent article
JP2020103650A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